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847B1 -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847B1
KR101774847B1 KR1020160028338A KR20160028338A KR101774847B1 KR 101774847 B1 KR101774847 B1 KR 101774847B1 KR 1020160028338 A KR1020160028338 A KR 1020160028338A KR 20160028338 A KR20160028338 A KR 20160028338A KR 101774847 B1 KR101774847 B1 KR 10177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mage
worn
purchase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코인 주식회사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인 주식회사, 김성수 filed Critical 코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8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포토존 단말을 이용해 촬영한 이미지(이하 '동영상' 포함)를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등록하고, 다른 구매 예정자가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이미지를 보고 상품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그 이미지를 등록한 최초 구매자에게 보상함으로써, 상품 판매를 활성화할 수 있고 상품관련 평가를 객관화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마케팅시스템은, 제1회원 단말에서 등록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웹사이트에 노출시켜 그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제2회원 단말에서 상품 구매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품 판매 금액의 일정비율을 제1회원에게 보상금으로 지급하는 온라인 판매서버와,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회원)가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하여 얻은 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다수의 포토존 단말, 및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된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 및 선택하여 상품 구매를 결정하고,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한 후 해당 상품의 구매결정 사유를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다수의 회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Online marketing system based on customer wear goods image}
본 발명은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포토존 단말을 이용해 촬영한 이미지(이하 '동영상' 포함)를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등록하고, 다른 구매 예정자가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이미지를 보고 상품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그 이미지를 등록한 최초 구매자에게 보상함으로써, 상품 판매를 활성화할 수 있고 상품관련 평가를 객관화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구매가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경우, 상품의 사진, 영상 또는 상품의 설명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매자들에게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특허문헌 공개번호 제10-2010-0050121호에는, 하나의 메인 상품과 이와 관련된 여러 개의 옵션 상품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개별적이고 다양한 구매 옵션을 제공하고, 이로 인해 개별적인 구매가 불가능하여 발생했던 구매자 이탈을 방지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 쇼핑몰 서버 및 쇼핑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상품을 포함하며, 옷, 신발, 모자, 시계, 선글라스, 가발 등과 같이 인체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품도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이러한 상품을 직접 착용해 보고 구매할 수 있으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하여 구매하는 경우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의 사진, 영상, 상품 정보 등을 통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 들어 상품 판매자가 직접 모델이 되거나 전문 모델을 채용하여 옷, 모자, 신발, 가발 등을 착용한 상태의 사진이나 영상 정보를 등록하여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의 상품 구매 가능성을 고취시키는 상품 전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품 판매자가 직접 모델이 되거나 전문 모델을 채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상품 착용 사진 등을 등록하는 작업은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오프라인 매장에 진열되어 판매되는 상품의 경우에는 구매자가 상품의 가격이나 브랜드 또는 디자인을 참작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경우 판매자가 해당 상품을 직접 홍보 내지 광고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다.
또한,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널리 알려진 상품이지만 타지역에서는 해당 상품의 품질 등이 지역적인 문제 등으로 알려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0121호(2010.05.13.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가 해당 상품의 모델이 되어 상품 광고 내지 판매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포토존 단말을 이용해 촬영한 이미지(동영상 포함)를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등록하고, 다른 구매 예정자가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이미지를 보고 상품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그 이미지를 등록한 최초 구매자에게 보상함으로써, 상품 판매를 활성화할 수 있고 상품관련 평가를 객관화할 수 있는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은, 웹사이트를 통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며, 제1회원 단말에서 등록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웹사이트에 노출시켜 그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제2회원 단말에서 상품 구매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품 판매 금액의 일정비율을 제1회원에게 보상금으로 지급하는 온라인 판매서버;
