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394B1 - 견인 접이식 구동부를 구비한 로프형 스크린도어 - Google Patents

견인 접이식 구동부를 구비한 로프형 스크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394B1
KR102440394B1 KR1020210042174A KR20210042174A KR102440394B1 KR 102440394 B1 KR102440394 B1 KR 102440394B1 KR 1020210042174 A KR1020210042174 A KR 1020210042174A KR 20210042174 A KR20210042174 A KR 20210042174A KR 102440394 B1 KR102440394 B1 KR 10244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bellows
arm part
linear member
scree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판주
송석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신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신판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Priority to KR102021004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1Wire gates, e.g. traction gates; Fasten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5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제1기둥 및 제2기둥,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된 접이식의 제1자바라로서,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자바라, 상기 제2기둥에 설치된 접이식의 제2자바라,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로서, 각각의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제1단부는 상기 제1자바라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제2단부는 상기 제2자바라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 상기 제1자바라의 제1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자바라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신축 상태를 제어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에 설치된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프링의 양측 단부들은 각각, 상기 제1스프링이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프링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자바라 유닛의 상기 제1방향 폭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를 공개한다.

Description

견인 접이식 구동부를 구비한 로프형 스크린도어{Rope-type screen door with traction folding drive}
본 발명은 견인 접이식 구동부를 구비한 로프형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장스프링 및 회전스프링을 이용하여 스크린도어의 개방을 원활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도어는 철도역과 전철역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시설의 일종이다. 스크린도어는 좌우개폐형과 상하개폐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하개폐형 스크린도어의 경우, 위아래로 로프형의 줄이 움직이면서 승강장과 열차 사이를 막는 형태가 주로 이용된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10-1344995)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로프 승하강수단과, 상기 와이어로프 승하강수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 승하강수단의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되어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하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로프 처짐 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로프형 스크린도어의 개방을 원활하게 하는 구조의 상하개폐 스크린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로프형 스크린도어는, 스크린 도어의 역할을 하는 부재가 로프로 이루어진 경우뿐만 아니라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다른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로프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부재인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스크린도어는, 제1기둥(100) 및 제2기둥(200);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된 접이식의 제1자바라(1)로서, 제1방향(99)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10)을 포함하는, 상기 제1자바라; 상기 제2기둥에 설치된 접이식의 제2자바라;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30)로서, 각각의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제1단부(301)는 상기 제1자바라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제2단부는 상기 제2자바라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 상기 제1자바라의 제1지점(101)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자바라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신축상태를 제어하는 제1구동부(4); 및 상기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에 설치된 제1스프링(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자바라는 좌측 자바라이고, 상기 제2자바라는 우측 자바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부는 우측단부이고, 상기 제2단부는 좌측단부일 수 있다.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은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의 양측 단부들(501, 502)은 각각, 상기 제1스프링이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프링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자바라 유닛(11)의 상기 제1방향 폭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자바라 유닛은 서로 결합된 제1아암부(111) 및 제2아암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아암부의 제1지점(1111)과 상기 제2아암부의 제2지점(1121)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제1아암부의 중심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2아암부의 중심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 중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상기 제1단부(301)는 상기 제1아암부의 중심점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은 인장 스프링(51)이며, 상기 인장 스프링의 제1단부(511)는 상기 제1아암부(111) 중 상기 제1지점이 아닌 지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제2단부(512)는 상기 제2아암부(112) 중 상기 제2지점이 아닌 지점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아암부(111)의 제1단부(1112)에 결합되는 제1결합나사(83); 및 상기 제2아암부(112)의 제1단부(1122)에 결합되는 제2결합나사(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은 인장 스프링이며, 상기 인장 스프링의 제1단부(511)는 상기 제1결합나사(8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제2단부(512)는 상기 제2결합나사(81)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30) 중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상기 제1단부(301)는 상기 