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665B1 -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665B1
KR102445665B1 KR1020220060927A KR20220060927A KR102445665B1 KR 102445665 B1 KR102445665 B1 KR 102445665B1 KR 1020220060927 A KR1020220060927 A KR 1020220060927A KR 20220060927 A KR20220060927 A KR 20220060927A KR 102445665 B1 KR102445665 B1 KR 10244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aint
cap
spray gun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옥
김경섭
Original Assignee
박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옥 filed Critical 박정옥
Priority to KR102022006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665B1/ko
Priority to KR1020220096601A priority patent/KR2023016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3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comprising enclosure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prayed and surrounding or confining the discharged spray or jet but not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08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the liquid being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ating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16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비로 수동 작업을 위한 페인트 롤러 및 자동 작업을 위한 스프레이건을 모두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단부에는 토출공이 형성되며, 중공(中空)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양측이 관통된 페인트 분사통로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선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한 내부공간의 음압 발생에 의해 페인트 용액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설치된 흡입밸브; 및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된 페인트 용액이 도장면에 도색될 수 있도록 제공된 도장수단;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피스톤이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피스톤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 이동시 피스톤의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지지캡; 및 상기 지지캡과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피스톤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피스톤 구속 캡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밸브는 몸체의 내부공간을 향해서만 개방되는 체크밸브이며, 상기 도장수단은, 상기 몸체 전방을 향해 확관 형태로 형성된 비산방지 캡; 상기 몸체 밖으로 노출된 피스톤의 분사통로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의 분사통로를 향해 페인트 용액을 압송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스프레이 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Description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A paint roller and a spray gun combine type painting device}
본 발명은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하나의 장비로 페인트 롤러와 스프레이 건을 취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외 외관을 수려하게 꾸미기 위해서는 벽지를 붙이거나 도료를 이용한 도장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도장 작업은 페인트 롤러를 이용하여 도장을 하는 수작업과, 공압을 이용한 스프레이 건 분사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공압을 이용한 스프레이 건 분사방식의 도장 작업은 페인팅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반면, 협소한 작업 공간 또는 밀폐된 작업공간에서는 비산(飛散) 도료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등 작업조건이 제한적이며, 분무되는 범위를 작업자가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복잡한 부품의 작업이나 마무리 작업 등에는 작업자가 직접 페인트 브러시를 가지고 칠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나아가 페인트 비산에 따른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반면에, 페인트 롤러를 이용한 도장 작업은 작업자가 페인트 롤러의 브러쉬에 페인트 용액을 적신 후 도포하고자 하는 건물의 벽면 등에 페인트 롤러를 롤링하면서 이루어지며, 페인트 롤러가 닿지 않는 코너 등의 부분은 작업자가 페인트 붓을 이용하여 페인트칠로써 마무리 작업을 실시한다. 하지만, 페인트 롤러를 이용한 도장 작업은 작업자가 별도의 페인트 통에 일일이 페인트 롤러를 담가 적신 후에 사용해야 하므로 매운 번거로움을 야기하였으며, 특히, 페인트 롤러에 페인트 용액을 적신 후 도포면으로 이동하는 동안 페인트 용액이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어 작업공간을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롤러에 공급되는 페인트 용액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과다하게 페인트를 적신 경우에는 페인트를 칠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용액이 튀거나 도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등의 작업기술 상의 문제점이 있어 숙련공 이외에는 페인트를 칠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스프레이 분사 방식의 도장 작업과, 페인트 롤러 방식의 도장 작업은 각각 장점이 있으므로, 작업 환경에 맞게 작업자가 취사(取捨) 선택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페인트 롤러를 이용한 도장기구와, 스프레이 건을 이용한 도장장치가 각각 제공되는바, 취사 선택의 불편함이 있으며, 장비 각각 관리되어야 하므로 장비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161397호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1-01088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비로 