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860B1 - 치아 발육기 - Google Patents

치아 발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860B1
KR102439860B1 KR1020220067978A KR20220067978A KR102439860B1 KR 102439860 B1 KR102439860 B1 KR 102439860B1 KR 1020220067978 A KR1020220067978 A KR 1020220067978A KR 20220067978 A KR20220067978 A KR 20220067978A KR 102439860 B1 KR102439860 B1 KR 10243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iameter
cover body
cover
diameter adjustmen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해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이비클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이비클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이비클라우드
Priority to KR102022006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5Nipple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9Decorat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 A61J17/1115Straps, cords or cha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lo Graph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파지 시 손을 감싸는 형태의 치아 발육기를 형성하여, 치아 발육기를 파지한 손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유아가 치아 발육기를 파지한 손을 입으로 가져가 빨게되는 행위를 예방할 수 있는 치아 발육기를 개시한다.
치아 발육기는 유아의 손목을 감싸고, 내경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스트랩부, 스트랩부에 연결되어 유아의 손을 감싸는 돔(dome) 구조로 형성되고,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 및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커버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치아 자극 구조물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발육기{Teething tots}
본 발명은 치아 발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발육기는 유아의 이가 나오려고 할 때 발생되는 간지러움 등의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는 도구로, 치아 발육기를 사용할 경우 유아의 잇몸을 자극해서 구강발달에 도움을 준다.
또한, 치아 발육기는 구강기에 유아의 씹고자 하는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시각적, 촉각적, 지능적 신체발달 및 치아발육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종래의 치아 발육기는 유아가 치아 발육기를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막대 형태의 치아 발육기는 유아가 치아 발육기를 사용하는 도중 치아 발육기를 쉽게 놓침은 물론, 치아 발육기로 입 주변의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아 발육기는 치아 발육기를 파지하는 손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 구조를 가짐에 따라, 유아가 치아 발육기를 파지한 손을 입으로 가져가 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아 발육기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단부에만 치아 자극 구조물이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가 치아 발육기를 반대로 파지하거나, 제대로 파지하지 못할 경우 치아 자극 구조물을 정확히 입에 가져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72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지 시 손을 감싸는 형태의 치아 발육기를 형성하여, 치아 발육기를 파지한 손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유아가 치아 발육기를 파지한 손을 입으로 가져가 빨게되는 행위를 예방할 수 있는 치아 발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발육기를 돔 구조로 형성하여, 치아 발육기의 사용 시 돔 구조를 이루는 유선형의 외면이 피부에 접촉되므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는 치아 발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 발육기를 손목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하여, 치아 발육기의 사용 중 치아 발육기가 유아의 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발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 발육을 위한 구조물을 치아 발육기에 다방향으로 배치하여 어떠한 방향에서든 치아 발육기의 구조물을 정확히 입에 가져갈 수 있는 치아 발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손목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조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치아 발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는 유아의 손목을 감싸고, 내경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스트랩부; 상기 스트랩부에 연결되어 유아의 손을 감싸는 돔(dome) 구조로 형성되고,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 및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치아 자극 구조물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경 조절 홀들이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원형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내경 조절 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리형상을 형성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착용부가 상기 내경 조절 홀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걸려 상기 착용부를 고정시키는 내경 조절 돌기들; 및 상기 착용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 조절 홀의 길이는, 상기 착용부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내경 조절 홀의 폭은, 상기 착용부의 두께 보다 크고, 상기 착용부 두께와 상기 내경 조절 돌기의 두께의 합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내경 조절 홀들은, 제1 내경 조절 홀; 및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내경 조절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착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내경 조절 홀;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일부분이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단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형태의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내경 조절 돌기들은 상기 착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착용부의 외면에 다수의 행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단계적으로 걸려 지지되고, 상기 내경 조절 돌기들은 상기 착용부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착용부의 외면에 다수의 열을 형성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동시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단부에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고, 외면에 상기 치아 자극 구조물들이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자극 구조물들은, 상기 커버 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주자극 돌기; 상기 커버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자극 날개들; 및 상기 자극 날개들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미세 자극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 자극 돌기들은, 상기 자극 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선형의 제1 미세 자극 돌기들; 상기 자극 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제1 직경의 크기 및 제1 돌출높이를 가지는 제2 미세 자극 돌기들; 상기 자극 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직경의 크기 보다 작은 제2 직경의 크기 및 상기 제1 돌출높이 보다 작은 제2 돌출높이를 가지는 제3 미세 자극 돌기들; 및 상기 자극 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v'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 미세 자극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착용부의 외면에 다수의 