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853B1 - 타카장치 - Google Patents

타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853B1
KR102224853B1 KR1020140109750A KR20140109750A KR102224853B1 KR 102224853 B1 KR102224853 B1 KR 102224853B1 KR 1020140109750 A KR1020140109750 A KR 1020140109750A KR 20140109750 A KR20140109750 A KR 20140109750A KR 102224853 B1 KR102224853 B1 KR 10222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ce
winding member
compressed air
cas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397A (ko
Inventor
권귀숙
Original Assignee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규 filed Critical 김인규
Priority to KR102014010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8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13Nail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B27F7/05Driving means
    • B27F7/09Driving means operated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카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사용과정에서 고정피스의 소진여부를 사용자에게 자동안내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기존에 비해 간소된 구조로 고정피스의 소진상태를 알릴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하여 제작이 손쉽고 제품단가도 낮출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타카장치를 교체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되던 일반 타카장치에도 소진상태 알림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는 타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타카장치{TACKER}
본 발명은 목재가공 과정에서 목재 간 연결 또는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고정피스를 고압으로 발사하는 타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과정에서 사용자가 타카핀의 충전시점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가공불량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카장치는 내장된 고정피스를 고압력을 이용해 강한 힘으로 발사하는 장치로, 목재 간 연결 또는 고정이나 벽면에 못을 박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타카장치는 여러개의 고정피스가 케이스 내부에 적층된 상태에서 최 상단의 고정피스가 하나씩 발사되어 소진될 때마다 아래쪽 고정피스들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발사 지점에 자동 위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피스들은 탄창 형태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정피스의 소진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과정에서 고정피스를 발사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였을 때 고정피스가 발사되지 않는 특유의 소리만을 통해 소진여부를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사용자의 청각만을 통해 소진상태를 짐작해야하기 때문에 소진상태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고정피스가 발사된 것으로 착각한 상태에서 계속 발사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작업불량이 초래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치센서를 이용해 고정피스의 상승위치를 확인하여 케이스 상단에 위치될 경우 램프나 부저를 통해 소진 상태를 외부로 알리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자방식은 위치센서를 비롯해 그와 연결된 pcb 및 램프 및 베터리 등이 필요함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발생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러한 요소들은 타카장치 모두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부 구조가 그에 맞게 변경되어야 함으로 기존의 일반 타카기에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새로운 타카장치를 구매해야 함으로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수반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186030000 (2012.12.28)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사용과정에서 고정피스의 소진여부를 사용자에게 자동안내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타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기존에 비해 간소된 구조로 고정피스의 소진상태를 알릴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하여 제작이 손쉽고 제품단가도 낮출 수 있는 타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타카장치를 교체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되던 일반 타카장치에도 소진상태 알림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는 타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일측에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압축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된 압축공기의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레버를 갖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위치되어 있고 내부에 고정피스의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으며 상단에는 상기 압축공기 배출구와 연결된 고정피스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어 받침판을 상하 직선이동시키는 스프링,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태엽, 상기 태엽을 감싸고 있는 회전본체, 상기 회전본체에 감겨 있는 상태에서 단부는 상기 받침판에 연결되어 있는 감김부재를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감김부재는 띠 형태이고 외부면 일부 구간에 고정피스충전 표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김부재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피스충전 표식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감김부재가 걸쳐지는 장력유지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고정피스의 발사로 인해 케이스 내부에 적층된 고정피스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고 이 과정에서 감김부재가 태엽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본체에 감겨지면서 감김부재에 표시된 고정피스충전 표식이 특정 위치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고정피스가 소진된 것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단순히 케이스 내부의 고정피스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태엽의 탄성력에 의해 감김부재가 이동하는 구조만으로도 고정피스의 소진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기존 전기적 센싱 방식에 비해 구조가 간소해지고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기존 일반적인 타카장치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타카핀의 신규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작동 전상태의 측면 개략도
