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269B1 - 철스크랩압축장치 - Google Patents
철스크랩압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8269B1 KR102448269B1 KR1020210124233A KR20210124233A KR102448269B1 KR 102448269 B1 KR102448269 B1 KR 102448269B1 KR 1020210124233 A KR1020210124233 A KR 1020210124233A KR 20210124233 A KR20210124233 A KR 20210124233A KR 102448269 B1 KR102448269 B1 KR 1024482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mpression
- iron scrap
- along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briquetting scrap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6—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 B30B15/24—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plurality of actuating members to maintain parallel movement of the platen or press beam
- B30B15/245—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plurality of actuating members to maintain parallel movement of the platen or press beam using auxiliary cylinder and piston means as actuating memb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스크랩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스크랩을 압축하여 육면체 형태의 압축체를 형성하는 압축장치에 있어서, 철스크랩이 투입되는 유입공과, 압축체가 배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출공을 개폐하는 유출공개폐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철스크랩을 1차 압축하는 제1압착장치; 및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철스크랩을 2차 압축하여 압축체를 형성한 후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2압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스크랩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공장, 철강재 가공공장, 조선, 자동차 공장 등에서 철판, 철강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비교적 많은 양의 철스크랩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철스크랩은 회수하여 다시 고로에 투입하여 제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철강재, 철판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철 스크랩은 제작 용도, 가공 제작과정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길이 및 크기로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하는 철스크랩은 회수, 수집하여 모으면 그 부피가 매우 커서 제련을 위한 고로가 위치한 장소로 운반이 쉽지 않아서 고로가 위치한 장소까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여야 한다.
하지만, 철스크랩 덩어리의 절단 시, 두께가 두텁지 않고 크기도 크지 않으며 길이가 긴 경우에는 비교적 쉽게 작은 크기로 절단할 수 있으나, 반대의 경우에는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기 어렵고, 설령 절단한다고 하더라도 절단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스크랩을 압축하여 육면체 형태의 압축체를 형성할 수 있는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스크랩을 압축하여 육면체 형태의 압축체를 형성하는 압축장치에 있어서, 철스크랩이 투입되는 유입공과, 압축체가 배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출공을 개폐하는 유출공개폐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철스크랩을 1차 압축하는 제1압착장치; 및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철스크랩을 2차 압축하여 압축체를 형성한 후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2압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은 상면에 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철스크랩이 투입되어 압축되는 제1하우징; 및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1하우징과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유출공이 형성되어 압축체가 통과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은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제2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유출공개폐장치가 배치되는 제3하우징;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제1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제1압착장치가 배치되는 제4하우징; 및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이 제1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제2압착장치가 배치되는 제5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출공개폐장치는 일방향을 따라 제3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개폐실린더; 및 제1개폐실린더에 설치되어 왕복 선형이동하되,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출공과 통공을 폐쇄하고, 제3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출공과 통공을 개방하는 개폐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압착장치는 일방향을 따라 제4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압착실린더; 및 제1압착실린더에 설치되고, 제1압착실린더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철스크랩을 1차 압축하는 제1압착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압착장치는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제5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압착실린더; 및 제2압착실린더에 설치되고, 제2압착실린더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철스크랩을 2차 압축하여 압축체를 형성한 후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압축체를 배출하는 제2압착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압축장치는 유출공개폐장치, 제1압착장치, 제2압착장치를 통해 철스크랩을 고로에 투입될 수 있는 육면체 형태의 압축체로 형성할 수 있어서, 적재의 용이와 적재량의 증가 및 인건비와 제작시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스크랩압축장치의 블록도,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4,5은 도 1에 도시된 유입공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순차적으로 유입공의 개방,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섹션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철스크랩압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5은 도 1에 도시된 유입공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순차적으로 유입공의 개방,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섹션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철스크랩압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스크랩압축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스크랩압축장치의 블록도,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철스크랩압축장치(100)는 철스크랩(10, 도 8 도시)을 압축하여 육면체 형태의 압축체(20, 도 10 도시)를 형성하는 압축장치로서, 상기 철스크랩(10)이 투입되는 유입공(111a)과, 상기 압축체(20)가 배출되는 유출공(112a)이 형성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스크랩압축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111a)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장치(12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공(112a)을 개폐하는 유출공개폐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스크랩압축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철스크랩(10)을 1차 압축하는 