오프라인 매장마다 하나 이상 구비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회원)가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하여 얻은 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다수의 포토존 단말; 및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에 가입한 회원이 소지하는 단말로서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된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 및 선택하여 상품 구매를 결정하고,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한 후 해당 상품의 구매결정 사유를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다수의 회원 단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는 각 포토존 단말마다 고유의 ID를 부여하여 등록시키고, 등록되지 않은 포토존 단말에서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등록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토존 단말이나 온라인 판매서버는 상품 구매시 구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고유정보를 부여하여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회원 단말은 구매결정 사유로 구매고유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는 착용 상품이미지를 웹사이트에 일정기간 동안 노출하고 그 기간이 지나면 삭제하되, 다른 회원 단말에서의 선택 횟수, 추천 횟수, 구매결정 사유가 많을수록 노출 기간을 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는 웹사이트에 착용 상품이미지 감상평,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구입한 상품의 구매 후기나 댓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착용 상품이미지 관련 게시판을 개설하고,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구매자(회원)의 동의하에 그 구매자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버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방법은, (a)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1회원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매장에 구비된 포토존 단말이나 제1회원 단말에서 제1회원 정보, 상품 정보, 구매 정보(제1구매고유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포토존 단말로 제1회원이 구매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품을 촬영하여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포토존 단말에서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제1구매고유정보와 함께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d) 제2회원 단말에서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하고 그중 하나인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e) 상기 제2회원 단말에서 제1착용 상품이미지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제2회원 단말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게 된 사유를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g)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에서 구매결정 사유를 토대로 제1회원을 확인하고, 제1회원의 계정에 상품 판매 금액의 일정비율을 보상금으로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방법은, (a)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1회원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매장에 구비된 포토존 단말이나 제1회원 단말에서 제1회원 정보, 상품 정보, 구매 정보(제1구매고유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포토존 단말로 제1회원이 구매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품을 촬영하여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포토존 단말에서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제1구매고유정보와 함께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h) 제2회원 단말이나 포토존 단말에서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하고 그중 하나인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i) 상기 제2회원 단말이나 포토존 단말에서 제1착용 상품이미지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j) 상기 제2회원 단말이나 포토존 단말에서 제2회원 정보, 상품 정보, 구매 정보(제2구매고유정보) 및 해당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게 된 사유를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k) 상기 포토존 단말로 제2회원이 구매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품을 촬영하여 제2착용 상품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l) 상기 포토존 단말에서 제2착용 상품이미지를 제2구매고유정보와 함께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m)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에서 구매결정 사유를 토대로 제1회원을 확인하고, 제1회원의 계정에 상품 판매 금액의 일정비율을 보상금으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m)단계 이후에 제3회원 단말에서 제2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구매를 결정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에서 제2회원이 보상받게 될 금액의 일부를 제1회원에게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f)단계나 (j)단계에서 구매결정 사유로 구매고유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구매자가 해당 상품의 모델이 되어 해당 상품을 자발적으로 온라인 광고할 수 있다.
둘째, 광고지 배포나 지역 광고에 지출되던 소정의 광고비를 절약할 수 있고, 전문 광고 모델 등을 사용하여 상품을 홍보하던 기존 방식에 비하여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셋째, 구매자가 등록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기초로 상품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 그 구매자에게 소정의 포인트, 전자 화폐 또는 금전적 보상을 지급하므로 구매자는 실질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넷째, 구매자가 등록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기초로 상품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 보상을 하거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여 상품 구매를 유도함으로써 판매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다섯째, 여러 구매자가 등록한 착용 상품이미지 중 선택 횟수, 조회 횟수가 많거나 구매 결정 사유가 많은 상품이미지를 웹사이트의 초기 화면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품 구매자들 간의 경쟁을 촉진할 수 있다.
여섯째, 구매자가 등록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다른 다수의 구매자가 조회하거나 그 상품이미지를 보고 구매를 결정함으로써 상품관련 평가를 객관화할 수 있다.
일곱째,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개설된 착용 상품이미지 관련 게시판에 감상평, 상품 후기, 댓글, 추가 착용 상품이미지 등을 입력하여 구매자간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 유대 관계를 맺게 함으로써 상품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여덟째, 온라인 거래와 오프라인 거래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토존 단말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케팅시스템은 온라인 판매서버(10), 회원 단말(20a,20b,…) 및 포토존 단말(30a,30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10)는 포토존 단말(30a,30b,…) 및 회원 단말(20a,20b,…)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10)는 기본적인 회원 인증이나 상품의 등록, 검색, 구매 과정 기록 등과 관련하여 통상적으로 구현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온라인 판매서버(10)는, 각 상품별로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회원(구매자)에게 보상금(예를 들어 판매가의 5%)을 설정하고, 설정한 보상금을 상품 초기 등록시 함께 등록(제시)하며, 해당 상품에 대한 보상금을 회원에게 제공(예를 들어 포인트 적립 형식 등)할 것을 명시하며, 실제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인하여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최초 구매자에게 판매자의 소정 비율을 보상금으로 지급하고 정산한다.
