KR102449828B1 -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828B1
KR102449828B1 KR1020220046618A KR20220046618A KR102449828B1 KR 102449828 B1 KR102449828 B1 KR 102449828B1 KR 1020220046618 A KR1020220046618 A KR 1020220046618A KR 20220046618 A KR20220046618 A KR 20220046618A KR 102449828 B1 KR102449828 B1 KR 102449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device
unit
reference axis
robo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국진
김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22004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2Servicing or operating apparatus or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착도장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된 대상의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 장치로서, 배열된 상기 대상의 사이공간으로 이동하는 로봇이동부; 및 상기 로봇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의 사이공간에서 상기 대상을 향해 기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 {AIR CUTTING AUTOMATION SYSTEM INCLUDING DRY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이동부에 결합되어 대상의 사이공간에서 대상을 향해 기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분사부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체나 각종 부품들의 도장 공정은, 탈지, 수세, 표면조정, 화성피막, 수세, 전착도장, UF수세, 순수세, 에어 컷팅, 경화의 단계를 거친다.
위와 같은 도장 공정에 있어서, 에어 컷팅 공정은 순수세 공정 후에 대상의 표면에 맺힌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상의 표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공정을 말한다.
대상의 표면에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다음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수분이 대상의 표면에서 끓으면서 도장면이 부풀어 오르는 등의 표면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대상의 표면에 맺힌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거나 고정되는 행거의 하단에 후크를 걸고, 후크에 지그프레임을 걸어준뒤, 지그프레임에 대상을 거치하여 이송시키면서, 작업자가 에어건을 파지한 상태에서 에어건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대상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람이 직접 에어건을 파지하여 수작업으로 에어를 불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작업 해야되는 대상이 많을 경우 작업자는 쉽게 피로를 느껴 작업시간이 더욱 길어지며, 작업자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대상의 일부 표면에 수분이 남게되어 경화시 표면 끓음 현상으로 인한 표면 결함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흔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대상의 일측에서 계속적으로 에어를 분사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에어 컷팅 공정에서는 복수의 인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건비에 대한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어 컷팅 장치의 자동화가 가능한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건조 장치는, 도장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된 대상의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 장치로서, 배열된 상기 대상의 사이공간으로 이동하는 로봇이동부; 및 상기 로봇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의 사이공간에서 상기 대상을 향해 기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분사부는, 내부에서 기준축을 따라 일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기준축에 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축을 따라 상향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지면과 수평인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기준축을 따라 복수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분사부는,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대상의 위치보다 낮은 제1 위치에서 상기 대상의 대상의 위치보다 높은 제2 위치로 이동되었다가, 제1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대상에 대한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대상은, 도장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된 단위대상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봇이동부는, 배열된 상기 단위대상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이동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은,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된 대상을 도장하는 도장 장치; 및 제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에 따르면, 사람이 직접 에어건을 파지하여 수작업으로 에어를 불어줄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이 항상 예상된 시간과 동일하고 작업 해야되는 대상이 많아지더라도 대상의 일부 표면에 수분이 남게되어 경화시 표면 끓음 현상으로 인한 표면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상의 일측에서 계속적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어 인건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의 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에서 건조 장치의 세척분사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의 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의 건조 장치가 대상을 건조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분사노즐의 각도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분사노즐의 각도에 대한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가 회전되어 분사노즐의 분사되는 각도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분사부의 대상에 대한 세척 위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분사부의 세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의 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에서 건조 장치의 세척분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의 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의 건조 장치가 대상을 건조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분사노즐의 각도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분사노즐의 각도에 대한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가 회전되어 분사노즐의 분사되는 각도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분사부의 대상에 대한 세척 위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분사부의 세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10)은 크게 도장 장치(180), 건조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장 장치(180)는, 대상(D)에 대하여 전착도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착도장 전 탈지, 수세, 표면조정, 화성피막의 공정중 적어도 어느 한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전착도장 후 UF수세, 순수세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한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장치(100)는 대상(D)을 경화시키는 공정전에 상술한 도장 장치(180)에서 공정이 완료된 대상(D)의 표면에 맺힌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상(D)의 표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장치로서, 대상(D)의 표면에 수분이 있는 상태를 방지하여 수분이 대상(D)의 표면에서 끓으면서 도장면이 부풀어 오르는 등의 표면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건조 장치(100)의 대상(D)은, 전착도장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돤 바와 같이 건조 장치(100) 일측에 마련된 헹거(180)에 하나의 대상(D)이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나열되고 나열된 복수개의 대상(D)의 집합이 다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대상(D)은, 크게 전술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착도장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된 형태의 단위대상(D)들이 로봇이동부(12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장치(100)는 크게 로봇이동부(120), 세척분사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로봇이동부(120)는 후술할 세척분사부(14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열된 대상(D)을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대상(D)의 사이공간으로 이동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구조, 형상, 재질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더욱 자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로봇이동부(120)는 후술할 세척분사부(140)가 다양한 위치 및 각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다관절로봇일 수 있다.
