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951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951B1
KR102441951B1 KR1020150135297A KR20150135297A KR102441951B1 KR 102441951 B1 KR102441951 B1 KR 102441951B1 KR 1020150135297 A KR1020150135297 A KR 1020150135297A KR 20150135297 A KR20150135297 A KR 20150135297A KR 102441951 B1 KR102441951 B1 KR 10244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ens
lens barrel
recessed groove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302A (ko
Inventor
안명진
이철호
최종철
황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951B1/ko
Priority to EP16848993.8A priority patent/EP3355113B1/en
Priority to EP20183159.1A priority patent/EP3748430B1/en
Priority to US15/762,967 priority patent/US10477085B2/en
Priority to PCT/KR2016/010660 priority patent/WO2017052268A2/ko
Priority to CN201680068290.0A priority patent/CN108292082B/zh
Publication of KR2017003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302A/ko
Priority to US16/596,178 priority patent/US11050910B2/en
Priority to US17/328,747 priority patent/US113631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결합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하면이 상기 렌즈홀더의 상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홀더와 접착되는 제1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면이 상기 렌즈배럴의 하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배럴과 접착되는 제2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착부에는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도포되는 제1함몰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렌즈배럴을 렌즈홀더와 결합하는 공정에서 접착제 등이 흘러넘쳐 카메라 모듈 내부의 부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은 CCTV, 자동차 장착용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최근 CCTV는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원거리에서도 CCTV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CTV로 촬영되는 영상의 화질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주차할 경우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자동차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경위, 사고원인 등을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상황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인식장치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이른바 스마트카, 즉 자동차의 주행시 전후방의 충돌가능성을 미리 탐지하여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충돌경고시스템, 자동차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주행하는 자동차 간 충돌을 운전자에 운전에 의하지 않고 상기 제어장치가 직접 회피할 수 있는 충돌회피시스템 등이 장착되는 자동차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고 관련기술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카의 외부상황 인식수단으로 카메라 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의 생산과 기술개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배럴이 렌즈홀더와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을 렌즈홀더와 결합하는 공정에서 접착제 등이 흘러넘쳐 카메라 모듈 내부의 부품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렌즈배럴을 렌즈홀더와 결합하는 공정에서 접착제 등이 흘러넘쳐 카메라 모듈 내부의 부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결합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하면이 상기 렌즈홀더의 상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홀더와 접착되는 제1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면이 상기 렌즈배럴의 하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배럴과 접착되는 제2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착부에는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도포되는 제1함몰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는, 제1방향으로 보아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함몰홈은 상기 제2접착부의 원주방향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함몰홈의 폭은 상기 제1함몰홈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함몰홈의 깊이는 상기 제1함몰홈의 폭의 절반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는, 상기 제1함몰홈 외측에 존재하는 외측면 높이가 상기 제1함몰홈 내측에 존재하는 내측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측면에는 제1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함몰홈과 이격되며 제1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는, 제1방향으로 보아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내측부위에는 제1방향으로 보아 링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함몰부는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접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접착부의 폭의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결합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하면이 상기 렌즈홀더의 상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홀더와 접착되는 제1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면이 상기 렌즈배럴의 하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배럴과 접착되는 제2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착부 상에서 제 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를 통해 접착제가 상기 렌즈홀더 및 수용부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각종 소자, 이미지센서의 오염을 방지하여 오염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접착부는 상기 외측면의 높이가 상기 내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접착제는 상기 제2접착부의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으로 유동하므로, 접착제가 상기 제2접착부의 내주면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배럴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에서는 