여기서, 후속 구매가 다수의 실제 착용 상품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기인하였음을 증명하는 방법은, 온라인 판매서버(10)가 해당 상품이미지와 함께 실제 착용 상품이미지들을 함께 개시하고, 후속 구매자의 구매시 실제 착용 상품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기인하였음을 선택하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온라인 판매서버(10)는, 후속 구매자가 실제 착용 상품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대하여, 이미 설정한 후속 보상금(예를 들어 판매가의 2%)을 설정하고, 설정한 후속 보상금을 상품 초기 등록시에 함께 등록하며, 해당 상품에 대한 보상금을 회원에게 제공할 것을 명시하며, 실제 구매가에서 후속 보상금을 차감하여 정산하는 과정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상품의 구매(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구매자의 구매내역 정보와 매장의 판매내역 정보를 저장하여 추후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온라인 판매서버(10)는, 하나의 상품에 대해 다수의 구매자가 등록한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가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되는 경우, 다른 회원(후속 구매자)의 선택 횟수, 추천 횟수 등의 정보를 취합하여 횟수가 높은 상품이나 구매결정 사유가 높은 상품을 베스트 카테고리로 이동하여, 노출 빈도를 극대화 시킴으로써 구매자들 간의 경쟁(예를 들어 착용 상품이미지에 대한 채택률을 높이기 위한 연출경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서버(10)는 구매자가 등록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일정기간 동안 노출하고 그 기간이 지나면(예를 들어 신상품을 개시하고자 할 때 또는 재고품 관리기간이 지나면) 삭제한다.
여기서, 온라인 판매서버(10)를 운영하는 회사는, 연계된 오프라인 매장을 포함하여 재고품이 남아 있고, 이에 대해 예비 구매자에 의해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할 경우에 그 노출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즉, 다른 회원의 선택 횟수, 추천 횟수, 구매결정 사유가 없는 착용 상품이미지는 이미 설정한 기간이 지나면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웹사이트에 착용 상품이미지 관련 게시판을 개설하여 회원 단말(20a,20b,…)을 통해 착용 상품이미지 감상평,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구입한 상품 구매 후기, 댓글, 및 추가 상품 착용이미지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해 회원끼리 정보를 공유하면서 유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착용 상품이미지 관련 게시판에 구매자의 동의하에 연결버튼을 생성하여 게시판 이용자(회원)가 필요에 의해(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다른 구매관련 의견 문의) 연결버튼을 선택(클릭)하는 경우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구매자(회원)와 게시판 이용자(회원)가 단말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 단말(20a,20b,…)은 본 발명의 온라인 마케팅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이 소지하는 단말로서, 여기서 회원은 상품을 구매하고 자신이 직접 해당 상품의 모델이 되어 촬영한 상품이미지(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할 수 있는 자격(등록과 구별됨)을 갖게 된다.
회원이 아닌 경우에 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할 수 없고 이는 착용 상품이미지의 무분별한 등록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온라인 판매서버(10)는 회원이 아닌 경우에도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하게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구매고유정보가 없으므로 비회원에게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회원은 회원 단말(20a,20b,…)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서버(1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다른 구매자가 등록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하여 특정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에 해당 상품의 구매시 구매결정 사유 예를 들어, 구매고유정보 등을 입력하여 등록한 구매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포토존 단말(30a,30b,…)은 오프라인 매장마다 하나 이상 구비되어 결제 또는 온라인 판매서버(10)와 연결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단말로서, 결제수단, 통신수단, 입력수단(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출력수단(디스플레이(모니터), 프린터 등)을 구비하고 각각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포토존 단말의 고유 ID는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된다.