세척분사부(140)는 상술한 로봇이동부(120)에 결합되어 대상(D)의 사이공간에서 상기 대상(D)을 향해 기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분사부(140)는, 몸체(142), 분사노즐(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몸체(142)는 상술한 로봇이동부(120)의 일단에 장착되며, 내부에서 미리 기준축을 따라 일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42)의 일측은 로봇이동부(1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공기의 이동경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몸체(142)는 내부의 유로가 외부의 공기공급유닛과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제어에 따라 공기공급유닛에서 유로를 통해 후술할 분사노즐(144)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공기의 이동방향 기준축에 연장되도록 후술할 분사노즐(144)이 몸체(142)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몸체(142)는 내부의 유로가 외부의 공기공급유닛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로봇이동부(120)의 일측에 마련된 공기유입구에 공기공급유닛이 연결되고, 로봇이동부(120)의 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이동경로가 몸체(142) 내부의 유로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분사노즐(144)은 상술한 몸체(142)의 기준축과 동축인 공기 이동경로를 가지며, 상술한 몸체(142)의 기준축에 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분사구(144b)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노즐(144)은 배열된 대상(D)체를 향해 동시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중심축이 몸체(142)의 기준축과 동축인 중공관(144a)의 외주면에 분사구(144b)가 형성될 수 있으며, 분사구(144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44a)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분사구(144b)는 분사노즐(144)을 단면에서 봤을 때 중공관(144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14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평으로 이격된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술한 중공관(144a)의 중심축, 다시 말해 상술한 몸체(142)의 기준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사노즐(144)은 중공관(144a)의 중심축을 지나며 지면과 수평으로 이격된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인 도 7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마련된 분사구(144b)가 서로 대칭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14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몸체(142)의 기준축, 즉, 다시 말해 중공관(144a)의 중심축을 따라 상향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분사노즐(144)은 중공관(144a)의 중심축을 지나며 지면에 수직인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인 도 8을 기준으로 봤을때, 중공관(144a)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구(144b)가 모두 상향경사지도록 배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14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이동부(120)의 운동범위의 한계에 따른 분사영역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몸체(142)에서 중공관(144a)의 중심축을 따라 소정 각도 회동되거나, 중공관(144a)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되는 결합마운트(144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분사노즐(144)에 마련된 분사구(144b)의 각도는 다양할 수 있으며, 각도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다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D)의 배열과 로봇이동부(120)의 운동범위에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분사노즐(144)의 형태는 경우에 따라 혼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노즐(144)은, 지면과 수평으로 이격된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술한 중공관(144a)의 중심축, 다시 말해 상술한 몸체(142)의 기준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몸체(142)의 기준축, 즉, 다시 말해 중공관(144a)의 중심축을 따라 상향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사영역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몸체(142)에서 중공관(144a)의 중심축을 따라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대상(D)의 다양한 배치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분사노즐(144)이, 중공관(144a)의 중심축을 따라 배열된 경우에 각각의 분사노즐(144)이 인접한 분사노즐(144)과 독립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분사부(140)는 대상(D) 사이에서 더욱 정밀한 이동 및 충돌을 방지하도록 분사노즐(144) 일측에 장착되는 거리센서(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센서(146)는 분사노즐(144)의 끝단에 장착되며, 대상(D)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분사노즐(14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건조 장치(100)의 바닥면에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위치를 확인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144)은 일측에 장착되는 거리센서(146)가 대상(D)을 기준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에, 해당 거리센서(146)을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대상이 복수로 배열된 경우, 미리 설정된 배열 위치에 없는 대상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세척분사부(140)는 일측에 3D 비전 카메라를 마련하여 대상(D)의 표면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봇이동부(120)는 도 1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대상(D)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에, 단위대상(D)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이동모듈이 마련됨으로써, 효율적인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 장치(100)는 대상(D)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대상(D)의 양측에서 더욱 정밀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장치(100)는 수평으? 배열된 대상(D)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된 경우에, 각각의 로봇이동부(120)에는 모두 이동모듈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동모듈을 따라 각각의 로봇이동부(120)가 동시에 이동하여 대상(D)의 좌우측을 건조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로봇이동부(120)가 하나의 대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협업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로봇이동부(120)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로봇이동부(120)는 이동모듈이 대상(D)을 따라 u자형 트랙형태로 마련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면 로봇이동부(1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서로 다른 대상(D)을 건조시키며, 중복 건조를 통해 건조시간을 확대시킨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복수의 로봇이동부(120)는 레일 없이 AGV형태의 이동모듈이 하부에 장착되어 더욱 정교한 작업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이동부(120)의 하단이 AGV형태의 이동모듈이 마련된 경우, 복수의 로봇이동부(120)가 수평으로 배열된 대상(D) 중 어느 하나의 대상(D)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세척 및 건조작업을 수행할 수있다.
다음으로 어느 하나의 대상(D)의 세척 및 건조작업이 끝나고 바로 옆에 있는 대상(D)을 세척 및 건조할 경우에는, 복수의 로봇이동부(120) 중 상술한 옆 대상(D)에 가까운 로봇이동부(120)는 현재 위치를 유지하고 상술한 옆 대상(D)에 먼 로봇이동부(120)만이 상술한 옆 대상(D) 일측으로 이동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10, 11을 통해 세척분사부(140)는 건조과정을 자세하게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대상(D)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D1,D2,D3,D4)로 배열된 상태라고 가정하면, 세척분사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D1,D2 사이의 위치인 x1위치에서 공기 분사를 통해 세척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척분사부(140)는 로봇이동부(120)의 이동을 통해 D3,D4 사이의 위치인 x2위치로 이동하여 공기 분사를 통해 세척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척분사부(140)는 상술한 센서(146)를 통해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대상(D)의 위치보다 낮은 제1 위치(y1)에서 대상(D)의 위치보다 높은 제2 위치(y2)로 이동되었다가, 제2 위치(y2)에서 공기 분사를 시작하고, 제1 위치로 복귀(y3)하면서 대상(D)에 대한 공기분사를 통해 대상(D)의 세척 및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로봇이동부(120)에서 세척분사부(140)의 작업원점 및 작업초기위치 설정을 통해 대상(D)의 건조가 더욱 안전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10)
D: 대상
100: 건조 장치
120: 로봇이동부
140: 세척분사부
142: 몸체
144: 분사노즐
144a: 중공관
144b: 분사구
144c: 결합마운트
146: 센서
180: 헹거
200: 도장 장치

