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397B1 -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397B1
KR102442397B1 KR1020220065999A KR20220065999A KR102442397B1 KR 102442397 B1 KR102442397 B1 KR 102442397B1 KR 1020220065999 A KR1020220065999 A KR 1020220065999A KR 20220065999 A KR20220065999 A KR 20220065999A KR 102442397 B1 KR102442397 B1 KR 10244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agnetic
control unit
support
s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두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5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공급되는 포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대상물을 용이하게 포대로 공급할 수 있는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를 개시한다.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는 대상물을 그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는 포대를 폭방향을 따라 유입하며 포대를 파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및 지지부의 하부에서 폭방향에 교차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포대를 밀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밀봉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일부가 자성체를 포함하여 하나의 극성을 가지고 다른 일부가 자성의 극성이 교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일부가 다른 일부와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이격 가능하다.

Description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Automatic object packaging device}
본 발명은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대로 대상물을 자동으로 주입하여 포장할 수 있는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 혹은 입체 혼합물(이하, 분, 입체라 하기도 함)이란 사료와 비료를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다. 최근 국제 사료 값의 인상으로 말미암아 건초, 검불 및 짚과 같은 섬유질 사료를 섞어 배합사료인 분, 입체 혼합물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분, 입체 혼합물은 규격별 포대에 일정량씩 투입되어 포장된 후에 출하된다. 분, 입체를 포대에 투입시키고 포대의 투입구를 봉합하는 일련의 과정은 수작업을 이용한 수동식 방식과 자동식 방식으로 나뉜다. 물론, 후자의 자동식 방식이 생산성 향상에 탁월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자동식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중규모 이상의 생산현장에서는 분, 입체를 포대에 투입시키는 공정과, 포대에 분, 입체가 투입될 때 포대를 고정하는 공정과, 분, 입체 투입이 완료되면 포대의 투입구를 봉합하는 공정과, 봉합이 완료된 완성 포대의 출하를 위해 포대를 이송시키는 공정이 하나의 장비 내에서 자동 또는 적어도 반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자동 장치가 적용 또는 적용 예정에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진 장치는 상기의 공정들을 수행하는 유닛(unit)들이 장치의 라인(line) 상에 흩어져 있거나 상호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특히 분, 입체를 포대에 투입시키는 공정과는 별개의 위치 또는 복잡한 구조로 포대를 고정하거나 봉합을 수행한 후에 포대를 픽업(pick up)하여 출하 컨베이어로 이송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작업 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KR 10-0695459 B1
본 발명은 대상물이 공급되는 포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대상물을 용이하게 포대로 공급할 수 있는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는 대상물을 그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는 포대를 폭방향을 따라 유입하며, 상기 포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폭방향에 교차하는 길이방향을 따라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포대를 밀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일부가 자성체를 포함하여 하나의 극성을 가지고, 다른 일부가 자성의 극성이 교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일부가 상기 다른 일부와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이격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공급부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 상기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N극의 극성을 가지는 한쌍의 지지바; 상기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의 하부에 상기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N극의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성체부재와 S극의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성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부재와 상기 제2 자성체부재가 상기 길이방향을 동심으로 하여 나열 배치되는 한쌍의 구동체; 및 상기 포대를 상기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 사이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대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포대의 개구를 벌려줄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포대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부재 및 제2 자성체부재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자성체부재와 상기 제2 자성체부재가 교번하여 복수회 나열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각각 제1 기어이를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지지바는, 상기 한쌍의 구동체와 마주보는 일면에 제2 기어이를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구동체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체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포대를 가압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밀봉부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공급부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대상물을 공급 가능하고, 상기 공급부는, 그 내부에 대상물의 이동경로가 형성되고, 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대상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경로부재;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 각각으로 공급되는 대상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로부재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작동부재; 및 그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연결시키며, 상기 조절부재가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조절부재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내부공간 및 유체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제어부재바디; 상기 제어부재바디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조절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며,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기; 및 상기 제어부재바디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기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내부공간에서 유체를 압축할 수 있고,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이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유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조절부재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작동부재를 당기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바디는, 상기 이동기와 이동할 수 있는 정도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경로부재 내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연결기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재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는 제어부재하우징; 상기 제어부재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어부재바디에 설치되는 지지판; 일측이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어부재하우징에 