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001B1 -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001B1
KR102445001B1 KR1020200152507A KR20200152507A KR102445001B1 KR 102445001 B1 KR102445001 B1 KR 102445001B1 KR 1020200152507 A KR1020200152507 A KR 1020200152507A KR 20200152507 A KR20200152507 A KR 20200152507A KR 102445001 B1 KR102445001 B1 KR 10244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optical axis
image
unit
photograph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6463A (ko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김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삼 filed Critical 김영삼
Priority to KR102020015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0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80Analysis of captured images to determine intrinsic or extrinsic camera parameters, i.e. camera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32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에 따르면,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부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지그부;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촬영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이미지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광축을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축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촬영이미지 상에 광축 및 기준축을 디스플레이하는 축추출부; 및 상기 촬영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축추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이미지가 이동되면 이동된 기준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레지스터부에 저장하는 광축정렬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Camera module optical axis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를 차량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차량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운전 상태나 주변 상황을 녹화하는 블랙 박스 장치나 차량의 후방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후진시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도록 하는 주차 보조 시스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 중에서 최근에는 차량의 전후방, 좌우측면에 광각 카메라를 설치하고 이들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차량의 바로 위 즉, 상방향에서 내려다보는 형태의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하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이 차량은 물론, 사각지대를 확인하기 어려운 지게차 등의 특수장비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마치 새가 하늘에서 내려다 보는 듯한 영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버드아이뷰(Bird eye view) 시스템 또는 AVM(a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이라 한다.
이러한 기술은 보다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안(fisheye) 렌즈를 구비하는 광각 카메라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광각 카메라를 사용하게 되면 왜곡된 영상을 최초 영상 신호로서 획득하게 되므로 이러한 왜곡 영상을 왜곡이 없는 영상으로 보정하기 위한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차량 또는 특수장비의 전후방, 좌우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광각 카메라에 의해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촬영된 영상을 지면에서 수직 방향인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평면화,homography))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복잡한 연산 과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평면화된 복수개의 영상들을 하나의 영상으로 재배열하고 재배열된 영상에서 겹치는 부분들을 처리하는 단일 영상화 과정까지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버드아이뷰 시스템은 연산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수단계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연산량이 방대하고 고사양 및 고가의 하드웨어 장비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카메라는 어안렌즈와 어안렌즈로 모여진 피사체를 전기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인쇄회로기판 등으로 이루어진 모듈이다.
이러한 카메라모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어안렌즈와 이미지센서의 조립과정에서 광축을 정렬해야 하였다. 여기서, 렌즈와 이미지센서의 광축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조립과정에서 미세한 x, y축을 이동시킬 수 있는 광축정렬정치가 요구되었으며, 광축정렬장비의 비용이 고가여서 투자비용이 많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렌즈와 이미지센서 간의 광축이 정밀하게 정렬되지 못하면 원하는 고성능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해내기가 어렵다. 즉, 카메라모듈로 촬영할 때, 렌즈를 통해 들어온 촬영 대상체의 빛이 이미지센서 상의 정확한 위치에 맺혀야 깨끗하고 선명한 촬영이미지를 찍어낼 수 있게 되는데, 만일 광축이 제대로 정렬되지 못한 상태로 조립이 되면 이미지 센서에서 받아들이는 촬영이미지 정보가 부정확해지게 되고, 카메라모듈의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특히, 광축이 정렬되지 않은 카메라모듈을 사용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은 부정확하고, 그 생성과정의 연산과정이 복잡 및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연속되었다.
