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142B1 -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 - Google Patents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142B1
KR102444142B1 KR1020190006144A KR20190006144A KR102444142B1 KR 102444142 B1 KR102444142 B1 KR 102444142B1 KR 1020190006144 A KR1020190006144 A KR 1020190006144A KR 20190006144 A KR20190006144 A KR 20190006144A KR 102444142 B1 KR102444142 B1 KR 102444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solution
capsule
extinguishing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439A (ko
Inventor
윤여민
최지현
정범영
하정호
김기재
안용건
이규빈
수하르토유스티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0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142B1/ko
Priority to CN201980027773.XA priority patent/CN112041035B/zh
Priority to US17/049,483 priority patent/US11730993B2/en
Priority to PCT/KR2019/018422 priority patent/WO2020149547A1/ko
Priority to EP19910315.1A priority patent/EP3769820A4/en
Publication of KR2020008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4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ysical processes, e.g. drying,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4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ysical processes, e.g. drying, spraying
    • B01J13/046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ysical processes, e.g. drying, spraying combined with gelification or coag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물질; 상기 소화물질을 내장하는 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물질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FIRE EXTINGUISHING COMPOSITIONS, PREPARING METHOD THERE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본 발명은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발 또는 발화를 억제하는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상기한 이차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차전지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이차전지는 과충전, 과전류, 및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고열이 발생할 경우 폭발 또는 발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463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화물질을 내장한 캡슐을 포함하되, 상기 소화물질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공기차단 효과를 이용하여 폭발 또는 발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은 소화물질; 상기 소화물질을 내장하는 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물질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acrylate monomer)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고분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슐의 외주면에 코팅되는 분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산층은 실리콘 오일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수지와 용매를 혼합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용해된 캡슐용 용액을 제조하는 캡슐용 용액 제조단계(S10); 상기 캡슐용 용액에 복수개의 소화물질을 첨가하여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용해된 상기 캡슐용 용액을 코팅하는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S20); 및 상기 캡슐용 용액이 코팅된 복수개의 소화물질을 가열하여 상기 캡슐용 용액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이 표면에 남아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캡슐화되면서 소화 조성물이 제조되는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S20)에서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캡슐용 용액 제조단계(S10)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용매는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S20)와 상기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이 첨가된 캡슐용 용액을 교반하여 상기 소화물질의 크기 및 모양, 상기 소화물질에 코팅된 캡슐용 용액의 두께 및 모양을 조절하는 캡슐용 용액 교반단계(S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용 용액 교반단계(S23)와 상기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 사이에는 캡슐용 용액이 코팅된 복수개의 소화물질이 분리되도록 캡슐용 용액이 코팅된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의 외측에 분산용액을 코팅하는 분산용액 코팅단계(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 용액은 실리콘 오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 후, 상기 소화 조성물을 세척하여 상기 소화 조성물에 코팅된 분산 용액을 제거하는 분산용액 제거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저장되면서 상기 전극조립체에 함침되는 전해액; 및 상기 전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전해액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소화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 조성물은 소화물질, 상기 소화물질을 내장하는 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물질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 조성물이 상기 분리막에 구비되면, 상기 소화 조성물은 고분자 바인더를 통해 상기 분리막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소화 조성물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은 하나 이상의 이차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이차전지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저장되면서 상기 전극조립체에 함침되는 전해액; 및 상기 전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전해액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소화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 조성물은 소화물질, 상기 소화물질을 내장하는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물질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화 조성물은 소화물질과 캡슐을 포함하되, 상기 소화물질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공기차단효과를 이용하여 고열 및 화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화 조성물을 이차전지에 적용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인해 이차전지의 발화 및 폭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소화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실험예1에 의해 촬영된 소화 조성물의 확대사진.
도 8은 실험예2에 의해 촬영된 비교예2 및 제조예2의 분리막 사진.
도 9는 실험예3에 의해 소화 조성물의 소화 능력을 평가한 그래프.
도 10은 실험예4에 의해 소화 조성물을 포함한 이차전지의 성능 영향성을 측정한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1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소화 물질(110)과, 상기 소화물질(110)을 내장하는 마이크로 캡슐(이하, 캡슐이라 함)(120)을 포함한다.
