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984B1 - 조종성능향상장치 - Google Patents
조종성능향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8984B1 KR102448984B1 KR1020180124702A KR20180124702A KR102448984B1 KR 102448984 B1 KR102448984 B1 KR 102448984B1 KR 1020180124702 A KR1020180124702 A KR 1020180124702A KR 20180124702 A KR20180124702 A KR 20180124702A KR 102448984 B1 KR102448984 B1 KR 102448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skeg
- skeg member
- driving unit
- prope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Toys (AREA)
Abstract
조종성능향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는 프로펠러 전방에서 선체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가 결합되는 회전샤프트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스케그부재; 및 상기 스케그부재를 상기 선체에 대해 출몰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종성능향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미에 설치된 추진장치인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해상에서 추력을 얻어 진행한다. 이 경우, 프로펠러는 선박 주위의 물을 후방으로 가속시켜 선박에 추력을 가함으로써 선박을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선박의 선미에는 프로펠러가 설치되고, 프로펠러 후방에는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러더가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러더는 선체에 대해 회전, 즉 타각을 조정하여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박은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한 후류 등에 의해 직진 안정성 또는 조종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펠러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추력을 발생시키고, 선박은 그와 같은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직진하면서도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진행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직진 안정성 또는 조정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종성능향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로펠러 전방에서 선체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가 결합되는 회전샤프트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스케그부재; 및 상기 스케그부재를 상기 선체에 대해 출몰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조종성능향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스케그부재는 후방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면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선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스케그부재는 측면에서 볼 때 전단부가 상기 회전샤프트보다 상측에서 형성되는 상기 선체의 선미부 프로파일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케그부재는 전단부가 파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스케그부재는 측면에서 볼 때 후단부가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중심선에 수직하며 상기 선체의 스턴보스부 후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면 상에 또는 상기 가상의 연장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케그부재는 횡단면이 원호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케그부재는 한 쌍으로 제공되고, 한 쌍의 스케그부재는 상기 선체의 우현측 및 좌현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스케그부재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조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타신호가 정상직진신호인 경우,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조타신호가 정상선회신호인 경우,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선체가 상기 선체의 우현측 또는 좌현측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선회하는 중 상기 조타신호가 비상선회신호인 경우, 상기 선체의 선회방향이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선체의 선회방향이 상기 타방향으로 변경된 후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타신호가 상기 비상선회신호인 경우, 각가속도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선체의 각가속도값을 기초로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종성능향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그부재가 조타신호에 따라 선체에 대해 출몰함으로써 선체의 조종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가 설치된 선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케그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케그부재가 선체 내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케그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스케그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케그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케그부재가 선체 내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케그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스케그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가 설치된 선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케그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스케그부재가 선체 내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스케그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4에서 +X축방향은 선체(10)의 선수방향을 나타내고, 도 2 및 도 4에서는 러더(도 1 및 도 3의 5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선체(10) 및 조종성능향상장치(100)를 포함한다.
선체(10)에는 도 1과 같이 프로펠러(30)가 설치된다. 프로펠러(30)는 선체(10)의 선미부 일부를 구성하는 스턴보스부(11)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펠러(30)는 회전샤프트(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샤프트(30)는 회전중심선(C)이 선체(10)의 길이방향 중심선(미도시)에 나란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회전샤프트(30)는 후단부가 스턴보스부(11)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고, 프로펠러(30)는 스턴보스부(11) 후방으로 노출된 회전샤프트(30)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30)는 전단부가 선체(10) 내부에서 엔진과 같은 구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프로펠러(30)는 회전하는 회전샤프트(30)를 따라 회전하고, 선체(10)에 대해 추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펠러(30)의 후방에는 도 1과 같이 러더(50)가 배치된다. 러더(50)는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러더(50)는 선체(10)에 마련되는 조타실(미도시) 등에서 발생되는 조타신호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더(50)는 조타신호에 따라 선체(10)의 길이방향 중심선(미도시)에 대해 선체(10)의 우현측 또는 좌현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선체(10)는 러더(50)의 회전에 따라 진행방향이 조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체(10)는 조타신호에 따라 선회방향이 조종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선체(10)에는 조종성능향상장치(10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100)는 스케그부재(11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스케그부재(110)는 프로펠러(30)의 전방에서 선체(10)의 측부에 배치된다.
