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986A -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986A
KR20220149986A KR1020210057103A KR20210057103A KR20220149986A KR 20220149986 A KR20220149986 A KR 20220149986A KR 1020210057103 A KR1020210057103 A KR 1020210057103A KR 20210057103 A KR20210057103 A KR 20210057103A KR 20220149986 A KR20220149986 A KR 2022014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phone
service
user
offline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리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리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리팝
Priority to KR102021005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9986A/ko
Publication of KR2022014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Abstract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오프라인 경험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에 기초한 오프라인 매장 입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부의 현재 방문자 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존 오프라인 매장 입장 내역에 따른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ONLINE SHOPPING MALL SERVICE BASED ON PHONE TO PHONE SALES SYSTEM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오프라인 경험을 연계할 수 있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팝업 스토어는 상품 판매를 위해 일시적으로 개설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상설 오프라인 매장과 구분된다. 이러한 팝업 스토어가 다수 모여 팝업 마켓을 형성할 수 있다. 팝업 마켓은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지정된 장소에서 혹은 장소를 바꿔가며 열릴 수 있다. 판매자들은 팝업 마켓 내 팝업 스토어로 입점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팝업 마켓에 방문하여 상품을 직접 보고 구매하고 후기를 올리는 등, 팝업 마켓의 환경이나 이벤트를 통해 새로운 문화적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판매 방식은 판매자에게 새로운 판매 경로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 종전의 온라인 구매 방식을 넘어 물건을 직접 보고 평가하고 구매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측면의 이점이 있다. 하지만, 팝업 스토어를 통한 오프라인 판매 방식은 판매 시스템 측면에 있어서 여러가지 불편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팝업 스토어는 현금 결제만 가능하거나, 카드 결제가 가능한 경우에도 구매 내역을 상세히 알 수 없어 판매 기록 및 구매 기록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팝업 스토어는 재고 부족이나 운반 불편에 따라 배송이 필요한 경우 배송 주소를 전달하는데도 불편이 있었다.
한편, 학생들은 신용카드를 사용하기 어렵고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경우에도 신용카드로 연결되어 결제가 진행되는 등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가 없으면 거래가 어렵다. 이에 학생들은 현금만으로 거래하거나 부모의 신용카드를 대신 사용하는 등 거래 진행에 불편이 따른다.
따라서, 모바일 결제 시스템 활용의 증가 및 팝업 마켓의 활성화에 맞추어 팝업 마켓의 특성에 적합한 판매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라인 경험을 연계할 수 있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오프라인 경험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에 기초한 오프라인 매장 입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부의 현재 방문자 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존 오프라인 매장 입장 내역에 따른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는, 커뮤니티 활동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이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는, 결제 서비스, 포인트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상품 추천 서비스 및 어슈어런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ID,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입장 확인 버튼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 부근의 어트랙션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의 감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트랙션은, 사전에 제휴된 업체들과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비용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와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 각각에 부여된 태그들 간의 매칭 관계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른 기존 사용자들의 선호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오프라인 구매 내역 및 온라인 구매 내역 각각에 대한 가중치가 반영된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은, 상기 온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오프라인 경험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에 기초한 오프라인 매장 입장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부의 현재 방문자 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존 오프라인 매장 입장 내역에 따른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는, 커뮤니티 활동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이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는, 결제 서비스, 포인트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상품 추천 서비스 및 어슈어런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ID,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 부근의 어트랙션을 추천하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의 감소를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트랙션은, 사전에 제휴된 업체들과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비용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필터링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도록 실행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와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 각각에 부여된 태그들 간의 매칭 관계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른 기존 사용자들의 선호 상품을 추천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오프라인 구매 내역 및 온라인 구매 내역 각각에 대한 가중치가 반영된 상품을 추천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은, 상기 온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은 소비자들에게 오프라인 경험을 추가로 제공하고, 제공한 오프라인 경험을 온라인 판매 시스템에 연계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디바이스에 포함된 인공 