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77B1 -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77B1
KR101485777B1 KR20140143424A KR20140143424A KR101485777B1 KR 101485777 B1 KR101485777 B1 KR 101485777B1 KR 20140143424 A KR20140143424 A KR 20140143424A KR 20140143424 A KR20140143424 A KR 20140143424A KR 101485777 B1 KR101485777 B1 KR 10148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cour
data
rfid
sc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태
주봉철
신현섭
김태헌
황지현
김병철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4014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means of a grating deformed by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3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transmittance, scattering or luminescence in optical fibres
    • G01K11/3206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transmittance, scattering or luminescence in optical fibres at discrete locations in the fibre, e.g. using Bragg scat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5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or emulating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e.g. a single RFID tag capable of representing itself to a reader as a cloud of RFID ta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각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교량 세굴을 측정하는 세굴 측정장치로부터 세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세굴 측정 데이터를 RFID 기능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RFID 모드 전환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세굴 측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데이터 수집 차량의 RFID 리더에서 교량에 장착된 RFID 태그와 통신하여 세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수집된 세굴 관련 데이터를 교량 시설물의 유지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레일형 거치대 및 매립장치를 사용하여 세굴 측정장치를 교각 및 교량 받침대 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OF MEASURING BRIDGE SCOUR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각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교량 세굴을 측정하는 세굴 측정장치로부터 세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능을 이용하여 세굴 측정 데이터를 RFID 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 수집 차량에 전송함으로써 세굴 측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량 세굴(Bridge Scour)이란 유체의 흐름에 의해 교량의 교각 주변의 하상 재료가 유실되는 현상을 말하며, 이로 인해 낮아진 하상고와 자연 하상고의 차이를 세굴심도라고 한다.
또한, 유속과 그로 인해 하상에 야기되는 전단 응력은 하천 유역 내에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급격히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하천 경계면의 토사가 더 많이 침식되어 이동하게 된다. 특히, 하천 내에 위치한 교각 구조물은 유체 흐름을 가속시키거나 와류를 형성시킴으로써 교량 구조물 주위에 세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세굴로 인한 교량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량 하부 구조물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세굴 진행 상태와 교량의 건전도를 정확히 조사하고 평가해야 한다.
기존의 교량의 세굴 상태의 조사는 작업자가 교량 하부로 내려가 수심 측정 막대기로 직접 세굴 깊이를 측정하거나 보트를 타고 또는 직접 수중으로 잠수하여 세굴 심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세굴은 홍수와 같이 하천수의 유량이 많고 유속이 빠를 때 활발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종래의 세굴 깊이 측정은 측정자의 안전을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세굴 깊이를 용이하게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정막대를 이용한 세굴 조사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정막대를 이용한 세굴 조사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12)가 고정막대(13)를 교각(11)의 하부로 내려 보낸 후, 초음파 세굴 측정센서(14)를 통해 교각(11) 주변의 세굴 상태를 측정한다.
이러한 고정막대(13)를 이용한 세굴조사 방법은 측정 결과가 비교적 정확하고 다양한 센서의 활용이 가능하며, 장기 계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분석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리고 설치 위치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굴 측정 방법은 분석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리며 국부적인 세굴 심도만을 측정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의 동일 출원인 및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91867호에는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본 명세서 내에 참조되어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20)은, 교량 상판(21), 교각 또는 교대(22a, 22b), 데이터 로거 또는 무선통신 장치(23), 광섬유센서(24a, 24b), 세굴량 산출부(25) 및 표시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섬유센서(24a, 24b)는 교량 바닥판 하부로부터 수중 지표면까지 설치되어 기온, 수온 및 지온을 측정한다.
