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100B1 -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100B1
KR102444100B1 KR1020190164042A KR20190164042A KR102444100B1 KR 102444100 B1 KR102444100 B1 KR 102444100B1 KR 1020190164042 A KR1020190164042 A KR 1020190164042A KR 20190164042 A KR20190164042 A KR 20190164042A KR 102444100 B1 KR102444100 B1 KR 10244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mmunication module
electronic detonator
blasting system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330A (ko
Inventor
황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9016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100B1/ko
Priority to PCT/KR2020/017593 priority patent/WO2021118167A2/ko
Priority to US17/252,497 priority patent/US11835328B2/en
Priority to AU2020289836A priority patent/AU2020289836B2/en
Publication of KR2021007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3/00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 F42C13/04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operated by radio waves
    • F42C13/047Remotely actuated projectile fuzes operated by radio transmission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F42D1/05Electric circuits for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Air Bag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 뇌관, 무선 통신모듈, 상기 전자 뇌관과 상기 무선 통신모듈을 연결하는 전선부, 상기 무선 통신모듈에 위치되며 상, 하 이동되어 지면에 박히는 모듈 고정핀부를 포함하여 모듈 고정핀부를 지면에 박아 무선 통신모듈의 위치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무선 통신 중 안정석을 확보함으로써 발파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ELECTRONIC DETONATOR DEVICE FOR BLASTING SYSTEM AND BLAS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모듈을 지면에 고정시켜 위치시킬 수 있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암반의 폭파, 폐건물 폭파, 노천 폭파 등의 공사 분야에서, 폭발물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발파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구간 별로 폭발물이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들을 천공한다.
천공된 구멍들 각각에 폭발물을 삽입한 후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한다.
사용자 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폭발물을 폭파하여 발파 대상물을 폭파한다.
폭발물을 기폭시키기 위한 뇌관 장치로는 무선 통신 방식의 뇌관 장치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의 뇌관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식 뇌관 장치는 전자뇌관, 무선 통신모듈, 무선 통신모듈과 전자뇌관을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무선 통신모듈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내부에 구비된다.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자식 뇌관 장치에서 무선 통신모듈은 하늘을 향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자식 뇌관 장치의 설치 후 무선 통신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데 별도의 지지대를 사용하고 있다.
별도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경우 무선 통신모듈에 맞는 지지대를 별도로 제조해야하므로 이에 대한 경제적 비용이 발생하고, 지지대를 별도로 지반에 설치하고 설치된 지지대에 무선 통신모듈을 거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공개 제2015-0104134호 '무선 기폭 시스템, 무선 기폭 방법과, 이것에 사용되는 뇌관 및 폭약 유닛'(2015.09.1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 고정핀부를 지면에 박아 무선 통신모듈의 위치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선 모듈을 지면과 이격되게 거치시켜 지면 상에 올려지는 방향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뇌관을 무선 통신모듈에 거치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자 뇌관, 무선 통신모듈, 상기 전자 뇌관과 상기 무선 통신모듈을 연결하는 전선부, 상기 무선 통신모듈에 위치되며 상, 하 이동되어 지면에 박히는 모듈 고정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를 지면과 이격되게 하는 복수의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는 사이에 상기 전자 뇌관을 끼울 수 있는 간격을 가지고 위치되어 사이에 상기 전자 뇌관이 끼워져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 고정핀부는 중공부 내에 위치되고 상, 하 이동되는 승하강 몸체부재 및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고정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는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의 높이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져 상기 고정핀부재가 지면에 박혀 하부면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몸체의 일부분이 중공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외주면에는 위치 고정홈부가 위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 내에서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중공부의 내로 돌출되어 위치 고정홈부에 삽입되는 제1위치 고정부재 및 상기 제1위치 고정부재를 전, 후 이동시켜 위치 고정홈부에 삽입시키거나 위치 고정홈부에서 분리하는 제1직선 이동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위치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가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하부 측으로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된 위치를 고정하는 제2위치 고정부재, 상기 제2위치 고정부재를 전, 후 이동시키는 제2직선 이동기기 및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승하강 위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위치 감지센서는 상기 제2위치 고정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고정핀 