신경망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서버의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 허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팝업 마켓 주변에 위치하는 제휴된 어트랙션 및 어트랙션 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및 구성요소들 간 상호 작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한 결제 서비스 제공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고객 식별 정보의 전달 및 관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시각 코드를 교환하기 위한 판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폰 투 폰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결제 내역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이미지 태그 부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상품 이미지에 부여되는 태그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상품 추천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가중치 산정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팝업 마켓(110)은 복수의 팝업 스토어들 및 포인트 충전소(11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팝업 스토어는 상품 판매를 위해 일시적으로 개설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상설 오프라인 매장과 구분될 수 있다. 팝업 스토어가 다수 모여 팝업 마켓(1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팝업 스토어 #1 및 팝업 스토어 #2의 두 개의 팝업 스토어가 도시되어 있으나, 팝업 마켓(110)은 이보다 많은 다수의 팝업 스토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팝업 마켓(110)은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지정된 장소에서 혹은 장소를 바꿔가며 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 마켓(110)은 단발적으로 열리거나, 혹은 정해진 명칭, 주제, 테마, 장소 등을 통해 복수의 회차에 걸쳐 지속적으로 열릴 수 있다. 팝업 마켓(110)이 열리면 각 판매자는 팝업 마켓 내 팝업 스토어로 입점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사용자(113)는 복수의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113)는 각 팝업 스토어에 방문하고, 사용자 단말(114)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복수의 사용자들 중 사용자(113)가 복수의 팝업 스토어들 중 팝업 스토어 #1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다른 사용자나 다른 팝업 스토어에 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팝업 스토어 #1의 판매자(111)는 판매자 단말(112)을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12) 및 사용자 단말(114)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판매자(111)는 카드 결제기나 POS(point of sales)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팝업 스토어#1에 구비하지 않고도, 평소에 이용하는 개인용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품 결제 등의 판매를 처리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 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가 보편화되어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른 판매 시스템은 팝업 마켓(110)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사용자(113)는 자신의 계정에 포인트를 충전하고, 충전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팝업 스토어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포인트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충전될 수 있고, 포인트 구입 시 현금 및 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114)을 통해 온라인 상으로 충전되거나, 시중의 편의점과 같은 편의 시설을 통해 충전되거나, 팝업 마켓(110) 내 설치된 포인트 충전소(115)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온라인 카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거나 통장 잔고가 없는 고객은 포인트 충전소(115)를 통해 현장에서 포인트를 충전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각 판매자의 계정, 각 사용자의 계정을 생성 및 관리하고, 각 판매자 계정 및 각 사용자 계정의 포인트를 관리하고, 각 팝업 스토어의 상품 등록 및 관리를 지원하고, 상품 거래 시 거래 프로세스를 중계하며, 거래 완료 시 거래 기록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거래라는 용어는 판매 및 구매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 밖에, 서비스 서버(120)는 실시예에 따른 거래 시 개입하여 필요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12) 및 사용자 단말(114)은 각각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웹에 접속하여 상품 판매 및 구매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을 통한 동작은 판매자 단말(112) 및 사용자 단말(114)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111)나 사용자(113)의 제어에 의한 판매자 단말(112)이나 사용자 단말(114)의 동작(예를 들어 판매자(111)의 선택 입력에 따라 판매자 단말(112)이 상품 리스트에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은 별도의 제어 행위에 대한 설명 없이 판매자 단말(112)이나 사용자 단말(114)의 동작(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112)이 상품 리스트에서 상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설명의 편의 상 판매자(111)나 사용자(113)의 적절한 제어 행위가 생략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팝업 마켓(110)의 판매자 단말(112), 사용자 단말(114) 및 서비스 서버(120) 상호 간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연결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VoLTE(voice over LTE), 5G NR(new radio)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IoT(internet of thing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판매자 단말(112), 사용자 단말(114) 및 서비스 서버(120)는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구성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인공 신경망을 구현/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들은 NPU(neural processer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들은 프레임워크(framework), 커널(kernel) 또는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 미들웨어(middleware),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 신경망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도 3은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디바이스에 포함된 인공 신경망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공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IL), 복수의 히든 레이어들(HL1, HL2, ..., HLn) 및 출력 레이어(OL)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레이어(IL)는 i(i는 자연수)개의 입력 노드들(x1, x2, ..., xi)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가 i인 벡터 입력 데이터가 입력 노드에 입력될 수 있다.