또한, 포토존 단말(30a,30b,…)은 자체에 카메라 기능이 구비되거나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포토존 단말(30a,30b,…)은 구매자가 구매할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여 다수의 이미지(착용 상품이미지)를 획득하고,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 중 상품을 잘 나타내는(표현하는) 착용 상품이미지를 모니터링 하여 구매자에게 제시토록 함으로써,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들 중 이미 설정한 개수로 해당 구매자가 선택하게 한다.
이때, 포토존 단말(30a,30b,…)은 카메라 촬영 영역에 다양한 형태의 배경(예를 들어 등산 용품의 경우 산악 배경, 해수욕 용품일 경우 바다 또는 해안의 배경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하여금 포토존 내에서 해당 상품의 착용상태 이미지가 부각될 수 있도록 포커싱하여 촬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포토존 단말(30a,30b,…)을 통한 포커싱은, 해당 상품에 대한 NFC태그, RF태그, 바코드, QR코드 등의 인식을 통해 해당 상품(예를 들어 상의, 하의, 모자 등)의 특성을 구분하고, 해당 상품의 특성에 따른 포커싱 위치를 결정하며, 현재의 촬영될 상태의 이미지를 포토존 내의 모니터를 통해 제공함과 동시에 이미지 촬영 시점을 착용한 구매예정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토존 단말(30a,30b,…)은 여러 상품에 대한 착용 상품 이미지 중 실제로 구매를 결정한 상품에 대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고유의 ID와 함께 등록한다.
이와 같이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된 포토존 단말(30a,30b,…)을 이용해서만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착용 상품이미지의 허위 등록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착용 상품이미지 등록시 구매결정 사유(구매고유정보 포함) 등도 함께 등록된다.
회원은 단말(20a,20b,…)을 소지하지 않은 채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토존 단말(30a,30b,…)을 이용해 회원의 ID와 패스워드 등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서버(10)에 접속하고 다른 구매자가 등록한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 선택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한 후, 자신이 구매한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할 수도 있다.
도 4는 위의 포토존 단말(30a,…) 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다.
이에 따른 포토존 단말(30a,…)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컨트롤러는 검출기(detector)를 통해 포토존 내의 해당 상품의 위치를 식별하게 하고, 이를 수신한 컨트롤러는 카메라(camera)들의 포커싱 위치와 그 특성에 맞게 조명장치(lighting fixtures) 및 배경(background) 등을 조절하여 이미지 단말기(image terminal)을 통해 출력하고, 이에 대하여 촬영에 임하는 회원은 이미지 단말기(image terminal)와 거울(mirror)를 확인하며 리모컨(remote control)을 통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조건을 더 부가하거나 조절하여 카메라(camera)를 통해 착용 상품이미지들을 촬영한다.
위의 과정을 마치면, 회원은 실제 구매를 결정한 상품에 대하여 결제를 진행하고, 오프라인 판매자는 이미지 단말기(image terminal)을 통해 수신한 착용 상품이미지들을 카운터 단말(counter)로 확인하며 회원으로 하여금 확인 및 이미 설정한 개수로 선택하게 하고, 회원 정보, 상품고유정보, 구매고유정보 등을 입력하여 온라인 판매서버(10)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DB(11), 회원 DB(12), 착용 상품이미지 DB(13), 매장 DB(14) 및 게시판 DB(15)를 운영하고 관리한다.
상기 상품 DB(1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거나 온라인을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기본 정보가 저장된다.
즉,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기본정보 예컨대, 상품 소개글, 상품 이미지 및 상품 상세이미지 및 상품 정보 동영상, 홍보 동영상 등이 상품 DB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품의 기본 정보에는 각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품별로 할당되는 상품고유정보(바코드, QR코드, NFC태그, RF태그, 시리얼번호 등)가 포함되어 저장된다.
또한, 구매자가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상기 상품고유정보 이외에 문자, 숫자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시리얼 번호인 구매고유정보도 함께 부여되어 해당 구매자의 단말에 문자나 이메일 형태로 전송되고, 착용 상품이미지 DB(13)에 저장된다.