소화 물질
상기 소화 물질(110)은 고열을 억제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브로민화칼슘(CaBr2)은 브로민(Br)과 칼슘(Ca)의 화합물로, 산소 제거를 통해 화염 확산을 억제하고, 그에 따라 고열 발생을 억제한다. 특히 상기 브로민(Br)은 할로겐 화합물인 소화약제로 사용된다.
캡슐
상기 캡슐(120)은 소정 온도 이하에서 상기 소화 물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얇게 만든 작은 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슐(120)은 저항 성분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아야 하고, 유기 전해질에 대해 우수한 내화학성과 절연성을 가진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다.
일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acrylate monomer)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로 형성되며,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는 가볍고, 전기가 통하지 않으며, 녹슬거나 썩지 않으며, 약품에 잘 못지 않고, 단단한 강도를 가지며, 열에 의해 쉽게 용융되는 성질을 가진다. 특히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는 소수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고분자를 사용하며, 상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고분자들 중에서도 결정성과 높은 투명성을 가지며, 내후성, 표면강도, 내화학성, 전기 절연성뿐만 아니라 딱딱한 특성을 가진다. 즉,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소화물질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120)의 외측에는 접하는 캡슐(12)이 붙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분산층(1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분산층
상기 분산층(130)은 상기 캡슐(120)의 외주면에 코팅되며, 이에 따라 캡슐(120)의 외측을 미끄럽게 형성함에 따라 접착성질을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접하는 캡슐들이 붙지 않도록 분산시킨다.
특히 상기 분산층(130)은 실리콘 오일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오일은 맛과 냄새가 없는 기름 모양의 액체로, 캡슐(120)의 외주면에 매끄럽게 함에 따라 마찰을 적게 하고 마모되거나 녹아 붙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분산층(130)은 실리콘 오일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캡슐(120)들을 보다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산층(130)은 소화 조성물(100)이 완성되면, 상기 소화 조성물(1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100)은 브로민화칼슘(CaBr2)인 소화물질(110)과 캡슐(120)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소화기능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소화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열 및 화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캡슐용 용액 제조단계(S10),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S20), 캡슐용 용액 교반단계(S23), 분산용액 코팅단계(S25) 및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를 포함한다.
캡슐용 용액 제조단계
상기 캡슐용 용액 제조단계(S10)는 열가소성 수지와 용매를 혼합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용해된 캡슐용 용액을 제조한다.
일례로, 상기 캡슐용 용액 제조단계(S10)는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용매(1)가 저장된 수조(10)에 열가소성 수지(2)를 넣는다. 그러면 상기 용매(1)에 의해 상기 열가소성 수지(2)가 녹으면서 용액이 만들어지고, 열가소성 수지 용액과 용매가 혼합되면서 캡슐용 용액(3)이 제조된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2)는 내후성, 표면강도, 내화학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 수지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용매(1)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용이하게 녹이기 위해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한다.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
상기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S20)는 상기 캡슐용 용액에 복수개의 소화물질을 첨가하여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용해된 상기 캡슐용 용액을 코팅한다.
일례로, 상기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S20)는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조(10)에 저장된 캡슐용 용액(3)에 복수개의 소화물질(110)을 첨가한다. 그러면 복수개의 소화물질(110)이 상기 캡슐용 용액(3)에 수용되면서 복수개의 소화물질(110)의 외주면에 상기 캡슐용 용액(3)을 자연적으로 코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물질(110)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사용한다.
캡슐용 용액 교반단계
상기 캡슐용 용액 교반단계(S23)는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이 첨가된 캡슐용 용액을 교반하여 상기 소화물질의 크기 및 모양, 상기 소화물질에 코팅된 캡슐용 용액의 두께 및 모양을 조절한다.