데이터 로거 또는 무선통신 장치(23)가 데이터 로거인 경우, 상기 광섬유센서(24a, 24b)로부터 측정된 온도 데이터에 따라 직접 세굴량을 산출하며, 또한, 데이터 로거 또는 무선통신 장치(23)가 무선통신 장치인 경우, 상기 광섬유센서(24a, 24b)로부터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상기 세굴량 산출부(25)로 전송하게 되며, 이와 같이 산출된 교량 세굴량은 표시부(26)를 통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로거(23)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데이터를 취득하게 된다. 또한, 무선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1.2km 미만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이거나 또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방식의 모뎀일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20)은 광섬유센서(24a, 24b)의 온도 계측원리를 응용한 기술로 기존 고정막대를 이용한 세굴조사 거동장치를 개선하고, 기존 방법에 비하여 단순한 구조로 분석 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실시간으로 세굴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센서의 온도 계측 원리에 의해 기온, 수온 및 수중 지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교량 세굴을 파악함으로써, 교량 상시 계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주로 육안에 의한 세굴측정을 실시함으로써, 잠수부가 육안으로 확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시로 세굴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고, 물이 탁한 경우에는 시야 확보가 어려워 계측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의 경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세굴 측정 데이터를 교량에서 직접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광섬유센서를 교량의 교각 또는 교량 받침대 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91867호(출원일: 2008년 12월 29일), 발명의 명칭: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18520호(출원일: 2005년 3월 8일), 발명의 명칭: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각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교량 세굴을 측정하는 세굴 측정장치로부터 세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주파수 식별(RFID) 기능을 이용하여 세굴 측정 데이터를 RFID 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 수집 차량에 전송함으로써 세굴 측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레일형 거치대 및 매립장치를 사용하여 세굴 측정장치를 교각 및 교량 받침대 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은, 교량의 교각의 외측 또는 상기 교각과 상기 교각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교량 받침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된 세굴 측정장치로부터 감지된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온도 변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온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기온도와 수온의 변화 위치를 파악하고, 수온과 수중 지표면의 온도 변화 위치를 파악하고, 교량 하부면의 기준 위치로부터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와 기설정된 세굴량 기준 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교량 세굴량을 계산하는 세굴량 산출부; 상기 세굴량 산출부에서 일정한 주기 간격마다 계산된 교량 세굴량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교량을 이동하는 데이터 수집 차량 내에 탑재된 RFID 리더로부터 슬립(Sleep) 모드 상태를 웨이크업(Wake Up)하기 위한 웨이크업 톤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능을 활성화하도록웨이크업 모드로 설정하는 RFID 태그;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기저장된 세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의 RFID 리더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은, 교량 상판과 상기 교량 상판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 교각으로 이루어진 교량에서 교량 세굴을 측정하는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교량의 교각의 외측 또는 상기 교각과 상기 교각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교량 받침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교량 세굴량을 측정하는 세굴 측정장치; 및 상기 교량 상판의 일측에 상기 교각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는 RFID 함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RFID 함체는 상기 세굴 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세굴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설정된 세굴량 기준 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교량 세굴량을 계산하는 세굴량 산출부; 상기 세굴량 산출부에서 일정한 주기 간격마다 계산된 교량 세굴량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교량을 이동하는 데이터 수집 차량 내에 탑재된 RFID 리더로부터 슬립(Sleep) 모드 상태를 웨이크업(Wake Up)하기 위한 웨이크업 톤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웨이크업 모드로 설정하는 RFID 태그;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기저장된 세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의 RFID 리더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은, a) 교량의 교각의 외측 또는 상기 교각과 상기 교각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교량 받침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세굴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교량 세굴을 측정하고 교량 세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세굴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교량 세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설정된 세굴량 기준 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교량 세굴량을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교량을 이동하는 데이터 수집 차량에 탑재된 RFID 리더로부터 슬립(Sleep) 모드 상태를 웨이크업(Wake Up)하기 위한 웨이크업 톤을 RFID 태그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RFID 태그가 무선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능을 활성화하는 웨이크업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RFID 태그가 상기 계산된 세굴 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의 RFID 리더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RFID 태그가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의 RFID 리더로부터 수신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RFID 태그를 슬립 모드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 차량의 RFID 리더에서 교량에 장착된 RFID 태그와 통신하여 세굴 관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수집된 세굴 관련 데이터를 교량 시설물의 유지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굴 측정장치와 RFID 기능을 조합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상용화가 가능한 세굴 측정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형 거치대 및 매립장치를 사용하여 세굴 측정장치를 교각 및 교량 받침대 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정막대를 이용한 세굴 조사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이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RFID 함체와 데이터 수집 차량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하나의 교각 상에 다수의 광섬유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레일형 거치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세굴 측정장치를 지반에 매립하기 위한 매립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측정된 교량 세굴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광섬유센서의 구조 및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이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RFID 함체와 데이터 수집 차량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하나의 교각 상에 다수의 광섬유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100)은, 교량 상판(110), 상기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 교각(120a, 120b), 및 각각의 교각(120a, 120b)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기초부(160a, 160b)로 이루어진 교량에서 교량 세굴을 측정하며, 이때, 측정된 교량 세굴 측정 데이터를 무선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하는 시스템이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교량 상판(110)을 이동하며, RFID 리더(151)가 내장된 데이터 수집 차량(15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100)은 교량의 교각(120a, 120b)의 외측 또는 교각(120a, 120b)과 상기 교각(120a, 120b)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기초부(160a, 160b)의 외측을 따라 설치된 세굴 측정장치(140:140a,140b), 상기 세굴 측정장치(140:140a,14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RFID 함체(130a, 130b), 및 RFID 리더(151)를 탑재한 데이터 수집 차량(150)을 모두 포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는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에서 수중 지표면까지 설치되어 기온, 수온 및 지온을 측정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교각(120) 및 기초부(160) 상에 다수의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가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는 RFID 함체(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구분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세굴을 측정하게 된다.
