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013B1 -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013B1
KR102442013B1 KR1020210144111A KR20210144111A KR102442013B1 KR 102442013 B1 KR102442013 B1 KR 102442013B1 KR 1020210144111 A KR1020210144111 A KR 1020210144111A KR 20210144111 A KR20210144111 A KR 20210144111A KR 102442013 B1 KR102442013 B1 KR 10244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vehicle
protrusion
installation ho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박지원
김남율
정해운
김유환
이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2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locking elements expanding inside or under the vehicle floor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60N2/012The seat support be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the locking mechanism on the vehicle floor or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복수의 설치공을 구비하는 차실의 바닥부; 상기 설치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설치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차실에 위치 및 방향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vehicle and installing method of interior pars for vehicle}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트를 포함하여 차량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내장품은 통상 차량 내부공간에 고정형으로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내장품이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차량의 경우 내장품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교체하기가 용이하지 못했다.
내장품의 교체나 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차실의 공간활용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복수의 설치공을 구비하는 차실의 바닥부; 상기 설치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설치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차실에 위치 및 방향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품에는 복수의 상기 설치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설치돌기는 상기 설치공들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상기 내장품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들은 차량의 종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은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설치돌기와 설치공 사이에는 상기 설치공으로 상기 설치돌기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설치공에 삽입된 상기 설치돌기가 상기 설치공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 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설치돌기는 상기 내장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설치공에 대한 상기 설치돌기의 걸림은 상기 설치돌기의 회전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설치돌기는,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삽입구간; 상기 삽입구간이 상기 설치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간 상부로 위치하는 비삽입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비삽입구간에는 상기 설치돌기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 안내부는, 상기 설치돌기의 일측에 마련되는 걸림홈;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설치공 내부 일측의 바닥부에 상기 설치공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를 전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설치돌기가 상기 설치공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공으로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설치돌기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후진하도록 상기 걸림돌기의 전진방향 선단은 제1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설치돌기의 삽입방향 선단은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상기 설치공에 결합된 상기 설치돌기를 상기 설치공에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장품은 상기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전장부를 구비하는 전장형 내장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의 전류는 상기 잠금부에 의해 상기 설치돌기가 설치공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장부로 인가되고, 상기 전장부에 인가된 전류는 상기 잠금부에 의해 상기 설치공에 구속된 상기 설치돌기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내장품은 시트와 콘솔박스와 냉장고와 수납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은 차실에 내장품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실의 바닥부에 복수의 설치공을 차량의 종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하고; 상기 설치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설치공들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구비하는 복수의 설치돌기를 상기 내장품에 마련하고; 상기 설치돌기가 결합하는 설치공의 위치에 따라 상기 내장품의 위치 또는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에 의하면, 내장품의 교체나 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실 바닥부의 평면도로, 내장품들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실 바닥부에 시트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실 바닥부에 시트 및 냉장고와 수납장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실 바닥부의 설치공에 내장품의 설치돌기가 고정되어 잠금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설치공에 고정된 설치돌기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구동부와 차체의 분리가 방지되는 일반 차량은 물론, 구동 플랫폼(A)에 차체(B)가 탈부착 가능하게 탑재식으로 장착되는 차량(일명, 목적 기반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목적 기반 차량은 동일한 구동 플랫폼(A) 위에 목적에 맞는 차체(B)를 조립하여 차량의 활용도가 증대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이 목적기반형 차량으로 마련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구동 플랫폼(A)과, 구동 플랫폼(A)에 탈부착 가능하게 탑재식으로 장착되는 차체(B)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플랫폼(A)은 프레임(1)과, 프레임(1)의 전방과 후방으로 설치되는 전륜(2a) 및 후륜(2b)과, 전륜(2a) 및 후륜(2b)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와, 전륜(2a) 및 후륜(2b)의 제동을 위한 제동장치(4)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3)는 배터리(3b)와, 배터리(3b)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3a)와, 배터리(3b)의 충전을 위한 발전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b)는 프레임(1)에 장착될 수 있고, 모터(3a)는 전륜(2a) 사이나 후륜(2b) 사이를 연결하는 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3b)와 발전기는 차량의 전원을 형성할 수 있다.
차체(B)는 바닥부(5)와 바디(6)를 구비하고, 바닥부(5)와 바디(6)를 통해 구성되는 차실(7)에는 복수의 내장품(10)이 설치될 수 있다.
