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015B1 -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 Google Patents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015B1
KR101084015B1 KR1020090062159A KR20090062159A KR101084015B1 KR 101084015 B1 KR101084015 B1 KR 101084015B1 KR 1020090062159 A KR1020090062159 A KR 1020090062159A KR 20090062159 A KR20090062159 A KR 20090062159A KR 101084015 B1 KR101084015 B1 KR 10108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plate
taka
pin moun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634A (ko
Inventor
오왕근
Original Assignee
제일타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타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타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0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3/00Portable devices for holding and guiding nails; Nail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카핀이 장착된 핀장착부에 대해 6면 밀착될 수 있는 푸셔를 제공하여 타카핀이 소량의 잔여량이더라도 핀걸림이 없이 격발될 수 있게 하며, 그 푸셔에 가압판을 일체화시켜 가압판이 푸셔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핀장착부재의 제 1, 2 결합부를 내부에 삽입하고 밀착될 수 있도록 제 1, 2 결합부와 푸셔가 6면 밀착되므로 푸셔의 승강시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어서 타카핀이 메가진 내부에서 걸리지 않게 되고, 타카핀 충전시 푸셔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지지로드를 내부에 삽입하여 스프링의 압력을 받아 이동하는 연결편이 푸셔와 일체로 이루어져 분실 우려가 없으며 별도의 조립과정이 생략되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62159
타카장치, 타카핀, 메가진, 푸셔, 스프링, 리프트.

Description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TACKER APPARATUS WITH AN IMPROVED MAGAZINE}
본 발명은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타카핀이 장착된 핀장착부에 대해 6면 밀착될 수 있는 푸셔를 제공하여 타카핀이 소량의 잔여량이더라도 핀걸림이 없이 격발될 수 있게 하며, 그 푸셔에 가압판을 일체화시켜 가압판이 푸셔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건축 및 인테리어 작업에 사용되는 타카(Tacker)나 네일러(Nailer), 스테플러(Stapler), 핀너(Pinner)는 목재와 목재, 목재와 플라스틱, 목재와 강재, 목재와 콘크리트 접목에 사용하는 공압 기계로써, 내외장 인테리어, 알루미늄 샷시 작업 등 다양한 작업에 쓰인다.
일반적인 장치의 외형은 내부에 피스톤과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는 몸통 부위와 피스톤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뚜껑, 못이나 스테플, 핀 등이 장전되어 있는 메가진, 못이 발사되는 가이드, 작업시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 못 장전을 위한 걸쇠장치, 메가진과 손잡이를 연결하여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하는 브라켓, 타카가 작동되도록 하는 방아쇠 뭉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타카류는 방아쇠 뭉치를 작동시켜 몸통내부에 있는 피스톤을 움직 여 메가진에 장착되어 있는 못이나 스테플러 등을 가이드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에 관통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에 구비된 메가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 메가진에 내설된 푸셔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2)는 내부에 피스톤과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는 타카몸체(4)와; 그 타카몸체(4)의 전방에서 스테플이나 핀이 발사되게 안착시키는 발사단(10)과; 그 발사단(10)의 하부에 구성되며, 내부에 다수의 스테플이나 핀을 충전시키는 메가진부(1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타카몸체(4)의 하부에는 손잡이(6)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타카몸체(4)와 손잡이의 연결부위 소정부에는 방아쇠(12)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손잡이(6)의 최하단에는 압축공기를 손잡이(6)와 타카몸체(4)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압축공기 투입부(8)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메가진부(14)는 그 내부에 타카핀(21)이 충전된 핀장착부재(22)를 삽입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16)가 구성되는 바, 상기 외부케이스(16)는 그 내부에 핀장착부재(22)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삽입부(18)가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핀장착부재(22)가 측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핀장착부재(22)를 결합시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0)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핀장착부재(22)는 타카핀(21)의 그 일측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지지로드(3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 