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778B1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1778B1 KR102441778B1 KR1020177017374A KR20177017374A KR102441778B1 KR 102441778 B1 KR102441778 B1 KR 102441778B1 KR 1020177017374 A KR1020177017374 A KR 1020177017374A KR 20177017374 A KR20177017374 A KR 20177017374A KR 102441778 B1 KR102441778 B1 KR 102441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unit
- autofocus
- lens
- optical axi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MFGNRRURHSENX-UHFFFAOYSA-N beryllium copper Chemical compound [Be].[Cu] DMFGNRRURHSE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OCUPQPZWBBYIX-UHFFFAOYSA-N copper nickel Chemical compound [Ni].[Cu] YOCUPQPZWBBY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spherical lenses onl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렌즈 구동장치는,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AF용 코일부와, AF용 코일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AF용 마그넷부를 가지고, AF용 코일부와 AF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AF용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AF고정부에 대해서 AF용 코일부를 포함하는 AF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를 행하는 AF용 구동부와, AF용 구동부의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구비한다. AF용 구동부는, AF가동부와 AF고정부를 접속하는 탄성 지지부를 가진다. AF가동부는, AF용 마그넷부에 의해서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밀어올려져, 탄성 지지부에 의해서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부세(付勢)된 상태로, AF고정부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토포커스 및 떨림 보정용의 렌즈 구동장치, 오토포커스 기능 및 떨림 보정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핀트맞추기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하 「AF기능」이라고 부름, AF:Auto Focus) 및 촬영시에 생기는 떨림(진동)을 보정하여 화상의 왜곡을 경감시키는 떨림 보정 기능(이하 「OIS 기능」이라고 부름,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가 적용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오토 포커스 및 떨림 보정용의 렌즈 구동장치는, 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이하 「AF용 구동부」라고 부름)와, 렌즈부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搖動)시키기 위한 떨림 보정용 구동부(이하「OIS용 구동부」라고 부름)를 구비한다.
AF용 구동부는, 예를 들면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이하「AF용 코일부」라고 부름)와, AF용 코일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하여(離間/떨어지게)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이하 「AF용 마그넷부」라고 부름)를 가진다. AF용 코일부와 AF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AF용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AF고정부에 대해서 렌즈부 및 AF용 코일부를 포함하는 AF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가 행해진다.
여기서, 최단(最短) 촬영 거리에 있는 피사체에 핀트를 맞출 때의 렌즈 위치(가장 수광측)는 「매크로 위치」라고 불리고, 무한원(無限遠)에 있는 피사체에 핀트를 맞출 때의 렌즈 위치(가장 결상측의 위치)는 「무한원 위치」라고 불린다. 즉, 매크로 위치로부터 무한원 위치 까지의 범위가, AF가동부의 이동 가능 범위이다.
OIS용 구동부는, 예를 들면 AF용 구동부에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이하 「OIS용 마그넷부」라고 부름)와, OIS용 마그넷부에 대해서 광축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코일부(이하 「OIS용 코일부」라고 부름)를 가진다. AF용 구동부 및 OIS용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떨림 보정 가동부(이하 「OIS 가동부」라고 부름)는, 지지(支持) 부재에 의해서, OIS용 코일부를 포함하는 떨림 보정 고정부(이하 「OIS 고정부」라고 부름)에 대해서 광축 방향으로 이간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OIS용 마그넷부와 OIS용 코일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OIS 가동부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떨림 보정이 행해진다(이른바 배럴 시프트 방식). OIS용 마그넷부는, AF용 마그넷부와 겸용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렌즈 구동장치의 소형화,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외주면에 AF용 코일부가 배치되는 렌즈 홀더(AF가동부의 일부를 구성)와, AF용 마그넷부(OIS용 마그넷부를 겸용)가 배치되는 마그넷 홀더(AF고정부의 일부를 구성)가, 탄성 지지부(상측 판용수철, 하측 판용수철)에 의해 접속된다. 핀트맞추기 행해질 때는, AF용 구동부의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추진력)과 탄성 지지부의 복원력이 균형을 취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 AF가동부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상태에서 보지된다. 따라서, AF용 구동부의 보이스 코일 모터에는, 하측 판용수철 및 상측 판용수철의 최대 변위시의 복원력에 상당하는 구동력이 요구된다.
또,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핀트맞추기가 행해지지않는 무통전시에는, 하측 판용수철의 결상측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해서, 렌즈 홀더가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밀어올려져, 상측 판용수철 및 하측 판용수철에 백 텐션(back tension)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의 도2 참조). 즉, AF가동부는, 핀트맞추기가 행해지지 않는 무통전시에는 무한원 위치에서 보지되고, 핀트맞추기가 행해지는 통전시에는 매크로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카메라 모듈의 더한층의 소형화, 저배화가 희망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더한층의 소형화, 저배화를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한층의 소형화,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이것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離間)하여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를 가지고,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를 포함하는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의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는,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를 접속하는 탄성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는,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에 의해서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밀어올려져,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해서 광축 방향 결상측에 부세(付勢/힘이 가해진)된 상태로,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의 광축 방향 결상 측에 이간(離間)하여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구비한 렌즈 구동 장치로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는, 렌즈 배럴을 보지(保持)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를 갖는 오토 포커스 가동부와, 틀 형상의 마그넷 홀더 및 상기 마그넷 홀더에 배치된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를 가지며,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 고정부와, 상기 렌즈 홀더 및 상기 마그넷 홀더의 광축 방향 수광측의 부분을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상측 탄성 지지 부재와, 상기 렌즈 홀더 및 상기 마그넷 홀더의 광축 방향 결상측의 부분을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하측 탄성 지지 부재를 갖는 탄성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를 행하며, 상기 렌즈 홀더는, 광축 방향 수광측의 부분에,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보다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마그넷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는,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의 광축 방향 수광측의 면이 상기 마그넷 계지부의 광축 방향 결상측의 면에 당접한 상태로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가 상기 마그넷 홀더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됨에 의해서 상기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밀어올려져, 상기 상측 탄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측 탄성 지지부재에 의해서 상기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부세된 상태로,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의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오토포커스 가동부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의해 결상(結像)된 피사체상을 촬상(撮像)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탑재 장치는, 정보기기 또는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이며, 상기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구조에 있어서의 스페이서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그 만큼,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베이스부에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구동장치의 소형화,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카메라 모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OIS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OIS 가동부의 고정구조(마그넷부의 장착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차재용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카메라 모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OIS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OIS 가동부의 고정구조(마그넷부의 장착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차재용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하는 스마트 폰(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A는 스마트 폰(M)의 정면도이고, 도1B는 스마트 폰(M)의 배면도이다.
