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863B1 -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 - Google Patents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863B1
KR102439863B1 KR1020200057676A KR20200057676A KR102439863B1 KR 102439863 B1 KR102439863 B1 KR 102439863B1 KR 1020200057676 A KR1020200057676 A KR 1020200057676A KR 20200057676 A KR20200057676 A KR 20200057676A KR 102439863 B1 KR102439863 B1 KR 102439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price
gold product
appraisal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0788A (ko
Inventor
김종인
최광호
박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Priority to KR102020005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8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0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세 조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세 조회 장치는 시세 감정을 의뢰할 금제품에 대한 금제품 정보와 금제품 사진을 입력하고 시세조회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시세 감정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금제품 정보와 상기 금제품사진을 입력받고, 상기 시세조회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금제품 정보와 상기 금제품 사진을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시세 감정 결과를 수신받는 시세조회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MARKET PRICE INQUIRY APPARATUS AND MARKET PRICE APPRAISAL APPARATUS}
본 발명은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서는 금제품의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결혼이나 선물 등을 통해 금반지나 금 목걸이 등과 같은 금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소비자가 보유하고 있는 금제품인 고금(古金)과 지금(地金) 은 주로 액세사리로 많이 착용되기도 하지만, 집안에 그냥 소장하고 있는 제품도 많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금은 1차 가공되어 상품화된 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 소비자가 소유하고 있는 반지, 목걸이, 또는 팔찌 등일 수 있다. 또한, 지금은 순도가 99.99% 이상으로 다듬어서 상품화되지 아니한 금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금괴(金塊)일 수 있다.
이처럼, 고금이나 지금과 같은 금제품을 일반 소비자가 처분하여 현금화하고 싶은 경우, 금은방과 같이 금을 매입하는 장소를 직접 방문하여 제공하는 시세에 따라 해당 금제품을 처분한다.
따라서, 정확한 시세에 따라 해당 금제품의 가격이 매겨주는 것이 아니라, 매입하고자 하는 사람에 의해 주관적으로 정해진 가격에 의해 매입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해당 금제품을 매도하는 매도자에게 경제적인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금제품에 대한 현재 시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해당 업체를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104215호(공개일자: 2009년 10월 06일, 발명의 명칭: 금매매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123530호(공개일자: 2009년 12월 02일, 발명의 명칭: 고금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금제품의 시세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소비자의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하고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시세 조회 장치는 시세 감정을 의뢰할 금제품에 대한 금제품 정보와 금제품 사진을 입력하고 시세조회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시세 감정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금제품 정보와 상기 금제품 사진을 입력받고, 상기 시세조회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금제품 정보와 상기 금제품 사진을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시세 감정 결과를 수신받는 시세조회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금제품 정보는 상기 금제품의 종류, 품위 및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세 감정 결과는 시세 감정가, 금제품 정보 및 금제품 실제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시세 조회 장치는 상기 시세조회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시세 조회 결과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세조회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 금제품 매입 신청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동의 내용에 동의하는 동의 결과를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접수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시세조회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언박싱 영상 링크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시세 조회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금제품 매입 동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 금제품 매입 동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부터 금제품 매입을 위한 금제품 매입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 출력부로 상기 금제품 매입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금제품에 대한 매입 승인 여부를 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금제품 매입 정보는 금제품 매입 금액, 금제품 매입 중량, 금제품 종류, 금제품 품위, 금제품 중량, 금제품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제품 매입 금액은 상기 시세 감정가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금제품 매입 정보는 고금 실제 중량과 고금 매입 중량과의 상이 여부 그리고 고금 매입 금액과 시세 감정가의 상이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시 시세조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금제품에 대한 매입 승인의 취소 요청이 이루어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시세 감정 장치로 매입 최소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배송비 청구 요청 내용을 수신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시세 감정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금제품에 대한 박싱 영상 링크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시세 조회 장치는 상기 시세조회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금제품의 사진을 촬영하여 상기 금제품 사진을 생성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시세 감정 장치는 금제품 품위와 금제품 종류에 따른 평균 함량 비율, 금제품 중량에 따른 제품 중량 및 현재 금 시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학습부, 시세 조회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학습부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시세 감정을 의뢰한 금제품에 대한 금제품 정보 및 상기 저장학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평균 함량 비율과 상기 제품 중량을 이용하여 상기 금제품의 금제품 실제 중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금제품 실제 중량과 상기 현재 금 시세를 이용하여 상기 금제품에 대한 시세 감정가를 산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감정가를 포함하는 시세 감정 결과를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하는 감정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금제품 정보는 상기 금제품의 종류, 품위 및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부터 금제품 매입 신청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금제품의 교환 동작에 대한 접수 번호를 접수 번호를 생성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시세 감정 장치는 상기 감정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금제품의 포장 상자를 해체하고 상기 금제품의 시세 감정을 실시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금제품에 대한 언박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감정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금제품에 대한 금제품 매입 중량을 상기 감정 제어부로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언박싱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영상 플랫폼 서버에 업로딩하고, 상기 영상 플랫폼 서버의 언박싱 영상 링크 주소를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부터 금제품 매입 동의 신호가 전송되면, 금제품 매입 금액, 금제품 매입 중량, 금제품 종류, 금제품 품위, 금제품 중량, 금제품 사진을 포함하는 금제품 매입 정보를 생성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금제품 매입 금액은 상기 금제품 매입 중량에 따라 정해진 금액일 수 있다. 상기 금제품 매입 금액은 상기 시세 감정가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금제품 매입 정보는 고금 실제 중량과 고금 매입 중량과의 상이 여부 그리고 고금 매입 금액과 시세 감정가의 상이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금제품에 대한 매입 승인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금제품 매입 금액에 대한 결제 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금제품에 대한 매입 승인 취소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배송비 청구 요청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금제품에 대한 포장 영상인 박싱 영상을 영상 플랫폼 서버로 업로딩하고 상기 영상 플랫폼 서버의 박싱 영상 링크 주소를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저장학습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전에 연구된 자료, 조사 자료 및 학습된 시세감정 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에 대한 평균 함량 비율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제어부는 기계 학습을 실시하여 산출된 시세 감정가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금제품을 보관하고 있는 고객은 자신이 원하는 때에 스마트 폰과 같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자신이 보관하고 있는 금제품의 시세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금은방과 같이 금을 매입하는 장소를 직접 찾아가지 않고 해당 금제품에 대한 정확한 시세를 확인하므로 고객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현재 금 시세와 해당 금제품의 상태에 따라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해당 금제품의 시세가 객관적으로 정해지므로 개인의 주관적인 기준에 의해 정해지는 시세에 비해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제품 시세 조회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세 조회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시세 감정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세 조회 장치의 동작 순서도로서, 금제품의 시세 감정을 의뢰하는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세 감정 장치의 동작 순서도로서, 금제품의 시세를 감정하는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세 감정 장치의 정보 출력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한 예로서, 고금의 시세 감정을 위한 화면의 한 예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세 조회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고금 매입 동작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세 감정 장치의 정보 출력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한 예로서, 고금 매입을 위한 화면의 한 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제품 시세 조회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고금과 지금을 모두 포함하는 금제품에 대한 용어를 '고금'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고금은 1차 가공되어 상품화된 금뿐만 아니라 다듬어지지 않아 상품화되지 않은 금을 포함하는 모든 금제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금제품 시세 조회 시스템(1)은 시세 조회 장치(10), 시세 조회 장치(10)과 통신하는 시세 감정 장치(20), 시세 감정 장치(20)와 통신하는 데이터베이스부(30), 그리고 시세 조회 장치(10) 및 시세 감정 장치(20)와 통신하는 영상 플랫폼 서버(40)를 구비할 수 있다.