제1압착장치(14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철스크랩(10)을 2차 압축하여 상기 압축체(20)를 형성한 후 상기 유출공(112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2압착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술된 장치들이 내부에 수용되기 위한 공간으로서, 철재, 합금강과 같은 일정 강성을 띤 공지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상면에 상기 유입공(111a)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철스크랩(10)이 투입되어 압축되는 제1하우징(111),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에 상기 제1하우징(111)과 연통하는 통공(116a)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유출공(112a)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체(20)가 통과하는 제2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2하우징(112)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유출공개폐장치(130)가 배치되는 제3하우징(113),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111)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제1압착장치(140)가 배치되는 제4하우징(1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111)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제2압착장치(150)가 배치되는 제5하우징(11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0)은 '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하우징(113)과 제4하우징(114) 간에 격벽(1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16)의 단부에 상기 통공(116a)이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철스크랩압축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유출공(112a)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압축체(2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받침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60)는 삼각기둥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110)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재(160)는 저면이 지면에 접하고, 측면이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접하며, 상면에 경사(161a)가 형성되는 슬라이드부(161),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161)의 상면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체(20)는 상기 걸림부(162)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161)를 따라 지면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개폐장치(120), 유출공개폐장치(130), 제1압착장치(140) 및 제2압착장치(150)는 일 예로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에 배치된 유압펌프에 의해 유로를 통해 실린더의 내부에 오일이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전후방에 유압차가 생성됨으로써 로드가 왕복 선형이동되어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출공개폐장치(130)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3하우징(113)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개폐실린더(131), 상기 제1개폐실린더(131)에 설치되어 왕복 선형이동하되, 상기 제2하우징(1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공(112a)과 통공(116a)을 폐쇄하고, 상기 제3하우징(113)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공(112a)과 통공(116a)을 개방하는 개폐블록(1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폐실린더(131)가 신장되어 상기 개폐블록(132)이 상기 제2하우징(112)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유출공(112a)과 통공(116a)이 폐쇄되고, 상기 제1개폐실린더(131)가 압축되어 상기 개폐블록(132)이 상기 제3하우징(113)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유출공(112a)과 통공(116a)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압착장치(140)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4하우징(114)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압착실린더(141), 상기 제1압착실린더(141)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실린더(141)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철스크랩(10)을 1차 압축하는 제1압착블록(1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압착장치(140)가 신장되어 상기 제1압착블록(142)이 상기 제1하우징(111)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철스크랩(10)이 상기 제1하우징(111)의 측면과 상기 제1압착블록(142)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압착장치(140)가 압축되어 상기 제1압착블록(142)이 상기 제4하우징(114)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철스크랩(10)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압착장치(150)는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제5하우징(115)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압착실린더(151), 상기 제2압착실린더(151)에 설치되고, 상기 제2압착실린더(151)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철스크랩(10)을 2차 압축하여 상기 압축체(20)를 형성한 후 상기 유출공(112a)을 통해 외부로 상기 압축체(20)를 배출하는 제2압착블록(15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압착장치(150)가 신장되어 상기 제2압착블록(152)이 상기 제1하우징(111)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철스크랩(10)이 상기 개폐블록(132)의 측면과 상기 제2압착블록(152)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압착장치(150)가 압축되어 상기 제2압착블록(152)이 상기 제5하우징(115)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압축체(20)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압착블록(152)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블록(132)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제1개폐실린더(131)의 로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하우징(112)의 측면에 삽입홈(112b)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블록(132)의 단부가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5은 도 1에 도시된 유입공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순차적으로 유입공의 개방,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유입공개폐장치(120)는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111)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덮개(121), 일단이 상기 덮개(121)의 상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덮개(121)를 회전시켜서 상기 유입공(111a)을 개폐하는 제2개폐실린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실린더(122)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기둥 또는 별도의 브라켓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개폐실린더(122)의 신장에 의해 상기 덮개(121)가 회전하여 상기 유입공(111a)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유입공(111a)이 폐쇄되고, 상기 제2개폐실린더(122)의 압축에 의해 상기 덮개(121)가 회전하여 상기 덮개(121)가 상기 유입공(111a)에서 인출되어 상기 유입공(111a)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111a)의 폐쇄 시, 상기 덮개(121)의 타단이 상기 개폐블록(132)의 상단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덮개(121)의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유입공(111a)을 폐쇄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섹션도이다.