교량 상판(110)의 일측에는 교각(120a, 120b)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RFID 함체(130a, 130b)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ID 함체(130)는, 데이터 수집부(131), 환경 설정부(132), 제어부(133), 세굴량 산출부(134), 표시부(135), 데이터 저장부(136), RFID 태그(137) 및 전원공급장치(138)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은, RFID 리더(151), RFID 리더 제어부(152) 및 데이터 분석부(15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ID 함체(130) 내의 환경 설정부(132)는 온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 및 세굴량 관련 기준 위치 데이터를 설정한다.
상기 RFID 함체(130) 내의 데이터 수집부(131)는 교량의 교각(120a, 120b) 및 기초부(160a, 160b)의 외부면을 따라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로부터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RFID 함체(130) 내의 세굴량 산출부(134)는 상기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로부터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수신하고, 온도 데이터에 따른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를 산출하며, 기설정된 세굴량 기준 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교량 세굴량을 계산한다. 이때, 상기 세굴량 산출부(134)에서 계산된 교량 세굴량을 표시부(135)를 통해 표시하고, 일정한 주기 간격마다 계산된 교량 세굴량을 데이터 저장부(136)에 저장한다.
데이터 수집 차량(150)에 탑재된 RFID 리더(151)는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이 교량 상판(110)을 이동하면서 웨이크업 톤을 생성하여 상기 RFID 함체(130)에 내장된 RFID 태그(137)로 전송한다.
RFID 태그(137)는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 내에 탑재된 RFID 리더(151)로부터 웨이크업 톤을 수신하게 되면, 상기 RFID 태그(137))에서 리더 신호를 체크하여 RFID 기능을 활성화하는 웨이크업 모드로 설정한다.
