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505B1 -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 - Google Patents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505B1
KR102440505B1 KR1020170144460A KR20170144460A KR102440505B1 KR 102440505 B1 KR102440505 B1 KR 102440505B1 KR 1020170144460 A KR1020170144460 A KR 1020170144460A KR 20170144460 A KR20170144460 A KR 20170144460A KR 102440505 B1 KR102440505 B1 KR 10244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heet
seats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042A (ko
Inventor
김현식
최선기
이윤호
최지호
김주남
송종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5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5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key and sl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1)은 4개의 제1,2,3,4 시트(20-1,20-2,20-3,20-4)가 전후방시트 열로 장착된 상태에서 전후방시트 열의 전체시트회전과 함께 전후방시트 열의 각각에 대한 개별시트회전과 시트이동이 이루어지는 시트이동수단(30)을 차실내공간(9)의 플로어(floor)(2)에 구비함으로써 탑승인원수에 맞춘 시트 배열 변형으로 시트(20)의 점유로 한정된 차실내공간(9)에서 보다 넓은 충돌공간과 편의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어 승객 부상 방지 및 보호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구현한다.

Description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Arrangement Transform type Seat Apparatus and Vehicle therefor}
본 발명은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실내의 충돌공간을 빈 시트로 확장할 수 있는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가 적용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실내공간은 전방의 충돌공간과 함께 측면의 편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충돌에 따른 승객의 관성이동(즉, 충돌방향으로 튕겨나가는 승객 움직임)으로부터 승객이 보호받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충돌공간은 정면 충돌시 승객 머리와 스티어링 휠의 거리(또는 대시보드 및 인접 시트)와 같이 승객에서부터 충돌방향에 존재하는 차량의 실내 부품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편의 공간은 차폭의 좌우와 형성하는 측면 거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승객은 차량의 충돌 사고시 관성으로 충돌방향으로 튕겨나가는 승객 움직임을 억제하는 시트벨트의 물리적 구속과 함께 충돌공간 및 편의 공간에 의한 시너지 효과로 심각한 부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일특개 1995-108864(1995.04.25)
하지만 시트벨트는 충돌시 승객이 완전히 튕겨져 나가는 것을 구속하기는 하나 시트벨트가 맞닿는 승객 가슴 쪽 상해 발생 방지를 위해 과도한 승객 구속이 아닌 어느 정도 느슨한 구속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충돌공간이 한정된 차량실내공간의 설계 제약으로 넉넉하게 형성될 수 없는 상태에서 시트벨트의 느슨한 구속으로 충돌에 의해 튕겨져 나간 승객이 실내부품 및 인접 시트와 부딪혀 다칠 위험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
더구나 시트는 차실내공간에 고정 배열됨으로써 차실내공간에 마련되어야 하는 승객의 충돌공간과 편의 공간에 대한 설계도 제약할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시트는 적은 인원의 탑승에도 충돌공간과 편의공간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시트벨트를 맨 탑승인원의 관성 움직임 하에서 승객이 점유하지 않은 넓은 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정된 빈 시트로 인해 부상 방지를 위한 충분한 충돌공간이 확보될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시트 점유로 한정된 차실내공간이 시트 재배치로 변형됨으로써 소수의 탑승 승객에게 보다 넓은 공간 제공이 가능하고, 특히 탑승인원수에 맞춘 빈 시트의 재배치로 보다 넓어진 차실내공간으로 충돌공간과 편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관성에 의한 승객 움직임으로부터 승객 부상 방지 및 보호가 이루어지는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승객이 탑승하는 시트; 상기 시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 시트가 전후방시트 열로 구분되어 장착되고, 상기 전후방시트 열에 대한 전체시트회전 및 개별시트회전과 함께 상기 개별 시트의 각각에 대한 시트이동이 이루어지는 시트이동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체시트회전은 