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063B1 - 복합재 - Google Patents

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063B1
KR102449063B1 KR1020190120894A KR20190120894A KR102449063B1 KR 102449063 B1 KR102449063 B1 KR 102449063B1 KR 1020190120894 A KR1020190120894 A KR 1020190120894A KR 20190120894 A KR20190120894 A KR 20190120894A KR 102449063 B1 KR102449063 B1 KR 10244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oam
composite material
metal
less
graph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799A (ko
Inventor
신종민
유동우
이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00036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6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dis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grid, perforated metal foil, film, aggregated flakes, si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 B22F3/112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by using decomposable, meltable or sublimatable 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8Alloys with open or closed p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26Deposition of carbon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2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 C22C2202/02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복합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방열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내충격성이나 가공성이 우수한 복합재, 상기 복합재의 제조 방법 및 전자파 차폐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재 {COMPOSITE MATERIAL}
본 출원은 복합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시트에 대한 것이다.
방열 소재는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나 각종 전자 기기는 작동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소재가 요구된다.
방열 특성이 좋은 소재는 열전도도가 좋은 세라믹 소재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소재는 가공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높은 열전도율을 나타내는 상기 세라믹 필러 등을 배합하여 제조한 복합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방식에 의해서는 높은 열전도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다량의 필러 성분이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다량의 필러 성분을 포함하는 소재의 경우, 소재 자체가 딱딱하게 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경우에 내충격성 등이 떨어진다.
본 출원은 방열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내충격성이나 가공성이 우수한 복합재, 상기 복합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우수한 전자파 차폐능을 가지면서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이 좋고, 산화 및 고온 안정성에서도 유리한 전자파 차폐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복합재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복합재는 금속폼과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재는 상기 금속폼과 후술하는 그래핀 성분 또는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금속폼 또는 금속 골격은, 2종 이상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금속을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금속폼 또는 금속 골격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금속의 비율이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또는 95 중량%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주성분으로 포함되는 금속의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0 중량%일 수 있다.
용어 다공성은, 기공도(porosity)가 적어도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75% 이상 또는 80% 이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공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약 100% 미만, 약 99% 이하 또는 약 98%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에서 기공도는 금속폼 등의 밀도를 계산하여 공지의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복합재는 필름 형태의 금속폼 및 상기 금속폼의 표면 또는 금속폼의 내부에 존재하는 그래핀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폼은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의 크기는 장축 기준으로 평균 1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기공의 크기는 예를 들어, 장축 기준으로 0.1 내지 10㎛, 0.5 내지 9㎛, 1 내지 8㎛ 또는 2 내지 7㎛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그래핀 성분은 복합재 내에서 10-5 내지 10-1wt%의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성분의 무게비는 예를 들어, 10-5 초과, 10-1wt% 미만, 5 x 10-5 내지 5 x 10-2wt%, 10-4 내지 10-2wt%, 5 x 10-4 내지 5 x 10-3wt%, 8 x 10-4 내지 3 x 10-3wt%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무게비는 금속폼 및 그래핀 성분 중량을 전체 100으로 계산했을 때의 비율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고분자층이 형성되는 경우, 고분자 성분을 제외하고, 금속폼과 그래핀 성분 간의 중량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복합재는, 열전도도 특성이 우수하여, 예를 들면, 방열 소재와 같이 열의 제어를 위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기공 특성을 가지고 박막의 필름 형태로 제공되며 내충격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공의 평균 크기는 예를 들어, D50 입도 분석에 따른 평균 크기일 수 있다.