스마트 폰(M)은, 예를 들면 배면 카메라(OC)로서,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한다. 카메라 모듈(A)은, 오토 포커스 기능 및 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핀트맞추기를 자동적으로 행함과 동시에, 촬영시에 발생하는 떨림(진동)을 광학적으로 보정하여 상 떨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2는, 카메라 모듈(A)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은, 카메라 모듈(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도3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도4~도7에 있어서도 공통된 직교좌표계(X, Y, Z)로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 모듈(A)은, 스마트 폰(M)으로 실제로 촬영이 행해질 경우에, X방향이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 Y방향이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 Z방향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탑재된다. 즉, Z방향이 광축 방향이고, 도면 중 상측이 광축 방향 수광측(「매크로 위치측)이라고도 함), 하측이 광축 방향 결상측(「무한원 위치측」이라고도 함)이 된다.
카메라 모듈(A)은, 원통(圓筒) 형상의 렌즈 배럴에 렌즈가 수용되어서 되는 렌즈부(도면표시 생략), AF용 및 OIS용의 렌즈 구동장치(1),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도면표시 생략), 및 전체를 덮는 실드(shield) 커버(2) 등을 구비한다.
실드 커버(2)는, 광축 방향에서 본 평면시(平面視)에서 정방형 모양의 유개 사각통체(有蓋 四角筒體)이며, 표면에 원형의 개구(開口)(2a)를 가진다. 이 개구(開口)(2a)로부터 렌즈부(도면표시 생략)가 외부로 임한다. 실드 커버(2)는, 렌즈 구동장치(1)의 OIS 고정부(20)의 베이스 부재(23)(도6 참조)에 고정된다. 실드 커버(2)는, 도전성(導電性)을 가지며, OIS 고정부(20)의 제1접지 단자(2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접지된다.
촬상부(도면표시 생략)는,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를 가지고, 렌즈 구동장치(1)의 광축 방향 결상(結像) 측에 배치된다.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된다.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는, 렌즈부(도면표시 생략)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한다.
도4는, 렌즈 구동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에 나타내는 것처럼, 렌즈 구동장치(1)는, OIS 가동부(10), OIS 고정부(20), 및 지지 부재(30) 등을 구비한다.
OIS 가동부(10)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OIS용 마그넷부를 가지고, 떨림 보정시에 XY평면내에서 요동하는 부분이다. OIS 고정부(20)는, OIS용 코일부를 가지는 부분이다. OIS 가동부(10)는, AF용 구동부를 포함한다.
OIS 가동부(10)는, OIS 고정부(20)에 대해서 광축 방향 수광측에 이간하여 배치되어, 지지 부재(30)에 의해서 OIS 고정부(2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부재(30)는, Z방향을 따라 확장하는(extend)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로 구성된다(이하 「서스펜션 와이어30」라고 부름).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일단(一端)(상단(上端))은 OIS 가동부(10)(상측 탄성 지지부(13), 도5 참조)에 고정되고, 타단(하단)은 OIS 고정부(20)(코일 기판(21), 도6 참조)에 고정된다. OIS 가동부(10)는, 서스펜션 와이어(30)에 의해서, XY평면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30) 중 2개는, AF용 코일부(112)(도5 참조)에 급전(給電)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서스펜션 와이어(30)의 갯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4개보다 많아도 좋다.
도5는, OIS 가동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 가동부(10)는, AF가동부(11), AF고정부(12), 상측 탄성 지지부(13), 및 하측 탄성 지지부(14) 등을 구비한다. AF가동부(11)는,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AF용 코일부를 가지고, 핀트맞추기 시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AF고정부(12)는, AF용 마그넷부를 가지는 부분이다. 즉, 렌즈 구동장치(1)의 AF용 구동부에는, 무빙 코일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AF가동부(11)는, AF고정부(12)에 대해서 지름 방향 안쪽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상측 탄성 지지부(13) 및 하측 탄성 지지부(14)에 의해서 AF고정부(12)와 연결된다.
AF가동부(11)는, 렌즈 홀더(111) 및 AF용 코일부(112)를 가진다.
렌즈 홀더(111)은, 사각통 형상의 부재이고, 원통 형상의 렌즈 수용부(111a)에 렌즈부(도면표시 생략)가 접착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렌즈 홀더(111)는, 렌즈 수용부(111a)의 주면(周面)에, 상측 플랜지부(111b) 및 하측 플랜지부(111c)를 가진다. 상측 플랜지부(111b)와 하측 플랜지부(111c)에 끼이는 부분(이하 「코일 권선부」라고 부름)에, AF용 코일부(112)가 권선된다.
렌즈 홀더(111)는, 렌즈 수용부(111a)의 상부 외주(外周)이며, 네 귀퉁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측 탄성 지지부(13)를 고정하는 상(上) 용수철 고정부(111d)를 가진다. 렌즈 홀더(111)는, 4개의 상 용수철 고정부(111d) 중의 대각에 위치하는 2개의 상 용수철 고정부(111d) 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결부(111e)를 가진다.
