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140B1 -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 및 이러한 건축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 및 이러한 건축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140B1
KR102445140B1 KR1020197035719A KR20197035719A KR102445140B1 KR 102445140 B1 KR102445140 B1 KR 102445140B1 KR 1020197035719 A KR1020197035719 A KR 1020197035719A KR 20197035719 A KR20197035719 A KR 20197035719A KR 102445140 B1 KR102445140 B1 KR 10244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mesh
frame
facing sid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888A (ko
Inventor
야콥 요른 리베르
미켈 톨담 콜스가드
Original Assignee
크바드라트 소프트 셀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바드라트 소프트 셀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크바드라트 소프트 셀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00028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2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a closed frame around the periphe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being la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 E04B9/125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both members being continuous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 E04F13/005Stretched foil- or web-like elements attached with edge grip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2009/049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with fabrics tensioned on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2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nging at a distance below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건축 패널(1)은 건축 패널의 골조(2)가 방-지향측(3) 및 건물-지향측(4)을 갖도록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텍스타일(5)이 골조(2)의 방-지향측(3)에 걸쳐 연장되고, 골조(2)에 대면하는 제1 표면(6) 및 상기 방으로부터 일반적으로 가시화되는 제2 표면(7)을 갖는다. 메시(8)가 텍스타일(5)의 제1 표면(6) 상에 적층되고 다수의 커넥터(9)에 의해 골조(2)에 부착된다. 각각의 커넥터(9)는 메시(8)의 부분과 텍스타일(5) 사이에 삽입된 그립퍼의 형태의 제1 단부(10) 및 골조(2)에 부착된 제2 단부(13)를 갖는다.

Description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 및 이러한 건축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건축 패널(building panel)의 골조(framework)가 방-지향측 및 건물-지향측을 갖도록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텍스타일(textile)은 골조의 방-지향측에 걸쳐 연장되고, 텍스타일은 골조에 대면하는 제1 표면 및 상기 방으로부터 일반적으로 가시화되는 제2 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건축 패널은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예를 들어, 강당, 오픈 플랜(open-plan) 사무실 등 내의 내부 표면을 커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건축 및 인테리어 디자인과 같은 이러한 분야에서, 방 내에 배치된 천장, 벽 또는 파티션과 같은, 방의 경계의 커버링을 위한 패널에 대한 요구가 종종 존재한다. 이러한 패널은 순전히 미관 목적으로 기능할 수 있지만, 또한 예를 들어 방의 음향 및 열적 특성에 관한, 방의 특성을 능동적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WO 2005/073482 A2호는 현수된 천장을 위한 건축 패널의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각각의 건축 패널은 프로파일 부재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건축 패널의 방-지향측은 프로파일 부재들 사이에 현수된 텍스타일에 의해 형성된다. 상이한 인장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이에 의해 텍스타일은 프레임의 개구에 걸쳐 균일하게 신장되고 이에 의해 방으로부터 가시적인 평활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시된 건축 패널은 평활한 편평한 텍스타일 표면이 요구될 때 우수한 반면에, 이들 건축 패널은 일반적으로 만곡된 텍스타일 표면이 요구되면 적합하지 않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 건축 패널이 비교적 크도록 요구되면, 대응적으로 큰 인장력이 텍스타일을 적절하게 신장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며, 매우 큰 건축 패널의 경우에, 텍스타일의 중량은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서 텍스타일을 불가피하게 내리 누를 것이고, 편평한 텍스타일 표면을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건축 및 인테리어 디자인의 분야에서, 만곡된 및/또는 매우 큰 건축 패널은 미관 또는 실용 목적과 같은 상이한 이유로 요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원하는 크기의 편평한 또는 평활하게 만곡된 텍스타일 표면을 연장하기 위해 적합한 건축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의 견지에서, 메시가 텍스타일의 제1 표면 상에 적층되고, 메시는 다수의 커넥터에 의해 골조에 부착되고, 각각의 커넥터는 메시의 부분과 텍스타일 사이에 삽입된 그립퍼의 형태의 제1 단부 및 골조에 부착된 제2 단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메시 및 메시와 적층된 텍스타일은, 표면 윤곽이 편평하건, 오목하건 또는 볼록하건간에 메시와 텍스타일이 골조의 표면 윤곽을 따르게 하기 위해 적합한 지점에서 골조에 부착될 수도 있다. 텍스타일의 증가된 중량이 대응적으로 증가된 수의 커넥터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기 때문에, 골조는 임의의 원하는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커넥터의 제1 단부를 형성하는 그립퍼가 메시의 부분과 텍스타일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그립퍼는 방으로부터 가시화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넥터의 제1 및 제2 단부는 인장된 스프링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를 적응함으로써, 메시 및 텍스타일은 골조의 표면 윤곽을 더욱 더 양호한 방식으로 원활하게 따를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넥터는 커넥터의 제1 단부에서 그립퍼를 형성하는 제1 후크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단부를 갖고 커넥터의 제2 단부에서 제2 후크와 일체로 형성된 제2 단부를 갖는 인장 코일 스프링의 형태를 갖고, 제2 후크는 골조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 코일의 각각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후크를 갖는 표준 인장 코일 스프링이 커넥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메시는 탄성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메시는 골조에 부착되기 전에, 그 이완 상태에 있을 때,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메시 및 텍스타일은, 가능하게는 골조의 부분을 텍스타일의 제2 표면 상에 드러내는 굴곡부 또는 주름부를 형성하지 않고, 더욱 더 양호한 방식으로 골조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를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메시의 강성은 텍스타일의 제2 표면이 평활하고 균일한 방식으로 연장하도록 텍스타일의 강성 및 면적 중량에 적응된다. 이에 의해, 메시 및 텍스타일은 골조의 표면 윤곽을 더욱 더 양호한 방식으로 원활하게 따를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메시는 접착제에 의해 텍스타일의 제1 표면 상에 적층되어 있고, 접착제는 메시 개구에 의해 커버된 텍스타일을 커버하지 않거나 단지 일부만을 커버한다. 이에 의해, 텍스타일의 기공이 접착제에 의해 막히는 것이 회피될 수도 있고, 따라서 건축 패널에 의해 건물의 음향 및 열적 쾌적성을 균형화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메시는 열 적층에 의해 텍스타일의 제1 표면 상에 적층되어 있고, 슬릿 필름 네트 또는 웨브의 형태의 열 활성화 접착제가 메시와 텍스타일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이에 의해, 텍스타일 상의 메시의 적층이 용이해질 수도 있고, 슬릿 필름 네트 또는 웨브에 의해, 접착제가 메시 개구에 의해 커버된 텍스타일을 커버하지 않거나 단지 일부만을 커버하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텍스타일의 기공이 접착제에 의해 막히는 것이 회피될 수도 있고, 따라서 건축 패널에 의해 건물의 음향 및 열적 쾌적성을 균형화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골조의 방-지향측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 영역을 포함하고, 골조의 방-지향측의 각각의 오목 영역에서, 메시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의해 골조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다양한 만곡된 표면을 갖는 건축 패널이 제공될 수도 있고, 여기서 메시와 텍스타일이 골조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르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골조의 방-지향측의 오목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메시와 텍스타일이 골조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르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고, 골조의 방-지향측의 편평 또는 볼록 영역에서, 적어도 메시는 골조의 방-지향측의 주위 오목 영역에서 커넥터에 의해 골조에 부착될 수도 있기 때문에, 메시 및 텍스타일은 또한 골조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를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텍스타일의 제2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볼록 영역을 포함하고, 적어도 텍스타일의 제2 표면의 각각의 오목 영역에서, 메시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의해 골조에 부착된다.