시세 조회 장치(10)은 고금(즉, 금제품)의 현재 시세를 감정 의뢰하는 고객(즉, 사용자)이 사용하는 단말로서, 시세 조회 장치(10)은 고객이 직접 휴대하면서 이용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와 정해진 거치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같은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시세 조회 장치(10)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11), 사용자 입력부(12), 통신부(11)와 사용자 입력부(12)에 연결된 시세조회 제어부(13), 시세조회 제어부(13)에 연결된 저장부(14), 시세조회 제어부(13)에 연결된 정보 출력부(15) 및 시세조회 제어부(13)에 연결되어 있는 촬영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11-16)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휴대 단말기(10)는 이들 구성 요소(11-16)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시세 감정 장치(2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한 예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11)는 이동통신 모듈(111), 인터넷 통신 모듈(1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 모듈(112)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모듈(112)은 휴대 단말기(1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네트워크),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NFC,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자기 유도방식 또는 공진 유도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는 고객이 자신의 고금의 시세를 감정 의뢰할 때 입력된 명령과 정보 등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시세조회 제어부(13)로 입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해당 고금의 감정에 필요한 고금 관련 데이터를 시세조회 제어부(13)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고금 관련 데이터는 감정을 의뢰할 고금(즉, 금제품)의 정보(즉, 고금 정보)(즉, 금제품 정보)와 해당 고금을 촬영한 사진(즉, 고금 사진)(즉 금제품 사진)을 구비할 수 있다.
고금 정보는 시세 감정을 의뢰할 고금의 종류, 품위(예, 24K, 18K 또는 14k) 및 중량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고금의 종류는 골드바, 돌반지, 반지, 목걸이, 팔찌, 귀걸이, 동물, 열쇠, 골프공, 금니(금이빨), 팬던트, 브로치, 뺏지, 넥타이핀, 명함, 카드 및 휴대폰 장식으로 나눠질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 금제품에 함유된 금의 함량에 대한 정보인 고금의 품위는 24K, 18K, 14K 및 모름(즉, 알 수 없음)으로 나눠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및 마우스(mouse)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시세 조회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반도체 공정으로 제조된 반도체 칩 형태의 중앙처리장치(CPU)일 수 있다.
이러한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통신부(11)를 통해 시세 감정 장치(20)로 해당 금제품에 대한 시세를 의뢰하고, 산출된 현재 시세를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전송받아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시세조회 제어부(13)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메모리(memory)나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정보 출력부(15)는 시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정보 표시부일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출력부(15)는 시세조회 제어부(13)의 동작에 따라 시세조회 제어부(13)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보 출력부(15)는 시세 감정 장치(20)로 해당 금제품의 시세를 의뢰하기 위해 금제품의 정보를 입력하기 정보 입력 화면과 같이 시세 조회에 필요한 화면을 출력하고,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전송된 현재 시세등과 같이 시세 조회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15)는 시세 감정 장치(20)에 의해 제공된 동영상 링크에 관련된 동영상을 출력한다. 따라서, 고객은 자신이 시세 조회를 의뢰한 금제품이 안전하게 해당 업체로 배송된 상태, 다른 제품으로의 변경없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자신의 금제품의 시세가 감정되었다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출력부(1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출력부(15)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본 예의 정보 출력부(15)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2)와 같은 입력 장치로도 기능할 수 있다.
촬영부(16)는 카메라(camera)와 같이 감정을 원하는 고금을 촬영하여 고금 사진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금 사진을 시세조회 제어부(13)로 출력한다.
따라서,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촬영부(1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시세 감정 장치(20)로 전송한다.
다음, 도 3을 참고하여, 시세 감정 장치(20)의 구조를 설명한다.
시세 감정 장치(20)는 대용량의 정보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서버(server)나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세 감정 장치(2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21), 사용자 입력부(22), 통신부(21)와 사용자 입력부(22)에 연결된 감정 제어부(23), 감정 제어부(23)에 연결된 저장학습부(24), 감정 제어부(23)에 연결된 정보 출력부(25), 및 감정 제어부(23)에 연결되어 있는 촬영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세 감정 장치(20)의 구성요소(21-26) 역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통신부(21)는 시세 조회 장치(10)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예로, 이미 기술한 인터넷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는 시세 감정 장치(20)의 사용자(예, 담당자나 관리자)가 고객으로부터 의뢰된 금제품의 시세를 감정하기 위해 입력되는 명령과 정보 등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감정 제어부(23)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2) 역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및 마우스(mouse)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감정 제어부(23)는 시세 감정 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된 고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에 대한 시세를 감정하며, 고금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되어 있는 고금 관련 데이터와 관리자가 등록한 참조 감정사례와 연구보고서 등과 같은 감정 참고자료를 참고해 기계 학습하며, 이를 통해 감정결과를 자가 보정할 수 있다. 이때, 감정 제어부(230는 필요에 저장학습부(24)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감정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감정 제어부(23)는 고금의 종류와 품위에 따라 사전에 연구된 자료, 조사 자료 및 학습된 시세감정 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통해 해당 고금에 대한 평균 함량 비율을 도출하며, 이를 이용하여 전송된 고금 중량을 보정해 고금 실제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고금 실제 중량은 시세 감정 의뢰한 고금에 대한 시세를 감정 제어부(23)가 감정할 때 실제로 사용되는 감정용 고금 중량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금 정보에 구비된 고금 중량과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연구된 자료, 조사 자료 및 학습된 시세감정 룰은 저장학습부(24)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예에서, 사전에 연구된 자료, 조사 자료 및 학습된 시세감정 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평균 함량 비율은 금의 종류와 품위에 따라 정해진 금의 함량 비율이다. 예를 들어, 24K 골드바의 품질보증서상 함량 비율은 99.99%이나 여러 동일 제품류에 대한 시세감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결과 평균 함량 비율이 99.8%일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감정 제어부(23)는 고금 사진에 대한 영상 처리 동작에 따라 고금 사진에서 보석류의 존재를 판정하여 보석류의 존재 여부에 따라 산출된 고금 실제 중량을 보정하여 최종적으로 고금 실제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감정 제어부(23)는 보석류의 개수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 실제 중량을 보정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보석류의 존재 여부에 따라 고금 실제 중량을 보정하는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저장학습부(24)는 감정 제어부(23)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와 같은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저장학습부(24)에는 고금의 종류와 품위에 따른 평균 함량 비율과 현재 금 시세가 저장될 수 있고, 보석류의 개수, 면적 비율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보석 중량 차감율이 저장될 수 있다.