렌즈배럴과 렌즈홀더를 서로 부착시키는 접착제가 개재되어 경화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배럴(100), 렌즈홀더(200) 및 수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10)가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렌즈(10)를 상기 렌즈홀더(2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100)은 상기 렌즈홀더(200)에 형성되는 통공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홀더(200) 통공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는 렌즈홀더(200)의 암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상기 렌즈배럴(100)을 렌즈홀더(20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 등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렌즈배럴(100)과 렌즈홀더(200)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접착제(20, 도 5 참조)를 사용하여 상기 렌즈배럴(100)과 렌즈홀더(200)를 서로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렌즈배럴(100)에 구비되는 렌즈(10)는,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축방향 즉, 제1방향으로 정렬되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렌즈홀더(200)는 상기 렌즈배럴(100)이 결합하는 부위이고, 상기 렌즈배럴(1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배럴(100)과 렌즈홀더(200)는 나사결합방식, 접착방식 등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고, 또한 나사결합방식과 접착방식을 동시에 사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수용부(400)는 상기 렌즈홀더(200)와 결합하고,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 각종소자, 피사체의 이미지가 결상되는 이미지센서(미도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렌즈홀더(200)와 수용부(400)는 사출성형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별개로 제작되어 접착, 융착, 체결구에 의한 결합 등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100)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렌즈배럴(100)은 제1접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110)는 하면이 상기 렌즈홀더(200)의 상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홀더(200)와 접착되는 부위를 지칭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착부(1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렌즈배럴(100)의 하부 중 접착제(20)가 도포되는 부위와 그 인접한 부위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제1접착부(110)는 제1방향으로 보아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함몰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링형상 및 후술되는 링형상은, 단일폐곡선으로 완전히 연결되어 있는 링형상 뿐만아니라 부분적으로 끊어져 있어도 링형상을 유추할 수 있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끊어져 있는 부분들이 일정하거나 경향성 있는 굴곡, 곡률 등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이 유추될 수 있으면 상기한 링형상 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제2함몰부(111)는 상기 제1접착부(110)의 내측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제1방향으로 보아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접착부(110)는 상기 제2함몰부(111) 및 그 외측부위를 포함하는 부위를 지칭한다.
상기 제2함몰부(111)는 렌즈배럴(100)과 제1접착부(110) 제작과정에서 과도한 변형, 파손 등으로 인한 불량발생을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함몰부(111)는 상기 렌즈배럴(100)과 상기 렌즈홀더(200)가 접착제(20)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렌즈홀더(200)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214)가 상기 렌즈배럴(100)의 간섭을 받지 않고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함몰부(111)는 사출성형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공툴에 의해 상기 제1접착부(110)의 내측부위를 절삭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렌즈배럴(100)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가공툴을 사용하여 절삭하여 형성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배럴(100)의 하부에 필터(미도시)가 결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렌즈배럴(100)의 하측에 제1방향으로 상기 렌즈(10)와 이격되며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렌즈(10)를 통과하는 광에서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상기 필터의 하측에 제1방향으로 상기 필터와 이격되며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미도시)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필터는 적외선 차단필터일 수 있다.
즉, 렌즈(10)로 입사하는 광은 렌즈(10) 및 필터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의 상면에 도달하고, 이미지센서의 상면에는 입사하는 광이 포함하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결상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배럴(100)에 결합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렌즈배럴(100)의 하측에 제1방향으로 상기 렌즈배럴(100)과 이격되며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배럴(10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렌즈홀더(200)는 제2접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210)는 상면이 상기 렌즈배럴(100)의 하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배럴(100)과 접착되는 부위를 지칭한다.
즉, 상기 제2접착부(2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렌즈홀더(200)의 상면 중 접착제(20)가 도포되는 부위와 그 인접한 부위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제2접착부(210)는 제1방향으로 보아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착부(210)는 제1함몰홈(211), 외측면(212), 내측면(213), 제1돌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착부(2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까지의 거리를 상기 제2접착부(210)의 폭(L)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함몰홈(211)은 상기 외측면(212)과 내측면(213)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접착부(210)의 원주방향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20)의 적어도 일부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홈(211)은 접착제(20)가 제2접착부(21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215)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접착부(210)의 