연결되며,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기;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 출입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는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기는,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구와 연통되는 유입부재; 상기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유입부재에 설치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경로를 개방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부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율부재; 및 상기 제어부재바디의 외측에서 상기 출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경로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입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관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율부재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관통부재와 상기 조율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자전하며 동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연결기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재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는 제어부재하우징; 상기 제어부재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어부재바디에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고, 전자석으로 마련되는 제1 자력체; 및 상기 제어부재하우징에 설치되고, 전자석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자력체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자력체; 및 상기 제1 자력체와 상기 제2 자력체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자력체와 상기 제2 자력체에 전자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력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대상물을 더 신속하고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포대에 대상물을 공급하고 포장하는 과정을 단일 장소에서 수행하므로, 공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에,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을 복수의 포대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대상물 공급 작업이 중단되거나 지연되지 않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재의 작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어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지지부를 이용하여 포대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포대로 대상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재의 작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제어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지지부를 이용하여 포대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포대로 대상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10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1000)는 대상물(예컨데, 분, 사료, 비료 등)을 포대(B)에 공급하고, 대상물(F)이 공급된 포대(B)를 밀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1000)는 대상물(F)을 그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100), 공급부(1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대상물(F)이 유입될 수 있는 포대(B)를 폭방향을 따라 유입하며 포대(B)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00) 및 지지부(1200)의 하부에서 폭방향에 교차하는 길이방향을 따라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포대(B)를 밀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밀봉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200)는 일부가 자성체를 포함하여 하나의 극성을 가지고, 다른 일부가 자성의 극성이 교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술한 지지부(1200)의 일부가 상술한 지지부(1200)의 다른 일부와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이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는 지지부(1200)와 밀봉부(1300)가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개의 지지부(1200)와 밀봉부(1300)가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급부(1100)는 포대(B)로 공급될 대상물(F)을 외부로부터 유입받아 지지부(1200)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부(1100)는 유입된 대상물을 서로 다른 경로로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다. 공급부(1100)는 경로부재(1110), 조절부재(1120), 작동부재(1130) 및 제어부재(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공급부(1100)는 감지부재(1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로부재(1110)는 그 내부에 대상물(F)의 이동경로가 형성되고, 대상물(F)이 유입되는 유입구(1111)와 대상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구(1112)를 구비할 수 있다. 경로부재(1110)는 내부에 대상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경로부재(1110)의 상부에는 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대상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구(1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경로부재(1110)의 상측에서 유입되는 대상물이 경로부재(1110) 내부에서 분리되어, 서로 다른 배출구(1112)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구(1111)의 상측에는 장입슈트(S)가 배치될 수 있다. 장입슈트(S)는 운반 컨베이어(C)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장입슈트(S)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장입슈트(S)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장입슈트(S)의 하부는 경로부재(1110)의 유입구(11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운반 컨베이어(C)에서 낙하하는 대상물이 장입슈트(S) 내부로 유입되어 경로부재(111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출구(1112) 각각의 하측에는 서로 다른 지지부(12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경로부재(1110) 내부에서 서로 다른 배출구(1112)로 분배된 대상물은, 서로 다른 지지부(1200)에 의해 지지된 포대(B)들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경로부재(1110)는, 제1 통로부재(1113), 및 제2 통로부재(1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로부재(1110)의 유입구(1111)는 제1 통로부재(1113)에 구비되고, 및 배출구(1112)는 제2 통로부재(1114)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통로부재(1113)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제1 통로부재(1113)의 개방된 상부가 유입구(1111)일 수 있다. 이에, 제1 통로부재(1113)의 상부(또는, 유입구(1111))로 유입된 대상물은 제1 통로부재(1113)의 내부공간을 통과하고, 하부로 배출되면서 제2 통로부재(1114)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통로부재(111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통로부재(1113)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제1 통로부재(1113)의 개방된 상부가 유입구(1111)일 수 있다. 이에, 제1 통로부재(1113)의 상부(또는, 유입구(1111))로 유입된 대상물은 제1 통로부재(1113)의 내부공간을 통과하고, 하부로 배출되면서 제2 통로부재(1114)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통로부재(111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통로부재(1114)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제2 통로부재(1114)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제1 통로부재(1113)의 하부에 결합된다. 복수개의 제2 통로부재(1114)들은 하단부가 서로 다른 곳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2 통로부재(1114)가 제1 통로부재(1113)의 하부에서 연결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제2 통로부재(1114)의 개방된 하부가 배출구(1112)일 수 있다. 