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471B1 -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 Google Patents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471B1
KR102443471B1 KR1020200117454A KR20200117454A KR102443471B1 KR 102443471 B1 KR102443471 B1 KR 102443471B1 KR 1020200117454 A KR1020200117454 A KR 1020200117454A KR 20200117454 A KR20200117454 A KR 20200117454A KR 102443471 B1 KR102443471 B1 KR 102443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ea
drain hole
agricultur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5567A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20011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4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2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attaching appendages, e.g. handles,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농차다관을 제조하는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백자흙을 이용하여 농차다관의 다관 몸통 및 다관 물대를 성형하고, 성형을 한 다관 몸통 및 다관 물대를 정형하는 단계, 정형을 한 상기 다관 몸통의 일측에 하나의 물빠짐 홀만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물빠짐 홀과 직경크기가 상이한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다관 물대를 상기 물빠짐 홀이 형성된 위치에 부착하고, 상기 물빠짐 홀이 형성된 위치의 반대편인 상기 다관 몸통의 타측에 다관 손잡이를 형성하는 단계, 수분제거 기간을 거친 후 상기 농차다관을 7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초벌구이하는 단계, 상기 농차다관에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유약이 도포된 농차다관을 11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재벌구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나오게 하는 농차다관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METHOD FOR MANUAFCTURING TEE POT AND TEE POT BY THE SAME}
본 발명은 농도가 짙은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나오게 할 수 있는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에 관한 것이다.
농도가 짙은 농차를 마시는 농차다관은 출수가 이슬처럼 한 방울씩 나오게 해야 하고, 그렇게 약 3방울 내지 4방울을 잔에 내어 마시는 다도법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농차다관의 대표적인 기능은 차의 물이 한 방울씩 나오게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일반다관은 다관 몸통의 구멍을 많이 내어 물의흐름을 좋게하는데 중점을 둔다면, 농차다관은 물을 흐름을 절제시켜 한 방울씩 나오게하는데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다.
하지만, 농차다관은 일반다관의 약 10% 크기로 작은 만큼 농차다관의 제조작업도 정교하게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농차다관은 다관 몸통에 구멍을 낸 후 유약을 도포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구멍의 크기가 매우작아 유약에 의해서 다관 몸통에 형성된 구멍이 쉽게 막히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관 몸통에 소정크기 이내의 물빠짐 홀을 하나만 형성하여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일정한 간격으로 나오게 할 수 있는 농차다관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농차다관을 제조하는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백자흙을 이용하여 농차다관의 다관 몸통 및 다관 물대를 성형하고, 성형을 한 다관 몸통 및 다관 물대를 정형하는 단계, 정형을 한 상기 다관 몸통의 일측에 하나의 물빠짐 홀만을 형성하는 단계,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다관 물대를 상기 물빠짐 홀이 형성된 위치에 부착하고, 상기 물빠짐 홀이 형성된 위치의 반대편인 상기 다관 몸통의 타측에 다관 손잡이를 형성하는 단계, 수분제거 기간을 거친 후 상기 농차다관을 7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초벌구이하는 단계, 상기 농차다관에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유약이 도포된 농차다관을 11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재벌구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농차다관은,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를 소정크기 이내로 형성하되, 물의 흐름을 절제시키도록 상기 다관 물대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가 상기 다관 몸통에 형성된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빠짐 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소정두께 이내의 삽입물로 상기 다관 몸통의 일측을 관통시켜 상기 물빠짐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물빠짐 홀이 상기 다관 몸통에 도포된 유약에 의해서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관 몸통에 도포된 상기 유약이 자연건조된 후에 상기 다관 몸통에 삽입된 상기 삽입물을 상기 다관 몸통의 내측방향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는, 0.4mm 내지 0.6mm 이내일 수 있다.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는, 0.5mm일 수 있다.
