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019B1 -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 Google Patents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019B1
KR102449019B1 KR1020200052733A KR20200052733A KR102449019B1 KR 102449019 B1 KR102449019 B1 KR 102449019B1 KR 1020200052733 A KR1020200052733 A KR 1020200052733A KR 20200052733 A KR20200052733 A KR 20200052733A KR 102449019 B1 KR102449019 B1 KR 10244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lattice
cross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741A (ko
Inventor
박상현
임영주
양정현
차맹규
유영기
안상경
이은석
육근호
유병옥
강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
삼성물산(주)
(주)원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 삼성물산(주), (주)원방테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
Priority to KR102020005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0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가적인 보강이 용이하고 하중 처짐이나 시공 오차로 인한 수평 조정이 가능하며, 단차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은, 기준천장틀과, 상기 기준천장틀 일부분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변천장틀로 이루어진 자동화 크린룸의 시스템 천장에 있어서, 가변천장틀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제1 단위격자공간을 갖고 기준천장틀의 제2 행거바에 연결 지지되는 상부격자프레임과; 상부격자프레임의 제1 단위격자공간과 동일한 배열과 면적을 갖는 제2 단위격자공간을 갖고 상부격자프레임의 하방으로 가변될 수 있는 단차를 갖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격자프레임과; 자동화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열되고, 동시에 상호 X자 형태로 한 쌍씩 어긋나게 교차되어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크로스 경사보강대와; 크로스 경사보강대를 회피하여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에 연결되어 시스템 천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길이조절되는 수직레벨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Prefabricated system ceiling for clean room with reinforcement easy and horizontal adjusting and variable height structure}
본 발명은 물류 자동화시스템에 적용되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가적인 보강이 용이하고 하중 처짐이나 시공 오차로 인한 수평 조정이 가능하며, 단차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에 관한 것이다.
고청정도가 요구되는 크린룸은 리크(Leak)의 신뢰성 확보, 필터 유효면적의 극대화, 개보수의 용이성 등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각 요소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성시킨 시스템 천장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크린룸에서는 다양한 생산공정 및 물류이동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다수의 설비가 배치되고, 물류 운반의 자동화를 위한 물류 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된다.
물류 자동화 시스템에 해당하는 반도체 생산라인 중 일부 공정의 기술적 수단의 선택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는 물류 자동화 시스템이 보다 낮은 높이의 공간에 설치될 필요가 있게 되며, 이 경우 부득이하게 크린룸 내의 시스템 천장에 단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 단차를 극복하기 위해 가변천장틀이 설치된다. 가변천장틀은 OHT(Overhead Hoist Transport) 기기가 이동하거나 멈추게 되면 관성에 의한 충격하중에 견뎌야하는 구조적 안정성이 필요하고, 단차의 변경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915982호로서,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단차가 형성되어야 하는 시스템 천장의 단차를 극복하고, OHT 기기를 운행하더라도 진동이 발생하거나 천장구조에 변형이 발생할 여지가 없으며, 지진 등의 외부 충격에 대하여도 구조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추가적인 보강 구조를 가질 수 없고, 단차 구조가 외부로 돌출되어 인접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사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없어 단차의 높낮이 조절이 어렵고, 수직재와 사재의 다량 설치로 가변천장틀 구조물의 중량 및 설치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가변천장틀의 처짐이나 시공 오차의 발생시 수평 레벨을 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915982호
본 발명은 추가적인 보강이 용이하고 하중 처짐이나 시공 오차로 인한 수평 조정이 가능하며, 단차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은, 기준천장틀과, 상기 기준천장틀 일부분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변천장틀로 이루어진 자동화 크린룸의 시스템 천장에 있어서, 가변천장틀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제1 단위격자공간을 갖고 기준천장틀의 제2 행거바에 연결 지지되는 상부격자프레임과; 상부격자프레임의 제1 단위격자공간과 동일한 배열과 면적을 갖는 제2 단위격자공간을 갖고 상부격자프레임의 하방으로 가변될 수 있는 단차를 갖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격자프레임과; 자동화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열되고, 동시에 상호 X자 형태로 한 쌍씩 어긋나게 교차되어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크로스 경사보강대와; 크로스 경사보강대를 회피하여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에 연결되어 시스템 천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길이조절되는 