이에, 제1 통로부재(1113)를 통과한 대상물은 제2 통로부재(1114)들로 분배되어 경로부재(111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통로부재(1114)는 제1 배출슈트(1114a) 및 제2 배출슈트(1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슈트(1114a)와 제2 배출슈트(1114b)는 상단부가 제1 통로부재(1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출슈트(1114a)와 제2 배출슈트(1114b)의 하단부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통로부재(1113)로 공급된 대상물이 제1 배출슈트(1114a)가 형성하는 경로나, 제2 배출슈트(1114b)가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출슈트(1114a)는 제1 통로부재(1113)의 하부에서 좌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굴절되어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출슈트(1114b)는 제1 통로부재(1113)의 하부에서 우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굴절되어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통로부재(1114)가 구비되는 개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조절부재(1120)는 복수개의 배출구 각각으로 공급되는 대상물의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부재(1120)는 적어도 일부가 경로부재(11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조절부재(1120)의 이동에 따라 제1 통로부재(1113) 내부에서 복수개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통로부재(1113)로 공급된 대상물이 제1 배출슈트(1114a)와 제2 배출슈트(1114b) 중 조절부재(1120)에 의해 개방된 배출슈트로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1120)는 개폐부재(1121), 링크부재(1122), 및 회전축(1123)을 포함한다. 이때, 개폐부재(1121)와 링크부재(1122)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개폐부재(1121)는 제1 통로부재(111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재(112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1121)는 회전축(11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재(1121)의 회전에 따라 제1 통로부재(1113)와 제2 통로부재(1114) 사이가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와 제1 배출슈트(1114a) 사이를 차단하면, 제1 통로부재(1113)와 제2 배출슈트(1114b) 사이가 개방되어 대상물이 제1 통로부재(1113)에서 제2 배출슈트(1114b)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와 제2 배출슈트(1114b) 사이를 차단하면, 제1 통로부재(1113)와 제1 배출슈트(1114a) 사이가 개방되어 대상물이 제1 통로부재(1113)에서 제1 배출슈트(1114a)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재(1121)의 작동으로 대상물이 이동하는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링크부재(1122)는 개폐부재(1121)와 작동부재(1130)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링크부재(1122)는 작동부재(1130)가 전후방향으로 발생시키는 구동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개폐부재(11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링크부재(1122)는 제어부재(1140)와 연결되고 개폐부재(1121)와 결합되는 제1 링크(1122a), 및 일단이 제1 링크(1122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축(1123)과 연결되는 제2 링크(1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1122a)와 제2 링크(1122b) 사이의 회전에 의해 링크부재(1122)가 작동부재(1130)가 발생시키는 구동력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개폐부재(11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링크부재(1122)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회전축(1123)은 제2 통로부재(1114)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축(1123)은 링크부재(1122)와 연결된다. 이에, 링크부재(1122)가 작동부재(1130)에 의해 이동하면서 회전축(1123)을 중심으로 개폐부재(1121)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재(1121)가 회전축(1123)을 중심으로 제2 통로부재(1114)들 사이를 회전하면서, 제2 통로부재(1114)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고 다른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작동부재(1130)는 조절부재(1120)의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작동부재(1130)는 링크부재(1122)를 전후진시킬 수 있다. 이에, 링크부재(1122)의 이동에 의해, 조절부재(1120)가 회전축(1123)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재(1130)의 전후진시키는 구동력이 조절부재(1120)를 회전시켜, 복수개의 제2 통로부재(1114) 중 어느 하나와 제1 통로부재(1113)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재(1130)는 실린더일 수 있다. 이에, 작동부재(1130)는 내부의 유압을 조절하여 실린더 내외로 로드(1131)를 전후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드(1131)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조절부재(1120)가 회전 동작을 할 수 있다.
감지부재(1150)는 개폐부재(1121)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감지부재(1150)는 제1 센서(1151)와 제2 센서(11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센서(1151)는 개폐부재(1121)가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센서(1151)는 제1 통로부재(1113)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배출슈트(1114a)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와 제1 배출슈트(1114a) 사이를 차단하는 경우,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의 내벽과 충돌하여 제1 센서(1151)와 접촉하거나 제1 센서(1151)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1151)에서 개폐부재(1121)와 접촉했다는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와 제1 배출슈트(1114a) 사이를 차단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작동부재(1130)의 전후진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작동부재(1130)가 정지되면서 개폐부재(1121)와 제1 통로부재(1113) 내벽 사이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고,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와 제1 배출슈트(1114a) 사이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152)는 개폐부재(1121)가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센서(1152)는 제1 통로부재(1113)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배출슈트(1114b)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와 제2 배출슈트(1114b) 사이를 차단하는 경우,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의 내벽과 충돌하여 제2 센서(1152)와 접촉하거나 제2 센서(1152)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센서(1152)에서 개폐부재(1121)와 접촉했다는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와 제2 배출슈트(1114b) 사이를 차단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작동부재(1130)의 전후진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작동부재(1130)가 정지되면서 개폐부재(1121)와 제1 통로부재(1113) 내벽 사이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고, 개폐부재(1121)가 제1 통로부재(1113)와 제2 배출슈트(1114b) 사이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재(1140)는 조절부재(1120)와 작동부재(1130)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재(1140)는 조절부재(1120)가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재(1140)는 작동부재(1130)가 전후진하는 속도를 감소시켜 개폐부재(1121)가 회전하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재(1140)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제어부재(1140)는 작동부재(1130)가 조절부재(1120)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내부공간의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유체의 이동에 의해, 작동부재(1130)가 조절부재(1120)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어부재(1140)가 조절부재(1120)를 당기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개폐부재(1121)가 감속하여, 개폐부재(1121)와 제1 통로부재(1113)의 내벽 사이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재(1140)는, 제어부재바디(1141), 연결기(1142), 및 이동기(1143)를 포함한다. 이때, 유체는 에어(Air) 즉, 공기일 수 있다.
