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973B1 - 카테터 고정밴드 - Google Patents

카테터 고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973B1
KR101730973B1 KR1020150151667A KR20150151667A KR101730973B1 KR 101730973 B1 KR101730973 B1 KR 101730973B1 KR 1020150151667 A KR1020150151667 A KR 1020150151667A KR 20150151667 A KR20150151667 A KR 20150151667A KR 101730973 B1 KR101730973 B1 KR 10173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tube
cover unit
pati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612A (ko
Inventor
장혜진
박찬주
박인혜
정주연
김미현
Original Assignee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4/935,77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41751B2/en
Publication of KR2017003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973B1/ko
Priority to US16/555,338 priority patent/US1119192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fixed on the skin having a cover for covering the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굴곡시킨 상태에서 카테터 고정밴드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카테터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고, 신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된 카테터 통과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카테터 통과부가 덮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카테터가 상기 커버유닛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카테터 통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카테터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경우에, 상기 카테터 내의 유체의 흐름과 연관되어 일체적인 관념을 형성하게 하는 형상을 갖는 카테터 고정밴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카테터 고정밴드{CATHETER FIXING BAND}
본 발명은 카테터 고정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굴곡시킨 상태에서 카테터 고정밴드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카테터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는, 배출물을 측정하거나 혈액을 투석하거나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 일부분에 삽입되는 기구이다.
삽입된 카테터는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약물을 환자의 신체로 주입하거나, 환자의 신체에서 나오는 배출물을 튜브를 통해 신체로부터 배출하게 된다. 이때, 삽입된 카테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카테터를 신체 일부에 삽입한 후 반창고 등을 이용하여 카테터와 환자의 피부를 부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반창고를 이용하여 카테터를 고정시에는 카테터가 환자의 신체에 직접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 카테터가 유동하게 되어, 카테터가 삽입된 삽입부위에 상처가 발생하여 상처를 통해 세균이 침투하여 이차감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를 조정하는 경우 반창고를 떼어낸 뒤 고정부위를 조정하고, 다시 카테터를 환자의 신체에 부착하므로 카테터의 바늘이 환자의 피부 내에서 유동되거나, 카테터의 바늘을 다시 환자의 신체에 삽입해야 하므로 환자가 고통스러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가 외부와 접촉하여 유동되어 카테터 단부의 주사 바늘이 환자의 피부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일반적으로 튜브를 U자형으로 굴곡시켜 환자의 피부에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외부와 접촉하여 튜브가 유동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가 외부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유동이 저감될 수 있고, 카테터 및 튜브가 고정될 수 있는 카테터 고정밴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연구과정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의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카테터 고정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를 조정하는 경우에 반창고 등으로 조정할 필요가 감소하여 환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고통을 저감시키는 카테터 고정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가 외부와 접촉되는 부위를 감소시키며,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가 유동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카테터 고정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카테터 고정밴드는, 신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고, 신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된 카테터 통과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카테터 통과부가 덮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카테터가 상기 커버유닛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카테터 통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카테터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경우에, 상기 카테터 내의 유체의 흐름과 연관되어 일체적인 관념을 형성하게 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신체의 일부가 통과 가능하도록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길게 형성되어 신체의 일부를 둘러싼 후, 상기 본체에 다시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유닛은, 적어도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카테터 통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유닛은 코끼리를 연상시키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코끼리 형상의 코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카테터나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감싸 상기 커버유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코끼리 형상의 코 부분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카테터나 상기 튜브를 감싸는 벨크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유닛은 사자를 연상시키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자 형상의 입이나 갈퀴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카테터나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감싸 