소정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핀유동부(26)가 구비된 핀장착부(24)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핀장착부(24)의 내측 상면 및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턱(28)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6)에 형성된 가이드홈(20)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핀장착부(24)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상기 핀유동부(26)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로드(3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지지로드(30)의 하단은 상기 핀장착부(24)를 내부에 삽입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16)의 하단에 결합되어 외부케이스(16)를 폐쇄시키는 폐쇄단부(38)의 내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폐쇄단부(38)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케이스(16)에 결합되는 후크(40)가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지지로드(30)의 외주연에는 스프링(32)이 결합되어져 있는 바, 그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핀장착부(24)에 안착된 타카핀(21)을 상방으로 리프팅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핀장착부(24)를 감싸도록 핀장착부(24)에 결합되며, 그 상단이 상기 타카핀(21)의 하단에 밀착되어 스프링(32)의 탄성력이 타카핀(21)에 가해질 수 있도록 유동되는 푸셔(34)가 구비되고, 푸셔(34)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로드(30)가 통과되는 로드삽입공(50)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스프링(32)은 통과를 억제시켜 스프링(32)의 탄성력이 푸셔(34)에 가해지도록 하는 가압판(36)이 장착되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푸셔(34)는 몸체(44)가 측판(44c)과 상판(44a) 및 하판(44b)으로 이루어지는 바, 측판(44c)을 기준으로 상판(44a) 및 하판(44b)이 그 측판(44c)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어져 있으며, 일측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져 있다. 즉, 상기 핀장착부(24)에 대해 측방으로부터 끼워지게 일측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져 있다. 참조부호 46은 삽입부이다.
또한, 상기 몸체(44)의 중앙 내부에는 가압판(48)이 결합되는 가압판 결합부(48)가 형성되어진 바, 가압판(36)은 상면에 각각 턱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내부에 로드삽입공(50)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지지로드(30)에 의해서도 고정되고 상기 푸셔(34)에 의해서도 고정되게 되게 된다.
그러나, 타카핀(21)이 다수개일 때에는 상기 푸셔(34)가 안정적으로 상기 핀장착부(24)를 따라 타카핀(21)을 리프트시키지만, 타카핀(21)의 잔여량이 소량인 경우에는 상기 푸셔(34)는 몸체(44)의 상하면을 물론이고, 그 일측면이 개방되어져 있으므로, 타카핀(21)에 고른 힘을 전달하지 못하고 푸셔(34)의 각도가 틀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인해서, 종래의 타카장치(2)는 타카핀(21)이 걸리는 에러가 빈번하게 발생되게 되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현상은 상기 푸셔(34)가 상기 핀장착부(24)에 대해 3면 결합방식이기 때문에 그 결합력이 취약한 것이 원인이었다.
한편, 상기 푸셔(34)는 내부에 가압판(36)이 구성되어야만 스프링(32)의 힘을 전달받을 수 있는 바, 조립시에 일일이 가압판(36)을 푸셔(34)의 내부에 결합시 켜야 하므로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가압판(36)은 매우 작은 크기이므로 쉽게 분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압판(36)이 푸셔(34)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는 순간, 가압판(36)이 받는 스프링(32)의 힘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그 스프링(32)의 힘으로 가압판(36)을 멀리 튕겨내버리게 된다. 따라서, 쉽게 분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셔(34)와 가압판(36)의 조립은 최초 타카장치(2)의 제품 생산시에만 조립되는 것이 아니고, 타카핀(21)을 메가진부(14)의 내부에 충전하고자 할때, 상기 외부케이스(16)와 핀장착부재(22)를 분해해야 하고, 이때 쉽게 상기 푸셔(34)와 가압판(36)이 분해되게 되므로 수시로 재조립해야만 한다. 이때, 가압판(36)이 분실되는 경우가 많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타카핀이 장착된 핀장착부에 대해 6면 밀착될 수 있는 푸셔를 제공하여 타카핀이 소량의 잔여량이더라도 핀걸림이 없이 격발될 수 있게 하며, 그 푸셔에 가압판을 일체화시켜 가압판이 푸셔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타카핀을 전방으로 격발하는 타카몸체와; 압축공기를 타카몸체로 제 공하는 경로가 내부에 형성되어져 있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타카몸체의 전방 하단으로 장착되며, 타카핀을 충전하여 제공하는 핀장착부재와, 그 핀장착부재를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외부케이스로 구성된 메가진부로 이루어진 타카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장착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며, 핀장착부를 구성하고 중앙에 절개된 핀유동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 1, 2 결합부의 하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삽입완료후에는 제 1, 2결합부의 측방으로 