상기 전후방시트 열의 방향전환을 위한 정역회전이고, 상기 개별시트회전은 상기 개별 시트의 방향전환을 위한 정역회전이며, 상기 시트이동은 상기 개별 시트 간 접근과 분리를 위한 슬라이딩 이동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이동수단은 상기 시트를 위치시켜 상기 전체시트회전을 형성하는 시트 플레이트,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직선형상 플레이트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시트 열을 형성하는 시트 블록, 상기 개별 시트와 결합되어 상기 개별시트회전을 형성하면서 상기 시트 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 레일과 상기 시트 블록의 각각에 대해 상기 시트이동을 형성하는 시트 무버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 무버와 상기 시트 블록의 결합은 상기 시트 블록의 직선형상 볼록 홈과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록 홈은 상기 플레이트 레일에 대해 직교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플레이트 레일은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중앙구간에 대한 교차 직선의 제1,2 레일 경로로 구성되고, 상기 교차 직선은 상기 제1 레일 경로에서 상기 시트 블록을 매개로 위치된 상기 전후방시트 열의 개별 시트와 상기 제2 레일 경로에서 상기 시트 블록을 매개로 위치된 상기 전후방시트 열의 개별 시트가 상기 시트이동을 서로에 대해 다가가고 멀어지도록 형성해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 무버와 상기 개별 시트의 결합은 상기 개별 시트의 시트 홈과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홈과 상기 볼록 홈의 각각은 직선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은 차실내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 상기 플로어와 결합되어 상기 차실내공간에서 승객점유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시트와 후방시트의 시트 배열을 형성하는 제1,2,3,4 시트의 각각이 서로에 대해 다가가고 멀어져 상기 시트 배열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시트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 장치는 운전석을 이루는 대시보드의 뒤쪽에서 상기 차실내공간을 점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 배열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전방시트로 하고 상기 제3 시트와 상기 제4 시트를 후방시트로 구분하고, 상기 시트 배열의 변경은 회전과 이동에 의한 상기 제1,2,3,4 시트의 각각에 대한 시트위치변화로 상기 승객점유공간을 변화시켜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위치변화는 상기 제1 시트를 상기 전방시트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2,3 시트를 상기 제4 시트의 좌우에 인접시켜 상기 후방시트로 형성하는 2인 탑승, 상기 제1 시트를 상기 제4 시트로 이동시켜 상기 후방시트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2,3 시트를 상기 제1 시트의 좌우에 인접시켜 상기 후방시트로 형성하는 1인 탑승으로 구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 장치는 상기 제1,2,3,4 시트가 결합된 시트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플레이트는 상기플로어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 플레이트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은 시트의 배열 변형이 가능함으로써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시트의 배열 변형에 의한 시트 재배치가 가능함으로서 차실내공간의 편의 공간과 함께 충돌공간이 최대한 확보된다. 둘째, 충돌공간의 최대한 확보로 차량충돌시 관성에 의한 승객 움직임으로부터 승객 부상 방지 및 보호가 이루어진다. 셋째, 빈 시트의 재배치로 한정된 차실내공간을 탑승 승객 위주로 넓혀줄 수 있다. 넷째, 승객 위주로 넓혀진 차실내공간이 탑승인원수에 맞춰짐으로써 다양한 시트 배열이 이루어진다. 다섯째, 탑승인원의 선호에 맞춘 시트 재배열로 마주보기 및 등지고 보기 등이 가능하다. 여섯째, 차량 충돌시 시트벨트 맨 승객의 가슴 쪽 상해 발생 방지를 위한 시트벨트의 기능 개선 필요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기존 시트벨트 사양으로도 승객 보호 시너지 효과를 크게 향상시켜 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를 구성하는 시트이동수단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배열 변형을 위한 시트이동수단의 동작 상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탑승인원 축소에 맞춘 시트의 배열 변경으로 차실내공간에서 승객점유공간이 확장되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다양한 시트 배열로 변환 가능한 복수개 시트 열로 이루어진 시트 장치(10)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시트 장치(10)에는 대시보드(3)에 구비된 조작 버튼(70)과 전기회로를 구성한 컨트롤러(80)가 연계됨으로써 