수직레벨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격자프레임은 그의 하단 중앙에 너트플레이트가 회전 삽입되도록 형성된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 그의 하단 양측으로 일정 폭을 가지고 돌출된 마감판 지지턱, 그의 상단에 행거바에 연결되기 위한 행거바 걸이홈을 갖는 상부격자용 프로파일과;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부격자용 프로파일들이 상호 직교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인트 브라켓;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크로스 경사보강대는 그의 상단부가 상부격자용 프로파일측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에 볼트를 매개로 체결된 L자형 힌지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고, 그의 하단부가 하부격자프레임측 하부격자용 프로파일의 측면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에 삽입된 너트플레이트에 체결된 볼트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격자프레임은 그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상부 너트플레이트 홈, 그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하부 너트플레이트 홈, 그의 양측면에 대칭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 너트플레이트 홈을 갖고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치된 하부격자용 프로파일과;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치된 하부격자용 프로파일들이 T자 또는 열십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하부격자용 프로파일들을 상호 결속시키는 하부격자용 프로파일 조인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레벨바는 그의 상단이 상부격자프레임측 상부격자용 프로파일에 너트플레이트와 볼트의 체결로 설치된 상부 수직레벨바 브라켓에 나사 체결되고, 동시에 그의 하단이 하부격자프레임측 하부격자용 프로파일에 너트플레이트와 볼트의 체결로 설치된 하부 수직레벨바 브라켓에 나사 체결되며, 수직레벨바는 가변천장틀의 높이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턴버클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화 진행방향으로 한 쌍씩 어긋나게 교차되어 X자 형태를 이루어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순방향 크로스 경사보강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에 따르면, 크로스 경사보강대의 경사 각도 조절로 단차 변동에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크로스 경사보강대가 단차 구조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설치되어져 단차 구조 측면에서의 간섭 영향이 없어지고, 크로스 경사보강대는 X자 형태의 트러스 구조를 이루어 설치 개수를 줄이면서 단차 구조를 보강하므로 경제성을 갖는다.
또한, 수직레벨바의 길이 조절과 함께 크로스 경사보강대의 하부 설치지점을 변경시킴으로써 단차 구조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가변천장틀의 고정하중에 의한 처짐 및 시공 오차로 인하여 수평 상태가 불량할 경우 수직레벨바의 길이 조절로 수평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크로스 경사보강대를 하부격자용 프로파일의 양측면에 모두 설치할 수 있어 추가 보강이 쉽고, 크로스 경사보강대가 하부격자용 프로파일에 힌지 연결되어 경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횡력에 대한 대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크로스 경사보강대가 설치된 영역에 수직레벨바가 간섭없이 세워질 뿐만 아니라 수직레벨바에 장력을 도입하면 보강 기능을 겸하게 되어 보강 사각 구간이 없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을 자동화 진행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변천장틀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변천장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C'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천장틀에 적용된 상부격자프레임측 상부격자용 프로파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격자프레임측의 하부격자용 프로파일 조인트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경사보강대 하단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경사보강대 상단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일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경사보강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수직레벨바 브라켓의 사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은 도 1과 같이 기준천장틀(20)과, 상기 기준천장틀(20) 일부분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변천장틀(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가변천장틀(30)은 상부격자프레임(32), 하부격자프레임(34), 크로스 경사보강대(36) 및 수직레벨바(38)를 포함하여 높낮이 조절 및 수평 조절할 수 있는 단차구조를 갖는다.
상부격자프레임(32)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제1 단위격자공간(A)을 갖고 기준천장틀(20)의 제2 행거바(23)에 연결 지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종방향이란 자동화 진행 방향을 의미하고, 횡방향이란 자동화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을 의미한다. 제2 행거바(23)는 슬래브(10)에 설치된 제1 행거바(21)에 연결된 사각파이프(22)에 연결지지된다.
상부격자프레임(32)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과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들이 상호 직교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인트 브라켓(324)으로 구성된다.
도 6과 같이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은 그의 하단 중앙에 너트플레이트(40)가 회전 삽입되도록 형성된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22a), 그의 하단 양측으로 일정 폭을 가지고 돌출된 마감판 지지턱(322b), 그의 상단에 제2 행거바(23)에 연결되기 위한 행거바 걸이홈(322c)을 갖는다.