구조적으로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골조는 메시와 텍스타일의 라미네이트에 의해 이어지는 표면 윤곽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형 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메시는 텍스타일이 또한 십자형 보들 사이에 형성된 영역에서 골조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르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다.
구조적으로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보는 보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커넥터의 제2 단부가 보와의 연결을 위해 결합할 수도 있는 다수의 고정 절결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는 건축 패널을 조립할 때 적합한 위치에 용이하게 배열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텍스타일이 실제로 원활하게 골조의 표면 윤곽을 따르는 것이 시각적 피드백에 의해 보장될 수도 있다. 고정 절결부에 의해, 커넥터는 부가의 요소의 필요 없이 골조와 용이하게 결합하게 될 수도 있다.
구조적으로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고정 절결부에서, 커넥터 절결부가 보의 에지에 형성되고, 상기 에지는 메시와 텍스타일의 라미네이트를 지지하고, 커넥터 절결부는 메시를 골조에 부착하는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커넥터는 고정 절결부와 메시 사이로 자유롭게 연장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커넥터가 적합한 방식으로 메시와 텍스타일을 자유롭게 인장하여 메시와 텍스타일이 골조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르게 되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골조는 프로파일 부재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고,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는 프로파일 부재의 방-지향측을 프로파일 부재의 건물-지향측과 연결하는 라운딩된 외부 에지를 갖고, 텍스타일은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대해 굴곡되고, 텍스타일의 에지부는 프로파일 부재의 건물-지향측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건축 패널의 에지가 평활하고 단지 텍스타일만이 가시화되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대해 굴곡된 텍스타일의 에지부는 메시와 적층되지 않아, 메시의 경계가 프로파일 부재의 방-지향측의 옆에 위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텍스타일이 메시의 강성에 독립적으로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를 원활하게 따르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메시 및 텍스타일이 골조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르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메시가 다소 강성인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그렇지 않으면 텍스타일이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를 원활하게 따르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대해 굴곡된 텍스타일의 부분이 메시와 적층되지 않을 때 특히 유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건축 패널의 골조가 방-지향측 및 건물-지향측을 갖도록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텍스타일이 골조의 방-지향측에 걸쳐 연장되고, 텍스타일은 골조에 대면하는 제1 표면 및 상기 방으로부터 일반적으로 가시화되는 제2 표면을 갖는다.
방법은, 골조의 방-지향측에 걸쳐 텍스타일을 연장하기 전에, 메시가 텍스타일의 제1 표면 상에 적층되고, 골조의 방-지향측에 걸쳐 텍스타일을 연장한 후에, 메시는 다수의 커넥터에 의해 골조에 부착되고, 각각의 커넥터는 메시의 부분과 텍스타일 사이에 삽입된 그립퍼의 형태의 제1 단부 및 골조에 부착된 제2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술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넥터의 제1 및 제2 단부는 커넥터에 의한 골조로의 메시의 부착에 의해 인장되는 각각의 스프링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전술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메시는 접착제에 의해 텍스타일의 제1 표면 상에 적층되어, 접착제가 메시 개구에 의해 커버된 텍스타일을 커버하지 않거나 단지 일부만을 커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전술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메시는 열 적층에 의해 텍스타일의 제1 표면 상에 적층되어 있고, 슬릿 필름 네트 또는 웨브의 형태의 열 활성화 접착제가 메시와 텍스타일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술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골조의 방-지향측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 영역을 포함하고, 골조의 방-지향측의 각각의 오목 영역에서, 메시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의해 골조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전술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골조는 메시와 텍스타일의 라미네이트에 의해 이어질 표면 윤곽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형 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보는 보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 절결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커넥터의 제2 단부는 보와의 연결을 위해 각각의 고정 절결부와 결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전술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고정 절결부에서, 커넥터 절결부가 보의 에지에 형성되고, 메시와 텍스타일의 라미네이트는 상기 에지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열되고, 각각의 커넥터는 골조에 메시를 부착하기 위해 각각의 커넥터 절결부에 배열된다. 