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196B1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196B1
KR102448196B1 KR1020220086992A KR20220086992A KR102448196B1 KR 102448196 B1 KR102448196 B1 KR 102448196B1 KR 1020220086992 A KR1020220086992 A KR 1020220086992A KR 20220086992 A KR20220086992 A KR 20220086992A KR 102448196 B1 KR102448196 B1 KR 10244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antibacterial
citrus
derm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소희
Original Assignee
황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소희 filed Critical 황소희
Priority to KR102022008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치약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치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구취제거효과가 우수하고, 항균성, 항염성 및 항산화특성이 우수하여 충치,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항균 치약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치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An antibacterial toothpaste comprising plant extract}
본 발명은 항균 치약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치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구취제거효과가 우수하고, 항균성, 항염성 및 항산화특성이 우수하여 충치,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항균 치약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치약에 관한 것이다.
치약은 페이스트 상태, 액체 상태, 분말 형태 등으로 제조되며, 특히 페이스트 상태의 치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약은 치석 제거, 심미 효과, 미백 효과, 충치 예방, 구취 제거, 치은염 예방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연마제, 기포제, 점도 조절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보존제, 착향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최근 식생활의 변화 및 스트레스의 증가로 인해 치주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성 치약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502025호는 실리카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수분산체를 과립화하여 제조한 클렌징 과립; 착색물질 용해제; 및 킬레이트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약은 항균성 및 항산화특성이 불량하여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2025호
본 발명은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구취제거효과가 우수하고, 항균성, 항염성 및 항산화특성이 우수하여 충치,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항균 치약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제수, 연마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마제 5~40중량%, 습윤제 1~2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점증제 0.1~10중량%, 식물 추출물 1~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감귤 진피 추출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귤 진피 추출물은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구취제거효과가 우수하고, 항균성, 항염성 및 항산화특성이 우수하여 충치,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항균 치약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치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정제수, 연마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연마제 5~40중량%, 습윤제 1~2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점증제 0.1~10중량%, 식물 추출물 1~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가공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정제수 대신에 증류수, 경수, 연수, 천연수, 해양심층수, 전해 알칼리이온수, 전해 산성이온수, 이온수, 클러스터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감귤 진피 추출물, 감귤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황금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카모마일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1~1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감귤 진피 추출물은 감귤 진피를 물, 알코올(에탄올, 메탄올, 주정, 발효주정 등), 아세톤 등의 용매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추출은 감귤 진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100~3,000중량부를 가하고 40~120℃에서 1~12시간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가열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감귤 진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감귤 진피는 나리루틴, 헤스페리딘 등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있어 항균성 및 항산화특성이 우수하다.
상기 감귤 진피 추출물은 감귤 진피를 물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귤 진피를 알코올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감귤 진피를 알코올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알코올을 제거한 후, 정제수로 수용화한 감귤 진피 수용성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귤 진피 수용성 추출물은 물에 잘 녹고 점도가 낮아 가공이 간편하고, 상기 수용화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감귤 진피 수용성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감압 농축하여 정제수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감귤 진피 추출물로서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귤 진피 추출물로서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수용성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이때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수용성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20~4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감귤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황금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카모마일 추출물은 상기 감귤 진피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물 추출물로서 감귤 진피 추출물, 감귤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황금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카모마일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 추출물은 감귤 진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귤 추출물 20~40중량부, 녹차 추출물 5~20중량부, 황금 추출물 5~20중량부, 알로에 추출물 5~20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5~20중량부 및 카모마일 추출물 5~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다공성의 입자로서 표면에 많은 기공을 보유하고 있으며, 치아에 부착된 치석,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로는 실리카,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알루미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마제의 함량은 5~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제는 감귤 진피 추출물로 코팅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감귤 진피 추출물은 연마제의 표면, 특히 연마제의 기공 내에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 흡착을 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의 기공 내에 존재하는 감귤 진피 추출물은 사용 중에 지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어, 세정감, 사용감 및 항균성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연마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귤 진피 추출물 1~10중량부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귤 진피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마제에 코팅되는 감귤 진피 추출물로서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연마제에 코팅되는 감귤 진피 추출물로서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수용성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이때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수용성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20~4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제는 감귤 추출물로 코팅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연마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귤 추출물 1~1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마제가 감귤 진피 추출물 및 감귤 추출물로 동시에 코팅되는 경우, 감귤 진피 추출물 및 감귤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마제는 습윤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로 코팅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연마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습윤제 1~10중량부, 계면활성제 1~10중량부 및 점증제 1~1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습윤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로 코팅된 연마제를 사용하는 경우, 가공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베타인,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솔비톨, 헥실렌글리콜, 디글리세린 및 판테놀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습윤제의 함량은 1~2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알킬 황산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공중합체(PEG-PPG copolymer);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17/6 공중합체(PEG/PPG-17/6 copolymer); 폴리에틸렌글리콜-40 수소화 캐스터 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폴리솔베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carbomer),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탐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0.1~1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호두 껍질 비드, 아몬드 껍질 비드, 땅콩 껍질 비드, 프로폴리스, 비타민B, 비타민C, 비타민D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두 껍질 비드, 아몬드 껍질 비드 및 땅콩 껍질 비드는 잇몸의 마사지 기능이 있어, 잇몸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1~1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항균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성물은 플루오르화나트륨, 피리독신염산염 등의 충치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치방지제의 함량은 0.1~5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시트러스민트향, 라임만다린향, 오렌지민트향, 바닐라향 등의 향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향료의 함량은 0.1~1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균 치약은 세정감, 사용감, 연마력 및 구취제거력이 우수하고, 항균성, 항염성 및 항산화특성이 우수하여 충치,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 구강용품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감귤 진피 1g을 증류수 10㎖로 100℃에서 1시간 환류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감귤 진피 1g을 95% 에탄올 10㎖로 100℃에서 1시간 환류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감귤 진피 에탄올 추출물).