일례로, 스케그부재(110)는 도 2와 같이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우현측 및 좌현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케그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체의 우현측 또는 좌현측에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스케그부재(110)는 회전샤프트(30)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하도록 선체(10)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높이방향(예컨대, 도 1에서 볼 때 Z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체(10) 외부로 돌출되거나 선체(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스케그부재(110)는 도 1과 같이 선체(10)의 선미부에서 회전샤프트(30)에 대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측면에서 볼 때 회전샤프트(3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선체(10)의 선미부에는 스케그부재(110)가 삽입 가능한 수납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홈(15)은 회전샤프트(3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수납홈(15)은 하측을 향해 개방될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수납홈(15)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수납홈(15)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수납홈(15)은 한 쌍의 스케그부재(11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선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에 대해 출몰하며 선체(10)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에 대해 출몰하며 선체(10)의 직진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스케그부재(1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선체(10) 외부, 즉 수납홈(15)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도 1과 같이 측면에서 볼 때 하단부가 회전샤프트(30)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스케그부재(110)는 도 1과 같이 프로펠러(30) 및 프로펠러(3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선체(10)의 선미부 프로파일 사이에 위치하여 선체(10)의 선미부 측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는 돌출된 스케그부재(110)에 의해 직진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스케그부재(1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선체(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도 3과 같이 측면에서 볼 때 하단부가 회전샤프트(3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스케그부재(110)는 도 3과 같이 선체(10) 내부, 즉 수납홈(15) 내부에 위치하여 선체(10)의 선미부 측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는 스케그부재(110)에 의한 저항이 감소되고, 선회할 때 선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스케그부재(110)는 도 1과 같이 상하방향, 즉 선체(1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선체(10)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110)는 도 2와 같이 후방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프로펠러(30)의 회전면(R)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하단부가 프로펠러(30) 회전면(R)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프로펠러(30)의 전방에서 터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선체(10)의 측면을 따라 프로펠러(30)를 향하는 유동을 정류할 수 있다. 따라서, 스케그부재(110)는 프로펠러(30)의 추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케그부재(110)는 도 1과 같이 전후방향, 즉,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선체(10)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110)는 도 1과 같이 전단부가 회전샤프트(30)의 상측에서 형성되는 선체(10)의 선미부 프로파일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측면을 따라 프로펠러(30)를 향하는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류할 수 있다.
스케그부재(110)는 전단부가의 전단부는 도 1과 같이 파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프로펠러(30)를 향하는 유동이 스케그부재(110)로 유입되는 과정에 발생하는 와류를 감소시킴으로써, 프로펠러(30)를 향하는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류할 수 있다.
선체(10)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110)는 후단부가 프로펠러(3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선체(10)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110)는 측면에서 볼 때 후단부가 회전샤프트(30)의 회전중심선(C)에 수직하며 스턴보스부(11) 후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면(E)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측면적을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고, 선체(10)는 직진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선체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상의 연장면(도 1의 E)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케그부재(11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스케그부재(110)는 도 2와 같이 횡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중심부를 향해 오목한 곡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수납홈(15)은 곡판 평태의 스케그부재(11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케그부재(110')는 도 6과 같이 횡단면이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평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수납홈(15')은 평판 형태의 스케그부재(11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2의 스케그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동부(130)는 도 5와 같이 스케그부재(110)를 선체(10)에 대해 출몰시킨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구동부(130)의 작동에 따라 선체(10)에 대해 출몰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한 쌍의 스케그부재(11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구동부는 상하방향으로 신축동작하는 실린더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선체(도 1의 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케그부재(도 1의 110)는 실린더부재의 일단부에 지지되고, 실린더부재의 신축동작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실린더부재가 신장동작할 때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체(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스케그부재(110)는 실린더부재가 수축동작할 때 선체(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실린더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신축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부는 랙-피니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스케그부재(도 1의 110)의 일측면에는 랙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랙기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체(도 1의 10) 내부에는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수납홈(도 1의 15)의 측벽에는 가이드홈(미도시)이 랙기어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피니언기어는 가이드홈(미도시)을 통해 랙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선체(10) 내부에는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랙기어는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스케그부재(110)는 이동하는 랙기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스케그부재(110)는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체(10)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체(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외에도, 구동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케그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100)는 구동부(13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타신호에 따라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50)는 조타신호에 따라 스케그부재(110)가 선체(10) 외부로 돌출되거나 선체(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100)는 선박(1)의 선체(10)에 한 쌍으로 제공되고, 선체(10)의 우현측 및 좌현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조종성능향상장치(100)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먼저,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체(10)는 항로를 따라 직진할 수 있다. 이때, 조타신호는 정상직진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조타신호에 따라 스케그부재(110)가 선체(10)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체(10)는 직진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체(10)는 운항 과정에 선체(10)의 우현측 및 좌현측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조타신호는 러더(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상선회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선체(10)는 선체(10)의 우현측 방향으로 진행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때, 조타신호는 러더(50)를 선체(10)의 우현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상선회신호이고, 선체(10)는 러더(50)의 회전에 따라 선체(10)의 우현측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조타신호에 따라 스케그부재(110)가 선체(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체(10)는 선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선체(10)는 선체(10)의 우현측 또는 좌현측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선회하는 중 신속하게 타방향으로 선회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조타신호는 일방향으로 회전한 러더(5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비상선회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선체(10)는 선체(10)의 우현측 방향으로 선회 중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선체(10)의 선회경로 상에 암초 또는 다른 선박과 같은 구조물(미도시) 등이 있는 경우, 선체(10)는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하게 선체(10)의 좌현측 방향으로 선회할 필요가 있다.
