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274B1 -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274B1
KR102340274B1 KR1020150057709A KR20150057709A KR102340274B1 KR 102340274 B1 KR102340274 B1 KR 102340274B1 KR 1020150057709 A KR1020150057709 A KR 1020150057709A KR 20150057709 A KR20150057709 A KR 20150057709A KR 102340274 B1 KR102340274 B1 KR 102340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stereo camera
sensor holder
lens barrel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539A (ko
Inventor
이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27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복수로 구비되는 렌즈배럴;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렌즈배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하측에 상기 필터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 및 상면에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렌즈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는 센서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베이스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Stereo camera module}
실시예는 거리 오감지를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스테레오 카메라는 마치 인간의 좌우 양안의 특성을 모방한 카메라이다. 즉, 인간은 서로 이격된 좌우 양안을 가지고 있고, 상기 양안이 각각 바라보는 시선을 달라지고, 따라서 상기 양안이 인식하는 각각의 2차원 영상은 서로 차이가 나게 된다.
인간의 양안은 서로다른 2차원 영상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이로부터 인간은 육안으로 바라보는 물체의 원근감을 느끼고, 그 물체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되며, 그 물체의 거리에 대한 감각을 가질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도 이러한 인간의 좌우 양안의 작용을 모방하여 피사체의 원근감을 인식하고,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비교적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의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현재 활발하게 개발중인 스마트 카(smart car), ADAS(Advanced Drive Assistance System) 및 자율주행 차량 등에 장착되어 차량 주위의 물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테레오 카메라와 관련된 내용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9761(공개일: 2008년 1월 29일)를 참조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우 양안의 시선의 차이로 인해 거리를 감지하므로, 좌우 양안의 시선이 원래 설계된 상태에서 이탈할 경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잘못 감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차량 운행중에 이러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거리 오감지는 교통사고를 일으켜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스테레오 카메라의 거리 오감지를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거리 오감지를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복수로 구비되는 렌즈배럴;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렌즈배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하측에 상기 필터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 및 상면에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렌즈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는 센서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베이스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렌즈배럴의 하부에 상기 렌즈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렌즈배럴의 하부에 상기 렌즈배럴의 직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필터가 고정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렌즈배럴이 배치되는 부위에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는, 상기 제2돌출부에 결합기구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는, 상기 제2돌출부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는, 상기 렌즈배럴의 광축방향과 수직한 평면상에서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이미지센서의 촛점거리 조절을 위한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돌출부 하면 및 상기 센서홀더 상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센서홀더는 상기 제2돌출부에 결합기구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로 구비되는 렌즈배럴과,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가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렌즈배럴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하측에 상기 필터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센서; 및 상면에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렌즈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는 센서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이미지센서의 촛점거리 조절을 위한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는, 상기 렌즈배럴의 광축방향과 수직한 평면상에서 틸트(tilt)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렌즈배럴과 베이스가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이 카메라 모듈에 구비됨으로 인해, 렌즈배럴과 베이스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입체인식기능, 거리계산기능 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렌즈배럴과 베이스가 일체화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물체의 거리감지 오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ADAS, 자율주행 차량 등에서 거리감지 오류를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여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 물적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프레임(1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필터(30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의 양안과 같이 2개의 렌즈배럴(100)과 이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2개의 이미지센서(400)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이다. 따라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인간의 양안처럼 촬영되는 물체를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2개의 렌즈배럴(100)이 물체를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로 상기 물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서로 이격되어 존재하는 2개의 렌즈배럴(100) 즉,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양안이 바라보는 시선은 달라지고, 따라서 상기 양안이 인식하는 각각의 2차원 영상은 서로 차이가 나게 된다.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이러한 2차원 영상의 차이를 인식하여,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에서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 카에 있어서 차량 전방의 물체 즉, 다른 차량, 보행자 등으로부터 차량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교통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조치를 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프레임(10), 렌즈배럴(100), 베이스(200) 및 필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렌즈(110)와 필터(3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렌즈배럴(100)과 베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복수 즉, 예를 들어 2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렌즈배럴(100)은 인간의 양안처럼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렌즈(110) 및 제1돌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1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배럴(100)에 결합되는 렌즈(110)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110)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렌즈(110)를 통해 입사하는 광은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물체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광은 상기 렌즈(110) 및 렌즈배럴(100)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400)에 결상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광축방향 즉, 제1방향으로 보았을 경우 렌즈(11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렌즈(110)가 장착되는 렌즈배럴(100)의 내측에는 상기 렌즈(110)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원형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120)는 상기 렌즈배럴(100)의 하부에 상기 렌즈배럴(100)의 직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필터(300)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120)는 필터(300)가 상기 렌즈(110)와 이격되고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배럴(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돌출부(120)에 필터(300)가 본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예를 들어, 필터(300)의 하면이 제1돌출부(120) 상면에 고정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 필터(300)의 상면이 제1돌출부(120)의 하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베이스(200)에는 상기 2개의 렌즈배럴(100)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100)과 상기 베이스(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렌즈배럴(100)과 베이스(200)가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프레임(10)이 된다.