제어부재바디(1141)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어부재바디(114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에 유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고,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에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재바디(1141)의 일측에는 유체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14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재바디(1141) 외부의 공기가 출입구(1141a)를 통해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의 공기가 출입구(114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출입구(1141a)는 제어부재바디(1141)가 작동부재(1130)를 향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출입구(1141a)가 제어부재하우징(1144)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어부재하우징(1144) 외측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출입구(1141a)의 위치 및 제어부재바디(114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연결기(114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일 수 있다. 연결기(1142)의 연장방향은 제어부재바디(1141)의 연장방향보다 길 수 있다. 연결기(1142)는 전후방향으로 제어부재바디(1141)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연결기(1142)의 전단부(1142a)는 조절부재(1120)의 링크부재(1122)와 연결되고, 연결기(1142)의 후단부(1142b)는 작동부재(1130)의 로드(113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기(1142)는 작동부재(113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고, 링크부재(11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기(1142)의 전단부(1142a)와 연결기(1142)의 후단부(1142b)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기(1142)의 전단부(1142a)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링크부재(112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기(1142)의 후단부(1142b)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로드(113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재(1140)가 손상되는 경우, 제어부재(1140)를 조절부재(1120) 및 작동부재(1130)와 분리해서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연결기(1142)와 제어부재바디(1141)는 서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재바디(1141)가 연결기(114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연결기(1142)와 제어부재바디(1141) 사이에는 O 링이 구비되어,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의 유체가 연결기(1142)와 제어부재바디(1141) 사이의 틈새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기(114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동기(1143)는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이동기(1143)는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의 단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이 이동기(1143)에 의해 두 개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이동기(1143)는 연결기(1142)와 함께 이동하여,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에서 유체를 압축할 수 있다. 이동기(1143)는 연결기(1142)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연결기(1142)가 작동부재(1130)에 의해 전후진하면, 이동기(1143)가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에서 전후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기(1143)에 의해 두 개로 나뉜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들 중 하나의 부피는 증가하고, 하나의 부피는 감소할 수 있다.
이동기(1143)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143a)을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1143a)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이동기(1143)가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에서 이동할 때, 부피가 감소하는 공간의 공기가 관통홀(1143a)을 통해 부피가 넓어지는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부피가 넓어지는 공간 측으로 제어부재바디(1141)를 밀어낼 수 있다. 관통홀(1143a) 때문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좁아, 관통홀(1143a)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압이 증가할 수 있고, 제어부재바디(1141)를 밀어내는 힘이 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을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나누고, 작동부재(1130)의 로드(1131)를 전진시키는 경우, 제어부재바디(1141) 내에서 이동기(1143)가 전진할 수 있다. 이에, 이동기(1143)에 의해 전방 공간의 부피가 감소하면서 전방 공간의 공기가 압축된다. 따라서, 전방 공간의 공기가 이동기(1143)에 형성된 관통홀(1143a)을 통해 부피가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후방 공간으로 이동하여 출입구(1141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로드(1131)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공기가 제어부재바디(1141)를 후방으로 밀어내려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1131)가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것이 방해를 받아, 로드(1131)가 이동하는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개폐부재(1121)의 이동속도도 감소하여, 제1 통로부재(1113)의 내벽과 충돌하는 속도가 감소할 수 있고, 개폐부재(1121)와 제1 통로부재(1113) 내벽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로드(1131)가 후진하는 경우, 제어부재바디(1141) 내에서 전방 공간의 부피가 증가하고, 후방 공간의 부피는 감소하면서, 출입구(1141a)를 통해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전방으로 제어부재바디(1141)를 밀어내려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이동기(1143)의 직경과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 직경이 같을 수 있다. 이에, 이동기(1143)와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벽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이동기(1143)와 제어부재바디(1141) 사이에는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기(1143)와 제어부재바디(1141)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는 이동기(1143)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기(114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재바디(1141)는 이동기(1143)와 이동할 수 있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즉, 이동기(1143)가 연결기(1142)에 의해 전후진하는 정도보다, 제어부재바디(1141)가 연결기(1142)에 의해 이동하는 정도가 적을 수 있다. 예컨대, 후술될 탄성기 또는, 자성체들에 의해 제어부재바디(1141)와 이동기(1143)가 이동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재(1130)의 작동으로 연결기(1142)이 전진 또는 후진하면, 제어부재바디(1141)와 이동기(1143)가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 이동기(1143)가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재바디(1141)는 설치되는 위치가 고정되어, 이동기(1143)와 이동할 수 있는 정도가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재바디(1141)는 경로부재(1110) 벽체에 설치되는 별도의 지지부재(미도시)와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연결기(1142)이 이동하면, 제어부재바디(1141)는 이동하지 않고, 이동기(1143)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재바디(1141)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기(1143)가 제어부재바디(1141) 내에서 전후진할 수 있다.
