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294B1 - 권취 릴 - Google Patents

권취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294B1
KR101941294B1 KR1020130051798A KR20130051798A KR101941294B1 KR 101941294 B1 KR101941294 B1 KR 101941294B1 KR 1020130051798 A KR1020130051798 A KR 1020130051798A KR 20130051798 A KR20130051798 A KR 20130051798A KR 101941294 B1 KR101941294 B1 KR 101941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haft
winding
reel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527A (ko
Inventor
카즈히로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카즈히로 가와사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즈히로 가와사키 filed Critical 카즈히로 가와사키
Priority to KR102013005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29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전기 제품의 코드나 실·끈 등 「장물(長物)」을 권취하는 권취 릴은, 개구부가 큰 물건에서는 빠져나감 방지를 위해, 장물의 일단 및 타단을 릴체에 직접 계지 고정하거나, 권취 후에 별도 부재로 장물을 눌러서 고정할 필요가 있고, 또한, 개구부가 작은 물건에서는 내부가 들여다보이지 않아 권취 자체가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대향하여 마련한 상부원판과 하부원판의 각각 중앙부에 마련한 상축과 하축을 상하 일체화함과 함께, 원판 외주부로부터, 상대측을 향하여 복수개의 상 탄성주와 하 탄성주를 대향 돌설하고, 이들의 탄성주 원주방향 사이에 내부를 들여다보는 창부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권취시에는 내부를 들여다보이게 함과 함께, 탄성주에 거슬러서 가압하여 장물을 축 둘레에 감는 것만으로, 권취 작업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코드류의 권취 릴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권취 릴{WINDING REEL}
본 발명은, 가정용의 전기 제품 코드나, 휴대 라디오, 휴대 전화기의 이어폰 코드, 또는, 실이나 끈 등의 가늘고 긴 물건을 감아 지지하는, 권취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권취용 릴은, 선행 기술로서 기재된 특허 문헌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너츠형상 링의 링 외측 주위에 마련한 슬릿으로부터, 링 내부에 코드끈을 감고, 별도의 스프링 고리를 조작하여 코드끈을 링 내에 고정하는 것이나, 스프링 고리를 폐지하고, 링 벽부에 코드끈을 삽입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구멍을 마련한 전선 코드 수납기가 있다.
또한, 광파이버 소선(素線)을 권취하는 드럼으로서, 대향하는 측판의 외주단 내부에, 각각의 모(毛)의 선단이 얽힐 정도로 대향한 모헤어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드럼의 측판 외주단에, 탄력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치상부(矩齒狀部)를 일체 성형한 광파이버의 여장(余長) 소선부를 권취하는 드럼이 있다.
도너츠형상 링의 형태의 것은, 전선의 코드끈을 감을 때, 고정구멍이 있는 것은 코드끈의 단부 각각을 고정구멍에 부착할 필요가 있고, 고정구멍이 없는 것은 스프링 고리를 회전 조작하여 코드끈의 낙하나 빠짐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양자 모두 원터치 조작하기가 어렵다.
또한, 광파이버 소선을 권취하는 드럼 형태의 것은, 권취 간극을 폐쇄하는 대향 부재가 서로 조밀한 상태로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권취 릴 내부를 명확하게 볼 수가 없어서, 권취 가능 공간의 넓이나 양을 짐작하기 어려운 등,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공소29-555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실공소31-1555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실개소58-45259호 공보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구성의 상기한 바와 같은, 불합리함을 적게 하여, 사용하기 쉬운 권취 릴을 간단한 구성으로 손에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우선,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대향되어 마련한 상부원판(1)과 하부원판(2)의 각각 중앙부에 상대측을 향하여 돌설하는 상축(3)과 하축(4)을 마련하고, 그 상하축(3, 4) 돌출단 사이에서 상하 일체화함과 함께, 한쪽의 원판 외주 근방부로부터, 또는 양 외주 근방부로부터, 상대측을 향하여 복수개의 상 탄성주(5, 5 …) 또는 하 탄성주(6, 6 …)를 돌설하고, 이들의 탄성주 원주 방향 사이에 내부를 들여다보는 창부 공간(7)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코드류의 권취 릴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서, 크고 작은 지름의 전선 코드나, 실·끈 등을, 예를 들면, 한 손으로 쥔 상태에서 권취 릴 상 탄성주(5) 또는 하 탄성주(6) 표면에 반대측의 손으로 꽉누르면, 상하 탄성주(5, 6)는 안쪽으로 눌려져서 구부러져, 권취 릴 축 둘레로 코드나 실·끈을 간단하게 감을 수 있다.
