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109B1 -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 Google Patents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109B1
KR102447109B1 KR1020210171346A KR20210171346A KR102447109B1 KR 102447109 B1 KR102447109 B1 KR 102447109B1 KR 1020210171346 A KR1020210171346 A KR 1020210171346A KR 20210171346 A KR20210171346 A KR 20210171346A KR 102447109 B1 KR102447109 B1 KR 10244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rner
bottom plate
size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Original Assignee
김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정 filed Critical 김민정
Priority to KR102021017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 벽판(200), 모서리대(300)로 형성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3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바닥판(110)은 사각 이중 판구조로 측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측면 넓이를 확장시키는 측면 확장판(112)이 형성되며, 제2 바닥판(130)은 상기 제1 바닥판(110) 위로 적층되며 사각 이중 판구조로 모서리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모서리의 넓이를 확장시키는 모서리 확장판(132)이 형성되고, 상기 벽판(200)은 화분의 벽면을 구성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구성부로 일측면에 벽측면 결합돌기(210)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벽측면 결합돌기(210)에 대응되는 벽측면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면에 벽상하 결합돌기(230)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벽상하 결합돌기(230)에 대응하는 벽상하 결합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대(300)는 화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구성부로 일측면에 벽측면 결합홈(212)에 대응되는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가 형성되는 일측면과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벽측면 결합돌기(210)에 대응되는 모서리측면 결합홈(312)이 형성되며, 상면에 모서리상하 결합돌기(330)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모서리상하 결합돌기(330)에 대응하는 모서리상하 결합홈(332)이 형성되며, 상기 벽판(200)과 상기 모서리대(300)는 상기 바닥판의 크기 및 설정된 높이에 따라 다수의 벽판(200)과 모서리대(300)가 조립되어 화분의 벽면을 형성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SIZE AND HEIGHT ADJUSTABLE FLOWERPOT}
본 발명은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식물을 식재하는 화분의 크기 및 높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이 용이한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이 키울 수 있는 용기가 되는 화분은 단독으로 지면이나 계단으로 형성된 설치대 등에 놓여지고 화분 내에 기호의 식물을 심어 육성하는 원예 또는 관상을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고정된 크기와 높이를 가지고 있어 원하는 식물을 키울 때는 식물의 현재의 크기 또는 자랄 크기를 고려하여 화분의 크기를 골라 구매해야하는 문제가 있어 다양한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화분이 필요하였다.
또한, 화분은 원형 또는 사각 기둥 형성으로 큰 부피를 가지고 있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의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1-0003724호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이면서, 종방향으로 절단된 양단이 겹쳐져서 원통형태가 유지되고, 절개된 일단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이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각각 대응되는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제1가이드홈과 제1체결공은 제1고정부재로 결합되고, 제2가이드홈과 제2체결공은 제2고정부재로 결합되어, 그 결합 위치에 따라 크기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의 가상의 횡단면의 내주와 접하는 외주를 갖는 원형이면서, 상기 화분본체의 크기를 크게 조절할수록 상기 화분본체의 하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바닥부로 구성되는 크기조절용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16-0001762호에서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모재의 양단이 겹쳐져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화분벽체와, 상기 화분벽체의 겹쳐진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화분의 크기를 늘여 사용할 수 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화분의 크기를 일정 부분 조절할 수 있으나, 고정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 크기 조절의 한계가 있으며, 고정된 형상으로 보관시에도 기존의 화분과 같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조립식을 구성되어 화분의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은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판, 벽판(200), 모서리대(300)로 형성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3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바닥판(110)은 사각 이중 판구조로 측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측면 넓이를 확장시키는 측면 확장판(112)이 형성되며, 제2 바닥판(130)은 상기 제1 바닥판(110) 위로 적층되며 사각 이중 판구조로 모서리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모서리의 넓이를 확장시키는 모서리 확장판(132)이 형성되고, 상기 벽판(200)은 화분의 벽면을 구성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구성부로 일측면에 벽측면 결합돌기(210)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벽측면 결합돌기(210)에 대응되는 벽측면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면에 벽상하 결합돌기(230)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벽상하 결합돌기(230)에 대응하는 벽상하 결합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대(300)는 화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구성부로 일측면에 벽측면 결합홈(212)에 대응되는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가 형성되는 일측면과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벽측면 결합돌기(210)에 대응되는 모서리측면 결합홈(312)이 형성되며, 상면에 모서리상하 결합돌기(330)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모서리상하 결합돌기(330)에 대응하는 모서리상하 결합홈(332)이 형성되며, 상기 벽판(200)과 상기 모서리대(300)는 상기 바닥판의 크기 및 설정된 높이에 따라 다수의 벽판(200)과 모서리대(300)가 조립되어 화분의 벽면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30)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자석결합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은 조립식을 구성되어 화분의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은 조립된 화분을 분해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으로 구성되는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벽판과 모서리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벽판과 모서리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으로 구성되는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벽판과 모서리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벽판과 모서리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바닥판, 벽판(200), 모서리대(300)로 형성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바닥판은 도 1에서와 같이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 바닥판(110)위에 제2 바닥판(130)이 적층된다.