상측 플랜지부(111b)의 상면(111f)은, AF가동부(11)의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피계지부(被係止部)가 된다(이하「피계지부111f」라고 부름). 하측 플랜지부(111c)의 하면(111g)에는, 하측 탄성 지지부(14)가 고정된다(이하 「하 용수철 고정부111g」라고 부름).
렌즈 홀더(111)는, 렌즈 수용부(111a)의 상부 외주(外周)이며, X방향에 대향하는 위치 및 Y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측 플랜지부(111b) 및 하측 플랜지부(111c)보다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마그넷 계지부(111h)를 가진다. 마그넷 계지부(111h)의 하면(광축 방향 결상측 면)에는, 마그넷부(122)의 상면(광축 방향 수광측 면)이 당접한다.
AF용 코일부(112)는, 핀트맞추기 시에 통전되는 공심 코일이며, 렌즈 홀더(111)의 코일 권선부의 외주면에 권선된다. AF용 코일부(112)의 양단은, 렌즈 홀더(111)의 연결부(111e, 111e)에 연결된다.
AF고정부(12)는, 마그넷 홀더(121) 및 마그넷부(122)를 가진다. 도5에서는, 마그넷 홀더(121)에 마그넷부(122)를 장착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마그넷 홀더(121)에 AF가동부(11)가 삽입된 후, 마그넷부(122)가 장착된다.
마그넷 홀더(121)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정방형의 사각통 형상을 가진다. 마그넷 홀더(121)의 측벽끼리의 4개의 연결부(Z방향을 따르는 4개의 변)는, 지름 방향 안쪽에 원호상(圓弧狀)으로 옴폭(凹)하게 형성된다. 이 부분에 서스펜션 와이어(30)가 배치된다(이하 「와이어 삽통부(揷通部) (121a)」라고 부름). 와이어 삽통부(121a)를 설치함으로써, OIS 가동부(10)가 요동할 때에, 서스펜션 와이어(30)와 마그넷 홀더(121)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마그넷 홀더(121)는, 상부에, 지름 방향 안쪽에 링(ring) 형상으로 튀어나온 스톱퍼부(121b)를 가진다. 스톱퍼부(121b)에 있어서, 렌즈 홀더(111)의 상(上) 용수철 고정부(111d) 및 마그넷 계지부(111h)에 대응하는 부분은 깍여있고, 마그넷 홀더(121)의 상면보다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AF가동부(11)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F가동부(11)가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이동할 때에, 렌즈 홀더(111)의 피계지부(111f)에 스톱퍼부(121b)가 당접함으로써 의해, AF가동부(11)의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스톱퍼부(121b)의 상면에는, 상측 탄성 지지부(13)의 암(arm)부(131c, 132c)가 재치(載置)된다. 스톱퍼부(121b)의 하면에는, 마그넷부(122)의 상면이 당접한다.
마그넷 홀더(121)의 하면(121e)에는, 하측 탄성 지지부(14)가 고정된다(이하「하 용수철 고정부(121e)」라고 부름). 마그넷 홀더(121)는, 상부의 네 귀퉁이에, 상측 탄성 지지부(13)를 고정하는 상 용수철 고정부(121c)를 가진다. 상 용수철 고정부(121c)에 배치되는 사다리꼴 기둥 모양의 상측 보스의 주위는, 마그넷 홀더(121)의 상면(상측 탄성 지지부(13)가 장착되는 면)보다 약간 옴폭하게 형성되어, 상측 탄성 지지부(13)를 장착했을 때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댐퍼재 배치부121d). 댐퍼재 배치부(121d)의 각부(角部)(와이어 삽통부121a의 상부에 연설(連設)된 부분)는, 하부보다도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연장하여, 원호상으로 깍여 있다. 댐퍼재 배치부(121d)의 원호상으로 깍여 있는 부분은, 와이어 삽통부(121a)의 일부를 구성한다.
마그넷부(122)는, 4개의 직방체 모양의 영구자석을 가진다. 마그넷부(122)는, 마그넷 홀더(121)의 4개의 측벽의 내면을 따라 배치된다. 마그넷부(122)는, AF용 코일부(112)에 지름 방향에 횡단하는 자계가 형성되도록 착자(着磁)된다. 예를 들면, 마그넷부(122)는, 내주측이 N극, 외주측이 S극으로 착자된다.
마그넷부(122) 및 AF용 코일부(112)에 의해서,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가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넷부(122)가, AF용 마그넷부와 OIS용 마그넷부를 겸용한다.
상측 탄성 지지부(13)는, 예를 들면 베릴륨동, 니켈동, 스텐레스 등으로 되어있는 판용수철이며,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봤을 때 정방형 모양을 가진다. 상측 탄성 지지부(13)는, AF고정부(12)(마그넷 홀더(121))와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를 탄성적으로 접속한다.
상측 탄성 지지부(13)는,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點對稱)으로 배치되는 2개의 상측 판용수철(13A, 13B)(상측 탄성 지지부재)로 구성된다. 상측 판용수철(13A,13B)은, 각각 2개의 용수철부(131,132)를 가진다. 상측 용수철부(13A, 13B)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측 판용수철(13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측 판용수철(13A)에 있어서, 용수철부(131)는, 렌즈 홀더(111)에 고정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131a), 렌즈 홀더 고정부(131a)로부터 90о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마그넷 홀더(121)에 고정되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 및 렌즈 홀더 고정부(131a)와,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를 연결하는 암부(131c)를 가진다. 또, 렌즈 홀더 고정부(131a)는, AF용 코일부(112)의 단부에 납땜되는, 평면에서 봤을 때 U자 모양의 코일 접속부(131d)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용수철부(132)는, 렌즈 홀더(111)에 고정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132a), 렌즈 홀더 고정부(132a)로부터 90о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마그넷 홀더(121)에 고정되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132b), 및 렌즈 홀더 고정부(132a)와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를 연결하는 암부(132c)를 가진다.
렌즈 홀더 고정부(131a, 132a)는, 암부(131c)의 안쪽에서, 내측 연결부(134)에 의해서 연결된다. 또,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 132b)는, 암부(132c)의 바깥쪽에서, 외측 연결부(133)에 의해서 연결된다.