도2 및 도3은 감김부재에 형성된 고정피스충전 표식의 위치이동 과정을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4는 고정피스충전 표식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타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와 케이스(10), 받침판(18), 스프링(16) 및 충전안내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는 타카장치(100)의 기본 기능이 발휘되는 부분, 즉 고정피스의 외부 발사에 필요한 압축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것으로, 손잡이(1a) 상부에 구동본체(1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손잡이(1a)와 구동본체(1b)의 내부에는 외부의 압축공기가 유입 및 이동되는 공기이동로(1c)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기이동구조는 일반적인 타카장치에 적용되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도면에서도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손잡이(1a)의 하단에는 공기이동로(1c)와 연결된 압축공기 유입구(1d)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본체(1b)의 단부에는 역시 공기이동로(1c)와 연결된 압축공기 배출구(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1a)의 일측에는 공기이동로(1c)의 개폐를 제어하여 내부의 압축공기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레버(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는 압축공기 유입구(1d)를 통해 별도의 공기압축기(200)와 연결되어 공기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압축공기가 공기이동로로 유입된 후 제어레버(2)의 제어를 통해 압축공기 배출구(1e)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케이스(10)는 압축공기의 배출압력을 통해 발사되는 고정피스(3)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기다란 막대 형태이고 내부에는 고정피스(3)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고정피스 배출공(13)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받침판(18)의 상하 직선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4)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0)는 하단부가 손잡이(1a)와 연결되어 본체와 일체화된 상태로 설치되고 고정피스 배출공(13)은 본체(1)의 압축공기 배출구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고정피스(3)는 수용공간(12)의 하부로부터 위를 향해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다.
케이스(10) 내부에는 받침판(18)과 스프링(16)이 설치되는데,
그 중 스프링(16)은 후술하는 받침판(18)을 통해 케이스(10)내부에 적층된 고정피스(3)를 본체(1)의 압축공기 배출구(1e)상으로 자동으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 형태이고 하단부가 케이스(10) 수용공간(12)의 바닥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받침판(18)은 수용공간(12)에 수용되는 고정피스(3)의 안착 및 스프링(16)의 탄성력을 고정피스에 전달하여 고정피스를 상승시키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판재 형태이고 케이스 수용공간(12)내에서 스프링(16)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받침판(18)의 일측에는 가이드돌기(18a)가 형성되어 케이스(10)의 가이드레일(14)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받침판(18)은 스프링의 압축 및 팽창 과정에서 케이스(10)의 수용공간 내에서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직선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용공간(12)의 내벽면에 보조가이드레일을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고 받침판(18)의 단부가 보조가이드레일에 결합되도록 하여 받침판(18)이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흔들림 등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피스는 스프링이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 받침판(18)의 상부면에 적층된 상태로 설치되되, 적층높이는 최 상단의 고정피스(3a)가 고정피스 배출공(13)까지 위치되도록 적층된다.
이러한 기본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타카장치(100)는 충전안내수단(20)을 더 포함하는데,
충전안내수단(20)은 타카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케이스(10)내부의 고정피스(3)의 소진여부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태엽(24)과 회전본체(22), 감김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회전본체(22)는 후술하는 감김부재(26)의 풀림과 감김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통 형태이고 내부에는 후술하는 태엽(24)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본체(22)는 중앙의 회전축(22b)을 통해 본체(1)의 외부 측면에 연결되어 회전축(22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태엽(24)은 회전본체(22)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태엽구조, 즉 띠 형태의 철판이 말려 있는 상태에서 중앙의 일단부가 회전축(22b)에 연결되고 외곽의 일단부는 회전본체에 연결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본체는 태엽이 일방향으로 감겨 압축되는 과정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탄성력에 의해 태엽(2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축이 풀리는 과정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감김부재(26)는 케이스(10) 받침판(18)의 상하이동과 회전본체(22)의 회전작동을 연동시키는 매개체 역할 및 케이스(10) 내 고정피스(3)의 소모 상태가 표시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밴드 형태이고 일측은 회전본체(22)의 둘레면에 감겨져 있고 타단부는 회부로 인출되어 받침판(18)의 가이드돌기(18a)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의 측면에는 장력유지돌기(28)가 돌출 형성되고 인출된 감김부재(26)의 중간지점이 장력유지돌기(28)게 걸쳐진 상태가 되도록 함에 따라 감김부재(26)는 항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가 된다.