승하강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홈형태의 레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일부 내에 위치되어 상, 하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핀 승하강 기기는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 내에 세로로 세워져 위치되는 레크기어부재 및 상기 레크기어부재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 안내부재에 위치되고 회전모터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피니언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하부면에는 접촉센서가 위치되어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하부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상기 고정핀부재는 각각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에 위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 내에 위치되어 복수의 상기 고정핀부재를 각각 회전시키는 핀 회전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핀 회전기기는 상기 고정핀부재의 핀회전축에 위치되는 제1베벨기어부재,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메인 회전축에 위치되는 제2베벨기어부재 및 상기 메인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핀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핀부재는 외주면에 나선형 홈부 또는 나선형 돌기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높이 방향에서 중앙에 위치되고, 복수의 상기 고정핀부재는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핀 회전기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는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상부면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의 상부면에는 제1지면 접촉 센서가 위치되고,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하부면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의 하부면에는 제2지면 접촉 센서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무선 통신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선부가 감겨질 수 있는 전선 권취용 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선 권취용 릴부는 전선부가 감기는 전선 권취부 및 상기 전선 권취부의 양 단부 측에 위치되며 상기 무선 통신모듈이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 릴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원통형 릴 결합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모듈 결합용 나사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파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듈 고정핀부를 지면에 박아 무선 통신모듈의 위치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무선 통신 중 안정석을 확보함으로써 발파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선 모듈을 지면과 이격되게 거치시켜 안정적인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발파 정확도와 발파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자뇌관을 무선 통신모듈에 거치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 시 편의성과 보관 시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자 뇌관(100), 무선 통신모듈(200), 전자 뇌관(100)과 무선 통신모듈(200)을 연결하는 전선부(300)를 포함한다.
전자 뇌관(100)은 뇌관 정보를 저장하며, 발파 명령에 따라 기폭되어 폭발물을 폭발시킨다.
전선부(300)는 감겨지거나 복수로 접혀진 후 전선용 밴드 또는 전선용 타이 등을 이용하여 보관될 수 있고, 사용 시에 펼쳐져 사용될 수 있다.
전선부(300)는 와이어공지의 통신용 전선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무선 통신모듈(200)은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및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내에 위치되는 안테나부, 안테나로부터 전달받는 신호로 전자 뇌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은 중앙에 중공부가 위치된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고, 내부에 안테나부(220, 230), 안테나부(220, 230)로부터 전달받는 신호로 전자 뇌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24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안테나부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내에서 상부 측에 위치되는 제1안테나부(220),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내에서 제1안테나부(220)의 하부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안테나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모듈(200)은 제1안테나부(220)와 제2안테나부(230) 중 어느 한 측을 무선 통신 제어부(240)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안테나 스위치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안테나부(220)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내에서 상면부에 밀착되게 위치되고, 제2안테나부(230)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내에서 하면부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서로의 간격을 최대로 확보함과 아울러 제2안테나부(230)와 상면부 사이의 거리를 극대화하고, 제1안테나부(220)와 하면부 사이의 거리를 극대화한다.
이로써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상면부가 지면에 안착될 때 제2안테나부(230)가 지면과 최대한 이격되어 하늘을 향해 위치되며, 이와 반대로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하면부가 지면에 안착될 때 제1안테나부(220)가 지면과 최대한 이격되어 하늘을 향해 위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부(240) 또는 안테나 스위치부(250)는 신호 자동인식 칩 또는 공진(ping)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제1안테나부(220)와 제2안테나부(230) 중 신호 강도가 높은 쪽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해당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모듈(200)은 상면부가 지면에 안착되거나 하면부가 지면에 안착되는 것에 상관없이 제1안테나부(220)와 제2안테나부(230) 중 어느 하나가 무선 통신모듈(200)의 상부 측에서 하늘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안정적으로 무선 통신될 수 있다.