복수의 히든 레이어들(HL1, HL2, ..., HLn)은 n(n은 자연수)개의 히든 레이어들을 포함하며, 히든 노드들(h11, h12, h13, ..., h1m, h21, h22, h23, ..., h2m, hn1, hn2, hn3, ..., hnm)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든 레이어(HL1)는 m(m은 자연수)개의 히든 노드들(h11, h12, h13, ..., h1m)을 포함할 수 있고, 히든 레이어(HL2)는 m개의 히든 노드들(h21, h22, h23, ..., h2m)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히든 레이어(HLn)는 m개의 히든 노드들(hn1, hn2, hn3, ..., hnm)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레이어(OL)는 분류할 클래스에 대응하는 j(j는 자연수)개의 출력 노드들(y1, y2, ..., yj)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각 클래스 별로 결과(예를 들어, 점수 또는 class score)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레이어(OL)는 전연결(fully connected) 레이어라고 부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인공 신경망은 두 개의 노드들 사이에 직선으로 도시된 노드들 간의 연결(branch)과, 연결되는 노드들 간의 가중치(weight)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레이어 내의 노드들은 서로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고, 서로 다른 레이어들에 포함되는 노드들은 완전하게 혹은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의 각 노드(예를 들어, h11)는 이전 노드(예를 들어, x1)의 출력을 입력 받아 연산할 수 있고, 연산 결과를 이후 노드(예를 들어, h21)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들 각각은 입력된 값을 특정 함수(예를 들어, 비선형 함수)에 적용하여 출력할 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 신경망의 구조는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노드들 간의 연결에 따른 가중치들은 이미 어떤 클래스에 속할지 정답이 알려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값을 산정할 수 있다. 이미 정답이 알려진 데이터들을 '학습 데이터'라고 지칭하고, 가중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학습'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학습이 가능한 구조와 가중치의 묶음을 '모델'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 등의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에 포함된 서비스 서버 및 단말들이 실행하는 알고리즘 및 동작들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4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S401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은, 입장권 발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ID,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입장권 발급 요청 수신 시점에 개최되는 팝업 마켓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등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게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할 수 있다.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은 사용자의 ID, 입장 대상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 식별 번호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에 기초한 팝업 오프라인 매장 입장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팝업 오프라인 매장 입장 요청은 입장권 발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ID,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입장 대상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식별 번호 및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 입장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입장권의 입장 확인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오프라인 입장 요청을 서비스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입장 확인 버튼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입장 대상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의 차이가 일정 값 미만인 경우에 한하여, 입장 확인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팝업 오프라인 매장 내부의 현재 방문자 수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게 팝업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할 수 있다. 팝업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도 5는 서비스 서버의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 허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S501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의 팝업 오프라인 매장 입장을 보류할 수 있다.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S50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팝업 오프라인 매장 부근의 어트랙션을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어트랙션은, 사전에 제휴된 업체들과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비용을 결제하는 시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트랙션은 푸드 트럭, 기념품 샵, 오락 시설 등의 시설일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는 팝업 오프라인 매장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신호 수신 결과를 기초로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 및 방문자 수의 감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의 감소를 확인한 경우, 서비스 서버는 S501 단계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팝업 오프라인 매장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S507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의 팝업 오프라인 매장 입장을 허여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S409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기존 팝업 오프라인 매장 입장 내역에 따른 경제적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제적 보상은 일정 금액의 포인트, 일정 비율의 할인을 제공하는 상품권, 프로모션 등과 같은 보상일 수 있다.