제1아암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자바라가 상기 제1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지점인 부동지점(500)이 상기 제1아암부에 존재할 때에, 상기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상기 제1단부(301)는 상기 부동지점(5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 중 제1자바라 유닛(11)은 서로 결합된 제11아암부(111) 및 제12아암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바라 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제1자바라 유닛에 결합된 제2자바라 유닛(12)은 서로 결합된 제21아암부(121) 및 제22아암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1아암부(111)의 제11지점(1111)과 상기 제12아암부(112)의 제12지점(1121)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1아암부(121)의 제21지점(1211)과 상기 제22아암부(122)의 제22지점(1221)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스프링은 회전 스프링(52)(비틀림 스프링, 토션 스프링)이며, 상기 제11아암부(111)의 제1단부의 제1지점(1115)과 제22아암부(122)의 제2단부의 제2지점(1225)은 제1결합나사(83)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 스프링(52)의 중심축은 상기 제11아암부의 제1지점(1115)과 상기 제22아암부의 제2지점(1225) 간의 결합축인 상기 제1결합나사(83)에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스프링의 제1단부(511)는 상기 제11아암부(111) 중 상기 제11아암부의 제1지점이 아닌 다른 지점(111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 스프링의 제2단부(512)는 상기 제22아암부(122) 중 상기 제22아암부의 제2지점이 아닌 다른 지점(122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 중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0)의 상기 제1단부(301)는 상기 제11아암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자바라가 상기 제1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98)으로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지점인 부동지점(500)이 상기 제11아암부에 존재할 때에, 상기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부동지점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아암부(111)의 제11지점(1111)은 상기 제11아암부의 중심점이고, 상기 제12아암부(112)의 제12지점(1121)은 상기 제12아암부의 중심점이고, 상기 제21아암부(121)의 제21지점(1211)은 상기 제21아암부의 중심점이고, 그리고 상기 제22아암부(122)의 제22지점(1221)은 상기 제22아암부의 중심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 중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제11아암부(111)의 중심점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부(4)는,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되어 있는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 상기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를 구송하는 제1모터(460); 및 상기 제1자바라의 제1지점(101) 및 상기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의 제1지점(4111)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전면동력전달금구(4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는,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된 제1전면상측시브(4112);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된 제1전면하측시브(4113); 및 상기 제1전면상측시브와 상기 제1전면하측시브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폐로형의 제1전면벨트(4114) 또는 폐로형의 제1전면체인(4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부(4)는,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되어 있는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412); 및 상기 제1자바라의 제2지점(102) 및 상기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의 제1지점(4121)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후면동력전달금구(4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412)는,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된 제1후면상측시브(4122), 및 상기 제1후면상측시브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폐로형의 제1후면벨트(4124) 또는 폐로형의 제1후면체인(4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후면상측시브는 상기 제1전면상측시브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며, 상기 제1후면벨트의 무게추 설치위치 또는 폐로형의 제1후면체인의 무게추 설치위치에는 무게추(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추 설치위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자바라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수축될 때에, 상기 무게추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30)는, 선형부재(311); 상기 선형부재의 제1단부에 결합된 제1롤러가이드 금구(312); 상기 제1롤러가이드 금구에 결합된 제1롤러(313); 상기 선형부재의 제2단부에 결합된 제2롤러가이드 금구; 및 상기 제2롤러가이드 금구에 결합된 제2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제1단부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부재는 로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프형 스크린도어의 개방을 원활하게 하는 구조의 상하개폐 스크린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제1기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둥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H빔, 가이드레일, 및 제1자바라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의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1구동부에 제1자바라, 및 동력전달금구들이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도 4의 스크린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1구동부에 제1자바라, 및 동력전달금구들이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제1자바라 및 선형부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자바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자바라의 자바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 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의 제1자바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제2자바라 유닛(12)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선형부재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는 닫힌 상태의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의(b)는 열린 상태의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랫폼(400) 상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1000)는 제1기둥(100), 제2기둥(200), 제1기둥(100) 및 제2기둥(200) 사이에 설치된 선형부재(예컨대, 로프)들(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둥(100)은 예컨대, 우측기둥이고, 제2기둥(200)은 예컨대, 좌측기둥일 수 있다.