중공부 내에는 상, 하 이동되어 지면에 박히는 모듈 고정핀부(400)가 위치되고, 모듈 고정핀부(400)는 중공부 내에 위치되고 상, 하 이동되는 승하강 몸체부재(410),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고정핀부재(420)를 포함할수 있다.
중공부의 상단부에는 내측둘레로 링형태의 걸림턱이 위치되어 승하강 몸체부재(410)가 상부 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하부면에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를 지면과 이격되게 하는 복수의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가 위치된다.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하부면에 복수로 이격되게 돌출된다.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이 지면에 안착되는 경우 하부면을 지면과 이격시켜 하부면 측에 위치된 제2안테나부(230)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는 사이에 전자 뇌관(100)을 끼울 수 있는 간격을 가지고 위치되어 사이에 전자 뇌관(100)이 끼워져 보관될 수 있다.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는 우레탄, 합성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제조되고, 사이에 전자 뇌관(100)이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고, 전자 뇌관(10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더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보관할 수 있다.
승하강 몸체부재(410)는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져 고정핀부재(420)가 지면에 박힘으로써 지면에 안착될 때 몸체의 일부분이 중공부 내에 위치된다.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두께가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경우 고정핀부재(420)가 지면에 박힐 때 하우징 지지 돌기부로 인해 승하강 몸체부재(410)가 중공부에서 빠져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는 전자뇌관을 무선 통신모듈(200)에 거치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 시 편의성과 보관 시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는 적어도 전자 뇌관(100)의 직경 또는 최대 두께보다 같거나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사이에 끼워지는 전자 뇌관(100)이 바닥에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 뇌관(100)은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에 끼워져 결합되어 중공부를 가로지르도록 위치되어 상부 측에 고정핀부재(420)의 하단부가 지지되어 고정핀부재(420)가 하강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공부의 하단부에는 중공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듈 고정핀부(400)의 하강을 막는 고정핀용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용 마개는 억지 끼움 또는 나사 결합 등의 공지의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로 중공부에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미 사용시 또는 휴대 중 모듈 고정핀부(400)가 하강되어 무선 통신모듈(200)의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핀부재(420)는 지면에 원활하게 박히기 위해서 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고, 고정핀용 마개는 중공부의 하단부 측을 막아 뾰족한 고정핀부재(420)가 무선 통신모듈(200)의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뾰족한 단부의 고정핀부재(420)가 무선 통신모듈(200)의 하부로 돌출되는 경우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하며, 작업자에게 상해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고정핀용 마개는 중공부의 하단부 측을 막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외주면에는 위치 고정홈부(411)가 위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내에서 중공부의 내로 돌출되어 위치 고정홈부(411)에 삽입되는 제1위치 고정부재(430), 제1위치 고정부재(430)를 전, 후 이동시켜 위치 고정홈부(411)에 삽입시키거나 위치 고정홈부(411)에서 분리하는 제1직선 이동기기(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 고정부재(430)는 위치 고정홈부(411)에 삽입되어 모듈 고정핀부(40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듈 고정핀부(400)가 중공부 내에 위치되도록 즉, 고정핀부재(420)의 하단부가 중공부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모듈 고정핀부(4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제1직선 이동기기(440)는 무선 통신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제1위치 고정부재(430)를 후퇴시켜 위치 고정홈부(411)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모듈 고정핀부(400)가 하강되어 지면에 박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위치 고정부재(430)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위치 고정홈부(411)에 삽입되어 승하강 몸체부재(410)가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하부 측으로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를 고정하는 제2위치 고정부재(450), 제2위치 고정부재(450)를 전, 후 이동시키는 제2직선 이동기기(460),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승하강 위치 감지센서(4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위치 감지센서(451)는 제2위치 고정부재(450)의 단부 측에 위치되어 승하강 몸체부재(410)가 하강되어 위치 고정홈부(411)가 제2위치 고정부재(450)에 대응되게 위치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승하강 위치 감지센서(451)는 레이저 거리 센서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위치 고정홈부(411)가 제2위치 고정부재(450)에 대응되게 위치될 때 위치 고정홈부(411)에 의해 거리가 늘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 고정홈부(411)가 제2위치 고정부재(450)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위치 고정홈부(411)가 제2위치 고정부재(450)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위치 고정홈부(411)는 제2위치 고정부재(4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하부 측 일부분이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도록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상단부 측에 위치된다.