또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4개의 카메라모듈이 필요하고, 그 중 하나의 카메라모듈이 파손된 경우, 카메라모듈 조립과정에서 렌즈와 이미지센서의 광축을 일치시킨 카메라모듈을 교체하고자 할 때, 파손된 카메라모듈의 왜곡영상을 보정하는 기준점을 찾아 교체할 카메라모듈에 적용해야만 기존 카메라모듈들과 공통 영역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교체할 카메라모듈에서 왜곡을 보정하는 기준점 찾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한다. 즉, 파손된 카메라모듈의 기준점을 모르기 때문에, 그 기준점을 찾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요구되어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6416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932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8791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모듈의 촬영이미지 광축을 디스플레이부 화면 기준축으로 정렬하는 동시에, 각각의 카메라모듈의 광축을 동일한 위치로 정렬과 카메라모듈의 회전추출값으로 불량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시 왜곡보정 후, 공통 영역을 별도의 과정없이 일치화시켜 어라운드 뷰 영상의 생성과정의 처리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고, 보다 정교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모듈의 부품을 임의로 조립하여 카메라모듈을 생산된 후, 촬영이미지의 광축을 기준축으로 이동시켜 종래의 광축정렬과정을 대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카메라모듈의 생산시간을 단축시키고, 광축정렬과정에 요하는 대형 장비의 설비비용 투자를 줄일 수 있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축이 정렬된 카메라모듈은 파손된 카메라모듈에서 왜곡 보정이 이루어지는 기준점에 맞춰져 생산되기 때문에, 교체할 카메라모듈을 단순 교체만으로 기존의 카메라모듈의 촬영영상에서 공통 영역이 매칭될 수 있어,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보수과정을 매우 용이하게 신속히 처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에 따르면,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부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지그부;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촬영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이미지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광축을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축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촬영이미지 상에 광축 및 기준축을 디스플레이하는 축추출부; 및 상기 촬영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축추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이미지가 이동되면 이동된 기준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레지스터부에 저장하는 광축정렬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축정렬보드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상하좌우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의 이동버튼 및 상기 이동버튼의 조작에 의해 촬영이미지가 이동되면 이동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촬영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레지스터부에 자동저장시키는 저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레지스터부에 자동저장시키는 저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이미지의 이동은, 상기 다수의 이동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리면, 눌린 이동버튼에 설정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출력되는 촬영이미지가 위치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기준점이 인쇄회로기판의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카메라모듈은, 촬영이미지를 출력할 때, 상기 촬영이미지의 정중앙을 기준점 기준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광축과 기준축의 오차값을 추출하되, 상기 광축정렬보드에 의해 촬영이미지가 이동됨에 따라 변경되면 변경된 오차값을 추출하고, 상기 오차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부는, 일측면에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부가 본체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렌즈부와 마주하게 구비되는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이미지는, 상기 패턴부를 촬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부는, 정중앙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된 다수개의 제1패턴 및 다수의 색으로 이루어진 제2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촬영이미지에 표시되는 상기 제1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패턴부의 정중앙점을 추출한 후, 상기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하는 x축 및 y축으로 이루어진 광축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광축과 기준축의 기울기를 추출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의 회전추출값을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회전추출값이 기 설정된 회전설정값에 포함되는 유무를 확인하고, 포함유무에 따라 각각 다르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축정렬보드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상하좌우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이동버튼 및 상기 이동버튼의 조작에 의해 촬영이미지가 이동되면 이동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촬영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레지스터부에 자동저장시키는 저장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축정렬보드는, 상기 저장제어부로 저장된 기준점을 삭제하여 리셋시키는 리셋버튼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광축과 기준축의 오차값을 추출하고, 상기 광축정렬보드는, 상기 