로프들(311)은 예컨대, 2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열의 로프들(310)과 제2열의 로프들(320)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스크린도어(100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1의 (a)와 같이, 로프들(310, 320) 간의 간격이 넓고, 스크린도어(1000)가 열린 상태에서는 로프들(310, 320)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1000)는 견인 접이식 구조의 스크린도어일 수 있다.
스크린도어(1000)를 개방하게 되면 도 1의 (b)와 같이, 로프들(310, 320)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로프들(310, 320)은 제1기둥(100) 및 제2기둥(200)의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기둥을 나타낸 것이다.
제1기둥(100) 중 제2기둥(200)을 바라보는 측면에는 제1슬롯(110) 및 제2슬롯(1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슬롯(110)은 제1열의 로프들(310)이 제1슬롯(11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것이고, 제2슬롯(120)은 제2열의 로프들(320)이 제2슬롯(12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도 1의 (a)를 함께 참조해보면, 스크린도어(1000)가 닫혔을 때 제1열의 로프들(310) 사이에 제2열의 로프들(320)이 배치되기 때문에, 로프들(310, 320)이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된다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둥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1기둥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스크린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1기둥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기둥(100)은 제1방향(상하방향)(99)을 따라 연장된 제1H빔(H Beam)(110)과 제1가이드레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H빔(110)의 좌측면 즉,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98)으로 로프가 설치될 수 있는 면에는 제1가이드레일(12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기둥(100)의 제1가이드레일(120)에 접이식의 제1자바라(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자바라(1)는 제1방향(상하방향)(99)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둥(100)과 마찬가지로 제2기둥(200)도 제1방향(99)을 따라 연장된 제2H빔(미도시)과 제2가이드레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제1가이드레일(120)과 마주보는 방향 즉, 상기 제2H빔의 우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기둥(200)에는 접이식의 제2자바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기둥(200) 및 상기 제2자바라의 형상은 제1기둥(100) 및 상기 제1자바라(1)의 형상과 동일하며, 서로 대칭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H빔(110)의 정면 홈 및 배면 홈에는 제1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 중 전면구동부(41)는 제1자바라(1)의 제1지점(101, 도 5a 참조)에 연결되어 제1자바라(1)의 제1방향(99)으로의 신축(伸縮; 늘이고 줄임, 국어사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H빔, 가이드레일, 및 제1자바라를 생략한 도면이다.
즉, 도 4는 스크린도어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4)의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구동부(4)는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412), 제1모터(460), 제1전면동력전달금구(471, 도 5a 참조), 및 제1후면동력전달금구(472, 도 5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 및 제1모터(460)를 포함하여 전면구동부(41)라고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는 참조번호 4112, 4113, 및 4114로 제시된 부재인 제1전면상측시브, 제1전면하측시브, 및 제1전면벨트, 그리고 필요하다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일 수 있다.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H빔(110)의 전면 홈(도 3 참조)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는 제1전면상측시브(4112), 제1전면하측시브(4113), 및 제1전면벨트( 또는 제1전면체인)(4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면상측시브(4112) 및 제1전면하측시브(4113)는 제1H빔(110)의 전면 홈(도 3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전면벨트(또는 제1전면체인)(4114)는 폐로형으로 형성되며, 제1전면상측시브(4112)와 제1전면하측시브(4113)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모터(460)는 폐로형의 제1전면벨트( 또는 제1전면체인)(4114)가 제1전면상측시브(4112) 및 제1전면하측시브(4113)를 따라 회전하도록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를 구동할 수 있다.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412)는 제1H빔(110)의 후면 홈(미도시)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412)는 제1후면상측시브(4122), 및 제1후면벨트( 또는 제1후면체인)(4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후면상측시브(4122)는 제1H빔(110)의 후면 홈(미도시)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전면상측시브(4112)와 제1후면상측시브(4122)는 연결봉(413)에 의해 각 중심축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후면벨트(4124)( 또는 제1후면체인)(4124)는 폐로형으로 형성되며, 제1후면상측시브(4122)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후면상측시브(4122)는 제1전면상측시브(4112) 및 제1전면하측시브(4113) 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후면벨트(4124)는 위쪽에서는 제1후면상측시브(4122)에 접촉하여 회전하고, 아래쪽에서는 제1자바라(1)의 무게 또는 무게추(70)의 무게로 인해 