시트이동수단(30)의 동작 제어를 자동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1)은 플로어(floor)(2)가 바닥을 이루는 차실내공간(9)을 형성하고, 상기 차실내공간(9)은 운전석을 형성하는 대시보드(3)의 뒤쪽에서 플로어(2)에 설치된 시트 장치(10)가 점유한 승객점유공간(7)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 장치(10)는 복수개 시트 열의 시트(20)와 시트 열의 배열 변경을 위한 시트이동수단(30)을 포함함으로써 복수개 시트 열이 다양한 시트 배열로 변환 가능한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20)는 인접된 2개가 쌍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보는 4개의 제1,2,3,4 시트(20-1,20-2,20-3,20-4)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각각은 시트백과 시트쿠션 및 레그 받침으로 통상적인 시트와 동일하나 시트쿠션의 프레임에 시트 홈(21)이 형성되는 구조적 차이를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각각은 시트 홈(21)으로 시트이동수단(30)의 시트 액추에이터(60)와 연계됨으로써 시트 액추에이터(60)의 동작시 전후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이동수단(30)은 플로어(2)에 설치되어 차실내공간(9)에 승객점유공간(7)을 형성하는 시트 플레이트(40), 시트 플레이트(40)를 플로어(2)에 대해 회전시켜주는 플레이트 무버(plate mover)(50), 시트 무버(seat mover)(6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시트이동수단(30)은 시트 플레이트(40)와 플로어(2)의 회전 저항을 줄이도록 상호 연결 부위로 구비된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플레이트(40)에는 상면에 파여진 플레이트 레일(41)에 결합되어 플레이트 레일(41)을 따라 이동되는 시트 블록(43)이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 레일(41)은 상면에 파여진 홈으로 시트 블록(43)의 이동을 위한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시트 블록(43)은 시트 무버(60)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볼록 홈(43a)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플레이트 레일(4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블록보스(43b)를 저면으로 형성한다.
상기 플레이트 무버(50)는 동작시 시트 플레이트(40)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시트 플레이트(40)의 하면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플레이트 무버(50)는 시트 플레이트(40)의 회전동작을 위해 기어박스를 갖춘 모터로 구성되거나 또는 기어박스를 갖춘 회전식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무버(60)는 동작시 시트 블록(43)을 정역회전과 전후 슬라이딩 이동시켜주면서 시트 무버 바디에서 돌출된 시트 레일 로드(61)로 시트(20)와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 무버(60)에는 시트 무버 바디에서 돌출된 블록 돌기(61a)와 시트 레일 로드(61)의 끝단에서 돌줄된 시트 돌기(61b)를 구비한다. 상기 블록 돌기(61a)는 볼록 홈(43a)에 끼워져 시트 무버(60)를 시트 블록(43)과 결합시켜주고, 상기 시트 돌기(61b)는 시트 레일 로드(61)에 끼워져 시트(20)의 이동을 시트 블록(43)에 연계시켜 준다. 특히 상기 시트 무버(60)는 시트 블록(43)을 정역회전과 전후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위해 기어박스와 함께 직선이동변환기구를 갖춘 모터 또는 동등한 동작이 구현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직선이동변환기구는 직선운동을 하는 프리즈메틱 조인트(Prismatic Joint)와 회전운동을 하는 로테이셔널 조인트(Rotational Joint)로 구성된 직렬형 매니플레이터(manipulator)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시트 장치(10)는 플레이트 무버(50)에 의한 시트 플레이트(40)의 회전으로 시트(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동시에 시트 무버(60)에 의한 시트 블록(43)의 정역회전/전후 슬라이딩 이동으로 시트(20)의 배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80)는 조작 버튼(70)과 플레이트 무버(50) 및 시트 무버(60)와 전기회로를 형성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의 전력을 공급하고, 대시보드(3)에 구비된 조작 버튼(70)의 운전자 조작시 플레이트 무버(50)와 시트 무버(60)의 각각에 대한 동작신호를 ON/OFF 신호 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DUTY로 출력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80)는 조작 버튼(70)의 신호로 시트(20)의 제1,2,3,4 시트(20-1,20-2,20-3,20-4) 각각을 개별적으로 정역회전과 전후 이동시켜 주는 로직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플레이트(40)와, 플레이트 레일(41), 시트 블록(43), 플레이트 무버(50) 및 복수개의 시트 무버(60)의 레이아웃을 예시한다.