작업자가 작업 환경에 따라 페인트 롤러 방식과 스프레이 분사 방식을 용이하게 취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단부에는 토출공이 형성되며, 중공(中空)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양측이 관통된 페인트 분사통로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선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한 내부공간의 음압 발생에 의해 페인트 용액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설치된 흡입밸브; 및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된 페인트 용액이 도장면에 도색될 수 있도록 제공된 도장수단;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피스톤이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피스톤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 이동시 피스톤의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지지캡; 및 상기 지지캡과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피스톤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피스톤 구속 캡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밸브는 몸체의 내부공간을 향해서만 개방되는 체크밸브이며, 상기 도장수단은, 상기 몸체 전방을 향해 확관 형태로 형성된 비산방지 캡; 상기 몸체 밖으로 노출된 피스톤의 분사통로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의 분사통로를 향해 페인트 용액을 압송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스프레이 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지지캡은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구속 캡은 지지캡 및 피스톤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후단부와 상기 피스톤 구속 캡에는 각각, 상기 지지공에 대응되는 후단통공 및 나사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페인트 용액 공급을 위한 하나의 몸체에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을 취사 선택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비로 페인트 롤러와 스프레이 분사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 환경에 따라, 페인트 롤러와 스프레이 분사 방식을 취사 선택할 수 있으므로, 최적화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페인트 롤러 이용시, 피스톤 방식을 이용해 페인트 롤러에 페인트 용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페인트 용액에 페인트 롤러를 침지(浸漬)시키면서 페인트를 도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페인트 도장 작업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 작업 환경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피스톤 방식을 통해 페인트 용액 공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스프레이 건 분사 방식 사용시, 비산방지 캡을 통해 페인트가 작업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를 나타낸 분해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의 단면도로써, 도장수단으로 페인트 롤러가 사용된 경우의 도장 과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4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의 단면도로써, 도장수단으로 스프레이 건이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이하, 도장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장장치는 작업자가 페인트 롤러를 이용한 수동 도장 및 스프레이 건을 이용한 자동분사도장을 용이하게 취사 선택하여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장장치는 작업 환경에 최적화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깔끔한 작업 환경 제공 및 페인트 용액 비산 방지를 통해 친환경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도장장치는 도 1 내지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피스톤(200)과, 흡입밸브(300)와, 지지캡(400)과, 피스톤 구속 캡(500)과, 도장수단(60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도장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며, 페인트 용액을 수용하면서 피스톤(200)의 왕복 이동을 위한 내부공간(100a)을 갖는 중공(中空)의 실린더로 제공된다. 몸체(100)의 양단부는 개방되며, 몸체(100)의 선단부에는 토출캡(110)이 결합된다. 토출캡(110)은 몸체(100)의 내부공간(100a)에 수용된 페인트 용액이 토출되는 토출공(111)을 형성한, 이때, 토출캡(110)의 내경은 토출공(111)을 향해 점점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토출캡(110)에는 고정블럭(120)이 결합된다. 고정블럭(120)은 후술하는 페인트 롤러 또는 비산방지 캡을 토출캡(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블럭(120)은 토출공(111)과 통하는 삽입공(121a)이 형성된 가이드(121)를 포함하며, 고정블럭(120)의 내경은 토출캡(110)의 외주면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몸체(100)의 후단부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통공(130)이 형성된다. 후단통공(130)은 몸체(100)의 내부공간(100a)과 통하며, 후술하는 피스톤(200)의 로드가 내부공간(100a)을 드나들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된다. 이때, 후단통공(130)에는 내부공간(100a)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131)이 설치된다. 또한, 몸체(10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캡(40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피스톤(200)은 몸체(100)의 내부공간(100a)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페인트 통(T)의 페인트를 내부공간(100a)으로 흡입시키거나, 내부공간(100a)에 수용된 페인트 용액을 토출공(111) 밖으로 토출시키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스톤(200)은 스프레이 건을 통해 페인트 용액이 분사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즉, 피스톤(200)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페인트 용액을 수동으로 분사시킬 수 있으며, 스프레이 건의 작동을 통해 페인트 용액을 자동으로 분사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인 것이다. 