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371B1 -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371B1
KR102445371B1 KR1020170169175A KR20170169175A KR102445371B1 KR 102445371 B1 KR102445371 B1 KR 102445371B1 KR 1020170169175 A KR1020170169175 A KR 1020170169175A KR 20170169175 A KR20170169175 A KR 20170169175A KR 102445371 B1 KR102445371 B1 KR 10244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input
input text
central axis
input device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920A (ko
Inventor
주시현
강내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371B1/ko
Priority to US16/023,265 priority patent/US10614330B2/en
Priority to DE102018117250.8A priority patent/DE102018117250A1/de
Publication of KR20190068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06V10/243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by compensating for image skew or non-uniform image defor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6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 G06V30/2268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using stroke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입력되더라도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변환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문자 인식률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은, 필기 입력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단계와; 기준 축 대비 상기 중심 축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상기 회전 각도 만큼 보정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축과 평행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 보정이 완료된 필기 입력 텍스트의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CHARACTER RECOGNITION METHOD OF A HANDWRITING INPUT DEVICE,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VEHICLE HAVING HANDWRITING INPUT DEVICE}
본 발명은 문자 인식에 관한 것으로, 필기 입력 텍스트의 문자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입력 장치는 버튼과 다이얼이 일반적이다. 또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방식의 입력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터치 방식의 입력 장치의 발전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인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다만, 사용자가 직접 수기로 입력하는 필기 입력의 경우 사용자의 자세 또는 필기 입력 장치의 위치 등의 제약으로 인해 필기 입력 텍스트가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입력될 수 있다.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어진 각도는 그 기울기로 인해 문자 인식률을 낮추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입력되더라도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변환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문자 인식률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은, 필기 입력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단계와; 기준 축 대비 상기 중심 축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상기 회전 각도 만큼 보정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축과 평행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 보정이 완료된 필기 입력 텍스트의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은, 수신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표 점 그룹으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에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대표 점의 집합이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은, 미리 정해진 픽셀 간격의 그리드 내에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로부터 상기 대표 점을 구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상기 대표 점을 구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상기 대표 점을 구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은, 상기 대표 점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대표점들 각각의 좌표에 대해 최소자승법을 실시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은, 상기 대표 점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대표점들 각각의 좌표에 대해 평균법을 실시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에서, 상기 중심 축의 산출은, 상기 필기 입력 텍스의 입력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기준 축에 대해 이루는 각이 예각 또는 둔각 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방향의 검출 결과와 상기 예각 또는 둔각 여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중심 축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에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일부분이 입력된 상태에서도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의 각도 판별 작업을 시작한다.
상술한 목적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는, 필기 입력 텍스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필기 입력부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고, 기준 축 대비 상기 중심 축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상기 회전 각도 만큼 보정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축과 평행하도록 하고, 상기 기울기 보정이 완료된 필기 입력 텍스트의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을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표 점 그룹으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에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대표 점의 집합이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픽셀 간격의 그리드 내에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로부터 상기 대표 점을 구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상기 대표 점을 구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상기 대표 점을 구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점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대표점들 각각의 좌표에 대해 최소자승법을 실시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점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대표점들 각각의 좌표에 대해 평균법을 실시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에서, 상기 중심 축의 산출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 텍스의 입력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기준 축에 대해 이루는 각이 예각 또는 둔각 인지를 검출하며, 상기 입력 방향의 검출 결과와 상기 예각 또는 둔각 여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중심 축을 산출한다.