상기 금속폼에서 금속폼의 전체 기공 중에서 85% 이상의 기공은 기공 크기가 10 μm 이하일 수 있으며, 65% 이상의 기공의 기공 크기는 5 μm 이하일 수 있다. 상기에서 10 μm 이하 또는 5 μm 이하의 기공 크기를 가지는 기공의 크기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기공 크기는 일 예시에서 약 0 μm 초과, 0.1 μm 이상, 0.2 μm 이상, 0.3 μm 이상, 0.4 μm 이상, 0.5 μm 이상, 0.6 μm 이상, 0.7 μm 이상, 0.8 μm 이상, 0.9 μm 이상, 1 μm 이상, 1.1 μm 이상, 1.2 μm 이상, 1.3 μm 이상, 1.4 μm 이상, 1.5 μm 이상, 1.6 μm 이상, 1.7 μm 이상, 1.8 μm 이상, 1.9 μm 이상 또는 2 μm 이상일 수 있다.
상기에서 10 μm 이하의 기공 크기의 기공은, 전체 기공 중에서 100% 이하, 95% 이하 또는 90% 이하 정도일 수 있고, 5 μm 이하의 기공 크기를 가지는 기공이 비율은, 전체 기공 중에서 100% 이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또는 70%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기공 분포 내지 특성에 의해서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복합재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공의 분포는, 예를 들어, 필름 형태인 복합재에서 상기 필름의 장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복합재는 필름 형태의 금속폼의 표면 또는 상기 금속폼의 내부에 그래핀 성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핀 성분은, 상기 금속폼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에서 그래핀층을 형성하고 있거나, 금속폼 내부의 공극에 충전되어 존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그래핀층을 형성하면서 또한 금속폼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래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금속폼의 표면 중에서 적어도 한 표면, 일부의 표면 또는 모든 표면에 대해서 그래핀 성분이 그래핀층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예시에서는 적어도 금속폼의 주표면인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에 상기 그래핀 성분이 그래핀층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그래핀층은, 금속폼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표면만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그래핀층은 그 두께 범위가 10nm 이하, 8nm 이하, 5nm 이하의 범위 내일 수 있다.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0.001nm 또는 0.01nm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전술한 특정 기공 크기를 갖는 금속폼 표면 및 금속폼 내부의 기공의 표면에 그래핀 성분이 특정 함량 또는 특정 두께로 도입됨으로써, 기존의 그래핀 증착 금속폼 대비 더 효과적으로 그래핀 증착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는 상기 기공 크기, 기공 분포, 그래핀 함량 및/또는 그래핀 두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출원의 금속폼은 방열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내산화성, 내충격성이나 가공성 및 우수한 기공도를 갖는 복합재를 제공한다.
상기 그래핀 성분은 금속폼의 표면에 화학기상증착법(CVD)에 의하여 성장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복합재는 열전도도가 약 0.4 W/mK 이상, 0.48 W/mK 이상, 0.5 W/mK 이상, 0.55 W/mK 이상, 0.6 W/mK 이상, 0.65 W/mK 이상, 0.7 W/mK 이상, 0.75 W/mK 이상, 0.8 W/mK 이상, 0.85 W/mK 이상, 0.9 W/mK 이상, 0.95 W/mK 이상, 1 W/mK 이상, 1.8 W/mK 이상, 2, W/mK 이상 2.5 W/mK 이상, 3 W/mK 이상, 3.5 W/mK 이상, 4 W/mK 이상, 4.5 W/mK 이상 또는 5 W/mK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합재의 열전도도는 높을수록 복합재가 우수한 열 제어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시에서 약 100 W/mK 이하, 90 W/mK 이하, 80 W/mK 이하, 70 W/mK 이하, 60 W/mK 이하, 50 W/mK 이하, 40 W/mK 이하, 30 W/mK 이하, 20 W/mK 이하 또는 10 W/mK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합재의 열전도도는, 당업계의 공지의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전도도는, 복합재의 열확산도(A), 비열(B) 및 밀도(C)를 구하여 열전도도=ABC의 수식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열확산도(A)는, 레이저 플래쉬법(LFA 장비, 모델명: LFA467)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비열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장비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밀도는 아르키메데스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도는 복합재의 두께 방향(Z축)에 대한 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가 해당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그 물성은 상온에서 측정한 것이다. 