Claims (10)

  1. 전착도장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단위대상이 수평으로 배열된 대상의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 장치로서,
    배열된 상기 대상의 사이공간으로 이동하는 로봇이동부; 및
    상기 로봇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의 사이공간에서 상기 대상을 향해 기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분사부는,
    내부에서 기준축을 따라 일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기준축에 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되,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대상의 위치보다 낮은 제1 위치에서 상기 대상의 위치보다 높은 제2 위치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대상에 대한 공기 분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대상을 기준으로 분사노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일측에 거리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미리 설정된 배열 위치에 없는 상기 대상의 위치를 감지하고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분사노즐의 중심축을 지나며,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기준축을 따라 상향경사지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분사노즐의 중심축을 지나며, 지면에서 수평으로 이격된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기준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몸체의 기준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기준축을 따라 복수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이동부는,
    배열된 상기 단위대상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이동모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10. 수직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된 대상에 도장을 수행하는 도장 장치; 및
    제1항의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

KR1020220046618A 2022-04-15 2022-04-15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 KR102449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618A KR102449828B1 (ko) 2022-04-15 2022-04-15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618A KR102449828B1 (ko) 2022-04-15 2022-04-15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828B1 true KR102449828B1 (ko) 2022-09-30

Family

ID=8345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618A KR102449828B1 (ko) 2022-04-15 2022-04-15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8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892A (ja) * 2003-03-27 2004-10-21 Honda Motor Co Ltd 保護層形成材塗布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110052107A (ko) * 2009-11-12 2011-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라즈마 절단의 잔재물 제거장치
KR102287966B1 (ko) * 2021-04-09 2021-08-09 이주열 금속 부품 도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892A (ja) * 2003-03-27 2004-10-21 Honda Motor Co Ltd 保護層形成材塗布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110052107A (ko) * 2009-11-12 2011-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라즈마 절단의 잔재물 제거장치
KR102287966B1 (ko) * 2021-04-09 2021-08-09 이주열 금속 부품 도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0628B2 (ja) 清掃ロボットシステム、清掃制御方法、塗装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塗装制御方法
US9005715B2 (en) Method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large parts, gripper of parts suitable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use of said gripper and treatment cubicle
WO2021191662A1 (en) Smart robot for preparation and painting buildings walls
KR101516689B1 (ko) 보수 장치
CN104841668B (zh) 一种基于数字总线的智能自动清洁子单元及其使用方法
JP2002113400A (ja) コーティング材料をスプレイするための設備において材料を交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ステーション
US20160121372A1 (en) Cleaning process and cleaning device for one or more parts of an application system
US20140245953A1 (en) System for coating, in particular for painting, articles, in particular vehicle bodies
KR102449828B1 (ko)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컷팅 자동화 시스템
TWI713465B (zh) 用於塗佈基板的方法及塗佈裝置
CN114100991B (zh) 一种用于大型多框槽工件的喷涂方法
KR102593477B1 (ko) 전착도장용 에어커팅 자동화 장치
CN107262464B (zh) 清洗水输送工具、洒水清洗装置以及涂料回收路的清洗方法
CN212856320U (zh) 一种机器人喷涂装置
WO2017033074A1 (en) Coating booth
CN106111403A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生产的喷涂组件
EP3736054A1 (en) Device for washing a decoration cabinet
CN104785399A (zh) 一种汽车后视镜喷涂装置
KR20190021046A (ko)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도장 시스템
CN210729933U (zh) 一种自动喷涂设备
JPS63123458A (ja) 塗装ガンの洗浄装置
JP3225557B2 (ja) 塗装装置の洗浄方法
JPS63104684A (ja) 形鋼の内面を塗装する方法
JP4377015B2 (ja) 色替え塗装方法
CN220590434U (zh) 一种喷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