제1전면벨트(4114)와 같이 제1후면벨트(4124)의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면하측시브(4113)와 같은 역할을 하는 제1후면하측시브가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70)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a 및 도 5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도 4의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1구동부에 제1자바라, 및 동력전달금구들이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도 4의 스크린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1구동부에 제1자바라, 및 동력전달금구들이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5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구동부(4)는 제1모터(460)의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30, 도 6a 참조)의 총중량과 균형을 이루는 중량의 상기 무게추(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70)는 제1후면벨트(4124)( 또는 제1후면체인)의 무게추 설치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무게추 설치위치는, 제1모터(4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자바라(1)가 상기 제1방향(99) 중 상측방향을 따라 수축될 때에, 무게추(7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위치일 수 있다. 예컨대, 도 5a와 같이,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자바라(1)는 제1후면벨트(4124)의 중간 및 하측에 위치하므로 무게추(70)는 제1후면상측시브(4122)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구동부(4)는 제1전면동력전달금구(4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면동력전달금구(471)는 제1자바라(1)의 제1지점(101) 및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의 제1지점(4111)에 연결되어, 제1모터(4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방향(9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전면동력전달금구(471)가 상기 제1방향(99) 중 상측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제1자바라(1) 및 제1전면동력전달금구(471)의 위치는 도 5b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구동부(4)는 제1후면동력전달금구(4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제1후면동력전달금구(472)는 제1자바라(1)의 제2지점(102) 및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412) 즉, 제1후면벨트(4124)의 제1지점(4121)에 연결되어, 제1모터(4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방향(9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제1자바라 및 선형부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자바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자바라의 자바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5a 중 제1자바라 및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제1기둥(100)의 제1가이드레일(120)과 제2기둥(200)의 상기 제2가이드레일 사이에는 제1방향(99)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3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선형부재 어셈블리(30)의 제1단부(301, 도 8a 참조)는 제1자바라(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제2단부(미도시, 제2기둥측)는 제2자바라(미도시, 제2기둥측)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선형부재 어셈블리(30)는 상술한 로프들(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형부재 어셈블리(30)의 구성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 제1자바라(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자바라(1)는 제1방향(상하방향)(99)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바라 유닛들(10)은 각각 도 6c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자바라(1)는 제1자바라 유닛(11), 제2자바라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자바라 유닛(12)은 제1자바라 유닛(11)에 인접하여 제1자바라 유닛(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자바라 유닛(11)은 서로 결합된 제1아암부(111) 및 제2아암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아암부(111)의 제1지점(1111)과 제2아암부(112)의 제2지점(1121)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아암부(111)의 제1지점(1111)은 제1아암부(111)의 중심점이고, 제2아암부(112)의 제2지점(1121)은 제2아암부(112)의 중심점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제1아암부(111)는 제11아암부로 지칭될 수 있고, 제2아암부(112)는 제12아암부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점(1111)은 제11지점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지점(1121)은 제12지점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6a를 함께 참조하면, 제1아암부(111)의 제1지점(1111) 및 제2아암부(112)의 제2지점(1121)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제1단부(301)가 제1자바라유닛(11)에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제2자바라 유닛(12)은 서로 결합된 제21아암부(121) 및 제22아암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b를 참조하면, 제21아암부(121)의 제21지점(1211)과 상기 제22아암부(122)의 제22지점(1221)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1아암부(121)의 제21지점(1211)은 제21아암부(121)의 중심점이고, 그리고 제22아암부(122)의 제22지점(1221)은 제22아암부(122)의 중심점일 수 있다.