용어 상온은 가온 또는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이고, 예를 들면, 약 10℃ 내지 3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약 23℃ 또는 약 25℃ 정도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복합재는 상기와 같은 우수한 열전도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가공성이나 내충격성 등의 다른 물성도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내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재에 포함되는 금속폼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 예시에서 필름 형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복합재에서는 상기 필름 형태의 금속폼 또는 그래핀 성분의 표면에 존재하는 고분자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금속폼의 표면에는 그래핀 성분이 그래핀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그래핀층 상에 또는 상기 금속폼 표면 중 그래핀 성분이 형성되지 않은 표면 상에, 상기 고분자 성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성분은, 상기 금속폼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에서 표면층을 형성하고 있거나, 금속폼 내부의 공극에 충전되어 존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면서 또한 금속폼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표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금속폼의 표면 중에서 적어도 한 표면, 일부의 표면 또는 모든 표면에 대해서 고분자 성분이 표면층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예시에서는 적어도 금속폼의 주표면인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에 상기 고분자 성분이 표면층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은, 금속폼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표면만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복합재에서 금속폼은, 기공도(porosity)가 약 10% 내지 99%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이러한 기공도를 가지는 금속폼은, 적합한 열전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다공성의 금속 골격을 가지고, 따라서 해당 금속폼을 소량 적용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열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기공도는,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35% 이상, 40% 이상, 45% 이상 또는 50% 이상이거나, 98% 이하, 95% 이하, 93% 이하, 90% 이하, 88% 이하, 85% 이하, 83% 이하, 80% 이하, 78% 이하, 75% 이하, 73% 이하 또는 71%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폼은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필름의 두께는 후술하는 방식에 따라 복합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목적하는 열전도도나 두께 비율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두께는, 목적으로 하는 열전도도의 확보를 위해, 예를 들면, 약 10㎛ 이상, 약 20㎛ 이상, 약 30㎛ 이상, 약 40㎛ 이상, 약 45 ㎛ 이상, 약 50 ㎛ 이상, 약 55 ㎛ 이상, 약 60 ㎛ 이상, 약 65 ㎛ 이상 또는 약 70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의 두께의 상한은 목적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약 1,000 ㎛ 이하, 약 900 ㎛ 이하, 약 800 ㎛ 이하, 약 700 ㎛ 이하, 약 600 ㎛ 이하, 약 500 ㎛ 이하, 약 400 ㎛ 이하, 약 300 ㎛ 이하, 약 200 ㎛ 이하 또는 약 150 ㎛ 이하 정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두께는 해당 대상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대상의 최소 두께, 최대 두께 또는 평균 두께일 수 있다.
상기 금속폼은 열전도도가 높은 소재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금속폼은 열전도도가, 약 8 W/mK 이상, 약 10 W/mK 이상, 약 15 W/mK 이상, 약 20 W/mK 이상, 약 25 W/mK 이상, 약 30 W/mK 이상, 약 35 W/mK 이상, 약 40 W/mK 이상, 약 45 W/mK 이상, 약 50 W/mK 이상, 약 55 W/mK 이상, 약 60 W/mK 이상, 약 65 W/mK 이상, 약 70 W/mK 이상, 약 75 W/mK 이상, 약 80 W/mK 이상, 약 85 W/mK 이상 또는 약 90 W/mK 이상인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하거나, 그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전도도는, 그 수치가 높을수록 적은 양의 금속폼을 적용하면서 목적하는 열 제어 특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약 1,000 W/mK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금속폼의 골격은, 다양한 종류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금속이나 금속 합금 중에서 상기 언급된 범위의 열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재가 선택되면 된다. 이러한 소재로는, 구리, 금, 은, 알루미늄, 니켈, 철, 코발트, 마그네슘, 몰리브덴, 텅스텐 및 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이나 상기 중 2종 이상의 합금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금속폼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고, 금속폼을 제조하는 방법 역시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본 출원에서는 이러한 공지의 금속폼이나 상기 공지의 방식으로 제조한 금속폼이 적용될 수 있다.