S41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오프라인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에 접속한 판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오프라인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오프라인 결제를 진행하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관계는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6은 팝업 마켓 주변에 위치하는 제휴된 어트랙션 및 어트랙션 존(1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팝업 마켓에 방문하였으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팝업 오프라인 매장 부근의 어트랙션을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팝업 마켓 부근의 어트랙션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어트랙션 존(1000)은 팝업 마켓 주위의 사전 결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거나 사전 결정된 시간 내에 도달 가능한 주변 시설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트랙션은 푸드 트럭, 기념품 샵, 오락 시설, 관광지 등이다. 사용자가 사전 제휴된 어트랙션에 찾아가는 것을 돕기 위해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길 안내 및 지도 등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국에 분포된 포인트 충전소에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본인 계정에 미리 포인트를 충전할 수 있다. 포인트 충전소는 어트랙션 존(1000) 내에도 존재할 수 있다. 특히, 포인트 충전소는 편의점, 주유소, 커피숍 등 사전 제휴된 업체들일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된 포인트를 사용하여 어트랙션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어트랙션의 상품, 서비스 및 시설을 이용함에 있어서 비용을 지불 할 때 폰 투 폰 시스템의 본인 계정에 충전된 포인트를 사용하여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어트랙션 존(1000)의 설정 및 제휴 등에 의해 어린 학생들과 같은 사용자들은 팝업 마켓 주변에서 하루를 유용하게 보낼 수 있도록 지원받을 수 있다. 팝업 마켓에 정원이 초과되어 입장하지 못하거나 쇼핑을 오전과 오후 두 번 나누어서 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가 팝업 마켓 주변에서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본 실시예의 시스템이 사용자를 도울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팝업 마켓 사용자들에게 원활한 쇼핑을 돕기 위해 원데이 플래닝(One-day plann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오프라인에서 열리는 팝업 마켓의 쇼핑 및 그 주변인 어트랙션 존(1000)의 활용 안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만 가지고 있으면 폰 투 폰 결제 시스템으로 제휴된 매장 어느 곳에서든 식사, 오락 및 각종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결제 내역들은 상기 폰 투 폰 결제 시스템에 모두 기록이 되어 사용자가 추후에 결제 내역을 열람하기 쉽다. 사용자가 팝업 마켓에서 쇼핑한 정보, 어트랙션 이용 정보를 포함한 모든 결제 정보가 서비스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모든 결제 정보는 사용자 및 사용자의 조건에 대응하는 사용자 그룹의 취향을 파악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팝업 마켓이 종료된 후에 해당 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쇼핑에서도 그날의 쇼핑 전체를 돌아보는 것은 물론 본인의 특성에 적합한 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
도 7은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및 구성요소들 간 상호 작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601), 판매자 단말(611, 612, 613) 및 서비스 서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1)은 사용자 계정에 충전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팝업 스토어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포인트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충전될 수 있고, 포인트 구입 시 현금 및 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1)을 통해 판매자 단말(611, 612, 613)에게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611, 612, 613) 및 판매자 계정은 점주 및 각 직원에게 별도로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주 및 직원들은 서로 다른 판매자 단말(611, 612, 613) 및 판매자 계정을 통해 동일한 팝업 스토어를 관리(예를 들어, 상품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점주 및 직원들은 상품 판매 시 개별적으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하나의 계정(예를 들어, 점주 계정)을 통해 결제를 처리해야하는 경우, 직원이 점주에게 결제 처리 여부를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주 및 직원들은 자신의 계정을 통해 결제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611, 612, 613)은 상품 판매, 판매 내역 조회, 상품 관리, 통계 정보 조회, 랭킹 정보 조회, 스탭 호출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품 판매 기능은 기 등록된 상품 리스트 내 상품들 중에 고객에 의해 특정된 구매 희망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출고 및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판매 내역 조회 기능은 판매자 계정에 대응하는 팝업 스토어에서 판매된 상품들에 관한 판매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 스토어에서 상품 거래가 성사되면 해당 상품 거래에 관한 거래 세부 기록(예를 들어, 거래 일시, 거래 상품, 결제 금액, 판매 스토어, 사용자, 출고 방식 등)이 생성될 수 있고, 거래 세부 기록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각 판매 건에 관한 판매 내역(예를 들어, 거래 일시, 사용자, 결제 금액, 출고 방식, 비고(출고 여부, 환불 여부))이 생성될 수 있다.