즉, 승하강 몸체부재(410)가 하강되어 고정핀부재(420)가 지면에 박혀져 위치되는 상태에서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하부 측 일부분이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되면 승하강 위치 감지센서(451)가 제2위치 고정부재(450)에 대응되게 위치 고정홈부(411)가 위치된 것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2직선 이동기기(460)의 작동으로 제2위치 고정부재(450)가 전진하여 위치 고정홈부(411) 내로 삽입되면서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승하강 몸체부재(410)는 하부 측 일부분이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되어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위치를 지지하여 통신모듈 하우징부(210)가 더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내에 위치되고 승하강 몸체부재(410)를 상, 하 이동시키는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 몸체부재(410)는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에 의해 하강되어 하단부 측 일부분이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하부면으로 돌출되되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승하강 몸체부재(410)는 하부 측 일부분이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되어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위치를 지지하여 통신모듈 하우징부(210)가 더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핀부재(420)의 전체 부분이 지면에 박혀 위치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홈형태의 레일부(210a)가 위치되고,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외주면에는 레일부(210a) 내에 위치되어 상, 하 이동하면서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부재(410a)가 돌출되게 위치된다.
레일부(210a)와 이동 안내부재(410a)는 각각 복수로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상, 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내에 세로로 세워져 위치되는 레크기어부재(281), 레크기어부재(281)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이동 안내부재(410a)에 위치되고 회전모터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피니언 기어부재(28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는 통신모듈 하우징(210) 내에 복수로 위치되고 동시에 작동되어 승하강 몸체부재(410)를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는 이동 안내부재(410a)에 위치된 피니언 기어부재(28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 몸체부재(410)를 상, 하 이동시켜 고정핀부재(420)를 지면에 박히도록 할 수도 있고, 지면에 박힌 고정핀부재(420)를 뺄 수도 있다.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는 이동 안내부재(410a)에 위치되는 피니언 기어부재(282)를 통신모듈 하우징부(210) 내에 세로로 세워져 위치되는 레크기어부재(281)에 맞물려 회전시킴으로써 승하강 몸체부재(410)를 상, 하 이동시키는 구조로 승하강 몸체부재(410)를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하부면으로 돌출시킬 때 필요한 상부 측 여유 높이를 최소화하여 중공부 내에서 고정핀부재(420)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고정핀부재(420)가 지면에 박히는 길이를 증대시켜 무선 통신모듈(200)의 위치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하부면에는 접촉센서(410b)가 위치되어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하부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는 접촉센서(410b)에 의해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하부면이 지면에 접촉되면 작동이 정지되어 승하강 몸체부재(410)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핀부재(420)는 각각 회전 가능하게 승하강 몸체부재(410)에 위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승하강 몸체부재(410) 내에 위치되어 복수의 고정핀부재(420)를 각각 회전시키는 핀 회전기기(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핀 회전기기(470)는 고정핀부재(420)의 핀회전축(471)에 위치되는 제1베벨기어부재(472), 승하강 몸체부재(4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메인 회전축(473)에 위치되는 제2베벨기어부재(474), 메인 회전축(473)을 회전시키는 핀 회전모터(475)를 포함한다.
핀 회전모터(475)는 이동 안내부재(410a) 내에 위치되고, 메인 회전축(473)은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중심을 가로질러 가로로 배치되고, 제2베벨기어부재(474)는 메인 회전축(473)에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어 각 고정핀부재(420)에 위치된 제1베벨기어부재(472)에 맞물리게 된다.
고정핀부재(420)는 외주면에 나선형 홈부 또는 나선형 돌기부가 위치되어 회전을 통해 지면에 원활하게 박혀질 수 있게 된다.