상기 플레이트 레일(41)은 플레이트 무버(50)가 중심으로 위치된 원형의 시트 플레이트(40)에 파여진 직선경로의 제1,2 레일 경로(41a,4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레일 경로(41a)와 상기 제2 레일 경로(41b)가 원 중심을 교차함으로써 십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 블록(43)은 제1,2 레일 경로(41a,41b)의 각각으로 2개를 한 쌍으로 하여 결합됨으로써 총 4개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1 레일 경로(41a)에 결합된 2개의 시트 블록(43)과 상기 제2 레일 경로(41b)에 결합된 2개의 시트 블록(43)은 각각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된다. 특히 상기 시트 블록(43)의 볼록 홈(43a)의 방향은 제1,2 레일 경로(41a,41b)의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플레이트 무버(50)는 제1,2 레일 경로(41a,41b)가 교차하는 시트 플레이트(40)의 중심구간에 위치된다.
상기 시트 무버(60)는 4개의 시트 블록(43)의 수량에 맞춰 4개의 제1,2,3,4 시트 무버(60-1,60-2,60-3,60-4)로 구성된다. 일례로 제1 시트 무버(60-1)와 제4 시트 무버(60-4)는 제1 레일 경로(41a)에 구비된 2개의 시트 블록(43)의 각각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 보며, 제2 시트 무버(60-2)와 제3 시트 무버(60-3)는 제2 레일 경로(41b)에 구비된 2개의 시트 블록(43)의 각각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 보도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차량(1)에 대한 시트 장치(10)의 탑재 레이아웃에서 차량 전후방을 기준으로 할 때, 차량 전후방 가상라인이 제1,2 레일 경로(41a,41b)를 각분할(a)하는 중간을 지나감으로써 제1 레일 경로(41a)의 제1 시트 무버(60-1)와 제2 레일 경로(41b)의 제2 시트 무버(60-2)가 서로 인접하여 전방시트로 배열되고 반면 제1 레일 경로(41a)의 제4 시트 무버(60-4)와 제2 레일 경로(41b)의 제3 시트 무버(60-3)가 서로 인접하여 후방시트로 배열된다.
이 경우 시트(20)는 제1,2,3,4 시트(20-1,20-2,20-3,20-4)로 4개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각각이 제1,2,3,4 시트 무버(60-1,60-2,60-3,60-4)의 각각에 결합되고, 제1,2,3,4 시트 무버(60-1,60-2,60-3,60-4)의 개별적인 동작으로 개별적으로 위치 변경된다. 하지만 상기 시트(20)는 플레이트 레일(41)의 구조에 따라 4개 보자 적거나 많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 장치(10)의 움직임은 4가지의 움직임1,2,3,4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움직임1,2,3의 각각은 조작버튼(70)의 조작신호로 구분되고, 조작버튼(70)의 움직임1,2,3의 각각에 맞춘 플레이트 무버(50)와 시트 무버(60)의 회전과 이동 동작은 컨트롤러(80)의 프로그램 로직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움직임4는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개별적인 이동으로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움직임 1은 조작버튼(70)의 움직임 1 신호를 인식한 컨트롤러(80)의 플레이트 무버(50)의 동작제어로 이루어지는 시트 플레이트(40)의 정역회전(예, 시계/반시계방향회전)이다. 그 결과 제1,2,3,4 시트(20-1,20-2,20-3,20-4)는 시트 플레이트(40)의 회전각도 만큼 회전된다.