피스톤(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210)와, 로드(220)와, 손잡이부(230)를 포함한다. 패킹부(210)는 몸체(100) 내부공간(100a)의 내주면 기밀을 유지시키는 구성이며, 복수의 오링(211)을 포함한다. 즉, 패킹부(210)는 오링(211)이 몸체(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패킹부(2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페이트 용액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몸체(100)의 내주면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로드(220)는 패킹부(210)로부터 몸체(100)의 타단부(후단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로드(220)의 직경은 패킹부(21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후단통공(130)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몸체(100) 밖으로 노출된 로드(220)의 단부 외주면에는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다. 손잡이부(230)는 작업자가 피스톤(200)을 왕복 이동시킬 때, 파지를 위해 제공되며, 로드(220)의 단부에 설치된다. 손잡이부(230)는 로드(220)와 분할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호 간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2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홈(231)이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부(230)의 나사홈(231)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232)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부(230)의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되며, 나사산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피스톤 구속 캡(50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한편, 피스톤(200)에는 분사통로(240)가 형성된다. 분사통로(240)는 페인트 용액이 피스톤(200)의 내부를 통과하여 토출공(110)으로 토출되도록 한 유로로써, 패킹부(210)-로드(220)-손잡이부(230)에 걸쳐 피스톤(200)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분사통로(240)는 피스톤(200)의 양측이 개방된 상태로 제공된 것이다. 이때, 손잡이부(230)에 형성된 분사통로(240)의 내주면은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손잡이부(230)의 분사통로(240)는 후술하는 스프레이 건과 나사 결합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흡입밸브(300)는 페인트 통(T)의 페인트 용액이 몸체(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며, 토출캡(11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흡입밸브(300)는 피스톤(200)의 이동에 의해 내부공간(100a)에 음압이 발생할 때 개방되면서 페인트 통(T)의 페인트 용액이 내부공간(100a)으로 빨려들어가도록 한 것이다. 이때, 흡입밸브(300)는 내부공간(100a)을 향해서만 일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는 체크밸브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입밸브(300)의 구성은, 피스톤(200)의 이동에 의해 내부공간(100a)에 양압이 발생하더라도, 페인트 용액은 흡입밸브(300)를 통해 몸체(100) 밖으로 누출되지는 않게 된다.
지지캡(400)은 페인트 용액 흡입 및 토출시키기 위한 피스톤(200)의 왕복 이동 과정에서 피스톤(200)이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피스톤(200)은 왕복 이동시 몸체(100)의 후단통공(130)을 출입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지캡(400)은 피스톤(200)이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피스톤(200)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지캡(400)에는 피스톤(200)의 로드(220)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지지공(410)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캡(400)은 몸체(100)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나사 결합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지지캡(400)의 내주면에는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후단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캡(400)의 외주면에는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피스톤 구속 캡(50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피스톤 구속 캡(500)은 스프레이 건을 이용한 도장 작업시, 피스톤(200)이 움직이는 것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장장치는 스프레이 건을 이용한 자동 분사 작업시에는 분사 압력 등에 의해 피스톤(200)이 몸체(100)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바, 상기 피스톤 구속 캡(500)은 피스톤(200)을 몸체(100)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피스톤 구속 캡(5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캡(400)과 피스톤(200)의 손잡이부(230) 사이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피스톤 구속 캡(500)에는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30)가 통과되는 나사공(510)이 형성되며, 나사공(510)은 손잡이부(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을 형성한다. 한편, 피스톤 구속 캡(500)에는 개폐캡(520)이 연결된다. 개폐캡(520)은 몸체(100) 밖으로 노출된 분사통로(240)를 차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피스톤(200)의 손잡이부(230)에 형성된 분사통로(24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장수단(600)은 토출공(111)을 통해 토출된 페인트 용액을 도장 대상물에 도장하는 구성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도장할 수 있게 한 페인트 롤러(610) 및 작업자가 자동으로 도장할 수 있도록 페인트 용액을 자동 분사시킬 수 있는 스프레이 건(62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장수단(600)은 작업자가 작업 환경에 맞게 취사 선택 할 수 있는 페인트 롤러(610)와 스프레이 건(620)으로 제공된 것이다.