렌즈 홀더 고정부(131a,132a)는, 렌즈 홀더(111)의 상 용수철 고정부(111d)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렌즈 홀더 고정부(131a, 132a)의 고정 구멍이, 렌즈 홀더(111)의 위치 결정 보스에 삽감(揷嵌)됨으로써, 렌즈 홀더(111)에 대해서 상측 판용수철(13 A,13 B)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코일 접속부(131d)는, 렌즈 홀더(111)가 연결부(111e)에 연결된 AF용 코일부(112)와,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132b)는, 마그넷 홀더(121)의 상 용수철 고정부(121c)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 132b)의 고정 구멍이, 상 용수철 고정부(121c)의 위치 결정 보스에 삽감 됨으로써, 마그넷 홀더(121)에 대해서 상측 판용수철(13A, 13B)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또,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 132b)의 꼭지각부(131e, 132e)는, 서스펜션 와이어(30)가 접속되는 와이어 접속부가 된다(이하 「와이어 접속부(131e, 132e)」라고 부른다).
와이어 접속부(131e, 132e)는, 마그넷 홀더(121)의 와이어 삽통부(121a)의 광축 방향 수광측에 위치한다. 상측 판용수철(13A, 13B)을 마그넷 홀더(121)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와이어 접속부(131e, 132e)와 댐퍼재 배치부(121d)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이 틈새에는 댐퍼재가 배치된다. 또, 와이어 접속부(131e, 132e)는, 탄성변형 하기 쉬운 형상을 가진다. 와이어 접속부(131e, 132e)와 서스펜션 와이어(30)의 휘어짐에 의해서, 낙하시의 충격이 흡수된다. 따라서, 낙하 충격에 의해서, 서스펜션 와이어(30)이 소성변형하거나 파단하거나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암부(131c, 132c)는, 각각 렌즈 홀더 고정부(131a)와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 렌즈 홀더 고정부(132a)와 마그넷 홀더 고정부(132b)를 연결한다. 암부(131c, 132c)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AF가동부(11)가 이동할 때에 탄성변형한다.
하측 탄성 지지부(14)는, 상측 탄성 지지부(13)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베릴륨동, 니켈동, 스텐레스 등으로 되어있는 판용수철이다(이하 「하측 판용수철 14」이라고 부름). 하측 탄성 지지부(14)는, AF고정부(12)(마그넷 홀더(121))와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를 탄성적으로 접속한다.
하측 판용수철(14)(하측 탄성 지지 부재)은, 4개의 용수철부(141~144)를 가진다. 용수철부(141)는, 렌즈 홀더(111)에 고정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141a), 렌즈 홀더 고정부(141a)로부터 90о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마그넷 홀더(121)에 고정되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141b), 및 렌즈 홀더 고정부(141a)와 마그넷 홀더 고정부(141b)를 연결하는 암부(141c)를 가진다. 용수철부(142~144)도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렌즈 홀더 고정부(141a~144a)는, 서로 이웃하는 렌즈 홀더 고정부끼리가 연결부(145)에서 연결되어 있고, 전체로서, 렌즈 홀더(111)의 하 용수철 고정부(111g)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렌즈 홀더 고정부(141a~144a)의 고정 구멍이, 렌즈 홀더(111)의 위치 결정 보스에 삽감됨으로써, 렌즈 홀더(111)에 대해서 하측 판용수철(14)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마그넷 홀더 고정부(141b~144b)는, 마그넷 홀더(121)의 하(下) 용수철 고정부(121e)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마그넷 홀더 고정부(141b~144b)의 고정 구멍이, 하 용수철 고정부(121e)의 위치 결정 보스에 삽감(揷嵌) 됨으로써, 마그넷 홀더(121)에 대해서 하측 판용수철(14)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도 7은, OIS 가동부의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Y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7A는, 마그넷 홀더(121)에 마그넷부(122)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7B는, 마그넷 홀더(121)에 마그넷부(122)를 장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7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 가동부(10)(AF용 구동부)를 조립하는 경우, 우선, 상측 판용수철(13A, 13B)의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 132b)가 마그넷 홀더(121)의 상 용수철 고정부(121c)에 장착된다. 또, 하측 판용수철(14)의 렌즈 홀더 고정부(141a~144a)가 렌즈 홀더(111)의 하 용수철 고정부(111g)에 장착된다.
그 다음에, 렌즈 홀더(111)가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부터 마그넷 홀더(121)에 삽감된다. 그리고, 상측 판용수철(13A, 13B)의 렌즈 홀더 고정부(131a, 132a)가 렌즈 홀더(111)의 상 용수철 고정부(111d)에 장착된다. 코일 접속부(131d)는, 렌즈 홀더(111)의 연결부(111e)에 연결된 AF용 코일부(112)의 양단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하측 판용수철(14)의 마그넷 홀더 고정부(141b~144b)가 마그넷 홀더(121)의 하 용수철 고정부(121e)에 장착된다.
이 때, 도7B에 나타내는 것처럼, 렌즈 홀더(111)의 상 용수철 장착면과 마그넷 홀더(121)의 상 용수철 장착면과는 플랫(flat)하며, 렌즈 홀더(111)의 하 용수철 장착면과 마그넷 홀더(121)의 하 용수철 장착면과도 플랫하다. 또, 렌즈 홀더(111)의 마그넷 계지부(111h)의 하면은, 마그넷 홀더(121)의 스톱퍼부(121b)의 하면보다 광축 방향 결상측에 위치한다.
