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906B1 -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906B1
KR102440906B1 KR1020220045109A KR20220045109A KR102440906B1 KR 102440906 B1 KR102440906 B1 KR 102440906B1 KR 1020220045109 A KR1020220045109 A KR 1020220045109A KR 20220045109 A KR20220045109 A KR 20220045109A KR 102440906 B1 KR102440906 B1 KR 10244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bar
controller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만섭
Original Assignee
전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만섭 filed Critical 전만섭
Priority to KR102022004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electronic means
    • B65H59/387Regulating unwind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30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원(380)선 및 통신선을 포함하는 컨트롤러(313)가 병렬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계설비에 있어서 컨트롤러(313)를 각 기계설비에 병렬적으로 설치함에 있어서 간단하면서 단정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지지바(120)(BAR)를 포함하는 기계설비용 프레임 구조에 결합되는 컨트롤러(313) 결합구조에 있어서,
평행하게 대면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120)에 각각 고정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 대면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 사이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연결바(330); 및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를 각각 상기 지지바(120)(BAR)에 결합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플레이트(310) 또는 제2플레이트(320)에 컨트롤러(313)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A CONTROLLER INSTALLING STRUCTURE FOR MACHINERY}
본 발명은 전원선 및 통신선을 포함하는 컨트롤러가 병렬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계설비에 있어서 컨트롤러를 각 기계설비에 병렬적으로 설치함에 있어서 간단하면서 단정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기계를 포함하는 기계 생산설비는 생산량 증대와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복수개의 기계설비가 병렬적으로 설치된다. 각 기계설비를 통해서 각각의 생산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각각의 기계설비를 자동적으로 제어되기 위해서 각종 센서와 구동부들이 각각의 기계설비에 구비되고, 각 센서와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각각 포함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컨트롤러는 기계설비의 프레임 구조에 설치된다.
다만, 각각의 기계설비에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이와 같은 컨트롤러에 의해서 제어되는 각각의 센서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게 된다. 특히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통상 유선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컨트롤러를 복수개 연결하는 과정에서 많은 전원선과 제어선들이 어지럽게 부가되므로, 단정하게 정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복수의 기계설비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서부 및 컨트롤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게 되는 컨트롤러 구조에서 기계설비에 포함되는 프레임에 용이하게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구조를 착안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4804 (2014년 03월 10일. 등록)
본 발명은 병렬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기계설비에 있어서, 기계설비를 구성하도록 지지바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각종 센서와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컨트롤러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컨트롤러(313)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지지바(120)(BAR)를 포함하는 기계설비용 프레임 구조에 컨트롤러(313)를 결합하기 위한 컨트롤러(313) 결합구조에 있어서,
제1지지바(120)에 고정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310);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상기 제1지지바(12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제1플레이트(310)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돌기(312)와 고정공(311)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돌기는 제1지지바(120) 측면의 소정 구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바(120)에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311)은 상기 고정돌기에 대해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바(120)와 상기 제1플레이트(310)의 고정공(311)은 고정핀(34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바(120)에 인접한 제2지지바(130)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32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플레이트(320)는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되고 이들 사이는 연결바(330)에 의해서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바(130)에 결합되는 상기 제2플레이트(320)의 측면도 고정돌기(322)와 고정공(32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기는 고정되는 제2지지바(130) 측면의 소정 구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바(130)에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321)은 상기 고정돌기(322)에 대해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바(130)와 상기 제2플레이트(320)의 고정공(321)은 고정핀(340)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연결바(330)는 관통하는 중공부(331)가 형성되도록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바(330)가 결합되는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의 대응위치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310)의 외측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320)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관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기계설비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조물에 장착되는 컨트롤러(313)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바(120)를 포함하는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지지바(120)에 컨트롤러(313)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전원(380)선이나 제어선을 단정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러(313) 장착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구제적으로 본 발명은 중공부(331)를 구비한 연결바(330)를 통해서 인접한 다른 컨트롤러(313)에 전원(380)선과 제어선을 용이하고 단정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의 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돌기(312, 322)에 의해 제1지지바(120)와 제2지지바(130)의 측면을 지지하게 되고, 각 지지바(120, 130)에 형성된 고정공(121, 131), 그리고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에 각각 구비된 고정공(311, 321)을 고정핀(340)으로 관통되도록 하면서 결합하게 되므로, 고정돌기와 고정공을 구비하여 컨트롤러(313) 장착구조물을 용이하게 기계설비의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 장착구조물의 일 실시예