조절기(1147)는 제어부재바디(1141)의 내부공간으로 출입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기(1147)는 제어부재바디(1141)에 형성된 출입구(1141a)에 설치될 수 있다. 조절기(1147)는 유입부재(1147a), 차폐부재(1147b), 및 조율부재(1147c)를 포함한다. 조절기(1147)는 관통부재(1147d)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입부재(1147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재(1147a)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유입부재(1147a)의 내부는 제어부재바디(1141)의 출입구(1141a)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부재(1147a)의 전단부는 개방되고, 측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1147a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개구(1147aa)로 유입된 공기가 제어부재바디(1141)로 공급되거나, 제어부재바디(114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개구(1147a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재(1147a)는 전단부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재바디(11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부재(1147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관통부재(1147d)는 유입부재(1147a)의 내부에 설치된다. 관통부재(1147d)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관통부재(1147d)는 제어부재바디(1141)의 외측에서 출입구(1141a)로 갈수록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부재(1147d)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부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관통부재(1147d)는 유입부재(1147a)의 전단과 개구(1147aa)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유입부재(1147a) 전단부에서 개구(1147aa)로 이동하는 공기 또는, 개구(1147aa)에서 유입부재(1147a)의 전단부로 이동하는 공기의 경로 형상이 관통부재(1147d)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관통부재(1147d)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차폐부재(1147b)는 유입부재(1147a) 내부에 설치된다. 차폐부재(1147b)는 유체의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차폐부재(1147b)는 유입부재(1147a)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관통부재(1147d)의 중공부를 개폐할 수 있다. 차폐부재(1147b)는 관통부재(1147d)의 중공부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차폐부재(1147b)가 관통부재(1147d)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1147b)가 전진하여 관통부재(1147d)에 삽입되면, 관통부재(1147d)가 막혀 공기가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차폐부재(1147b)가 후진하여 관통부재(1147d)가 개방되면, 공기가 유입부재(1147a)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차폐부재(1147b)와 관통부재(1147d) 사이의 간격에 따라 관통부재(1147d)의 중공부가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조율부재(1147c)는 차폐부재(1147b)가 경로(또는, 관통부재(1147d)의 중공부)를 개방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율부재(1147c)는 유입부재(1147a)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조율부재(1147c)의 후단부는 차폐부재(1147b)와 연결된다. 조율부재(1147c)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여지는 정도에 따라 유입부재(1147a)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가 조절된다. 이에, 조율부재(1147c)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관통부재(1147d)와 차폐부재(1147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동기(1143)가 출입구(1141a)에서 제어부재바디(1141)의 전단부를 측으로 이동하면, 전단부 측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이동기(1143)에 형성된 관통홀(1143a)을 통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의 공기가 출입구(1141a)와 조절기(114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동기(1143)가 제어부재바디(1141)의 전단부에서 출입구(1141a) 측으로 이동하면, 출입구(1141a) 측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이동기(1143)에 형성된 관통홀(1143a)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따라, 출입구(1141a)와 조절기(1147)를 통해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조율부재(1147c)는 대상물의 입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의 입도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조율부재(1147c)로 관통부재(1147d)와 차폐부재(1147b) 사이의 간격을 좁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하기 어려워져,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로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할 수 있고,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의 공기의 유속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입도가 큰 대상물이 공급되는 경우, 개폐부재(1121)의 이동속도를 조금만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대상물의 입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관통부재(1147d)와 차폐부재(1147b) 사이의 간격을 멀어지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로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고,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의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입도가 작은 대상물이 공급되는 경우, 개폐부재(1121)의 이동속도를 더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조율부재(1147c)의 구조 및 작동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재(1140)는 조절기(1147), 제어부재하우징(1144), 지지판(1145) 및 탄성기(114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재하우징(1144)은 연결기(1142)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재하우징(1144)은 내부공간을 가진다. 제어부재하우징(1144)의 후단부를 제어부재바디(1141)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제어부재하우징(1144)의 이동에 따라 제어부재바디(1141)가 제어부재하우징(1144)를 관통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재하우징(1144)가 제어부재바디(1141)보다 조절부재(112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재하우징(1144)은 연결기(1142)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플레이트(1144a),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에 구멍이 형성되는 프레임(1144b), 및 플레이트(1144a)와 프레임(1144b)을 결합해주는 볼트(1144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44b)의 구멍을 제어부재바디(1141)가 관통할 수 있다. 볼트(1144c)에 의해 플레이트(1144a)와 프레임(1144b)을 결합해주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재하우징(1144) 내부의 손상이 발생하면, 플레이트(1144a)와 프레임(1144b)을 분리하여 내부를 수리할 수 있다.