상기 철스크랩압축장치(100)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압착블록(142)의 양측면에 제1슬라이드돌기(143)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4하우징(114)의 측면과 상기 격벽(116)의 측면에 상기 제1슬라이드돌기(143)가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슬라이드돌기(143)가 상기 제1가이드홈(11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선형이동될 수 있어서 요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철스크랩(10)의 압축 시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제1압착블록(142)의 위치가 변동되어 상기 제1압착실린더(141)의 로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제2압착블록(152)의 양측면에 제2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5하우징(115)의 양측면에 상기 제2슬라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개폐블록(132)의 양측면에 제3슬라이드돌기(133)가 형성되고, 상기 제3하우징(113)의 측면과 상기 격벽(116)의 측면에 상기 제3슬라이드돌기(133)가 삽입되는 제3가이드홈(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스크랩압축장치(100)는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제4하우징(114)의 외부에 배치되는 환봉부재(170), 상기 환봉부재(170)를 선형이동시키는 모터(171), 상기 제4하우징(114)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압착블록(152)의 위치값을 측정하는 위치센서(180), 상기 위치센서(18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171)를 구동하는 제어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71)와 환봉부재(170)는 렉-피니언 구조로 결합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봉부재(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환봉부재(170)의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171)의 모터축에 상기 치형에 치합되는 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봉부재(170)의 단부는 상기 제2압착블록(152)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장치(190)는 상기 제2압착실린더(151)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2압착블록(152)의 위치변화에 대응되도록 상기 모터(171)를 구동하여 상기 환봉부재(1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환봉부재(170)의 위치를 통해 작업자가 외부에서 상기 철스크랩(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압착실린더(151)의 오작동 시 상기 제2압착블록(152)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봉부재(170), 모터(171), 위치센서(180)는 상기 제3하우징(113), 제4하우징(114) 측에도 설치하여 상기 개폐블록(132)과 제1압착블록(142)의 위치도 측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철스크랩압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철스크랩압축장치(100)는 우선, 상기 제어장치(190)가 상기 제1개폐실린더(131)를 신장시켜서 상기 개폐블록(132)이 상기 제2하우징(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블록(132)의 단부가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90)가 상기 제1개폐실린더(131)를 압축시켜서 상기 덮개(121)가 회전되어 상기 유입공(111a)이 개방되고,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에 의해 상기 유입공(111a)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 상기 철스크랩(10)이 투입된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90)가 상기 제1개폐실린더(131)를 신장시켜서 상기 덮개(121)가 회전되어 상기 유입공(111a)이 폐쇄된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90)가 상기 제1압착실린더(141)를 신장시켜서 상기 제1압착블록(142)이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철스크랩(10)이 1차 압축된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90)가 상기 제2압착실린더(151)를 신장시켜서 상기 제1압착블록(142)이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철스크랩(10)이 2차 압축되어 육면체의 상기 압축체(20)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90)가 상기 제1개폐실린더(131)를 압축시켜서 상기 개폐블록(132)이 상기 제3하우징(113)의 내부로 원위치되어 상기 유출공(112a)과 통공(116a)이 개방된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90)가 상기 제2압착실린더(151)를 신장시켜서 상기 제2압착블록(152)이 상기 유출공(112a)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체(20)가 상기 제2하우징(112)과 유출공(112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배출된 상기 압축체(20)는 상기 받침부재(16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지면상에 배치되고, 작업자가 중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압축체(20)를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에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190)는 상기 제2압착실린더(151)의 작동과 함께 상기 위치센서(18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171)를 작동시켜서 상기 제2압착블록(152)을 따라 상기 환봉부재(170)를 선형이동시킨다.