도 2는 도 1에 따른 컨트롤러 장착구조물을 지지프레임에 설치한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구비된 컨트롤러 장착구조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인출장치를 직렬로 복수로 설치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연결 예시도
본 발명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평행하게 복수개 배열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작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지지바(120)(BAR)를 포함하는 기계설비용 프레임 구조에 컨트롤러(313)를 결합하기 위한 컨트롤러 결합구조에 있어서,
제1지지바(120)에 고정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310);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상기 제1지지바(12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제1플레이트(310)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돌기(312)와 고정공(311)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공(311)은 상기 고정돌기(312)에 대해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312)는 제1지지바(120) 측면의 소정 구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바(120)에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바(120)의 고정공(121)과 상기 제1플레이트(310)의 고정공(311)은 고정핀(340)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바(120)와 더불어 제2지지바(130)에도 동일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바(120)에 인접한 제2지지바(130)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32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플레이트(320)는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되고 이들 사이는 연결바(330)에 의해서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바(130)에 결합되는 상기 제2플레이트(320)의 측면도 고정돌기(322)와 고정공(32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기(322)는 고정되는 제2지지바(130) 측면의 소정 구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바(130)에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321)은 상기 고정돌기(322)에 대해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바(130)와 상기 제2플레이트(320)의 고정공(321)은 고정핀(340)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공은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병렬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20, 130)를 포함하는 프레임구조에 컨트롤러(313)를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는 기계설비 설치용 지지바(120, 130)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의 측면에 각각 고정돌기와 고정공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공은 상기 제1플레이트(310) 또는 제2플레이트(320)를 제1지지바(120) 또는 제2지지바(130) 각각에 대해서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공에 의해서 위치고정된 상기 제1플레이트(310) 또는 제2플레이트(320)는 상기 지지바(12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회전이 불가하도록 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는 고정되는 지지바(120)(BAR)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120)(BAR)에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와 상기 고정돌기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를 평행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바(120)에 고정결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볼트결합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의 측면을 따라서 접촉되도록 수직하게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되, 길게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일직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에는 각각 상기 지지바(120)의 고정공에 일치하는 고정공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이격거리를 두고 구비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310)의 고정공과 지지바(120)의 고정공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고정핀(340)에 의해서 상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서 제1플레이트(310)는 좌우 회전이 제한되고 고정공과 고정핀(340)의 결합에 의해서 상하 위치가 제한되므로, 상기 제1플레이트(310) 또는 제2플레이트(320)는 지지바(120)에 대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상기 고정공의 중심과 상기 고정돌기의 이격 거리(S)와 상기 제1지지바(120) 또는 제2지지바(130)의 폭(W)과의 상관관계는,
0 < S < W 이고,
상기 제1지지바(120) 또는 제2지지바(130)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바(120)와 제2지지바(1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기 고정돌기의 양단 거리(d)와 제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의 폭(D)의 상관관계는,
2W < d < D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바(330)는, 중공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에는 결합되는 대응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310)의 외측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320)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관통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연결바(330)가 중공부(331)를 구비한 중공관의 형태를 가지되,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를 관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5와 같이 전원(380)선과 제어선을 용이하게 보이지 않도록 구성하면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병렬적으로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컨트롤러(313)는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전원(380)선 또는 제어선을 제1컨트롤러(313)와 제2컨트롤러(313)를 상호 연결시켜주어야 하는데, 이때 전원(380)선과 제어선을 지지바(120)의 외부로 연결하게 될 때, 사고의 위험도 존재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연결관의 중공부(331)를 통해서 상호 연결하게 되면, 단정하면서도 위험도를 한층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313) 장착구조물에 의한 장착 사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섬유사(231)를 인출하는 인출장치에 있어서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컨트롤러(313)를 지지프레임(100)의 지지바(120)에 설치한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313) 장착구조물은 섬유사(231) 인출장치의 장력조절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지바(120)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일예로서, 지면에 대해서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대해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한 쌍의 지지바(120)이 이격되어 구비된다. 다만 이러한 지지프레임(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바(120)이 아닌 수평프레임에 컨트롤러(313) 장착구조물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빔(200)'은 섬유사(231)가 권취되는 권취부(230)가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부(230) 양단으로 수직하게 디스크 형태의 측판이 구비된다. 상기 양쪽의 측판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이 상기 지지바(120)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고 빔(200)의 섬유가를 다 사용한 경우에는 새로운 빔(200)으로 교체되어 안착된다.