제어부(133)는 상기 RFID 함체(130) 내의 RFID 태그(137)가 웨이크업 모드로 설정되면, 데이터 저장부(136)에 기저장된 세굴 측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RFID 태그(137)를 통해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의 RFID 리더(151)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3)는 세굴 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의 RFID 리더(151)로 전송하고, 상기 RFID 리더(151)로부터 수신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RFID 함체(130) 내의 RFID 태그(137)에 슬립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RFID 태그(137)를 슬립 모드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3)는 상기 RFID 리더(151)로부터 수신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136)에 저장된 세굴 측정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의 RFID 리더(151)는 교량 상판(110)을 이동하면서 일정 간격의 위치마다 설치된 상기 RFID 함체(130)의 RFID 태그(137)로부터 세굴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게 되고, 상기 RFID 함체(130)는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이 지나가게 되면 RFID 태그(137)의 RFID 기능이 슬립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의 RFID 리더 제어부(152)는 슬립(Sleep) 모드 상태의 RFID 태그(137)를 웨이크업(Wake Up)하기 위한 웨이크업 톤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복수개의 RFID 태그(137)의 신호를 분석하여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 특정 RFID 태그(137)를 슬립 모드로 변경하는 슬립 모드 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RFID 리더 제어부(152)는 상기 RFID 태그(137)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슬립 모드 명령 데이터를 해당 RFID 태그(137)로 전송하여 슬립 모드로 세팅시킨다.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의 데이터 분석부(153)는 상기 RFID 리더(151)를 통해 수신된 세굴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수집된 세굴 관련 데이터를 교량 시설물의 유지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교량의 교각(120a, 120b) 및/또는 기초부(160a, 160b)는 외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를 삽입할 수 있는 레일형 거치대(200)가 일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레일형 거치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레일형 거치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220)이 형성된 프레임(210) 및 상기 프레임(210)을 교각(120) 또는 기초부(160)의 하단 외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며, 이러한 레일형 거치대(200)는 교량의 시공 단계에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굴 측정장치는 광섬유센서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세굴 측정 초음파 센서, 전자기파 감지 센서, 광센서 등 하천의 세굴 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세굴 측정 센서도 적용 가능하고, 이외에 하천 바닥면의 세굴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탐측자, 탐측자의 하강 깊이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 승강 수단 등 다양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세굴 측정장치를 지반에 매립하기 위한 매립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공용 중인 교각(120)의 경우, 쐐기형 세굴 측정장치(350)를 지반에 매립하기 위한 매립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치(300)는 매립장치 몸체(310), 랙기어(320), 손잡이(330) 및 고정부재(340)를 포함하며, 상기 매립장치(300)에 의해 쐐기형 세굴 측정장치(350)가 삽입되어 지반에 매립될 수 있다.
매립장치 몸체(310)는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삽입홈(312)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매립장치 몸체(310)의 좌측과 우측에는, 예를 들면, 볼트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기초부(160)의 하단 외부면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부재(340)가 형성된다.
매립장치 몸체(310)의 삽입홈(312)은 내측 일면을 쐐기 형상의 걸림홈(311)이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12)에 상기 쐐기형 세굴 측정장치(350)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홈(311)과 결합된다. 즉, 상기 쐐기형 세굴 측정장치(350)는 외면에 쐐기 형상의 걸림턱(35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312)에 형성된 쐐기 형상의 걸림홈(311)에 치합되어 결합된다.
또한, 매립장치 몸체(310)의 내측에는 랙기어(320)가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32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330)가 상기 매립장치 몸체(3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랙기어(320)는 쐐기형 세굴 측정장치(350)의 걸림턱(351)에 맞물려 치합되어 있고, 손잡이(3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쐐기형 세굴 측정장치(350)가 삽입홈(312)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여 수중 지표면을 뚫고 일정 깊이로 매립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 차량의 RFID 리더에서 교량에 장착된 RFID 태그와 통신하여 세굴 관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수집된 세굴 관련 데이터를 교량 시설물의 유지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세굴 측정장치와 RFID 기능을 조합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상용화가 가능한 세굴 측정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레일형 거치대 및 매립장치를 사용하여 세굴 측정장치를 교각 및 기초부 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은, 먼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세굴 측정장치, 예를 들면,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를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중 지표면까지 설치한다(S110). 구체적으로, 상기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는 교량 세굴을 감안하여 수중 지표면의 소정 깊이까지 매립 설치된다.
다음으로, 교량의 교대/교각(120) 상부 및 교량 상판(110)의 일측에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RFID 함체(130)를 설치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RFID 함체(130) 내의 환경 설정부(132)가 온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 및 세굴량 관련 기준 위치 데이터를 설정한다(S130). 이때, 세굴 전 데이터 및 세굴 후 데이터는 기온, 수온 및 지온의 일온도 변화량 및 계절 온도 변화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온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 및 세굴량 관련 기준 위치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36)에 저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를 이용하여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온도변화를 감지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RFID 함체(130) 내의 세굴량 산출부(134)가 온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기온도와 수온의 변화 위치를 파악하고(S150), 수온과 수중 지표면의 온도 변화 위치를 파악한다(S160). 이때, 대기온도와 수온의 변화 위치는,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A로 도시된 지점으로서,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으로부터의 수위(도 3의 L1)를 나타낸다. 또한, 수온과 수중 지표면의 온도 변화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B로 도시된 지점으로서, 수면으로부터의 수심(도 3의 L2)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세굴량 산출부(134)는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의 기준 위치로부터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도 3의 D1)를 산출한다(S170).