금속폼을 제조하는 방식으로는, 염 등의 기공 형성제와 금속의 복합 재료를 소결하는 방식, 고분자 폼 등의 지지체에 금속을 코팅하고, 그 상태로 소결하는 방식이나 슬러리법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금속폼은 본 출원인의 선행 출원인 한국출원 제2017-0086014호, 제2017-0040971호, 제2017-0040972호, 제2016-0162154호, 제2016-0162153호 또는 제2016-0162152호 등에 개시된 방식에 따라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금속폼은 또한 상기 선행출원에 개시된 방식 중에서 유도 가열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금속폼은 전도성 자성 금속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폼은 상기 전도성 자성 금속을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또는 50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금속폼 내의 전도성 자성 금속의 비율은, 약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자성 금속의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약 100 중량% 미만 또는 9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복합재에 포함되는 고분자 성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복합재의 가공성이나 내충격성, 절연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적용될 수 있는 고분자 성분의 예로는, 공지의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미노 수지 및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합재의 경우, 전술한 금속폼의 적용을 통해서 주로 열전도도를 확보하는 성분의 비율을 최소화하면서도 우수한 열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가공성이나 내충격성 등의 손해 없이 목적하는 물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의 복합재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필름 형태의 금속폼의 표면 또는 내부에 그래핀 성분을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래핀 성분은, 화학기상증착법으로서,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지지체에 탄소 소스 및 열을 가함으로써 성장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지지체로 금속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 소스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메탄, 에탄, 에틸렌, 에탄올, 아세틸렌, 프로판, 부탄, 부타디엔, 펜탄, 펜텐, 사이클로펜타디엔, 헥산, 사이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소 소스를 기상으로 공급하면서 300℃ 내지 2000℃의 온도로 열처리한 후에 냉각시키면 상기 탄소 소스에 존재하는 탄소 성분들이 결합하여 그래핀 성분이 금속폼의 표면에 성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학기상증착법(CVD)의 종류로는 고온화학기상증착(RTCVD), 유도결합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ICP-CVD), 저압 화학기상증착(LPCVD), 상압화학기상증착(APCVD), 금속 유기화학기상증착(MOCVD) 또는 화학기상증착(PECVD)등이 있다.
본 출원의 제조 방법은 상기 그래핀 성분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금속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폼의 제조 방법은, 금속을 가지는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그린 구조체를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그린 구조체는, 상기 소결 등과 같이 금속폼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공정을 거치기 전의 구조체, 즉 금속폼이 생성되기 전의 구조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그린 구조체는, 다공성 그린 구조체라고 호칭되더라도 반드시 그 자체로 다공성일 필요는 없으며, 최종적으로 다공성의 금속 구조체인 금속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편의상 다공성 그린 구조체라고 호칭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그린 구조체는, 금속 성분, 분산제 및 바인더를 적어도 포함하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금속 성분은, 적정한 상대 투자율과 전도도를 가지는 금속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의 적용은, 본 출원의 하나의 예시에 따라서 상기 소결로서 후술하는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될 경우에 해당 방식에 따른 소결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금속 성분은, 앞서 기술한 전도성 자성 금속과 함께 상기 금속과는 다른 제 2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금속폼이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금속으로는 상기 언급한 전도성 자성 금속과 같은 범위의 상대 투자율 및/또는 전도도를 가지는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고, 그러한 범위 외의 상대 투자율 및/또는 전도도를 가지는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금속은 1종이 포함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금속의 종류는 적용되는 전도성 자성 금속과 다른 종류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구리, 인, 몰리브덴, 아연, 망간, 크롬, 인듐, 주석, 은, 백금, 금,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등에서 전도성 자성 금속과 다른 금속 1종 이상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린 구조체를 형성하는 금속 성분은 분말(powder)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 성분 내의 금속들은, 평균 입경이 약 0.1㎛ 내지 약 2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은 다른 예시에서 약 0.5㎛ 이상, 약 1㎛ 이상, 약 2㎛ 이상, 약 3㎛ 이상, 약 4㎛ 이상, 약 5㎛ 이상, 약 6㎛ 이상, 약 7㎛ 이상 또는 약 8㎛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은 다른 예시에서 약 150㎛ 이하, 100㎛ 이하, 90㎛ 이하, 80㎛ 이하, 70㎛ 이하, 60㎛ 이하,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또는 20㎛ 이하일 수 있다. 