접착면적을 증가시켜 접착제(20)에 의한 렌즈배럴(100)과 렌즈홀더(200)의 결합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외측면(212)은 상기 제1함몰홈(211) 외측에 존재하는 상기 제2접착부(210)의 상면을 의미하고, 내측면(213)은 상기 제1함몰홈(211) 내측에 존재하는 상기 제2접착부(210)의 상면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내측면(213)과 외측면(212)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제(20)가 도포되어 상기 제1접착부(110)의 하면과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제(20)가 제2접착부(21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215)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20)는 상기 제2접착부(210)의 상기 외주면 및 내주면(215)의 일부에만 도포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돌출부(214)는 상기 내측면(213)에서 제1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함몰홈(211)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214)는 상기 제2접착부(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4)는 제1접착부(110) 및 제2접착부(210)에 도포되는 접착제(20)가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착제(20)가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 흘러넘치는 경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20)가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 흘러넘쳐 렌즈홀더(200)의 중공을 통해 수용부(400)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수용부(400)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각종 소자 등이 오염되어 성능저하, 작동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착제(20)가 수용부(400)에 수용되는 이미지센서를 오염시키는 경우, 이미지센서의 오작동, 파손 등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심각한 화질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214)를 통해 접착제(20)가 상기 렌즈홀더(200) 및 수용부(400)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용부(400)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각종 소자, 이미지센서의 오염을 방지하여 오염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214)는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과 렌즈홀더(200)를 결합하는 경우 액티브 얼라인먼트(active alignment) 공정 즉, 동적정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먼트 공정에서는 렌즈홀더(200)에 대해 렌즈배럴(100)을 x축, y축 및 z축으로 3차원적으로 움직여 상기 렌즈배럴(100)을 조립위치에 정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렌즈배럴(100)은 렌즈홀더(200)에 대해 제1방향 및/또는 제2방향 즉 x-y평면 상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 얼라인먼트 공정 중 렌즈배럴(100)이 x-y평면 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돌출부(214)가 상기 렌즈배럴(1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돌출부(214)는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부터 상기 제2접착부(210)의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에서는 렌즈배럴(100)과 렌즈홀더(200)를 서로 부착시키는 접착제(20)가 개재되어 경화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접착제(20)는 에폭시(epoxy), 열경화성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20)는 경화된 경우, 제1접착부(110)의 하면의 일부, 제2접착부(210)의 외측면(212) 일부, 제1함몰홈(211) 및 내측면(213) 일부에 존재하도록 도포위치 및 도포량을 조절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만, 접착제(20)의 도포위치가 잘못되거나, 도포량이 과도한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특히 접착제(20)가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지방법의 하나로 상기 제1돌출부(214)를 형성하는 것을 상기에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추가적인 방지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착부(210)는 상기 외측면(212)의 높이가 상기 내측면(21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접착제(20)의 도포위치가 잘못되거나 도포량이 과도한 경우에도 접착제(20)가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접착제(20)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제2접착부(210)의 상기 내측면(213)으로부터 상기 외측면(212)으로 유동하므로 접착제(20)의 도포위치가 잘못되거나 도포량이 과도한 경우에도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 흘러넘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접착부(210)는 상기 외측면(212)의 높이가 상기 내측면(21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접착제(20)는 상기 제2접착부(210)의 상기 내측면(213)으로부터 상기 외측면(212)으로 유동하므로, 접착제(20)가 상기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부는 도 5에서는 단면이 곡선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함몰부는 제2접착부(210)의 폭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함몰홈(211)의 폭은 에폭시를 주입하기위한 니들(needle) 두께의 80%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함몰부(111)는 상기 렌즈배럴(100)과 상기 렌즈홀더(200)가 접착제(20)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렌즈홀더(200)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214)가 상기 렌즈배럴(100)의 간섭을 받지 않고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함몰부(111)가 상기 제1돌출부(214)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14)와 상기 제2함몰부(111)는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제1돌출부(214)가 접착제(20)가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돌출부(214)의 배치위치가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제1돌출부(214)는 상기 내측면(213)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2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면(213) 중 상기 제2접착부(210)의 폭(L)의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제1돌출부(214)의 높이는 이미지센서의 상면과 렌즈(10)의 상단까지의 거리와 관련될 수 있다. 즉, 경화된 접착제(20)의 제1방향 폭은, 상기 제1돌출부(214)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20)의 제1방향 폭의 두께가 커지면 커질수록 접착제(20)가 제2접착부(210)의 내주면(215)으로 흘러넘칠 가능성이 커지지만, 제1돌출부(214)로 인해 내주면(215)으로의 흘러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