정보 출력부(25)는 감정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26) 역시 카메라(camera)와 같이 금제품의 감정 과정을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을 감정 제어부(23)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감정 제어부(23)는 촬영부(1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유튜브와 같은 영상을 대중에 공개하는 플랫폼 서버(platform server, 예, 유튜브 서버)인 영상 플랫폼 서버(40)로 전송해 해당 영상 플랫폼 서버(40)에 영상을 업로딩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해당 영상 플랫폼 서버(40)에 접속하여 시세 조회 장치(10)를 통해 시세 감정 장치(20)에서 업로딩한 해당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0)는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고객의 정보(즉,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 데이터베이스(31)와 감정을 의뢰한 고금의 고금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고금 데이터베이스(32)를 구비할 수 있다.
회원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 정보는 고객의 식별번호(ID) 및 비밀번호 그리고 고객의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금 데이터베이스(3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고금 관련 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등록한 참조 감정사례와 연구보고서 등과 같은 감정 참고자료, 해당 고금의 시세 감정 결과 및 정밀 감정 결과 등과 같이 해당 고금의 시세 감정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플랫폼 서버(40)는 유튜브(Youtube)와 같이 사용자가 동영상을 업로딩하고 시청하며 공유할 수 있는 동영상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의 동작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플랫폼 서버(40)는 시세 감정 장치(20)와 인터넷 통신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하여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업로딩되는 영상을 받아 처리하여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시세 조회 장치(10) 역시 영상 플랫폼 서버(40)와 인터넷 통신 모듈(112)을 통해 접속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은 감정 의뢰한 자신의 고금에 관련된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시세 감정 장치(20)는 해당 영상을 영상 플랫폼 서버(40)에 업로딩한 후 해당 링크 주소를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전송된 링크 주소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자신의 고금에 관련된 동영상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세 조회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보 출력부(15)는 영상 표시 기능과 터치 센서를 통한 입력 기능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으로 가정하므로 사용자 입력부(12)의 적어도 일부는 터치 스크린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시세 조회 장치(10)에는 이미 통신부(11)를 통해 고금의 시세를 조회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고, 시세 조회 장치(10)의 화면[즉, 정보 출력부(15)의 화면]에는 고금의 시세 조회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icon)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정보 출력부(15)에 설치된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여 고금의 시세 조회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도 4 내지 도 6h를 참고하여, 고객이 원하는 고금에 대한 시세 감정 의뢰 동작과 이에 따른 시세 감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고객의 동작에 의해 해당 실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시세 조회 장치(10)이 동작하고, 이에 따라 시세조회 제어부(13)는 동작을 시작하여(S10) 정보 출력부(15)를 통해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은 시세 조회 초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S11).
도 6a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고금 시세 조회 초기 화면에는 '고금 시세 의뢰'버튼이 존재할 수 있고, 이 '고금 시세 의뢰 버튼'이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고객에 의해 선택되면, 시세조회 제어부(13)는 고금의 시세 조회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고금 시세 의뢰'버튼의 선택 동작과 같이 고객의 동작 시작 동작이 이루어지면(S12), 정보 출력부(15)를 통해 고금 관련 데이터 입력 화면을 출력하여(S13), 시세 감정을 원하는 고금 관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고금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의 한 예를 도 6b 내지 도 6d와 같다.
이때, 도 6b는 고금 관련 데이터 입력 화면의 초기 상태로서, 고금 종류 입력 영역, 고금 품위 입력 영역, 고금 중량 입력 영역 및 고금 사진 첨부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c는 고금 종류 입력 영역이 사용자 입력부(12)로 선택될 때의 하부 화면으로서,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고금의 종류가 나열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시세 감정을 의뢰할 고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d는 고금의 종류를 선택한 후 고금 품위 입력 영역이 사용자 입력부(12)로 선택될 때의 하부 화면으로서,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고금의 품위 종류(예, 24K, 18K, 14K 및 모름)가 나열될 수 있다.
도 6e는 고금의 품위를 선택한 후 고금 중량 영역이 사용자 입력부(12)에 의해 선택될 때, 고금 중량 영역으로 고금 중량을 입력하기 위한 하부 화면이다. 이때, 고금의 중량의 단위는 '돈','냥' 또는 그램(g) 중 하나로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고금에 대한 정확한 중량을 알 수 없는 경우,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저울 등을 이용해 중량을 측정하여 해당 영역에 입력할 수 있다.
도 6f는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한 순차적인 동작에 의해 해당 고금의 종류, 품위 및 중량이 모두 입력된 경우의 화면의 한 예이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의 동작에 따라 고금 정보, 즉 고금의 종류, 품위 및 중량)가 해당 영역에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입력되는 고금 정보와 고금 사진을 판독하여 저장부(14)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S14).
본 예에서는 고금 정보의 입력 순서는 고금의 종류-> 품위->중량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시세 감정을 의뢰할 고금의 고금 사진은 사용자 입력부(12)의 동작에 의한 시세조회 제어부(13)의 제어 동작에 따라 고금 사진 첨부 영역에 첨부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고금 사진을 선택해 검색할 수 있다.