지지판(1145)은 제어부재하우징(1144) 내부에서 제어부재바디(1141)에 설치된다. 지지판(1145)은 제어부재바디(1141)의 전단부 외벽에 결합될 수 있고, 제어부재하우징(1144)의 내벽과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판(1145)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탄성기(1146)는 신장수축 가능한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기(1146)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기(1146)는 제어부재바디(114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기(1146)는 전단부가 지지판(1145)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제어부재하우징(1144)의 프레임(1144b)에 연결된다. 즉, 프레임(1144b)의 구멍이 구비된 부분에 형성된 턱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탄성기(1146)는 지지판(1145)과 프레임(1144b)의 후단부 사이에서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또한, 탄성기(1146)는 신장수축하면서 개폐부재(1121)와 제1 통로부재(1113)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탄성기(1146)는 제어부재바디(1141)를 지지해주어 제어부재바디(1141) 전체가 제어부재하우징(1144) 외부로 이동하거나 연결기(114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탄성기(1146)가 신장수축하면서 제어부재바디(1141)가 연결기(1142)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제어부재바디(1141)를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탄성기(1146)의 탄성력에 의해, 제어부재바디(1141)가 이동하는 정도가, 연결기(1142)이 이동하는 정도(또는, 이동기(1143)까 이동하는 정도)와 달리질 수 있다. 이에, 이동기(1143)가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동기(1143)의 이동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제어되면서, 제어부재(1140)가 조절부재(1120)의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제어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재(1140)가 제어부재하우징(1144), 지지판(1145), 제1 자력체(1148), 및 제2 자력체(114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재하우징(1144)은 연결기(1142)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재하우징(1144)은 내부공간을 가진다. 제어부재하우징(1144)의 후단부를 제어부재바디(1141)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제어부재하우징(1144)의 이동에 따라 제어부재바디(1141)가 제어부재하우징(1144)를 관통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재하우징(1144)가 제어부재바디(1141)보다 조절부재(112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재하우징(1144)은 연결기(1142)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플레이트(1144a),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에 구멍이 형성되는 프레임(1144b), 및 플레이트(1144a)와 프레임(1144b)을 결합해주는 볼트(1144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44b)의 구멍을 제어부재바디(1141)가 관통할 수 있다. 볼트(1144c)에 의해 플레이트(1144a)와 프레임(1144b)을 결합해주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재하우징(1144) 내부의 손상이 발생하면, 플레이트(1144a)와 프레임(1144b)을 분리하여 내부를 수리할 수 있다.
지지판(1145)은 제어부재하우징(1144) 내부에서 제어부재바디(1141)에 설치된다. 지지판(1145)은 제어부재바디(1141)의 전단부 외벽에 결합될 수 있고, 제어부재하우징(1144)의 내벽과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판(1145)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자력체(1148)는 지지판(1145)에 설치된다. 제1 자력체(1148)는 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자력체(1148)는 전자석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자기력을 가지거나 극성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제2 자력체(1149)는 제어부재하우징(1144)의 프레임(1144b)에 설치된다. 즉, 프레임(1144b) 후단부의 구멍이 구비되어 턱이 형성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자력체(1149)는 제1 자력체(1148)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력체(1149)는 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 자력체(1149)는 전자석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자기력을 가지거나 극성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력체(1148)와 제2 자력체(1149)가 마주보는 부분의 극성을 같게 할 수 있다. 이에, 제1 자력체(1148)와 제2 자력체(1149)가 서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력체(1148)와 제2 자력체(1149) 사이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개폐부재(1121)와 제1 통로부재(1113)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자력체(1148)와 제2 자력체(1149)가 마주보는 부분의 극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제1 자력체(1148)와 제2 자력체(1149) 사이에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자성체 간의 인력에 의해 제어부재바디(1141) 전체가 제어부재하우징(1144) 외부로 이동하거나 연결기(114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제1 자력체(1148)와 제2 자력체(1149)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제어부재바디(1141)가 연결기(1142)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력체(1148)와 제2 자력체(1149)가 서로 당기거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제어부재바디(1141)가 이동하는 정도가, 연결기(1142)이 이동하는 정도(또는, 이동기(1143)까 이동하는 정도)와 달리질 수 있다. 이에, 이동기(1143)가 제어부재바디(114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동기(1143)의 이동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제어되면서, 제어부재(1140)가 조절부재(1120)의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처럼, 공급부(1100)가 작동부재(1130)에 의해 조절부재(1120)가 이동하는 속도를 감소시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공급부(1100)가 작동하면서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즉, 조절부재(1120)와 경로부재(1110)의 충돌로 큰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1100)의 수명이 연장되고, 공급부(11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재(1140)는 통전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전체는 제1 자력체(1148) 및 제2 자력체(114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제1 자력체(1148) 및 제2 자력체(1149)는 자력을 띄게 될 수 있다.
