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369B1 -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워시코트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워시코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369B1
KR102441369B1 KR1020200169125A KR20200169125A KR102441369B1 KR 102441369 B1 KR102441369 B1 KR 102441369B1 KR 1020200169125 A KR1020200169125 A KR 1020200169125A KR 20200169125 A KR20200169125 A KR 20200169125A KR 102441369 B1 KR102441369 B1 KR 102441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exhaust gas
refractory oxide
slurry suspension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235A (ko
Inventor
지용수
김병석
나승철
Original Assignee
희성촉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촉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촉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3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56Platinum group metals
    • B01J23/63Platinum group metals with rare earths or actin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15Co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 정화용 담체 또는 캐리어에 코팅되는 워시코트 또는 슬러리 현탁에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한 의 슬러리 현탁액은 귀금속 성분을 함유하는 내화성 산화물이 포함되고, 피착체에 대한 부착력 개선을 위한 바인더 및 분쇄 단계에서 점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분산제가 더욱 포함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워시코트{CATALYST WASHCOAT FOR PURIFYING EXHAUST GAS}
본 발명은 자동차 내연 기관 등의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슬러리 현탁액인 워시코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배기가스 정화용 담체 또는 캐리어에 코팅되는 워시코트에 있어서, 캐리어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고 균일한 점성을 가지는 워시코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열 담체 상에 내화성 산화물이 단층 또는 다중층으로 코팅되는 촉매부재가 알려져 있다. 담체는 캐리어라고도 칭하며, 통상 워시코트라고도 부르는 촉매성분을 함유한 내화성 산화물 입자들을 포함하는 슬러리 현탁액이 코팅되는 부재로서, 자동차 내연기관 등의 후처리 장치 중 일부를 구성한다. 담체는 배기가스 입구에서 배기가스 출구까지 연장되고 얇은 벽에 의하여 분할되는 긴 유동 도관을 가지며, 이때 도관을 셀이라고도 부른다. 얇은 벽에는 상기 워시코트가 코팅 또는 침적되어 단일층 또는 다중층을 형성한다. 슬러리 현탁액에는 다종의 귀금속 촉매성분들이 함유되며, 귀금속 촉매성분은 통상 비표면적이 크고 지지체라고 칭하는 내화성 산화물에 함침된다. 얇은 벽에 코팅되는 슬러리 현탁액은 얇은 벽 및 이미 도포된 코팅층과의 우수한 부착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피착체에 대한 부착력 개선을 위하여 부착 증진제가 부가된 슬러리 현탁액은, 종종 과도한 분쇄 영향 (comminution effect)에 의한 점도 상승으로 물성 조절이 난해한 슬러리 현탁액으로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고점도의 워시코트는 담체에 담지되기 어려워 슬러리 현탁액의 농도를 낮추게 되고 자연히 코팅량, 즉 Wet 상태에서의 코팅량이 증가되므로 코팅 및 건조 과정에서 셀 부분에서 턱짐 현상을 유발시키고 이에 따라 부착 증진제를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부착 성능이 더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었으며 최적의 바인더 및 최적의 분산제를 제시하여 이들이 동시에 적용되는 슬러리 현탁액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부재인 담체에 코팅되는 워시코트에 부착력 개선을 위한 선택적 바인더 및 점도 상승으로 인한 턱짐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분산제가 부가되는 워시코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워시코트가 적용되는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부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부재의 담체에 코팅되는 워시코트에 있어서, 촉매성분들이 함침된 촉매 활성 내화성 산화물 입자에 무기 바인더로서 알루미나 및 분산제로서 아크릴산 또는 무수말레인산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또는 폴리카르본산염이 포함되는 워시코트에 의해 달성된다. 비제한적으로, 촉매 활성 내화성 산화물은 세리아 복합산화물이고, 알루미나는 보헤마이트가 예시되고, 분산제로서 무수말레인산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이 예시된다.
도 1은 촉매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워시코트가 적용되어 코팅 표면에 균열이 생긴 코팅층의 사진이다.