이때, 고금 사진이 미쳐 시세 의뢰 장치(10)의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고객은 촬영부(16)를 이용해 고금 사진을 촬영한 후 첨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한 고객의 동작에 의해 촬영부(16)의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촬영부(16)를 동작시켜 고객에 의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입력부(12)의 동작을 통해, 고금 정보의 입력 및 고금 사진의 첨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면, 고객은 고금 관련 데이터 입력 화면에 위치하는 '조회하기'버튼을 동작시켜 해당 고금의 시세를 조회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고금 정보와 고금 사진을 이용하여 해당 고금에 대한 감정가를 조회하기 위한 조회 동작이 이루어졌는 지 판단한다, 즉, '조회하기'버튼이 동작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15).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해당 고금에 대한 감정가 조회 동작이 입력되면(S15),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입력된 고금 정보와 고금 사진을 고금 관련 데이터(즉, 금제품 관련 데이터)로서 통신부(11)의 인터넷 통신 모듈(112)을 통해 시세 감정 장치(20)로 전송한다(S16). 이때, 시세조회 제어부(13)는 해당 시세 조회 장치(10)의 정보(즉, 시세 조회 장치 정보)(예, 전화번호)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세 감정 장치(20)는 전송된 고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의 시세를 감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시세 조회 장치(10)의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시세 감정 결과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S17),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해당 고금에 대한 시세 감정 결과가 전송되면, 정보 출력부(15)로 시세 감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S18).
다음, 도 5를 참고로 하여,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된 고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의 시세를 감정하는 시세 감정 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한다.
즉, 통신부(21)를 통해 고금 관련 데이터 및 시세 조회 장치 정보가 해당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되면, 시세 감정 장치(20)의 동작이 시작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고금 관련 데이터(즉, 고금 정보 및 고금 사진) 및 시세 조회 장치 정보가 전송되면(S21), 감정 제어부(23)는 전송된 고금 정보, 고금 사진 및 시세 조회 장치 정보를 저장학습부(24)에 저장할 수 있다(S22).
본 예에서, 감정 제어부(23)는 저장학습부(24)에 저장되어 있는 사전에 연구된 자료, 조사 자료 및 학습된 시세감정 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통해 해당 고금에 대한 평균 함량 비율을 도출하고, 도출된 평균 함량 비율을 저장학습부(24)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 감정 제어부(23)는 전송된 고금 정보와 고금 사진을 이용하여 해당 고금의 시세를 감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감정 제어부(23)는 전송된 고금 정보와 저장학습부(24)에 저장되어 있는 고금 품위와 고금 종류에 따라 도출된 평균 함량 비율을 이용하여 감정 의뢰된 해당 고금의 고금 실제 중량을 산출한다(S23).
본 예의 저장학습부(24)에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고금의 품위와 중량에 따른 금의 평균 함량 비율이 저장되어 있고, 금의 중량 단위 중 하나인 '돈'과 '냥'에 대응하는 그램(g) 단위의 중량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4K의 골드바인 경우 품질보증서상 평균 함량은 99.99%이나, 여러 동일 제품류에 대한 함량을 반복적으로 감정한 결과, 감정 제어부(23)는 24K 골드바에 대한 평균 함량 비율을 99.8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된 고금 정보에 따라 해당 고금이 18K 목걸이고 금의 중량이 1돈인 경우, 감정 제어부(23)는 저장학습부(24)에서 18K 목걸이에 대한 평균 함량 비율(74.60%)을 읽어오고, 1돈에 대한 g 중량을 3.75g로 환산한다. 그런 다음, 감정 제어부(23)는 환산된 고금의 g중량에 평균 함량 비율에 해당하는 백분율(0.746)을 곱하여 해당 고금인 18K 목걸이 1돈의 실제 고금 중량을 2.7975g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된 고금의 중량 단위가 '돈' 등이 아닌 g 단위로 전송되는 경우, 감정 제어부(23)에 의한 중량 단위의 환산 동작은 생략된다.
다음, 감정 제어부(23)는 해당 고금 사진을 이용하여 산출된 고금 실제 중량에 대한 보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감정 제어부(23)는 전송된 고금 사진의 영상을 이용하여 사진에 큐빅(cubic)과 같은 모조 보석이나 매우 작은 다이아몬드 같은 진짜 보석과 같은 금 이외의 다른 종류의 보석류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와 촬영된 고금 사진에서 보석류의 개수, 면적 비율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저장학습부(24)에 저장한다(S24).
이때, 감정 제어부(23)는 고금 사진의 영상에 대한 계조값(즉, 화소값)을 이용한 색깔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 동작을 이용하여 보석류의 유무와 보석류의 개수, 면적 비율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보석류의 면적은 시세 감정을 의뢰한 고금 사진에 기준영상(예, 10원짜리 동전)이 존재할 경우, 감정 제어부(23)는 이 기준영상을 기초하여 보석류의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감정 제어부(23)는 고금 사진에 대한 영상 처리 동작을 통해 보석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25), 감정 제어부(23)는 단계(S23)에서 산출된 고금 실제 중량을 보정하지 않고 그대로 고금 실제 중량으로서 저장학습부(24)에 저장할 수 있다(S26).
하지만, 고금 사진에 보석류가 존재하는 상태로 판단되면(S25), 감정 제어부(23)는 판단된 보석류의 개수, 면적 비율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보석 중량 차감율을 저장학습부(24)에서 읽어온다(S27).
예를 들어 보석류 면적 비율이 0%을 초과하고 10% 미만이면 보석 중량 차감율은 0.00%일 수 있고, 10%~20%이면, 보석 중량 차감율은 0.1%일 수 있다. 이처럼, 보석 중량 차감율은 보석류의 개수, 면적 비율 및 면적이 증가할수록 커질 수 있다.
그런 다음, 감정 제어부(23)는 판정된 보석 중량 차감율을 단계(S23)에서 산출된 고금 실제 중량에 적용하여 해당 고금 실제 중량의 크기를 보정한 후 보정된 고금 실제 중량을 최종적으로 고금 실제 중량으로서 저장학습부(24)에 저장할 수 있다(S28)
이와 같이, 해당 고금에 대한 고금 실제 중량이 정해지면, 감정 제어부(23)는 저장학습부(24)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금 시세를 감정용 고금 실제 중량에 곱하여, 해당 고금에 대한 시세 감정가를 산출할 수 있다(S29).
본 예에서, 감정 제어부(23)는 고금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되어 있는 고금 관련 데이터와 감정 참고자료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을 실시하여, 산출된 시세 감정가를 자가 보정하여 시세 감정가를 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감정 제어부(23)는 통신부(21)를 통해 해당 고금에 대한 시세 감정가를 포함한 시세 감정 결과를 시세 조회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210). 시세 감정 결과에는 시세 감정가뿐만 아니라 전송 받은 고금 정보, 고금 사진, 시세 감정에 사용된 고금 실제 중량 및 최근 시세 감정을 의뢰한 고금에 대한 고금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시세 감정 장치(20)의 감정 제어부(23)는 전송된 고금 사진의 영상을 이용하여 보석류를 검출하고, 보석류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고금 실제 중량을 보정하는 동작(S24~S28)은 생략될 수 있다.