베이스(200)와 렌즈배럴(100)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베이스(200)와 렌즈배럴(100)이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서로 나사결합방식, 억지끼워맞춤, 형상끼워맞춤, 본딩방식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을 베이스(2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이 잘못되어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2개의 렌즈배럴(100) 즉, 좌우 양안이 원래의 설계된 시선방향 등을 이탈하여 결과적으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입체인식기능, 거리계산기능 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렌즈배럴(100)을 베이스(200)에 본딩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 본딩이 경화되는 과정 등에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좌우 양안이 원래의 설계된 시선방향 등을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차량에 장착되므로, 차량의 운행에 의한 진동, 충격을 받을 수 있고 가열될 수도 있다. 이로인해 렌즈배럴(100)은 원래 설계된 베이스(200) 결합위치로부터 이탈하여 결과적으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입체인식기능, 거리계산기능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렌즈배럴(100)과 베이스(200)가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10)이 카메라 모듈에 구비됨으로 인해, 렌즈배럴(100)과 베이스(200)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입체인식기능, 거리계산기능 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돌출부(210)는 상기 렌즈배럴(100)이 배치되는 부위에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돌출부(210)는 제1방향으로 보아 원형의 중공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배럴(100)을 하부 및 상기 제1돌출부(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210)에는, 센서홀더(500)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센서홀더(500)는 상기 제2돌출부(210)에 결합기구(600)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거나, 접착제(7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홀더(500)와 상기 제2돌출부(210) 사이에는 상기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 조절을 위한 스페이서(8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홀더(500) 또는 스페이서(800)와 제2돌출부(210) 사이의 결합구조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필터(300)는 상기 렌즈배럴(100)의 하부에 상기 렌즈(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300)는 렌즈배럴(100) 및 렌즈(110)를 통과하는 광에서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후술하는 이미지센서(40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300)는 광축방향인 z축에 수직한 x-y평면상에 놓이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상기 필터(30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차단필터일 수 있다. 필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10)와 대향되고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300)는 상기 제1돌출부(120)에 본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센서홀더(500)와 이미지센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홀더(500)는 상면에 이미지센서(400)가 실장되고, 상기 렌즈배럴(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500)는 이미지센서(400)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종 회로, 소자,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홀더(500)는 상기 이미지센서(400)가 실장되는 것은 물론,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각종 소자가 결합되는 회로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홀더(500)는 상기 렌즈배럴(100)의 광축방향과 수직한 x-y평면상에서 경사를 형성하도록 즉, x-y평면상에서 틸트(tilt)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센서홀더(500)에 실장되는 상기 이미지센서(400)가 상기 렌즈배럴(100)에 대하여 촛점거리,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 등이 설계된 대로 유지되면서, 센서홀더(500)가 상기 프레임(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미지센서(400)는 상기 필터(30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상기 광이 포함하는 물체 즉, 