도 6a를 함께 참조하면, 제21아암부(121)의 제21지점(1211) 및 제22아암부(122)의 제22지점(1221)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선형부재 어셈블리(32)의 제1단부가 제2자바라유닛(12)에 결합됨을 알 수 있다.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10)에는 각각 제1스프링(5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스프링(50)의 양측 단부들(501, 502)은 각각, 제1스프링(50)이 변형된 상태에서, 제1스프링(50)에 연결되어 있는 자바라 유닛의 제1방향(99) 폭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자바라 유닛(11)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제1스프링(51)의 양측 단부들(511, 512)은 각각, 제1스프링(51)이 변형된 상태에서, 제1스프링(5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자바라 유닛(11)의 상기 제1방향(99) 폭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스프링(51)이 변형된 상태는 제1스프링(51)에 외력인 작용하지 않은 상태인 제1스프링(51)의 자유상태에서의 제1스프링(51)의 형상으로부터 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스프링(51)은 예컨대,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아암부(111)의 제1단부(1112)의 제1지점(1115)과 제22아암부(122)의 제1단부(1222)의 제2지점(1225)은 결합나사(80, 83)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점(1115) 및 상기 제2지점(1225)은 각각 결합나사(83)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을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아암부(112)의 제1단부(1122)의 제1지점(1125)에도 결합나사(80, 81)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나사(80)를 이용한 결합구조는 아암부들의 결합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결합나사(80)를 통해 제1자바라 유닛(11)과 제2자바라 유닛(12)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자바라 유닛(11)과 인장 스프링(51)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인장 스프링(51)의 제1단부(511)는 결합나사(81)에 연결되어 있고, 인장 스프링(51)의 제2단부(512)는 결합나사(83)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나사(82)와 결합나사(84) 간에 인장 스프링(51)이 결합될 수 있고, 결합나사(83)와 결합나사(85) 간에 인장 스프링(51)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 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의 제1자바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제2자바라 유닛(12)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의 실시예에서는 인장 스프링(51)이 사용되었지만, 도 7a의 실시예에서는 인장 스프링(51) 대신 회전 스프링(52)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스프링(52)은 비틀림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인접한 자바라 유닛들(11, 12)과 회전 스프링(52)과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제1아암부(111)의 제1단부(1112)의 제1지점(1115)과 제22아암부(122)의 제1단부(1222)의 제2지점(1225)은 결합나사(80, 83)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아암부(111)의 제1단부(1112)의 제1지점(1115) 및 제22아암부(122)의 제1단부(1222)의 제2지점(1225)은 각각 결합나사(83)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스프링(52)의 중심축은 제11아암부(111)의 제1지점(1115)과 제22아암부(122)의 제2지점(1225) 간의 결합축인 결합나사(83)의 축에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인장 스프링(51) 및 회전 스프링(52)은 도 6b 및 도 7a와 같이, 스크린도어(1000)가 닫힌 상태에서, 스프링(51, 52)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인장 스프링(51) 및 회전 스프링(52)은 스크린도어(1000)가 열린 상태에서, 스프링(51, 52)이 자유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51, 52)은 변형된 상태에서 자유상태로 가기 위한 방향으로 힘을 작용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선형부재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0, 31)의 구조와 제2선형부재 어셈블리(30, 32)의 구조는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제1단부(30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것만 제외하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0, 31)는 선형부재(311), 제1롤러가이드 금구(312), 제1롤러(313), 제2롤러가이드 금구(미도시), 및 제2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가이드 금구 및 상기 제2롤러는 제2기둥 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롤러가이드금구와 상기 제2롤러가이드금부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그 설치방향만 좌우방향으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선형부재(311)의 일측(우측)에는 상기 제1롤러가이드 금구(312) 및 제1롤러(313)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선형부재(311)의 타측(좌측)에는 상기 제2롤러가이드 금구 및 제2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롤러가이드 금구(312), 및 제1롤러(313)는 제1기둥(100)의 제1슬롯(110)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롤러가이드 금구 및 상기 제2롤러는 제2기둥(100)의 제2슬롯(12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롤러가이드 금구(미도시), 및 제2롤러(미도시)의 형상은 제1롤러가이드 금구(312), 및 제1롤러(313)의 형상과 동일하며, 선형부재(31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이때, 선형부재(311)는 예컨대 로프일 수 있다.