이에 의해, 전술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골조는 프로파일 부재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고,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는 프로파일 부재의 방-지향측을 프로파일 부재의 건물-지향측과 연결하는 라운딩된 외부 에지를 갖고, 텍스타일은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대해 굴곡되고, 텍스타일의 에지부는 프로파일 부재의 건물-지향측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전술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텍스타일은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대해 굴곡되고 커넥터에 의해 골조에 메시를 부착한 후에 프로파일 부재의 건물-지향측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텍스타일의 에지부가 프로파일 부재의 건물-지향측에 고정되기 전에, 모든 방향에서 메시 및 텍스타일의 치수가 골조의 표면 윤곽에 적합되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메시 및 텍스타일은 골조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를 수도 있고, 텍스타일은 굴곡부 또는 주름부를 형성하지 않고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적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대해 텍스타일을 굴곡하기 전에, 상기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대해 굴곡되어야 하는 텍스타일의 에지부가 메시로부터 층간 박리되고, 메시의 층간 박리된 에지부가 절단되어, 텍스타일의 에지부가 상기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대해 굴곡되고 프로파일 부재의 건물-지향측에 고정될 때, 메시의 경계가 프로파일 부재의 방-지향측의 옆에 위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전술된 특징들이 얻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메시 및 텍스타일의 치수는 골조 상에 메시 및 텍스타일의 장착 중에, 골조 및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에 적응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정확한 치수가 용이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이제 매우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의 실시예의 부분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축 패널의 부분의 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건축 패널의 부분의 아래로부터 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의 골조의 방-지향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의 메시 및 텍스타일의 라미네이트의 부분의 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건축 패널의 부분을 더 큰 축척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1의 건축 패널의 부분의 상세의 위로부터 본 더 큰 축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용 메시 및 텍스타일의 적층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방의 도시되지 않은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1)의 실시예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방 내의 그 장착 상태에서, 건축 패널(1)은 방-지향측(3) 및 건물-지향측(4)을 갖는 골조(2)를 갖는다. 도 1에서, 건축 패널(1)은 천장에 장착될 때 그 장착 위치에 비교하여 상하 전복되어 도시되어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1의 건축 패널의 부분의 위로부터 본 사시도인 도 2에서, 패널(1)은 천장에 장착될 때 그 정확한 장착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패널(1)의 골조(2)는 브래킷, 와이어 등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수단에 의해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될 수도 있다. 골조(2)는 예를 들어 암면의 매트와 같은 흡음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텍스타일(5)이 골조(2)의 방-지향측(3)에 걸쳐 연장되고, 텍스타일(5)은 골조(2)에 대면하는 제1 표면(6) 및 패널이 방의 벽 또는 천장에 장착될 때 방으로부터 일반적으로 가시화되는 제2 표면(7)을 갖는다. 더욱이, 골조(2)의 방-지향측(3)에 걸쳐 텍스타일(5)을 연장하기 전에, 메시(8)가 텍스타일(5)의 제1 표면(6) 상에 적층되어 있다. 메시(8)는 그 중 하나가 도 7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다수의 커넥터(9)에 의해 골조(2)에 부착된다. 각각의 커넥터(9)는 메시(8)의 부분(12)과 텍스타일(5) 사이에 삽입된 그립퍼(11)의 형태의 제1 단부(10) 및 골조(2)에 부착된 제2 단부(13)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커넥터(9)의 제1 및 제2 단부(10, 13)는 그 장착 상태에서 인장되어 있는 스프링(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넥터(9)는 커넥터(9)의 제1 단부(10)에서 그립퍼(11)를 형성하는 제1 후크(34)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단부를 갖고 커넥터(9)의 제2 단부(13)에서 제2 후크(35)와 일체로 형성된 제2 단부를 갖는 표준 인장 코일 스프링(15)의 형태를 갖고, 제2 후크(35)는 골조(2)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코일을 형성하는 금속 스레드 또는 와이어의 각각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후크를 갖는 상업적으로 즉시 입수 가능한 표준 인장 코일 스프링이 커넥터(9)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시(8)는 탄성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메시(8)가 골조(2)에 부착되기 전에, 그 이완 상태에 있을 때, 이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메시(8) 및 텍스타일(5)은, 가능하게는 골조의 부분을 텍스타일(5)의 제2 표면(7)으로부터 가시화되게 하는 굴곡부 또는 주름부를 형성하지 않고, 더욱 더 양호한 방식으로 골조(2)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를 수도 있다. 메시(8)의 강성은 유리하게는 텍스타일(5)의 제2 표면(7)이 평활하고 균일한 방식으로 연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텍스타일(5)의 강성 및 면적 중량에 적응될 수도 있다.
메시(8)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금속과 같은, 주로 강성 및 면적 중량의 견지에서 적합한 임의의 재료가 채용될 수도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메시(8)는 모노필라먼트 폴리에스터 메시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메시(8)가 모노필라먼트 메시로서 형성되면, 모노필라먼트는 예를 들어 약 0.1 밀리미터 내지 약 3.0 밀리미터, 및 바람직하게는 약 0.5 밀리미터 내지 약 2.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모노필라먼트 또는 와이어 직경에 독립적으로, 메시(8)는 예를 들어, 약 1.0 밀리미터 내지 약 20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약 1.0 밀리미터 내지 약 10 밀리미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밀리미터 내지 약 7 밀리미터의 최소 개구 또는 스페이스 클로스(space cloth)를 가질 수도 있다. 개구 또는 스페이스 클로스는 인접한 평행한 모노필라먼트 또는 와이어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된다.