상기 제1 바닥판(110)은 사각 이중 판구조로 측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측면 넓이를 확장시키는 측면 확장판(112)이 형성되며, 제2 바닥판(130)은 상기 제1 바닥판(110) 위로 적층되며 사각 이중 판구조로 모서리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모서리의 넓이를 확장시키는 모서리 확장판(132)이 형성되어 제1 바닥판(110)이 측면 확장판(112)으로 넓이가 넓어질 때 모서리 부위의 빈 곳을 제2 바닥판(130)의 모서리 확장판(132)이 덮게되어 바닥판에 흙이 담지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측면 확장판(112)과 모서리 확장판(132)은 제1, 제2 바닥판을 확장하지 않을 경우 이중 판구조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바닥판은 확장된 상태에서는 제1, 제2 바닥판의 측면 확장판(112)과 모서리 확장판(132) 부위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나 확장되지 않을 경우에 배수를 위해 상기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30)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벽면은 도 2, 3에서와 같이 벽판(200)과 모서리대(300)로 형성된다.
상기 벽판(200)은 화분의 벽면을 구성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구성부로 일측면에 벽측면 결합돌기(210)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벽측면 결합돌기(210)에 대응되는 벽측면 결합홈(212)이 형성된다.
또한, 벽판(200)의 상면에 벽상하 결합돌기(230)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벽상하 결합돌기(230)에 대응하는 벽상하 결합홈(232)이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대(300)는 화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구성부로 일측면에 벽측면 결합홈(212)에 대응되는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가 형성되는 일측면과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벽측면 결합돌기(210)에 대응되는 모서리측면 결합홈(3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서리대(300)의 상면에 모서리상하 결합돌기(330)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모서리상하 결합돌기(330)에 대응하는 모서리상하 결합홈(332)이 형성된다.