제1롤러가이드 금구(312)는 제1선형부재(311)의 제1단부(31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롤러(313)는 제1롤러가이드 금구(3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제1단부(301)는 제1롤러(313)의 회전축일 수 있다.
상기 제2롤러가이드 금구는 제1선형부재(311)의 제2단부(좌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는 상기 제2롤러가이드 금구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a를 함께 참조하면,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30) 중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제1단부(301)는 제1자바라 유닛(11)의 제1아암부(111)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제1구동부(4)에 의해 제1자바라(1)가 상기 제1방향(99)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방향(99)에 직교하는 제2방향(98)으로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지점인 부동지점(500)이 제1아암부(111)에 존재할 때에,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제1단부(301)는 부동지점(5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부동지점(500)은 예컨대 제1아암부(111)의 중심점(1111)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선형부재 어셈블리(30, 32)는 선형부재(320, 321), 제11롤러가이드 금구(322), 제11롤러(323), 제12롤러가이드 금구(미도시, 제2기둥 측), 및 제12롤러(미도시, 제2기둥 측)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30) 중 제2선형부재 어셈블리(32)의 제1단부는 제1자바라 유닛(11)에 인접한 제2자바라 유닛(12)의 제22아암부(122)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구동부(4)에 의해 제1자바라(1)가 상기 제1방향(99)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방향(99)에 직교하는 제2방향(98)으로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지점인 부동지점(500)이 제2아암부(122)에 존재할 때에, 제2선형부재 어셈블리(32)의 제1단부는 부동지점(5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부동지점(500)은 제22아암부(122)의 중심점(1221)일 수 있다.
즉,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와 제2선형부재 어셈블리(32)는 제1자바라(1)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자바라 유닛(11)의 제11지점(1111)에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가 결합되면, 제1자바라 유닛(11)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제2자바라 유닛(12)의 제22지점(1221)에 제2선형부재 어셈블리(32)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자바라 유닛(12)에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제3자바라 유닛(13)의 제33지점(1311)에 제3선형부재 어셈블리(3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3선형부재 어셈블리(33)의 형상은 제2선형부재 어셈블리(32)의 형상과는 대칭이고,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형상과는 동일함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로프들(311)은 상기 제1방향(99)을 따라 보았을 때에 2개 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방향(98)을 따라 바라보았을 때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b,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여, 제1구동부(4), 무게추(70), 및 스프링(51, 52)을 통한 스크린도어(1000)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모터(460)에 의해 제1전면벨트(4114)가 상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전면벨트(4114)에 연결되어 있는 제1전면동력전달금구(471)에 의해 제1자바라(1)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자바라(1)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자바라(1)에 연결되어 있는 제1후면동력전달금구(472)에 의해 제1후면벨트(4124)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자바라(1)의 원활하고 빠른 상승을 무게추(70)와 스프링(51, 52)이 도와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따르면, 스크린도어(1000)의 개방을 위해서는 동력전달장치(벨트&체인)를 기준으로 로프 방면에는 로프, 동력전달금구, 및 롤러가이드 금구 등의 로프를 개방하기 위한 장치들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장치들의 총중량을 감소시켜 무게추(70)와 모터(460)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상기 제1스프링 또는 스프링은, 탄성부재라는 이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스프링 또는 스프링을 대체하는 어떠한 형태 그리고 어떠한 재질의 탄성부재라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제1스프링 또는 스프링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면 균등물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7)

  1. 제1기둥(100) 및 제2기둥(200);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된 접이식의 제1자바라(1)로서, 제1방향(99)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10)을 포함하는, 상기 제1자바라;
    상기 제2기둥에 설치된 접이식의 제2자바라;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30)로서, 각각의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제1단부(301)는 상기 제1자바라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제2단부는 상기 제2자바라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 및
    상기 제1자바라의 제1지점(101)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자바라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신축상태를 제어하는 제1구동부(4);