이탈되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제 1, 2 결합부와 6면이 밀착되는 푸셔와; 상기 푸셔의 하단에 푸셔와 일체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로드삽입공이 형성된 연결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핀장착부재에 대해 푸셔의 각도 변이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타카핀이 소량인 경우에도 격발 에러가 발생되지 않고, 연결판이 일체로 구성되어 분실되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푸셔는 사각의 상판과 하판이 각각 측판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이격되어져 있고, 상기 연결판이 상판과 하판의 하단 중앙 소정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판과 측판 및 상판 및 하판의 하단으로 이루어진 제 1 공간부에 상기 핀장착부재의 제 1 결합부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판과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제 2 공간부에 핀장착부재의 제 2 결합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푸셔의 상판은 그 중앙 소정부가 절개된 절개라인이 “ㄷ”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절개된 상판의 일부가 측판방향으로 수직 절곡 된 절곡부로 이루어져 상기 핀장착부재의 제 1 결합부 측면을 가이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2 결합부에 상기 푸셔가 밀착되는 6면은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과; 측판의 내측면과; 절곡부의 측판향 면과; 연결판의 양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는 핀장착부재의 제 1, 2 결합부를 내부에 삽입하고 밀착될 수 있도록 제 1, 2 결합부와 푸셔가 6면 밀착되므로 푸셔의 승강시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어서 타카핀이 메가진 내부에서 걸리지 않게 되고, 타카핀 충전시 푸셔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지지로드를 내부에 삽입하여 스프링의 압력을 받아 이동하는 연결편이 푸셔와 일체로 이루어져 분실 우려가 없으며 별도의 조립과정이 생략되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포함된 메가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의 메가진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의 메가진에 내설된 푸셔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 치는 타카핀이 장착된 핀장착부에 대해 6면 밀착될 수 있는 푸셔를 제공하여 타카핀이 소량의 잔여량이더라도 핀걸림이 없이 격발될 수 있게 하며, 그 푸셔에 가압판을 일체화시켜 가압판이 푸셔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는 그 타카몸체(4)와, 손잡이(6) 및 발사단(10) 등의 부품에 대해서는 도 1을 통해 미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고, 메가진부(14’)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구비된 메가진부(14’)도 역시, 종래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외부케이스(16)와; 핀장착부재(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16)는 그 내부에 핀장착부재(22)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삽입부(18)가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핀장착부재(22)가 측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핀장착부재(22)를 결합시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0)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핀장착부재(22)는 타카핀(21: 도2 참조)의 그 일측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지지로드(3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 소정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핀유동부(26)가 구비된 핀장착부(24)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핀장착부(24)의 내측 상면 및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턱(28)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6)에 형성된 가이드홈(20)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핀장착부(24)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상기 핀유동부(26)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로드(3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바, 상기 핀장착부(24)는 핀유동부(26)의 내측 상단에 복수개의 거치홈(27)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그 거치홈(27)에 지지로드(30)의 상단을 거치하고, 지지로드(30)의 하단은 상기 외부케이스(16)의 하단에 결합되어 외부케이스(16)를 폐쇄시키는 결합부재(80)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홈(83)에 각각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핀장착부(24)는 상기 핀유동부(26)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 1, 2 결합부(52,53)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장착부(24)의 하단 일측면에는 후크결합홈(41)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제 1, 2 결합부(52,53)의 하단에는 각각 나사공(25)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결합부재(80)는 