일례로, 상기 캡슐용 용액 교반단계(S23)는 도 3의 (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개의 소화물질(110)과 캡슐용 용액(3)이 포함된 수조(10)를 교반기(20)에 설치한 다음, 상기 교반기(20)를 작동시켜서 상기 수조(1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교반기(20)는 교반성을 높이기 위해 수조(10)를 일정시간 마다 정회전 및 역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수조(10)에 저장된 복수개의 소화물질(110)이 충돌하면서 다수개로 분쇄되거나 또는 균일한 형태로 변형되고, 특히 다수개로 분쇄된 소화물질(110)의 외측에는 다시 캡슐용 용액(3)이 코팅된다. 또한, 수조(10)와 함께 복수개의 소화물질(110)도 회전하면서 상기 소화물질(110)의 외측에 코팅된 캡슐용 용액(3)의 두께와 모양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분산용액 코팅단계
상기 분산용액 코팅단계(S25)는 캡슐용 용액이 코팅된 복수개의 소화물질이 분리되도록 캡슐용 용액이 코팅된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의 외측에 분산용액을 코팅한다.
일례로, 상기 분산용액 코팅단계(S25)는 도 3의 (d)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캡슐용 용액 교반단계(S23)에 의해 교반이 완료된 수조(10)의 캡슐용 용액(3)에 분산용액(4)을 첨가한다. 그러면, 상기 분산용액(4)은 캡슐용 용액(3)에 혼합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소화물질(110) 외주면에 코팅되며, 보다 자세하게는 소화물질(110) 외측에 있는 캡슐용 용액(3)의 외측에 코팅되면서 소화물질(110)의 외주를 미끄럽게 만들게 되고, 이에 따라 캡슐용 용액(3)에 수용된 복수개의 소화물질(110)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분산용액(4)은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며, 실리콘 오일은 소화물질의 분산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
상기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는 상기 캡슐용 용액이 코팅된 복수개의 소화물질을 가열하고 상기 캡슐용 용액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시킨다. 그러면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이 표면에 남아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응고되면서 캡슐로 만들어지며, 이에 따라 소화물질을 내장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는 도 3의 (e)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소화물질(110), 캡슐용 용액(3) 및 분산용액(4)을 포함한 수조(1)를 가열기(30)에 설치한 다음, 상기 가열기(30)로 상기 수조(1)를 가열한다. 그러면, 수조(1)에 저장된 소화물질(110), 캡슐용 용액(3) 및 분산용액(4)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캡슐용 용액(3)에 포함된 용매(1)를 증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화물질(110)에 코팅된 캡슐용 용액(3) 중 용매(1)가 제거된 열가소성 수지가 응고되면서 캡슐(120)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캡슐(120)의 외주면에 코팅된 분산용액(4)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면서 캡슐(120)을 감싸는 분산층(130)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소화물질(110), 캡슐(120) 및 분산층(130)을 포함하는 소화 조성물(100)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분산층(130)은 소화 조성물(100) 제조시 복수개의 소화물질(110)이 뭉쳐지지 않게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화 조성물(100)의 제조가 완료되면 소화 조성물(100)로부터 제거한다. 즉, 상기 분산층(130)은 이차전지에 포함될 경우 이차전지에 포함된 전해액을 오염시키거나 변질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성능 저하하거나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화 조성물의 제조가 완료되면 분산층을 제거하는 분산용액 제거단계를 수행한다.
분산용액 제거단계
분산용액 제거단계(S40)는 상기 소화 조성물을 세척하여 상기 소화 조성물에 코팅된 분산층인 분산용액을 제거한다.