즉, 도 4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지지바(120)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10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빔(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섬유사(231)의 장력을 조절하는 섬유사(231) 장력조절장치로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지지바(120)에 고정결합되는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 사이에서 양단이 직교하도록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바(330); 상기 연결바(330) 측면에 직교하도록 일단이 결합 고정되는 로드셀(350); 상기 로드셀(350)의 타단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베어링(361); 상기 지지베어링(361)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롤러(360); 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310)에는 상기 로드셀(350)의 측정값에 따라서 제어되는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313) 역시도 제1플레이트(310)에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350)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아서 구동모터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섬유사(231)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지지바(120)에 결합 고정되되, 장력조절장치의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이 각각 지지바(120)에 흔들림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 사이에는 양단이 직교가 되도록 연결바(33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바(330)의 측면에는 로드셀(350)이 직교되도록 한 쌍의 로드셀(350)의 일단이 결합고정되고 상기 로드셀(350)의 타단에는 지지베어링(36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지지베어링(361)에 지지롤러(36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질롤러는 상기 지지베어링(361)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빔(200)으로부터 인출된 섬유사(231)는 상기 권취부(230)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지지롤러(360)에 의해서 방향이 변환되며, 상기 지지롤러(360)를 통과한 섬유사(231)는 직조지계가 배치된 방향으로 전진되기 위해서 다시 한번 방향전환을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바(120) 등에 가이드롤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빔(200)으로부터 인출 공급되는 섬유사(231)는 지지롤러(360)와 가이드롤러를 거쳐서 직조기계를 향하여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섬유사(231)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빔(200)은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지지바(120) 사이에 안착되되, 상기 빔(200)의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축이 상기 지지바(120)에 결합 구비된 베어링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권취되었던 섬유사(231)가 풀리면서 권취부(230)로부터 섬유사(231)가 풀려나오면서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은 상기 빔(200)으로부터 상기 지지롤러(360)를 통과하는 섬유사(231)에 대해서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 사이를 수직하게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바(330)를 구비한다. 또한 로드셀(350)은 상기 연결바(330)와 상기 지지롤러(36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은 연결바(3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롤러(36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섬유사(231)가 상기 지지롤러(360)를 방향을 전환하면서 통과하게 될 때 상기 지지롤러(360)에 하중을 가하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바(330)에 대해서 로드셀(350)에 모멘트하중을 작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때 작용하는 하중은 로드셀(350)에 대해서 상방향으로 굽힘하중을 가하게 되고, 로드셀(350)의 상면은 압축하중을 받게 되며, 하면은 인장하중을 받게 된다. 로드셀(350)은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변환기로서, 힘 또는 하중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통상적인 로드셀(350)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guage)식 로드셀(350)을 의미하며, 스트레인 게이지(rain Guage)는 물리적인 변화량(Strain)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피측정물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저항센서이며, 금속 저항체를 당기면 길어지는 동시에 가늘어져 전기 저항값이 증가하고 반대로 압축되면 전기저항이 감소한다는 것으로 식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전기저항(R) = ρ(비저항률) L(도선사이의 거리)/A(단면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트롤러(313)와 제2컨트롤러(313)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트롤러(313)가 설치되는 일시예시는 로드셀(350)에 전원(380)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380)공급단자가 구비되며, 로드셀(350)의 저항값을 입력하는 신호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313)는 상기 로드셀(350)로부터 인가받은 압력수치값을 측정하고, 상기 로드셀(350)로부터 받아들인 압력수치값이 설정된 압력값을 Over할 경우 모터 구동을 제어하도록, 모터구동을 위한 24V의 모터전원(380) 단자가 구비되고, 또한 컨트롤러(313)의 제어전원(380)을 위한 5V 전원(380)단자가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313)는 로드셀(350)의 측정값에 따라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모터의 구동축과 직결되는 출력단자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13)는 외부의 PC 등의 단말기와 통신을 위하여 RS-232 또는 RS-485 와 같은 외부출력접점을 포함하여 통신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섬유사(231)의 진행에 따라서 로드셀(35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값 미만일때에는 정방향 회전, 소정값 이상일 때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모터는 소정값 범위내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5는 복수의 장력조절장치와 직조기계를 병렬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장력조절장치는 각각의 지지바(120)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설치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장력제장치에 구비되는 컨트롤러(313)는 인접한 컨트롤러(313)와 전원(380)선과 제어신호선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는데, 제1컨트롤러(313)의 모터구동전원(380) 접점은 인접한 제2컨트롤러(313)의 모터구동전원(380)과 공유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컨트롤러(313)의 통신접점은 제2컨트롤러(313)의 통신접점과 공유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330)의 중공부(331)를 통해서 전원(380)선과 제어신호선을 관통하도록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 지지프레임,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제1지지바, 130 : 제2지지바