도 3은 슬러리 제조과정에서 분쇄에 따른 입도 및 점도 변화 및 분쇄에너지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부착 증진제 및 분산제가 적용된 경우 슬러리 제조과정에서 분쇄에 따른 입도 및 점도 변화 및 분쇄에너지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기재한다.
도 1은 촉매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슬러리 현탁액 제조 과정 및 슬러리 현탁액을 피착체로 코팅하는 과정으로 대분할 수 있다. 슬러리 현탁액 제조과정을 살피면 미분쇄 내화성 산화물에 귀금속을 함침하는 단계, 귀금속이 함침된 내화성 산화물을 분산하는 단계, 이를 분쇄하여 저장하는 단계로 세분된다.
구체적으로는 세리아 복합산화물과 같은 미분쇄 내화성 산화물을 혼합기에 넣고, 용액 또는 현탁액 상태의 귀금속 화합물 예컨대 백금 또는 팔라듐 또는 로듐 화합물을 소량씩 또는 한꺼번에 혼합기에 첨가하면서 미분쇄 촉매 활성 내화성 산화물과 교반한다. 이어서, 아세트산 용액, 적합하기로는 10-20%의 아세트산 용액을 미분쇄 내화성 산화물 및 귀금속화합물이 함유된 혼합물에 첨가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귀금속 화합물, 아세트산 및 순수한 물이 함유된 내화성 산화물을 밀(mill)에 넣고 분쇄하여 슬러리 현탁액을 형성시켜 후에 사용하도록 보관하거나 담체상에 코팅시킨다.
코팅 과정은 워시코트 코팅 단계, 건조단계 및 소성 단계로 구분되고, 이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슬러리 현탁액 또는 위시코트를 담체 상에 도포시킨다. 담체는 원통형 모노리틱 코디어라이트 담체일 수 있다. 슬러리를 3-10초 동안 담체에 도포시키고, 셀 중의 과량의 슬러리를 흡입 또는 공기기류로 제거하고, 담체를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 후, 200°-900℃에서, 15-60분 동안 소성하여 촉매부재를 완성한다. 그러나, 종래 슬러리 현탁액을 이용하여 촉매부재를 완성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때로 부착력 부족으로 코팅층 일부가 균열되어 피착체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워시코트는 이를 구성하는 입자들 간의 응집(Cohesion)이 쉽게 이루어지고 담체 또는 하층 코팅된 반제품 등 피착체에 용이하게 정착(Anchoring)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부착력 증대를 위하여 부착제가 적용되는 슬러리 현탁액의 경우에는 현저하게, 분쇄 과정에서의 강한 응집력으로 작은 충격에너지에도 쉽게 슬러리 입자가 분쇄되는 경향이 있고, 슬러리 내에서 입도 목표 대비 이하의 입자가 과잉으로 존재하는 많은 사례를 확인하였으므로, 분쇄 과정에서 지수함수적인 (exponential) 응집성을 제한하여 입자 주위에 충분한 표면에너지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강한 응집력의 슬러리 현탁액은 코팅 및 건조 시 셀 내부에서 슬러리의 턱짐 현상을 유발시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분량의 워시코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슬러리 현탁물에 부착제가 적용되는 경우 필연적으로 이에 의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분산제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한 워시코트는 종래 워시코트와는 달리 무기 바인더로서 알루미나 및 분산제로서 아크릴산 또는 무수말레인산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또는 폴리카르본산염을 더욱 포함한다. 워시코트의 촉매성분들이 함침된 내화성 산화물은 세리아 복합산화물, 활성 알루미나, 알파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및 티타니아가 예시되고, 백금, 로듐 등의 귀금속 촉매성분이 지지체인 내화성 산화물에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착력 증대를 위한 최선의 부착제로서 알루미나 특히 보헤마이트, 즉 수산화기(-OH)가 1개인 1가인 γ가 채용되고, 분산제로서 무수말레인산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이 선택된다.
실시예 1: 부착 증진제 선택
세리아 복합산화물 촉매의 슬러리 현탁액을 준비하고 바인더로서 보헤마이트, 인산알루미늄, 질산알루미늄, 실리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를 각각 첨가하고 부착력을 시험하였다. 표 1에 슬러리 현탁액 중 각각의 바인더 첨가량 및 부착력 결과를 표기한다.