피사체의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상기 필터(300)의 하측에 상기 필터(30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x-y평면상에 놓이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센서홀더(500)의 상면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접착제(700)에 의해 센서홀더(500)가 상기 베이스(200)의 상기 제2돌출부(210)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 등이 설계된 대로 유지되면서, 센서홀더(500)가 상기 제2돌출부(210)에 접착되기 위해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 공정은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공정 중 하나이며, 이에 의해 조립공정시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 이미지 결상부위가 조절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 공정에서는 자동화 기기를 사용하여, 센서홀더(50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x-y평면상에서 틸트시켜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 이미지 결상부위가 설계된 값을 가지도록 센서홀더(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홀더(500)가 상기 설계된 값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면 접착제(700)를 사용하여 센서홀더(500)를 상기 제2돌출부(2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홀더(500)의 위치를 조절한 결과, 센서홀더(500)는 x-y평면상에서 틸트된 상태로 접착제(700)에 의해 제2돌출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700)는 센서홀더(500)의 틸트된 상태, 위치 등에 따라 상기 제2돌출부(210) 및/또는 센서홀더(500)에 도포되는 양이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700)는 예를 들어,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물질, 자외선 경화성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에서 센서홀더(500)는 상기 제2돌출부(210)에 결합기구(600)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이때, 결합기구(600)는 볼트, 나사결합기구(600), 결합핀 등 센서홀더(500)를 제2돌출부(2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결합기구(600)를 조절함으로써 센서홀더(500)의 상하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센서홀더(500)에 실장되는 이미지센서(400)의 렌즈배럴(100)에 대한 촛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센서홀더(50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므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차량의 운행으로 인해,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이 진동, 충격 등을 받거나 가열되어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가 설계된 값을 이탈할 경우, 다시 결합기구(600)를 조절하여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를 설계된 값으로 맞출 수도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에는 스페이서(800)가 포함될 수 있다. 스페이서(800)는 상기 센서홀더(500)와 상기 제2돌출부(210) 사이에 상기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 조절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800)는 이미지센서(400)가 설계된 촛점거리를 유지하며 렌즈배럴(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페이서(800)는 이미지센서(4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800)는 상하방향 즉, 제1방향의 높이가 다른 여러종류의 것들로 구비될 수 있고, 이미지센서(400)가 설계된 촛점거리를 유지하는 위치에서 제2돌출부(210)의 하면과 센서홀더(500)의 상면사이의 이격거리에 맞는 높이를 가진 스페이서(800)가 선택되어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좌우 양안 각각의 이미지센서(400)는 서로 촛점거리가 다를 수 있으므로, 하나의 스테레오 카메라 모듀에서도 제1방향 높이가 서로다른 스페이서(8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는 패시브 얼라인(passive align) 공정에 의해 맞춰질 수 있다. 패시브 얼라인 공정은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공정 중 하나이며, 이에 의해 조립공정시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시브 얼라인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지그(20)를 사용하여 센서홀더(50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를 설계된 값에 맞출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좌우 양안 각각의 이미지센서(400)는 서로 촛점거리가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센서홀더(500)의 제1방향 위치도 서로 다를 수 있다.