이처럼, 시세 조회 장치(10)는 도 4를 참고로 하여 이미 기술한 것처럼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전송된 시세 감정 결과를 수신하여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할 수 있다(S17, S18).
이때, 시세 조회 장치(10)의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전송된 시세 감정 결과를 이용하여 감정가 출력 화면을 생성해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할 수 있다.
감정가 출력 화면의 한 예를 도 6g에 도시한 것과 같다.
도 6g에 도시한 것처럼, 감정가 출력 화면에는 산출된 고금 실제 중량(예, e금 3.67g)과 시세 감정가(예, 205,800월), 고금 정보(예, 돌반지, 24K, 1돈) 및 고금 사진이 표시되며, '최근 시세 조회 상품'이라는 부분에 최근 해당 고객이 감정가를 의뢰한 상품(즉, 고금)에 대한 사진이 표시된다.
이미 시세 감정 장치(20)는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된 고금 정보 및 고금 사진을 고금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할 때 함께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시세 조회 장치 정보에 대응되게 해당 고금 정보와 고금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세 감정 장치(20)는 고금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시세 조회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고금 사진을 읽어와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세 조회 장치(10)의 정보 출력부(15)를 통해 감정가 출력 화면이 출력되면, 고객은 정보 출력부(15)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시세 감정을 의뢰한 해당 고금에 대한 현재 시세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시세 조회 장치(10)의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위에 기재한 것처럼 시세 감정 장치(20)에 의해 시세 감정된 해당 고금에 대한 시세 감정가를 출력한 후, 고금 시세를 조회한 이력과 시세 감정 결과를 저장부(14) 등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4)에는 시세 감정을 의뢰한 고금 사진 및 고금 정보, 일반 감정 의뢰 일시, 시세 감정 결과가 시간 순으로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하는 고금에 대한 시세 감정 결과를 수신하면, 고객은 해당 고금을 현금화시키기 위한 고금 교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 도 7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일반 감정을 의뢰한 고금에 대한 현금 교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g에 도시한 것처럼, 고개 단말(10)의 정보 출력부(15)를 통해 해당 고금에 대한 일반 감정가가 출력되면, 고객은 시세 조회 장치(10)의 정보 출력부(15)로 출력되는 감정가 출력 화면의 '매입 신청'버튼의 선택 동작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12)의 동작을 통해 해당 고금에 대한 매입 신청을 시세 감정 장치(20)로 의뢰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세 조회 장치(10)의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사용자 입력부(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고금 매입 신청 동작이 이루어지면(S31), 시세 조회 장치(10)의 시세조회 제어부(13)는 통신부(11)의 인터넷 통신 모듈(112)를 통해 시세 감정 장치(20)로 고금 매입 신청 요청(즉, 금제품 매입 신청 요청)을 전송한다(S32).
이에 따라 시세 감정 장치(20)의 감정 제어부(23)는 회원 데이터베이스(31)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세 조회 장치(10)이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따라서, 해당 시세 조회 장치(10)이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감정 제어부(23)를 통신부(21)를 통해 시세 조회 장치(10)로 회원 등록을 요청하여 시세 조회 장치(10)의 회원 등록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33).
따라서, 시세 조회 장치(10)에 대한 회원 등록이 완료되면, 감정 제어부(23)는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고객 정보(예, 이름, 주소, 시세 조회 장치 정보(예,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은행계좌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회원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할 수 있다(S34). 이때, 감정 제어부(23)는 또한 해당 고금에 대한 현금에 대응하는 전자 화폐 지급을 위한 고객용 전자 지갑을 생성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할 수 있다(S34).
하지만, 해당 시세 조회 장치(10)의 고객이 이미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거나, 회원 가입 동작이 완료되면, 감정 제어부(23)는 시세 조회 장치(10)로 안내 사항을 전송하여(S35),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전송된 안내 사항을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한다(S36).
따라서, 고객은 자신의 단말(10)의 정보 출력부(15)를 통해 출력되는 안내 사항을 확인하고, 동의 내용에 동의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안내 사항에는 매입 신청한 고금을 배송할 배송 업체, 배송 주소, 배송 시 주의 사항, 배송비 및 배송비 착불 여부, 그리고 매입 신청 취소 시 배송비 관련 내용 등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정보 출력부(15)를 통해 출력된 동의 내용에 대한 동의 동작이 이루어져 해당 신호가 시세조회 제어부(13)로 입력되면(S37), 시세조회 제어부(13)는 고객의 동의 결과를 시세 감정 장치(20)로 전송한다(S38).
이에 따라, 시세 감정 장치(20)의 감정 제어부(23)는 고금 교환 요청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여, 해당 고금에 대한 고금 교환 동작에 대한 접수 번호를 생성해 저장학습부(24)에 저장할 수 있다(S39). 이때, 시세 감정 장치(20)는 생성된 접수 번호를 고금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 시세 감정 장치(20)의 감정 제어부(23)는 생성된 접수 번호를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하고(S310),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전송된 접수 번호를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하여 고객이 고금 교환 요청 동작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S311). 이때, 시세 감정 장치(20)는 접수 번호뿐만 아니라 접수일자도 함께 생성하여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감정 제어부(23)은 시세 조회 장치(10)로 접수 번호를 전송한 후, 도 6h와 같은 택배 요청 화면을 생성해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S312, S313).
택배 신청 화면은 도 6h에 도시한 것처럼, 해당 고금에 대한 고금 정보, 고금 실제 중량(예, e금 3.67g) 및 시세 감정가(예, 205.800원), 그리고 안내 사항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택배 요청 화면이 전송되면, 시세 조회 장치(10)의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정보 출력부(15)로 택배 요청 화면을 출력하여, 매입 신청한 고금에 대한 택배 신청을 고객이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택배 신청 요청이 입력되면, 즉 택배 요청 화면의'택배 신청'버튼이 선택되면,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시세 감정 장치(20)로 택배 신호 요청을 전송한다(S315).
이에 따라, 택배 신청 요청이 접수되면, 감정 제어부(23)는 택배 신청 접수를 실시하여, 해당 고객의 주소지로 택배 기사 등을 통해 해당 고금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대안적인 예에서, 감정 제어부(23)는 택배 요청 화면을 생성해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하는 대신, 택배 요청 화면용 정보만을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하고, 시세 조회 장치(10)에서 전송된 택배 요청 화면용 정보를 이용해 해당 영상의 택배 요청 화면을 생성해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접수 번호가 수신되면, 고객은 안내 사항이 기재된 내용에 따라 매입 신청한 고금을 택배 등을 이용하여 지정된 주소로 배송하게 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배송된 해당 고금은 이미 도 4 및 도 5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시세 감정 동작이 완료된 고금이고, 시세 감정 결과는 이미 고금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담당자는 고객이 배송한 매입 신청한 고금이 택배 등을 통해 배송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해당 고객으로부터 배송된 매입 신청한 고금이 도착되면, 담당자는 사용자 입력부(22)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의 도착 상태, 도착 일시 및 접수번호와 같은 고금 도착 정보를 감정 제어부(23)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감정 제어부(23)는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입력되는 고금 도착 정보를 저장학습부(24)에 저장할 수 있다(S317).