여기서, 너트플레이트(40)는 도 7과 같이 단면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몸체를 가지고 그 길이방향의 단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나사홀(401),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22a)에 걸침되기 위해 단면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 한 쌍의 걸림턱(402)을 구비하고 있다. 너트플레이트(40)는 도 6과 같이 폭 방향으로 세워서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22a)으로 집어넣은 후 일방으로 회전시켜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22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같이 너트플레이트(40)는 몸체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타 부품과 연결되어 하중을 받는 경우 그 하중을 한 쌍의 걸림턱(402)을 통해 분산시켜 집중 하중을 방지한다. 또한 너트플레이트(40)는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2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너트플레이트(40)와 연결 설치되는 크로스 경사보강대(36) 및 수직레벨바(38)의 설치 중 또는 설치 후 위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하부격자프레임(34)은 상부격자프레임(32)의 제1 단위격자공간(A)과 동일한 배열과 면적을 갖는 제2 단위격자공간(B)을 갖고 상부격자프레임(32)의 하방으로 가변되는 단차(h)를 갖고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단차(h)는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경사 각도 조절로 높낮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과 같이 하부격자프레임(34)은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2)과,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치된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들이 T자 또는 열십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들을 상호 결속시키는 하부격자용 프로파일 조인트(344)와, 제1 단위격자공간(A)마다 모서리에 위치하여 측면 너트플레이트 홈(342c)을 이용하여 볼트 결합되어 있는 측면보강 조인트(346)로 구성된다.
도 8과 같이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2)은 그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상부 너트플레이트 홈(342a), 그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하부 너트플레이트 홈(342b), 그의 양측면에 대칭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 너트플레이트 홈(342c)을 갖는다.
이같이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은 양측면에 측면 너트플레이트 인서트 홈(342c)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크로스 경사보강대(36)를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의 양측면에 모두 설치할 수 있어 추가 보강이 쉽다.
크로스 경사보강대(36)는 자동화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열되고, 동시에 상호 동일한 엇각을 가지고 X자 형태로 한 쌍씩 어긋나게 교차되어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32)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34)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크로스 경사보강대(36)는 도 9와 같이 그의 상단부가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측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22a)에 힌지브라켓 고정볼트(35)를 매개로 체결된 L자형 힌지 브라켓(37)에 힌지 연결되고, 그의 하단부가 도 8과 같이 하부격자프레임(34)측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2)의 측면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42c)에 삽입된 너트플레이트(40)에 체결된 크로스 경사보강대 고정볼트(39)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 경사보강대(36)는 힌지 브라켓(37) 또는 너트플레이트(40)의 이동후 고정으로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설치 각도(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단차(h)가 조정되어 단차 극복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즉,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하면 단차(h)가 낮아지고, 그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면 단차(h)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크로스 경사보강대(36)가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측에 크로스 경사보강대 고정볼트(39)로 힌지 연결되어 경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횡력에 대한 대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경사각도를 쉽게 증가시켜 횡력에 대한 대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수직레벨바(38)는 크로스 경사보강대(36)를 회피하여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32)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34)에 연결되어 시스템 천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직레벨바(38)는 도 1과 같이 그의 상단이 상부격자프레임(32)측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에 너트플레이트(40)와 볼트의 체결로 설치된 상부 수직레벨바 브라켓(42)에 나사 체결되고, 동시에 그의 하단이 하부격자프레임(34)측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2)에 너트플레이트(40)와 볼트의 체결로 설치된 하부 수직레벨바 브라켓(44)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상,하부 수직레벨바 브라켓(42,44)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도 11과 같이 수직레벨바 체결용 나사홀(42a)을 갖는다. 따라서 수직레벨바(38)는 너트플레이트(40)의 이동에 따른 상,하부 수직레벨바 브라켓(42,44)의 위치 이동으로 설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수직레벨바(38)는 가변천장틀(30)의 높이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도 1과 같이 턴버클(382)에 나사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변천장틀(30)의 고정하중에 의한 처짐 및 시공 오차로 인하여 수평 상태가 불량할 경우 턴버클(382)을 조작하여 수직레벨바(38)의 길이 조절로 수평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가변천장틀(30)에는 자동화 진행방향으로 한 쌍씩 어긋나게 교차되어 X자 형태를 이루어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32)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34)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순방향 크로스 경사보강대(36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변천장틀(30)은 크로스 경사보강대(36)가 X자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단차(h)가 조정되어 단차 극복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즉,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하면 단차(h)가 낮아지고, 그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하면 단차(h)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크로스 경사보강대(36)가 단차 구조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설치되어져 단차 구조 측면에서의 간섭 영향이 없으며, 크로스 경사보강대(36)는 X자 형태의 트러스 구조를 이루어 설치 개수를 줄이면서 단차 구조를 보강하므로 경제성을 갖는다.