내측이 상기 핀장착부(24)에 구성된 제 1, 2 결합부(52,53)의 하단이 결합되게 공간이 형성되어져 있는 몸체(82)가 제공되며, 상기 나사공(25)에 대응되는 관통공(84)이 복수개 형성되어져 있고, 내부 저면에는 상기 지지로드(30)가 안착되는 안착홈(83)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부(53)의 일측면에 형성된 후크결합홈(41)에 대해 결합되는 후크(86)가 내측벽에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80)는 상기 핀장착부(24)의 하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후크(86)가 후크결합홈(41)에 결합됨으로써 핀장착부(24)의 하단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80)와 상기 핀장착부(24)가 후크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88)로 관통공(82)을 관통시켜 나사 공(25)에 체결하게 되면 견고하게 상기 결합부재(80)가 상기 핀장착부(24)의 하단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로드(30)의 외주연에는 스프링(32)이 결합되어져 있는 바, 그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핀장착부(24)에 안착된 타카핀(21)을 상방으로 리프팅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핀장착부(24)를 감싸도록 핀장착부(24)에 결합되며, 그 상단이 상기 타카핀(21)의 하단에 밀착되어 스프링(32)의 탄성력이 타카핀(21)에 가해질 수 있도록 유동되는 푸셔(54)가 구비되는 바, 본 발명의 푸셔(54)는 상기 핀장착부재(22)의 내부인 상기 제 1, 2 결합부(52,53)의 하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삽입완료후에는 제 1, 2결합부(52,53)의 측방으로 이탈되거나 각도가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푸셔(54)는 제 1, 2 결합부(52,53)에 대해 6면이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푸셔(54)의 하단에 푸셔(54)와 일체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로드삽입공(66)이 형성된 연결판(64)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핀장착부재(22)에 대해 푸셔(54)의 각도 변이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타카핀(21)이 소량인 경우에도 격발 에러가 발생되지 않고, 연결판(64)이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종래의 가압판(36)처럼 종래의 푸셔(34)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지 않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푸셔(54)는 개략적인 외형이 슬림한 육각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56)가 제공되는 바, 그 몸체(56)는 사각의 상판(56a)과 하판(56b)이 각각 측판(56c)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이격되어져 있고, 상기 연결판(64)이 상판(56a)과 하판(56b)의 하단 중앙 소정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판(64)과 측판(56c) 및 상판(56a) 및 하판(56b)의 하단으로 이루어진 제 1 공간부(61)에 상기 핀장착부재(24)의 제 1 결합부(52)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판(64)과 상판(56a)과 하판(56b)으로 이루어진 제 2 공간부(62)에 핀장착부재(22)의 제 2 결합부(53)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푸셔(54)의 상판(56a)은 그 중앙 소정부가 절개된 절개라인(58)이 “ㄷ”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절개된 상판(56a)의 일부가 측판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60)로 이루어져 상기 핀장착부재(22)의 제 1 결합부(52) 측면을 가이드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결합부(52,53)에 상기 푸셔(54)가 밀착되는 6면은 상판(56a)의 하면과; 하판(56b)의 상면과; 측판(56c)의 내측면과; 절곡부(60)의 측판향 면과; 연결판(64)의 양측면(63a,63b)이다. 따라서, 상기 푸셔(54)는 상기 핀장착부재(22)와 결합된 이후, 핀장착부재(22)를 따라 승강하는 도중에 그 핀장착부재(22)의 제 1, 2 결합부(52,53)에 대해 임의로 이탈되거나, 타카핀(21)을 가압하는 안내각도가 변이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타카핀(21)을 발사단(10)으로 리프트할 수 있다. 그로인해, 잔여 타카핀(21)이 소량인 경우에도 발사단(10) 또는 메가진부(14’)의 내부에 타카핀(21)이 끼여서 발생되는 격발 에러를 본 발명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로드(30)를 내부에 삽입시켜 그 지지로드(30)를 따라 이동되는 연결판(64)이 종래 구조와는 다르게 상기 푸셔(54)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별도의 조립시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연결판(64)이 푸셔(54)로부터 분 리되어 분실될 염려가 없으므로 편의성과 경제성이 매우 높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에 구비된 메가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타카장치 메가진에 내설된 푸셔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포함된 메가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의 메가진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의 메가진에 내설된 푸셔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14’:메가진부, 16:외부케이스,
18:삽입부, 20:가이드홈,
22:핀장착부재, 24:핀장착부,
26:핀유동부, 28:가이드턱,
30:지지로드, 32:스프링,
54:푸셔, 56a,56b,56c:상판,하판,측판,
58:절개라인, 60:절곡부,
61:제1 공간부, 62:제 2공간부,
64:연결판, 66:로드삽입공.