다시 압축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철스크랩압축장치(100)는 전술된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장치(190)가 상기 제2압착실린더(151)를 압축시켜서 상기 제2압착블록(152)을 상기 제5하우징(115)의 내부로 이동시켜 원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90)가 상기 제1압착실린더(141)를 압축시켜서 상기 제1압착블록(142)이 상기 제4하우징(114)의 내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되고, 상기 제1개폐실린더(131)를 압축시켜서 상기 덮개(121)가 회전되어 상기 유입공(111a)이 개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스크랩압축장치는 유출공개폐장치, 제1압착장치, 제2압착장치를 통해 철스크랩을 고로에 투입될 수 있는 육면체 형태의 압축체로 형성할 수 있어서, 적재의 용이와 적재량의 증가 및 인건비와 제작시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철스크랩압축장치 110 : 하우징
120 : 유입공개폐장치 130 : 유출공개폐장치
140 : 제1압착장치 150 : 제2압착장치
160 : 받침부재 170 : 환봉부재
180 : 위치센서 190 : 제어장치
120 : 유입공개폐장치 130 : 유출공개폐장치
140 : 제1압착장치 150 : 제2압착장치
160 : 받침부재 170 : 환봉부재
180 : 위치센서 190 : 제어장치
Claims (6)
- 삭제
- 삭제
- 삭제
- 철스크랩을 압축하여 육면체 형태의 압축체를 형성하는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스크랩이 투입되는 유입공과, 상기 압축체가 배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공을 개폐하는 유출공개폐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상기 철스크랩을 1차 압축하는 제1압착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철스크랩을 2차 압축하여 상기 압축체를 형성한 후 상기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2압착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에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철스크랩이 투입되어 압축되는 제1하우징;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에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체가 통과하는 제2하우징;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2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유출공개폐장치가 배치되는 제3하우징;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제1압착장치가 배치되는 제4하우징; 및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제2압착장치가 배치되는 제5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공개폐장치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3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개폐실린더; 및
상기 제1개폐실린더에 설치되어 왕복 선형이동하되,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공과 통공을 폐쇄하고, 상기 제3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공과 통공을 개방하는 개폐블록;
을 포함하는 철스크랩압축장치.
- 철스크랩을 압축하여 육면체 형태의 압축체를 형성하는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스크랩이 투입되는 유입공과, 상기 압축체가 배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공을 개폐하는 유출공개폐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상기 철스크랩을 1차 압축하는 제1압착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철스크랩을 2차 압축하여 상기 압축체를 형성한 후 상기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2압착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에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철스크랩이 투입되어 압축되는 제1하우징;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에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체가 통과하는 제2하우징;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2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유출공개폐장치가 배치되는 제3하우징;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제1압착장치가 배치되는 제4하우징; 및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제2압착장치가 배치되는 제5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착장치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4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압착실린더; 및
상기 제1압착실린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압착실린더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철스크랩을 1차 압축하는 제1압착블록;
을 포함하는 철스크랩압축장치.