상품 관리 기능은 상품 등록 및 관리를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는 상품명, 상품 사진, 상품 금액, 배송 가부, 옵션 여부, 재고 관리 여부 등을 지정하여 상품을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상품 관련 정보를 수정하거나 각 상품을 카테고리(예를 들어, 주력 상품, 배송 가능 상품, 특가 상품, 해외 직구 상품 등) 별로 분류하는 등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랭킹 정보 조회 기능은 팝업 마켓 내 팝업 스토어들의 판매와 관련된 다양한 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랭킹 정보는 매출, 판매량, 및 사용자 수에 따른 팝업 스토어 랭킹 및 상품 랭킹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계 정보 조회 기능은 팝업 스토어의 판매 관련 통계를 제공할 수 있고, 스탭 호출 기능은 팝업 마켓의 관리 스탭을 호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620)는 각 판매자의 계정, 각 사용자의 계정을 생성 및 관리하고, 각 판매자 계정 및 각 사용자 계정의 포인트를 관리하고, 각 팝업 스토어의 상품 등록 및 관리를 지원하고, 상품 거래 시 거래 프로세스를 중계하며, 거래 완료 시 거래 기록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오프라인 결제를 진행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8은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한 결제 서비스 제공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S701 단계에서, 판매자 단말로부터의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으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서버는 판매자 단말의 폰 투 폰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은 판매자 계정을 통해 폰 투 폰 시스템으로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는 점주 및 직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점주는 팝업 스토어를 소유하거나 상품 판매를 총괄하는 직원을 지시하고, 직원은 점주를 보조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직원을 지시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팝업 스토어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이 패션 관련 제품인 경우, 상품에 관한 정보는 상품 각각의 카테고리, 핏, 소재, 패턴, 색상, 소재 및 디테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품이 뷰티 제품인 경우, 상품에 관한 정보는 카테고리, 사용 부위, 기능, 사용 가능한 피부 타입, 피부 톤, 상품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시스템 접속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폰 투 폰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계정을 통해 폰 투 폰 시스템으로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팝업 스토어를 방문하는 소비자를 지시한다. 팝업 스토어에 방문한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팝업 스토어에 비치된 구매 희망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구매 정보는 사용자의 구매 희망 상품의 관련 정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S703 단계에서 수신한 상품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 희망 상품이 복수인 경우, 판매자 단말은 상품 리스트에서 복수의 구매 희망 상품을 선택하고, 복수의 구매 희망 상품에 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품 구매 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의 출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출고 방식은 배송 출고 및 현장 출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 희망 상품의 출고 방식은 판매자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재고가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 존재하고, 고객이 상품의 현장 출고를 원하는 경우, 출고 방식은 현장 출고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반면, 상품 재고가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 존재하지 않거나, 고객이 배송 출고를 원하는 경우(예를 들어, 상품 무게 등의 이유로 상품을 직접 운반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출고 방식은 배송 출고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출고 방식이 배송 출고로 선택되는 경우, 배송 출고에 해당한다는 정보가 판매 기록 내 비고에 기록될 수 있다.
기존의 팝업 스토어에서 배송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판매자는 배송하고자 하는 상품 및 고객 정보(예를 들어, 이름, 주소 등)를 수기로 작성하여 관리하였다. 하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고 방식이 배송 출고 방식으로 선택되는 경우, 출고 방식은 판매 기록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는 판매 기록 조회 시 배송 출고인 판매 건만 필터링하여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는 배송 출고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는 결제 창에서 표시된 사용자의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는 사용자의 주소를 수기로 별도로 기재하지 않고 배송에 필요한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은 고객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고객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고객 식별 정보는 ID(identification) 정보, 시각 코드, 음향 코드, 또는 전자화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고객 식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고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의 제공을 요청받을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고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판매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고객 정보를 결제 창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구매 희망 상품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배송 출고가 요청된 경우, 판매자 단말은 배송지 확인을 위한 수령인(예를 들어, 사용자), 연락처, 배송 주소(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배송 정보 창에 표시할 수 있다. 