내장품(10)은 시트(11)와, 콘솔박스(12) 냉장고(13)와, 수납장(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내장품(10)은 차실(7)에 설치 가능한 다양한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차실(7)의 전방 쪽에는 핸들(8)이나 페달(미도시)과 같이 차량의 운행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들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차량은 운전자가 핸들(8)과,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 주행 모드로 주행이 가능한 자율주행 차량일 수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운전에 대한 운전자의 부담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생활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차실(7)의 활용도가 일반 차량에 비해 더 중요할 수 있다.
차실(7)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바닥부(5)에는 복수의 설치공(5a)이 마련되고, 복수의 내장품(10)은 설치공(5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설치돌기(20)를 구비한다.
내장품(10)은 설치돌기(20)가 결합하는 설치공(5a)의 위치에 따라 차실(7)에서의 위치나 방향이 달라짐에 따라 교체나 위치 변경이 용이하게 되고, 이것은 차실(7)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는게 기여하게 된다. 설치돌기(20)는 내장품(10)의 바닥 쪽에 저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장품(10)에는 복수의 설치돌기(20)가 마련되고, 내장품(10)의 위치나 방향 전환을 고려하여 복수의 설치돌기(20)는 설치공(5a)들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내장품(10)에 마련될 수 있다.
설치공(5a)들은 차량의 종방향과 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내장품(10)에 마련되는 설치돌기(20)들 사이의 간격은 설치공(5a)들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는 차실(7)에 위치하는 내장품(10)들의 위치와 방향을 전환시킨 예들이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1)는 일부는 차실(7) 전방을 향하고, 다른 일부는 차실(7) 후방이나 측방을 향할 수 있게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방의 시트(11) 사이에는 콘솔박스(12)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도 4의 상태에서는 전방 쪽 시트(11)를 보다 더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후방의 시트(11)와 콘솔박스(12)를 분리한 상태에서 그 자리에 냉장고(13)와 수납장(14)을 설치하면, 도 5와 같이 차실(7)의 용도는 이전과 한결 더 달라질 수 있다.
물론, 내장품(10) 이외의 다른 물품을 차실(7)에 많이 실어야 하는 경우, 운전석을 형성하는 시트(11)를 제외한 나머지 내장품(10)들은 모두 차실(7)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장품(10)은 설치돌기(20)가 결합하는 설치공(5a)의 위치에 따라 그 위치와 방향이 전환되도록 차실(7)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5a)은 커버(5b)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내장품(10)의 설치돌기(20)가 결합되지 않는 설치공(5a)은 커버(5b)를 통해 폐쇄됨에 따라 그 내측으로 이물이 유입될 우려가 없게 된다. 커버(5b)는 설치공(5a) 일측의 바닥부(5)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설치돌기(20)와 설치공(5a) 사이에는 잠금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잠금부(30)는 설치공(5a)에 삽입된 설치돌기(20)를 설치공(5a)에 걸리도록 구속함으로써, 내장품(10)이 바닥부(5)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부(30)는 설치공(5a)으로 설치돌기(20)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부(30)는 설치돌기(20)의 일측에 마련되는 걸림홈(31)과, 걸림홈(31)에 걸리도록 설치공(5a) 내부 일측의 바닥부(5)에 설치공(5a)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돌기(32)와, 걸림돌기(32)를 전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홈(31)은 설치돌기(2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측면에 마련되고, 걸림홈(31)의 위치에 대응하는 설치공(5a) 내부 일측의 바닥부(5)에는 설치공(5a)과 통하도록 수용홈(5c)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32)는 수용홈(5c)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탄성부재(33)는 걸림돌기(32) 안쪽의 수용홈(5c)에 설치되는 스프링(33a)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32)는 설치돌기(20)가 설치공(5a)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설치공(5a)으로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고, 설치공(5a)으로 삽입되는 설치돌기(20)에 의해 걸림돌기(32)가 후진하도록 걸림돌기(32)의 전진방향 선단에는 제1경사면(32a)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32)의 후진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설치돌기(20)는 설치공(5a)으로 삽입되는 삽입방향의 선단에 제1경사면(32a)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2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공(5a)으로 전진되어 있는 걸림돌기(32)는 경사면(32a,21) 사이의 접촉에 의해 후진하면서 설치돌기(20)가 설치공(5a)에 온전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걸림돌기(32)는 설치돌기(20)가 설치공(5a)에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설치공(5a) 내측으로 전진하여 걸림홈(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는 걸림돌기(32)가 걸림홈(31)에 걸리도록 삽입됨에 따라 설치돌기(20)는 설치공(5a)으로부터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설치돌기(20)는 내장품(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걸림홈(31)과 걸림돌기(32)의 걸림은 설치돌기(20)를 회전시킴에 따라 해제될 수 있다.