다음으로, 상기 세굴량 산출부(134)는 산출된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와 기설정된 세굴량 관련 기준 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교량 세굴량(도 3의 D2)을 계산하고, 계산된 데이터를 저장한다(S180). 여기서, 교량 세굴량은 지온, 수온 및 기온의 차이를 구분하여 수면과 수중 지표면의 경계를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로 환산된다. 또한, 교량 세굴량은, 도 3에서 도면부호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세굴 전 데이터인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중 지표면까지의 기준 데이터와 세굴 후 데이터인 온도 변화에 따라 산출된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 데이터의 차이값이다. 또한, 상기 RFID 함체(130) 내의 표시부(135)는 상기 계산된 교량 세굴량에 따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량 상판(110)을 이동하는 데이터 수집 차량(150)에 탑재된 RFID 리더(151)가 상기 RFID 함체(130) 내의 RFID 태그(137)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S190).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측정된 교량 세굴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시, 수면의 위치와 수중 지표면의 위치를 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일 온도의 변화량은 지온, 수온 및 기온은 동일한 날의 기온에도 서로 다른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기온의 변화량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크게 변화하는 것이 수온이며, 지온의 변화량은 거의 미미하다.
또한, 온도의 변화량은 계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여름철의 경우 기온이 가장 높고, 수온이 다음으로 높으며, 지온이 가장 낮다. 또한, 겨울철의 경우 기온이 가장 낮고, 수온이 다음으로 낮으며, 지온이 가장 높다.
이에 따라 일별 또는 계절별 온도를 개별적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조합함으로써 수면의 위치와 수중 지표면의 위치를 실시간 또는 일별로 측정하여 세굴량과 수심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별 또는 계절별 지온, 수온 및 기온의 차이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굴 전 겨울 온도(410), 세굴 전 여름 온도(420), 세굴 후 겨울 온도(430), 세굴 후 여름 온도(440), 세굴 전 일온도 변화량(450) 및 세굴 후 일온도 변화량(460)으로 구분하여 수면과 수중 지표면의 경계를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로 환산하게 된다. 여기서, 도 10은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데이터를 예시하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시,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를 이용할 경우, 1개의 광센서로 모든 게이지의 온도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를 이용하는 대신에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게이지를 설치하여 교각(120) 및 교대의 높이에 따른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는 현재 상용화된 제품의 경우, 1개의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로는 1m 간격으로 수십 km의 온도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를 직렬로 연결하여 측정할 경우, 약 30㎝ 간격으로 온도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는 광섬유를 통과하는 빛의 진폭, 위상, 또는 편광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리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구조물의 거동을 관측할 수 있다.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 중에서 광섬유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를 이용한 센서는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FBG 센서는 광섬유 코어에 주기적인 굴절률 변조를 주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시키는데, 삽입 손실이 적고, 파장 선택도가 높은 특성을 보인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서 광섬유센서의 구조 및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광섬유센서의 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클래딩(Cladding: 141) 및 코어(Core: 142)로 이루어진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에 광원을 입사시킬 경우, 브래그 조건에 의한 특정한 파장 성분은 광섬유 브래그 격자(143)에서 반사되고, 나머지 파장 성분은 그대로 통과한다.
이때, 브래그 격자(143)에서 반사되는 브래그 파장은 유효 굴절률과 격자 간격의 함수로서, 브래그 격자(143)에 단거리 변형률 등의 외부 물리량을 가할 경우, 이들 값에 의하여 브래그 파장이 달라진다. 이 브래그 파장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광섬유 격자에 가해진 미지의 물리량이 구해질 수 있다.