금속 성분 내의 금속으로는 서로 평균 입경이 상이한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은, 목적하는 금속폼의 형태, 예를 들면, 금속폼의 두께나 기공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그린 구조체는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성분과 함께 분산제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러리 내에서 금속 성분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점도나 공정 효율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슬러리 내에서의 금속 성분의 비율은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70 % 정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분산제로는, 예를 들면, 알코올이 적용될 수 있다.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펜탄올, 옥타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펜탄놀,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글리세롤, 텍사놀(texanol) 또는 테르피네올(terpineol)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20의 1가 알코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산디올, 옥탄디올 또는 펜탄디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20의 2가 알코올 또는 그 이상의 다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상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슬러리는 바인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슬러리의 제조 시에 적용된 금속 성분이나 분산제 등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인더로는, 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에틸 셀룰로오스 등의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셀룰로오스,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의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 단위를 가지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의 폴리비닐알코올계 바인더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슬러리 내에서 각 성분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비율은 슬러리를 사용한 공정 시에 코팅성이나 성형성 등의 공정 효율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러리 내에서 바인더는 전술한 금속 성분 100 중량부 대비 약 5 내지 50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10 중량부 이상, 약 20 중량부 이상, 약 30 중량부 이상, 약 40 중량부 이상, 약 50 중량부 이상, 약 60 중량부 이상, 약 70 중량부 이상, 약 80 중량부 이상, 약 90 중량부 이상, 약 100 중량부 이상, 약 110 중량부 이상, 약 120 중량부 이상, 약 130 중량부 이상, 약 140 중량부 이상, 약 150 중량부 이상, 약 200 중량부 이상 또는 약 25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약 450 중량부 이하, 약 400 중량부 이하 또는 약 3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슬러리 내에서 분산제는,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 대비 약 500 내지 2,00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200 중량부 이상, 약 300 중량부 이상, 약 400 중량부 이상, 약 500 중량부 이상, 약 550 중량부 이상, 약 600 중량부 이상 또는 약 65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약 1,800 중량부 이하, 약 1,600 중량부 이하, 약 1,400 중량부 이하, 약 1,200 중량부 이하 또는 약 1,00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위 중량부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슬러리는 필요하다면,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매로는 슬러리의 성분, 예를 들면, 상기 금속 성분이나 바인더 등의 용해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매로는, 유전 상수가 약 10 내지 12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전 상수는 다른 예시에서 약 20 이상, 약 30 이상, 약 40 이상, 약 50 이상, 약 60 이상 또는 약 70 이상이거나, 약 110 이하, 약 100 이하 또는 약 90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용매로는, 물이나 에탄올, 부탄올 또는 메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코올, DMSO(dimethyl sulfoxide), DMF(dimethyl formamide) 또는 NMP(N-methylpyrrolidinone)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매가 적용될 경우에 상기는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 대비 약 50 내지 400 중량부의 비율로 슬러리 내에 존재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슬러리는 