이와 같이, 매입 신청한 고금이 시세 감정 장치(20)를 운영하는 해당 업체에 도착하면, 담당자는 매입 신청한 고금이 담겨있는 포장 상자를 해체하고, 고객이 배송한 해당 고금, 즉 매입 신청한 고금을 꺼내어 배송된 고금의 상태를 실제 시세 조회 장치(10)를 통해 전송 받은 고금 정보 및 고금 사진과 비교하고 확인하고, 고금의 품위를 확인하고, 고금의 중량과 보석류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과 같은 정밀 감정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포장 물품을 해체하는 동작에서부터 배송된 고금을 정밀 감정하는 동작까지의 전 과정은 촬영부(26)를 통해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때, 촬영부(26)에 촬영되는 영상에는 해당 고금의 정밀하게 감정하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담당자는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된 고금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하여 고금 매입을 위한 고금 매입 중량을 산출하게 된다.
해당 고금을 정밀 감정하는 동작에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해당 고금의 중량을 실제로 측정하는 동작, 해당 고금의 품위를 측정하는 동작 및 해당 고금에 구비되어 있는 각 보석류의 상태(즉, 보석류의 총 중량)를 측정하는 동작과 같이, 고금 매입 시 고금 매입 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소에 대한 감정 동작이 구비될 수 있다.
해당 고금의 중량 측정은 해당 업체에 구비되어 있는 별도의 전자 저울을 이용할 수 있고, 고금의 품위 및 보석류의 상태를 측정하는 동작 역시 별도의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따라서, 담당자는 포장 상자를 해체하기 전에 사용자 입력부(22)를 이용하여 감정 제어부(23)로 촬영부 동작 신호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감정 제어부(23)는 입력된 촬영부 동작 신호에 따라 촬영부(26)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촬영부(26)를 동작시킬 수 있다(S318).
이처럼, 담당자는 촬영부(26)의 동작 하에 해당 포장 물품을 해체하는 동작에서부터 배송된 고금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진행하여 촬영부(26)는 해당 포장 물품에 대한 언박싱(unboxing)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S319).
또한, 이미 기술한 것처럼, 담당자는 사용자 입력부(23)를 이용하여 고금를 정밀하게 감정한 정밀 감정 동작에 따라 산출된 정밀 감정 결과를 감정 제어부(23)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정밀 감정 결과는 담당자에 의해 새롭게 감정된 고금 매입 중량과 고금 품위 및 고금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고금 매입 중량과 현재 금 시세에 따라 산출된 고금 매입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담담장에 의해 새롭게 감정된 고금 매입 중량, 고금 품위 및 고금 종류 중 적어도 하나는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된 고금 정보와 상이할 수 있고, 또한, 고금 시세 정밀 동작에 의해 산출된 고금 매입 금액 역시 단계(S29)에서 산출된 시세 감정가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담당자의 동작에 따라 정밀 감정 결과가 입력되면, 감정 제어부(23)는 고금 매입 중량 및 고금 매입 금액을 포함하는 정밀 감정 결과를 저장학습부(24)에 저장할 수 있다(S320).
다음, 이러한 촬영부(26)의 동작에 의해 획득된 언박싱 영상은 감정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저장학습부(24)에 저장될 수 있다(S321).
그런 다음, 시세 감정 장치(20)의 감정 제어부(23)는 사용자 입력부(22)에 의한 담당자 등의 동작에 의해 통신부(21)를 통해 영상 플랫폼 서버(40)와 접속해 영상 플랫폼 서버(40)에 언박싱 영상을 업로딩할 수 있다(S322).
그럼 다음, 언박싱 영상의 업로딩 동작이 완료되면, 감정 제어부(23)는 사용자 입력부(22)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에 따라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을 생성하여(S323), 생성된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을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S324).
따라서, 시세 조회 장치(10)는 통신부(11)의 인터넷 통신 모듈(112)를 통해 전송된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을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하여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25).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의 한 예는 도 8a와 같다.
도 8a를 참고하면,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에는 해당 언박싱 영상이 영상 플랫폼 서버(40)에 링크되어 있는 언박싱 영상 링크 주소, 정밀 감정 결과의 동의에 따른 고금 매입 안내, 고객 정보(예, 이름),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된 고금 정보(고금 종류와 중량), 접수번호 및 문의 연락처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에는 고금 매입 중량과 고금 매입 금액, 고금 실제 중량과 고금 매입 중량과의 상이 여부 및 중량 차이, 그리고 고금 매입 금액과 시세 감정가의 상이 여부 및 고금 매입 금액과 시세 감정가의 가격 차이 등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고금 실제 중량과 고금 매입 중량과의 상이 여부 및 중량 차이 그리고 고금 매입 금액과 시세 감정가의 상이 여부 및 고금 매입 금액과 시세 감정가의 가격 차이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언박싱 과정에서, 배송된 고금과 고금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고금 사진이 상이할 경우, 담당자는 고객의 연락처 등을 이용하여 전화나 문자 등을 통해 이를 통지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언박싱 과정을 중단한 후 고금의 포장동작을 진행하여 고객에서 해당 고금을 반품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전송된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의 링크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의 언박싱 과정과 고금의 정밀 감정 과정, 해당 고금의 시세 감정 과정을 직접 확인하여, 자신의 고금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고금이 다른 고금과 바뀌는 것과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객은 언박싱 영상을 확인하여, 해당 고금에 대한 중량이나 품위를 잘못 알고 있는 경우, 이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고객은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에 고금 매입 중량과 고금 매입 금액 등이 기재된 경우,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고금 실제 중량과 고금 실제 중량과의 차이 여부 및 중량 차이, 그리고 시세 감정가와 고금 매입 금액과의 차이 여부 및 가격 차이를 확인할 수 있고, 고객의 고금 매입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고객은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을 확인한 후 고금 매입에 대한 최종 동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고객은 언박싱 확인 후 고금 매입을 최종적으로 원할 경우,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정보 출력부(15)에 출력되는 고금 매입 동의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한 예로, 도 8a에 도시한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이 출력되면 고객은 '고금 교환(매입) 승인/거절하러 가기'를 선택하여 고금 매입 동의 및 거절 페이지(미도시)로 넘어가 고금 매입에 대한 동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도 8a와 같은 언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 역시 시세 감정 장치(20)에서 생성된 후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되는 대신,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확인 안내문 정보를 이용하여 시세 조회 장치(10)에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의 동의 동작에 따라 시세조회 제어부(13)로 고금 매입 동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면(S326), 시세조회 제어부(13)는 고금 매입 동의 신호를 시세 감정 장치(20)로 전송한다(S327).
