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477B1 -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 Google Patents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477B1
KR102441477B1 KR1020200137264A KR20200137264A KR102441477B1 KR 102441477 B1 KR102441477 B1 KR 102441477B1 KR 1020200137264 A KR1020200137264 A KR 1020200137264A KR 20200137264 A KR20200137264 A KR 20200137264A KR 102441477 B1 KR102441477 B1 KR 10244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wangchil
extract
concentration
antibacterial
cordyceps myc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154A (ko
Inventor
조창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Priority to KR102020013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4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cetophenone;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34Aspergill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ir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는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NON-ALCOHOLIC ANTIBACTERIAL HWANGCHIL STERILLIZER}
본 발명은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 용량을 최소화하고 보습력을 향상시키며 높은 항균 효능을 가지는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19 감염 예방법의 하나로 살균제의 이용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알코올이 70% 정도 포함된 살균제를 사용할 경우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살균제는 일반기구를 소독하는 용제를 총칭하며 화학물질로 된 액체형 살균제나 분사형 살균제가 주를 이루며, 항균성 살균제 대부분은 알코올(에탄올) 70~80%과 정제수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항균성 살균제의 주요성분인 알코올(에탄올)은 피부를 건조하게하고 피부 알레르기 또는 접촉성 피부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칠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교목인 황칠나무에서 채취되며, 정유성분이 주성분으로 담황색의 진한 유상액체이다.
황칠은 혈행 개선(항동맥경화 효능), 간기능 개선, 경조직(뼈와 치아) 재생 효능, 항당뇨 효능, 항고혈압 효능, 항암 효능, 항산화효능, 피부조직 재생, 면역력 증진, 신경안정 효능, 항균활성 등이 밝혀져 고부가가치 식품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황칠은 여드름 균주에 대한 항균효능이 입증되어 여드름 기능성 화장품에도 적용되고 있다.
KR 2019-0138158호(2019.12.12. 공개) KR 2012-0005612호(2012.01.2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건조증 및 피부염이 문제되지 않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는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농도(%)는 0.05 이상에서 2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농도(%)는 0.05 이상에서 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농도(%) 0.25인 피톤치트 복합물 및 농도(%) 0.05인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톤치트 복합물은, 은행나무잎 추출물 (Ginkgo Biloba Leaf Extract),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Eucalyptus Globulus Leaf Extract), 비파나무잎 추출물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 약모밀 추출물, 히노키티올 (Houttuynia Cordata Extract), 피이지-20 솔비탄코코에이트(PEG-20 sorbitan coco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농도(%)인 다이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농도(%) 8인 프로방스장미꽃수(Rosa Centifolia Flower Water), 농도(%) 3.5인 버지나아풍년화수(Hamamelis Virginiana (Witch Hazel) Water), 농도(%) 0.5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농도(%) 0.25인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 농도(%) 0.03인 판테놀(Panthenol), 농도(%) 0.03인 글리세릴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 및 농도(%) 0.06인 항균항염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항균항염 식물추출물은,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Salix Alba (Willow) Bark Extract), 편백잎추출물(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오레가노잎추출물(Origanum Vulgare Leaf Extract), 육계나무껍질추출물(Cinnamomum Cassia Bark Extract),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쇠비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락토바실러스/콩발효추출물(Lactobacillus/Soybean Ferment Extrac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에 의하면 무알콜로 피부 건조증 및 피부염이 문제되지 않고 황칠 성분으로 인해 뛰어난 살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인간피부세포(HaCaT)의 증식활성에 대한 실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일산화질소(NO) 함량생성 억제효과에 대한 실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대장균(E. coil)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예 3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대장균(E. coil)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예 4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녹농균(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예 5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녹농균(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예 6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예에 따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 제조방법(S100)은 배지에서 동충하초를 7일 내지 10일 동안 정치배양시키는 단계(S110), 정치배양된 동충하초에서 균사체 단편을 분리하는 단계(S120), 균사체 단편을 진탕배양하여 동충하초 배양균주를 제조하는 단계(S130), 동충하초 배양균주를 균질기로 균질화하여 동충하초 균사체를제조하는 단계(S140), 황칠 추출물에 동충하초 균사체를 접종한 후 발효시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150) 및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물을 필터 페이퍼로 여과하여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150)에서 동충하초 균사체의 중량 %는 10일 수 있다. 