그 다음, 도7B에 나타내는 것처럼, 마그넷부(122)가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부터 마그넷 홀더(121)에 삽입된다. 마그넷부(122)의 상면이 렌즈 홀더(111)의 마그넷 계지부(111h)의 하면에 당접하고, 마그넷부(122)에 의해서 렌즈 홀더(111)가 밀어올려진다. 마그넷부(122)의 상면이 마그넷 홀더(121)의 스톱퍼부(121b)에 당접한 상태에서, 마그넷부(122)는 마그넷 홀더(121)에 접착된다. 상측 탄성 지지부(13)의 암 부(131c, 132c) 및 하측 탄성 지지부(14)의 암 부(141c~144c)는 휘어진 상태가 된다.
즉, 마그넷부(122)(AF용 마그넷부)가 마그넷 홀더(121)의 소정 위치(상면이 스톱퍼부 121b에 당접하는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렌즈 홀더(111)가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밀어올려져, 상측 판용수철(13A, 13B)(상측 탄성 지지 부재) 및 하측 판용수철(14)(하측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서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부세(付勢)된 상태가 된다. OIS 가동부(10)에 있어서는, 종래 구조(특허 문헌 1 참조)와 같이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일 없이, 마그넷부(122)에 의해서, AF가동부(11)(렌즈 홀더 111)가 AF고정부(12)(마그넷 홀더 12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OIS 가동부(10)(AF용 구동부)가 조립된다.
도6은, OIS 고정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 고정부(20)는, 코일 기판(21), 센서 기판(22), 베이스 부재(23), 및 위치 검출부(24) 등을 구비한다.
코일 기판(21)은, 평면에서 봤을 때 정방형 모양의 기판이며, 중앙에 원형의 개구(21a)를 가진다. 코일 기판(21)은, 네 귀퉁이에, 서스펜션 와이어(30)의 타단(하단)이 삽입되는 와이어 고정 구멍(21b)을 가진다. 또, 코일 기판(21)은, 개구(21a)의 주연부에 있어서, 대각방향과 교차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구멍(21c)을 가진다.
코일 기판(21)은, 광축 방향에 있어서 마그넷부(122)와 대향하는 위치에 OIS용 코일부(211)를 가진다. OIS용 코일부(211)는, 마그넷부(122)에 대응하는 4개의 OIS 코일(211A~211D)을 가진다. OIS 코일(211A~211D)의 각각의 장변(長邊) 부분을, 마그넷부(122)의 저면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계가 Z방향에 횡단하도록, OIS용 코일부(211) 및 마그넷부(122)의 크기나 배치가 설정된다. 마그넷부(122)와 OIS용 코일부(211)로,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가 구성된다.
센서 기판(22)은, 코일 기판(21)과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봤을 때 정방형 모양의 기판이며, 중앙에 원형의 개구(22a)를 가진다. 센서 기판(22)은, 개구(22a)의 주연부에 있어서, 코일 기판(21)의 위치결정 구멍(21c)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 구멍(22b)를 가진다. 센서 기판(22)은, X방향을 따르는 2변에, 각각 아랫쪽으로 굴곡(屈曲)하여 형성되는 접지 단자부(22c)를 가진다. 또, 센서 기판(22)은, Y방향을 따르는 2변에, 각각 아랫쪽으로 굴곡하여 형성되는 제어단자(22d)를 가진다.
센서 기판(22)은, AF용 코일부(112) 및 OIS용 코일부(211)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 라인(도면표시 생략), 위치 검출부(2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용의 신호 라인(도면표시 생략)을 가진다. 센서 기판(22)의 이면(裏面)에는, XY평면에 있어서의 OIS 가동부(1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24)가 배치된다.
위치 검출부(24)는, 예를 들면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계를 검출하는 홀 소자(24A, 24B)(자기(磁氣)센서)로 구성된다. 홀 소자(24A, 24B)는, 센서 기판(22)의 하면의 인접하는 2변에 있어서, 각각의 거의 중앙에 배치된다. 마그넷부(122)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계를, 홀 소자(24A, 24B)에서 검출함으로써, XY평면에 있어서의 OIS 가동부(1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부(122)와는 별도로, 위치 검출용 자석을 OIS 가동부(10)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베이스 부재(23)는, 코일 기판(21)과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봤을 때 정방형 모양의 부재이며, 중앙에 원형의 개구(23a)를 가진다. 베이스 부재(23)는, 개구(23a)의 주연부에 있어서, 코일 기판(21)의 위치결정 구멍(21c) 및 센서 기판(22)의 위치결정 구멍(22b)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 보스(23b)를 가진다. 또, 베이스 부재(23)는, 개구(23a)의 주연부에 있어서, 홀 소자(24A, 24B)와 대응하는 위치에 홀 소자 수용부(23e)를 가진다.
또, 베이스 부재(23)는, 주연부(周緣部)에 있어서, 센서 기판(22)의 접지 단자(22c)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오목(凹)부(23c)를 가지고, 제어 단자(22d)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오목부(23d)를 가진다. 제1 오목부(23c) 및 제2 오목부(23d)는, 아랫쪽을 향하여 외측으로 확대되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으로 형성된다.
OIS 고정부(20)를 조립하는 경우, 우선, 코일 기판(21)과 센서 기판(22)을 납땜에 의해 접착한다. 이것에 의해, OIS용 코일부(211)와 센서 기판(22)의 전원 라인(도면표시 생략)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베이스 부재(23)의 위치 결정 보스(23b)에 코일 기판(21)의 위치 결정구멍(21c) 및 센서 기판(22)의 위치 결정구멍(22b)을 삽감하고, 코일 기판(21) 및 센서 기판(22)을 베이스 부재(23)에 재치한다. 센서 기판(22)의 접지 단자(22c)가 베이스 부재(23)의 제1오목부(23c)에 계합(係合:걸어맞춤)되고, 제어 단자(22d)가 제2 오목부(23d)에 계합됨으로써, 코일 기판(21) 및 센서 기판(22)이 베이스 부재(2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OIS 고정부(20)가 조립된다.