시세 감정 장치(20)의 감정 제어부(23)는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고금 매입 동의 신호가 입력되면, 저장학습부(24) 등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 매입을 위한 고금 매입 정보를 표시하는 고금 매입 승인 화면을 생성한 후(S328)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한다(S329).
이에 따라, 시세 조회 장치(10)의 시세조회 제어부(13)는 전송된 고금 매입 승인 화면을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한다(S330).
고금 매입 승인 화면 역시 시세 감정 장치(20)에서 생성된 후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되는 대신, 시세 감정 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고입 매입 정보를 이용하여 시세 조회 장치(10)에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시세 감정 장치(20)에서 생성되는 고금 매입 승인 화면의 한 예는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한 것과 같다.
도 8b는 매입 요청한 고금의 개수가 한 개인 경우이고, 도 8c는 매입 요청한 고금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이다.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한 것처럼, 고금 매입 승인 화면에는 고금 매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고금 매입 정보는 고금 매입 금액(예, 205,800원), 시세 감정을 위해 실제로 이용된 고금 매입 중량(예, e금 3.67g), 고금 종류(돌반지), 고금 품위(24K), 고금 중량(예, 1돈), 고금 사진 및 안내 문구를 구비할 수 있다.또한, 고금 매입 승인 화면에는 고금 실제 중량과 고금 매입 중량과의 상이 여부 및 중량 차이, 그리고 고금 매입 금액과 시세 감정가의 상이 여부 및 고금 매입 금액과 시세 감정가의 가격 차이 등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정보 출력부(15)로 출력되는 고금 매입 승인 화면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여 자신이 매입 요청한 고금이 표시된 고금 사진과 일치하는 지 그리고 해당 고금을 실제로 매입 요청할 때 시세 감정된 시세 감정가와 고금 매입 금액과의 차이, 고금 실제 중량과 고금 매입 중량과의 차이 등을 확인하여 요청한 고금의 최종 매입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고객은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 매입에 대한 최종 승인을 하거나 고금 매입의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예로, 고금 매입 승인 화면에는 '거절'버튼과 '승인'버튼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해당 고금의 매입을 최종적으로 승인하는 경우에는 '승인'버튼을 선택하고, 변심 또는 고금 매입 승인 화면에 표시된 정보에 오류 발생 등으로 인해 해당 고금의 매입 승인을 최종적으로 거절하는 경우에는 '거절'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한 것처럼, 매입 요청한 고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고객은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고금 중에서 매입을 원하는 고객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시세조회 제어부(13)는 고객의 선택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도 함께 시세 감정 장치(20)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세 감정 장치(20)는 시세 조회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고금 중에서 매입 신청한 해당 고금에 대한 매입 동작 여부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의 동작에 의해 '승인 버튼'이 선택되어 해당 고금에 대한 매입 승인이 이루어진 상태로 판단되면, 시세조회 제어부(13)는 매입 승인 신호를 시세 감정 장치(20)로 전송하고(S331), 이에 따라 감정 제어부(23)는 고금 매입 승인 화면에 표시된 고금 매입 금액(즉, 실제 매입 금액)에 대한 결제 동작을 제어한다(S332).
그런 다음, 감정 제어부(23)는 고금 매입 정보를 고금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할 수 있다(S333).
실제 매입 금액에 대한 결제를 위해, 감정 제어부(23)는 도시하지 않은 결제 서버와 접속하여 고객의 은행 계좌번호로 실제 매입 금액을 이체할 수 있다. 또는 감정 제어부(23)는 해당 고객의 전자 지갑에 실제 매입 금액에 대응하는 전자 화폐를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고금 매입 승인 화면의 '거절'버튼이 선택되어, 해당 고금의 매입 동작을 최종적으로 취소 요청이 이루어진 상태로 판단되면, 도 7c에 도시한 것처럼 시세조회 제어부(13)는 매입 취소 요청 신호를 시세 감정 장치(20)로 전송한다(S340).
따라서, 시세 감정 장치(20)의 감정 제어부(23)는 배송비 청구 요청 화면을 생성한 후(S341), 시세 조회 장치(10)로 생성된 배송비 청구 요청 화면을 전송한다(S342).
따라서, 시세 조회 장치(10)의 시세조회 제어부(13)는 통신부(12)의 인터넷 통신 모듈(112)을 통해 전송된 배송비 청구 요청 화면을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하여 고객에서 배송비 청구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43).
배송비 청구 요청 화면에는 해당 고금을 고객에서 반품하기 위한 배송 금액, 배송금액의 입금을 위한 은행명, 계좌번호 및 예금주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또한 배송비 요청 메시지가 기재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배송비 청구 요청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요청된 배송 금액을 해당 은행의 계좌번호를 입금하게 된다.
이때, 고객으로부터 해당 배송 금액이 입금된 상태로 확인되면, 시세 감정 장치(20)의 감정 제어부(23)는 시세 조회 장치(10)로 입금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안내 문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반품을 위한 배송비용이 입금된 상태가 확인되면, 담당자는 해당 고금을 반품하기 위한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담당자는 언박싱 동작과는 반대로 고객으로부터 배송된 고금을 포장하는 박싱 동작을 수행하고, 언박싱 동작 시에 동일하게 해당 고금을 확인하고 포장하는 모든 과정이 촬영부(26)를 통해 촬영된다.
따라서, 담당자는 고금을 포장하기 전에 사용자 입력부(22)를 이용하여 감정 제어부(23)로 촬영부 동작 신호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감정 제어부(23)는 입력된 촬영부 동작 신호에 따라 촬영부(26)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촬영부(26)를 동작시킬 수 있다(S344).
그런 다음, 담당자는 촬영부(26)의 동작 하에 해당 고금의 포장을 시작하여 완료할 때까지의 동작을 실시하여, 촬영부(26)는 해당 고금의 포장 과정이 모두 촬영된 고금의 박싱(unboxing)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345).
이러한 촬영부(26)의 동작에 의해 획득된 박싱 영상은 감정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저장학습부(24)에 저장될 수 있다(S346).
그런 다음, 시세 감정 장치(20)의 감정 제어부(23)는 사용자 입력부(22)에 의한 담당자 등의 동작에 의해 통신부(21)를 통해 영상 플랫폼 서버(40)와 접속해 영상 플랫폼 서버(40)에 박싱 영상을 업로딩할 수 있다(S347).