또한, 황기 추출물은 황칠나무 잎과 줄기를 96℃ 증류수로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 제조방법(S100)에 의하면, 동충하초 균사체로 황칠을 발효하여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대량으로 제조할수 있으므로 종래의 황칠의 소량생산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는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농도(%)는 0.05 이상에서 2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농도(%)는 0.05 이상에서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는 농도(%) 0.25인 피톤치트 복합물 및 농도(%) 0.05인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톤치트 복합물은, 은행나무잎 추출물 (Ginkgo Biloba Leaf Extract),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Eucalyptus Globulus Leaf Extract), 비파나무잎 추출물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 약모밀 추출물, 히노키티올 (Houttuynia Cordata Extract), 피이지-20 솔비탄코코에이트(PEG-20 sorbitan coco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는 농도(%) 5.5인 다이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농도(%) 8인 프로방스장미꽃수(Rosa Centifolia Flower Water), 농도(%) 3.5인 버지나아풍년화수(Hamamelis Virginiana (Witch Hazel) Water), 농도(%) 0.5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농도(%) 0.25인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 농도(%) 0.03인 판테놀(Panthenol), 농도(%) 0.03인 글리세릴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 및 농도(%) 0.06인 항균항염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에 의하면,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 제조방법(S100)에 의하여 제조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이 알코올을 대체하여 피부 건조증 및 피부염이 문제되지 않으며 황칠 성분으로 인해 뛰어난 살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실시예에 따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와 이를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피부세포 재생 효과, 항염증 효과, 항균 효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인간피부세포(HaCaT)의 세포 증식활성 실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로로 처리된 인간피부세포(HaCaT)의 세포 증식율(%)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인간피부세포(HaCaT)에 대한 독성 실험 결과(미도시)에 의하면,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이 인간피부세포(HaCaT)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범위는 0%에서 1%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예 1에서는,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이 인간피부세포(HaCaT)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범위인 0%에서 1%이하로 인간피부세포(HaCaT)을 처리한 후 인간피부세포(HaCaT)의 세포 증식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로 처리된 인간피부세포(HaCaT)는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시료농도(%) 0)과 비교하여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농도 및 처리시간 이 증가함에 따라 인간피부세포(HaCaT) 증식 활성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성분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인간피부세포(HaCaT)에 대한 높은 재생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가 피부세포 재생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일산화질소(NO) 함량생성 억제효과에 대한 실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일산화질소(NO)는 높은 반응성을 가진 생체 생성분자로, 신경전달, 혈관의 이완 및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체의 피부가 염증상태에 빠지게 되면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OS(iNOS)가 발현되면서 다량의 NO가 생성되어 피부염증이 악화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로 처리된 일산화질소(NO)가 생성된 마우스 대식세포(RAW264.7세포)의 일산화질소(NO) 생성 활성율(%)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예 2에서는, 마우스 대식세포(RAW264.7세포)에 지질다당질(lipopolysaccharide(LPS))을 처리하여 일산화질소(NO) 생성을 유도하고 여기에 황칠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황칠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일산화질소(NO) 생성 활성율(%)을 분석하였다.
상세하게는,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로 처리된 일산화질소(NO)가 생성된 마우스 대식세포(RAW264.7세포)의 일산화질소(NO) 생성 활성율(%)은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로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산화질소(NO)가 생성된 마우스 대식세포(RAW264.7세포)의 일산화질소(NO) 생성 활성율(%)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성분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에 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가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대장균(E. coil)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예 3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농도 0%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로 처리되지 0% 처리군의 대장균(E. coil)은 감소되지 않았으나, 농도 0.5%, 농도 1% 및 농도 2%의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로 처리된 농도 0.5% 처리군, 농도 1% 처리군 및 농도 2% 처리군 각각의 대장균(E. coil)은 99.9% 이상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성분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대장균(E. coil)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대장균(E. coil)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예 4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농도 0%로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로 처리되지 0% 처리군의 대장균(E. coil)은 감소되지 않았으나, 농도 25%, 농도 50% 및 농도 100%의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농도 25% 처리군, 농도 5% 처리군 및 농도 100% 처리군 각각의 대장균(E. coil)은 99.9% 이상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대장균(E. coil)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조성물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녹농균(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예 5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농도 0%로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로 처리되지 0% 처리군의 녹농균(P. aeruginosa)은 감소되지 않았으나, 농도 0.5%, 농도 1% 및 농도 2%의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로 처리된 농도 0.5% 처리군, 농도 1% 처리군 및 농도 2% 처리군 각각의 녹농균(P. aeruginosa)은 99.9% 이상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성분 중 하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녹농균(P.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녹농균(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실험예 6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농도 0%로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로 처리되지 0% 처리군의 녹농균(P. aeruginosa)은 감소되지 않았으나, 농도 25%, 농도 50% 및 농도 100%의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농도 25% 처리군, 농도 5% 처리군 및 농도 100% 처리군 각각의 녹농균(P. aeruginosa)은 99.9% 이상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의 녹농균(P.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여러 실시예에서 기재하고 있는 각종 구성량, 비율 등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각 구성량, 비율 등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고, 농도(%) 0.25인 피톤치트 복합물 및 농도(%) 0.05인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를 포함하며,