접착제(20)의 제1방향 폭이 커질 경우, 렌즈(10) 초점거리가 설계값과 달라져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20)의 제1방향 최대폭인 제1돌출부(214)의 높이는, 이미지센서의 상면과 렌즈(10)의 상단까지의 거리에서 허용되는 공차보다 작은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어, 이미지센서의 상면과 렌즈(10)의 상단까지의 거리에서 허용되는 공차가 약 300μm인 경우, 상기 제1돌출부(214)의 높이는 100μm 내지 240μm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1함몰홈(211)의 폭(w)과 상기 제1함몰홈(211)의 깊이(d)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접착제(20)가 도포되는 단면적을 넓히고, 상기 제1함몰홈(211)에 도포되는 접착제(20)가 높은 결합강도를 가지기 위해, 상기 제1함몰홈(211)의 폭(w)은 상기 제1함몰홈(211)의 깊이(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함몰홈(211)의 단면이 곡선형인 경우, 상기 제1함몰홈(211)의 깊이(d) 즉, 상기 제1함몰홈(211)의 제1방향 길이를 측정하는 경우 가장 긴 길이는 상기 제1함몰홈(211)의 폭(w)의 대략 절반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지금까지 언급된 상기 제2접착부(210)의 일부분에는 추가적으로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제1함몰홈(211)의 개수, 단면형상, 접착제(20) 재질과 경화시 결합강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함몰홈(211)의 폭(w)과 깊이(d)의 비율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렌즈
20: 접착제
100: 렌즈배럴
110: 제1접착부
111: 제2함몰부
200: 렌즈홀더
210: 제2접착부
211: 제1함몰홈
212: 외측면
213: 내측면
214: 제1돌출부
215: 제2접착부의 내주면
300: 필터
400: 수용부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결합하는 렌즈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하면이 상기 렌즈홀더의 상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홀더와 접착되는 제1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더는 상면이 상기 렌즈배럴의 하면과 대향되고 상기 렌즈배럴과 접착되는 제2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착부에는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가 도포되는 제1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착부에는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인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상기 제1함몰홈과 이격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접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보아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함몰홈은 상기 제2접착부의 원주방향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몰홈의 폭은 상기 제1함몰홈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몰홈의 깊이는 상기 제1함몰홈의 폭의 절반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는,
    상기 제1함몰홈 외측에 존재하는 외측면 높이가 상기 제1함몰홈 내측에 존재하는 내측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보아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내측부위에는 상기 제1방향으로 보아 링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함몰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함몰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접착부의 폭의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삭제
KR1020150135297A 2015-09-24 2015-09-24 카메라 모듈 KR10244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97A KR102441951B1 (ko) 2015-09-24 2015-09-24 카메라 모듈
EP16848993.8A EP3355113B1 (en) 2015-09-24 2016-09-23 Camera module
EP20183159.1A EP3748430B1 (en) 2015-09-24 2016-09-23 Camera module
US15/762,967 US10477085B2 (en) 2015-09-24 2016-09-23 Camera module
PCT/KR2016/010660 WO2017052268A2 (ko) 2015-09-24 2016-09-23 카메라 모듈
CN201680068290.0A CN108292082B (zh) 2015-09-24 2016-09-23 摄像机模块
US16/596,178 US11050910B2 (en) 2015-09-24 2019-10-08 Camera module
US17/328,747 US11363178B2 (en) 2015-09-24 2021-05-24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97A KR102441951B1 (ko) 2015-09-24 2015-09-2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02A KR20170036302A (ko) 2017-04-03
KR102441951B1 true KR102441951B1 (ko) 2022-09-07

Family

ID=5858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297A KR102441951B1 (ko) 2015-09-24 2015-09-2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9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6393A (ja) * 2005-07-22 2007-02-08 Smk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01737A (ja) * 2005-09-30 2007-04-19 Seiko Precision Inc 撮像装置
US20150156381A1 (en) * 2012-07-31 2015-06-04 Sony Corporation Lens mounting mechanism, lens mounting method, and image pickup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72B1 (ko) * 2006-10-27 2008-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6393A (ja) * 2005-07-22 2007-02-08 Smk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01737A (ja) * 2005-09-30 2007-04-19 Seiko Precision Inc 撮像装置
US20150156381A1 (en) * 2012-07-31 2015-06-04 Sony Corporation Lens mounting mechanism, lens mounting method, and image picku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02A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0910B2 (en) Camera module
US10911655B2 (en) Camera module
KR102372339B1 (ko) 카메라 모듈
DE102018204206A1 (de) Kameramodul
KR102441951B1 (ko) 카메라 모듈
KR102338395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368884B1 (ko) 카메라 모듈
EP3678360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obile body, and production method
KR102340274B1 (ko)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KR102545725B1 (ko) 카메라 모듈
KR102391892B1 (ko) 카메라 모듈
KR102545724B1 (ko) 카메라 모듈
KR101943449B1 (ko) 카메라 모듈
KR102388234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