오차값에 따라 상기 이동버튼을 제어하여, 상기 오차값을 기 설정된 최소오차값이 되도록 자동으로 촬영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이동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축정렬보드는, 상기 촬영이미지가 이동될 때, 이동됨을 표시하는 점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등부는, 상기 이동버튼에 대응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종류에 따라 장착홈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지그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보드는, 상기 카메라모듈이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이 상기 카메라모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양측에 내입된 내입홈이 있어, 억지끼움된 상기 카메라모듈의 양측을 잡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카메라모듈의 촬영이미지 광축을 디스플레이부 화면 기준축으로 정렬하는 동시에, 각각의 카메라모듈의 광축을 동일한 위치로 정렬과 카메라모듈의 회전추출값으로 불량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시 왜곡보정 후, 공통 영역을 별도의 과정없이 일치화시켜 어라운드 뷰 영상의 생성과정의 처리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고, 보다 정교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카메라모듈의 부품을 임의로 조립하여 카메라모듈을 생산된 후, 촬영이미지의 광축을 기준축으로 이동시켜 종래의 광축정렬과정을 대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카메라모듈의 생산시간을 단축시키고, 광축정렬과정에 요하는 대형 장비의 설비비용 투자를 줄일 수 있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광축이 정렬된 카메라모듈은 파손된 카메라모듈에서 왜곡 보정이 이루어지는 기준점에 맞춰져 생산되기 때문에, 교체할 카메라모듈을 단순 교체만으로 기존의 카메라모듈의 촬영영상에서 공통 영역이 매칭될 수 있어,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보수과정을 매우 용이하게 신속히 처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의 지그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의 패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의 촬영이미지, 광축, 기준축, 오차값, 회전추출값을 나타낸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메라모듈의 광축을 정렬하되, 사용되는 카메라모듈의 광축이 모두 동일한 기준점을 갖도록 광축을 정렬하여 추후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시 중복되는 공통 영역의 왜곡현상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앞서, 어라운드 뷰 시스템에 및 생성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설명 내용은 공지된 기술에 대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어라운드 뷰(AVM, a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은, 새가 하늘에서 내려다 보는 듯한 영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버드아이뷰(Bird eye vie)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기술은, 상술한 카메라모듈과 같이, 보다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안(fish eye) 렌즈를 구비한 초광각 카메라 모듈을 사용한다.
이러한 어라운드 뷰 시스템은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제공하는데,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대상물의 전, 후, 좌, 우측면에 카메라모듈을 설치하여, 촬영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어안 렌즈로 촬영된 촬영영상은 가장자리로 갈수록 영상이 방사형으로 왜곡되므로, 왜곡부분을 펴주는 보정을 해야 한다.
즉, 촬영영상이 획득되면, 촬영영상의 가장자리(왜곡부분)를 펴주어 보정한 보정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왜곡영상의 보정방법은 크게 "Equi-solid Angle Projection", "Orthographic Projection"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참고적으로, 어안 렌즈를 제조할 때 어안 렌즈로 들어오는 빛을 어떻게 재배열하느냐를 정의하는 방식으로 어안 렌즈 제조사는 어안 렌즈 제조 시에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어안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어안 렌즈에 적용된 왜곡 방식에 따라 왜곡 연산의 역연산을 구하고, 어안 렌즈로 촬영한 영상을 역변환해주면 왜곡부분을 보정한 촬영영상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왜곡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촬영영상의 왜곡부분을 펴주는 보정을 할 때는, 왜곡보정을 해야할 중앙의 중심점이 각각의 촬영영상마다 일치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보정영상을 수직으로 내려다보는 영상으로 변환하여 하늘에서 내려다 보는 듯한 평면영상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대상물을 둘러싸도록 평면영상을 배열하여 배열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배열영상은 영상을 단순 배열한 것에 불과하여, 대상물을 촬영한 영상들은 서로 공통 영역을 가지며 공통 영역이 서로 겹치게 배열된다.
여기서, 공통 영역을 오버레이 처리할 수도 있고, 공통 영역의 영상에서 대표적인 영상을 획득하여, 어라운드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할 때, 공통 영역을 오버레이 처리할 경우, 촬영영상의 왜곡보정이 각각의 카메라모듈로 촬영된 촬영영상마다 왜곡보정을 하기 위한 중앙점이 일치해야만 공통 영역이 오버레이되더라도 불일치되는 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왜곡보정을 하기 위한 중앙점이 각각 촬영영상마다 다를 경우, 보정영상 또는 다르게 보정되기 때문에, 서로 중복되는 공통 영역을 오버레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통 영역을 단일 영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간과 과정이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광축을 정렬하는 동시에, 각각의 카메라모듈의 광축을 동일한 위치로 정렬하여, 어라운드 뷰 생성시 왜곡보정 후, 공통 영역을 별도의 과정없이 일치화시킴으로써, 어라운드 뷰 영상의 생성과정의 처리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고, 보다 정교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는, 지그부(10), 디스플레이부(20), 축추출부(30), 광축정렬보드(40)를 포함한다.