먼저, 도장수단(600)이 페인트 롤러(610)로 사용될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페인트 롤러(610)는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611)와 연결관(612)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헤드부(611)는 도장 대상물에 롤링되면서 도장을 수행하는 부위이며, 중공(中空)의 원통형으로 제공된다. 헤드부(611)의 내부에는 헤드부(611)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611a)이 설치되며, 회전축(611a)은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회전축(611a)은 헤드부(611)의 회전을 위해 제공되며, 페인트 용액을 헤드부(611)의 내부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도 겸한다. 이를 위해, 회전축(611a)에는 복수의 제1분사공(611b)이 형성된다. 또한, 헤드부(61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분사공(611c)이 형성되며, 제2분사공(611c)을 감싸는 브러쉬(B)가 설치된다. 연결관(612)은 헤드부(611)를 몸체(100)의 토출공(111)에 연결시켜 토출공(111)으로부터 토출되는 페인트 용액이 회전축(611a)으로 공급되는 관로를 제공하며, 정확하게는 헤드부(611)의 회전축(611a)과 고정블럭(120)의 가이드(121) 사이에 결합된다.
도장수단(600)이 스프레이 건(620)으로 사용될 경우, 스프레이 건(620)은 페인트 용액 공급장치(미도시)에 연결되며, 손잡이부(230)의 분사통로(24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장수단(600)은 비산방지 캡(630)을 더 포함하며, 비산방지 캡(630)은 스프레이 건(620)을 통해 페인트 용액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작업 주변으로 페인트 용액이 비산되는 것을 막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비산방지 캡(63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공(111)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내경이 커지는 확관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페인트 롤러가 설치된 도장장치 결합 및 이를 이용한 도장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21)가 결합된 고정블럭(120)을 토출캡(110)에 결합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페인트 롤러(610)의 연결관(612)을 가이드(121)의 삽입공(121a)에 삽입하여 토출공(111)과 연결관(612)을 일치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캡(400)을 몸체(100)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때, 피스톤(200)의 로드(220) 단부는 지지공(410)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되고, 작업자는 손잡이부(230)를 로드(220)의 단부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피스톤 구속 캡(500)을 지지캡(400)과 손잡이부(230)에 나사 결합시키고, 개폐캡(520)을 손잡이부(230)의 분사통로(240)에 끼워 막음으로써, 도장장치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몸체(100)에 페인트 롤러(6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흡입밸브(300)를 통해 페인트 통(T)의 페인트 용액이 흡입될 수 있도록 호스(미도시) 등의 관로를 페인트 통(T)과 흡입밸브(300) 사이에 연결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피스톤(200) 움직임을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구속 캡(500)을 풀어 피스톤(200)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한 상태에서, 몸체(100)로부터 피스톤(200)을 당겨 인출한다. 이때, 몸체(100)의 내부공간(100a)은 음압이 형성됨에 따라, 페인트 통(T)의 페인트 용액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밸브(300)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유입된다. 이때, 페인트 용액이 내부공간(100a)에서 피스톤(200)의 분사통로(240)에 유입되더라도, 개폐캡(520)이 분사통로(240)를 막고 있는바, 페인트 용액이 피스톤(200) 밖으로 누설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몸체(100)의 내부공간(100a)에 페인트 용액이 유입되면, 작업자는 피스톤(200)을 밀어 몸체(100)의 내부공간(100a)에 양압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페인트 용액은 토출캡(110)의 토출공(111)을 통해 페인트 롤러(610)의 연결관(612)으로 토출된다. 이때, 페인트 용액이 토출공(111)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흡입밸브(300)는 내부공간(100a)을 향해서만 개방되는 체크밸브이므로 흡입밸브(300)를 통해 페인트 용액이 몸체(100) 밖으로 누출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연결관(612)으로 토출된 페인트 용액은 회전축(611a)으로 유입된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사공(611b)을 통해 헤드부(611)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헤드부(611) 내부의 페인트 용액은 헤드부(611) 외주면에 형성된 제2분사공(611c)을 통해 새어나가면서 브러쉬(B)를 적신다. 이와 같이 브러쉬(B)에 페인트 용액이 묻어나면, 작업자는 도장 대상물에 헤드부(611)를 롤링하면서 도장 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브러쉬(B)에 페인트 용액이 소모되면, 작업자는 피스톤(200)을 몸체(100) 안으로 밀어 페인트 용액을 헤드부(611)의 내부로 보충한 후, 도장 작업을 다시 실시한다.