또한, 원주 방향으로 나열한 상 탄성주(5, 5), 또는 하 탄성주(6, 6)의 사이에, 내부를 들여다보는 창부 공간(7)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코드나 실·끈을 감을 때에, 권취 릴축 둘레의 공간량이나 넓이를 들여다볼 수가 있어서, 감는 조작이 용이하다.
다음에, 청구항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부원판(1) 및 상축(3)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체(A)와, 하부원판(2) 및 하축(4)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체(B)의 각각의 형상을, 동일하게 한 물건과 일방측의 높이방향 치수를 크게 한 물건의 2종류의 구성으로 하고, 그들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3종류의 릴을 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전선 코드류의 권취 릴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서, 예를 들면, 상부체(A)의 높이방향 두께를 「1」로 하고, 하부체(B)의 높이방향 두께를 「2」로 한다.
그리고, 우선, 상부체(A) 2개를 대향 조합시키면 높이방향 두께 「2의 권취 릴」이 되고, 다음에, 상부체(A)와 하부체(B)를 대향 조합시키면 높이방향 두께 「3의 권취 릴」이 되고, 최후로, 하부체(B) 2개를 대향 조합시키면 높이방향 두께 「4의 권취 릴」의, 3종류의 권취 릴을 구현화 할 수 있다.
우선,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대향하여 마련한 상부원판(1)과 하부원판(2)의 각각 중앙부에 상대측을 향하여 돌설하는 상축(3)과 하축(4)을 마련하고, 그 상하축(3, 4) 돌출단 사이에서 상하 일체화함과 함께, 한쪽의 원판 외주 근방부로부터, 또는 양 외주 근방부로부터, 상대측을 향하여 복수개의 상 탄성주(5, 5 …) 또는 하 탄성주(6, 6 …)를 돌설하고, 이들의 탄성주 원주방향 사이에 내부를 들여다보는 창부 공간(7)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코드류의 권취 릴이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서, 권취 릴축 둘레에 코드나 실·끈을 감는 경우에, 권취 릴 외주부의 릴 상 탄성주(5) 또는 하 탄성주(6) 표면에 반대측의 손으로 꽉누르면, 상하 탄성주(5, 6)는 안쪽으로 눌려져서 구부러지고, 권취 릴 축 둘레로 코드나 실·끈을 간단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그 때에 내부를 밖에서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에, 감는 작업을 편안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은, 상부원판(1) 및 상축(3)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체(A)와, 하부원판(2) 및 하축(4)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체(B)의 각각의 형상을, 동일하게 한 물건과 일방측의 높이방향 치수를 크게 한 물건의 2종류의 구성으로 하고, 그들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3종류의 릴을 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전선 코드류의 권취 릴로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서, 제조를 위한 적은 틀(型) 비용의 투자로, 복수 다종류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도 1은 확대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전체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상부체 부분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상부체의 저면도.
도 5는 하부체 부분의 정면 단면도.
도 6은 하부체의 평면도.
도 7은 별도로 도시한 예의 확대한 전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부 전개한 정면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부체 부분의 정면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상부체의 저면도.
도 11은 도 8의 하부체 부분의 정면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하부체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원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있는 것은 전부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원판(1)과 일체의 상축(3)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체(A)와, 마찬가지 구성으로 한 하부체(B)은, 합성수지 등인 플라스틱계 소재를, 틀(型) 내에 사출성형하여 만들고 있다.