상술한 필기 입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일부분이 입력된 상태에서도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의 각도 판별 작업을 시작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필기 입력 텍스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필기 입력부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고, 기준 축 대비 상기 중심 축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상기 회전 각도 만큼 보정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축과 평행하도록 하고, 상기 기울기 보정이 완료된 필기 입력 텍스트의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상술한 자동차에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을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표 점 그룹으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입력되더라도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변환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문자 인식률을 개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필기 입력 장치의 오른손 필기 입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필기 입력 장치의 왼손 필기 입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인식 방법의 필기 입력 텍스트의 회전 각도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필기 입력의 각도가 예각일 때의 회전 각도의 보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필기 입력의 각도가 둔각일 때의 회전 각도의 보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과 동반자석 사이의 공간에 필기 입력 장치(102)가 마련된다.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필기 입력이 가능한 위치에 필기 입력 장치(10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기 입력 장치(102)는 필기 입력부(104)와 조작부(106)를 포함한다. 필기 입력부(104)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하여 필기 입력을 수행하는 곳이다. 조작부(106)는 필기 입력부(104)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필기 입력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 X축 및 Y축은 필기 입력 장치(102)에 설정되어 있는 좌표계를 표시한 것이다. 이 좌표계가 필기 입력 장치(102)의 외부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필기 입력 장치(102)의 내부적으로 이 좌표계를 기준으로 필기 입력 결과물의 전반적인 입력 각도가 측정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필기 입력 장치의 오른손 필기 입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차의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가 운전석과 동반자석 사이에 위치한 필기 입력 장치(102)의 필기 입력부(104)를 터치하여 필기 입력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오른손(202)은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위치에서 점선(204)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방향으로 필기 입력이 이루어진다. 물론 사용자의 신장과 팔 길이와 같은 신체적 특징의 차이에 따라 오른손(202)의 위치 및 방향이 도 2(A)에 나타낸 것과 다소 다를 수는 있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오른손의 위치 및 방향에서 입력되는 필기 입력의 결과물이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오른손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필기 입력의 결과물은 X축으로부터 각도 Θ1(예각)만큼 회전한(기울어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X축으로부터 각도 Θ1(예각)만큼 회전한 상태의 필기 입력 결과물은 그 기울어짐으로 인해 문자 인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필기 입력 결과물의 회전 각도 Θ1을 보정하여 X축에 평행하게 변환한 후 문자 인식을 실시함으로써 문자 인식률을 개선한다.
필기 입력 결과물의 회전 각도는 필기 입력된 문자 각각의 회전 각도가 아니라 필기 입력 결과물 전체가 형성하는 대표 회전 각도이다. 도 2에 나타낸 필기 입력 결과물 "Cursive simple"을 예로 들면, 'C'나 'u', 'r' 각각의 회전 각도가 아니라 "Cursive simple"이라는 필기 입력 결과물 전체가 형성하는 대표 회전 각도를 필기 입력 결과물의 회전 각도(예를 들면 Θ1)로 정의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필기 입력 장치의 왼손 필기 입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차의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가 운전석과 동반자석 사이에 위치한 필기 입력 장치(102)의 필기 입력부(104)를 터치하여 필기 입력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왼손(202)은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위치에서 점선(304)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방향으로 필기 입력이 이루어진다. 물론 사용자의 신장과 팔 길이와 같은 신체적 특징의 차이에 따라 왼손(302)의 위치 및 방향이 도 3(A)에 나타낸 것과 다소 다를 수는 있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왼손의 위치 및 방향에서 입력되는 필기 입력의 결과물이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필기 입력의 결과물은 X축으로부터 각도 180+Θ1(둔각)만큼 회전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X축으로부터 각도 180+Θ1(둔각)만큼 회전한 상태의 필기 입력 결과물은 그 기울어짐으로 인해 문자 인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필기 입력 결과물의 회전 각도 180+Θ1을 보정하여 X축에 평행하게 변환한 후 문자 인식을 실시함으로써 문자 인식률을 개선한다.
필기 입력 결과물의 회전 각도는 필기 입력된 문자 각각의 회전 각도가 아니라 필기 입력 결과물 전체가 형성하는 대표 회전 각도이다. 도 3에 나타낸 필기 입력 결과물 "Cursive simple"을 예로 들면, 'C'나 'u', 'r' 각각의 회전 각도가 아니라 "Cursive simple"이라는 필기 입력 결과물 전체가 형성하는 대표 회전 각도를 필기 입력 결과물의 회전 각도(예를 들면 Θ2)로 정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필기 입력 장치(102)의 제어부(402)는 필기 입력 장치(10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필기 입력 장치(102)에 필기 방식으로 입력되는 텍스의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그 결과물을 출력한다. 필기 입력부(104)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하여 필기 입력을 수행하는 곳이다. 조작부(106)는 필기 입력부(104)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필기 입력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 인식 방법의 필기 입력 텍스트의 회전 각도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필기 입력의 각도가 예각일 때의 회전 각도의 보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필기 입력의 각도가 둔각일 때의 회전 각도의 보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필기 입력을 위해 필기 입력 장치(102)의 조작부(106)를 조작하여 필기 입력부(104)를 활성화시키면 필기 입력 활성화 명령이 생성된다. 필기 입력 장치(102)의 제어부(40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필기 입력부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필기 입력부(104)를 활성화시킨다(502).