먼저, 지그부(10)는 카메라모듈(50)이 장착된다.
이때, 카메라모듈(50)은 렌즈부(51)와, 렌즈부(51)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53) 및 렌즈부(51)와 인쇄회로기판(53) 사이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52)를 포함한다. 여기서, 렌즈부(51)는, 어안렌즈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카메라모듈(50)을 조립하여 생산하는 과정에서 렌즈부(51)와 이미지센서(52)의 광축(31)을 정렬하지 않아도, 후술한 본 발명의 구성들로부터 촬영이미지(21)의 광축(31)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50)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 및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그부(10)는, 본체(11), 패턴부(13)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일측면에 카메라모듈(50)의 렌즈부(51)가 본체(11)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50)이 장착되는 장착홈(12)이 형성된다. 이때, 카메라모듈(50)의 인쇄회로기판(53)이 외부로 노출되어, 후술할 디스플레이부(20), 축추출부(30), 광축정렬보드(40)에 통신가능하게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의 장착홈(12)은, 카메라모듈(50)이 장착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장착홈(12)은 본체(11)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11) 내부를 향하는 일측면이 투명 또는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그부(10)는, 카메라모듈(50)의 종류에 따라 장착홈(12)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지그보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그보드(16)는, 카메라모듈(50)이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홈(17)이 형성되고, 고정홈(17)은 본체(11)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11) 내부를 향하는 일측면이 투명 또는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고정홈(17)의 양측에는 내입된 내입홈(18)이 있어, 억지끼움된 카메라모듈(50)의 양측을 잡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그보드(16)는 고정홈(17)이 카메라모듈(5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그보드(16)는 장착홈(12)에 장착될 때,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수단 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지그부(10)는, 지그보드(16)가 장착되는 상판과, 상판을 지그보드(16)가 카메라모듈(50)에 따라 초기 세팅위치조절 될 수 있도록 x축과 y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 및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판을 고정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13)는, 본체(11)의 내부에 렌즈부(51)와 마주하게 구비된다.
이때, 카메라모듈(50)이 촬영하여 후술할 디스플레이부(20)에 출력하는 촬영이미지(21)는, 패턴부(13)를 촬영한 이미지인 것이다.
또한, 패턴부(13)는, 정중앙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된 다수개의 제1패턴(14) 및 다수의 색으로 이루어진 제2패턴(1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한다.
이때, 제1패턴(14)은 촬영이미지(21)의 광축(31)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패턴(15)은 촬영이미지(21)에서 표시되는 색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카메라모듈(50)로 촬영되는 촬영이미지(21)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촬영이미지(21)는 어안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부(51)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50)로 촬영되기 때문에 가장자리가 방사형으로 왜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축추출부(30)는, 촬영이미지(21)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광축(31)을 추출하고, 디스플레이부(20) 화면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축(32)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촬영이미지(21) 상에 광축(31) 및 기준축(32)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디스플레이부(20)에는, 가장자리가 왜곡된 촬영이미지(21), 축추출부(30)로 추출된 촬영이미지(21)에 대한 광축(31), 디스플레이부(20) 화면에 대한 기준축(32)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축추출부(30)는, 광축(31)을 추출할 때, 촬영이미지(21)에 표시되는 제1패턴(14)을 인식하여 패턴부(13)의 정중앙점을 추출한 후,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하는 x축 및 y축으로 이루어진 광축(31)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기준축(32)도 x축 및 y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축추출부(30)는, 광축(31)과 기준축(32)의 기울기를 추출하여 촬영이미지(21)의 회전추출값(34)을 추출하고,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축추출부(30)는, 회전추출값(34)이 기 설정된 회전설정값에 포함되는 유무를 확인하고, 포함유무에 따라 각각 다르게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할 수 있다.