골조(2)의 방-지향측(3)에 걸쳐 연장되는 텍스타일(5)은 천연 또는 인공 섬유, 얀(yarn) 또는 스레드에 의해 형성된 가요성 재료의 형태의 부직조 또는 직조 직물일 수도 있다. 텍스타일(9)은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그를 통해 확산하게 하는 재료 또는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메시(8)는 접착제(16)가 메시 개구(17)에 의해 커버된 텍스타일(5)을 커버하지 않거나 단지 일부만을 커버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제(16)에 의해 텍스타일(5)의 제1 표면(6) 상에 적층되어 있다. 메시 개구(17)는 도 5에 가장 양호하게 가시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텍스타일(5)의 기공이 접착제(16)에 의해 막히는 것이 회피될 수도 있고, 따라서 건축 패널(1)에 의해 건물의 음향 및 열적 쾌적성을 균형화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1)용 메시(8) 및 텍스타일(5)의 바람직한 적층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좌측에는 텍스타일(5)의 롤(36), 슬릿 필름 네트 또는 웨브의 형태의 열 활성화 접착제(16)의 롤(37) 및 메시(8)의 롤(38)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우측에는 메시(8)와 텍스타일(5)의 완성된 라미네이트(22)의 롤(39)이 도시되어 있다. 적층 프로세스 중에, 텍스타일(5), 접착제(16) 및 메시(8)의 층은 무단 압력 블랭킷(40)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열 활성화 접착제(16)는 가열 요소(41)에 의해 활성화되고, 그 후에 라미네이트는 롤러(39) 상에 롤업되기 전에 냉각 요소(42)에 의해 냉각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열 활성화 접착제(16)는 슬릿 필름 네트 또는 웨브의 형태를 갖는데, 이는 슬릿이 접착 필름 내에 형성되어 있어, 이에 의해 접착제(16)가 메시 개구(17)에 의해 커버된 텍스타일(5)을 커버하지 않거나 단지 일부만을 커버하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는 개구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텍스타일의 기공이 접착제에 의해 막히는 것이 회피될 수도 있고, 따라서 건축 패널(1)에 의해 건물의 음향 및 열적 쾌적성을 균형화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물론, 메시(8)와 텍스타일(5)의 다양한 다른 적층 프로세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압력 블랭킷(40)을 채용하는 대신에, 라미네이트와 직접 접촉하는 가열된 압력 롤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2)는 메시(8)와 텍스타일(5)의 라미네이트(22)에 의해 이어질 표면 윤곽(21)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형 보(19, 20)를 포함한다. 보(19, 20)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19, 20)는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지만, 십자형 보(19, 20) 사이의 각도는 90도와는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도는 약 45도, 70도 또는 80도일 수 있다. 도 3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배열된 보(19, 20)는, 보(19, 20)가 골조(2)의 방-지향측(3) 및 골조(2)의 건물-지향측(4) 각각으로부터 보(19, 20)를 통해 측방향으로 적어도 대략 절반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대응 슬릿(44)을 구비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서로 직각으로 배열된 2개의 보(19, 20)의 대응 슬릿(44)에서, 슬릿에 의해 절단되어 있지 않은 측방향에서의 보(19, 20)의 나머지 부분(45)은 다른 보(19, 20)의 대응 슬릿과 결합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로 직각으로 배열된 2개의 보(19, 20)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연결편(46)이 2개의 보(19, 20) 사이의 연결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연결편(46)은 각형성된 보(19, 20) 사이의 모든 연결부에, 또는 단지 몇몇 연결부에만 배열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골조(2)의 코너 연결부에서, 연결편(4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다. 연결편(46)은 서로에 관하여 직각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2개의 보(19, 20) 내의 대응 잠금 슬릿(48) 내로 끼워지는 2개의 잠금 탭(47)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탭(47)이 대응 잠금 슬릿(48)을 통해 삽입될 때, 각각의 잠금 탭(47)의 바람직하게 테이퍼진 부분(49)이 잠금 탭(47)의 나머지 부분에 관하여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굴곡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잠금 슬릿 내에 잠금 탭(47)을 잠금한다.
도 4에 또한 볼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골조(2)의 방-지향측(3)은 메시(8) 및 텍스타일(5)의 라미네이트(22)에 의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이어질 표면 윤곽(21)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골조(2)의 방-지향측(3)은 적어도 2개의 오목 영역(18) 및 적어도 2개의 볼록 영역(50)을 포함하고, 따라서 이중 곡률 또는 복합 곡률을 갖는 것으로 일컬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8)는 적어도 골조(2)의 방-지향측(3)의 각각의 오목 영역(18)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9)에 의해 골조(2)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텍스타일(5)이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그리고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메시(8)와 골조(2) 사이에 임의의 커넥터(9)를 제공하지 않고서 골조(2)의 주연 에지 사이로 단순하게 연장되는 경우, 텍스타일(5)이 비교적 너무 무겁지 않으나 메시(8) 및 텍스타일(5)이 일반적으로 골조(2)의 방-지향측(3)의 오목 영역(18)과 접촉하거나 이를 따르지 않을 것이면, 메시(8) 및 텍스타일(5)은 일반적으로 골조(2)의 방-지향측(3)의 볼록 영역(50) 또는 임의의 편평한 영역을 원활하게 따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8)는 적어도 골조(2)의 방-지향측(3)의 각각의 오목 영역(18)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9)에 의해 골조(2)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텍스타일(5)이 비교적 너무 무겁지 않으면, 메시(8) 및 텍스타일(5)이 골조(2)의 방-지향측(3)의 임의의 오목 영역(18), 볼록 영역 및 편평한 영역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으로 보장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메시(8) 및 텍스타일(5)이 골조(2)의 표면 윤곽(21)을 원활하게 따르는 것을 더욱 더 양호하게 보장하기 위해, 텍스타일(5) 및/또는 메시(8)가 비교적 무거운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9)가 또한 골조(2)의 방-지향측(3)의 임의의 볼록 영역(18) 또는 임의의 편평한 영역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조(2)의 방-지향측(3)이 이중 곡률 또는 복합 곡률을 가질 때 특히 유리하지만, 커넥터(9)는 메시(8) 및 텍스타일(5)이 골조(2)의 방-지향측(3)을 따르는 것을 더욱 더 양호하게 보장하기 위해 어느 경우든 채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방-지향측(3)이 편평하거나 또는 단지 볼록형, 단지 오목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때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4에 지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가장 양호하게 가시화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보(19, 20)는 각각의 보(19, 20)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 절결부(23)를 구비한다. 