상기 다관 물대에 형성된 상기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는, 0.3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농차다관의 다관 몸통에 소정크기 이내로 형성된 물빠짐 홀을 하나만 형성하고, 다관 몸통에 형성된 물빠짐 홀과 다관 물대의 내부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농차를 따를 때 농차다관이 기울여진 정도와 상관없이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일정한 간격으로 나오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관 물대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를 다관 몸통에 형성된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농차를 따를 때 농차다관이 기울여진 정도와 상관없이 물의 흐름을 절제시켜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일정한 간격으로 나오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두께 이내의 삽입물로 다관 몸통의 일측을 관통시켜 물빠짐 홀을 형성하고, 다관 몸통에 도포된 유약이 자연건조된 후에 다관 몸통에 삽입된 삽입물을 상기 다관 몸통의 내측방향으로 제거함으써, 상기 물빠짐 홀이 상기 다관 몸통에 도포된 유약에 의해서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농차다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100)은 다관 몸통(110), 다관 물대(120), 다관 손잡이(130), 및 다관 뚜껑(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관 몸통(110)에는 하나의 물빠짐 홀(미도시)만이 형성되고, 상기 물빠짐 홀이 상기 다관 물대(120)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미도시)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농차다관(100)은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일정한 간격으로 나오게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를 소정크기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농차다관(100)은 물의 흐름을 절제시키도록 상기 다관 물대(120)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가 상기 다관 몸통(110)에 형성된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관 몸통(110)에 형성된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0.4mm 내지 0.6mm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는 더욱 바람직하게 0.5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관 물대(120)에 형성된 상기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0.2mm 내지 0.4mm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는 더욱 바람직하게 0.3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100)은 상기 다관 몸통(110)에 소정크기 이내로 형성된 물빠짐 홀을 하나만 형성하고, 상기 다관 물대(120)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를 상기 다관 몸통(110)에 형성된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농차를 따를 때 상기 농차다관(100)이 기울여진 정도와 상관없이 물의 흐름을 절제시켜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일정한 간격으로 나오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농차다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백자흙으로 농차다관(100)의 다관 몸통(110)과 다관 물대(120)를 성형하고, 성형한 상기 다관 몸통(110)과 상기 다관 물대(120)를 정형한다(S102).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물레를 사용하여 상기 다관 몸통(110)과 상기 다관 물대(120)를 성형한 후, 굽틀을 물레에 붙여서 성형을 한 상기 다관 몸통(110)과 상기 다관 물대(120)을 정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정형을 한 상기 다관 몸통(110)의 일측에 소정크기의 직경을 갖는 물빠짐 홀을 형성한다(S104). 이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사용자가 농차를 따를 때 농차다관이 기울여진 정도와 상관없이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일정한 간격으로 나오게 할 수 있도록 오직 하나의 물빠짐 홀만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소정두께 이내로 이루어진 삽입물(미도시)을 상기 다관 몸통(110)의 일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물빠짐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물은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물은 고온에 강하고 변형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삽입물이 상기 다관 몸통(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초벌구이나 재벌구이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상기 삽입물이 상기 초벌구이나 상기 재벌구이 작업에 의한 고온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상기 다관 물대(120)의 몸체 내부에 소정크기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상기 물빠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상기 다관 몸통(110)의 일측인 상기 물빠짐 홀이 형성된 위치에 상기 다관 물대(120)를 부착하고, 상기 물빠짐 홀이 형성된 위치의 반대편인 상기 다관 몸통(110)의 타측에 다관 손잡이(130)를 형성한다(S106).
여기서, 상기 농차다관(100)은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를 소정크기 이내로 형성하되, 물의 흐름을 절제시키도록 상기 다관 물대(120)에 형성된 상기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가 상기 다관 몸통(110)에 형성된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관 몸통(110)에 형성된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0.4mm 내지 0.6mm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는 더욱 바람직하게 0.5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관 물대(120)에 형성된 상기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0.2mm 내지 0.4mm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는 더욱 바람직하게 0.3mm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약 일주일 정도의 수분제거 기간을 거친후 농차다관(100)을 7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초벌구이를 한다(S108).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상기 초벌구이 작업을 마친 상기 농차다관(100)의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에 백자유약을 도포한다(S110).