한편, 도장수단(600)이 스프레인 건(620)으로 사용될 경우, 도장장치의 결합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산방지 캡(630)을 고정블럭(120)의 가이드(121)에 결합시킨다. 비산방지 캡(630)은 가이드(121)의 삽입공(121a)에 삽입되어 토출캡(110)의 토출공(111)과 통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손잡이부(230)의 분사통로(240)를 차폐하고 있는 개폐캡(520)을 손잡이부(230)로부터 분리하고, 스프레이 건(620)을 피스톤(200) 손잡이부(230)의 분사통로(240)에 결합시킨다. 이때, 피스톤(200)은 몸체(100)의 내부공간(100a)으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이며, 손잡이부(240)의 분사통로(240)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스프레이 건(620)과 피스톤(200)은 서로 용이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레인 건(620)은 별도의 페인트 공급장치에 연결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스프레이 건(620)과 비산방지 캡(630)이 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스프레이 건(620)의 레버를 당겨 도장 대상물을 향해 페인트 용액을 분사시킨다. 이때, 페인트 용액은 스프레이 건(620)에 의해 피스톤(200)의 분사통로(240)를 통해 토출공(111)으로 토출되며, 토출된 페인트 용액은 비산방지 캡(630)에 의해 주변으로 과도하게 비산되지 않으므로, 도장장치는 페인트 용액 비산에 따른 주변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는 작업자가 하나의 몸체(100)에 페인트 롤러(610) 및 스프레이 건(620)을 각각 선택하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에 맞게 최적의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페인트 롤러(610)를 이용한 도장 작업시 페인트 롤러(610)를 페인트 통(T)에 침지시킬 필요 없이 피스톤 방식을 통한 페인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장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주변 작업 환경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00a : 내부공간
110 : 토출캡 111 : 토출공
120 : 고정블럭 121 : 가이드
121a : 삽입공 130 : 후단통공
131,211,232, : 오링 200 : 피스톤
210 : 패킹부 220 : 로드
230 : 손잡이부 231 : 나사홈
240 : 분사통로 300 : 흡입밸브
400 : 지지캡 410 : 지지공
500 : 피스톤 구속 캡 510 : 나사공
520 : 개폐캡 600 : 도장수단
610 : 페인트 롤러 611 : 헤드부
611a : 회전축 611b : 제분사공
611c : 제2분사공 612 : 연결관
620 : 스프레이 건 630 : 비산방지 캡
T : 페인트 통 B : 브러쉬

Claims (4)

  1. 선단부에는 토출공이 형성되며, 중공(中空)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양측이 관통된 페인트 분사통로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선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한 내부공간의 음압 발생에 의해 페인트 용액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설치된 흡입밸브; 및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된 페인트 용액이 도장면에 도색될 수 있도록 제공된 도장수단;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피스톤이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피스톤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 이동시 피스톤의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지지캡; 및
    상기 지지캡과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피스톤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피스톤 구속 캡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밸브는 몸체의 내부공간을 향해서만 개방되는 체크밸브이며,
    상기 도장수단은,
    상기 몸체 전방을 향해 확관 형태로 형성된 비산방지 캡;
    상기 몸체 밖으로 노출된 피스톤의 분사통로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의 분사통로를 향해 페인트 용액을 압송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스프레이 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은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구속 캡은 지지캡 및 피스톤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후단부와 상기 피스톤 구속 캡에는 각각, 상기 지지공에 대응되는 후단통공 및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KR1020220060927A 2022-05-18 2022-05-18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KR102445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27A KR102445665B1 (ko) 2022-05-18 2022-05-18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KR1020220096601A KR20230161303A (ko) 2022-05-18 2022-08-03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27A KR102445665B1 (ko) 2022-05-18 2022-05-18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601A Division KR20230161303A (ko) 2022-05-18 2022-08-03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665B1 true KR102445665B1 (ko) 2022-09-21