일례로 분산용액 제거단계(S40)는 도 3의 (f)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개의 소화 조성물(100)을 물(5)이 저장된 수조(40)에 넣는다. 그러면 수조(40)에 저장된 물(5)에 의해 소화 조성물(100)에 코팅된 분산층인 분산용액이 세척되면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소화 조성물에 코팅된 분산층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분산용액 제거단계(S40)가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물질(110)과 캡슐(120)을 포함하는 완제품 소화 조성물(100)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소화 조성물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소화물질로 브로민화칼슘(CaBr2)을 사용함에 따라 새로운 성분의 소화약제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전극(211)과 복수의 분리막(212)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210), 상기 전극조립체(210)가 수용되는 케이스(220), 상기 케이스(220)에 저장되면서 상기 전극조립체(210)에 함침되는 전해액(230) 및 상기 전극(211), 상기 분리막(212) 및 상기 전해액(2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20) 내부에 발생하는 고열을 억제하여 폭발 또는 발화를 방지하는 소화 조성물(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화 조성물(100)은 소화물질(110), 상기 소화물질(110)을 내장하는 캡슐(120)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물질(110)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소화 조성물(1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0)는 소화 조성물(100)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전극조립체(210)에 의해 케이스(220) 내부의 전해액 온도가 급상승하면, 소화 조성물(100)의 캡슐(120)이 용융되면서 소화 물질(110)이 전해액(230)의 온도 상승을 억제 또는 냉각하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200)의 폭발 또는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 조성물(100)은 전극조립체(210)에 포함된 상기 분리막(212)에 구비되며, 이에 따라 분리막(212)의 양쪽 표면에 위치한 전극의 온도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화 조성물(100)은 고분자 바인더(213)를 통해 상기 분리막(212)의 표면에 코팅되며, 이에 따라 소화 조성물(100)을 분리막(212)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 조성물(100)은 케이스(220)의 외측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소화 조성물은 바인더를 통해 상기 케이스(220)의 외주면에 코팅되면서 소화 조성물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외부에 가해지는 고열로부터 이차전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300)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이차전지(200)와 하나 이상의 상기 이차전지(200)를 수용하는 팩케이스(310)를 포함하며, 상기 이차전지(200)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조립체(210), 상기 전극조립체(210)가 수용되는 케이스(220), 상기 케이스(220)에 저장되면서 상기 전극조립체(210)에 함침되는 전해액(230), 및 상기 전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전해액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소화 조성물(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화 조성물(100)은 소화물질(110), 상기 소화물질(110)을 내장하는 캡슐(120)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물질(110)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소화 조성물(1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300)은 소화 조성물을 구비한 이차전지(200)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이차전지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냉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300)에서 이차전지(200)는 케이스(220)의 외측에 소화 조성물(100)로 이루어진 소화 조성물층(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팩케이스(310) 내부에 발생한 고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폭발 또는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실험예1]
실험예1은 제조된 소화 조성물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제조예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소화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소화 조성물을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하면, 도 7과 같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제조예1은 크기가 서로 다른 소화 조성물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구형의 소화 조성물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촬영된 소화 조성물은 1~100㎛의 크기를 가진다.
[실험예2]
실험예2는 분리막 표면에 소화 조성물 코팅 여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예2
소화 조성물이 없는 분리막을 준비하고, 준비한 분리막을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다.
제조예2
분리막의 표면에 소화 조성물을 코팅한다. 이때 소화 조성물은 고분자 바인더를 통해 분리막의 표면에 코팅하고, 상기 소화 조성물의 코팅이 완료되면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다.
이때 비교예2와 제조예2는 동일한 소재의 분리막을 사용하고, 동일한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다.
촬영결과
상기 비교예2는 도 8의 (a) 사진을 참조하면 분리막의 표면에 아무것도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2는 도 8의 (b) 사진을 참조하면, 분리막의 표면 전체에 흰색으로 볼록하게 융기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융기부는 소화 조성물로 분리막의 표면 전체에 코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3]
실험예3은 소화 조성물의 소화 능력을 평가한 것이다.
비교예3
인화성 유기 전해질로 사용되는 디메틸카보네이트와 에틸렌카보네이트를 혼합한 용매를 연소시켜서 연소시 소요시간을 측정한다.
제조예3
인화성 유기 전해질로 사용되는 디메틸카보네이트와 에틸렌카보네이트를 혼합한 용매에 소화 조성물을 포함한 상태로 연소시켜서 연소시 소요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제조예3은 3번의 연소실험을 진행하며, 그 결과를 제조예3-1, 제조예3-2 및 제조예3-3으로 표시한다.
한편, 비교예3과 제조예3은 동일한 디메틸카보네이트와 에틸렌카보네이트를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고, 동일한 화기를 이용하여 연소시킨다.
연소결과
상기 비교예3과 상기 제조예3의 연소시간을 측정한 결과 도 9와 같은 연소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비교예3은 70초의 연소시간이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3-1은 26초의 연소시간이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제조예3-2는 20초의 연소시간이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조예3-3은 5초의 연소시간이 측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조예3은 5~26초의 연소시간이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예3의 결과, 소화 조성물이 첨가된 제조예3이 비교예3 보다 연소시간이 크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4]
실험예4는 소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성능 영향성을 확인한 것이다(방전용량).
비교예4
전극조립체, 전해액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준비하고, 준비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면서 그 성능 변화를 측정한다.