그리고, 상부원판(1)의 외주 근방부로부터, 상대측을 향하여 복수개의 상 탄성주(5, 5 …)를 돌출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부원판(2)의 외주 근방부로부터, 상대측을 향하여 복수개의 하 탄성주(6, 6 …)를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원판 중앙부로부터 서로 상대측를 향하여 돌출한, 상축(3)과 하축(4)의 돌출단을 접착이나 압입 등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하 탄성주 상대측을 향하여 상하 탄성주(5, 6)를 서로 대향 돌설하고 있지만, 적어도 일방측의 주단연(柱端緣)을 연장하고, 상대의 원판측의 면에 맞대이면, 편측 탄성주만으로 본 발명은 구성할 수 있다.
요컨대, 가압으로 안쪽으로 휘는 탄성주가 복수개와,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탄성주 사이에, 내부를 들여다보는 창부 공간을 갖고 있으면 같은 효과이다.
[실시예 1]
도 1부터 도 6에 도시하는 것은, 제 1 실시예의 구성으로서, 이하 설명한다.
도 1, 도 2는, 상부체(A)와 하부체(B)를 상축(3)과 하축(4)부로 일체화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품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서로의 단면 환축단(丸軸端)을 반원형상으로 잘라내고, 서로 조합시켜서 단면 환축으로 하는 것이다.
그대로는, 축단을 접착이나 용착하지 않으면 고정할 수가 없기 때문에, 반원축 둘레부 외주에 고정용의 벽면을 갖는 고정구멍을 각각 마련하고, 양자 축단을 압입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부체(A)와 하부체(B)의 주요 부재인, 상부원판(1)과 하부원판(2) 각각의 외주단 근방부터 서로의 방향을 향하여, 복수개의, 도시한 예에서는 12개의 상 탄성주(5 …)와 하 탄성주(6 …)를 대향 중간 부분에서 선단이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주체(柱體)는, 코드나 실류를 권취한 후의 단부 고정용 저항이고, 왼손으로 쥔 권취 릴에 코드나 실류를 감을 때에는, 이 주체는 부드럽게 피하여서, 권취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주체의 수는, 도시한 예보다 많아도, 적어도 같은 효과라면 좋다.
그리고, 이 주체는 고무·일래스토머 등 탄성체로 구성되고, 합성수지 등인 플라스틱계 소재의 원판 외주 부분에 일체적으로 융착되어 있다.
다음에, 각 부재에 관해, 구체적으로 상세히 기술한다.
도 3, 도 4에서 도시하는 상부체(A)는, 수평형상으로 일정 두께의 상부원판(1)과, 그 원판 외주 근방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원주 등배형상으로 돌출한 12개의 상 탄성주(5 …)와, 원판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상축(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원판(1)의 외주연부는, 조금 두께를 얇게 한 고리형상의 박육 외주연(1a)으로 하고, 그 안쪽 측에 탄성체를 상하면에 걸쳐서 관통 부착하기 위한 관통 작은 구멍(1b)을, 도시한 예에서는 12개 마련하고 있다.
관통 작은 구멍(1b)의 수는,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구성되는 상 탄성주(5 …)를 상부원판(1)의 외주연에 강력하게 융착 일체화하기 위해서나, 제품 제조시의 수지 비산성(飛散性) 변화에 수반하는 미려한 제품화를 위해, 관통 작은 구멍(1b)의 수를 2배 정도로 늘리는 일도 있지만, 너무 늘리면 원판 강도의 저하가 생기기 때문에, 양자를 감안하여 구멍수를 정한다.
이 관통 작은 구멍(1b …)을 덮도록 박육 외주연(1a)에 일단을 융착한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는, 상 탄성주(5 …)로서 끝이 가는 테이퍼형상 주(柱)로서 하방 돌접(突接)하여 있다.