판매자는 사용자에게 배송 정보를 확인을 요청한 후, 배송 출고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S71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보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정보는 고객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비밀번호, 사용자의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예를 들어, 얼굴, 지문, 홍채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S715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보안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보안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보안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보안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보안 정보가 유효한 경우, S717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판매자 단말에게 결제 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로부터 결제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판대자 단말은 판매자 단말은 고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포인트로 구매 희망 상품의 구매를 위한 결제를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에 고객 식별 정보 및 결제 금액을 알릴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고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트에서 결제 금액에 따른 포인트를 차감하고, 판매자 단말에게 결제 완료를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은 고객 식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은 결제 시 입력된 보안 정보와 미리 설정된 보안 정보의 대조 결과에 따라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폰 투 톤 판매 시스템은 높은 레벨의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709 단계 내지 S717 단계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 판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및 인터페이스는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9은 고객 식별 정보의 전달 및 관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 판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를 통해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에 가입하고, 사용자 계정을 개설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을 개설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에게 고객 식별 정보(815, 835)를 부여할 수 있다. 고객 식별 정보(815, 835)는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서버에 동기화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820)은 사용자 단말(810)로부터 고객 식별 정보(815)를 수신하고, 서비스 서버(830)에 접속하여 고객 식별 정보(815)를 기초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820)은 서비스 서버(830)에 고객 식별 정보(815)를 제시하고, 서비스 서버(830)로부터 고객 식별 정보(815)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이름, 연락처,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820)은 서비스 서버(830)에게 고객 식별 정보(815)를 제시하고, 상품 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의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830)는 고객 식별 정보(815)를 기초로 사용자의 고객 정보 및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830)는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포인트를 차감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고객 식별 정보(815, 835)는 ID 정보 시각 코드, 음향 코드, 및/또는 전자화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고객 식별 정보(815, 835)는 사용자 단말(810)과 판매자 단말(820) 간의 시각 채널, 음향 채널 및 통신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판매자 단말(82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식별 정보(815, 835)가 시각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QR 코드)인 경우, 고객 식별 정보(815, 835)는 사용자 단말(810)의 디스플레이 및 판매자 단말(820)의 카메라를 이용한 시각 채널을 통해 판매자 단말(820)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는, 고객 식별 정보(815, 835)가 음향 코드인 경우, 고객 식별 정보(815, 835)는 사용자 단말(810)의 마이크 및 판매자 단말(820)의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 채널을 통해 판매자 단말(820)에게 전송될 수 있다.
고객 식별 정보(815, 835)가 전자화 코드인 경우, 고객 식별 정보(815, 835)는 사용자 단말(810) 및 판매자 단말(820)의 통신 모듈(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810)에서 판매자 단말(82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810) 및 서비스 서버(830)는 사용자 단말(810)에 저장된 고객 식별 정보(815) 및 서비스 서버(830)에 저장된 고객 식별 정보(835)의 동기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객 식별 정보(835)는 필요에 따라(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안 상 필요성을 느끼는 경우)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예를 들어, 사용자의 갱신 명령)으로 갱신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에 접속하여 자신의 고객 식별 정보(815, 835)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830)는 고객 식별 정보(835)를 갱신하고, 고객 식별 정보(835)와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810)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810)는 고객 식별 정보(815)를 갱신할 수 있다. 위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810)는 서비스 서버(830)와 고객 식별 정보(815, 835)를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0은 시각 코드를 교환하기 위한 판매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고객 식별 정보는 시각 코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 단말은 판매자 단말의 카메라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고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각 코드를 촬영하여 고객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 희망 상품을 모두 장바구니에 담은 후, 판매자가 결제 금액 영역을 터치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판매자 단말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인식 영역(910)을 포함하는 시각 코드 인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판매자는 코드 인식 영역(910)을 통해 시각 코드를 촬영하여 고객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각 코드의 촬영이 어려운 경우 바코드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결제 화면은 보유 포인트 및 시각 코드(92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시각 코드(920)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고객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새로고침' 버튼을 통해 고객 식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 코드(920)는 새로운 것으로 갱신(대체)될 수 있다.