해당 고금에 대한 박싱 영상의 업로딩 동작이 완료되면, 감정 제어부(23)는 사용자 입력부(22)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에 따라 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을 생성하여(S348), 생성된 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을 시세 조회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S349). 이때, 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에는 박싱 영상 링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세 조회 장치(10)는 통신부(11)의 인터넷 통신 모듈(112)를 통해 전송된 박싱 영상 확인 안내문을 정보 출력부(15)로 출력하여 고객이 해당 박싱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50). 따라서, 고객은 자신이 시세 감정 의뢰한 고금이 안전하게 다른 물품과 바뀌지 않고 포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담당자는 택배 등을 이용하여 포장된 고금을 해당 고객에서 배송하여, 시세 감정이 취소된 해당 고금을 해당 고객에게 되돌려주게 된다.
본 예에서, 시세 조회 장치(10)와 시세 감정 장치(20)의 화면 전송 등은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런 경우, 시세 감정 장치(20)는 별도의 메신저 관리 서버를 통해 시세 조회 장치(10)로 해당하는 화면의 출력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시세 조회 장치(10)와 시세 감정 장치(20)의 정보 출력부(15, 25)에 출력되는 화면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해당 저장 매체(14, 24)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시세 조회 장치 20: 시세 감정 장치
30: 데이터베이스부 31: 회원 데이터베이스
32: 고금 데이터베이스 40: 영상 플랫폼 서버
11, 21: 통신부 12, 22: 사용자 입력부
13: 시세조회 제어부 14: 저장부
15, 25: 정보 출력부 16, 26: 영상 촬영부
23: 감정 제어부 24: 저장학습부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금제품 품위와 금제품 종류에 따른 평균 함량 비율, 금제품 중량에 따른 제품 중량 및 현재 금 시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학습부;
    시세 조회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학습부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시세 감정을 의뢰한 금제품에 대한 금제품 정보 및 상기 저장학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평균 함량 비율과 상기 제품 중량을 이용하여 상기 금제품의 금제품 실제 중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금제품 실제 중량과 상기 현재 금 시세를 이용하여 상기 금제품에 대한 시세 감정가를 산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감정가를 포함하는 시세 감정 결과를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부터 금제품 매입 동의 신호가 전송되면, 금제품 매입 금액, 금제품 매입 중량, 금제품 종류, 금제품 품위, 금제품 중량 및 금제품 사진을 포함하는 금제품 매입 정보를 생성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금제품에 대한 매입 승인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금제품 매입 금액에 대한 결제 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금제품에 대한 매입 승인 취소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배송비 청구 요청 내용을 전송하는 감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제품 매입 금액은 상기 시세 감정가와 상이하고,
    상기 금제품 매입 정보는 금제품 실제 중량과 금제품 매입 중량과의 상이 여부 그리고 금제품 매입 금액과 시세 감정가의 상이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시세 감정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제품 정보는 상기 금제품의 종류, 품위 및 중량을 포함하는 시세 감정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부터 금제품 매입 신청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금제품의 교환 동작에 대한 접수 번호를 접수 번호를 생성해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하는 시세 감정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금제품의 포장 상자를 해체하고 상기 금제품의 시세 감정을 실시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금제품에 대한 언박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감정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금제품에 대한 상기 금제품 매입 중량을 상기 감정 제어부로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시세 감정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언박싱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영상 플랫폼 서버에 업로딩하고,
    상기 영상 플랫폼 서버의 언박싱 영상 링크 주소를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하는 시세 감정 장치.
  18. 삭제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제품 매입 금액은 상기 금제품 매입 중량에 따라 정해진 금액인 시세 감정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금제품에 대한 포장 영상인 박싱 영상을 영상 플랫폼 서버로 업로딩하고 상기 영상 플랫폼 서버의 박싱 영상 링크 주소를 상기 시세 조회 장치로 전송하는 시세 감정 장치.
  2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제어부는 상기 저장학습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전에 연구된 자료, 조사 자료 및 학습된 시세감정 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해당 금제품에 대한 평균 함량 비율을 도출하는 시세 감정 장치.
  2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제어부는 기계 학습을 실시하여 산출된 시세 감정가를 보정하는 시세 감정 장치.
KR1020200057676A 2020-05-14 2020-05-14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 KR102439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76A KR102439863B1 (ko) 2020-05-14 2020-05-14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76A KR102439863B1 (ko) 2020-05-14 2020-05-14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788A KR20210140788A (ko) 2021-11-23
KR102439863B1 true KR102439863B1 (ko) 2022-09-02

Family

ID=7869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676A KR102439863B1 (ko) 2020-05-14 2020-05-14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8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5639A (ja) * 2011-01-28 2012-08-16 Tanaka Kikinzoku Kogyo Kk 貴金属製品買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941A (ko) * 2002-12-11 2004-06-18 이육훈 귀금속 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KR20090104215A (ko)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신한은행 금매매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090123530A (ko) 2008-05-28 2009-12-02 정강용 고금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2142A (ko) * 2012-04-03 2013-10-14 임주용 치금매입을 위한 화상 모니터링 검증시스템 및 그 검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5639A (ja) * 2011-01-28 2012-08-16 Tanaka Kikinzoku Kogyo Kk 貴金属製品買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788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7689B2 (en) Dynamic customer checkout experience within an automated shopping environment
US202202375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identity transmission with integrated service network and application ecosystem
US20210272179A1 (en) User specific data distribution of crowd-sourced data
US10176515B2 (en) Virtual jewelry shopping in secondary markets
JP5908978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使用して店内ショッピングサービスを強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276335B1 (ko) 부동산 중개 시스템
EP3109838A1 (en) Mobile device based digital wallet for retail shopping, related system and method
US10331921B2 (en) Event based interrogation zone tracking system for product samples
CN109118199A (zh) 快拍移动支付装置,方法和系统
KR101794246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6099787A (ja) 免税用情報収集装置、免税用情報収集システム、免税用情報収集方法、および、免税用情報収集プログラム
Purwantono et al. A literature review: Feasibility Study of technology to improve shopping experience
US202002580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urate image characteristic detection
KR102439863B1 (ko) 시세 조회 장치 및 시세 감정 장치
CN107851279A (zh) 智能发布列表引擎
KR102373447B1 (ko) 시세 감정 장치
KR101774847B1 (ko)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JP2017224144A (ja) 店舗情報管理システム
JP70680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40050941A (ko) 귀금속 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JP2021157272A (ja) 購入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購入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56043A (ko) 쥬얼리 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220149986A (ko)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0586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5063065A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