열을 형성하는 상기 내경 조절 돌기들은, 상기 착용부가 상기 내경 조절 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감소되는 톱니 형상의 제1 내경 조절 돌기들; 및 상기 착용부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내경 조절 돌기들 사이에 교번 배치되는 반구 형상의 제2 내경 조절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돔 구조의 보조 커버부; 및 상기 보조 커버부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자극 구조물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커버부는, 상기 보조 커버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 커버부의 중부에 2열로 형성되는 제1 구조물 결합홀; 및 상기 보조 커버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 커버부의 상부에 2열로 형성되는 제2 구조물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자극 구조물들은, 상기 제1 구조물 결합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 후크 및 상기 제1 체결 후크에 지지되어 상기 보조 커버부의 외면에 지지되는 제1 자극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자극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 결합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체결 후크 및 상기 제2 체결 후크에 지지되어 상기 보조 커버부의 외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자극 부재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2 자극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보조 자극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커버부는,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에 개별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돔 구조를 이루는 보조 커버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커버들은, 상기 커버 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제1 보조 커버; 상기 커버 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본체의 중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 보조 커버의 상단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제2 보조 커버; 및 상기 커버 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2 보조 커버의 상단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돔 형상의 제3 보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1 커버 바디; 상기 제1 커버 바디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 본체에 걸려 지지되는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커버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보조 커버의 내면에 오버랩되고, 상기 제2 보조 커버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1 주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조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에 밀착되고, 내면에 상기 제1 주름부재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1 주름홈이 형성되는 제2 커버 바디; 상기 제2 커버 바디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중부에 형성된 제2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 본체에 걸려 지지되는 제2 걸림부재; 상기 제2 커버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 보조 커버의 내면에 오버랩되고, 상기 제3 보조 커버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 주름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바디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커버 바디의 외면에 오버랩되고, 외면에 제1 보조 자극 돌기들이 형성되는 제1 보조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조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에 밀착되고, 내면에 상기 제2 주름부재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2 주름홈이 형성되며, 상측 중앙부에 상기 주자극 돌기가 관통되는 돌기 결합홀이 형성되는 제3 커버 바디; 상기 제3 커버 바디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3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 본체에 걸려 지지되는 제3 걸림부재; 및 상기 제3 커버 바디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커버 바디의 외면에 오버랩되고, 외면에 상기 제1 보조 자극 돌기들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2 보조 자극 돌기들이 형성되는 제2 보조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발육기가 유아의 손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치아 발육기를 파지한 유아의 손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유아가 치아 발육기를 파지한 손을 입으로 가져가 빨게되는 행위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발육기가 유선형의 외면을 가지는 돔 구조로 형성되므로, 치아 발육기의 사용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발육기가 손목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치아 발육기의 사용 중 치아 발육기가 유아의 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발육을 위한 치아 자극 구조물들이 다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어떠한 방향에서든 치아 자극 구조물을 정확히 입에 가져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발육기가 손목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손목의 둘레 방향으로 치아 자극 구조물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를 나탄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를 나탄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가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를 나탄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경 조절 돌기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를 나탄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를 나탄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1000)(이하 '치아 발육기(1000)'라 함)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스트랩부(1), 커버부(2) 및 치아 자극 구조물들(3)을 포함한다.
스트랩부(1)는 유아의 손목(미도시)을 감싸고, 내경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가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랩부(1)는 결합부(11), 착용부(12), 내경 조절 돌기들(13) 및 연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는 길이방향을 따라 착용부(12)가 삽입되는 내경 조절 홀들(1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경 조절 홀(111)의 길이(L)는, 착용부(12)의 폭(W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경 조절 홀(111)의 폭(W2)은, 착용부(12)의 두께(T1) 보다 크고, 착용부(12)의 두께(T1)와 내경 조절 돌기(13)의 두께(T2)의 합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경 조절 홀들(111)은 제1 내경 조절 홀(111A) 및 결합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내경 조절 홀(111A)에 비해 상대적으로 착용부(1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내경 조절 홀(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크기로 스트랩부(1)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착용부(12)는 결합부(11)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부(11)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원형으로 절곡되면서 내경 조절 홀들(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리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부(12)는 일부분이 결합부(11)의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분이 연결부(14)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제1 부분(121) 및 제1 부분(121)의 단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형태의 제2 부분(122)을 포함할 수 있다.