    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자바라 유닛은 서로 결합된 제1아암부(111) 및 제2아암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아암부의 제1지점(1111)과 상기 제2아암부의 제2지점(1121)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제1아암부의 중심점이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2아암부의 중심점이며,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 중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상기 제1단부(301)는 상기 제1아암부의 중심점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에 설치된 제1스프링(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프링의 양측 단부들(501, 502)은 각각, 상기 제1스프링이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프링에 연결되어 있는 자바라 유닛(11)의 상기 제1방향 폭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인장 스프링(51)이며,
    상기 인장 스프링의 제1단부(511)는 상기 제1아암부(111) 중 상기 제1지점이 아닌 지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제2단부(512)는 상기 제2아암부(112) 중 상기 제2지점이 아닌 지점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부(111)의 제1단부(1112)에 결합되는 제1결합나사(83); 및
    상기 제2아암부(112)의 제1단부(1122)에 결합되는 제2결합나사(81);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프링은 인장 스프링이며,
    상기 인장 스프링의 제1단부(511)는 상기 제1결합나사(8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제2단부(512)는 상기 제2결합나사(81)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자바라가 상기 제1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지점인 부동지점(500)이 상기 제1아암부에 존재할 때에, 상기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1)의 상기 제1단부(301)는 상기 부동지점(500)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자바라 유닛들 중 제1자바라 유닛(11)은 서로 결합된 제11아암부(111) 및 제12아암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바라 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제1자바라 유닛에 결합된 제2자바라 유닛(12)은 서로 결합된 제21아암부(121) 및 제22아암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1아암부(111)의 제11지점(1111)과 상기 제12아암부(112)의 제12지점(1121)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1아암부(121)의 제21지점(1211)과 상기 제22아암부(122)의 제22지점(1221)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회전 스프링(52)이며,
    상기 제11아암부(111)의 제1단부의 제1지점(1115)과 제22아암부(122)의 제2단부의 제2지점(1225)은 제1결합나사(83)를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 스프링(52)의 중심축은 상기 제11아암부의 제1지점(1115)과 상기 제22아암부의 제2지점(1225) 간의 결합축인 상기 제1결합나사(83)에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스프링의 제1단부는 상기 제11아암부(111) 중 상기 제11아암부의 제1지점이 아닌 다른 지점(111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 스프링의 제2단부는 상기 제22아암부(122) 중 상기 제22아암부의 제2지점이 아닌 다른 지점(1222)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의 선형부재 어셈블리들 중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30)의 상기 제1단부(301)는 상기 제11아암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자바라가 상기 제1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98)으로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지점인 부동지점(500)이 상기 제11아암부에 존재할 때에, 상기 제1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부동지점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아암부(111)의 제11지점(1111)은 상기 제11아암부의 중심점이고,
    상기 제12아암부(112)의 제12지점(1121)은 상기 제12아암부의 중심점이고,
    상기 제21아암부(121)의 제21지점(1211)은 상기 제21아암부의 중심점이고, 그리고
    상기 제22아암부(122)의 제22지점(1221)은 상기 제22아암부의 중심점인,
    스크린도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4)는,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되어 있는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
    상기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를 구송하는 제1모터(460); 및
    상기 제1자바라의 제1지점(101) 및 상기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의 제1지점(4111)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전면동력전달금구(471);
    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 동력전달장치(411)는,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된 제1전면상측시브(4112);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된 제1전면하측시브(4113); 및
    상기 제1전면상측시브와 상기 제1전면하측시브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폐로형의 제1전면벨트(4114) 또는 폐로형의 제1전면체인(4114);
    을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4)는,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되어 있는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412); 및
    상기 제1자바라의 제2지점(102) 및 상기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의 제1지점(4121)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후면동력전달금구(472);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후면 동력전달장치(412)는,
    상기 제1기둥에 설치된 제1후면상측시브(4122), 및
    상기 제1후면상측시브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폐로형의 제1후면벨트(4124) 또는 폐로형의 제1후면체인(4124),
    을 포함하며,
    상기 제1후면상측시브는 상기 제1전면상측시브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스크린도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며,
    상기 제1후면벨트의 무게추 설치위치 또는 상기 제1후면체인의 무게추 설치위치에는 무게추(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추 설치위치는,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자바라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수축될 때에, 상기 무게추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위치인,
    스크린도어.