오프라인 결제를 완료한 판매자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는 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폰 투 폰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결제 내역 정보는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1은 폰 투 폰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결제 내역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판매자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는 거래 세부 사항들에 관한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결제 내역 정보를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내역 정보는 거래 일시, 거래 상품, 결제 금액, 판매 스토어, 사용자, 및 출고 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상품에 관한 정보는 거래된 상품의 이미지, 거래된 상품의 브랜드, 거래된 상품의 품목, 및 거래된 상품의 코드명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스토어에 관한 정보는 온라인 쇼핑몰 또는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구매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세부 기록, 판매 기록, 및 구매 기록은 거래 일시, 결제 금액, 판매 스토어, 사용자 정보뿐만 아니라 거래 상품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거래 세부 기록, 판매 기록, 및 구매 기록은 기존 카드 결제 기록 등에 비해 더욱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폰 투 폰 시스템의 관리자는 거래 세부 기록, 판매 기록, 및 구매 기록을 마케팅 등의 다양한 목적에 활용 가능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S415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한 결제 내역을 기초로 사용자의 쇼핑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쇼핑 정보는 팝업 오프라인 매장 상에서 구매한 상품, 상품의 금액,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진 스토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417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서비스는, 커뮤니티 활동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일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는, 결제 서비스, 포인트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상품 추천 서비스 및 어슈어런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의 정보를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 신체 사이즈 및 선호하는 상품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정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한 바에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할 것이다.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구매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팝업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구매 상품 정보는 상품의 카테고리, 상품의 소재, 상품의 브랜드, 상품의 색상, 상품의 금액, 및 상품의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품의 정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한 바에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구매 상품 정보는 팝업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구매하였는지 또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기초로 구분될 수 있다.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 및 구매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최적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추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은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상품의 이미지 태그 부여 동작을 통해 상품들의 특징을 미리 정의할 수 있다.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이미지 태그 부여 동작은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3은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이미지 태그 부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서비스 서버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객체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예컨대 JPEG, GIF, BMP 파일 포맷 등의 2차원 사진 이미지이거나, MP4, MOV, AVI 포맷의 2차원 동영상 이미지이거나, 3차원 입체 영상 포맷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이미지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객체인 상품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에 기반한 이미지 분석 기법을 통해 상품의 종류, 상품의 색상, 상품의 디자인 상품의 재질 및 상품의 특징을 분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상품의 정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품의 종류, 상품의 색상, 상품의 디자인 상품의 재질 및 상품의 특징에 관한 태그를 자동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품의 정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품의 종류, 상품의 색상, 상품의 디자인 상품의 재질 및 상품의 특징에 관한 태그를 자동적으로 부여하는 동작을 자동 태깅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폰 투 폰 시스템의 관리자는 자동 태깅된 태그를 삭제하거나, 별도의 태그를 추가할 수 있다.
서버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의 이미지 분석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이미지 분석 서버는 기존 서버의 한정된 연산 자원으로는 수행하기에 불가능하거나 너무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복잡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품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상품의 분석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태그 부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상품 이미지에 부여되는 태그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품 이미지에 부여되는 태그들은 상품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이미지의 객체가 패션 관련 상품인 경우, 태그들은 카테고리, 핏, 소재, 색상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패턴, 디테일 및 자재 등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반면 상품 이미지의 객체가 뷰티 관련 상품인 경우, 태그들은 카테고리, 사용 부위, 사용 가능한 피부 타입 및 피부 톤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능 및 상품의 형태 등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태그들 역시 상품 이미지에 부여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품 이미지의 태그를 기초로 상품을 추천하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동작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5는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상품 추천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거주지 및 사용자의 관심사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함에 있어, 사용자의 특성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품들 각각의 태그들 간의 매칭 관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상품의 필터링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미리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른 기존 사용자들의 선호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이용하는 전체 유저들의 구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성에 따른 선호 상품들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는 신체 사이즈 별 선호 상품, 연령 별 선호 상품, 및 거주지별 선호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는 분류된 특성에 따른 선호 상품들 중에서, 사용자 특성에 따른 선호 상품들을 추천 엔진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유저들의 구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천되는 상품 추천 방식은 대중 추천 방식으로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오프라인 구매 내역 및 온라인 구매 내역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반영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오프라인 구매 내역 및 온라인 구매 내역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반영한 상품은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추천 상품일 수 있다. 