- 철스크랩을 압축하여 육면체 형태의 압축체를 형성하는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스크랩이 투입되는 유입공과, 상기 압축체가 배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유입공개폐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공을 개폐하는 유출공개폐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상기 철스크랩을 1차 압축하는 제1압착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철스크랩을 2차 압축하여 상기 압축체를 형성한 후 상기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2압착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면에 상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철스크랩이 투입되어 압축되는 제1하우징;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에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체가 통과하는 제2하우징;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2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유출공개폐장치가 배치되는 제3하우징;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제1압착장치가 배치되는 제4하우징; 및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고, 내부에 상기 제2압착장치가 배치되는 제5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압착장치는,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제5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압착실린더; 및
상기 제2압착실린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2압착실린더에 의해 선형이동하여 상기 철스크랩을 2차 압축하여 상기 압축체를 형성한 후 상기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상기 압축체를 배출하는 제2압착블록;
을 포함하는 철스크랩압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4233A KR102448269B1 (ko) | 2021-09-16 | 2021-09-16 | 철스크랩압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4233A KR102448269B1 (ko) | 2021-09-16 | 2021-09-16 | 철스크랩압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8269B1 true KR102448269B1 (ko) | 2022-09-28 |
Family
ID=8346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4233A KR102448269B1 (ko) | 2021-09-16 | 2021-09-16 | 철스크랩압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8269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4917B1 (ko) * | 2011-01-31 | 2012-04-17 | 이태호 | 금속 스크랩 압축물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 방법 |
KR20130071555A (ko) * | 2011-12-21 | 2013-07-01 | (주)리스틸 | 스크랩 압착장치 |
KR102016280B1 (ko) * | 2019-02-22 | 2019-08-29 | 정광현 |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
KR20190120020A (ko) * | 2018-04-14 | 2019-10-23 | 곽형일 | 철스크랩 분철 압축장치 |
KR102041756B1 (ko) * | 2019-06-07 | 2019-11-06 | 한준식 |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
-
2021
- 2021-09-16 KR KR1020210124233A patent/KR1024482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4917B1 (ko) * | 2011-01-31 | 2012-04-17 | 이태호 | 금속 스크랩 압축물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 방법 |
KR20130071555A (ko) * | 2011-12-21 | 2013-07-01 | (주)리스틸 | 스크랩 압착장치 |
KR20190120020A (ko) * | 2018-04-14 | 2019-10-23 | 곽형일 | 철스크랩 분철 압축장치 |
KR102016280B1 (ko) * | 2019-02-22 | 2019-08-29 | 정광현 |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
KR102041756B1 (ko) * | 2019-06-07 | 2019-11-06 | 한준식 |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6280B1 (ko) |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 |
KR102041756B1 (ko) |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 |
KR102448269B1 (ko) | 철스크랩압축장치 | |
KR200478786Y1 (ko) | 고철 압축기 | |
US10704733B2 (en) | Pump provided with a reservoir of a lubricant | |
US10486382B2 (en) | Coil spring compactor | |
EP1767338A1 (en) | Briquette manufacturing apparatus | |
CN1321806C (zh) | 用于处理任意类材料的压力机 | |
DE69213810T2 (de) | Fluidverdichter | |
DE3600184A1 (de) | Stroemungsmaschine in spiralbauweise | |
JP2010131630A (ja) | 切屑圧縮処理装置および方法 | |
CN111070764A (zh) | 双头卧式废屑压饼机 | |
JPH02165899A (ja) | スクラップ圧縮装置 | |
KR102407271B1 (ko) |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 |
US3688686A (en) | Refuse compacting apparatus | |
US3802336A (en) | Refuse compacting device | |
KR20130071555A (ko) | 스크랩 압착장치 | |
CA2170655C (en) | Dual hydraulic cylinder compacting device | |
JPH10193187A (ja) | ごみ圧縮処理装置 | |
US4309141A (en) | Refuse-extruder-and-compactor apparatus | |
JP4531580B2 (ja) | 塵芥収集車の排出板後退制御装置 | |
KR200206856Y1 (ko) | 압축포장기 | |
JP2000176689A (ja) | 嵩高性切粉の圧縮機 | |
KR101429721B1 (ko) | 3차원 다기능 고철압축 방법 | |
KR102640716B1 (ko) | 재활용 금속 압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