핀 회전기기(470)는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에 의해 승하강 몸체부재(410)가 하강되기 시작하면 함께 작동되어 고정핀부재(420)가 지면에 원활하게 박혀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승하강 몸체부재(410)는 중공부의 높이 방향에서 중앙에 위치되고, 복수의 고정핀부재(420)는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승하강 몸체부재(410)는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에 의해 상, 하 이동되어 상부면 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하부면 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상부면에 위치된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상부면에는 제1지면 접촉 센서(261)가 위치되고,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하부면에 위치된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하부면에는 제2지면 접촉 센서(262)가 위치될 수 있다.
제1지면 접촉 센서(261) 또는 제2지면 접촉 센서(262)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가 지면에 놓여지는 방향을 감지하여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의 작동을 제어하여 승하강 몸체부재(410)가 지면을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위치되는 고정핀부재(420)는 각각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각각의 핀 회전축에 제1베벨기어부재(472)가 위치되어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중심을 가로질러 가로로 배치되는 메인 회전축(473)에 위치되는 제2베벨기어부재(474)에 각각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승하강 몸체부재(410)는 통신모듈 하우징부(210)가 지면에 놓여지는 방향이 상부면 측이거나 하부면 측이거나 관계없이 지면에 놓여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핀부재(420)가 지면에 박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핀부재(420)가 지면에 박혀질 때 고정핀부재(420)는 핀 회전기기(470)에 의해 원활하게 지면에 박혀지게 됨과 아울러 승하강 몸체부재(410)는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에 의해 하강되어 하단부 측 일부분이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하부면으로 돌출되되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26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되어 지면과 안착되어 지면과 이격된 무선 통신모듈(200)의 위치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접촉센서(410b)가 위치되어 승하강 몸체부재(4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지면과 접촉되면 고정핀 승하강 기기(280)의 작동이 정지됨을 밝혀둔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모듈(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선부(300)가 감겨질 수 있는 전선 권취용 릴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 권취용 릴부(310)는 전선부(300)가 감기는 전선 권취부(311), 전선 권취부(311)의 양 단부 측에 위치되며 무선 통신모듈(200)이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제1패널부(312)와 제2패널부(313)를 포함한다.
전선 권취부(311)는 전선을 손상없이 감아 보관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패널부(312)와 제2패널부(313)는 전선 권취부(3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형 패널이고, 무선 통신모듈(20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무선 통신모듈(200)은 통신모듈 하우징부(2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 릴 결합부재(270)를 더 포함하고, 제1패널부(312)와 제2패널부(313)의 외주면에는 각각 원통형 릴 결합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모듈 결합용 나사부(314)가 위치된다.
전선부(300)의 길이가 긴 경우 휴대 및 보관, 사용 시 편의성을 위해 전선 권취용 릴부(310)에 무선 통신모듈(200)을 결합시켜 전선부(300)를 전선 권취용 릴부(310)에 감아 보관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200)은 통신모듈 하우징부(210)를 제1패널부(312) 또는 제2패널부(313) 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원통형 릴 결합부재(270)를 회전시켜 하강시킴으로써 제1패널부(312) 또는 제2패널부(313)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전선 권취용 릴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모듈(200)은 전선 권취용 릴부(310)에 원통형 릴 결합부재(270)에 의해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형 릴 결합부재(270)를 반대 반향으로 회전시켜 승강시킴으로써 전선 권취용 릴부(3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200)은 전선 권취용 릴부(3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 사용 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8을 참고 하면 전자 뇌관(100)은 사용자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모듈(200)을 통해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기(500)와 자동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전자 뇌관(100)은 사용자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하거나 유선 통신하여 기폭 초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500)로 식별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뇌관 정보는 기폭 초시 정보, 발파 지연 시간 정보, 식별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뇌관(100)은 사용자 단말기(500)로부터 발파 명령을 수신하여 폭발물을 폭발시킬 수 있고, 발파 명령에 포함된 발파 지연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가 완료되면 즉, 발파 지연시간 경과 후 기폭되어 폭발물을 폭파시키게 된다.