설치돌기(20)는 설치공(5a)에 삽입되는 저부의 삽입구간(20a)과, 삽입구간(20a)이 설치공(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구간(20a) 상부로 위치하는 비삽입구간(20b)을 구비하고, 비삽입구간(20b)에는 설치돌기(20)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 손잡이(22)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내장품(10)은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전장부(10a)를 구비하는 전장형 내장품(10A)과,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전장형 내장품(10B)을 포함할 수 있다. 콘솔박스(12)와 수납장(14)은 비전장형 내장품(10B)에 속할 수 있다.
시트(11)는 열선히터(11a) 등의 전장부(10a)를 구비하고, 냉장고(13)는 도시되지 않은 냉각기와 송풍기 등의 전장부(10a)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11)와 냉장고(13) 등은 전장형 내장품(10A)에 속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장형 내장품(10A)의 사용 편리성을 위해 전원의 전류는 전장형 내장품(10A)의 설치돌기(20)가 잠금부(30)에 의해 설치공(5a)에 구속된 상태에서 전장부(10a)로 인가되고, 전장부(10a)에 인가된 전류는 잠금부(30)에 의해 설치공(5a)에 구속된 설치돌기(20)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차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돌기(20)에는 제1전극(41)이 마련되고, 걸림홈(31)에는 제1전극(41)과 접속하도록 제2전극(4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전극(41)은 전원에 연결되고, 제2전극(42)은 전장부(1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전극(41)과 제2전극(42)은 각각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를 통해 전원과 전장부(10a)에 각각 접속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전극(41)은 걸림돌기(32)의 선단에 마련되고, 제1경사면(32a)은 제1전극(41)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전극(42)은 걸림돌기(32)가 걸림홈(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전극(41)과 접하도록 걸림홈(3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장형 내장품(10A)을 바닥부(5)에 설치하기 위해 그 설치돌기(20)를 설치공(5a)에 결합하면, 잠금부(30)의 걸림돌기(32)가 걸림홈(31)에 걸리도록 삽입되면서 설치돌기(20)는 설치공(5a)에 구속되고, 이 상태에서는 제1전극(41)이 제2전극(42)에 접속되면서 전원의 전류가 전장부(10a)로 인가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설치공(5a)에 구속된 설치돌기(20)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설치돌기(20)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32)가 걸림홈(3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서 제1전극(41)과 제2전극(42)의 접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전장형 내장품(10A)을 바닥부(5)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전장부(10a)로 인가되던 전원의 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5: 바닥부 5a: 설치공
7: 차실 10: 내장품
10A: 전장형 내장품 10B: 비전장형 내장품
11: 시트 12: 콘솔박스
13: 냉장고 14: 수납장
20: 설치돌기 21: 제2경사면
22: 손잡이 30: 잠금부
31: 걸림홈 32: 걸림돌기
33: 탄성부재 41: 제1전극
42: 제2전극

Claims (13)

  1. 복수의 설치공을 구비하는 차실의 바닥부;
    상기 설치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설치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차실에 위치 및 방향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품;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돌기와 설치공 사이에는 상기 설치공으로 상기 설치돌기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설치공에 삽입된 상기 설치돌기가 상기 설치공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 안내부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 안내부는,
    상기 설치돌기의 일측에 마련되는 걸림홈;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설치공 내부 일측의 바닥부에 상기 설치공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를 전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품에는 복수의 상기 설치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설치돌기는 상기 설치공들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상기 내장품에 마련되는 차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들은 차량의 종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차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차량.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돌기는 상기 내장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설치공에 대한 상기 설치돌기의 걸림은 상기 설치돌기의 회전에 의해 해제되는 차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돌기는,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삽입구간;
    상기 삽입구간이 상기 설치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간 상부로 위치하는 비삽입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비삽입구간에는 상기 설치돌기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 손잡이가 마련되는 차량.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설치돌기가 상기 설치공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공으로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설치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설치돌기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후진하도록 상기 걸림돌기의 전진방향 선단은 제1경사면을 구비하는 차량.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돌기의 삽입방향 선단은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는 차량.