Family

ID=834528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927A KR102445665B1 (ko) 2022-05-18 2022-05-18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KR1020220096601A KR20230161303A (ko) 2022-05-18 2022-08-03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601A KR20230161303A (ko) 2022-05-18 2022-08-03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5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083B1 (ko) 2022-12-19 2023-04-06 주식회사 세원이앤티 해양 계류장치용 자동 표면처리 설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289Y1 (ko) * 1985-07-23 1990-01-30 장인국 분무기
KR200278112Y1 (ko) * 2002-01-22 2002-06-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레이 겸용 롤러붓
KR200438812Y1 (ko) * 2007-09-12 2008-03-06 김희준 페인트공급장치가 구비된 페인트롤러 및 페인트붓
KR20110108812A (ko) 2010-03-30 2011-10-06 (주)칠칠공사 스프링이 부착된 페인트 도색용 이중 롤러
KR102080073B1 (ko) * 2019-03-19 2020-02-21 최선미 페인트 자동 공급 롤러
KR102161397B1 (ko) 2020-03-16 2020-09-29 김소중 비산먼지 방지 페인트 스프레이 도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289Y1 (ko) * 1985-07-23 1990-01-30 장인국 분무기
KR200278112Y1 (ko) * 2002-01-22 2002-06-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레이 겸용 롤러붓
KR200438812Y1 (ko) * 2007-09-12 2008-03-06 김희준 페인트공급장치가 구비된 페인트롤러 및 페인트붓
KR20110108812A (ko) 2010-03-30 2011-10-06 (주)칠칠공사 스프링이 부착된 페인트 도색용 이중 롤러
KR102080073B1 (ko) * 2019-03-19 2020-02-21 최선미 페인트 자동 공급 롤러
KR102161397B1 (ko) 2020-03-16 2020-09-29 김소중 비산먼지 방지 페인트 스프레이 도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083B1 (ko) 2022-12-19 2023-04-06 주식회사 세원이앤티 해양 계류장치용 자동 표면처리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303A (ko) 202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809B1 (en) Multi-feed spray gun
KR102445665B1 (ko) 페인트 롤러 및 스프레이 건 겸용 도장장치
US2682273A (en) Apparatus for cleaning paint spray guns and the like
US4123005A (en) Acoustical texture applicator
CA2717749A1 (en) Disposable spray gun cartridge
JPH05111648A (ja) 新規な噴霧システム
KR101634298B1 (ko) 더블 벨컵
US3327949A (en) Spray gun
JPH05309299A (ja) 塗装ガン用塗布具
KR101016180B1 (ko) 히팅부가 구비된 스프레이건
ITMI971147A1 (it) Apparecchiatura di lavaggio automatica e manuale a funzionamento variabile per pistole a spruzzo e loro componenti
KR102080073B1 (ko) 페인트 자동 공급 롤러
KR100711084B1 (ko) 삼도형 분무기
JP3921105B2 (ja) 塗装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塗装装置
KR100834895B1 (ko) 삼도무늬형 분무기
JP2017170338A (ja) 塗装用工具及び塗装方法
KR20180131786A (ko) 고점도 액체의 현장 도포 건
US3059858A (en) Applicator system and fluid projecting gun therefor
KR20030033288A (ko) 수동식 페인트 공급장치
JPH11253842A (ja) 吹付装置
CN211217169U (zh) 一种光触媒喷涂装置
KR200278112Y1 (ko) 스프레이 겸용 롤러붓
RU2457041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картридж для пистолета-краскораспылителя
KR102275066B1 (ko) 공기압을 이용한 브러시 장착 수중 코팅 장치
WO2009036527A1 (en) Aerosol spray g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