이때 감김부재(26)에는 고정피스충전 표식(27)이 더 형성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고정피스의 소모시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감김부재(26) 중 회전본체(22)로 부터 인출된 구간의 표면 상에 인쇄나 필름을 통해 특정지점에 형성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고정피스충전 표식(27)은 감김부재(26) 중 받침판(18)과 연결되는 단부 부근에 형성된다.
참고로 고정피스충전 표식(27)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면처럼 문구 형태로 표현되거나 단순 게이지 형태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타카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고정피스(3)를 케이스(10) 내부에 수용시키는데, 이때 받침판(18)을 손으로 눌러 아래로 이동시키면 [도 1]과 같이 스프링(16)이 최대로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피스를 받침판 상부면에 차례차례 적층시켜 최 상단에 위치한 고정피스가 케이스(10)의 고정피스 배출공(13)에 위치될 때까지 적층시킨다.
이 상태에서 받침판(18)을 놓더라도 스프링(16)은 적층된 고정피스에 의해 팽창되지 못하고 압축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회전본체(22)에 감겨있는 감김부재(26)의 단부를 잡아당기면 회전본체(22)가 회전되면서 감김부재(26)가 풀려지게 되고 회전본체(2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태엽(24)도 함께 회전하여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감김부재(26)를 장력유지돌기(28)에 걸친 후 단부를 받침판(18)의 가이드돌기(18a)에 연결시키면 감김부재는 일정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인출구조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 때 고정피스충전 표식(27)은 감김부재(26)의 인출구간 중 장력유지돌기(28)를 거쳐 받침판(18)을 향해 꺽여진 구간 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받침판(18)이 케이스 최 하단에 위치한 상태, 즉 고정피스가 케이스 내부에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는 고정피스충전 표식(27)을 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타카기 사용을 위해 본체(1)의 제어레버(2)를 작동시키면 본체(1) 내부의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배출구(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그 압력에 의해 고정피스 배출공(13)상에 위치한 최 상단의 고정피스가 외부로 발사된다.
이렇게 최 상단의 고정피스가 외부로 발사되면 해당 고정피스의 두께만큼 스프링(16)이 팽창하여 받침판(18)도 해당 길이만큼 상승되어, 결국 발사된 고정피스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던 고정피스가 고정피스 배출공(13)에 위치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스프링(16)이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그로 인해 받침판(18)도 지속적으로 상승되는데, 이렇게 받침판(18)이 상승됨에 따라 받침판에 연결된 감김부재(26)의 단부도 함께 상승되고 상승과정에서 형성되는 상승 괘적에 의해 감김부재(26)가 느슨해지게 된다.
하지만 이때 회전본체(22)는 태엽(24)의 탄성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감김부재가 느슨해짐과 동시에 회전본체(22)는 태엽의 탄성력에 의해 감김부재의 느슨해진 길이만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감김부재(26)는 받침판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승 길이만큼 회전본체에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감김부재(26)가 회전본체에 일정길이씩 감겨짐에 따라 감김부재(26)에 형성된 고정피스충전 표식(27)도 함께 회전본체(22)를 향해 이동된다.