바인더 유형 중량비, % 부착력 Test 결과(Loss,%), [기준: -0.3% 미만]
바인더 없음 -0.50%
AlOOH 11.6% -0.01%
인산알루미늄 15.0% -0.01%
질산알루미늄 15.0% -0.01%
규산염 13.5% -0.01%
폴리아크릴레이트 20.0% -0.01%
표 1에 의하면, 부착 증진제를 적용하는 경우 피착체에 대한 부착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재료의 사용량 및 재료 단가 등을 고려할 때 AlOOH계의 부착 증진제가 최선이라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2: 입도 및 점도 변화
도 3은 슬러리 현탁액 제조과정에서 분쇄에 따른 입도 및 점도 변화 및 분쇄에너지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이를 살피면, 초기 25.0um에서 목표 PSD(10.5um)까지 분쇄를 진행할 경우 점도가 2,000cP에서 6,500cP까지 지수함수적으로 상승하였다. 따라서 입자-입자간의 거리가 짧아지고, 입자 주위의 표면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분쇄에너지(=Mill RPM)로 쉽게 분쇄되므로, 분쇄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목표 입도 이하의 입자들 과밀 방지를 위해 Mill RPM을 점차적으로 줄이면서 분쇄하여도 목표 입도 이하로 쉽게 분쇄되어 표 2에서 정리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슬러리 현탁액은 부착 성능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입도 PSD 점도, cP 부착력 시험 결과, Loss %
9.5 5200 -0.41
9.3 5500 -0.45
9.1 6500 -0.48
분쇄과정을 통해 입자의 크기를 줄이는 이유는 현탁액을 담체에 코팅할 때 셀 막힘 방지 및 배압 감소를 위한 것이고, 분쇄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급격한 점성 증가 없이, 균일한 물성을 제어할 효과적인 제조 방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균일한 물성 제어를 위해 최적의 분산제가 적용되었다.
실시예 3: 분산제 선택
부착 증가제로서 보헤마이트가 첨가된 세리아 복합산화물 촉매의 슬러리 현탁액에 분산제로서 아크릴산 고분자, 무수말레인산 고분자, 폴리아크릴산암모늄, 폴리비닐피로리돈 고분자, 인산염 고분자, 폴리카르본산염, 폴리카르본산아민염, 폴리카르본산나트륨염, 폴리인산암모늄을 각각 첨가하고 슬러리 점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 3에 각각의 분산제 투입에 따라 점도 변화를 표기한다.
분산제 유형 분산제 첨가에 따른 점도 변화, △cP
분산제 없음 2500
아크릴산 고분자 1500
폴리아크릴산암모늄 5000
무수말레인산 고분자 950
폴리비닐피로리돈 고분자 4500
인산염 고분자 3600
폴리카르본산염 1300
폴리카르본산아민염 3200
폴리카르본산나트륨염 6000
폴리인산암모늄 2500
표 3에 의하면, 아크릴산 고분자/폴리카르본산염/무수말레인산 고분자의 3가지 유형의 분산제가 분산성 개선 및 균일한 물성 제어에 유리하다는 것을 보인다. 특히 무수 말레인산 계열의 분산제가 투입량/단가를 고려하여 분산성 개선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분쇄 단계 이전에 슬러리 현탁액 중량 대비 5% 투입 시 분쇄 후 점도가 약 1,000cP이하로 점도의 급격한 상승 없이 안정적인 슬러리 현탁액 물성을 얻을 수 있었다.도 4는 분산제로서 무수말레인산 고분자가 첨가된 경우 슬러리 현탁액 제조과정에서 분쇄에 따른 입도 및 점도 변화 및 분쇄에너지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분쇄 진행 시 무수말레인산 고분자 분산제 적용으로 입자-입자간의 거리를 늘려 표면에너지를 최대로 하여, 일정량의 분쇄 에너지(=Mill RPM)로도 목표 입자 크기 이하의 입자들로 과밀이 되지 않았다. 분쇄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급격한 점도 상승 없이, 균일한 점성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표 4에 정리된 바와 같이 균일한 점성 제어 능력으로 부착력 개선을 확인할 수 있다.