Claims (4)

  1.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타카핀을 전방으로 격발하는 타카몸체와; 압축공기를 타카몸체로 제공하는 경로가 내부에 형성되어져 있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타카몸체의 전방 하단으로 장착되며, 타카핀을 충전하여 제공하는 핀장착부재와, 그 핀장착부재를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외부케이스로 구성된 메가진부로 이루어진 타카장치는 상기 핀장착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며, 핀장착부를 구성하고 중앙에 절개된 핀유동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 1, 2 결합부의 하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삽입완료후에는 제 1, 2결합부의 측방으로 이탈되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제 1, 2 결합부와 6면이 밀착되는 푸셔와;
    상기 푸셔의 하단에 푸셔와 일체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로드삽입공이 형성된 연결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핀장착부재에 대해 푸셔의 각도 변이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타카핀이 소량인 경우에도 격발 에러가 발생되지 않고, 연결판이 일체로 구성되어 분실되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사각의 상판과 하판이 각각 측판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이격되어져 있고, 상기 연결판이 상판과 하판의 하단 중앙 소정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판과 측판 및 상판 및 하판의 하단으로 이루어진 제 1 공간부에 상기 핀장착부재의 제 1 결합부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판과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제 2 공간부에 핀장착부재의 제 2 결합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상판은 그 중앙 소정부가 절개된 절개라인이 “ㄷ”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절개된 상판의 일부가 측판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져 상기 핀장착부재의 제 1 결합부 측면을 가이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결합부에 상기 푸셔가 밀착되는 6면은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과; 측판의 내측면과; 절곡부의 측판향 면과; 연결판의 양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KR1020090062159A 2009-07-08 2009-07-08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KR10108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159A KR101084015B1 (ko) 2009-07-08 2009-07-08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159A KR101084015B1 (ko) 2009-07-08 2009-07-08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634A KR20110004634A (ko) 2011-01-14
KR101084015B1 true KR101084015B1 (ko) 2011-11-16

Family

ID=4361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159A KR101084015B1 (ko) 2009-07-08 2009-07-08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97A (ko) * 2014-08-22 2016-03-03 권귀숙 타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428A (ja) * 2001-10-30 2003-05-14 Nagai Seisakusho:Kk マガジ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428A (ja) * 2001-10-30 2003-05-14 Nagai Seisakusho:Kk マガジ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97A (ko) * 2014-08-22 2016-03-03 권귀숙 타카장치
KR102224853B1 (ko) 2014-08-22 2021-03-08 김인규 타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634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105B2 (en) Arcuate fastener nailing device for hardwood flooring
KR100880718B1 (ko) 타카핀 걸림 방지기능이 구비된 타카장치
JPH05375U (ja) 釘打機における釘詰まり除去装置
TWI308100B (en) Fastener driving tool and magazine device
JP2004017219A (ja) 釘打機における釘の傾倒防止機構
KR101084015B1 (ko) 개량형 메가진이 구비된 타카장치
KR100593461B1 (ko)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US20220274236A1 (en) Slap hammer with cap dispenser
KR200392428Y1 (ko) 에어타카
CN114043431B (zh) 自动锤子
US20070187450A1 (en) Pliers type stapler
US20080105724A1 (en) Nailer having nail suspending device
CN203485144U (zh) 防故障结构的打钉机
KR100866634B1 (ko) 타카핀의 휨 방지구조를 갖는 타카장치의 블레이드
JP4569520B2 (ja) 打込機
CN218613864U (zh) 一种优化的打钉枪出钉结构
US9481078B2 (en) Nailer for hardwood flooring
KR200290758Y1 (ko) 에어 스테플러
CN215318482U (zh) 钉枪
KR100661591B1 (ko) 코일 네일러의 도어 래치 구조
KR200442386Y1 (ko) 개량형 메가진 커버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KR200378192Y1 (ko) 타카장치에 구비된 푸셔 멈춤돌기의 구조
KR200355741Y1 (ko) 타카장치의 엔드캡 락킹구조
CA2562970C (en) Arcuate fastener nailing device for hardwood flooring
JP5125844B2 (ja) ステープル打ち用釘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