회전추출값(34)은 카메라모듈(5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카메라모듈(50)의 케이스와 이미지센서(52)의 수평이 맞아야 하는데 수평이 맞지 않도록 조립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에, 불량 카메라모듈(50)을 식별하기 위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회전추출값(34)을 표시할 때, 회전설정값에 포함되면 파랑색, 포함되지 않으면 빨간색 등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회전추출값(34)을 확인함에 따라, 카메라모듈(50)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 유무를 광축(31)조절 시 확인하여 별도의 불량확인 생산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오차값(33)과 회전추출값(34)은, 오차값(33)이 (0,0)이 될 때, 녹색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축추출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할 때, 광축(31)(예:녹색)과 기준축(32)(예:빨간색)의 색이 다르게 표시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광축정렬보드(40)는, 촬영이미지(21)가 디스플레이부(20) 상에서 이동되도록 축추출부(30)를 제어하고, 촬영이미지(21)가 이동되면 이동된 기준점을 인쇄회로기판(53)의 레지스터부(54)에 저장한다.
이렇게 기준점이 인쇄회로기판(53)의 레지스터부(54)에 저장된 카메라모듈(50)은, 촬영이미지(21)를 출력할 때, 촬영이미지(21)의 정중앙을 기준점 기준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준축(32)으로 광축(31)이 정렬된 카메라모듈(50)은 모두 동일한 기준점을 갖고, 그 기준점 기준으로 촬영이미지(21)를 이용한 어라운드 뷰 영상을 보다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더불어, 종래에는 렌즈부(51)와 이미지센서(52)의 광축(31)을 일치시키는 과정이 카메라모듈(50) 부품 조립과정에서 이루어지고, 미세한 정렬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대형 장비를 요하는 광축(31)정렬과정이었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50)의 부품을 임의로 조립하여 카메라모듈(50)을 생산된 후, 촬영이미지(21)의 광축(31)을 기준축(32)으로 이동시켜 종래의 광축(31)정렬과정을 대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카메라모듈(50)의 생산시간을 단축시키고, 광축(31)정렬과정에 요하는 대형 장비의 설비비용 투자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4개의 카메라모듈(50)이 필요하고, 그 중 하나의 카메라모듈(50)이 파손된 경우, 카메라모듈(50) 조립과정에서 렌즈부(51)와 이미지센서(52)의 광축(31)을 일치시킨 카메라모듈(50)을 교체하고자 할 때, 파손된 카메라모듈(50)의 왜곡영상을 보정하는 기준점을 찾아 교체할 카메라모듈(50)에 적용해야만 기존 카메라모듈(50)들의 촬영영상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교체할 카메라모듈(50)에서 왜곡을 보정하는 기준점 찾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발생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를 통해 광축(31)이 정렬된 카메라모듈(50)은 파손된 카메라모듈(50)에서 왜곡 보정이 이루어지는 기준점에 맞춰져 생산되기 때문에, 교체할 카메라모듈(50)을 단순 교체만으로 기존의 카메라모듈(50)의 촬영영상에서 공통 영역이 매칭될 수 있어, 어라운드 뷰 시스템의 보수과정을 매우 용이하게 신속히 처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축추출부(30)는, 광축(31)과 기준축(32)의 오차값(33)을 추출하되, 광축정렬보드(40)에 의해 촬영이미지(21)가 이동됨에 따라 변경되면 변경된 오차값(33)을 추출하고, 오차값(33)을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한다.