내경 조절 돌기들(13)은 착용부(12)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착용부(12)가 내경 조절 홀(111)에 삽입되면 결합부(11)의 외면에 걸려 착용부(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경 조절 돌기들(13)은 착용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착용부(12)의 외면에 다수의 행(R)을 형성하여 결합부(11)의 외면에 단계적으로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내경 조절 돌기들(13)은 착용부(12)의 폭 방향을 따라 착용부(12)의 외면에 다수의 열(C)을 형성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결합부(11)의 외면에 동시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에, 고리 형상을 이루는 결합부(11)와 착용부(12)의 결속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14)는 착용부(12)와 커버부(2)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부(12)와 커버부(2)를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버부(2)는 스트랩부(1)에 연결되어 유아의 손(미도시)을 감싸는 돔(dome) 구조로 형성되고,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는 단부에 연결부(14)가 연결되고, 외면에 치아 자극 구조물들(3)이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커버 본체(21) 및 커버 본체(21)의 내면에 형성되는 파지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재(22)는 커버 본체(21)의 축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도록 커버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재(22)의 양 단부는 커버 본체(21)의 내면에 연결되거나, 커버 본체(2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파지부재(22)의 양 단부가 커버 본체(2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구조일 경우, 파지부재(22)의 일 부분에는 커버 본체(21)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파지부재(22)와 커버 본체(21)의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를 나탄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치아 자극 구조물들(3)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커버부(2)의 외면에 배치된다.
치아 자극 구조물들(3)은 주자극 돌기(31), 자극 날개들(32) 및 미세 자극 돌기들(33)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자극 돌기(31)는 커버 본체(21)의 축방향을 따라 커버 본체(2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자극 날개들(32)은 커버 본체(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커버 본체(21)의 외면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극 날개들(32)은 타원형,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모두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 자극 돌기들(33)은 자극 날개들(32)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세 자극 돌기들(33)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1 미세 자극 돌기들(331), 제2 미세 자극 돌기들(332), 제3 미세 자극 돌기들(333) 및 제4 미세 자극 돌기들(3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세 자극 돌기들(331)은 자극 날개들(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커버 본체(21)의 반경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미세 자극 돌기들(332)은 자극 날개들(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제1 직경의 크기(D1) 및 제1 돌출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제3 미세 자극 돌기들(333)은 자극 날개들(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제1 직경의 크기(D1) 보다 작은 제2 직경의 크기(D2) 및 제1 돌출높이(H1) 보다 작은 제2 돌출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제4 미세 자극 돌기들(334)은 자극 날개들(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v'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경 조절 돌기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착용부(12)의 폭 방향을 따라 착용부(12)의 외면에 다수의 열(C)을 형성하는 내경 조절 돌기들(13)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부(12)가 내경 조절 홀(111)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감소되는 톱니 형상의 제1 내경 조절 돌기들(131) 및 착용부(12)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내경 조절 돌기들(131) 사이에 교번 배치되는 반구 형상의 제2 내경 조절 돌기들(1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발육기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치아 발육기(1000)는 보조 커버부(4) 및 보조 자극 구조물들(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커버부(4)는 돔 구조로 형성되어 커버 본체(21)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커버부(4)는 보조 커버부(4)의 축방향을 따라 보조 커버부(4)의 중부(M)에 2열로 형성되는 제1 구조물 결합홀(41) 및 보조 커버부(4)의 축방향을 따라 보조 커버부(4)의 상부(T)에 2열로 형성되는 제2 구조물 결합홀(42)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자극 구조물들(5)은 보조 커버부(4)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자극 구조물들(5)은 제1 보조 자극 구조물(51) 및 제2 보조 자극 구조물(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자극 구조물(51)은 제1 구조물 결합홀(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체결 후크(511) 및 제1 체결 후크(511)에 지지되어 보조 커버부(4)의 외면에 지지되는 제1 자극 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자극 구조물(52)은 제2 구조물 결합홀(4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체결 후크(521) 및 제2 체결 후크(521)에 지지되어 보조 커버부(4)의 외면에 지지되고, 제1 자극 부재(512)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2 