이어서 사용자는 필기 입력 장치(102)의 필기 입력부(104)를 터치하여 필기 입력을 실시한다.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발생하면 필기 입력 장치(102)는 필기 입력을 수신한다(506).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필기 입력의 시작을 알리는 필기 입력 시작 알림과 필기 입력의 종료를 알리는 필기 입력 종료 알림을 수반할 수 있다. 필기 입력의 시작과 종료의 알림은 앞서 설명한 필기 입력 장치(102)의 조작부(106)의 조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필기 입력 장치(102)의 제어부(402)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필기 입력 시작 알림과 필기 입력 종료 알림 사이에 입력되는 내용을 사용자의 유효 필기 입력으로 인식한다. 도 6(A)는 필기 입력이 완료된 텍스트(602)를 나타낸다. 필기 입력은 "Cursive"의 'C'에서 시작하여 "simple"의 'e'에서 종료된다.
도 5로 돌아와서, 필기 입력 장치(102)의 제어부(402)는 필기 입력이 완료된 텍스트를 대상으로 대표 점 그룹을 산출한다(510). 또는 필기 입력 텍스트가 온전히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미리 설정된 수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면 즉시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의 각도를 판별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ursive Simple"에서 'Cu' 또는 'C'만 입력되어도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의 각도를 판별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도 6(B)에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대표 점 그룹(604)을 나타내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기 입력 텍스트(602)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크기와 모양, 위치에 따라 대표 점의 분포가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대표 점의 산출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필기 입력부(104)에는 내부적으로 일정 픽셀 간격의 그리드(grid)가 설정된다. 필기 입력이 완료되면, 각 그리드 내에서 필기 입력 텍스트(602)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를 구하고, 좌표의 평균 값 또는 중심 점 등을 기준으로 복수의 대표 점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Cursive"의 'C'가 차지하는 면적의 좌표의 평균 값을 대표 점을 인정하거나, 또는 'C'가 차지하는 면적의 중심 점을 대표 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복수의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복수의 대표 점이 산출되며, 한 그룹의 텍스트의 대표 점들을 하나의 대표 점 그룹으로 묶어서 취급한다.
도 5로 돌아와서, 복수의 대표 점으로 구성되는 대표 점 그룹(604)의 산출이 완료되면, 필기 입력 장치(102)의 제어부(402)는 대표 점 그룹(604)의 중심 축을 산출한다(512). 도 6(C)에 대표 점 그룹(604)의 중심 축(606)을 나타내었다. 중심 축(606)은 대표 점 그룹(604)에 나타나는 선형성(Linearity)을 대표하는 선분을 의미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중심 축(606)은 필기 입력 텍스트(602) 전체가 형성하는 선형성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 중심 축(606)의 회전 각도를 통해 필기 입력 텍스트(606)의 회전 각도를 추정한다. 중심 축(606)의 산출을 위해 대표 점 그룹(604)을 구성하는 각 대표 점들의 좌표(위치)를 대상으로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 또는 평균법(Average Method)을 실시할 수 있다.
도 5로 돌아와서,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중심 축(606)이 구해지면, 필기 입력 장치(102)의 제어부(402)는 기준 축 대비 중심 축(606)의 회전 각도(Θ)를 산출한다(514). 도 7(A)의 경우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회전 각도는 Θ1이다. 즉, 필기 입력 텍스트(602)는 X축 대비 Θ1만큼 기울어져 있다. 도 8(A)의 경우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회전 각도는 180+Θ2이다. 즉, 필기 입력 텍스트(602)는 X축 대비 180+Θ2만큼 기울어져 있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은 필기 입력의 경우 입력 방향을 고려하지 않으면 위-아래가 뒤집어진 채 필기 입력의 문자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확한 문자 인식 결과물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확한 문자 인식을 위해서는 필기 입력 방향을 고려하여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중심 축(606)이 Y축과 평행하거나(90도) 또는 -Y축과 평행하면(270도) 대표 점을 추출하기 위한 그리드의 수가 적어져서 정확한 중심 축(606)을 산출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모두에서 대표 점 그룹(604)을 산출한 후 여기에 필기 입력 방향을 더 고려하여 필기 입력 방향에 부합하는 방향의 대표 점 그룹(604)을 적용하면 실제의 필기 입력 방향과 일치하는 정확한 중심 축(606)의 산출이 가능하다.