렌즈 구동장치(1)를 조립하는 경우,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일단(一端)(상단(上端))은, 상측 판용수철(13A, 13B)의 와이어 접속부(131e)에 삽통되어,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30)와 상측 판용수철(13A, 13B)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서스펜션 와이어(30)의 타단(하단)은, 코일 기판(21)의 와이어 고정 구멍(21b)에 삽통되어,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30)와 센서 기판(22)의 전원 라인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서스펜션 와이어(30) 및 상측 판용수철(13A, 13B)을 경유하여, AF용 코일부(112)로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서스펜션 와이어(30)를 둘러싸듯이, 마그넷 홀더(121)의 댐퍼재 배치부(121d)(와이어 삽통부121a의 상부를 포함)에 댐퍼재(도면표시 생략)가 배치된다. 댐퍼재가 상측 판용수철(13A, 13B)과 마그넷 홀더(121)와의 사이에 개재하게 된다. 상측 판용수철(13A, 13B)과 마그넷 홀더(121)와의 사이에 댐퍼재(도면표시 생략)를 개재시킴으로써, 불요 공진(고차의 공진 모드)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댐퍼재는,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댐퍼재 배치부(121d)에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댐퍼재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의 실리콘 겔을 적용할 수 있다.
렌즈 구동장치(1)에는, 실드 커버(2)의 하단부가 센서 기판(22)의 접지 단자(22c)에 당접하도록, 실드 커버(2)가 장착된다. 베이스 부재(23)의 제1 오목부(23c)가 테이퍼드 형상을 가짐으로써, 센서 기판(22)의 접지 단자(22c)와 실드 커버(2)의 하단부와의 사이에는 부세력(付勢力)이 작용한다. 따라서, 납땜을 하는 일 없이, 실드 커버(2)와 센서 기판(22)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실드 커버(2)를 용이하게 접지 할 수 있으며, EMC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또,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 AF용 코일부(112)에 통전하면, 마그넷부(122)의 자계와 AF용 코일부(112)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AF용 코일부(112)에 로렌트력이 생긴다. 로렌트력의 방향은, 자계의 방향(X방향 또는 Y방향)과 AF용 코일부(11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Y방향 또는 X방향)에 직교하는 방향(Z방향)이다. 마그넷부(122)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AF용 코일부(112)에 반력(反力)이 작용한다. 이 반력이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되어, AF용 코일부(112)를 가지는 AF가동부(11)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핀트맞추기가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트맞추기를 행하지 않는 무통전(無通電) 시에는, AF가동부(11)는, 상측 판용수철(13A, 13B) 및 하측 판용수철(14)에 백 텐션이 발생해 있는 상태로 보지(保持)된다. 이 상태가 무한원 위치이다. 핀트맞추기를 행할 때는, AF가동부(11)를 무한원 위치로부터 매크로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류의 방향이 제어된다. 또, AF가동부(11)의 이동거리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제어된다.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 OIS용 코일부(211)에 통전하면, 마그넷부(122)의 자계와 OIS용 코일부(211)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OIS용 코일부(211)에 로렌트력이 생긴다(프레밍의 왼손 법칙). 로렌트력의 방향은, 자계의 방향(Z방향)과 OIS용 코일부(211)의 장변 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X방향 또는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방향 또는 X방향)이다. OIS용 코일부(211)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그넷부(122)에 반력(反力)이 작용한다. 이 반력이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되어, 마그넷부(122)를 가지는 OIS 가동부(10)가 XY평면내에서 요동하여, 떨림 보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장치(1)는, 렌즈부(도면표시 생략)의 주위에 배치되는 AF용 코일부(112)와, AF용 코일부(112)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마그넷부(122)(AF용 마그넷부)를 가지고, AF용 코일부(112)와 마그넷부(122)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마그넷부(122)를 포함하는 AF고정부(12)에 대해서 AF용 코일부(112)를 포함하는 AF가동부(1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를 행하는 OIS 가동부(10)(AF용 구동부)와, OIS 가동부(10)의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OIS 고정부(20)(베이스부)를 구비한다. OIS 가동부(10)(AF용 구동부)는, AF가동부(11)와 AF고정부(12)를 접속하는 상측 탄성 지지부(13) 및 하측 탄성 지지부(14)(탄성 지지부)를 가진다. AF가동부(11)는, 마그넷부(122)에 의해서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밀어올려져, 상측 탄성 지지부(13) 및 하측 탄성 지지부(14)에 의해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부세된 상태로, AF고정부(12)에 고정된다.
또, 렌즈 구동장치(1)는, OIS 가동부(10)(AF용 구동부)에 배치되는 마그넷부(122)(OIS용 마그넷부)와, OIS 고정부(20)(베이스부)에 배치되는 OIS용 코일부(211)를 가지고, OIS용 코일부(211)와 마그넷부(122)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OIS용 코일부(211)를 포함하는 OIS 고정부(20)에 대해서 마그넷부(122)를 포함하는 OIS 가동부(10)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떨림 보정을 행하는 OIS용 구동부를 구비한다.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마그넷부(122)에 의해서 AF가동부(11) (렌즈 홀더 111)가 밀어올려져, 상측 탄성 지지부(13) 및 하측 탄성 지지부(14)에 백 텐션을 발생시킨 상태로 고정되므로, 종래 구조에 있어서의 스페이서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가 불필요해지는 만큼, OIS 가동부(10)을 OIS 고정부(20)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소형화,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당연히, 부품 코스트를 삭감할 수도 있다.