이때, 조타신호는 선체(10)의 우현측 방향으로 회전한 러더(50)를 선체(10)의 좌현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비상선회신호일 수 있고, 선체(10)는 선체(10)의 우현측 방향으로 선회하는 과정에서 러더(50)의 회전에 따라 선체(10)의 좌현측 방향으로 선회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조타신호에 따라 선체(10)의 선회방향이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스케그부재(110)가 선체(10)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체(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회력은 선체(10)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110)에 의한 저항을 통해 효과적으로 감소하고, 선체(10)는 선회방향을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선체(10)의 선회방향이 타방향으로 변경된 후, 도 3 및 도 4와 같이 스케그부재(110)가 선체(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체(10)는 스케그부재(110)에 의한 저항이 감소되어 타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각가속도측정부(미도시)가 측정한 선체의 각가속도값을 기초로 스케그부재(110)가 선체(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체(10)의 각가속도는 선체(10)가 일방향으로 선회하는 중 일정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선체(10)의 각가속도는 선체(10)가 비상선회모드로 운항하는 경우 선체(10)의 선회방향이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감소하고, 선체(10)의 선회방향이 타방향으로 변경된 후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의 선회방향은 각가속도측정부가 측정한 선체(10)의 각가속도값이 감소하다 증가하는 시점에서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선체(10)가 선회방향을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변경하는 동안 각가속도측정부가 측정한 각가속도값을 계속 수신하고, 수신한 각가속도값이 증가하기 시작할 때 스케그부재(110)가 선체(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각가속도측정부는 선체(10)의 각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100)는 스케그부재(110)가 조타신호에 따라 선체(10)에 대해 출몰함으로써 선체(10)의 조종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선박 10: 선체
11: 스턴보스부 15, 15': 수납홈
30: 프로펠러 31: 회전샤프트
50: 러더 100: 조종성능향상장치
110, 110': 스케그부재 130: 구동부
150: 제어부
11: 스턴보스부 15, 15': 수납홈
30: 프로펠러 31: 회전샤프트
50: 러더 100: 조종성능향상장치
110, 110': 스케그부재 130: 구동부
150: 제어부
Claims (2)
- 프로펠러 전방에서 선체의 좌현과 우현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제공되고, 상기 프로펠러가 결합되는 회전샤프트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스케그부재; 및
상기 스케그부재를 상기 선체에 대해 출몰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그부재는 전단부가 파형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횡단면이 원호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선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스케그부재는 후방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면 내부에 위치하는, 조종성능향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조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타신호가 정상직진신호인 경우,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조타신호가 정상선회신호인 경우,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선체가 상기 선체의 우현측 또는 좌현측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선회하는 중 상기 조타신호가 비상선회신호인 경우, 상기 선체의 선회방향이 상기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선체의 선회방향이 상기 타방향으로 변경된 후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조종성능향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4702A KR102448984B1 (ko) | 2018-10-18 | 2018-10-18 | 조종성능향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4702A KR102448984B1 (ko) | 2018-10-18 | 2018-10-18 | 조종성능향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3837A KR20200043837A (ko) | 2020-04-28 |
KR102448984B1 true KR102448984B1 (ko) | 2022-09-28 |
Family
ID=7045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4702A KR102448984B1 (ko) | 2018-10-18 | 2018-10-18 | 조종성능향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8984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4410A (ko) * | 2009-01-16 | 2010-07-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양력 발생용 날개를 구비한 선박 |
KR20130090027A (ko) * | 2012-02-03 | 2013-08-1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침로 안정성 향상을 위한 구동형 타 상부 스케그 |
-
2018
- 2018-10-18 KR KR1020180124702A patent/KR10244898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3837A (ko) | 2020-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13820B2 (en) | Ship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US7883383B2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drive arrangement in a watercraft | |
KR102255356B1 (ko) | 조타 장치 및 그 조타 방법 | |
JP2007083795A (ja) | 多機掛け推進機型小型船舶 | |
JP2008521676A (ja) | 船舶用推進システム | |
US10040521B2 (en) | Ship stabilizer system | |
KR20170065678A (ko) |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 | |
KR20050115229A (ko) | 선박의 조타 및 추진구조 | |
KR102448984B1 (ko) | 조종성능향상장치 | |
KR20190004090A (ko) | 유동 저항감소를 위한 선박의 선미구조 | |
FI122504B (fi) | Parannetut jäissäkulkuominaisuudet omaava vesialus | |
US3515088A (en) | Bow thruster | |
JP2008221881A (ja) | 一軸二舵システム | |
JP2016107715A (ja) | 舵および舵ユニットならびに船舶 | |
JP6618869B2 (ja) | 船舶の推進システム | |
JP2008230379A (ja) | 一軸二舵船の操舵方法及び操舵装置 | |
JP4119934B2 (ja) | 船舶及び船舶の運用方法 | |
RU2130856C1 (ru) | Ру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удна | |
JP4288512B2 (ja) | 両頭船とその操船方法 | |
JP2019014296A (ja) | 船舶、及び操船方法 | |
KR101430161B1 (ko) | 터널 스러스터 | |
US3464380A (en) | Auxiliary propulsion device for ships | |
KR102448986B1 (ko) | 바우 스러스터 장치 | |
JP2007099023A (ja) | 船外機 | |
JP7127798B2 (ja) | 停船距離を短縮する操船方法及び停船距離を短縮する操船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