패시브 얼라인 공정에서 상기 각각의 센서홀더(500)의 제1방향 위치를 맞춘 후, 센서홀더(500)와 제2돌출부(210)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위에 스페이서(800)를 장착하고, 센서홀더(500), 스페이서(800) 및 제2돌출부(21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800)를 센서홀더(500)와 제2돌출부(210) 사이에 결합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하나의 결합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800)가 상기 제2돌출부(210) 하면 및 상기 센서홀더(500) 상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물질은 액티브 얼라인 공정에서 사용되는 접착제(70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패시브 얼라인 공정에서 스페이서(800)를 제2돌출부(210)와 센서홀더(500)에 접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물질, 자외선 경화성 접착물질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결합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800) 및 상기 센서홀더(500)는 상기 제2돌출부(210)에 결합기구(600)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차량의 운행으로 인해,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이 진동, 충격 등을 받거나 가열되어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가 설계된 값을 이탈할 경우 다시 결합기구(600)를 조절하여 이미지센서(400)의 촛점거리를 설계된 값으로 맞출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렌즈배럴(100)과 베이스(200)가 일체화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은 물체의 거리감지 오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따라서, ADAS, 자율주행 차량 등에서 거리감지 오류를 방지하거나 현저히 줄여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 물적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프레임
20: 지그
100: 렌즈배럴
110: 렌즈
120: 제1돌출부
200: 베이스
210: 제2돌출부
300: 필터
400: 이미지센서
500: 센서홀더
600: 결합기구
700: 접착제
800: 스페이서

Claims (13)

  1. 복수의 렌즈배럴들;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 아래에 배치되는 센서 홀더; 및
    상기 필터와 대향되도록 상기 센서 홀더에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센서홀더에 결합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홀더는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의 광축방향과 수직한 평면상에서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 각각의 하부에 상기 렌즈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 각각의 하부에 상기 렌즈배럴들의 직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필터가 고정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의 개수는 2개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렌즈배럴들은 상기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2돌출부에 고정되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는 회로 기판인 카메라 모듈.
  8. 복수의 렌즈배럴들: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렌즈배럴들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 아래에 배치되는 센서 홀더;
    상기 필터와 대향되도록 상기 센서 홀더에 배치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센서 홀더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이미지센서의 촛점거리 조절을 위하여 상기 센서홀더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돌출부 하면 및 상기 센서홀더 상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센서홀더는 결합기구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센서홀더의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의 촛점거리가 조절되는 스테레어 카메라 모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의 개수는 2개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는 회로 기판인 카메라 모듈.
KR1020150057709A 2015-04-24 2015-04-24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KR102340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709A KR102340274B1 (ko) 2015-04-24 2015-04-24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709A KR102340274B1 (ko) 2015-04-24 2015-04-24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539A KR20160126539A (ko) 2016-11-02
KR102340274B1 true KR102340274B1 (ko) 2021-12-15

Family

ID=5751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709A KR102340274B1 (ko) 2015-04-24 2015-04-24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84B1 (ko) * 2019-03-18 2020-12-24 (주)파트론 멀티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982A (ko) * 2008-10-07 2010-04-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140346B1 (ko) * 2010-08-31 2012-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장치
KR101114053B1 (ko) * 2010-11-29 2012-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에 사용된 모터
KR20130047370A (ko) * 2011-10-31 2013-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539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0910B2 (en) Camera module
JP6701101B2 (ja) 複数の光チャネルを備えるマルチアパーチャ光学系を画像センサに対して相対的に位置決め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JP201851871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0632727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105093469A (zh) 用于机动车辆的相机模块和安装相机模块的方法
EP3667413B1 (en) Stereo image processing device
CN103493470A (zh) 用于确定光学摄像机的图像数据检测芯片的调整偏差的方法以及相应的调整检验装置
US20200310069A1 (en) In-vehicle image pickup device
KR20210056976A (ko) 카메라 모듈
CN109997349B (zh) 相机模块
JP2009250785A (ja) 撮像装置
KR102340274B1 (ko)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US20110141337A1 (en) Image capturing device
TWI589946B (zh) 鏡頭調焦方法與光學模組
JPWO2015104892A1 (ja) 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撮像モジュール製造装置
KR102544085B1 (ko) 카메라 모듈 제조 장치
KR10255651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101724678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441951B1 (ko) 카메라 모듈
EP3678360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obile body, and production method
KR101943449B1 (ko) 카메라 모듈
KR102368884B1 (ko) 카메라 모듈
KR102391892B1 (ko) 카메라 모듈
CN216313220U (zh) 摄像模组
KR102545725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