상기 커버유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감싸며 상기 튜브가 U자형으로 굴곡되도록, 단부에서 U자형으로 연장되는 튜브지지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지지굴곡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외력 이하에는 이동되지 않도록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반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지지굴곡부는, 상기 커버반원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튜브가 상기 커버반원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를 지지하는 그립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는, 환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접촉된 부분을 지지하는 부목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카테터 통과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상기 카테터 통과부를 덮으며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에 위치되고, 상기 카테터나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카테터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테터 고정수단은, 상기 카테터 통과부의 일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카테터 통과부에서 빠져나오는 상기 튜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튜브를 감싸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테터 고정수단은, 카테터로부터 연결된 튜브가 굴곡된 후 상기 덮개부에 고정되도록, 일단이 상기 덮개부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양 단에는 상기 본체가 환자의 신체를 감싸도록 벨크로부가 배치되고, 상기 벨크로부는 길게 형성되어 환자의 신체를 감쌈으로써 상기 본체를 환자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환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손가락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상단의 본체는 환자의 손가락에 삽입 후 접힘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벨크로부는, 상기 손가락 삽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벨크로부, 및 상기 제1 벨크로부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벨크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크로부는,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일부가 접힌 후, 카테터를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를 감싸도록 접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환자의 살갗에 직접 접착되는 접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밴드에 따르면, 커버유닛이 카테터 통과부를 덮으며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를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커버유닛이 카테터 내의 유체의 흐름과 연관되어 일체적인 관념을 형성하여,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밴드에 따르면,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를 감싸며 튜브가 U자형으로 굴곡되도록 하는 커버유닛에 의해 튜브를 자연스럽게 U자형으로 굴곡시킬 수 있으므로, 튜브를 굴곡시키기 위한 다른 자재가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밴드에 따르면, U자형으로 굴곡되는 튜브가 삽입되는 커버반원이 일정한 외력 이하에는 이동되지 않는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되어 튜브를 외력에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의 카테터에 고정링을 추가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중 부목 및 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단계 중 제1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단계 중 제2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 중 커버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커버유닛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 및 밴드 커버유닛에 튜브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단계들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단계들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100) 는 본체 (10) 및 커버유닛 (20) 을 포함한다.
본체 (10) 는 신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본체 (10) 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10) 의 양단에는 환자의 손이나 팔 또는 다리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 (12, 13) 가 형성된다. 본체 (10) 의 일면에는 신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되고, 카테터 (3) 가 통과 가능하게 개구되는 카테터 통과부 (11) 가 형성된다.
본체 (10) 의 양단에는 환자의 손이 삽입 가능한 개구부 (12, 13) 가 형성되어 있다. 양단의 개구부 (12, 13) 중 제1 개구부 (13) 는 손목을 감싸고, 다른 쪽 개구부 (12) 는 손가락들이 나올 수 있어 서로 조이는 부분의 크기가 달라 개구부의 크기가 각각 다를 수 있다. 양단의 개구부 (12, 13) 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 (10) 가 환자의 손에 밀착될 수 있도록 환자의 손이나 손목을 조이게 된다.
본체 (10) 에는 환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일부가 통과되도록 개구되는 손가락 개구부 (13) 가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 개구부 (13) 는 환자의 손이 삽입 가능한 개구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본체 (10) 의 측면쪽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양단의 개구부 중 손가락이 빠져나오는 개구부에 인접하게 손가락 개구부 (13) 가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 개구부 (13) 에는 엄지손가락이 빠져나오고, 카테터 고정밴드 (100) 를 손가락을 넣는 공간이 없는 장갑을 착용하듯이 착용할 수 있다.
한편, 본체 (10) 의 타면에는 환자의 팔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부목 (60) 이 배치될 수 있다. 부목 (60) 은 환자의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환자의 팔을 지지하며 본체 (10) 가 환자의 팔에 더욱 밀착되도록 환자의 팔과 본체 (10) 사이의 공간을 줄여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부목 (60) 은 환자의 손목이나 팔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유닛 (20) 의 일면은 카테터 통과부 (11) 의 측면에 본체 (10) 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커버유닛 (20) 은 카테터 통과부 (11) 가 덮히거나 열리도록 본체 (10) 에 회전 가능하게 일면만 연결된다.