  11. 복수의 설치공을 구비하는 차실의 바닥부;
    상기 설치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설치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차실에 위치 및 방향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품;
    전원;
    상기 설치공에 결합된 상기 설치돌기를 상기 설치공에 구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품은 상기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전장부를 구비하는 전장형 내장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의 전류는 상기 잠금부에 의해 상기 설치돌기가 설치공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장부로 인가되고,
    상기 전장부에 인가된 전류는 상기 잠금부에 의해 상기 설치공에 구속된 상기 설치돌기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차단되는 차량.
  12. 복수의 설치공을 구비하는 차실의 바닥부;
    상기 설치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설치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차실에 위치 및 방향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내장품;을 포함하고,
    상기 내장품은 시트와 콘솔박스와 냉장고와 수납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3. 제1항 내지 제4항과, 제6항 내지 제7항과,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실의 바닥부에 복수의 상기 설치공을 차량의 종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하고;
    상기 설치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설치공들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구비하는 복수의 상기 설치돌기를 상기 내장품에 마련하고;
    상기 설치돌기가 결합하는 설치공의 위치에 따라 상기 내장품의 위치 또는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
KR1020210144111A 2021-10-27 2021-10-27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 KR10244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111A KR102442013B1 (ko) 2021-10-27 2021-10-27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111A KR102442013B1 (ko) 2021-10-27 2021-10-27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013B1 true KR102442013B1 (ko) 2022-09-13

Family

ID=8328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111A KR102442013B1 (ko) 2021-10-27 2021-10-27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0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143U (ko) * 1996-08-24 1998-05-25 양재신 차량용 시트의 착탈구조
US6027170A (en) * 1999-02-19 2000-02-22 Paccar Inc Rotating vehicle seat
KR200188340Y1 (ko) * 2000-01-26 2000-07-15 남중우 착탈식 보조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JP2003072433A (ja) * 2001-08-31 2003-03-12 T S Tec Kk 着脱式車両用シートの構造
KR102110509B1 (ko) * 2019-01-02 2020-05-27 주식회사 용산 자성체 홀딩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베이비 시트 착탈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143U (ko) * 1996-08-24 1998-05-25 양재신 차량용 시트의 착탈구조
US6027170A (en) * 1999-02-19 2000-02-22 Paccar Inc Rotating vehicle seat
KR200188340Y1 (ko) * 2000-01-26 2000-07-15 남중우 착탈식 보조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JP2003072433A (ja) * 2001-08-31 2003-03-12 T S Tec Kk 着脱式車両用シートの構造
KR102110509B1 (ko) * 2019-01-02 2020-05-27 주식회사 용산 자성체 홀딩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베이비 시트 착탈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9100B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apparatus unit
US20060231303A1 (en) Child's riding vehicle
JP3990519B2 (ja) ファンユニット
CN107206880B (zh) 自主行驶装置
EP2431134B1 (de)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mit einem elektrischen Antriebsmotor
WO2012111390A1 (ja) Dinレール取付型機器
JP6727861B2 (ja) 乗用電動草刈機
DE102015000142B4 (de) Batteriepack mit Temperaturerfassungsvorrichtung
KR10182739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JP2010148299A (ja) 充電口装置
EP1663722B1 (en) Battery retainer assembly for children's ride-on vehicles
KR102442013B1 (ko) 차량 및 차량의 내장품 설치방법
US20030236008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4126961B2 (ja) 電源装置搭載構造
JP7068369B2 (ja) 車両用収納構造
EP0923280A1 (en) Controller with servo amplifier incorporated in cabinet
JP4299112B2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装置
JP4354462B2 (ja) ファン組立体およびこの組立体を備える装置
EP3772394B1 (en) Battery pack
JP3954048B2 (ja) 車両用収納部構造
JP7046453B2 (ja) 作業車
JP5929696B2 (ja) 車両の後部構造
JP2010047116A (ja) 車両用ボードのヒンジ構造
JP6748522B2 (ja) センターコンソール構造
JP2006232190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