이러한 광섬유센서는 측정량이 브래그 반사파장의 변화량이므로 측정이 간편하며, 특히, 상기 브래그 격자(143)의 반사 파장의 선폭이 좁기 때문에 분해능이 높은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브래그 반사 파장이 서로 다른 광섬유들은 서로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한 다중점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b를 참조하면, 광섬유센서는 한 가닥의 광섬유에 여러 개의 격자가 사용되는데, 이 경우, 각 격자(143)의 반사 파장을 모두 다르게 함으로써 반사된 광원의 스펙트럼으로부터 특정 격자(143)가 겪는 물리량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해진 물리량에 대한 브래그 파장의 변화율은 선형적이며, 따라서 파장의 변화량을 정밀히 측정하면 가해진 물리량에 대한 정보를 역으로 계산해낼 수 있다. 또한, 변형률이 파장의 변위로 측정되기 때문에 간섭계 광섬유 시스템에서 흔히 발생하는 광원, 광분할기, 그리고 광 결합기에 의한 광 세기의 요동 현상에 무관하고 변형의 절대량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센서는 조금씩 파장을 달리한 광섬유 격자를 이용하여 다중점(Multipoint) 센서로의 확장이 용이하며, 이를 이용하면 교량 및 건축물의 사전감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세굴 측정 방법에서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가 사용되었지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온도 게이지를 통해서 교각(120) 및 교대의 높이에 따른 온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에서부터 교각(120)을 거처 소정의 지하까지 설치된 광섬유센서인 세굴측정장치(140:140a,140b) 또는 온도게이지를 통해 획득된 온도를 분석하여 수면의 위치와 수중 지표면의 위치를 산정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통하여 하천에 설치된 교각(120)의 세굴량과 수심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110: 교량 상판
120: 교각/교대
130: RFID 함체
140: 세굴 측정장치(광섬유센서)
150: 데이터 수집 차량
160: 교량 받침대
131: 데이터 수집부
132: 환경 설정부
133: 제어부
134: 세굴량 산출부
135: 표시부(디스플레이)
136: 데이터 저장부(메모리)
137: RFID 태그(송신부)
138: 전원공급장치/배터리
151: RFID 리더(수신부)
152: RFID 리더 제어부
153: 데이터 분석부
200: 레일형 거치대
210: 프레임
220: 가이드 홈
230: 고정부재
300: 매립장치
310: 매립장치 몸체
320: 랙기어
330: 손잡이
340: 고정부재
350: 쐐기형 세굴 측정장치
311: 걸림홈
312: 삽입홈
321: 걸림턱

Claims (10)

  1. 교량의 교각(120)의 외측 또는 상기 교각(120)과 상기 교각(1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기초부(16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된 세굴 측정장치(140)로부터 감지된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온도 변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31);
    온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기온도와 수온의 변화 위치를 파악하고, 수온과 수중 지표면의 온도 변화 위치를 파악하고, 교량 하부면의 기준 위치로부터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와 기설정된 세굴량 기준 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교량 세굴량을 계산하는 세굴량 산출부(134);
    상기 세굴량 산출부(134)에서 일정한 주기 간격마다 계산된 교량 세굴량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36);
    교량을 이동하는 데이터 수집 차량(150) 내에 탑재된 RFID 리더(151)로부터 슬립(Sleep) 모드 상태를 웨이크업(Wake Up)하기 위한 웨이크업 톤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웨이크업 모드로 설정하는 RFID 태그(137);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136)로부터 기저장된 세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의 RFID 리더(151)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3)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2. 교량 상판(110)과 상기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 교각(120)으로 이루어진 교량에서 교량 세굴을 측정하는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교량의 교각(120)의 외측 또는 상기 교각(120)과 상기 교각(1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기초부(16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교량 세굴량을 측정하는 세굴 측정장치(140); 및
    상기 교량 상판(110)의 일측에 상기 교각(120)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되는 RFID 함체(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RFID 함체(130)는 상기 세굴 측정장치(140)로부터 수신한 세굴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설정된 세굴량 기준 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교량 세굴량을 계산하는 세굴량 산출부(134);
    상기 세굴량 산출부(134)에서 일정한 주기 간격마다 계산된 교량 세굴량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36);
    교량을 이동하는 데이터 수집 차량(150) 내에 탑재된 RFID 리더(151)로부터 슬립(Sleep) 모드 상태를 웨이크업(Wake Up)하기 위한 웨이크업 톤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웨이크업 모드로 설정하는 RFID 태그(137);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136)로부터 기저장된 세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의 RFID 리더(151)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3)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3)는 상기 세굴 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 내에 탑재된 RFID 리더(151)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 내에 탑재된 RFID 리더(151)로부터 수신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RFID 태그(137)를 슬립 모드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 측정장치(140)를 상기 교각(120)과 기초부(160)의 외부면에 거치하도록 상기 세굴 측정장치(140)가 내장되는 레일형 거치대(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일형 거치대(220)는,