상기 언급한 성분 외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공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슬러리를 사용하여 상기 그린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금속폼의 제조 분야에서는 그린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공지되어 있고, 본 출원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린 구조체는, 적정한 틀(template)에 상기 슬러리를 유지하거나, 혹은 슬러리를 적정한 방식으로 코팅하여 상기 그린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금속폼은, 다공성인 구조적 특징상 일반적으로 브리틀한 특성을 가지고, 따라서 필름 또는 시트 형태, 특히 얇은 두께의 필름 또는 시트 형태로 제작이 어렵고, 제작하게 되어도 쉽게 부스러지는 문제가 있다. 그렇지만, 본 출원의 방식에 의해서는, 얇은 두께이면서도, 내부에 균일하게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기공이 형성되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폼의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그린 구조체를 소결하여 금속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금속폼을 제조하기 위한 소결을 수행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소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적절한 방식으로 상기 그린 구조체에 적정한 양의 열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소결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열원의 온도는 100℃ 내지 1200℃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제조 방법은, 필름 형태인 금속폼의 표면 또는 내부에 경화성 고분자 조성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적용되는 금속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고, 제조되는 복합재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 역시 상기 기술한 내용에 따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적용되는 고분자 조성물 역시 경화 등을 통해 상기 언급한 고분자 성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이러한 고분자 성분은 업계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공지의 성분 중에서 적절한 점도를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식을 통해 경화를 진행하여 상기 복합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전자파 차폐 시트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한 문제는 다양하다.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는,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상기 전가 기기 자체 혹은 그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에 대한 신호 교란 내지 오작동 문제도 발생시킨다. 본 출원은 상기의 전자파 차폐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전자파 차폐능을 가지면서,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이 좋고, 산화 및 고온 안정성 등에서도 유리한 전자파 차폐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전자파 차폐 시트는 전술한 복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폐 필름은 금속폼이 가지는 특유의 표면적 및 기공 특성에 의해서 내부 기공에 입사한 전자파를 계면에서 반복적으로 반사 및 흡수하여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폼이 적용되어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고분자 성분과의 복합화에 의해서 산화 및 고온 안정성이나 장치에 포함되었을 때 발생하는 박리 문제 등도 해결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자파 차폐 시트는 필름 형태의 금속폼 및 상기 금속폼의 표면 또는 금속폼의 내부에 존재하는 그래핀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폼은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의 크기는 장축 기준으로 평균 1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그래핀 성분은 복합재 내에서 10-5 내지 10-1wt%의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성분의 무게비는 예를 들어, 10-5 초과, 10-1wt% 미만, 5 x 10-5 내지 5 x 10-2wt%, 10-4 내지 10-2wt%, 5 x 10-4 내지 5 x 10-3wt%, 8 x 10-4 내지 3 x 10-3wt%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전자파 차폐 시트는, 상기 기공 크기를 갖는 금속폼 상에 그래핀 성분을 형성함으로써, 이로써 반사에 의한 효과, 다중 반사 및 흡수 효과가 증가되어, 고주파 영역까지 높은 차폐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전자파 차폐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필름 형태의 금속폼의 표면 또는 내부에 그래핀 성분을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방열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내충격성이나 가공성이 우수한 복합재 및 상기 복합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속폼으로는 구리 금속폼으로서, 두께가 약 80 μm 정도이며, 기공의 평균 크기가 5μm이며, 기공도가 약 70 %인 필름 형상의 구리폼을 사용하였다. 상기 구리폼의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환원 가스(H2) 존재 하에 1000 ℃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후, CH4 가스를 주입하여 100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그래핀을 증착시켰다. 