중앙부의 상축(3)은, 상 탄성주(5)의 돌출단과 같은 치수의 상환륜(上環輪)(8)으로, 축 둘레를 보강함과 함께, 상환륜(8)의 일부를 상부원판(1) 하면부까지 절제(切除)한 상 절제홈(8a)으로 하고 있고, 상축(3)의 선단은 상 탄성주(5)의 약 2배 정도까지 연출(延出)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의 상부체(A)에서의 상축(3)은, 원주형상의 축을 상부원판(1) 하면부까지 반원형상으로 절제한 반원주로 하고 있고, 이 부분 둘레를 상환륜(8)으로 덮음으로써, 상부 축구멍(3a)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 탄성주(5, 5) 사이에는, 창부 공간(7)이 마련되어 있다.
도 5, 도 6으로 도시하는 하부체(B)는, 수평형상으로 일정 두께의 하부원판(2)과, 그 원판 외주 근방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원주 등배형상으로 돌출한 12개의 하 탄성주(6 …)와, 원판 중앙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한 하축(4)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평형상의 하부원판(2)의 외주연부는, 조금 두께를 얇게 하는 고리형상의 박육 외주연(2a)과, 그 외단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접한 링 단연(10)으로 되어 있다.
고리형상의 박육 외주연(2a)의 안쪽 측에는, 마찬가지로 탄성체를 상하면에 걸쳐서 관통 부착하기 위한 관통 작은 구멍(2b)을, 도시한 예에서는 12개 마련하고 있다.
이 관통 작은 구멍(2b …) 및 링 단연(10)을 덮도록 박육 외주연(2a)에 일단을 융착한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는, 하 탄성주(6 …)로서 끝이 가는 테이퍼형상 주(기둥)로서 상방을 향하여 돌접하고 있다.
링 단연(10)의 돌출 높이와, 하 탄성주(6)의 돌출 높이는, 개략 같은 치수로 하고 있다.
원판 중앙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하축(4)은, 하 탄성주(6)의 돌출단과 같은 치수 높이 정도의 하환륜(9)으로, 축 둘레를 보강함과 함께, 하환륜(9)의 일부를 링 단연(10) 높이 상단 부근까지 절제한 하 절제홈(9a)으로 하고 있다.
하축(4)의 선단은, 상 탄성주(5)의 선단부터, 다시 상 탄성주(5)의 높이 정도를 연장한 길이를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의 하부체(B)에서의 하축(4)은, 원주형상의 축을 하부원판(2) 윗면부까지 반원형상으로 절제한 반원주로 하고 있고, 이 부분 둘레를 하환륜(9)으로 덮도록 하여, 하부 축구멍(4a)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하 탄성주(6, 6) 사이에는, 창부 공간(7)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예에 관해, 도 7부터 도 12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주체로 설명하면, 제 2 상부체(C)와 제 2 하부체(D)의 외관을, 크게 변경하고 있는 점이 다르고, 그 이외는 그다지 바뀌여 있지 않다.
플라스틱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 2 상부체(C)에서는, 수평형상으로 일정 두께의 상부원판(1)을 가지며, 그 원판 외주 근방부에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일체 용융형상으로 하방을 향하여 원주 등배형상으로 돌출한 12개의 상 탄성주(5 …)와, 원판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플라스틱계 소재의 상축(q)으로 이루어져 있는 점은 같다.
상부원판(1)의 외주연부는, 조금 두께를 얇게 한 고리형상의 박육 외주연(1a)으로 하고, 그 안쪽 측부에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재를 상하면에 걸쳐서 관통 부착하기 위한, 관통 작은 구멍(1b)을, 도시한 예에서는 배(倍)인 24개 마련되어 있는 점을 달리 한다.