상기 움직임 2는 조작버튼(70)의 움직임 2 신호를 인식한 컨트롤러(80)의 시트 무버(60)의 동작제어로 이루어지는 제1,2 레일 경로(41a,41b)의 각각에 대한 4개의 시트 블록(43)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차량(1)의 길이의 전후방방향)이다. 그 결과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각각은 제1,2 레일 경로(41a,41b)의 교차점을 향해 서로 다가가거나 멀어진다.
상기 움직임 3은 조작버튼(70)의 움직임 3 신호를 인식한 컨트롤러(80)의 시트 무버(60)의 동작제어로 이루어지는 시트 무버(60)의 정역회전(예, 시계/반시계방향회전)과 함께 시트 블록(43)의 볼록 홈(43a)을 따른 좌우 슬라이딩 이동(차량(1)의 차폭의 좌우방향)이다. 그 결과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각각은 서로에 대해 마주보거나 인접된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움직임 4는 조작버튼(70)의 움직임 1,2,3과 컨트롤러(80)의 플레이트/시트 무버(50,60)의 동작제어 후 위치 이동된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각각이 운전자에 의한 이동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각각은 시트 무버(60)의 동작중지 상태에서 시트 레일 로드(61)를 따르는 시트 홈(21)의 이동으로 변경된 시트 배열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시트이동수단(30)의 움직임 4에 의한 시트(20)의 시트 배열 변형이 예시된다. 이 경우 시트 플레이트(40)의 제1,2 레일 경로(41a,41b)에 대한 시트(20)의 제1,2,3,4 시트(20-1,20-2,20-3,20-4) 배열은 도 2를 참조로 설명된다.
4인 탑승(A)과 3인 탑승(B)에 따른 시트(20)의 배열은 제1,2 시트(20-1,20-2)가 전방시트로 제3,4 시트(20-3,20-4)가 후방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전후방시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됨으로써 승객(100)은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각각에 탑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버튼(70)과 컨트롤러(80) 및 플레이트/시트 무버(50,60)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초기 상태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4인 탑승(A)시 차량(1)의 차실내공간(9)에서 승객생존공간은 제1,2,3,4 시트(20-1,20-2,20-3,20-4)의 승객점유공간(7)을 제외한 주변공간으로 형성된다. 다만 3인 탑승(A)시 전방시트의 제1,2 시트(20-1,20-2)중 1개의 시트가 빈 시트(예, 제1 시트(20-1))이므로 차실내공간(9)에서 승객생존공간은 제2,3,4 시트(20-2,20-3,20-4)의 승객점유공간(7-1)을 제외한 주변공간으로 넓어진다.
2인 탑승(C)에 따른 시트(20)의 배열은 제1 시트(20-1)가 전방시트로 제2,3,4 시트(20-2,20-3,20-4)가 후방시트를 형성하고, 승객(100)은 제1,4 시트(20-1,20-4)의 각각에 탑승함으로써 제4 시트(20-4)의 좌우 양쪽에 위치된 제2,3 시트(20-2,20-3)가 반 시트로 형성된다. 이 경우 조작버튼(70)의 움직임 1,2,3 신호에 따른 컨트롤러(80)의 동작제어로 플레이트 무버(50)에 의한 시트 플레이트(40)의 초기 위치 대비 90도 회전 및 시트 무버(60)에 의한 시트 블록(43)의 후방 슬라이딩 이동과 소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시트 배열은 초기 시트 배열 대비 제1,4 시트(20-1,20-4)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제2,3 시트(20-2,20-3)가 제4 시트(20-4)의 좌우 양쪽에 위치된 시트 배열로 변경된다. 그러므로 차량(1)의 차실내공간(9)에서 승객생존공간은 승객이 탑승한 제1,4 시트(20-1,20-4)의 승객점유공간(7-2)을 제외한 보다 넓은 주변공간으로 형성된다.