자극 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커버부(4)는 커버 본체(21)의 외면에 개별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돔 구조를 이루는 보조 커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커버들은 제1 보조 커버(4A), 제2 보조 커버(4B) 및 제3 보조 커버(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커버(4A)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 본체(21)의 축방향을 따라 커버 본체(21)의 하부(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조 커버(4A)는 커버 본체(21)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1 커버 바디(4A1), 제1 커버 바디(4A1)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커버 본체(21)의 하부(B)에 형성된 제1 체결홀(211)에 삽입되어 커버 본체(21)에 걸려 지지되는 제1 걸림부재(4A2) 및 제1 커버 바디(4A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보조 커버(4B)의 내면에 오버랩되고, 제2 보조 커버(4B)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1 주름부재(4A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커버(4B)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 본체(21)의 축방향을 따라 커버 본체(21)의 중부(M)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제1 보조 커버(4A)의 상단부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조 커버(4B)는 커버 본체(21)의 외면에 밀착되고, 내면에 제1 주름부재(4A3)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1 주름홈(4B11)이 형성되는 제2 커버 바디(4B1), 제2 커버 바디(4B1)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커버 본체(21)의 중부(M)에 형성된 제2 체결홀(212)에 삽입되어 커버 본체(21)에 걸려 지지되는 제2 걸림부재(4B2), 제2 커버 바디(4B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3 보조 커버(4C)의 내면에 오버랩되고, 제3 보조 커버(4C)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 주름부재(4B3) 및 제2 커버 바디(4B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커버 바디(4A1)의 외면에 오버랩되고, 외면에 제1 보조 자극 돌기들(4B41)이 형성되는 제1 보조 날개(4B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보조 커버(4C)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 본체(21)의 축방향을 따라 커버 본체(21)의 상부(T)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제2 보조 커버(4B)의 상단부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보조 커버(4C)는 커버 본체(21)의 외면에 밀착되고, 내면에 제2 주름부재(4B3)에 맞물려 결합되는 제2 주름홈(4C11)이 형성되며, 상측 중앙부에 주자극 돌기(31)가 관통되는 돌기 결합홀(4C12)이 형성되는 제3 커버 바디(4C1), 제3 커버 바디(4C1)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커버 본체(21)의 상부(T)에 형성된 제3 체결홀(213)에 삽입되어 커버 본체(21)에 걸려 지지되는 제3 걸림부재(4C2) 및 제3 커버 바디(4C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커버 바디(4B1)의 외면에 오버랩되고, 외면에 제1 보조 자극 돌기들(4B41)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2 보조 자극 돌기들(4C31)이 형성되는 제2 보조 날개(4C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발육기(1000)가 유아의 손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치아 발육기(1000)를 파지한 유아의 손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유아가 치아 발육기(1000)를 파지한 손을 입으로 가져가 빨게되는 행위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발육기(1000)가 유선형의 외면을 가지는 돔 구조로 형성되므로, 치아 발육기(1000)의 사용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발육기(1000)가 손목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치아 발육기(1000)의 사용 중 치아 발육기(1000)가 유아의 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발육을 위한 치아 자극 구조물들(3)이 다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어떠한 방향에서든 치아 자극 구조물을 정확히 입에 가져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발육기(1000)가 손목에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손목의 둘레 방향으로 치아 자극 구조물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치아 발육기
1. 스트랩부
11. 결합부
111. 내경 조절 홀
111A. 제1 내경 조절 홀
111B. 제2 내경 조절 홀
12. 착용부
121. 제1 부분
122. 제2 부분
13. 내경 조절 돌기
131. 제1 내경 조절 돌기들
132. 제2 내경 조절 돌기들
14. 연결부
2. 커버부
21. 커버 본체
211. 제1 체결홀
212. 제2 체결홀
213. 제3 체결홀
22. 파지부재
3. 치아 자극 구조물들
31. 주자극 돌기
32. 자극 날개들
33. 미세 자극 돌기들
331. 제1 미세 자극 돌기들
332. 제2 미세 자극 돌기들
333. 제3 미세 자극 돌기들
334. 제4 미세 자극 돌기들
4. 보조 커버부
4A. 제1 보조 커버
4A1. 제1 커버 바디
4A2. 제1 걸림부재
4A3. 제1 주름부재
4B. 제2 보조 커버
4B1. 제2 커버 바디
4B11. 제1 주름홈
4B2. 제2 걸림부재
4B3. 제2 주름부재
4B4. 제1 보조 날개
4B41. 제1 보조 자극 돌기들
4C. 제3 보조 커버
4C1. 제3 커버 바디
4C11. 제2 주름홈
4C12. 돌기 결합홀
4C2. 제3 걸림부재
4C3. 제2 보조 날개
4C31. 제2 보조 자극 돌기들
41. 제1 구조물 결합홀
42. 제2 구조물 결합홀
5. 보조 자극 구조물들
51. 제1 보조 자극 구조물
511. 제1 체결 후크
512. 제1 자극 부재
52. 제2 보조 자극 구조물
521. 제2 체결 후크
522. 제2 자극 부재

Claims (3)

  1. 유아의 손목을 감싸고, 내경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스트랩부;
    상기 스트랩부에 연결되어 유아의 손을 감싸는 돔(dome) 구조로 형성되고,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 및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치아 자극 구조물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경 조절 홀들이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원형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내경 조절 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리형상을 형성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착용부가 상기 내경 조절 홀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걸려 상기 착용부를 고정시키는 내경 조절 돌기들; 및