또한, 수직레벨바(38)의 길이 조절과 함께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하부 설치지점을 변경시킴으로써 단차 구조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가변천장틀(30)의 고정하중에 의한 처짐 및 시공 오차로 인하여 수평 상태가 불량할 경우 수직레벨바(38)의 길이 조절로 수평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은 양측면에 측면 너트플레이트 인서트 홈(342c)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크로스 경사보강대(36)를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의 양측면에 모두 설치할 수 있어 추가 보강이 쉽다.
또한, 크로스 경사보강대(36)가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에 힌지 연결되어 경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횡력에 대한 대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경사각도를 쉽게 증가시켜 횡력에 대한 대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크로스 경사보강대(36)가 설치된 영역에 수직레벨바(38)가 간섭없이 세워질 뿐만 아니라 수직레벨바(38)가 보강 기능을 겸하게 되어 보강 사각 구간이 없다.
또한, 너트 플레이트(40)가 체결 요소로 사용되어져 연결지점의 이동이 쉽고 연결부분의 하중을 분산시켜 가변천장틀(30)의 사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 기준천장틀
30: 가변천장틀
32: 상부격자프레임
34: 하부격자프레임
36: 크로스 경사보강대
38: 수직레벨바

Claims (6)

  1. 기준천장틀(20)과, 상기 기준천장틀(20) 일부분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변천장틀(30)로 이루어진 자동화 크린룸의 시스템 천장에 있어서,
    가변천장틀(30)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제1 단위격자공간(A)을 갖고 기준천장틀(20)의 제2 행거바(23)에 연결 지지되는 상부격자프레임(32)과;
    상기 상부격자프레임(32)의 제1 단위격자공간(A)과 동일한 배열과 면적을 갖는 제2 단위격자공간(B)을 갖고 상부격자프레임(32)의 하방으로 가변될 수 있는 단차(h)를 갖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격자프레임(34)과;
    자동화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열되고, 동시에 상호 X자 형태로 한 쌍씩 어긋나게 교차되어 일단이 상기 상부격자프레임(32)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격자프레임(34)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크로스 경사보강대(36)와;
    상기 크로스 경사보강대(36)를 회피하여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32)에 상부 수직레벨바 브라켓(42)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34)에 하부 수직레벨바 브라켓(44)을 매개로 연결되어 시스템 천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턴버클(382)에 의해 길이조절되는 수직레벨바(38)와;
    상기 상부격자프레임(32)의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 하단에 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된 힌지브라켓 고정볼트(35)와;
    상기 힌지브라켓 고정볼트(35)에 연결되어 상기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상단을 힌지 결합시키는 L자형 힌지브라켓(37)과;
    상기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경사 조절을 위해 하부격자프레임(34)의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2) 일측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너트플레이트(40)와;
    상기 너트플레이트(40)에 체결되어 상기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하단을 힌지로 지지하는 크로스 경사보강대 고정볼트(39);를 포함하여,
    상기 크로스 경사보강대(36)와 수직레벨바(38)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가변천장틀(30)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설치되며, 가변천장틀(30)의 단차(h) 및 수평 조절시 힌지브라켓 고정볼트(35)와 크로스 경사보강대 고정볼트(39)를 풀고, 턴버클(382)을 조작하여 수직레벨바(38)의 길이 조절과 동시에 힌지브라켓(37)과 너트플레이트(40)의 이동을 유도시켜서 크로스 경사보강대(36)의 경사각도 조절을 통한 단차(h)의 증감과 하부격자프레임(34)의 수평 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격자프레임(32)은
    그의 하단 중앙에 너트플레이트(40)가 회전 삽입되도록 형성된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22a), 그의 하단 양측으로 일정 폭을 가지고 돌출된 마감판 지지턱(322b), 그의 상단에 행거바(201)에 연결되기 위한 행거바 걸이홈(322c)을 갖는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과;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들이 상호 직교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인트 브라켓(32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3. 제 1항에 있어서,
    크로스 경사보강대(36)는 그의 상단부가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측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22a)에 힌지브라켓 고정볼트(35)를 매개로 체결된 L자형 힌지 브라켓(37)에 힌지 연결되고, 그의 하단부가 하부격자프레임(34)측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2)의 측면 너트플레이트 인서트홈(342c)에 삽입된 너트플레이트(40)에 체결된 크로스 경사보강대 고정볼트(39)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4. 제 1항에 있어서,
    하부격자프레임(34)은