상기 벽판(200)은 벽측면 결합돌기(210)와 벽측면 결합홈(212)을 통해 2이상의 벽판(200)을 조립하여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으며, 벽상하 결합돌기(230)와 벽상하 결합홈(232)을 통해 2이상의 벽판(200)을 조립하여 상하 방향으로 높이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판(200)의 벽측면 결합돌기(210)와 벽측면 결합홈(212), 상기 모서리대(300)의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와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를 통해 사각의 화분형태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대(300)는 모서리상하 결합돌기(330)와 모서리상하 결합홈(332)을 통해 화분의 높이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석결합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벽측면 결합돌기(210),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자석 또는 철을 형성시키고, 벽측면 결합홈(212), 모서리측면 결합홈(312)의 내부 또는 외부에 철 또는 자석을 형성시켜 자석결합으로 견고한 조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기 벽판(200)과 상기 모서리대(300)는 도 3, 4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판의 크기 및 설정된 높이에 따라 다수의 벽판(200)과 모서리대(300)가 조립되어 화분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은 벽판(200)과 상기 모서리대(300)가 조립식을 구성되어 화분의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제2 바닥판(110, 130), 벽판(200)과 상기 모서리대(300)은 분해되면 판 형상으로 보관시에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제1 바닥판: 110 제2 바닥판: 130
벽판: 200 모서리대: 300

Claims (3)

  1. 바닥판, 벽판(200), 모서리대(300)로 형성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3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바닥판(110)은 사각 이중 판구조로 측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측면 넓이를 확장시키는 측면 확장판(112)이 형성되며, 제2 바닥판(130)은 상기 제1 바닥판(110) 위로 적층되며 사각 이중 판구조로 모서리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모서리의 넓이를 확장시키는 모서리 확장판(132)이 형성되고,
    상기 벽판(200)은 화분의 벽면을 구성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구성부로 일측면에 벽측면 결합돌기(210)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벽측면 결합돌기(210)에 대응되는 벽측면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면에 벽상하 결합돌기(230)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벽상하 결합돌기(230)에 대응하는 벽상하 결합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대(300)는 화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구성부로 일측면에 벽측면 결합홈(212)에 대응되는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측면 결합돌기(310)가 형성되는 일측면과 연결되는 측면에 상기 벽측면 결합돌기(210)에 대응되는 모서리측면 결합홈(312)이 형성되며, 상면에 모서리상하 결합돌기(330)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모서리상하 결합돌기(330)에 대응하는 모서리상하 결합홈(332)이 형성되며,
    상기 벽판(200)과 상기 모서리대(300)는 상기 바닥판의 크기 및 설정된 높이에 따라 다수의 벽판(200)과 모서리대(300)가 조립되어 화분의 벽면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30)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자석결합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KR1020210171346A 2021-12-02 2021-12-02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KR10244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346A KR102447109B1 (ko) 2021-12-02 2021-12-02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346A KR102447109B1 (ko) 2021-12-02 2021-12-02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109B1 true KR102447109B1 (ko) 2022-09-26

Family

ID=8345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346A KR102447109B1 (ko) 2021-12-02 2021-12-02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1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781A (ko) * 2006-12-06 2008-06-11 전연자 광고기능을 갖는 화분블록
KR20100010055A (ko) * 2010-01-11 2010-01-29 임상일 조립식 화단
KR20160022968A (ko) * 2014-08-20 2016-03-03 윤태소 가변형 모듈러 텃밭
KR20170053216A (ko) * 2015-11-05 2017-05-16 정윤섭 조립식 모듈형 플랜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781A (ko) * 2006-12-06 2008-06-11 전연자 광고기능을 갖는 화분블록
KR20100010055A (ko) * 2010-01-11 2010-01-29 임상일 조립식 화단
KR20160022968A (ko) * 2014-08-20 2016-03-03 윤태소 가변형 모듈러 텃밭
KR20170053216A (ko) * 2015-11-05 2017-05-16 정윤섭 조립식 모듈형 플랜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4706B1 (en) Modular interlocking planter
CA2733629C (en) Flower holder structure
KR101169351B1 (ko) 가드닝 플랜터
KR20160022968A (ko) 가변형 모듈러 텃밭
CN203575200U (zh) 一种多功能垂直绿化架
US8635808B1 (en) Partitioned planter
KR102447109B1 (ko) 크기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KR100653314B1 (ko) 화분
KR101201355B1 (ko)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KR20030096840A (ko)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TWM552252U (zh) 組合式花盆結構
KR102157856B1 (ko) 조립식 포트
KR20100131319A (ko)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JP6454833B1 (ja) 多用途収納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KR20100006612U (ko)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KR200425493Y1 (ko) 액자 기능을 갖는 탁상용 화분
JP2007319567A (ja) テーブル
CN217117018U (zh) 一种市政园林景观种植装置
CN207948276U (zh) 组合花盆
JP3231505U (ja) フェンス付き収納ボックス
JP2980283B2 (ja) 増設可能な段垣
GB2561803A (en) Vertical grow systems
KR102475147B1 (ko) 도시형 대형텃밭 재배를 위한 인써트사출일체형 재배장치
CN210143383U (zh) 一种拼装式种植容器和支撑平台
TWI649025B (zh) Combined flower po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