이때, 오차값(33)은 (x,y)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자는 광축정렬보드(40)를 이용하여 오차값(33)이 (0,0)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광축정렬보드(40)는, 촬영이미지(21)를 상하좌우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이동버튼(41) 및 이동버튼(41)의 조작에 의해 촬영이미지(21)가 이동되면 이동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카메라모듈(50)로 촬영되는 촬영이미지(21)가 출력될 수 있도록 기준점을 인쇄회로기판(53)의 레지스터부에 자동저장시키는 저장제어부(42)를 포함한다.
즉, 관리자는, 이동버튼(41)을 이용하여 상하좌우 촬영이미지(21)를 이동시킴에 따라, 오차값(33)을 (0,0)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광축정렬보드(40)는, 오차값(33)에 따라 이동버튼(41)을 제어하여, 오차값(33)을 기 설정된 최소오차값(33) 즉, (0, 0)이 되도록 자동으로 촬영이미지(21)를 이동시키는 이동제어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축정렬보드(40)는, 저장제어부(42)로 저장된 기준점을 삭제하여 리셋시키는 리셋버튼(43)을 더 포함한다.
이는, 카메라모듈(50)에 저장된 기준점을 확인하기 어려울 경우, 기준점을 재조정하고자할 경우 등 공장초기화 즉, 최초의 카메라모듈(50)이 생산된 상태에서의 광축(31)으로 되돌리기 위함이다.
또한, 광축정렬보드(40)는, 촬영이미지(21)가 이동될 때, 이동됨을 표시하는 점등부(45)를 더 포함하고, 점등부(45)는, 이동버튼(41)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점등부(45)는, 촬영이미지(21)가 최대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촬영이미지(21)가 더이상 이동될 수 없는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이동될 때와 이동될 수 없을 때를 구분할 수 있게 서로 다른색의 빛으로 점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지그부 11 : 본체
12 : 장착홈 13 : 패턴부
14 : 제1패턴 15 : 제2패턴
16 : 지그보드 17 : 고정홈
18 : 내입홈 20 : 디스플레이부
21 : 촬영이미지 30 : 축추출부
31 : 광축 32 : 기준축
33 : 오차값 34 : 회전추출값
40 : 광축정렬보드 41 : 이동버튼
42 : 저장제어부 43 : 리셋버튼
44 : 이동제어부 45 : 점등부
50 : 카메라모듈 51 : 렌즈부
52 : 이미지센서 53 : 인쇄회로기판
54 : 레지스터부

Claims (13)

  1.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부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지그부;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촬영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촬영이미지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광축을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축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촬영이미지 상에 광축 및 기준축을 디스플레이하는 축추출부; 및
    상기 촬영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축추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이미지가 이동되면 이동된 기준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레지스터부에 저장하는 광축정렬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축정렬보드는,
    상기 촬영이미지를 상하좌우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의 이동버튼 및
    상기 이동버튼의 조작에 의해 촬영이미지가 이동되면 이동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촬영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레지스터부에 자동저장시키는 저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이미지의 이동은, 상기 다수의 이동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리면, 눌린 이동버튼에 설정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출력되는 촬영이미지가 위치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기준점이 인쇄회로기판의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카메라모듈은, 촬영이미지를 출력할 때, 상기 촬영이미지의 정중앙을 기준점 기준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광축과 기준축의 오차값을 추출하되, 상기 광축정렬보드에 의해 촬영이미지가 이동됨에 따라 변경되면 변경된 오차값을 추출하고, 상기 오차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일측면에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부가 본체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렌즈부와 마주하게 구비되는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이미지는, 상기 패턴부를 촬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정중앙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된 다수개의 제1패턴 및 다수의 색으로 이루어진 제2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촬영이미지에 표시되는 상기 제1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패턴부의 정중앙점을 추출한 후, 상기 정중앙점을 기준으로 하는 x축 및 y축으로 이루어진 광축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광축과 기준축의 기울기를 추출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의 회전추출값을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회전추출값이 기 설정된 회전설정값에 포함되는 유무를 확인하고, 포함유무에 따라 각각 다르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정렬보드는, 상기 저장제어부로 저장된 기준점을 삭제하여 리셋시키는 리셋버튼을 더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추출부는, 상기 광축과 기준축의 오차값을 추출하고,