또한, 그리드를 이용한 대표 점의 산출을 대신하여 좌표 입력 수 또는 일정한 시간 인터벌, 필기 입력의 획의 구분을 기준으로 대표 점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대표 점 산출 방법을 통해 각 문자 별 구분이 어려운 경우에도 높은 문자 인식률을 기대할 수 있다.
도 5로 돌아와서, 이와 같이 필기 입력 텍스트(602)가 기준 축인 X축 대비 Θ1 또는 180+Θ2만큼 기울어져 있음을 알게 되면, 필기 입력 장치(102)의 제어부(402)는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기울기를 회전 각도(Θ1 또는 180+Θ2) 만큼 보정하여 기준 축인 X축에 평행한 정상 각도로 변환한다(516). 즉, 제어부(402)가 필기 입력 텍스트(602)를 회전 각도(Θ1 또는 180+Θ2) 만큼 역회전시키면(즉 -Θ1 또는 -180-Θ2만큼 회전시키면)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기울기는 X축에 평행해질 수 있다. 도 7(B) 및 도 8(B)에 회전 각도의 보정이 완료되어 정상화된 필기 입력 텍스트(602)를 나타내었다.
도 5로 돌아와서,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회전 각도의 보정이 완료되면, 필기 입력 장치(102)의 제어부(402)는 회전 각도의 보정이 완료된 필기 입력 텍스트(602)를 대상으로 문자 인식을 수행한다(518).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기울기가 기준 축인 X축과 평행하게 정상화되었으므로, 제어부(602)는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필기 입력 텍스트(602)의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인식 결과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 필기 입력 장치
104 : 필기 입력부
106 : 조작부
202, 302 : 사용자의 손
402 : 제어부
602 : 필기 입력 텍스트
604 : 대표 점 그룹
606 : 대표 점 그룹의 중심 축

Claims (22)

  1. 필기 입력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입력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단계와;
    기준 축 대비 상기 중심 축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상기 회전 각도 만큼 보정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축과 평행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 보정이 완료된 필기 입력 텍스트의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일부분이 입력된 상태에서도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의 각도 판별 작업을 시작하는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표 점 그룹으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대표 점의 집합인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픽셀 간격의 그리드 내에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로부터 상기 대표 점을 구하는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상기 대표 점을 구하는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상기 대표 점을 구하는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점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대표점들 각각의 좌표에 대해 최소자승법을 실시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점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대표점들 각각의 좌표에 대해 평균법을 실시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축의 산출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입력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기준 축에 대해 이루는 각이 예각 또는 둔각 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방향의 검출 결과와 상기 예각 또는 둔각 여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중심 축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10. 삭제
  11. 필기 입력 텍스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필기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고, 기준 축 대비 상기 중심 축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상기 회전 각도 만큼 보정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축과 평행하도록 하고, 상기 기울기 보정이 완료된 필기 입력 텍스트의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일부분이 입력된 상태에서도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의 각도 판별 작업을 시작하는 필기 입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을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표 점 그룹으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필기 입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은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대표 점의 집합인 필기 입력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픽셀 간격의 그리드 내에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로부터 상기 대표 점 그룹을 구하는 필기 입력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상기 대표 점을 구하는 필기 입력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자들 각각의 좌표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상기 대표 점을 구하는 필기 입력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점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대표점들 각각의 좌표에 대해 최소자승법을 실시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필기 입력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점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대표점들 각각의 좌표에 대해 평균법을 실시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필기 입력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축의 산출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입력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기준 축에 대해 이루는 각이 예각 또는 둔각 인지를 검출하며, 상기 입력 방향의 검출 결과와 상기 예각 또는 둔각 여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중심 축을 산출하는 필기 입력 장치.