1인 탑승(D)에 따른 시트(20)의 배열은 전방시트를 없애 제1,2,3,4 시트(20-1,20-2,20-3,20-4)가 후방시트를 형성하고, 승객(100)은 제1 시트(20-1)에 탑승함으로써 제1 시트(20-1)의 좌우 양쪽에 위치된 제2,3 시트(20-2,20-3) 및 뒤쪽에 위치된 제4 시트(20-4)가 반 시트로 형성된다. 이 경우 조작버튼(70)의 움직임 1,2,3 신호에 따른 컨트롤러(80)의 동작제어로 플레이트 무버(50)에 의한 시트 플레이트(40)의 초기 위치 대비 90도 회전 및 시트 무버(60)에 의한 시트 블록(43)의 후방 슬라이딩 이동과 소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시트 배열은 초기 시트 배열 대비 제1 시트(20-1)의 좌우양쪽에 제2,3 시트(20-2,20-3) 및 뒤쪽에 제4 시트(20-4)가 위치된 시트 배열로 변경된다. 그러므로 차량(1)의 차실내공간(9)에서 승객생존공간은 승객이 탑승한 제1시트(20-1)의 승객점유공간(7-3)을 제외한 최대로 넓은 주변공간으로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4개의 제1,2,3,4 시트(20-1,20-2,20-3,20-4)가 전후방시트 열로 장착된 상태에서 전후방시트 열의 전체시트회전과 함께 전후방시트 열의 각각에 대한 개별시트회전과 시트이동이 이루어지는 시트이동수단(30)을 차실내공간(9)의 플로어(floor)(2)에 구비함으로써 탑승인원수에 맞춘 시트 배열 변형으로 시트(20)의 점유로 한정된 차실내공간(9)에서 보다 넓은 충돌공간과 편의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어 승객 부상 방지 및 보호가 이루어진다.
1 : 차량 2 : 플로어(floor)
3 : 대시보드 7,7-1,7-2,7-3 : 승객점유공간
9 : 차실내공간
10 : 시트 장치 20 : 시트
20-1,20-2,20-3,20-4 : 제1,2,3,4 시트
21 : 시트 홈 30 : 시트이동수단
40 : 시트 플레이트 41 : 플레이트 레일
41a,41b : 제1,2 레일 경로
43 : 시트 블록 43a : 볼록 홈
43b : 블록 보스
50 : 플레이트 무버(mover) 60 : 시트 무버(mover)
60-1,60-2,60-3,60-4 : 제1,2,3,4 시트 무버
61 : 시트 레일 로드 61a : 블록 돌기
61b : 시트 돌기
70 : 조작 버튼 80 : 컨트롤러
100 : 승객

Claims (15)

  1. 복수개로 구성된 시트;
    상기 시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 시트가 전후방시트 열로 구분되어 장착되고, 상기 전후방시트 열에 대한 방향전환을 위한 정역회전인 전체시트회전 및 상기 개별 시트의 방향전환을 위한 정역회전인 개별시트회전과 함께 상기 개별 시트의 각각에 대한 접근과 분리를 위한 슬라이딩 이동으로 시트이동이 이루어지는 시트이동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시트이동수단은 상기 시트를 위치시켜 상기 전체시트회전을 형성하는 시트 플레이트,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시트 열을 형성하는 시트 블록, 상기 개별 시트와 결합되어 상기 개별시트회전을 형성하면서 상기 시트 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 레일과 상기 시트 블록의 각각에 대해 상기 시트이동을 형성하는 시트 무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 무버와 상기 시트 블록의 결합은 상기 시트 블록의 볼록 홈과 상기 시트 무버의 블록 돌기 간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록 홈은 상기 시트 무버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상기 시트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레일에 대해 직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볼록 홈과 상기 플레이트 레일의 각각은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레일은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중앙구간에 대한 교차 직선의 제1,2 레일 경로로 구성되고, 상기 교차 직선은 상기 제1 레일 경로에 상기 시트 블록을 매개로 상기 전후방시트 열의 개별 시트를 위치시키며, 상기 제2 레일 경로에 상기 시트 블록을 매개로 상기 전후방시트 열의 개별 시트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교차 직선은 상기 시트 블록이 상기 시트이동을 서로에 대해 다가가고 멀어지도록 형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 무버와 상기 개별 시트의 결합은 상기 개별 시트의 시트 홈과 상기 시트 무버의 시트 돌기 간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트 홈은 상기 시트 돌기가 끼워지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10.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를 갖춘 차량에 있어서,
    차실내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floor);가 포함되고,