이것은, 2차 가공시의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구성되는 상 탄성주(5 …)를, 상부원판(1)의 외주연에 강력하게 융착 일체화하기 위한 연통구멍으로서나, 1차 가공 제품 제조시의 수지 유동 비산에 수반하는 제품 가죽의 미려화를 위해, 관통 작은 구멍(1b)의 수를 2배로 하여, 이곳을 비산용의 핀축 부착부로 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의 것은, 상부원판(1)의 박육 외주연(1a)부의 외경 원주단의 일부분을, 도시한 예에서는 상 탄성주(5)와 같은 수의 개소를 외부로의 노출면(11)으로 하고, 그 이외의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덮여진 부분과의 사이에서 단차(12)를 마련하여, 잡기 쉬움을 추구하고 있다.
상축(3)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다.
다음에, 제 2 실시예의, 제 2 하부체(D)에 관해 설명한다.
플라스틱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 2 하부체(D)도, 수평형상으로 일정 두께의 하부원판(2)으로 하고, 외주연부를 조금 두께를 얇게 한 고리형상의 박육 외주연(2a)과, 그 외단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접한 링 단연(10)으로 하는 점은, 제 1 도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고리형상의 박육 외주연(2a)의 안쪽 측에 마련한, 탄성체를 상하면에 걸쳐서 관통 부착하기 위한 관통 작은 구멍(2b)을, 제 2 도시예에서는 24개 마련되어 있는 점을 달리 하고 있다.
이것도, 2차 가공시의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구성되는 하 탄성주(6 …)를, 하부원판(2)의 외주연에 강력하게 융착 일체화하기 위한 연통 구멍으로서나, 1차 가공 제품 제조시의 수지 유동 비산에 수반하는 제품 껍질의 미려화를 위해, 관통 작은 구멍(2b)의 수를 2배로 하여, 이것을 비산용의 핀축 부착부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 관통 작은 구멍(2b …) 및 링 단연(10)을 덮도록 박육 외주연(2a)에 일단을 융착한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는, 하 탄성주(6 …)로서 끝이 가는 테이퍼형상주로서 상방을 향하여 돌접되어 있다.
링 단연(10)의 돌출 높이와, 하 탄성주(6)의 돌출 높이는, 개략 같은 치수로 하고 있다.
또한, 원판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플라스틱계 소재의 하축(4), 및, 축 둘레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제 2 실시예의 것은, 하부원판(2)의 박육 외주연(2a)부의 외경 원주단의 일부분과 링 단연(l0)의 상방 대응부를, 도시한 예에서는 하 탄성주(6)와 동수 개소를 외부로의 노출면(11)으로 하고, 그 이외의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덮혀진 부분과의 사이에서 단차(12)를 마련하여, 잡기 쉬움을 추구하고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상부체(A)와 하부체(B), 및, 제 2 상부체(C)와 제 2 하부체(D)의 조립에 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상하축(3, 4)끼리는, 축 형상과 축 구멍 형상 및 환륜 형상을 같게 하여, 축단을 서로 조합시켜서 가압하면, 상부체와 하부체의 관계없이 조립할 수 있다.
즉, 상부체(A)를 2개 대향 조립하면, 가장 높이가 낮은 「박형 권취 릴」이 되고, 상부체(A)와 하부체(B)를 대향 조립하면, 조금 높이가 높은 「보통형 권취 릴」이 되고, 하부체(B)를 2개 대향 조립하면, 가장 높이가 높은 「후형 권취 릴」을 구현화할 수 있다.
이들의 「제 1 도시예, 권취 릴」은, 상부체(A)와 하부체(B)의 원판 둘레가 균일 두께의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덮여 있고, 이 원판 둘레 부분을 왼손가락 또는 오른손가락으로 쥘 때에, 어느 부분을 쥐어도 같은 촉감이다.
다음에, 마찬가지로, 제 2 실시예로 나타내는, 제 2 상부체(C)를 2개 대향 조립하면, 가장 높이가 낮은 「제 2 박형 권취 릴」이 되고, 제 2 상부체(C)와 제 2 하부체(D)를 대향 조립하면, 조금 높이가 높은 「제 2 보통형 권취 릴」이 되고, 제 2 하부체(D)를 2개 대향 조립하면, 가장 높이가 높은 「제 2 후형 권취 릴」을 구현화할 수 있다.