상기 착용 상품이미지 DB(13)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 소정의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가 해당 상품(신발, 옷, 가방, 모자, 안경 등과 같이 신체에 착용 가능한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해당 오프라인 매장마다 하나 이상 구비된 포토존 단말 (30a,30b,…)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가 구매자의 동의하에 등록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착용 상품이미지 DB(13)에 상술한 상품고유정보와 구매고유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매고유정보에는 상품의 구매자 정보가 포함된다.
포토존 단말(30a,30b,…)에서 착용 상품이미지와 함께 상품고유정보와 구매고유정보를 착용 상품이미지 DB(13)에 저장하는 것은 착용 상품이미지의 허위 등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구매하지 않은(실제로 구매하지 않은) 사용자의 착용 상품이미지의 등록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착용 상품이미지의 등록은, 적어도 회원정보와 상품고유정보 및 구매고유정보를 모두 수반할 경우로 제한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용 상품이미지 DB(30a,30b,…)에 저장된 정보(착용 상품이미지, 상품고유정보, 구매고유정보 등)는 온라인 판매서버(10)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출력되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한 회원 단말(20a,20b,…)에 제공됨으로써 예비 구매자가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착용 상품이미지가 출력된 웹사이트 상에 구매연결버튼을 생성하여 회원 단말(30a,30b,…)에 제공하고, 구매연결버튼의 클릭으로 바로 해당 상품의 구매 사이트로 이동하여 구매 및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 DB(12)에는 상품을 구매하여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구매자의 정보뿐만 아니라, 온라인 마케팅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 가입한 회원의 개인 정보(인적정보(주민번호,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주소, 계좌번호 등), ID, 패스워드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원 DB(12)에 구매자의 정보를 저장하여 차후 회원 마케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원은 상품을 구매하고 자신이 직접 해당 상품의 모델이 되어 촬영한 착용 상품이미지) 상기 착용 상품이미지 DB(13)에 등록 저장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된다.
매장 DB(14)는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예를 들어, 매장의 위치(주소), 매장명, 전화번호, 취급 상품 등이 저장된다.
게시판 DB(15)에는 웹사이트에 개설된 착용 상품이미지 관련 게시판에 구매자를 포함한 회원이 올린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착용 상품이미지 감상평, 상품 구매 후기, 댓글, 추가 착용 상품이미지(이때의 착용 상품이미지는 실제 구매자가 아닌 다른 사람의 착용 상품이미지도 올릴 수 있으나 보상금 지급과는 무관함) 등이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 회원 단말을 이용해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하여 구매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먼저, 온라인 판매서버(10)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 소정비율을 지급하기로 협약한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는 판매자는, 자신이 소유한 단말이나 포토존 단말(30a,30b,…)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서버(10)를 통해 판매할 상품의 기본정보 예를 들어 상품 정보 텍스트, 상품 썸네일 이미지, 상품 상세 이미지 및 상품 정보 동영상, 상품 홍보 동영상 자료, 상품고유정보 등을 입력하여 상품 DB(11)에 저장하고, 온라인 판매서버(10)는 본 발명의 온라인 마케팅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다수의 이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킨다.
또한, 판매자는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실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해당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구매자에게 보상할 금액(예를 들어 판매금액의 5%)을 정해서 온라인 판매서버(10)에 상품 기본정보 등록시 함께 등록하여 회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품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 중에서 사람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상품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예컨대, 옷, 신발, 가발, 모자뿐만 아니라 시계, 안경, 선글라스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회원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를 완료한 경우(이때 제1구매고유정보가 생성된다), 판매자나 구매자는 포토존 단말(30a)이나 제1회원 단말(20a)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서버(10)에 접속하여 제1회원(구매자) 정보(ID 등), 상품 정보(상품고유정보), 구매 정보(제1구매고유정보)를 등록한다(S2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회원(구매자)이,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하고 그에 따른 구매가 결정되면 판매금액의 소정비율을 보상금으로 받기에 동의하는 경우, 포토존 단말(30a)로 제1회원이 구매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품을 촬영하여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획득한다(S21).
상기 포토존 단말(30a)에서 이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하여 상품고유정보, 구매고유정보와 함께 착용 상품이미지 DB(13)에 저장한다(S22).