입도 PSD 점도, cP 부착력 시험 결과, Loss %
10.5 950 -0.01
10.1 650 -0.02
10.3 820 -0.02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의한 부착 증진제로서 보헤마이트 및 분산제로서 무수말레인산 고분자가 첨가된 슬러리 현탁액을 이용하여 촉매부재를 제조하여 엔진 및 차량 평가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신규 바인더 및 분산제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촉매 활성에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슬러리 현탁액 제조방법으로서,
    미분쇄 내화성 산화물 및 귀금속 화합물을 혼합하여 귀금속 함침 미분쇄 내화성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귀금속 함침 미분쇄 내화성 산화물에 아세트산 용액 및 부착 증가제로서 보헤마이트를 첨가하여 미분쇄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분쇄 슬러리를 분쇄하여 슬러리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미분쇄 슬러리를 분쇄하기 전에, 분산제로서 무수말레인산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고분자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슬러리 현탁액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산화물은 세리아 복합산화물인,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슬러리 현탁액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00169125A 2020-12-07 2020-12-07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워시코트 KR10244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25A KR102441369B1 (ko) 2020-12-07 2020-12-07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워시코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25A KR102441369B1 (ko) 2020-12-07 2020-12-07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워시코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35A KR20220080235A (ko) 2022-06-14
KR102441369B1 true KR102441369B1 (ko) 2022-09-06

Family

ID=8198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125A KR102441369B1 (ko) 2020-12-07 2020-12-07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워시코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3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8394A1 (fr) * 2002-02-15 2003-08-21 Ict Co., Ltd. Catalyseur permettant de clarifier les emissions provena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procede de clarification des emissions provena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20100081563A1 (en) * 2008-09-26 2010-04-01 Andrew Edgar-Beltran Adhesion and coating integrity of washcoats and overcoats
CN103958027A (zh) * 2011-10-06 2014-07-30 巴斯夫公司 在衬底、载体和/或涂有载体的衬底上涂覆吸附剂涂层的方法
KR101550614B1 (ko) * 2014-02-11 2015-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담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KR101575327B1 (ko) * 2014-04-24 2015-12-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 이의 제조 방법, 및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35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2675B2 (ja) 排ガス浄化触媒
US9051857B2 (en) Diesel particle filter with improved back pressure characteristics
EP2611755B1 (en) Method for applying discriminating layer onto porous ceramic filters
KR100836059B1 (ko) 점토를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US5272125A (en) Method of making a washcoat mixture and catalyst for treatment of diesel exhaust
CA2787909C (en) Filter used for filtering molten met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0500154B1 (en) Improved ceramic coating for a catalyst support
JP4778682B2 (ja) 硫化水素抑制用触媒組成物
EP0560074A1 (en) High surface area washcoated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JP4907108B2 (ja) スラリーの粘度の調整方法および排ガス浄化触媒用コーティングスラリー
EP1319436B1 (en) Method for producing catalyst body and carrier having alumina carried thereon
KR102441369B1 (ko)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워시코트
CN103476497A (zh) 将催化剂涂覆在基材上的方法
JP2507146B2 (ja) 触媒被覆層の形成方法
JP5232368B2 (ja) スラリーコート用ハニカム構造体
JP4355469B2 (ja) アルミナ担持担体、触媒体及びアルミナ担持担体の製造方法
JP2000024518A (ja) 触媒装置の製造方法
EP1144117A1 (en) Improvements in coatings
JP2533703B2 (ja) 炭化水素の高温水蒸気改質反応用触媒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244580B2 (ko)
CN113457660A (zh) 一种汽油车颗粒捕集器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12774677A (zh) 排气净化用催化剂装置的涂层的制造方法
JPH044041A (ja) ハニカム触媒担体ウォッシュコート層の形成方法
JP3264498B2 (ja) 窒素酸化物除去用板状触媒の製造方法
CN116078422A (zh) 一种位于汽车底盘的三金底盘催化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