제조예4
전극조립체, 전해액, 케이스 및 소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준비하고, 준비한 이차전지를 충방전하면서 그 성능 변화를 측정한다. 이때 제조예4는 3번의 성능실험을 진행하며, 그 결과를 제조예4-1, 제조예4-2 및 제조예4-3으로 표시한다.
한편, 상기 비교예4와 상기 제조예4는 소화 조성물을 제외한 나머지 이차전지 구성을 동일하고, 동일한 환경과 전압으로 충방전을 진행한다.
성능 측정결과
상기 비교예4와 상기 제조예4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 도 10과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예4와 제조예4의 성능은 동일한 사이클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예4는 소화 조성물을 포함하더라도 성능, 즉 방전용량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0: 소화 조성물
110: 소화 물질
120: 캡슐
130: 분산층
200: 이차전지
300: 전지팩

Claims (15)

  1. 소화물질;
    상기 소화물질을 내장하는 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물질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외주면에 코팅되는 분산층을 더 포함하는 소화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acrylate monomer)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로 구비되는 소화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고분자로 구비되는 소화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산층은 실리콘 오일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소화 조성물.
  5. 열가소성 수지와 용매를 혼합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용해된 캡슐용 용액을 제조하는 캡슐용 용액 제조단계(S10);
    상기 캡슐용 용액에 복수개의 소화물질을 첨가하여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의 표면에 상기 캡슐용 용액을 코팅하는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S20); 및
    상기 캡슐용 용액이 코팅된 복수개의 소화물질을 가열하여 상기 캡슐용 용액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의 표면에 남아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캡슐화되면서 소화 조성물이 제조되는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S20)와 상기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이 첨가된 캡슐용 용액을 교반하여 상기 소화물질의 크기 및 모양, 상기 소화물질에 코팅된 캡슐용 용액의 두께 및 모양을 조절하는 캡슐용 용액 교반단계(S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캡슐용 용액 교반단계(S23)와 상기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 사이에는 캡슐용 용액이 코팅된 복수개의 소화물질이 분리되도록 캡슐용 용액이 코팅된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의 외측에 분산용액을 코팅하는 분산용액 코팅단계(S25)를 더 포함하는 소화 조성물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슐용 용액 코팅단계(S20)에서 상기 복수개의 소화물질은 브로민화칼슘(CaBr2)을 사용하는 소화 조성물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슐용 용액 제조단계(S10)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용매는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하는 소화 조성물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산 용액은 실리콘 오일로 마련되는 소화 조성물 제조방법.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화 조성물 완성단계(S30) 후, 상기 소화 조성물을 세척하여 상기 소화 조성물에 코팅된 분산 용액을 제거하는 분산용액 제거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소화 조성물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006144A 2019-01-17 2019-01-17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 KR102444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44A KR102444142B1 (ko) 2019-01-17 2019-01-17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
CN201980027773.XA CN112041035B (zh) 2019-01-17 2019-12-24 制备阻燃性组合物的方法
US17/049,483 US11730993B2 (en) 2019-01-17 2019-12-24 Extinguishing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PCT/KR2019/018422 WO2020149547A1 (ko) 2019-01-17 2019-12-24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
EP19910315.1A EP3769820A4 (en) 2019-01-17 2019-12-24 COMPOSITION OF FIRE EXTINGUISHING, ITS PRODUCTION PROCESS,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44A KR102444142B1 (ko) 2019-01-17 2019-01-17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39A KR20200089439A (ko) 2020-07-27
KR102444142B1 true KR102444142B1 (ko) 2022-09-19

Family

ID=7161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44A KR102444142B1 (ko) 2019-01-17 2019-01-17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30993B2 (ko)
EP (1) EP3769820A4 (ko)
KR (1) KR102444142B1 (ko)
CN (1) CN112041035B (ko)
WO (1) WO20201495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89021A (en) * 1976-07-21 1981-05-07 Calamani S Fireproofing method and compositions
JPS55108366A (en) 1979-02-10 1980-08-20 Matsumoto Yushi Seiyaku Kk Fireeextinguishing substance
JP2631841B2 (ja) * 1987-03-05 1997-07-16 株式会社 日本カプセルプロダクツ 潜熱蓄熱材マイクロカプセル
IT1237680B (it) 1989-11-06 1993-06-15 Ausidet Srl Composizioni polimeriche autoestinguenti.