    상기 시트 장치는 상기 플로어와 결합되어 상기 차실내공간에서 승객점유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시트와 후방시트의 시트 배열을 형성하는 제1,2,3,4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트 장치는 운전석을 이루는 대시보드의 뒤쪽에서 상기 차실내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열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전방시트로 하고 상기 제3 시트와 상기 제4 시트를 후방시트로 구분하고, 상기 시트 배열의 변경은 회전과 이동에 의한 상기 제1,2,3,4 시트의 각각에 대한 시트위치변화로 상기 승객점유공간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시트위치변화는 상기 제1 시트를 상기 전방시트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2,3 시트를 상기 제4 시트의 좌우에 인접시켜 상기 후방시트로 형성하는 2인 탑승, 상기 제1 시트를 상기 제4 시트로 이동시켜 상기 후방시트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2,3 시트를 상기 제1 시트의 좌우에 인접시켜 상기 후방시트로 형성하는 1인 탑승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트 장치는 상기 제1,2,3,4 시트가 결합된 시트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플레이트는 상기 플로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플레이트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70144460A 2017-11-01 2017-11-01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 KR102440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60A KR102440505B1 (ko) 2017-11-01 2017-11-01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60A KR102440505B1 (ko) 2017-11-01 2017-11-01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042A KR20190049042A (ko) 2019-05-09
KR102440505B1 true KR102440505B1 (ko) 2022-09-06

Family

ID=6654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460A KR102440505B1 (ko) 2017-11-01 2017-11-01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5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273A (ja) 2002-05-14 2003-11-18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
US20030234551A1 (en) 2002-03-14 2003-12-25 Mazda Motor Corporatio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7138B2 (ja) 1993-10-13 2002-12-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534391B1 (ko) * 2003-11-14 2005-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조립체
US10189373B2 (en) * 2013-12-16 2019-01-29 Adient Luxembourg Holding S.a.r.l. Seat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4551A1 (en) 2002-03-14 2003-12-25 Mazda Motor Corporatio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JP2003325273A (ja) 2002-05-14 2003-11-18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042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05067A1 (en) Vehicle seat placement structure and vehicle
EP3044036B1 (en) Vehicle seating and methods and vehicles using the same
EP3606786B1 (en) Seating system for vehicles, particularly for autonomous vehicles
US20200346607A1 (en) Airbag system for vehicle
CN102555861B (zh) 交通工具座椅
JP6984410B2 (ja) 車室構造
CN112721849B (zh) 顶部气囊集成系统和控制系统
US9555724B2 (en) Vehicle seat
US20200023801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CN101407184A (zh) 汽车的座椅装置和带有这种座椅的汽车
CN102119091A (zh) 用于扶手的调整运动学
JP487328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582835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440505B1 (ko) 배열 변형식 시트 장치 및 차량
JP2007320447A (ja) 車室構造
JP2007320446A (ja) 車室構造
JP2019209940A (ja) 車両の室内構造
CN110582333B (zh) 用于乘坐游乐设施的乘客约束装置
JP4742739B2 (ja) 車両用シート
JP2022188673A (ja) 乗り物用シート
KR101454670B1 (ko) 차량용 좌석 및 차량용 좌석 시스템
JP2007038810A (ja) 車両用シート
JP2022188672A (ja) 乗り物用シート
JP2021041723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US20180312090A1 (en) Trim element comprising a support surface positionable in a plurality of 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