라만 분석을 통해 그래핀의 증착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그래핀이 증착된 구리폼을 열경화성 수지(다우코닝사, PDMS, Sylgard 527kit)용액으로 침지시킨 후,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100㎛ 두께로 밀어내어 과량의 레진을 제거하여 준다. 이 후, 섭씨 120℃의 오븐에서 2시간 동안 경화하여 100㎛ 두께의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구리폼의 두께를 100 μm로 하고, 최종 복합재의 두께가 약 120μm 정도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구리폼의 두께를 120 μm로 하고, 최종 복합재의 두께가 약 140μm 정도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금속폼의 기공도를 약 60% 정도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금속폼의 기공도를 약 50% 정도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금속 필러로서 구리 필러를 PDMS 수지와 혼합한 후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두께가 약 120μm 정도인 필름 형태로 성형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필름 형태의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금속 필러로서 그라파이트 필러를 PDMS 수지와 혼합한 후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두께가 약 120μm 정도인 필름 형태로 성형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필름 형태의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금속 필러로서 CNT 필러를 PDMS 수지와 혼합한 후에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두께가 약 120μm 정도인 필름 형태로 성형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필름 형태의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폴리우레탄 폼에 구리를 도금한 후, 고온으로 소성하여 폴리우레탄을 제거함으로써, 구리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구리폼은 기공의 평균 크기가 450μm이고, 기공도는 95% 이상이였으며, 두께는 1.6mm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필름 형태의 구리폼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핀을 증착시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그래핀을 증착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그래핀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열전도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재의 열전도도는, 복합재의 열확산도(A), 비열(B) 및 밀도(C)를 구하여 열전도도=ABC의 수식으로 구하였고, 상기 열확산도(A)는, 레이저 플래쉬법(LFA 장비, 모델명: LFA467)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비열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장비를 통해 측정하였고, 밀도는 아르키메데스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열전도도는 복합재의 두께 방향(Z축)에 대한 값이다.
열전도도(W/mK) 비 고
실시예 1 5.11 -
실시예 2 5.16 -
실시예 3 5.01 -
실시예 4 5.55 -
실시예 5 5.87 -
비교예 1 0.37 -
비교예 2 0.34 -
비교예 3 0.47 -
비교예 4 1.77 -
비교예 5 1.71
비교예 6 3.41 -

Claims (13)

  1. 필름 형태의 금속폼 및 상기 금속폼의 표면 또는 금속폼의 내부에 존재하는 그래핀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폼은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의 크기는 장축 기준으로 평균 1 내지 9 ㎛ 이며,
    상기 금속폼은 기공도(porosity)가 4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상기 금속폼은 10 ㎛ 내지 500 ㎛의 두께 범위를 갖는 복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그래핀 성분은 복합재 내에서 10-5 내지 10-1wt%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복합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폼은 열전도도가 8 W/mK 이상인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하는 복합재.
  5.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폼은,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인, 몰리브덴, 아연, 망간, 크롬, 인듐, 주석, 은, 백금, 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하는 골격을 가지는 복합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폼 또는 그래핀의 표면에 존재하는 고분자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복합재.
  8. 제 7 항에 있어서, 고분자 성분은 금속폼 또는 그래핀의 표면에서 표면층을 형성하고 있는 복합재.
  9. 제 7 항에 있어서, 고분자 성분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미노 수지 및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그래핀 성분은 금속폼의 표면 또는 금속폼의 내부에서 그래핀층을 형성하는 복합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그래핀층은 10nm 이하의 두께 범위를 가지는 복합재.
  12. 제 1 항에 있어서, 복합재는 열전도도가 3.5 W/mK 이상인 복합재.
  13. 필름 형태의 금속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폼의 표면 또는 내부에 그래핀 성분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복합재의 제조 방법.