무선 통신모듈(20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500)와 전자 뇌관(100)이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로라(LoRa) 등과 같은 공지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전자 뇌관(100)과 동기화되어 기폭 초시 정보를 전송하거나, 전자 뇌관(100)으로부터 식별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500)는 복수의 전자 뇌관(100)에 발파 지연 시간을 포함하는 발파 명령을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500)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제어부(510), 메모리부(520), 무선 통신부(530), 표시부(550) 및 버스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사용자 단말기(5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520)는 제어부(5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다수의 명령어들, 부품 목록에 대한 부품 목록 데이터, 부품 특성을 나타내는 부품 특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부(520)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ess Memory),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530)는 사용자 단말기(500)와 전자 뇌관(1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530)는 무선 네트워크(300)를 통해 무선 통신모듈(200)과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부(530)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로라(LoRa)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550)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550)는 표시 패널(display panel)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550)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550)는 전자 뇌관(100)으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지도 상에 전자 뇌관(100)을 표시할 수 있다.
버스부(560)는 제어부(510), 메모리부(520), 무선 통신부(530) 및 표시부(55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버스부(560)는 버스 인터페이스(bus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초시 설정 모듈(511), 위치 확인 모듈(512), 식별 모듈(513), 지연 시간 설정 모듈(514) 및 발파 모듈(5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module)이라 함은 메모리부(5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명령어들이 제어부(510)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의미할 수 있다.
초시 설정 모듈(511)은 전자 뇌관(100)에 대응하는 기폭 초시를 설정할 수 있다.
초시 설정 모듈(511)은 사용자 단말기(500)가 전자 뇌관(100)과 동기화하는 경우, 기폭 초시를 설정하고, 기폭 초시를 나타내는 기폭 초시 정보를 무선 통신부(530)를 통해 전자 뇌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확인 모듈(512)은 전자 뇌관(100)에 대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 확인 모듈(512)은 사용자 단말기(500)가 전자 뇌관(100)과 동기화하는 경우, 전자 뇌관(100)으로부터 무선 통신부(530)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확인 모듈(512)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뇌관(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식별 모듈(513)은 전자 뇌관(100)의 식별자 정보를 전달받아 식별자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 모듈(513)은, 사용자 단말기(500)가 전자 뇌관(100)과 동기화하는 경우, 전자 뇌관(100)으로부터 무선 통신부(530)를 통해 식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 모듈(513)은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뇌관(100)을 식별할 수 있다.
지연 시간 설정 모듈(514)은 전자 뇌관(100)에 대응하는 발파 지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발파 지연 시간은 통신 지연 시간 및 단차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지연 시간 설정 모듈(514)은, 사용자 단말기(500)가 전자 뇌관(100)과 동기화하는 경우, 발파 지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발파 모듈(515)은 지연 시간 설정 모듈(514)에 의해 설정된 발파 지연 시간을 포함하는 발파 명령을 전자 뇌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발파 모듈(515)은 전자 뇌관(100)로 무선 통신부(530)를 통해 발파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뇌관(100)은 수신한 발파 명령에 포함된 발파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발파 지연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은 전자 뇌관(100)을 지반에 형성된 발파공 내에 삽입시킨 후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발파시키게 된다.