    상기 착용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 조절 홀의 길이는, 상기 착용부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내경 조절 홀의 폭은, 상기 착용부의 두께 보다 크고, 상기 착용부 두께와 상기 내경 조절 돌기의 두께의 합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내경 조절 홀들은,
    제1 내경 조절 홀; 및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내경 조절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착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내경 조절 홀;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일부분이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단부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형태의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내경 조절 돌기들은 상기 착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착용부의 외면에 다수의 행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단계적으로 걸려 지지되고,
    상기 내경 조절 돌기들은 상기 착용부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착용부의 외면에 다수의 열을 형성하여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동시에 걸려 지지되는, 치아 발육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단부에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고, 외면에 상기 치아 자극 구조물들이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자극 구조물들은,
    상기 커버 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주자극 돌기;
    상기 커버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본체의 외면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자극 날개들; 및
    상기 자극 날개들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미세 자극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 자극 돌기들은,
    상기 자극 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선형의 제1 미세 자극 돌기들;
    상기 자극 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제1 직경의 크기 및 제1 돌출높이를 가지는 제2 미세 자극 돌기들;
    상기 자극 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직경의 크기 보다 작은 제2 직경의 크기 및 상기 제1 돌출높이 보다 작은 제2 돌출높이를 가지는 제3 미세 자극 돌기들; 및
    상기 자극 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v'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 미세 자극 돌기들;을 포함하는, 치아 발육기.
KR1020220067978A 2022-06-03 2022-06-03 치아 발육기 KR10243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78A KR102439860B1 (ko) 2022-06-03 2022-06-03 치아 발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78A KR102439860B1 (ko) 2022-06-03 2022-06-03 치아 발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860B1 true KR102439860B1 (ko) 2022-09-02

Family

ID=8328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978A KR102439860B1 (ko) 2022-06-03 2022-06-03 치아 발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8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227Y1 (ko) 2001-04-07 2001-10-11 박성수 유아용 치발기 겸용 놀이기구
KR20160116637A (ko) * 2015-03-31 2016-10-10 김성식 유아용 손싸개
KR20170004807A (ko) * 2015-07-02 2017-01-11 이승희 구강 장치 및 구강 장치의 사용 방법
KR20200025974A (ko) * 2018-08-31 2020-03-10 이석진 손목 착용용 치아발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227Y1 (ko) 2001-04-07 2001-10-11 박성수 유아용 치발기 겸용 놀이기구
KR20160116637A (ko) * 2015-03-31 2016-10-10 김성식 유아용 손싸개
KR20170004807A (ko) * 2015-07-02 2017-01-11 이승희 구강 장치 및 구강 장치의 사용 방법
KR20200025974A (ko) * 2018-08-31 2020-03-10 이석진 손목 착용용 치아발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32901B2 (en) Headgear assembly for breathing interface
US9233221B2 (en) Bite block
US10588828B2 (en) Teething scarf
WO2016069953A1 (en) Wearable child carriers and methods of use
US20190290018A1 (en) Baby carri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439860B1 (ko) 치아 발육기
CN203089500U (zh) 约束手套
JP2010088931A (ja) 医療チューブ固定装置及び医療チューブ保護用手袋
JP3143245U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730973B1 (ko) 카테터 고정밴드
GB2569611A (en) Improvements in hair-cutting devices
KR200472872Y1 (ko) 마스크가 부착된 차양모자
JP4492950B2 (ja) 医療チューブ固定装置及び医療チューブ保護用手袋
KR102343874B1 (ko) 마스크 케이스
KR101934827B1 (ko) 증모용 모발 매듭 방법
JP3215681U (ja) 美容機器
JP4188133B2 (ja) 鼻孔カニューラ装置
JP5419233B2 (ja) 耳カラー
CN213822498U (zh) 可任意组合艾灸布套
KR101656580B1 (ko)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기
KR102597366B1 (ko) 다용도 마스크 스트랩
JP3095359U (ja) 授乳カバー
CN212466405U (zh) 一种新生儿护理鸟巢
US20210120934A1 (en) Ponytail Holder
CN215915159U (zh) 一种新型防拔管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