커넥터(9)의 제2 단부(13)는 이에 의해 각각의 보(19, 20)와의 연결을 위해 임의의 고정 절결부(23)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9)는 건축 패널(1)을 조립할 때 적합한 위치에 용이하게 배열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텍스타일(5)이 실제로 원활하게 골조(2)의 표면 윤곽(21)을 따르는 것이 시각적 피드백에 의해 보장될 수도 있다. 고정 절결부(23)에 의해, 커넥터(9)는 임의의 부가의 요소의 필요 없이 골조(2)와 용이하게 결합하게 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6 및 도 7에 또한 가장 양호하게 가시화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 절결부(23)에서, 커넥터 절결부(24)가 보(19, 20)의 에지(25)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지(25)는 메시(8)와 텍스타일(5)의 라미네이트(2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커넥터 절결부(24)는 메시(8)를 골조(2)에 부착하는 커넥터(9)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커넥터(9)는 고정 절결부(23)와 메시(8) 사이로 자유롭게 연장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커넥터(9)가 적합한 방식으로 메시(8)와 텍스타일(5)을 자유롭게 인장하여 메시(8)와 텍스타일(5)이 골조의 표면 윤곽을 원활하게 따르게 되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커넥터 절결부(24)는 커넥터(9)의 인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커넥터(9)를 수용하기 위해 적합한 임의의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2)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 프로파일 부재(27, 28)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26)으로 바람직하게 둘러싸인다.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27, 28)는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방-지향측(30)을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과 연결하는 라운딩된 외부 에지(29)를 갖고, 텍스타일(5)의 에지부(32)는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되고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에 고정된다.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에서, 톱니형 트랙(51)이 프로파일 부재(27, 28)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스프링의 형태의 보유 부재(52)가 톱니형 트랙(51) 내로 가압되어, 이에 의해 톱니형 트랙(51)의 톱니형 벽에 대해 텍스타일(5)의 에지부(32)의 부분을 압착하여 텍스타일(5)의 에지부(32)가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에 고정되게 된다. 이에 의해, 건축 패널의 에지가 평활하고 단지 텍스타일만이 가시화되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27, 28)는, 골조(2)를 형성하는 보(19, 20)의 각각의 단부가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27, 28)의 톱니형 트랙(54) 내로 삽입된 탭(53)을 구비하여 골조(2) 상에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압출된 금속 프로파일로서 제조된,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프로파일 부재(27, 28)는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27, 28)의 종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다수의 측방향 슬릿(55)을 구비한다. 각각의 측방향 슬릿(55)은 프로파일 부재를 가요성 및 굴곡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27, 28)를 통해 단지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골조(2)의 대응 에지의 가능한 만곡된 윤곽을 따를 수도 있게 되는데, 도 4를 참조하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두번째 측방향 슬릿(55)은 그 이웃하는 측방향 슬릿(55)보다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단면의 더 큰 부분을 통해 연장한다. 더욱이, 측방향 슬릿(55)을 구비한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가요성을 보상하기 위해, 골조(2) 상의 그 장착 상태에서, 스프링 스틸로부터 형성된 로드(56)가 프로파일 부재(27, 28)의 톱니형 트랙(54)의 저부에서, 측방향 슬릿(55)을 구비한 프로파일 부재(27, 28)에 위치된 부분 개방된 라운딩된 채널(57) 내로 삽입된다. 이 방식으로, 대량 생산된 압출된 프로파일 부재(27, 28)가 건축 패널(1)의 실제 골조(2)의 임의의 원하는 곡률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된 텍스타일(5)의 에지부(32)는 메시(28)와 적층되지 않아, 메시(8)의 경계(33)가 프로파일 부재의 방-지향측(30)의 옆에 위치되게 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텍스타일(5)을 굴곡하기 전에, 상기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되어야 하는 텍스타일(5)의 에지부(32)가 메시(8)로부터 층간 박리되고, 메시(8)의 층간 박리된 에지부가 절단되어, 텍스타일(5)의 에지부(32)가 상기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되고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에 고정될 때, 메시(8)의 경계(33)가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방-지향측(30)의 옆에 위치되게 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방금 전술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에지부(29)에 대해 굴곡된 텍스타일(5)의 에지부(32)가 메시(28)와 적층되지 않을 때, 텍스타일(5)이 메시(8)의 강성에 독립적으로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를 원활하게 따르는 것이 보장될 수도 있다. 메시(8) 및 텍스타일(5)이 골조(2)의 표면 윤곽(21)을 원활하게 따르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메시(8)가 다소 강성인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그렇지 않으면 텍스타일(5)이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를 원활하게 따르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된 텍스타일(5)의 부분(32)이 메시(8)와 적층되지 않을 때 특히 유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첫째로, 메시(8)와 텍스타일(5)이 골조(2)의 표면 윤곽(21)을 원활하게 따르게 하기 위해 메시(8)가 적합한 장소에서 커넥터(9)에 의해 골조(2)에 부착되고, 둘째로, 텍스타일(5)이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되고, 텍스타일(5)의 에지부(32)가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에 고정되는 것이 주목된다. 이에 의해, 메시(8) 및 텍스타일(5)의 치수는 골조(2) 상에 메시(8) 및 텍스타일(5)의 장착 중에, 골조(2) 및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적응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정확한 치수가 용이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도 있다.