  1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30)는,
    선형부재(311);
    상기 선형부재의 제1단부에 결합된 제1롤러가이드 금구(312);
    상기 제1롤러가이드 금구에 결합된 제1롤러(313);
    상기 선형부재의 제2단부에 결합된 제2롤러가이드 금구; 및
    상기 제2롤러가이드 금구에 결합된 제2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부재 어셈블리의 제1단부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인,
    스크린도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재는 로프인, 스크린도어.
KR1020210042174A 2021-03-31 2021-03-31 견인 접이식 구동부를 구비한 로프형 스크린도어 KR10244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74A KR102440394B1 (ko) 2021-03-31 2021-03-31 견인 접이식 구동부를 구비한 로프형 스크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74A KR102440394B1 (ko) 2021-03-31 2021-03-31 견인 접이식 구동부를 구비한 로프형 스크린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394B1 true KR102440394B1 (ko) 2022-09-05

Family

ID=8327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174A KR102440394B1 (ko) 2021-03-31 2021-03-31 견인 접이식 구동부를 구비한 로프형 스크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204U (ja) * 1993-02-19 1994-09-13 株式会社オリタニ クリーニング済み衣服の立体包装用支持スタンド
JP2009287308A (ja) * 2008-05-30 2009-12-10 Sankyo Tateyama Aluminium Inc 伸縮門扉
KR20130101698A (ko) * 2012-03-06 2013-09-16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2015217773A (ja) * 2014-05-16 2015-12-07 日本信号株式会社 昇降式ホーム柵の間隔調整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204U (ja) * 1993-02-19 1994-09-13 株式会社オリタニ クリーニング済み衣服の立体包装用支持スタンド
JP2009287308A (ja) * 2008-05-30 2009-12-10 Sankyo Tateyama Aluminium Inc 伸縮門扉
KR20130101698A (ko) * 2012-03-06 2013-09-16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2015217773A (ja) * 2014-05-16 2015-12-07 日本信号株式会社 昇降式ホーム柵の間隔調整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08535A1 (en) Platform screen gate system
JP427598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CN112173921B (zh) 用于限制电梯行进线缆中的摆动的装置
KR970000137A (ko) 건축물의 개방부의 베인 차폐물용 제어 및 현가장치
US11242707B2 (en) System for guiding and supporting a leaf of a platform-access door
US3705468A (en) Cantilever slide gate
KR102440394B1 (ko) 견인 접이식 구동부를 구비한 로프형 스크린도어
DE112006000500T5 (de) Aufzuganlage
JP2017036628A (ja) 分割扉構造
US4852300A (en) Stacking gates or doors
KR20220011543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US20190177126A1 (en) Elevator rope sway restriction device
US20060288643A1 (en) Security barriers
EP3315376A1 (en) Screen door having strong structure against human-pressing load
JP4391872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装置
CN1048310C (zh) 窗户遮蔽装置
JP4479274B2 (ja) ガレージ扉
US20230193692A1 (en)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JP2019194048A (ja) ホームドア
US20020178653A1 (en) Counteraction system for a sectional door
JP3900988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3538765B2 (ja) 傾斜面設置用伸縮門扉
JP4413405B2 (ja) 個別伸縮式縦引シャッター
KR102492613B1 (ko) 교량받침 보호유닛
KR102495126B1 (ko) 태양광 추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