또,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마그넷 홀더에 설치된 고정용 보스에, 열압착(퓨징(fusing))에 의해서 스페이서가 접합되기 때문에, 이 접합 부위(열압착 부분)가 낙하 충격 등에 의해 파괴되어, 스페이서가 탈락하는 일도 염려되지만,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도 해소된다. 또, 스페이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보스를 마그넷 홀더에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측 탄성 지지부(14)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하측 탄성 지지부(14)를 종래와 비교해 두껍게 하여, 낙하 충격에 의해 단선(斷線)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렌즈 구동장치(1)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 렌즈 구동장치(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구동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응답 감도도 높아진다. 향후, 고화소화의 요구에 수반하여 렌즈부의 중량 증대가 우려되므로, 그 대응으로서도 극히 유용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완성된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는, AF기능 및 OIS 기능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AF기능을 구비하는 렌즈 구동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모듈(A)을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의 일례로서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인 스마트 폰을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정보기기 또는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정보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란,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로 획득된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정보기기이며, 예를 들면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노트북형 컴퓨터, 타블렛 단말, 휴대형 게임기, 웹(web) 카메라, 카메라 부착 차재 장치(예를 들면, 백 모니터 장치, 드라이브 레코더 장치)를 포함한다. 또,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란,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로 획득된 화상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수송기기이며, 예를 들면 자동차를 포함한다.
도8은, 차재용 카메라 모듈 VC(Vehicle Camera)를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A는 자동차C의 정면도이고, 도8B는 자동차C의 후방 사시도이다. 자동차C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 VC로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카메라 모듈 A를 탑재한다. 도8에 나타내는 것처럼, 차재용 카메라 모듈 VC는, 예를 들면 전방을 향해 프런트 글래스에 장착되거나, 후방을 향해 리어게이트에 장착되거나 한다. 이 차재용 카메라 모듈 VC는, 백 모니터용, 드라이브 레코더용, 충돌 회피 제어용, 자동 운전 제어용 등으로서 사용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2014년 12월 25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4-262814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1 렌즈 구동장치
2 실드 커버
10 OIS 가동부(AF용 구동부, 떨림보정 가동부)
11 AF가동부
111 렌즈 홀더
112 AF용 코일부
12 AF고정부
121 마그넷 홀더
122 마그넷부(AF용 마그넷부, OIS용 마그넷부)
13 상측 탄성 지지부
13A, 13B 상측 판용수철(상측 탄성 지지 부재)
14 하측 탄성 지지부, 하측 판용수철(하측 탄성 지지 부재)
20 OIS 고정부 (베이스부, 떨림 보정 고정부)
21 코일 기판
211 OIS용 코일부
211A~211D OIS 코일
22 센서 기판
23 베이스 부재
24 위치 검출부
24A, 24B 홀 소자
30 지지 부재
M 스마트 폰
A 카메라 모듈
2 실드 커버
10 OIS 가동부(AF용 구동부, 떨림보정 가동부)
11 AF가동부
111 렌즈 홀더
112 AF용 코일부
12 AF고정부
121 마그넷 홀더
122 마그넷부(AF용 마그넷부, OIS용 마그넷부)
13 상측 탄성 지지부
13A, 13B 상측 판용수철(상측 탄성 지지 부재)
14 하측 탄성 지지부, 하측 판용수철(하측 탄성 지지 부재)
20 OIS 고정부 (베이스부, 떨림 보정 고정부)
21 코일 기판
211 OIS용 코일부
211A~211D OIS 코일
22 센서 기판
23 베이스 부재
24 위치 검출부
24A, 24B 홀 소자
30 지지 부재
M 스마트 폰
A 카메라 모듈
Claims (6)
-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의 광축 방향 결상 측에 이간(離間)하여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구비한 렌즈 구동 장치로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는,
렌즈 배럴을 보지(保持)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를 갖는 오토 포커스 가동부와,
틀 형상의 마그넷 홀더 및 상기 마그넷 홀더에 배치된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를 가지며,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 고정부와,
상기 렌즈 홀더 및 상기 마그넷 홀더의 광축 방향 수광측의 부분을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상측 탄성 지지 부재와, 상기 렌즈 홀더 및 상기 마그넷 홀더의 광축 방향 결상측의 부분을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하측 탄성 지지 부재를 갖는 탄성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를 행하며,
상기 렌즈 홀더는, 광축 방향 수광측의 부분에,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보다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마그넷 계지부를 가지며,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는,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의 광축 방향 수광측의 면이 상기 마그넷 계지부의 광축 방향 결상측의 면에 당접한 상태로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가 상기 마그넷 홀더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됨에 의해서 상기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밀어올려져, 상기 상측 탄성 지지부재 및 상기 하측 탄성 지지부재에 의해서 상기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부세(付勢)된 상태로,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에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코일부를 가지고,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와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를 포함하는 떨림 보정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떨림 보정 가동부를 상기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떨림 보정을 행하는 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 청구항 1에 기재된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 정보 기기 또는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이며,
청구항 3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262814A JP6459504B2 (ja) | 2014-12-25 | 2014-12-25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
JPJP-P-2014-262814 | 2014-12-25 | ||
PCT/JP2015/006422 WO2016103697A1 (ja) | 2014-12-25 | 2015-12-24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2244A KR20170102244A (ko) | 2017-09-08 |
KR102441778B1 true KR102441778B1 (ko) | 2022-09-08 |
Family
ID=5614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7374A KR102441778B1 (ko) | 2014-12-25 | 2015-12-24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281691B2 (ko) |
EP (1) | EP3239756B1 (ko) |
JP (1) | JP6459504B2 (ko) |
KR (1) | KR102441778B1 (ko) |
CN (1) | CN107111098B (ko) |
TW (1) | TWI654460B (ko) |
WO (1) | WO201610369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65340B2 (ja) * | 2015-05-29 | 2019-08-28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
CN107850751B (zh) | 2015-07-29 | 2022-06-24 | Lg伊诺特有限公司 | 透镜驱动设备、相机模块和光学设备 |
KR102709352B1 (ko) * | 2016-05-19 | 2024-09-2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CN117826366A (zh) | 2016-09-30 | 2024-04-05 | Lg伊诺特有限公司 | 透镜移动设备、包括该设备的相机模块和光学仪器 |