이들의 「제 2 도시예, 권취 릴」은, 제 2 상부체(C)와 제 2 하부체(D)의 원판 둘레가, 노출면(11)과 단차(12)를 갖는 구성으로 고무·일래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덮이여 있어서, 이 원판 둘레 부분을 왼손가락 또는 오른손가락으로 쥘 때에, 손가락이 이 부분을 쥔 때에 단차(l2)부분에 걸려서, 지지성이 향상하는 촉감이 생긴다.
또한 다른 형체로서, 제 1 도시예의 상부체(A)에 대해, 하부체(B) 등뿐만 아니라, 제 2 도시예의 제 2 상부체(C)나 제 2 하부체(D) 등을 조합시킴으로써, 다종다양한 권취 릴을 구현화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의 구성에서, 플라스틱 사출 성형틀 장단 2개와, 고무·일래스토머 융착틀 4개에 의한, 적은 틀 비용으로 권취 공간 높이가 다른, 많은 권취 릴을 만드는 것도 가능해진다.
최후로, 전선 코드나 끈이나 실류의, 권취 조작에 관해 기술한다.
상부체(A)와 하부체(B), 또는, 제 2 상부체(C)와 제 2 하부체(D) 각각을,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조합시킨다.
그리고, 상하 대향하는 상 탄성주(5)와 하 탄성주(6)의 대항 선단면 사이는, 접촉하든지, 또는, 코드나 끈이나 실류의 지름보다 작은 간극으로 하여 둔다.
예를 들면, 왼손의 손가락으로, 상부원판(1)의 외주를 윗면측에서 쥐고, 또한 동시에 필요하면, 전선 코드나 끈이나 실류의 일단부를 왼손가락으로 눌러 둔다.
다음에,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잡은 전선 코드나 끈이나 실류를, 상 탄성주(5)와 하 탄성주(6)의 대항 선단면 사이 근방에 꽉누르면, 상 탄성주(5) 또는 하 탄성주(6)가 안쪽으로 변형하여, 상하축(3, 4) 둘레에 전선 코드나 끈이나 실류를 감을 수 있다.
이 때, 이웃하는 탄성주의 사이에 마련한 창부 공간(7)으로부터, 상하축(3, 4) 둘레를 들여다볼 수가 있어서, 권취 가능 공간 넓이나 용량의 상태를 사전에 알 수가 있고, 또한, 권취 작업시에 내부 상태를 볼 수가 있어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권취에 즈음하여, 탄성주의 하나의 창부 공간(7)에, 실·끈·코드류의 일단을 위치시키고, 타단측을 적당하게 권취하고 손가락을 떼면, 실·끈·코드류의 타단측도, 다른 창부 공간(7)부의 탄성주에 계지되어 풀리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일을 하지 않고서, 원터치로, 감는 작업의 시작, 또는, 마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1 : 상부원판 1a : 박육 외주연
1b : 관통 작은 구멍 2 : 하부원판
2a : 박육 외주연 2b : 관통 작은 구멍
3 : 상축 3a : 상부 축구멍
4 : 하축 4a : 하부 축구멍
5 : 상 탄성주 6 : 하 탄성주
7 : 창부 공간 8 : 상환륜
8a : 상 절제홈 9 : 하환륜
9a : 하 절제홈 10 : 링 단연
11 : 노출면 12 : 단차
A : 상부체 B : 하부체
C : 제 2 상부체 D : 제 2 하부체

Claims (2)

  1.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마련하는 플라스틱계 소재의 상부원판(1)과 하부원판(2)의 각각 중앙부에 상대측을 향하여 돌설하는 상축(3)과 하축(4)이 마련되어 있고, 그 상하축(3, 4)의 돌출단 사이에서 상하 일체화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상하부원판(1, 2) 각각의 외주연부 안쪽 측에 복수개의 관통 작은 구멍(1b, 2b)이 마련되어 있고, 한쪽의 원판 외주 근방부로부터, 또는 양 외주 근방부로부터, 상대측을 향하여 고무·일래스토머를 포함하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상 탄성주(5, 5 ‥) 또는 하 탄성주(6, 6 ‥)가 돌설되는데 즈음하여, 그 상하 탄성주(5, 6) 기단부가 관통 작은 구멍(1b, 2b)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하부원판(1, 2) 각각의 외주연부에 융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탄성주와 관통 작은 구멍의 관계를, 탄성주의 수(예를 들면 12개)에 대해 관통 작은 구멍의 수를 1∼2배(12∼24개))의 범위의 수로 하고, 이들의 탄성주 원주 방향 사이에 내부를 엿보는 창부 공간(7)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코드류의 권취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원판(1) 및 하부원판(2) 각각에서의, 고무·일래스토머를 포함하는 탄성재 융착 후의 평면시 외주연 형상을, 상하원판(1, 2)의 외경 원주단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한 노출면(11)으로 하는 부분과, 그 이외의 탄성재로 덮는 부분으로 하고, 그, 양자 사이에 단차(12, 1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코드류의 권취 릴.