감귤 진피 1g을 95% 에탄올 10㎖로 100℃에서 1시간 환류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고 용매를 모두 제거한 후, 정제수로 수용화시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감귤 진피 수용성 추출물).
실리카 25중량%, 글리세린 10중량%, 라우릴 황산나트륨 1중량%, 잔탄검 1중량%,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5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0.5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15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5중량% 대신에,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3.5중량% 및 감귤 진피 에탄올 추출물 1.5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리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5중량부를 코팅하여 코팅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실리카 대신에, 상기 코팅 실리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리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3.5중량부 및 감귤 진피 에탄올 추출물 1.5중량부를 코팅하여 코팅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실리카 대신에, 상기 코팅 실리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조성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항균성)
상기 치약용 조성물을 BHI(Brain Heart Infusion)에 0.01%~0.9% 까지 농도별로 넣은 후, 구강질환의 요인이 되는 시험 균주(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 ATCC 27607)를 접종하여 4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시험균이 자라지 않는 최저농도를 MIC(㎍/㎖ medium)를 측정하였다.
(관능검사)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상기 치약용 조성물을 1개월 동안 하루 3번 사용하게 한 다음 양치감, 구취제거정도 및 세정감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는 5점 척도법(5: 매우 우수하다, 4: 우수하다, 3: 보통이다, 2: 나쁘다, 1: 매우 나쁘다)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상기 특성을 조사한 후 이를 산술평균하였다.
최저농도 양치감 구치제거
정도
세정감
실시예 1 0.08 3.9 4.0 4.1
실시예 2 0.13 3.3 3.5 3.4
실시예 3 0.12 3.4 3.5 3.5
실시예 4 0.04 4.4 4.5 4.4
실시예 5 0.05 4.6 4.4 4.5
실시예 6 0.03 4.6 4.5 4.6
비교예 1 0.21 2.5 2.4 2.5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6은 항균성, 양치감, 구취제거정도 및 세정감이 우수하다. 특히 실시예 1, 4 내지 6은 상기 특성이 가장 우수하다.
반면 비교예 1은 상기 특성이 실시예에 비해 열등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정제수, 연마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마제 5~40중량%, 습윤제 1~2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점증제 0.1~10중량%, 식물 추출물 1~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은 감귤 진피 추출물이며,
    상기 연마제는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로 코팅되고,
    상기 감귤 진피 열수 추출물 및 감귤 진피 알코올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치약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항균 치약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
KR1020220086992A 2022-07-14 2022-07-14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 KR10244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992A KR102448196B1 (ko) 2022-07-14 2022-07-14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992A KR102448196B1 (ko) 2022-07-14 2022-07-14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196B1 true KR102448196B1 (ko) 2022-09-27

Family

ID=8345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992A KR102448196B1 (ko) 2022-07-14 2022-07-14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1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9517A (ja) * 1991-03-06 1992-10-05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KR980008209A (ko) * 1996-07-03 1998-04-30 성재갑 치약 조성물
KR101502025B1 (ko) 2008-10-15 2015-03-12 (주)아모레퍼시픽 치아 착색물질 제거에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20210122439A (ko) * 2020-04-01 2021-10-12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해초추출물을 포함한 애완동물 구강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9517A (ja) * 1991-03-06 1992-10-05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KR980008209A (ko) * 1996-07-03 1998-04-30 성재갑 치약 조성물
KR101502025B1 (ko) 2008-10-15 2015-03-12 (주)아모레퍼시픽 치아 착색물질 제거에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20210122439A (ko) * 2020-04-01 2021-10-12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해초추출물을 포함한 애완동물 구강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5267B1 (en) Taste masking of phenolics using citrus flavors
US4096241A (en) Tooth preparations
RU2385709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появления зубного налета,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магнолии
CN107875031B (zh) 口腔生物膜除去剂以及口腔用组合物
CN106236649B (zh) 一种艾叶牙膏
JP2008303188A (ja) カンジダバイオフィルム除去剤
JPWO2007069429A1 (ja) 歯磨組成物
WO2013075920A2 (en) An oral care composition
JP2023546272A (ja) 緑茶活性物質洗口液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057390A (zh) 一种防治口腔溃疡的牙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24764B1 (ko) 치아 연마제 조성물
JP2979514B2 (ja) う蝕予防剤の製造方法
KR101216427B1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741797A (zh) 一种含美洲大蠊提取物的口腔护理牙膏及其制备方法
KR20120117387A (ko) 잇몸질환예방 및 완화를 위한 구강 조성물
KR10244819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치약
KR102296156B1 (ko) 기능성이 개선된 하이드로겔 치약 조성물
CN108348412B (zh) 口腔用组合物
KR101756306B1 (ko)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EP2413881B1 (en) Desensitizing dentifrice exhibiting dental tissue antibacterial agent uptake
JP2019196329A (ja) 歯周病予防口腔用組成物
KR20030089047A (ko)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JP2010037290A (ja) 歯磨剤
JP5586161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JP3951085B2 (ja) 歯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