JP6869772B2 (ja) * | 2017-03-30 | 2021-05-12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および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 |
JP6989759B2 (ja) * | 2017-07-06 | 2022-01-12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
CN211296528U (zh) | 2017-07-24 | 2020-08-18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致动器 |
JP7007553B2 (ja) * | 2017-07-31 | 2022-01-24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
JP6993567B2 (ja) * | 2017-09-29 | 2022-02-03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
JP7057492B2 (ja) * | 2017-12-28 | 2022-04-20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
CN110086963B (zh) * | 2018-01-25 | 2022-03-29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摄像系统 |
TWI789489B (zh) * | 2018-02-06 | 2023-01-11 | 日商三美電機股份有限公司 | 相機用致動器、相機模組以及相機搭載裝置 |
US20190391360A1 (en) * | 2018-06-22 | 2019-12-26 | Tdk Taiwan Corp. | Driving mechanism |
CN114153102B (zh) * | 2018-12-14 | 2024-04-30 | 三美电机株式会社 |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
CN111665605B (zh) * | 2019-03-05 | 2024-08-02 | 新思考电机有限公司 | 光学部件的导向装置、驱动装置和照相装置、电子设备 |
JP7401746B2 (ja) * | 2019-11-15 | 2023-12-20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
JP7057516B2 (ja) * | 2019-12-12 | 2022-04-20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
CN111146919A (zh) * | 2020-01-16 | 2020-05-12 | 成都易迅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ois功能的闭环音圈马达 |
US20220035122A1 (en) * | 2020-08-03 | 2022-02-03 | Apple Inc. | Actuator Arrangement for Camera Size Reduction |
CN114624851A (zh) * | 2020-12-11 | 2022-06-14 | 晋城三赢精密电子有限公司 | 音圈马达装置、镜头模组及电子装置 |
CN113376794B (zh) * | 2021-05-27 | 2022-09-09 | 宁波金诚泰电子有限公司 | 一种透镜驱动装置及其制造工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47494A (ja) | 2005-08-10 | 2007-02-22 | Olympus Imaging Corp | レンズ駆動装置 |
US20070047942A1 (en) | 2005-08-25 | 2007-03-01 | Powergate Optical Inc. | Auto-focusing device with voice coil motor for position feedback and method for using same |
JP2007156062A (ja) | 2005-12-05 | 2007-06-21 | Tamron Co Ltd | 平行移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アクチュエータ、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288258B (en) * | 2005-05-27 | 2007-10-11 | Powergate Optical Inc | Auto-focusing device for lens |
JP4026653B2 (ja) * | 2005-07-25 | 2007-12-2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永久磁石を用いた電磁アクチュエータ |
JP2007164879A (ja) * | 2005-12-13 | 2007-06-28 | Sanyo Electric Co Ltd | 対物レンズ駆動装置 |
TWI314665B (en) * | 2006-01-12 | 2009-09-11 | Lite On Technology Corp | Digital camera module |
KR20100066678A (ko) * | 2008-12-10 | 2010-06-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손떨림 보정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US7881598B1 (en) * | 2009-12-03 | 2011-02-01 | Tdk Taiwan Corporation | Anti-shake auto-focus modular structure |
CN102411187B (zh) * | 2010-09-17 | 2014-07-09 |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 透镜驱动装置 |
JP5849483B2 (ja) * | 2011-07-15 | 2016-01-27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 |
JP5821356B2 (ja) * | 2011-07-15 | 2015-11-24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 |
US9151963B2 (en) * | 2011-08-24 | 2015-10-06 | Mitsumi Electric Co., Ltd. |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
JP5849830B2 (ja) * | 2012-03-30 | 2016-02-03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
JP2013104967A (ja) * | 2011-11-11 | 2013-05-30 | Micro Uintekku Kk | 電磁駆動装置 |
KR102117011B1 (ko) * | 2012-02-14 | 2020-05-29 |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 렌즈 홀더 구동장치 |
CN103592737B (zh) * | 2012-08-13 | 2016-03-30 | 新思考电机有限公司 | 透镜驱动装置、自动对焦机及带相机的移动终端装置 |
JP6099404B2 (ja) * | 2013-01-15 | 2017-03-22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ぶ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
CN204086644U (zh) * | 2014-08-25 | 2015-01-07 |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 镜头驱动装置 |
-
2014
- 2014-12-25 JP JP2014262814A patent/JP6459504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12-24 CN CN201580070986.2A patent/CN107111098B/zh active Active
- 2015-12-24 KR KR1020177017374A patent/KR1024417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24 EP EP15872268.6A patent/EP3239756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5-12-24 US US15/539,358 patent/US10281691B2/en active Active
- 2015-12-24 WO PCT/JP2015/006422 patent/WO201610369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2-25 TW TW104143668A patent/TWI65446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47494A (ja) | 2005-08-10 | 2007-02-22 | Olympus Imaging Corp | レンズ駆動装置 |
US20070047942A1 (en) | 2005-08-25 | 2007-03-01 | Powergate Optical Inc. | Auto-focusing device with voice coil motor for position feedback and method for using same |
JP2007156062A (ja) | 2005-12-05 | 2007-06-21 | Tamron Co Ltd | 平行移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アクチュエータ、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111098A (zh) | 2017-08-29 |
WO2016103697A1 (ja) | 2016-06-30 |
CN107111098B (zh) | 2020-01-03 |
TW201626026A (zh) | 2016-07-16 |
EP3239756B1 (en) | 2019-08-28 |
US10281691B2 (en) | 2019-05-07 |
US20180246296A1 (en) | 2018-08-30 |
EP3239756A1 (en) | 2017-11-01 |
KR20170102244A (ko) | 2017-09-08 |
EP3239756A4 (en) | 2018-07-18 |
JP6459504B2 (ja) | 2019-01-30 |
JP2016122136A (ja) | 2016-07-07 |
TWI654460B (zh) | 2019-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1778B1 (ko)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
KR102441779B1 (ko) |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
KR102433700B1 (ko) |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
US10527818B2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ing device | |
KR102470879B1 (ko) |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
KR102370739B1 (ko) |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 | |
WO2018100646A1 (ja)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 |
JPWO2017138041A1 (ja)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