이때 상기 S21단계에서 획득한 다수의 제1착용 상품이미지 중 상품을 잘 표현하는(나타내는)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골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상기 포토존 단말(30a)이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가입)된 단말이 아닌 경우 접속을 차단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회원은 제2회원 단말(20b)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서버(1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하고 그 중에서 하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선택한다(S23).
여기서는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여, 제2회원 단말(20b)에서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상품 구매를 결정한 경우 해당 제1착용 상품이미지의 웹사이트에 생성된 구매연결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상품의 구매 웹사이트로 이동한 후, 상품을 구매하고 해당 상품의 판매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S24).
다음 제2회원 단말(20b)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게 된 사유 예를 들어 제1구매고유정보 등을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한다(S25).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이 제1구매고유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제1회원을 확인하고, 제1회원의 계정에 상품 판매 금액의 일정 % 금액을 포인트, 전자 화폐 또는 현금(금전) 등으로 적립하여 보상하고, 정산을 수행한다(S26).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제1회원이 추후 온라인 판매서버(10)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보상금이나 포인트를 제하고 판매 금액을 결제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보상금(포인트)이 기준 금액(포인트) 이상이거나 제1회원의 요청이 있으면 제1회원의 금융계좌로 이체하여 현금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제1착용 상품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하는 제2회원에게 그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결제금액에서 차감 또는 설정한 기준 금액(포인트)을 적립하는 조건 등을 반영하여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상태에서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하여 구매하고 다른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먼저, 온라인 판매서버(10)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 소정비율을 지급하기로 협약한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는 판매자는, 자신이 소유한 단말이나 포토존 단말(30a,30b,…)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서버(10)를 통해 판매할 상품의 기본정보 예를 들어 상품 정보 텍스트, 상품 썸네일 이미지, 상품 상세 이미지 및 상품 정보 동영상, 상품 홍보 동영상 자료, 상품고유정보 등을 입력하여 상품 DB(11)에 저장하고, 온라인 판매서버(10)는 본 발명의 온라인 마케팅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다수의 이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킨다.
또한, 판매자는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실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해당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구매자에게 보상할 금액(예를 들어 판매금액의 5%)을 정해서 온라인 판매서버(10)에 상품 기본정보 등록시 함께 등록하여 회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품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 중에서 사람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상품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예컨대, 옷, 신발, 가발, 모자뿐만 아니라 시계, 안경, 선글라스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회원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를 완료한 경우(이때 제1구매자 고유정보가 생성된다), 판매자나 구매자는 포토존 단말(30a)이나 제1회원 단말(20a)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서버(10)에 접속하여 제1회원(구매자) 정보(ID 등), 상품 정보(상품고유정보), 구매 정보(제1구매자 고유정보)를 등록한다(S3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회원(구매자)이,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하고 그에 따른 구매가 결정되면 판매금액의 소정비율을 보상금으로 받기에 동의하는 경우, 포토존 단말(30a)로 제1회원이 구매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품을 촬영하여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획득한다(S31).
상기 포토존 단말(30a)에서 이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하여 상품고유정보, 구매고유정보와 함께 착용 상품이미지 DB(13)에 저장한다(S32).
이때 상기 S31단계에서 획득한 다수의 제1착용 상품이미지 중 상품을 잘 표현하는(나타내는)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골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상기 포토존 단말(30a)이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가입)된 단말이 아닌 경우 접속을 차단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1착용 상품이미지의 등록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2회원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제2회원 단말(20b)이나 포토존 단말(30a)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서버(1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하고, 그 중에서 하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선택한다(S33).
여기서는 제1착용 상품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여, 제2회원 단말(20b)이나 포토존 단말(30a)에서 제1착용 상품이미지의 상품 구매를 결정한 경우 해당 제1착용 상품이미지의 웹사이트에 생성된 해당 구매연결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상품의 구매 웹사이트로 이동한 후, 상품을 구매하고 해당 상품 판매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이때 제2구매고유정보가 생성된다)(S34).