1: 건축 패널 2: 골조
3: 골조의 방-지향측 4: 골조의 건물-지향측
5: 텍스타일 6: 텍스타일의 제1 표면
7: 텍스타일의 제2 표면 8: 메시
9: 커넥터 10: 커넥터의 제1 단부
11: 커넥터의 그립퍼 12: 메시의 부분
13: 커넥터의 제2 단부 14: 인장된 스프링
15: 인장 코일 스프링 16: 접착제
17: 메시 개구 18: 골조의 방-지향측의 오목 영역
19: 골조의 보 20: 골조의 보
21: 십자형 보에 의해 형성된 표면 윤곽
22: 라미네이트 23: 고정 절결부
24: 커넥터 절결부 25: 보의 에지
26: 프레임 27: 프로파일 부재
28: 프로파일 부재
29: 프로파일 부재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
30: 프로파일 부재의 방-지향측 31: 프로파일 부재의 건물-지향측
32: 텍스타일의 에지부 33: 메시의 경계
34: 인장 코일 스프링의 제1 후크 35: 인장 코일 스프링의 제2 후크
36: 텍스타일의 롤 37: 열 활성화 접착제의 롤
38: 메시의 롤 39: 완성된 라미네이트의 롤
40: 압력 블랭킷 41: 가열 요소
42: 냉각 요소 43: 압력 블랭킷용 롤러
44: 보의 슬릿 45: 측방향에서 보의 나머지 부분
46: 연결편 47: 잠금 탭
48: 보 내의 잠금 슬릿 49: 잠금 탭의 테이퍼진 부분
50: 골조의 방-지향측의 볼록 영역 51: 톱니형 트랙
52: 보유 부재 53: 보 단부의 탭
54: 프로파일 부재의 톱니형 트랙 55: 프로파일 부재 내의 측방향 슬릿
56: 스프링 스틸로부터 형성된 로드 57: 부분 개방된 라운딩된 채널
58: 프로파일 부재용 코너 연결부

Claims (22)

  1. 건축 패널의 골조(2)가 방-지향측(3) 및 건물-지향측(4)을 갖도록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1)이며, 텍스타일(5)이 상기 골조(2)의 방-지향측(3)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텍스타일(5)은 상기 골조(2)에 대면하는 제1 표면(6) 및 방으로부터 일반적으로 가시화되는 제2 표면(7)을 갖는, 건축 패널에 있어서,
    메시(8)가 상기 텍스타일(5)의 제1 표면(6) 상에 적층되고, 상기 메시(8)는 다수의 커넥터(9)에 의해 상기 골조(2)에 부착되고, 각각의 커넥터(9)는 상기 메시(8)의 부분(12)과 상기 텍스타일(5) 사이에 삽입된 그립퍼(11)의 형태의 제1 단부(10) 및 상기 골조(2)에 부착된 제2 단부(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9)의 제1 및 제2 단부(10, 13)는 인장된 스프링(1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건축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9)는 상기 커넥터(9)의 제1 단부(10)에서 상기 그립퍼(11)를 형성하는 제1 후크(34)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단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9)의 제2 단부(13)에서 제2 후크(35)와 일체로 형성된 제2 단부를 갖는 인장 코일 스프링(15)의 형태를 갖고,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골조(2)에 부착되는, 건축 패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8)는 탄성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메시(8)는 그 이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골조(2)에 부착되기 전에,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건축 패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8)의 강성은 상기 텍스타일(5)의 강성 및 면적 중량에 적응되어 상기 텍스타일(5)의 제2 표면(7)이 평활하고 균일한 방식으로 연장하게 되는, 건축 패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8)는 접착제(16)에 의해 상기 텍스타일(5)의 제1 표면(6) 상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16)는 메시 개구(17)에 의해 커버된 텍스타일(5)을 커버하지 않거나 단지 일부만을 커버하는, 건축 패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8)는 열 적층에 의해 상기 텍스타일(5)의 제1 표면(6) 상에 적층되어 있고, 슬릿 필름 네트 또는 웨브의 형태의 열 활성화 접착제(16)가 상기 메시(8)와 상기 텍스타일(5)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건축 패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2)의 방-지향측(3)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 영역(18)을 포함하고, 상기 골조(2)의 방-지향측(3)의 각각의 오목 영역(18)에서, 상기 메시(8)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9)에 의해 상기 골조(2)에 부착되는, 건축 패널.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2)는 상기 메시(8)와 상기 텍스타일(5)의 라미네이트(22)에 의해 이어진 표면 윤곽(21)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형 보(19, 20)를 포함하는, 건축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19, 20)는 상기 보(19, 20)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커넥터(9)의 제2 단부(13)가 상기 보(19, 20)와의 연결을 위해 결합할 수도 있는 다수의 고정 절결부(23)를 구비하는, 건축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절결부(23)에서, 커넥터 절결부(24)가 상기 보(19, 20)의 에지(25)에 형성되고, 상기 에지(25)는 상기 메시(8)와 상기 텍스타일(5)의 라미네이트(22)를 지지하고, 상기 커넥터 절결부(24)는 상기 메시(8)를 상기 골조(2)에 부착하는 커넥터(9)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건축 패널.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2)는 프로파일 부재(27, 28)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26)에 의해 둘러싸이고,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27, 28)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방-지향측(30)을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과 연결하는 라운딩된 외부 에지(29)를 갖고, 상기 텍스타일(5)은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되고, 상기 텍스타일(5)의 에지부(32)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에 고정되는, 건축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된 상기 텍스타일(5)의 에지부(32)는 메시(28)와 적층되지 않아, 상기 메시(8)의 경계(33)가 상기 프로파일 부재의 방-지향측(30)의 옆에 위치되게 되는, 건축 패널.