지지부(1200)는 포대(B)를 유입시켜, 공급부(1100)의 하부에 포대(B)를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0)는 포대(B)를 지지부(1200)의 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0)는 지지부몸체(1210), 지지바(1220), 구동체(1230) 및 포대 공급기(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몸체(1210)는 경로부재(1110)에 결합되며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바(1220)는 한쌍의 지지부몸체(1210)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즉, 내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바(1220)는 그 하단부가 N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되는 구동체의 제2 자성체부재(1232)와 자기적 인력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지지바(1220)는 지지부몸체(1210)와 대향하는 일면의 하단부에 제2 기어이(1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이(1221)는 후술되는 구동체(12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이(1233)에 치합될 수 있다.
구동체(1230)는 한쌍의 지지부몸체(121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N극의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성체부재(1231)와 S극의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성체부재(123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성체부재(1231)와 제2 자성체부재(1232)가 길이방향을 동심으로 하여 나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영구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체(1230)는 포대(B)가 한쌍의 지지부몸체(1210) 사이에 배치될 경우, 제2 자성체부재(1232)가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자성체부재(1232)가 지지바(1220)에 인력을 발생시켜 지지바(1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자성체부재(1232)와 지지바(1220)가 접촉되며, 그 사이에 포대(B)를 파지할 수 있다. 이에, 포대(B)가 제2 자성체부재(1232)와 지지바(1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구동체(1230)는 그 중심축에 샤프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샤프트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구동체(1230)는 상술한 제1 기어이(1233)에 치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제1 기어이(123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이(1233)는 제2 자성체부재(123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자성체부재(1232)와 지지바(1220)가 접촉될 때, 제1 기어이(1233)와 제2 기어이(1221)가 서로 치합되며, 더 견고하게 포대(B)를 파지할 수 있다.
포대 공급기(1240)는 폭방향을 따라 포대(B)를 유입시켜, 포대(B)를 공급부(1100)의 제2 통로부재(1114)의 하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포대 공급기(12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유입되는 포대(B)를 90°회전시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포대 공급기(1240)는 한쌍의 암을 구비하며, 한쌍의 암이 포대(B)의 개구로 들어가 해당 포대(B)를 파지한 후, 포대(B)의 개구를 벌려 지지할 수 있다. 이후, 한쌍의 암이 90°회전시켜, 경로부재(1110)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상술한 구동체(1230)의 구동에 의해 지지바(1220)가 회전하며 포대(B)의 개구 내부로 삽입되어 제2 자성체부재(1232)와 함께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대 공급기(1240)는 매니퓰레이터로 마련될 수 있다.
밀봉부(1300)는 포대(B)로 대상물(F)이 공급된 후, 포대(B)의 개구를 밀동시킬 수 있다. 밀봉부(1300)는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쌍의 밀봉부재(13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밀봉부재(1310)는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서로 근접 접촉되거나, 혹은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밀봉부재(1310)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가열유닛(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한쌍의 밀봉부재(1310)가 그 사이에 포대(B)를 두고 서로 접촉될 수 있고, 가열유닛을 통해 포대(B)를 가열하여 포대(B)를 봉합시킬 수 있다. 이에, 포대(B)의 개구가 밀봉될 수 있다.