이때, 온라인 판매서버(10) 또는 포토존 단말(30a)을 운영하는 판매자는 제1착용 상품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것에 대하여 제2회원에게 이미 설정한 할인율 또는 적립 조건을 제시하고, 이를 반영하여 정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제2회원은 포토존 단말(30a)이나 제2회원 단말(20b)을 이용해 제2회원(구매자) 정보(ID 등), 상품 정보(상품고유정보), 구매 정보(제2구매고유정보) 및 구매 결정 사유 예를 들어, 제1구매고유정보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한다(S35).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회원(구매자)이, 상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구비한 포토존 단말(30a)을 통해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하고 이로부터 구매가 결정되면 보상금 받기에 동의하는 경우, 포토존 단말(30a)로 제2회원이 구매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품을 촬영하여 착용 상품이미지를 획득한다(S36).
이때의 착용 상품이미지는 제2회원의 회원 정보, 상품고유정보, 구매고유정보를 구비한다.
무엇보다도,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한 포토존 단말(30a,30b,…)을 통해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하게 한 것은, 오프라인 매장 방문을 통한 또 다른 판매의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포토존 단말(30a,30b,…)을 통한 일정 수준 이상의 촬영 품질 즉, 상품이미지의 품질을 확보하여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한 포토존 단말(30a,30b,…)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통해 판매할 수 없는 제품 즉, 타사 제품의 온라인 전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오프라인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인증(회원정보와 회원의 실제 구매사실 여부의 사실관계 증명)절차를 거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포토존 단말(30a)에서 이 제2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하여 상품고유정보, 제2구매고유정보와 함께 착용 상품이미지 DB(13)에 저장한다(S37).
이때, 상기 S35단계에서 획득한 다수의 제2착용 상품이미지 중에서 상품을 잘 표현하는(나타내는) 제2착용 상품이미지를 선택하여 온라인 판매서버(10)에 착용 상품이미지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상기 포토존 단말(30a)이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가입)된 단말이 아닌 경우 접속을 차단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2착용 상품이미지 등록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상기 S35단계에서 포토존 단말(30a)이 등록한 제1구매고유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제1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제1회원을 확인하고, 제1회원의 계정에 상품 판매 금액 중 이미 설정한 비율의 금액을 포인트, 전자 화폐 또는 현금(금전) 등으로 적립하여 보상하고, 정산을 수행한다.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제1회원이 추후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보상금이나 포인트를 제하고 판매 금액을 결제할 수 있도록 안내하거나, 보상금(포인트)이 기준 금액(포인트) 이상이 되면 제1회원의 금융계좌로 이체하여 현금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동일 상품에 대하여 제1착용 상품이미지와 제2착용 상품이미지가 온라인 판매서버(10)에 등록되는 경우, 제2착용 상품이미지는 제1착용 상품이미지의 등록 초기와 동일한 조건을 부여한다.
즉, 제3회원이 제2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온라인 판매서버(10)는 제2회원이 보상받게 될 금액이나 포인트를 제2회원에게 지급하여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품 구매자(회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입한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의 웹사이트에 등록시키고, 다른 회원(예비 구매자)가 그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해당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구매자에게 보상(혜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상을 받기 위해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하고자 하는 회원에 대하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구매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인 사항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온라인 판매서버 11: 상품 DB
12: 회원 DB 13: 착용 상품이미지 DB
14: 매장 DB 15: 게시판 DB
20a,20b,…: 회원 단말 30a,30b,…: 포토존 단말

Claims (9)

  1. 웹사이트를 통해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며, 제1회원 단말에서 등록한 착용 상품이미지를 웹사이트에 노출시켜 그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제2회원 단말에서 상품 구매를 결정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품 판매 금액의 일정비율을 제1회원에게 보상금으로 지급하는 온라인 판매서버;
    오프라인 매장마다 하나 이상 구비되고, 그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인증(회원정보와 회원의 실제 구매사실 여부의 사실관계 증명) 절차를 거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회원)가 상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하여 얻은 착용 상품이미지를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다수의 포토존 단말; 및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에 가입한 회원이 소지하는 단말로서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된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를 검색 및 선택하여 상품 구매를 결정하고,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 및 결제한 후 해당 상품의 구매결정 사유를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는 다수의 회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는 각 포토존 단말마다 고유의 ID를 부여하여 등록시키고, 미등록 포토존 단말에서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등록을 차단하며,