    그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상부 너트플레이트 홈(342a), 그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하부 너트플레이트 홈(342b), 그의 양측면에 대칭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 너트플레이트 홈(342c)을 갖고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치된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2)과;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배치된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들이 T자 또는 열십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들을 상호 결속시키는 하부격자용 프로파일 조인트(34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5. 제 1항에 있어서,
    수직레벨바(38)는 그의 상단이 상부격자프레임(32)측 상부격자용 프로파일(322)에 너트플레이트(40)와 볼트의 체결로 설치된 상부 수직레벨바 브라켓(42)에 나사 체결되고, 동시에 그의 하단이 하부격자프레임(34)측 하부격자용 프로파일(342)에 너트플레이트(40)와 볼트의 체결로 설치된 하부 수직레벨바 브라켓(44)에 나사 체결되며, 수직레벨바(38)는 가변천장틀(30)의 높이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분할되어 턴버클(382)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6. 제 1항에 있어서,
    자동화 진행방향으로 한 쌍씩 어긋나게 교차되어 X자 형태를 이루어 일단이 상부격자프레임(32)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격자프레임(34)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순방향 크로스 경사보강대(36a)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KR1020200052733A 2020-04-29 2020-04-29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KR10244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33A KR102449019B1 (ko) 2020-04-29 2020-04-29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33A KR102449019B1 (ko) 2020-04-29 2020-04-29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741A KR20210133741A (ko) 2021-11-08
KR102449019B1 true KR102449019B1 (ko) 2022-09-29

Family

ID=7849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733A KR102449019B1 (ko) 2020-04-29 2020-04-29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7996B (zh) * 2021-12-15 2024-01-16 上海江河幕墙系统工程有限公司 碎拼格构式空间异型氧化铝板吊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522Y2 (ja) * 1991-04-25 1997-06-18 株式会社日本アルミ クリーンルーム用天井フレーム
JP2015215012A (ja) *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吊りボルト用振れ止め金具
KR101915982B1 (ko) * 2018-07-25 2018-11-07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7251B2 (ja) * 1991-04-19 1998-08-13 株式会社大氣社 天井チャンバの組立構造および天井パネル取付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522Y2 (ja) * 1991-04-25 1997-06-18 株式会社日本アルミ クリーンルーム用天井フレーム
JP2015215012A (ja) *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吊りボルト用振れ止め金具
KR101915982B1 (ko) * 2018-07-25 2018-11-07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741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790B2 (ja)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2449019B1 (ko)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JP7085382B2 (ja) 乾式床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4392462B1 (ja) 梁型枠ユニット、梁型枠ユニット用横締付け枠および場所打ち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施工方法
RU2558868C2 (ru) Сборн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перекрытия с балками
US20160319556A1 (en) Door Lintel Lift Apparatus and Method
KR101870087B1 (ko)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JP6582154B1 (ja) 中間支保工
KR200268195Y1 (ko) 크린룸의 바닥 판넬 지지를 위한 프레임용 클램핑 유니트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2387045B1 (ko) 2단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JP2002167901A (ja) トラス梁とその構築方法
KR100395712B1 (ko) 클린룸용 바닥패널의 보강 지지구조
JP4585672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屋根構造
JP6893151B2 (ja) 門型架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042274Y2 (ko)
JP3195110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梁補強部材および梁補強方法
JP6453116B2 (ja) 建物の床構造および建物の施工方法
JP7380042B2 (ja) 建物の柱梁接合方法
JP7303712B2 (ja) ユニット建物
KR102644387B1 (ko) 블록 모듈 및 블록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JP7373115B2 (ja) 柱梁接合構造及び建物
JP7348771B2 (ja) ユニット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