이처럼, 자기력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대상물을 더 신속하고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포대에 대상물을 공급하고 포장하는 과정을 단일 장소에서 수행하므로, 공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에,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을 복수의 포대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대상물 공급 작업이 중단되거나 지연되지 않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1100: 공급부
1200: 지지부 1300: 밀봉부
F: 대상물 B: 포대

Claims (3)

  1. 대상물을 그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는 포대를 폭방향을 따라 유입하며, 상기 포대를 파지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폭방향에 교차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포대를 밀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일부가 자성체를 포함하여 하나의 극성을 가지고, 다른 일부가 자성의 극성이 교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일부가 상기 다른 일부와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이격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공급부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
    상기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N극의 극성을 가지는 한쌍의 지지바;
    상기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의 하부에 상기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N극의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성체부재와 S극의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성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부재와 상기 제2 자성체부재가 상기 길이방향을 동심으로 하여 나열 배치되는 한쌍의 구동체; 및
    상기 포대를 상기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 사이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지지부제어부재바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대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포대의 개구를 벌려줄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포대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부재 및 제2 자성체부재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자성체부재와 상기 제2 자성체부재가 교번하여 복수회 나열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각각 제1 기어이를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지지바는, 상기 한쌍의 구동체와 마주보는 일면에 제2 기어이를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구동체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체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포대를 가압 가능한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밀봉부는 상기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공급부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대상물을 공급 가능하고,
    상기 공급부는,
    그 내부에 대상물의 이동경로가 형성되고, 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대상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경로부재;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 각각으로 공급되는 대상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로부재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작동부재; 및
    그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연결시키며, 상기 조절부재가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조절부재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내부공간 및 유체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제어부재바디;
    상기 제어부재바디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조절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며,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기; 및
    상기 제어부재바디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기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내부공간에서 유체를 압축할 수 있고,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이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유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조절부재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작동부재를 당기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는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KR1020220065999A 2022-05-30 2022-05-30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KR102442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999A KR102442397B1 (ko) 2022-05-30 2022-05-30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999A KR102442397B1 (ko) 2022-05-30 2022-05-30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397B1 true KR102442397B1 (ko) 2022-09-13

Family

ID=8328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999A KR102442397B1 (ko) 2022-05-30 2022-05-30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39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459B1 (ko) 2006-12-08 2007-03-16 이종열 사료포대 m자형 봉합장치
KR100944503B1 (ko) * 2009-04-22 2010-03-03 (주)원팩 포대 고정 및 이송 장치
KR20120119412A (ko) * 2011-04-21 2012-10-31 최태광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JP2016043952A (ja) * 2014-08-21 2016-04-04 株式会社アサヒパック 包装袋の加熱封着装置及び加熱封着方法
KR20180135310A (ko) * 2017-06-12 2018-12-20 최병국 차량용 합성수지폐기물 분쇄포장장치
KR20190134076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장치
CN209739497U (zh) * 2019-02-20 2019-12-06 泉州牡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饲料自动计量打包称
CN210555924U (zh) * 2019-09-23 2020-05-19 安徽珍珠水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泥上料装包装置
CN212710083U (zh) * 2020-06-29 2021-03-16 浙江宇宏新材料有限公司 一种膨润土定量包装设备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459B1 (ko) 2006-12-08 2007-03-16 이종열 사료포대 m자형 봉합장치
KR100944503B1 (ko) * 2009-04-22 2010-03-03 (주)원팩 포대 고정 및 이송 장치
KR20120119412A (ko) * 2011-04-21 2012-10-31 최태광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JP2016043952A (ja) * 2014-08-21 2016-04-04 株式会社アサヒパック 包装袋の加熱封着装置及び加熱封着方法
KR20180135310A (ko) * 2017-06-12 2018-12-20 최병국 차량용 합성수지폐기물 분쇄포장장치
KR20190134076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장치
CN209739497U (zh) * 2019-02-20 2019-12-06 泉州牡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饲料自动计量打包称
CN210555924U (zh) * 2019-09-23 2020-05-19 安徽珍珠水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泥上料装包装置
CN212710083U (zh) * 2020-06-29 2021-03-16 浙江宇宏新材料有限公司 一种膨润土定量包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62178U (zh) 一种万向调节自动堆垛装车机械手
CN106002212B (zh) 一种螺杆和螺母的自动装配机
CN102648061B (zh) 具有夹持驱动构件和联结件的材料进给装置
KR100754029B1 (ko) 로터리식 진공 자동 포장 시스템
CN105377508B (zh) 喷丸处理装置
CN101453976B (zh) 将产品供给包装机的装置和方法
CN103753200B (zh) 一种全自动锁螺丝生产系统
KR100688681B1 (ko) 조미 처리 시스템
CN104691795A (zh) 一种自动控制加料的包装机
CN204980360U (zh) 一种输液软袋自动理袋装盘机
KR102442397B1 (ko) 대상물 자동 포장 장치
WO2012060125A1 (ja) ショット処理装置
CN105431031A (zh) 电子线路板自动插件机
CN111971230A (zh) 用于填充带有各一个未封闭的上端部的袋子的填充设备和方法
KR102083541B1 (ko) 원료 공급장치
CN107054707A (zh) 一种粉末包装机械
CN104875909A (zh) 一种粉状乳化炸药的包装装置
CN101264800B (zh) 用于装填袋子的包装机和包装方法
CN208855930U (zh) 给袋式双包真空包装机
CN214933248U (zh) 一种车间用粉料袋输送装置
CN106273224B (zh) 一种水管弯头铜件检测、排列与送料系统及方法
CN206885474U (zh) 一种撑袋方便包装可靠的袋子包装机
CN107042909A (zh) 多功能加料器
JP6541246B2 (ja) バケットコンベヤ装置
CN203877022U (zh) 连接器自动加塞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