여기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상기 물빠짐 홀이 상기 다관 몸통(110)에 도포된 유약에 의해서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관 몸통(110)에 도포된 상기 유약이 자연건조된 후에, 상기 다관 몸통(110)에 삽입된 상기 삽입물을 상기 다관 몸통(110)의 내측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은 상기 유약이 도포된 농차다관(100)을 11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재벌구이하고, 하루 정도의 식힘기간을 거쳐 농차다관(100)을 제조할 수 있다(S11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은 농차다관의 다관 몸통에 소정크기 이내로 형성된 물빠짐 홀을 하나만 형성하고, 다관 몸통에 형성된 물빠짐 홀과 다관 물대의 내부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농차를 따를 때 농차다관이 기울여진 정도와 상관없이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일정한 간격으로 나오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관 물대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를 다관 몸통에 형성된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농차를 따를 때 농차다관이 기울여진 정도와 상관없이 물의 흐름을 절제시켜 농차의 물이 한방울씩 일정한 간격으로 나오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두께 이내의 삽입물로 다관 몸통의 일측을 관통시켜 물빠짐 홀을 형성하고, 다관 몸통에 도포된 유약이 자연건조된 후에 다관 몸통에 삽입된 삽입물을 상기 다관 몸통의 내측방향으로 제거함으써, 상기 물빠짐 홀이 상기 다관 몸통에 도포된 유약에 의해서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서버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농차다관 110 : 다관 몸통
120 : 다관 물대 130 : 다관 손잡이
140 : 다관 뚜껑

Claims (8)

  1. 농차다관을 제조하는 농차다관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백자흙을 이용하여 농차다관의 다관 몸통 및 다관 물대를 성형하고, 성형을 한 다관 몸통 및 다관 물대를 정형하는 단계,
    정형을 한 상기 다관 몸통의 일측에 하나의 물빠짐 홀만을 형성하되, 소정두께 이내의 삽입물로 상기 다관 몸통의 일측을 관통시켜 상기 물빠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물빠짐 홀과 직경크기가 상이한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다관 물대를 상기 물빠짐 홀이 형성된 위치에 부착하고, 상기 물빠짐 홀이 형성된 위치의 반대편인 상기 다관 몸통의 타측에 다관 손잡이를 형성하는 단계,
    수분제거 기간을 거친 후 상기 농차다관을 7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초벌구이하는 단계,
    상기 농차다관에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상기 물빠짐 홀이 상기 다관 몸통에 도포된 유약에 의해서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관 몸통에 도포된 상기 유약이 자연건조된 후에 상기 다관 몸통에 삽입된 상기 삽입물을 상기 다관 몸통의 내측방향으로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유약이 도포된 농차다관을 11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재벌구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는 0.4mm 내지 0.6mm 이내이고, 상기 다관 물대에 형성된 상기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는 0.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차다관 제조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농차다관은,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를 소정크기 이내로 형성하되, 물의 흐름을 절제시키도록 상기 다관 물대에 형성된 물빠짐 구멍의 직경크기가 상기 다관 몸통에 형성된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차다관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물빠짐 홀의 직경크기는,
    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차다관 제조 방법.
  7. 삭제
  8. 제1항,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항에서,
    상기 농차다관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KR1020200117454A 2020-09-14 2020-09-14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KR10244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454A KR102443471B1 (ko) 2020-09-14 2020-09-14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454A KR102443471B1 (ko) 2020-09-14 2020-09-14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567A KR20220035567A (ko) 2022-03-22
KR102443471B1 true KR102443471B1 (ko) 2022-09-14

Family

ID=8098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454A KR102443471B1 (ko) 2020-09-14 2020-09-14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029A (ko) 2022-03-29 2023-10-06 박연태 질그릇 기법이 적용된 꺼먹이 다관 및 그 꺼먹이 다관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83B1 (ko) 2006-10-19 2008-04-17 (주)서화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JP2008104661A (ja) * 2006-10-25 2008-05-08 Shinsendo:Kk 陶磁器製お湯割りポ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5513A (ja) * 1983-03-16 1983-10-14 喜多 治 陶磁器製茶器の製造方法
KR20060104458A (ko) * 2005-03-30 2006-10-09 석재영 도자기 표면장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도자기
KR101080283B1 (ko) * 2009-01-20 2011-11-09 홍성선 물대가 결합된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83B1 (ko) 2006-10-19 2008-04-17 (주)서화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JP2008104661A (ja) * 2006-10-25 2008-05-08 Shinsendo:Kk 陶磁器製お湯割りポ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567A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471B1 (ko) 농차다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농차다관
JP3172243U (ja) 手動型コーヒードリッパー
US20130161334A1 (en) Structure of enamelware
FR2567360A1 (fr) Procede pour assujettir des plantes a une croissance naine, et pot a plante dans ce but
US20100288134A1 (en) Teapot with Supple Spout
US20080087171A1 (en) Hot beverage maker
US7032505B2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secondary filter
RU2016145919A (ru) Литейная форма для мон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литья
JP2010259454A (ja) マグカップ
JP2007244219A (ja) 鉢および植物が植えられた鉢の製造方法
KR101723462B1 (ko) 용기형상의 쿠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쿠키
WO2005082124A1 (en) Domestic seeding device
JP4460586B2 (ja) 保温蓋の構造
JP2008104661A (ja) 陶磁器製お湯割りポ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08245B2 (ja) 急須
FR2701808A1 (fr) Dispositif pour humidifier un milieu de culture pour plantes, fleurs ou analogues, procédé pour fabriquer un tel dispositif, et bac ou pot destiné à ce dispositif.
JPH02154712A (ja) コーヒーなどの抽出器
JP7391363B2 (ja) 花留め、及び、花留めの製造方法
CN111511256B (zh) 具有压力调节功能的冲泡工具套组
KR200413751Y1 (ko) 컵 형상 화분
US20140261004A1 (en) Coffee brewing pot
EP3609334A1 (fr) Moule à gâteau avec couvercle
JP3157081U (ja) 茶漉し器用蓋兼受皿
JPS62137021A (ja) 湯位降下式ポツト
DE4013359A1 (de) Warmhaltekan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