    상기 교각(120)과 기초부(160)의 외부면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220)이 형성된 프레임(210); 및
    상기 프레임(210)을 상기 교각(120)과 기초부(160)의 외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120)과 기초부(160)의 하단 외부면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삽입홈(312)이 형성된 매립장치 몸체(310); 및
    상기 매립장치 몸체(310)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매립장치 몸체(3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40)를 포함하는 매립장치(300)를 추가로 포함하되,
    외부 테두리가 쐐기 형상의 걸림턱(35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쐐기형 세굴 측정장치(350)가 상기 매립장치 몸체(310)의 삽입홈(312)으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턱(351)에 맞물려 치합되는 랙기어(320)와 상기 랙기어(320)와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32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330)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330)를 회전하면 상기 쐐기형 세굴 측정장치(350)가 상기 삽입홈(312)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여 수중 지표면을 뚫고 일정 깊이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세굴량은 세굴 전 데이터인 상기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중 지표면까지의 기준 데이터와 세굴 후 데이터인 온도 변화에 따라 산출된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 데이터의 차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세굴량은 지온, 수온 및 기온의 차이를 구분하여 상기 수면과 수중 지표면의 경계를 상기 교량 상판(110)의 하부면의 기준 위치로부터 거리로 환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에 탑재된 RFID 리더(151)가 상기 RFID 태그(137)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상기 RFID 함체(130)에 내장된 데이터 저장부(136)의 세굴량 데이터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9. a) 교량의 교각(120)의 외측 또는 상기 교각(120)과 상기 교각(1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기초부(16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세굴 측정장치(140)를 이용하여 교량 세굴을 측정하고 교량 세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세굴 측정장치(140)로부터 측정된 교량 세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설정된 세굴량 기준 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교량 세굴량을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교량을 이동하는 데이터 수집 차량(150)에 탑재된 RFID 리더(151)로부터 슬립(Sleep) 모드 상태를 웨이크업(Wake Up)하기 위한 웨이크업 톤을 RFID 태그(137)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RFID 태그(137)가 무선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능을 활성화하는 웨이크업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RFID 태그(137)가 상기 계산된 세굴 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의 RFID 리더(151)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RFID 태그(137)가 상기 데이터 수집 차량(150)의 RFID 리더(151)로부터 수신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RFID 태그(137)를 슬립 모드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 측정장치(140)가 상기 교각(120)과 기초부(160)의 외부면을 따라 설치된 광섬유센서인 경우,
    상기 광섬유센서로부터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온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기온도와 수온의 변화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수온과 수중 지표면의 온도 변화 위치를 파악하고, 교량 하부면의 기준 위치로부터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수면 및 수중 지표면의 높이와 기설정된 세굴량 기준 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교량 세굴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
KR20140143424A 2014-10-22 2014-10-22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3424A KR101485777B1 (ko) 2014-10-22 2014-10-22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3424A KR101485777B1 (ko) 2014-10-22 2014-10-22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77B1 true KR101485777B1 (ko) 2015-02-04

Family

ID=5258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3424A KR101485777B1 (ko) 2014-10-22 2014-10-22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2545A (zh) * 2015-10-27 2016-02-24 西南大学 桥墩冲刷全过程演化动态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09137741A (zh) * 2018-09-20 2019-01-04 广东省长大公路工程有限公司 一种悬索桥索股牵引系统的自动化控制系统及监控平台