이 때 무선 통신모듈(200)은 지면에 안착되어 거치되되, 지면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고 도듈 고정핀부가 지면에 박히면서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듈 고정핀부(400)를 지면에 박아 무선 통신모듈의 위치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무선 통신 중 안정석을 확보함으로써 발파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선 모듈을 지면과 이격되게 거치시키고, 두개의 안테나 중 신호가 강한 쪽의 안테나를 선택해서 통신하도록 하여 지면 상에 올려지는 방향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발파 정확도와 발파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본 발명은 전자뇌관을 무선 통신모듈에 거치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 시 편의성과 보관 시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전자 뇌관 200 : 무선 통신모듈
210 : 통신모듈 하우징부 210a : 레일부
220 : 제1안테나부 230 : 제2안테나부
240 : 무선 통신 제어부 250 : 안테나 스위치부
260 :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 261 : 제1지면 접촉 센서
262 : 제2지면 접촉 센서 270 : 원통형 릴 결합부재
280 : 고정핀 승하강 기기 281 : 레크기어부재
282 : 피니언 기어부재 300 : 전선부
310 : 전선 권취용 릴부 311 : 전선 권취부
312 : 제1패널부 313 : 제2패널부
314 : 모듈 결합용 나사부 400 : 모듈 고정핀부
410 : 승하강 몸체부재 410a : 이동 안내부재
410b : 접촉센서 411 : 위치 고정홈부
420 : 고정핀부재 430 : 제1위치 고정부재
440 : 제1직선 이동기기 450 : 제2위치 고정부재
451 : 승하강 위치 감지센서 460 : 제2직선 이동기기
470 : 핀 회전기기 471 : 핀회전축
472 : 제1베벨기어부재 473 : 메인 회전축
474 : 제2베벨기어부재 475 : 핀 회전모터
5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20)

  1. 전자 뇌관;
    무선 통신모듈;
    상기 전자 뇌관과 상기 무선 통신모듈을 연결하는 전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모듈에 위치되며 상, 하 이동되어 지면에 박히는 모듈 고정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통신모듈 하우징부; 및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전달받는 신호로 상기 전자 뇌관의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은 중앙에 중공부가 위치되고, 상기 중공부 내에 상기 모듈 고정핀부가 위치되며,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를 지면과 이격되게 하는 복수의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가 위치되고,
    상기 모듈 고정핀부는,
    중공부 내에 위치되고 상, 하 이동되는 승하강 몸체부재; 및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고정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는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의 높이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져 상기 고정핀부재가 지면에 박혀 하부면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몸체의 일부분이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외주면에는 위치 고정홈부가 위치되고,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 내에서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중공부의 내로 돌출되어 위치 고정홈부에 삽입되는 제1위치 고정부재; 및
    상기 제1위치 고정부재를 전, 후 이동시켜 위치 고정홈부에 삽입시키거나 위치 고정홈부에서 분리하는 제1직선 이동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위치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가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하부 측으로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된 위치를 고정하는 제2위치 고정부재;
    상기 제2위치 고정부재를 전, 후 이동시키는 제2직선 이동기기; 및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승하강 위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위치 감지센서는 상기 제2위치 고정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고정핀 승하강 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홈형태의 레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일부 내에 위치되어 상, 하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부재가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핀 승하강 기기는,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 내에 세로로 세워져 위치되는 레크기어부재; 및
    상기 레크기어부재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이동 안내부재에 위치되고 회전모터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피니언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하부면에는 접촉센서가 위치되어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하부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고정핀 승하강 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고정핀부재는 각각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에 위치되고,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 내에 위치되어 복수의 상기 고정핀부재를 각각 회전시키는 핀 회전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핀 회전기기는,
    상기 고정핀부재의 핀회전축에 위치되는 제1베벨기어부재;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메인 회전축에 위치되는 제2베벨기어부재; 및
    상기 메인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핀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부재는 외주면에 나선형 홈부 또는 나선형 돌기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높이 방향에서 중앙에 위치되고, 복수의 상기 고정핀부재는 상기 승하강 몸체부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핀 회전기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는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상부면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의 상부면에는 제1지면 접촉 센서가 위치되고, 상기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하부면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 지지용 돌기부의 하부면에는 제2지면 접촉 센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선부가 감겨질 수 있는 전선 권취용 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전선 권취용 릴부는,
    전선부가 감기는 전선 권취부;
    상기 전선 권취부의 양 단부 측에 위치되며 상기 무선 통신모듈이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통신모듈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 릴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원통형 릴 결합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모듈 결합용 나사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20.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상기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는 청구항 1,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파 시스템.