200 : 빔
300 : 컨트롤러 장착수단
310 : 제1플레이트, 311 : 고정공, 312 : 고정돌기,
314 : 구동모터
320 : 제2플레이트, 321 : 고정공, 322 : 고정돌기,
330 : 연결바, 331 : 중공부 340 : 고정핀
350 : 로드셀, 360 : 지지롤러, 361 : 지지베어링
380 : 전원

Claims (4)

  1.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지지바(120)와 제2지지바(130)를 포함하는 기계설비용 프레임 구조에 컨트롤러(313)를 결합하기 위한 컨트롤러 결합구조에 있어서,

    한 쌍의 제1지지바(120)와 제2지지바(130)에 각각 고정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320)는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되고 이들 사이는 연결바(330)에 의해서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는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1지지바(120)와 제2지지바(13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에 구비된 고정공(311, 321)과 측면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312, 322)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돌기(312, 322)는 제1지지바(120) 및 제2지지바(130) 측면의 소정 구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바(120) 및 제2지지바(130)에 평행하도록 도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311, 321)은 상기 고정돌기(312, 322)에 대해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고정핀(340)에 의해서 상기 제1지지바(120) 및 제2지지바(130)의 지지공(121, 131)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330)는 관통하는 중공부(331)가 형성되도록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바(330)가 결합되는 상기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의 대응위치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310)의 외측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320)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311, 321)의 중심과 상기 고정돌기(312, 322)의 이격 거리(S)와 상기 제1지지바(120) 또는 제2지지바(130)의 폭(W)과의 상관관계는,
    0 < S < W 이고,
    상기 제1지지바(120)와 제2지지바(1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상기 고정돌기(312, 322)의 양단 거리(d)와 제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의 폭(D)의 상관관계는,
    2W < d < 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KR1020220045109A 2022-04-12 2022-04-12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KR10244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109A KR102440906B1 (ko) 2022-04-12 2022-04-12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109A KR102440906B1 (ko) 2022-04-12 2022-04-12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906B1 true KR102440906B1 (ko) 2022-09-05

Family

ID=8327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109A KR102440906B1 (ko) 2022-04-12 2022-04-12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9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903Y1 (ko) * 2001-03-26 2001-10-10 김귀남 분사정경기의 원사장력 감지장치
KR101336009B1 (ko) * 2013-06-24 2013-12-17 (주)엠티에스 텐션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공급장치
KR101374804B1 (ko) 2012-09-28 2014-03-17 임한석 섬유 장력조절장치
KR20180087650A (ko) * 2017-01-25 2018-08-02 임성균 가구용 골격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903Y1 (ko) * 2001-03-26 2001-10-10 김귀남 분사정경기의 원사장력 감지장치
KR101374804B1 (ko) 2012-09-28 2014-03-17 임한석 섬유 장력조절장치
KR101336009B1 (ko) * 2013-06-24 2013-12-17 (주)엠티에스 텐션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공급장치
KR20180087650A (ko) * 2017-01-25 2018-08-02 임성균 가구용 골격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599A (en) Strain force sensor means
US6491773B1 (en) Position-controlled tensioner system
US20020166917A1 (en) Electronic length control wire pay-off system and method
CN1072286C (zh) 用于织机的选纬和送纬纱装置
KR102440906B1 (ko) 기계설비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KR101241318B1 (ko) 송배전 특고압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US6595454B2 (en) Optical fiber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tension applied to an optical fiber
EP11129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nsion applied to an optical fibre
KR101593491B1 (ko) 장력 조절기를 갖는 연선 제조장치
KR102440903B1 (ko) 섬유사 공급 장력조절장치
CN112756506A (zh) 线束压直装置
US6135162A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a back rest and/or a drop wire position of a weaving machine
WO2016132284A1 (en) System for moving a platform and a useful load in space by using cables and drums arranged on the platform
CN1094008A (zh) 用于纺织机上的纱线络纱方法以及实施此方法的机器
CN212608770U (zh) 一种带有张力调节装置的收线架
CN100410432C (zh) 用于连接到梳理机上的纤维输送和堆放装置
US6499688B1 (en) Optical fiber ribbo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98175A (ko) 와이어지지용 활차를 구비하는 무대장치
KR102326864B1 (ko)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CN114229609A (zh) 一种干区张力平衡装置
KR100669258B1 (ko) 스트립 사행 감지 및 교정 기능을 갖는 수직형 루퍼 장치
KR102010930B1 (ko) 루퍼 캐리지의 강판 조정 장치
KR20090123625A (ko) 와이어의 드럼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장치
CN211393385U (zh) 一种调节线绳张力装置
JP6593260B2 (ja) 織機の開口装置におけるベアリング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