EP0924166A4 (en) 1997-06-26 2005-12-14 Budenheim Iberica S L Soc En C THERMOPLASTIC COATING AMMONIUM POLYPHOSPHA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4472035B2 (ja) 1998-06-17 2010-06-02 森下仁丹株式会社 長期保存安定性に優れたカプセル製剤
AT504342B8 (de) 2006-11-21 2008-09-15 Thomas K Stelzl Kugelförmiger hohler füllkörper zum ausfüllen von behältern
TW201000616A (en) * 2008-04-16 2010-01-01 Morishita Jintan Co Thermal storage seamless capsu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374309B2 (ja) * 2009-09-30 2013-12-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型消火剤、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型体
KR20110050136A (ko) 2009-11-06 2011-05-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실리카/폴리아닐린 코어/셀 나노입자를 이용한 전기유변유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35372B1 (ko) * 2011-10-26 2013-12-03 전자부품연구원 마이크로 캡슐화된 소화 조성물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
CN103170085A (zh) * 2011-12-20 2013-06-26 陕西坚瑞消防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材料包覆的灭火组合物
KR101625820B1 (ko) 2013-07-30 2016-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산소 스캐빈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US20160257886A1 (en) 2014-01-09 2016-09-08 Frank Tiberius Gangi Flame Retardent Compositions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Systems
RU2014145602A (ru) 2014-11-13 2016-06-10 "Эйлар Глобал С.А." Огнегасящий полимер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2088700B1 (ko) 2015-10-21 2020-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화약제를 내장하고 있는 튜브형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05742733A (zh) * 2016-03-01 2016-07-06 湖南立方新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增强锂离子电池安全性的方法
CN107376185A (zh) 2016-05-17 2017-11-24 天津盛安消科科技有限公司 一种微纳米灭火胶囊及制备方法
KR20180039834A (ko) 2016-10-11 2018-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화물질이 포함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향상된 코팅제 조성물
KR102127307B1 (ko) 2016-10-31 2020-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CN106785126B (zh) 2017-02-15 2019-10-11 青岛大学 一种阻燃添加剂及其制备方法、锂电池
KR102370998B1 (ko) 2017-05-11 2022-03-04 기아 주식회사 소화 입자가 코팅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41035B (zh) 2023-01-10
US20210260426A1 (en) 2021-08-26
KR20200089439A (ko) 2020-07-27
WO2020149547A1 (ko) 2020-07-23
EP3769820A4 (en) 2021-05-19
EP3769820A1 (en) 2021-01-27
US11730993B2 (en) 2023-08-22
CN112041035A (zh)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813B1 (ko)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Li et al. Thermal‐responsive and fire‐resistant materials for high‐safety lithium‐ion batteries
KR102127307B1 (ko) 이차전지
KR102518866B1 (ko) 벤팅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TW200308112A (en) Separator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2311778B1 (ko)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JP2008027907A (ja) 改善された安全性を有する二次電池
CN103140958A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隔板、其制造方法和非水电解质二次电池
CN106848162A (zh) 一种二次电池
KR101473394B1 (ko) 금속 이온을 흡착할 수 있는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JP6947362B2 (ja) 二次電池用絶縁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82920B1 (ko) 캡슐형 발포제, 이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코팅 조성물, 그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30032233A (ko) 전기 화학 소자용 세퍼레이터, 그 제조 방법 및 전기 화학 소자
KR102444142B1 (ko) 소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이차전지 및 전지팩
JP6798505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感熱層
US10109843B2 (en) Separator for a rechargeable battery
Roh et al. Enhanced safety of lithium ion batteries through a novel functional separator with encapsulated flame retardant and hydroxide ceramics
US10608226B2 (en) Separator for a rechargeable battery
CN111933879A (zh) 一种锂离子电池
JP4537736B2 (ja) 電池
KR101335372B1 (ko) 마이크로 캡슐화된 소화 조성물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1193205A1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自己消火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5113944B1 (ja)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化学素子
US20220109204A1 (en) Impact resistant battery cell
CN117937050A (zh) 隔离膜和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