이로 인해 사용 중 케이스 내부의 고정피스 적층량이 소모상태에 가깝게 줄어들면 감김부재도 역시 그 만큼 회전본체(22)로 이동하여 감겨지게 되어, 결국 고정피스충전 표식(27)이 감김부재(26) 중 회전본체(22)와 장력유지돌기(28) 사이 구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피스 충전표식(27)이 사용자의 시야범위 구간에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육안으로 고정피스 충전표식(27)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케이스 내부의 고정피스 적층량이 소모 직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어, 미리 고정피스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순히 케이스 내 고정피스가 소모되어 위치가 상승되는 원리를 이용해 감김부재와 태엽을 통해 기계식으로 고정피스의 충전시점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기존 전자방식에 비해 구조가 훨씬 간소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태엽과 회전본체 및 감김부재가 모두 외부에 설치되고,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없으므로 기존에 사용중인 타카기에도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타가기 교체에 따른 비용부담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개념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 : 본체 1a : 손잡이
1b : 구동본체 1c : 공기이동로
1d : 압축공기 유입구 1e : 압축공기 배출구
2 : 제어레버 10 : 케이스
12 : 수용공간 13 : 고정피스 배출공
16 : 스프링
18 : 받침판 20 : 충전안내수단
22 : 회전본체 22a : 설치공간
22b : 회전축 24 : 태엽
26 : 감김부재 27 : 고정피스충전 표식
18a : 가이드돌기 3 : 고정피스
28 : 장력유지돌기

Claims (3)

  1. 일측에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압축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된 압축공기의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레버를 갖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위치되어 있고 내부에 고정피스의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으며 상단에는 상기 압축공기 배출구와 연결된 고정피스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에 설치된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어 받침판을 상하 직선이동시키는 스프링,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태엽,
    상기 태엽을 감싸고 있는 회전본체,
    상기 회전본체에 감겨 있는 상태에서 단부는 상기 받침판에 연결되어 있는 감김부재를 를 포함하는
    타카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감김부재는 띠 형태이고 외부면 일부 구간에 고정피스충전 표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김부재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피스충전 표식이 이동되는
    타카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감김부재가 걸쳐지는 장력유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타카장치.
KR1020140109750A 2014-08-22 2014-08-22 타카장치 KR10222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50A KR102224853B1 (ko) 2014-08-22 2014-08-22 타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50A KR102224853B1 (ko) 2014-08-22 2014-08-22 타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397A KR20160023397A (ko) 2016-03-03
KR102224853B1 true KR102224853B1 (ko) 2021-03-08

Family

ID=5553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750A KR102224853B1 (ko) 2014-08-22 2014-08-22 타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8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015B1 (ko) 2009-07-08 2011-11-16 제일타카 주식회사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271U (ko) * 2009-04-10 2010-10-20 한일이화주식회사 에어 타카 장치
KR101218603B1 (ko) 2011-03-28 2013-01-09 유인섭 보강액 주입 기능을 가지는 타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015B1 (ko) 2009-07-08 2011-11-16 제일타카 주식회사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397A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2888B2 (en) Portable, vertically oriented automatic towel dispenser apparatus
CN102822442A (zh) 钻机和钻孔方法
KR102224853B1 (ko) 타카장치
TW201811511A (zh) 打釘機、壓力調節器和打釘單元
JP5288322B2 (ja) 打込機
US20150344165A1 (en) Automatic label stripping machine
FR3056234A1 (fr) Dispositif de controle d'acces d'engin roulant et/ou de personne a une zone predeterminee
US2300614A (en) Liquid level gauge
CN205764731U (zh) 装配膜式燃气表的螺钉送料装置
KR102129308B1 (ko)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KR101338205B1 (ko) 파열디스크용 연차 파열 시험장치
KR200408980Y1 (ko) 저충격 급수장치
CN109153198B (zh) 漏气轮胎修补工具包
JP4743500B2 (ja) 液体等噴出機構付き容器
JP4543944B2 (ja) 昇降装置
KR20120077076A (ko) 충격시험장치
JP2011068419A (ja) スプリングバランサ装置
KR100798095B1 (ko) 완제품 코일내 훼손된 종이 슬리브 제거장치
CN217533551U (zh) 一种软管推送机构
JP6498085B2 (ja) 設置物固定機構
KR102444100B1 (ko)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JP2018038904A5 (ko)
KR101657378B1 (ko)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 안전스위치 검사용 지그
CN107032255A (zh) 一种布料卷筒自动升降机构
CN220702841U (zh) 一种便携式铁丝收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