오프라인 구매 내역 및 온라인 구매 내역을 기초로 한 상품 추천을 위한 가중치를 산정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6은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서버의 가중치 산정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상품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의 정보는 상품의 이미지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품의 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한 상품의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상품의 이미지에 부여된 태그들을 상품의 정보에 추가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오프라인 데이터는 팝업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사용자의 상품 구매 내역, 구매한 상품에 부여된 태그 정보의 통계치 및 구매한 상품의 사이즈의 평균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데이터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사용자의 상품 구매 내역, 구매한 상품에 부여된 태그들의 통계치 정보, 구매한 상품의 사이즈의 평균치, 상품들의 구매평 및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관심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오프라인 데이터 및 온라인 데이터를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추천을 위한 가중치를 산정할 수 있다. 오프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은, 온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보다 크게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오프라인 경험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에 기초한 오프라인 매장 입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부의 현재 방문자 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존 오프라인 매장 입장 내역에 따른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는,
    커뮤니티 활동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이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는,
    결제 서비스, 포인트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상품 추천 서비스 및 어슈어런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ID,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입장 확인 버튼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 부근의 어트랙션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의 감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트랙션은,
    사전에 제휴된 업체들과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비용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와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 각각에 부여된 태그들 간의 매칭 관계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른 기존 사용자들의 선호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오프라인 구매 내역 및 온라인 구매 내역 각각에 대한 가중치가 반영된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은,
    상기 온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11.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오프라인 경험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에 기초한 오프라인 매장 입장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부의 현재 방문자 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존 오프라인 매장 입장 내역에 따른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실행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는,
    커뮤니티 활동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이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는,
    결제 서비스, 포인트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상품 추천 서비스 및 어슈어런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 발급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ID,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입장권을 발급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현재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 부근의 어트랙션을 추천하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의 감소를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수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입장을 허여하도록 실행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어트랙션은,
    사전에 제휴된 업체들과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비용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폰 투 폰 판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필터링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도록 실행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와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 각각에 부여된 태그들 간의 매칭 관계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저장된 상품들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상품을 추천하도록 실행됨에 있어,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른 기존 사용자들의 선호 상품을 추천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오프라인 구매 내역 및 온라인 구매 내역 각각에 대한 가중치가 반영된 상품을 추천하도록 실행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은,
    상기 온라인 구매 내역에 대한 가중치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1020210057103A 2021-05-03 2021-05-03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49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03A KR20220149986A (ko) 2021-05-03 2021-05-03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03A KR20220149986A (ko) 2021-05-03 2021-05-03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986A true KR20220149986A (ko) 2022-11-10

Family

ID=8410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103A KR20220149986A (ko) 2021-05-03 2021-05-03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99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60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Identity Transmission with Integrated Service Network and Application Ecosystem
US9224141B1 (en) Encoding a magnetic stripe of a card with data of multiple cards
US11599863B1 (en) Selection of a financial account associated with a proxy object
US20080046331A1 (en) Universal virtual shopping cart
US201502210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fficient shopping
KR101839256B1 (ko)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거래
US10331921B2 (en) Event based interrogation zone tracking system for product samples
US11238426B1 (en) Associating an account with a card
CN108122333B (zh) 用于分配物品或服务的远程控制系统及其操作方法
JP2021012408A (ja) 決済情報処理装置、決済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決済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286946B1 (ko)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관리 시스템
JPWO2020027134A1 (ja) 情報処理装置
KR20190130299A (ko) O2o 기반의 점포 경영 및 마케팅 방법
KR20140056869A (ko) 정보통신망과 키오스크를 이용한 뷰티샵 관리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102245608B1 (ko)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판기 상품 구매 시스템
US20120278237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Distributing Gift Certificate
KR20160054160A (ko)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 개통 및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201701034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urchase agreements
KR20150082727A (ko)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122794B1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20220149986A (ko)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9245219A (ja) 個人用電子決済端末、該端末を用いるリコメンド情報生成システム、同生成方法及び同生成プログラム
KR101846246B1 (ko) 비콘을 이용한 화장품 이용 관리 시스템
KR20210020566A (ko)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9061675A (ja) 受発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