  14. 건축 패널(1)의 골조(2)가 방-지향측(3) 및 건물-지향측(4)을 갖도록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1)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텍스타일(5)이 상기 골조(2)의 방-지향측(3)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텍스타일(5)은 상기 골조(2)에 대면하는 제1 표면(6) 및 상기 방으로부터 일반적으로 가시화되는 제2 표면(7)을 갖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조(2)의 방-지향측(3)에 걸쳐 텍스타일(5)을 연장하기 전에, 메시(8)가 상기 텍스타일(5)의 제1 표면(6) 상에 적층되고, 상기 골조(2)의 방-지향측(3)에 걸쳐 상기 텍스타일(5)을 연장한 후에, 상기 메시(8)는 다수의 커넥터(9)에 의해 상기 골조(2)에 부착되고, 각각의 커넥터(9)는 상기 메시(8)의 부분(12)과 상기 텍스타일(5) 사이에 삽입된 그립퍼(11)의 형태의 제1 단부(10) 및 상기 골조(2)에 부착된 제2 단부(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9)의 제1 및 제2 단부(10, 13)는 상기 커넥터(9)에 의한 상기 골조(2)로의 상기 메시(8)의 부착에 의해 인장되는 각각의 스프링(1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8)는 접착제(16)에 의해 상기 텍스타일(5)의 제1 표면(6) 상에 적층되어 접착제가 메시 개구(17)에 의해 커버된 텍스타일(5)을 커버하지 않거나 단지 일부만을 커버하게 되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8)는 열 적층에 의해 상기 텍스타일(5)의 제1 표면(6) 상에 적층되어 있고, 슬릿 필름 네트 또는 웨브의 형태의 열 활성화 접착제(16)가 상기 메시(8)와 상기 텍스타일(5)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2)의 방-지향측(3)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 영역(18)을 포함하고, 상기 골조(2)의 방-지향측(3)의 각각의 오목 영역(18)에서, 상기 메시(8)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9)에 의해 상기 골조(2)에 부착되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2)는 상기 메시(8)와 상기 텍스타일(5)의 라미네이트(22)에 의해 이어진 표면 윤곽(21)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형 보(19, 20)를 포함하고, 각각의 보(19, 20)는 상기 보(19, 20)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 절결부(23)를 구비하고, 각각의 커넥터(9)의 제2 단부(13)는 상기 보(19, 20)와의 연결을 위해 각각의 고정 절결부(23)와 결합하게 되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절결부(23)에서, 커넥터 절결부(24)가 상기 보(19, 20)의 에지(25)에 형성되고, 상기 메시(8)와 상기 텍스타일(5)의 라미네이트(22)는 상기 에지(25)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열되고, 각각의 커넥터(9)는 상기 골조(2)에 상기 메시(8)를 부착하기 위해 각각의 커넥터 절결부(24)에 배열되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
  21.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2)는 프로파일 부재(27, 28)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26)에 의해 둘러싸이고, 각각의 프로파일 부재(27, 28)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방-지향측(30)을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과 연결하는 라운딩된 외부 에지(29)를 갖고, 상기 커넥터(9)에 의한 상기 골조(2)로의 상기 메시(8)의 부착 후에, 상기 텍스타일(5)은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되고, 상기 텍스타일(5)의 에지부(32)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에 고정되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상기 텍스타일(5)을 굴곡하기 전에, 상기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되어야 하는 상기 텍스타일(5)의 에지부(32)가 상기 메시(8)로부터 층간 박리되고, 상기 메시(8)의 층간 박리된 에지부가 절단되어, 상기 텍스타일(5)의 에지부(32)가 상기 라운딩된 외부 에지(29)에 대해 굴곡되고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건물-지향측(31)에 고정될 때, 상기 메시(8)의 경계(33)가 상기 프로파일 부재(27, 28)의 방-지향측(30)의 옆에 위치되게 되는,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97035719A 2017-05-08 2017-05-08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 및 이러한 건축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445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7/052669 WO2018206998A1 (en) 2017-05-08 2017-05-08 Building panel adapted to be mounted at a ceiling or wall of a roo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building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88A KR20200028888A (ko) 2020-03-17
KR102445140B1 true KR102445140B1 (ko) 2022-09-21

Family

ID=5877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719A KR102445140B1 (ko) 2017-05-08 2017-05-08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 및 이러한 건축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91909B2 (ko)
EP (1) EP3622125B1 (ko)
JP (1) JP7003154B2 (ko)
KR (1) KR102445140B1 (ko)
CN (1) CN110892119B (ko)
ES (1) ES2963785T3 (ko)
PL (1) PL3622125T3 (ko)
SG (1) SG11201910010RA (ko)
WO (1) WO2018206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63785T3 (es) 2017-05-08 2024-04-02 Kvadrat Acoustics As Panel de construcción adaptado para montarse en un techo o pared de una habitación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dicho panel de construcción
PL3645946T3 (pl) * 2017-06-28 2021-12-13 Kvadrat Soft Cells A/S Termicznie aktywowany panel budowlany
WO2021070192A1 (en) * 2019-10-09 2021-04-15 Chellappan S Textile material for thermal insulation
WO2023107741A1 (en) * 2021-12-10 2023-06-15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Ceiling systems
DE102022001580A1 (de) 2022-05-05 2023-11-09 GKD - Gebr. Kufferath AG. Deckenabhängung mit einem Rahm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5016A1 (en) 2002-01-10 2003-11-06 Peder Gulbrandsen Free form ceiling
US20110252736A1 (en) 2010-04-16 2011-10-20 Hunter Douglas Inc. Self-centering ceiling panel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891Y2 (ko) * 1972-03-24 1976-07-08
JPS5444417Y2 (ko) * 1974-12-13 1979-12-20
US4194329A (en) * 1976-01-20 1980-03-25 Wendt Alan C Sound absorbing panels
DK4379A (da) * 1979-01-04 1980-07-05 Daempa As Lydabsorberingsaggregat
JPS5726520U (ko) * 1980-07-23 1982-02-12
US4788806A (en) * 1986-03-20 1988-12-06 Sease R Gregg Assembly of molding strips adapted to mount flexible coverings on support surfaces
JPS6340041A (ja) * 1986-08-05 1988-02-20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天井下地パネルの施工方法
FR2641810A1 (fr) * 1989-01-19 1990-07-20 Profilform Sarl Lame-ressort pour la fixation de plafonds decoratifs
FR2712004B1 (fr) * 1993-11-02 1996-01-05 Coffratherm Ste Civile Invente Plancher comportant une dalle en béton et procédé de construction s'y rapportant.