    상기 피톤치트 복합물은,
    은행나무잎 추출물(Ginkgo Biloba Leaf Extract), 유칼립투스잎 추출물(Eucalyptus Globulus Leaf Extract), 비파나무잎 추출물(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 약모밀 추출물, 히노키티올(Houttuynia Cordata Extract), 피이지-20 솔비탄코코에이트(PEG-20 sorbitan cocoate)를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농도(%)는 0.05 이상에서 2 이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의 농도(%)는 0.05 이상에서 1 이하인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4. 삭제
  5. 삭제
  6. 황칠 동충하초 균사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고, 농도(%) 5.5인 다이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농도(%) 8인 프로방스장미꽃수(Rosa Centifolia Flower Water), 농도(%) 3.5인 버지나아풍년화수(Hamamelis Virginiana (Witch Hazel) Water), 농도(%) 0.5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농도(%) 0.25인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 농도(%) 0.03인 판테놀(Panthenol), 농도(%) 0.03인 글리세릴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 및 농도(%) 0.06인 항균항염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항염 식물추출물은,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Salix Alba (Willow) Bark Extract), 편백잎추출물(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오레가노잎추출물(Origanum Vulgare Leaf Extract), 육계나무껍질추출물(Cinnamomum Cassia Bark Extract),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쇠비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락토바실러스/콩발효추출물(Lactobacillus/Soybean Ferment Extract)를 포함하는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KR1020200137264A 2020-10-22 2020-10-22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KR10244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64A KR102441477B1 (ko) 2020-10-22 2020-10-22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64A KR102441477B1 (ko) 2020-10-22 2020-10-22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54A KR20220053154A (ko) 2022-04-29
KR102441477B1 true KR102441477B1 (ko) 2022-09-07

Family

ID=8142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264A KR102441477B1 (ko) 2020-10-22 2020-10-22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4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9874A (ja) 2002-07-31 2004-02-26 Terra Bio Remedic Co Ltd フィトンチッド水溶液
KR101065636B1 (ko) 2011-01-18 2011-09-19 (주)농협아그로 피톤치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과일봉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433A (ja) * 1998-02-18 1999-08-24 Nobuhiro Suzuki 消臭性を付与した抗菌剤
US8541472B2 (en) * 2001-12-05 2013-09-24 Aseptica, Inc. Antiseptic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KR100770427B1 (ko) * 2006-02-07 2007-10-26 담양군 목(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목(죽)초액 조성물
KR101249977B1 (ko) 2010-07-09 2013-04-03 석민정 황칠 나무 추출액 및 분말가루를 함유하는 비누
KR101233788B1 (ko) * 2010-10-22 2013-02-15 (주) 피러스 잣나무 구과에서 추출한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천연 항균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과실의 병해 방재 소재
KR20130037956A (ko) * 2011-10-07 2013-04-17 최재홍 황칠나무를 이용한 알칼리 액상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67435B1 (ko) 2018-06-04 2020-01-17 강윤석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9874A (ja) 2002-07-31 2004-02-26 Terra Bio Remedic Co Ltd フィトンチッド水溶液
KR101065636B1 (ko) 2011-01-18 2011-09-19 (주)농협아그로 피톤치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과일봉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명과학회지 Vol.29 No.1 pp.29-3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54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861B1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KR101571323B1 (ko) 허브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Ajani et al. Avocado pear fruits and leaves aqueous extracts inhibit α-amylase, α-glucosidase and snp induced lipid peroxidation–an insight into mechanisms involve in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KR102441477B1 (ko) 무알콜 항균 황칠 살균제
KR101713654B1 (ko) 후박나무 추출물과 피톤치드 오일을 함유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KR101437336B1 (ko) 침엽수잎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KR101744392B1 (ko) 발효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7023B1 (ko) 청열, 항균 및 과산화지질 제거 기능을 갖는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595996A (zh) 一种艾草复合中药水溶性抑菌膏的制备
KR102259004B1 (ko) 상백피 추출물, 방울양배추 추출물, 소프넛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
JH et al.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of stem bark extracts of Leptadenia lancifolia
KR102322687B1 (ko) 부아메라열매오일과 클로브꽃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668034B1 (ko) 발효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140958B1 (ko) 박하, 계피, 오레가노,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효과를 갖는 기능성 샴푸 제조방법
KR20140110375A (ko) 인동초 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19829B1 (ko) 생더덕과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Adhiningtyas et al. Inhibitory potency of butterfly pea (Clitoria ternatea Linn.) extract against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KR102299413B1 (ko) 냄새 제거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두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iatta et al.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talk and fruit of Solanum aethiopicum L.(Solanaceae)
KR102325161B1 (ko) 반려동물의 모낭충 제거 및 냄새 제거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4044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2512244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1286B1 (ko) 피부 미백능이 있는 한방 재료의 세포독성을 저감시키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