  20. 삭제
  21. 필기 입력 텍스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필기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고, 기준 축 대비 상기 중심 축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를 상기 회전 각도 만큼 보정하여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축과 평행하도록 하고, 상기 기울기 보정이 완료된 필기 입력 텍스트의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 입력 장치는,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일부분이 입력된 상태에서도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의 각도 판별 작업을 시작하는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대표 점 그룹을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표 점 그룹으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텍스트의 중심 축을 산출하는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KR1020170169175A 2017-12-11 2017-12-11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KR10244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75A KR102445371B1 (ko) 2017-12-11 2017-12-11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US16/023,265 US10614330B2 (en) 2017-12-11 2018-06-29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of handwriting input device,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DE102018117250.8A DE102018117250A1 (de) 2017-12-11 2018-07-17 Zeichenerkennungsverfahren einer handschrifteingabevorrichtung, handschrifteingabevorrichtung und fahrzeug, welches die handschrifteingabevorrichtung aufwe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75A KR102445371B1 (ko) 2017-12-11 2017-12-11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920A KR20190068920A (ko) 2019-06-19
KR102445371B1 true KR102445371B1 (ko) 2022-09-20

Family

ID=6662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175A KR102445371B1 (ko) 2017-12-11 2017-12-11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14330B2 (ko)
KR (1) KR102445371B1 (ko)
DE (1) DE1020181172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7258B2 (en) * 2018-06-05 2021-05-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lignment of user input on a screen
JP7388153B2 (ja) * 2019-11-27 2023-11-29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494B2 (ja) 1999-05-19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文字認識装置及びその文字認識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50828B2 (ja) 1999-10-01 2009-04-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文字認識装置
AUPR824301A0 (en) * 2001-10-15 2001-11-0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s and systems (npw001)
KR100928271B1 (ko) 2007-01-27 2009-11-24 (주) 아이.에스.브이. 파지 각도 보정 광학 펜형 마우스
JP5582674B2 (ja) 2007-07-20 2014-09-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文字データの生成装置および生成方法、文字データ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90132714A (ko) * 2008-06-23 2009-12-31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 인식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문자 입력장치
US8224092B2 (en) * 2008-07-08 2012-07-17 Xerox Corporation Word detection method and system
KR101035739B1 (ko) 2009-02-13 2011-05-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 인식의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
KR20130089486A (ko) 2012-02-02 2013-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US8977042B2 (en) 2012-03-23 2015-03-10 Microsoft Corporation Rotation-free recognition of handwritten characters
KR20150024107A (ko) * 2013-08-26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17250A1 (de) 2019-06-13
US10614330B2 (en) 2020-04-07
US20190180127A1 (en) 2019-06-13
KR20190068920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602B1 (ko) 제스처를 이용한 생체 인증
JP4274997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操作入力方法
TWI497402B (zh) 手寫輸入識別系統及方法
KR102061863B1 (ko) 터치 감지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50193037A1 (en) Input Apparatus
KR102445371B1 (ko)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WO2019223461A1 (zh) 一种触摸检测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83640B2 (en) Position detection circuit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in which line electrode of capacitive touch sensor is determined to be anomalous or possibly anomalous
JP5712339B1 (ja)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02874B2 (ja) 電子機器、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735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use pointer to automatically follow cursor
CN102270071B (zh) 多点触摸识别方法及装置
US20160092023A1 (en) Touch panel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touch position coordinate of touch panel
JP2009237836A (ja) 手書き入力パネルを備えた車載用電子装置
KR101701207B1 (ko) 터치 스크린의 입력 좌표 보정 장치 및 그 보정 방법
KR101233424B1 (ko) 필기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
JP6700485B2 (ja) マルチタッチ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タッチ認識方法
JP7094631B2 (ja) 入力装置
JP6234283B2 (ja) 入力装置及び車両用操作装置
JP5151928B2 (ja)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CN111399671B (zh) 具有倾斜补偿功能的笔型鼠标
JP5805910B2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JP6126904B2 (ja) 電子機器、軌跡補正方法、プログラム
US20170032496A1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2637527B1 (ko)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