    상기 광축정렬보드는, 상기 오차값에 따라 상기 이동버튼을 제어하여, 상기 오차값을 기 설정된 최소오차값이 되도록 자동으로 촬영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이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정렬보드는, 상기 촬영이미지가 이동될 때, 이동됨을 표시하는 점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등부는, 상기 이동버튼에 대응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종류에 따라 장착홈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지그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보드는, 상기 카메라모듈이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이 상기 카메라모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양측에 내입된 내입홈이 있어, 억지끼움된 상기 카메라모듈의 양측을 잡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KR1020200152507A 2020-11-16 2020-11-16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KR10244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507A KR102445001B1 (ko) 2020-11-16 2020-11-16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507A KR102445001B1 (ko) 2020-11-16 2020-11-16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463A KR20220066463A (ko) 2022-05-24
KR102445001B1 true KR102445001B1 (ko) 2022-09-21

Family

ID=8180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507A KR102445001B1 (ko) 2020-11-16 2020-11-16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0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654B1 (ko) * 2013-06-14 2014-09-26 (주)이즈미디어 카메라 모듈의 광축 조정장치 및 광축 조정방법
WO2017010745A1 (ko) * 2015-07-10 2017-0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21B1 (ko) 2011-12-08 2013-12-09 ㈜베이다스 다중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 차량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장치
KR101428791B1 (ko) 2013-03-27 2014-08-08 (주) 루리텍 광축 정렬 가능한 카메라 모듈과 그 방법 및 광축 정렬용 이미지 센서 모듈
KR101409322B1 (ko) 2013-12-19 2014-06-19 (주)아이솔루션 카메라 모듈의 렌즈 광축 정렬 및 조립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광축 정렬 및 조립 방법
KR101648887B1 (ko) * 2014-05-13 2016-08-30 멀티펠스 주식회사 초광각 렌즈를 이용한 카메라의 광축 보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654B1 (ko) * 2013-06-14 2014-09-26 (주)이즈미디어 카메라 모듈의 광축 조정장치 및 광축 조정방법
WO2017010745A1 (ko) * 2015-07-10 2017-0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463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4022B2 (ja) 位置合わせされた統合画像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複数カメラ車両撮像システム
EP1861748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lignement of a projector with respect to a projection screen
US7889234B2 (en) Automatic calibration for camera lens distortion correction
US20180160087A1 (en) Hud image optimization through software control of displayed graphics
WO20010472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projector-camera system
US20080151079A1 (en) Imag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511557A (zh) 一種360度照相機系統之校準系統及方法
CN111402344A (zh) 标定方法、标定装置和非易失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7196741B2 (en) Automatic image convergence for projection television systems
CN109104604B (zh) 多相机校准图表
JP2013243515A (ja) 画像調整装置、画像調整システム及び画像調整方法
CN110930457B (zh) 一种摄像头标定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KR101926258B1 (ko) Avm 시스템의 자동 캘리브레이션 방법
US101527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camera of a vehicle
KR102445001B1 (ko)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광축 조절장치
DE102012202386A1 (de) Bildaufnahmevorrichtung und bildsignalverarbeitungsvorrichtung
TWI575959B (zh) A scene imag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20415238A1 (en) Method for Collection and Correction of Display Unit
CN108665501A (zh) 汽车环视系统三维标定场景及采用该场景的标定方法
JP5621189B2 (ja) 液晶パネルのフォーカス位置決め方法
KR20110130137A (ko) 차량용 광각 영상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4221716A (ja) 光変調器の位置調整装置、および光変調器の位置調整方法
CN113063496A (zh) 成像光谱装置
JPH077676A (ja) 固体撮像素子位置決め判定および固定方法
JP3716265B2 (ja) プロジェクタのズーム状態検出方法および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