KR1020190120894A 2018-09-28 2019-09-30 복합재 KR102449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15969 2018-09-28
KR20180115966 2018-09-28
KR1020180115966 2018-09-28
KR1020180115969 2018-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799A KR20200036799A (ko) 2020-04-07
KR102449063B1 true KR102449063B1 (ko) 2022-09-29

Family

ID=6995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894A KR102449063B1 (ko) 2018-09-28 2019-09-30 복합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89676A1 (ko)
EP (1) EP3796766B1 (ko)
JP (1) JP7250398B2 (ko)
KR (1) KR102449063B1 (ko)
CN (1) CN112385326B (ko)
WO (1) WO2020067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5862B (zh) * 2020-06-28 2023-01-24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导电导热胶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467418B (zh) * 2020-10-19 2021-06-22 南京盟瑞自动化有限公司 一种具有防雷功能的射频连接器
CN117117516B (zh) * 2023-06-02 2024-02-20 太仓碧奇新材料研发有限公司 一种有机/无机杂化型亚太赫兹吸波薄膜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59B1 (ko) * 2012-03-19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파차폐용 복합재
CN104789934A (zh) * 2015-04-01 2015-07-22 上海理工大学 一种改进的纳米多孔铜薄膜及其制备方法
US20170216923A1 (en) * 2014-08-01 2017-08-03 Oxford University Innovation Limited Porous materials comprising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CN108149046A (zh) * 2017-12-01 2018-06-12 中车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强、高导石墨烯/铜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09B1 (ko) * 2007-12-28 2010-09-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건식 공정을 이용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다공성 금속전극의 제조방법
US9079136B2 (en) * 2009-05-21 2015-07-14 Battelle Memorial Institute Thin, porous metal sheet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044163B1 (ko) * 2010-07-19 2011-06-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건식 공정을 이용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다공성 금속 전극의 제조방법
US9358613B2 (en) * 2013-04-08 2016-06-07 Baker Hughes Incorporated Hydrophobic porous hard coating with lubricant, method for making and use of same
KR102322818B1 (ko) 2014-11-19 2021-11-08 우베 고산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압출 프레스의 빌렛 반송 장치
KR101901484B1 (ko) * 2015-06-30 2018-09-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폴리머 복합 전자파 차폐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7028280A (ja) * 2015-07-20 2017-02-02 アールエヌユ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高性能電磁波シールド及び高放熱複合機能シート
ES2746161T3 (es) 2015-09-07 2020-03-04 Hak Sik Joo Lámina compleja para la absorción/extinción y el blindaje contra las ondas electromagnéticas, y para la elevada disipación de calor de un dispositivo electrónic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KR101749460B1 (ko) * 2015-09-07 2017-06-21 주학식 전자파 흡수소멸 및 차폐용 융합시트
KR20170040972A (ko) 2015-10-06 2017-04-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단말 장치
KR20170040971A (ko) 2015-10-06 2017-04-14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 모듈 및 레이더 모듈의 제어 방법
US9945027B2 (en) 2015-11-20 2018-04-17 Fourté International, Sdn. Bhd. High conductivity graphene-metal composite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758936B2 (en) * 2015-12-08 2020-09-01 The Boeing Company Carbon nanomaterial composite shee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8394148B (zh) 2018-01-03 2020-12-08 山东鲁泰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电磁屏蔽复合材料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59B1 (ko) * 2012-03-19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파차폐용 복합재
US20170216923A1 (en) * 2014-08-01 2017-08-03 Oxford University Innovation Limited Porous materials comprising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CN104789934A (zh) * 2015-04-01 2015-07-22 上海理工大学 一种改进的纳米多孔铜薄膜及其制备方法
CN108149046A (zh) * 2017-12-01 2018-06-12 中车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强、高导石墨烯/铜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6766A1 (en) 2021-03-24
CN112385326A (zh) 2021-02-19
KR20200036799A (ko) 2020-04-07
JP2021533264A (ja) 2021-12-02
EP3796766A4 (en) 2021-07-21
US20210289676A1 (en) 2021-09-16
WO2020067837A1 (ko) 2020-04-02
CN112385326B (zh) 2023-06-09
EP3796766B1 (en) 2024-03-13
JP7250398B2 (ja)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063B1 (ko) 복합재
US1178000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foam
CN110573820B (zh) 热管的制备方法
KR102113483B1 (ko) 금속폼의 제조 방법
US11612933B2 (en) Preparation method for metal foam
KR102342782B1 (ko) 복합재
KR102230952B1 (ko) 전자파 차폐 필름
KR102466769B1 (ko) 전자파 차폐 시트
KR20200002454A (ko) 복합재
US1195154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alloy foam
JP7118496B2 (ja) 複合材
JP2023540099A (ja) 緩衝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