KR1020190164042A 2019-12-10 2019-12-10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KR102444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42A KR102444100B1 (ko) 2019-12-10 2019-12-10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PCT/KR2020/017593 WO2021118167A2 (ko) 2019-12-10 2020-12-04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US17/252,497 US11835328B2 (en) 2019-12-10 2020-12-04 Ground-fixable electronic detonation device for blasting system and blasting system using same
AU2020289836A AU2020289836B2 (en) 2019-12-10 2020-12-04 Ground-fixable electronic detonation device for blasting system and blasting system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042A KR102444100B1 (ko) 2019-12-10 2019-12-10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330A KR20210073330A (ko) 2021-06-18
KR102444100B1 true KR102444100B1 (ko) 2022-09-15

Family

ID=7633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042A KR102444100B1 (ko) 2019-12-10 2019-12-10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35328B2 (ko)
KR (1) KR102444100B1 (ko)
AU (1) AU2020289836B2 (ko)
WO (1) WO2021118167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3866A1 (en) * 2008-10-24 2014-05-0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lectronic detonator system
US20190119066A1 (en) 2016-04-11 2019-04-25 Detnet South Africa (Pty) Ltd Apparatus for use in a blasting system
JP6514357B2 (ja) 2015-03-31 2019-05-15 ティーディーケイ・エレクトロニク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Tdk Electronics Ag アンテナ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600A (ja) * 1994-09-19 1996-04-02 Nippon Oil & Fats Co Ltd 遠隔無線発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遠隔無線発破工法
US8474379B2 (en) * 2004-01-16 2013-07-02 Rothenbuhler Engineering Co. Remote firing device with diverse initiators
KR200391396Y1 (ko) * 2005-03-14 2005-08-05 주식회사 오피시스 점퍼 코드릴
KR101019674B1 (ko) * 2009-04-08 2011-03-07 대한측량협회 측량기준점 전자표지기
JP5849972B2 (ja) 2013-01-08 2016-02-03 日油株式会社 無線起爆雷管、親ダイ、無線起爆システム、及び無線起爆方法
US9568294B2 (en) * 2013-03-08 2017-02-14 Ensign-Bickford Aerospace & Defense Company Signal encrypted digital detonator system
KR101941294B1 (ko) * 2013-05-08 2019-01-22 카즈히로 가와사키 권취 릴
KR101485777B1 (ko) * 2014-10-22 2015-02-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7690A (ko) * 2014-12-24 2016-07-04 김성환 케이블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3866A1 (en) * 2008-10-24 2014-05-0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lectronic detonator system
JP6514357B2 (ja) 2015-03-31 2019-05-15 ティーディーケイ・エレクトロニク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Tdk Electronics Ag アンテナデバイス
US20190119066A1 (en) 2016-04-11 2019-04-25 Detnet South Africa (Pty) Ltd Apparatus for use in a blas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167A2 (ko) 2021-06-17
AU2020289836A1 (en) 2021-06-24
US11835328B2 (en) 2023-12-05
KR20210073330A (ko) 2021-06-18
WO2021118167A3 (ko) 2021-08-05
AU2020289836B2 (en) 2022-04-14
US20220299304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179B1 (ko) 무선 기폭 시스템, 무선 기폭 방법과, 이것에 사용되는 뇌관 및 폭약 유닛
KR102129306B1 (ko)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U2019303426B2 (en) Bl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same
KR102444100B1 (ko)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KR20200077235A (ko) 전자식 뇌관 장치를 포함하는 발파 시스템
JP2018043647A (ja) 滑空機能付き無人航空機
KR102444099B1 (ko) 이중 안테나를 포함하는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KR102129308B1 (ko)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JP2013019605A (ja) 無線起爆雷管、親ダイ、無線起爆システム、及び無線起爆方法
US11385037B2 (en) Electronic detonation device with dual antenna for blasting system and blasting system using same
ES2402689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el arrollamiento de un alambre plano
JP2019065623A (ja) 警告装置、及び警告システム
AU2020289835B2 (en) Electronic detonation device with dual antenna for blasting system and blasting system using same
CN114413701B (zh) 矿井深孔爆破的爆破管固定机构以及爆破管固定方法
AU2005100356A4 (en) Modified Dynamic Explosives Retention Device
US20230280143A1 (en) Primer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KR102224853B1 (ko) 타카장치
US20210270590A1 (en) A booster assembly
CN115325899A (zh) 一种爆破防护装置
CN115749746A (zh) 一种高精度动态自方位识别随钻仪器
CN114261542A (zh) 一种可避免翻倒的柔性返回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