    상기 포토존 단말이나 온라인 판매서버는 상품 구매시 구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시리얼번호인 구매고유정보를 부여하여 온라인 판매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회원 단말은 구매결정 사유로 구매고유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에서 착용 상품이미지와 함께 회원정보와 상품고유정보 및 구매고유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는 웹사이트에 착용 상품이미지 감상평, 착용 상품이미지를 보고 구입한 상품의 구매 후기나 댓글 및 추가 착용 상품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착용 상품이미지 관련 게시판을 개설하고,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구매자(회원)의 동의하에 그 구매자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버튼을 생성하여 게시판 이용자가 연결버튼을 선택(클릭)하는 경우 착용 상품이미지를 등록한 구매자와 게시판 이용자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온라인 판매서버는 하나의 상품에 대해 다수의 구매자가 등록한 다수의 착용 상품이미지가 등록되는 경우, 다른 회원(후속 구매자)의 선택 횟수, 추천 횟수의 정보를 취합하여 횟수가 높은 상품이나 구매결정 사유가 높은 상품을 베스트 카테고리로 이동하고, 착용 상품이미지를 웹사이트에 일정기간 동안 노출하고 그 기간이 지나면 삭제하되, 다른 회원 단말에서의 선택 횟수, 추천 횟수, 구매결정 사유가 많을수록 노출 기간을 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28338A 2016-03-09 2016-03-09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KR10177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38A KR101774847B1 (ko) 2016-03-09 2016-03-09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38A KR101774847B1 (ko) 2016-03-09 2016-03-09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847B1 true KR101774847B1 (ko) 2017-09-05

Family

ID=5992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338A KR101774847B1 (ko) 2016-03-09 2016-03-09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8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19Y1 (ko) * 2019-06-07 2020-01-08 천경천 입체 포토존 제공 시스템
KR20210058677A (ko) * 2019-11-13 2021-05-24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 활용 기반의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37386B1 (ko) 2020-07-21 2021-12-09 김은지 오프라인 구매자의 상품 등록을 이용한 온라인 판매 사이트 자동 구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22B1 (ko) * 2008-01-16 2009-03-26 주식회사 엠피즈 사용자 후기 집중 관리를 활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22B1 (ko) * 2008-01-16 2009-03-26 주식회사 엠피즈 사용자 후기 집중 관리를 활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19Y1 (ko) * 2019-06-07 2020-01-08 천경천 입체 포토존 제공 시스템
KR20210058677A (ko) * 2019-11-13 2021-05-24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 활용 기반의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78947B1 (ko) * 2019-11-13 2022-12-20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 활용 기반의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37386B1 (ko) 2020-07-21 2021-12-09 김은지 오프라인 구매자의 상품 등록을 이용한 온라인 판매 사이트 자동 구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873B1 (ko) 구매를 위한 증강 현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12714922B (zh) 信息处理装置
US9202229B2 (en) Systems and/or methods for managing “show-rooming” practices
US201603216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sales channel in a brick and mortar store
US2010026531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 smart fixture
US8380577B2 (en) Methods, systems, computer products, and website for progressive E-commerce
US20180268475A1 (en) Enabling a Personalized Conversation between Retailer and Customer at Scale
KR101882699B1 (ko) 온라인 판매 프로모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4847B1 (ko) 구매자 착용 상품이미지에 기반한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US201501937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Product Sales Channel
US202200127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Garment Recommendations
KR101740623B1 (ko) 온라인 마케팅시스템 및 그 방법
JP6741728B2 (ja) 端末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端末制御方法、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00086989A (ko) 온/오프라인 연계형 안경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44172B1 (ko) 고객이 구매하여 제공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한 상품 판매 방법
KR20170019394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101816559B1 (ko) 결제 연동 프로모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5631B1 (ko) 적립금 선결제 및 기부가 가능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Sahoo et al. Transactional and psychological concerns of all parties involved in opaque hotel room distribution
KR20170109512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2175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5333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NL1041672B1 (nl)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mart shopping, based on (aggregated) digitised personal collection information and metadata
KR20200014095A (ko) 예비구매자 가상착용 이미지에 기반한 판매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5841A (ko) 여성의류 토탈 정보제공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