US5832685A (en) * 1995-08-03 1998-11-10 Hermanson; Lars S. Self-supporting interior surface panel
JP3769626B2 (ja) * 1995-11-30 2006-04-26 萩原工業株式会社 テントシート地
US5970669A (en) * 1998-05-08 1999-10-26 Livingston; Bryan K. Molding strips for fabric wall and ceiling systems
DE19826149A1 (de) * 1998-06-12 1999-12-16 Illbruck Gmbh Deckenelement für eine zusammengesetzte Decke
JP2001020494A (ja) * 1999-07-05 2001-01-23 Ibiden Co Ltd 内装施工構造
US6499262B1 (en) * 2000-09-11 2002-12-31 Frank Novak & Sons, Inc. Ceiling panel
FR2864564A1 (fr) * 2003-12-05 2005-07-01 Guy Chenel Nappe textile a trois dimensions masquante pour la realisation de plafonds temporaires
EP2048299B1 (en) * 2004-01-28 2017-04-19 Soft Cells A/S A covering panel especially for suspended ceilings
CA2556821C (en) * 2006-08-23 2010-06-08 Decoustics Limited Ceiling or wall panel
US8316607B2 (en) * 2010-04-16 2012-11-27 Ceilings Plus Metal ceiling system having locking panels without visible access holes
DK2444561T3 (da) * 2010-10-25 2013-10-28 Soft Cells As Panel
FR2981102A1 (fr) * 2011-10-11 2013-04-12 Jean Marc Scherrer Dispositif de rehabilitation de panneau amovible de fausse paroi
JP5963303B2 (ja) * 2012-06-29 2016-08-03 株式会社Lixil 天井パネル固定部材及びその取付方法
CN202787612U (zh) * 2012-08-29 2013-03-13 宁波红杉高新板业有限公司 天花板
JP6108785B2 (ja) * 2012-11-21 2017-04-05 コシス ホールディングス 膜天井
CN204876263U (zh) * 2015-06-18 2015-12-16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楼板隔声减振吊顶结构
CN205012488U (zh) * 2015-08-19 2016-02-03 北京维也纳声学技术有限公司 一种吸声体构件
US9745748B2 (en) * 2015-11-09 2017-08-29 Awi Licensing Llc Ceiling system
CN205857498U (zh) * 2016-06-17 2017-01-04 郭业德 一种快速制作和安装的天花吊顶
ES2815551T3 (es) * 2016-07-08 2021-03-30 Kvadrat Soft Cells As Panel para un falso techo suspendido o similar y método de montaje de una tela en un marco de un falso techo suspendido o similar
CN205990693U (zh) * 2016-07-14 2017-03-01 深圳市深装总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卡扣的天花安装结构
ES2867800T3 (es) * 2016-10-24 2021-10-20 Kvadrat Soft Cells As Dispositivo de sujeción y sistema de sujeción de paneles a una estructura
ES2963785T3 (es) 2017-05-08 2024-04-02 Kvadrat Acoustics As Panel de construcción adaptado para montarse en un techo o pared de una habitación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dicho panel de construcción
PL3645946T3 (pl) * 2017-06-28 2021-12-13 Kvadrat Soft Cells A/S Termicznie aktywowany panel budowlany
US11668097B2 (en) * 2018-05-29 2023-06-06 Kvadrat Soft Cells A/S Building panel adapted to be mounted at a ceiling or wall of a roo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building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5016A1 (en) 2002-01-10 2003-11-06 Peder Gulbrandsen Free form ceiling
US20110252736A1 (en) 2010-04-16 2011-10-20 Hunter Douglas Inc. Self-centering ceiling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92119A (zh) 2020-03-17
JP7003154B2 (ja) 2022-01-20
SG11201910010RA (en) 2019-11-28
EP3622125C0 (en) 2023-10-18
EP3622125A1 (en) 2020-03-18
ES2963785T3 (es) 2024-04-02
EP3622125B1 (en) 2023-10-18
PL3622125T3 (pl) 2024-03-18
WO2018206998A1 (en) 2018-11-15
US11091909B2 (en) 2021-08-17
CN110892119B (zh) 2021-09-21
US20200165820A1 (en) 2020-05-28
KR20200028888A (ko) 2020-03-17
JP2020518746A (ja)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140B1 (ko) 방의 천장 또는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건축 패널 및 이러한 건축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US6880302B1 (en) Elements of stretched false ceiling, use of same for producing false walls and false ceilings
US7954293B2 (en) Panels and systems of such panels for instance for suspended ceilings
US11668097B2 (en) Building panel adapted to be mounted at a ceiling or wall of a roo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building panel
KR102618795B1 (ko) 현수식 천장 또는 유사물을 위한 패널 및 현수식 천장 또는 유사물의 프레임 상의 패브릭을 장착하는 방법
US8839590B1 (en) Acoustical grid and method of use
EP2420749B2 (en) Climate control for a building
RU2655863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профи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гибких полотнищ и узел фиксации гибких полотнищ к несущему элементу каркас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JP3072238B2 (ja) 吸音カーテンおよび吸音カーテン構造体ならびに吸音パネル
EP3625403B1 (en) Building panel adapted to be mounted at a ceiling or wall of a roo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building panel
US8966848B2 (en) Sun Louvre formed by a structure supporting an interweave of metal sheets
JP4693273B2 (ja) 膜材の定着部構造および定着方法並びにこれらに使用される膜材定着用形鋼
JP7022961B2 (ja) 天井構造および天井板取付部材
JP5356796B2 (ja) 空気吹き出し部の構造
JP6626533B2 (ja) 固定材、シート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RU52883U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к стене
JP5356797B2 (ja) 空気吹き出し部の構造
KR20120034846A (ko) 천장재 고정 장치
JP2009062639A (ja) 織物と織機
US764982A (en) Partition or plaster structure for buildings.
JP6675525B2 (ja) 防煙壁及びその設置方法
JP6372999B2 (ja) 固定材、シート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5958286B2 (ja) 防煙垂壁パネル、防煙垂壁及び防煙垂壁パネルの製造方法
JP2023133917A (ja) 表装枠体、及び、表装枠体の使用方法
JPH09111946A (ja) 天井野縁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