CN109242068A (zh) * 2018-09-20 2019-01-18 广东省长大公路工程有限公司 可自动上报位置信息的悬索桥索股牵引系统及监控平台
CN109583544A (zh) * 2018-12-31 2019-04-05 北京天高科科技有限公司 基于轨道版、轨枕埋入式电子标签的铁路检修定位系统
WO2021118167A3 (ko) * 2019-12-10 2021-08-05 주식회사 한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CN114710613A (zh) * 2022-04-15 2022-07-05 西南大学 桥梁桥面信息采集装置
CN117804371A (zh) * 2024-02-29 2024-04-02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光电式桥梁下部结构冲刷监测装置、预警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691A (ko) * 2005-10-10 2007-04-13 (주) 일신하이텍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량관리시스템
KR100804683B1 (ko) 2007-08-22 2008-02-18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교량용 안전진단시스템
KR20100053224A (ko) * 2008-11-12 2010-05-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rfid 시스템에서 태그 수집을 위한 태그 슬립 방법
KR20100077929A (ko) * 2008-12-29 2010-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691A (ko) * 2005-10-10 2007-04-13 (주) 일신하이텍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량관리시스템
KR100804683B1 (ko) 2007-08-22 2008-02-18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교량용 안전진단시스템
KR20100053224A (ko) * 2008-11-12 2010-05-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rfid 시스템에서 태그 수집을 위한 태그 슬립 방법
KR20100077929A (ko) * 2008-12-29 2010-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2545A (zh) * 2015-10-27 2016-02-24 西南大学 桥墩冲刷全过程演化动态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09137741A (zh) * 2018-09-20 2019-01-04 广东省长大公路工程有限公司 一种悬索桥索股牵引系统的自动化控制系统及监控平台
CN109242068A (zh) * 2018-09-20 2019-01-18 广东省长大公路工程有限公司 可自动上报位置信息的悬索桥索股牵引系统及监控平台
CN109242068B (zh) * 2018-09-20 2024-01-30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可自动上报位置信息的悬索桥索股牵引系统及监控平台
CN109583544A (zh) * 2018-12-31 2019-04-05 北京天高科科技有限公司 基于轨道版、轨枕埋入式电子标签的铁路检修定位系统
WO2021118167A3 (ko) * 2019-12-10 2021-08-05 주식회사 한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US11835328B2 (en) 2019-12-10 2023-12-05 Hanwha Corporation Ground-fixable electronic detonation device for blasting system and blasting system using same
CN114710613A (zh) * 2022-04-15 2022-07-05 西南大学 桥梁桥面信息采集装置
CN117804371A (zh) * 2024-02-29 2024-04-02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光电式桥梁下部结构冲刷监测装置、预警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777B1 (ko) Rfid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P2807461B1 (en) Location and monitoring of undersea cables
CN105865365B (zh) 土体变形分布式光纤监测标定与试验方法及其装置
AU2019202090A1 (en) A multistage penetrating in-situ device and method to observe sand waves on the seabed based on resistivity probe
AU2007312253B2 (en) Method of detecting a lateral boundary of a reservoir
CN104457634B (zh) 基于地脉动测量的桥墩冲刷监测系统及监测方法
US9551809B2 (en) Arrayed wave division multiplexing to improve spatial resolution of IOFDR fiber Bragg sensing system
CN206396814U (zh) 一种新型桥梁桩基础水下受冲刷监测装置
CN103345004B (zh) 采用光纤光栅虹吸式雨量计的雨量监测网络及方法
CN106917420A (zh) 一种桩基冲刷监测装置
US8587646B2 (en) Multi-lens monitoring system for bed elevation around a pier
KR100991867B1 (ko)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
KR20150007087A (ko) 수조시험용 파고 계측 장치 및 방법
Inaudi et al. Application of distributed fiber optic sensory for SHM
KR20070090521A (ko) 3차원 온도 모니터링 장치
CN103115608A (zh) 穿越地裂缝带隧道底部脱空监测仪及监测方法
CN210070869U (zh) 一种基于桥梁跨中应变测量跨中挠度的系统
Yao et al. Inclination Measurement Adopting Raman 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
CN103177531A (zh) 铁路沿线泥石流灾害监测
CN205448987U (zh) 一种利用激光传感的结构变形测量和采集装置
CN111323061A (zh) 一种抛弃式光纤温深仪测量系统
KR20130135124A (ko) 해양 구조물의 물리적 변화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Zumberge et al. Measurement of vertical strain and velocity at Siple Dome, Antarctica, with optical sensors
CN102829987A (zh) 一种测量海洋平台冰荷载的方法
CN103512560A (zh) 多功能河川水文自动量测系统及河川河床高程量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