KR1020130051798A 2013-05-08 2013-05-08 권취 릴 KR101941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798A KR101941294B1 (ko) 2013-05-08 2013-05-08 권취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798A KR101941294B1 (ko) 2013-05-08 2013-05-08 권취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527A KR20140132527A (ko) 2014-11-18
KR101941294B1 true KR101941294B1 (ko) 2019-01-22

Family

ID=5245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798A KR101941294B1 (ko) 2013-05-08 2013-05-08 권취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100B1 (ko) * 2019-12-10 2022-09-15 주식회사 한화 지면에 고정이 가능한 발파 시스템용 전자식 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3148A (ja) * 2002-07-12 2004-02-12 Jsp Corp 発泡成形体製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7608A1 (fr) 1981-06-15 1982-12-17 Rhone Poulenc Spec Chim Compositions organopolysiloxaniques liquides photopolymerisables pour enduction de materiaux
US4726534A (en) * 1986-08-06 1988-02-23 Advantek Inc. Convertible reel assembly
JPH10258970A (ja) * 1997-03-17 1998-09-29 Daito Tsushinki Kk 光ファイバ巻取装置および収容装置
KR200171362Y1 (ko) * 1997-11-06 2000-04-01 김영환 테이프 권취용 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3148A (ja) * 2002-07-12 2004-02-12 Jsp Corp 発泡成形体製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527A (ko)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5708A1 (en) Mascara brush
KR100522306B1 (ko) 화장용브러시의 제조방법 및 화장용브러시
US20100083979A1 (en) Mascara brush
US20100294298A1 (en) Mascara brush
KR101378488B1 (ko) 마스카라
KR200388026Y1 (ko) 마스카라 브러쉬
JP2019018075A (ja) 化粧品アプリケーターブラシ
US20140246043A1 (en) Cosmetic product applicator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KR102627142B1 (ko) 칫솔 및 칫솔 제조 방법
AU2017278128B2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KR200384765Y1 (ko) 마스카라 브러쉬
JP2020072789A (ja) 歯ブラシ
KR101941294B1 (ko) 권취 릴
WO2020191992A1 (zh) 胶皮组件、头梳以及头梳的制作方法
JP3227532U (ja) 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構造
WO2017051777A1 (ja) 歯ブラシ
KR200387709Y1 (ko) 브러쉬 케이스
KR20090130745A (ko) 마스카라용 브러쉬의 제조 방법
JP3188487U (ja) マスカラ塗布具及び化粧品
KR200388031Y1 (ko) 마스카라 브러쉬
US10111516B1 (en) Assembly technology for any shape disk brush with metal wires and conical
KR200388027Y1 (ko) 마스카라 브러쉬
KR20190042332A (ko) 마스카라 브러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3124168A (ja) 巻取リール
JPWO2015137487A1 (ja) 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歯ブラシ、及び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