커버유닛 (20) 은 카테터 (3) 가 커버유닛 (20) 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 (25) 를 포함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고정부 (25) 는 코끼리 형상의 코 부분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카테터나 튜브를 감싸는 벨크로부 (21, 22) 를 포함한다. 제1 벨크로부 (21) 와 제2 벨크로부 (22) 가 튜브를 감싸 튜브가 코끼리 형상의 고정부 (25) 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2 벨크로부 (22) 의 단부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부 벨크로 (22a) 는 제1 벨크로부 (21) 의 외측에 위치하는 벨크로와 결합하여 튜브를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카테터 (3) 또는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 (7) 는 고정부 (25) 에 의해 감싸져 커버유닛 (20) 의 고정부 (25) 측에 연결되게 된다.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고정부 (25) 는, 코끼리 형상의 코 부분에서 돌출되고, 튜브를 감싸는 튜브고정굴곡부 (27) 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고정굴곡부 (27) 는 원주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고정굴곡부 (27) 는 어느 정도의 경질로 형성되어 튜브가 삽입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튜브고정굴곡부 (27) 의 형상은 도 13에 도시된 튜브지지굴곡부 (440) 의 그립곡면 (442) 과 유사할 수 있다.
커버유닛 (20) 이 카테터 통과부 (11) 를 덮음과 함께, 카테터 (3) 가 고정부 (25) 에 고정되는 경우에, 카테터 (3) 내의 유체의 흐름과 연관되어, 튜브 (7) 및 커버유닛 (20) 은 일체적인 관념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커버유닛 (20) 이 카테터 통과부 (11) 를 덮게 되면, 코끼리 코 끝에서 유체가 흘러 나오거나 흘러 들어가는 일체적인 관념이 형성된다.
커버유닛 (20) 은 코끼리를 연상시키는 형상을 이루고, 고정부 (25) 는 코끼리 형상의 코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어, 카테터 (3) 나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 (7) 를 감싸 커버유닛 (20) 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커버유닛 (20) 과 본체 (10) 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벨크로들 (51, 52) 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유닛 (20) 이 회전하여 본체 (10) 에 접촉하는 부위에 서로 대응되어 벨크로들 (51, 52) 이 배치될 수 있다. 벨크로들 (51, 52) 로 인해, 커버유닛 (20) 과 본체 (10) 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커버유닛 (20) 에는 여러 가지 도안이 그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코끼리의 도안이 그려질 수 있다. 또한, 커버유닛 (20) 은 호랑이의 모습이고 튜브지지굴곡부 (30) 는 호랑이의 꼬리 모습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안을 통해 환자에게 카테터 (3) 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본체 (10) 에는 카테터 통과부 (11) 로부터 나오는 튜브 (7) 를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 (61) 및 제2 지지수단 (71) 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수단 (61) 은 카테터 통과부 (11) 의 일측에 배치된다. 일측은 카테터 (3) 에 연결된 튜브 (7) 가 연결되어 연장되는 방향이다. 제1 지지수단 (61) 은 튜브 (7) 를 본체에 어느정도 고정시키고, 부착시킬 수 있다.
제2 지지수단 (71) 은 카테터 통과부 (11) 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다. 제2 지지수단 (71) 은 제1 지지수단 (61) 을 통과한 튜브 (7) 가 U자형으로 벤딩된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카테터 통과부 (11) 와 커버유닛 (20) 사이에 배치되거나, 그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 지지수단 (71) 이 카테터 통과부 (11) 와 커버유닛 (20) 의 사이에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지지수단 (71) 이 튜브를 감싼 후에 커버유닛 (20) 이 본체 (10) 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튜브 (3) 는 커버유닛 (20) 의 하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로써, 튜브 (3) 가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을 줄여, 튜브 (3) 를 더욱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1 지지수단 (61) 및 제2 지지수단 (71) 은 각각 제1 지지수단 벨크로(61a) 와 제2 지지수단 벨크로 (71b) 에 결합되어, 튜브 (7) 를 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유닛 (20') 은 사자를 연상시키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부 (25') 는 사자 형상의 입이나 칼퀴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어, 카테터 (3) 나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 (7) 를 감싸, 카테터 (3) 나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 (7) 가 커버유닛 (20') 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200)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 (200) 가 환자의 손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200) 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카테터 고정밴드 (100) 와 비교하여, 튜브를 감싸 지지하는 튜브지지굴곡부 (30) 가 추가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유닛 (20) 은 카테터 (3) 에 연결되는 튜브 (7) 를 감싸며 튜브 (7) 가 U자형으로 굴곡되도록 단부에서 연장되는 튜브지지굴곡부 (30) 를 포함한다.
튜브지지굴곡부 (30) 는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 (3) 로부터 연결되는 튜브 (7) 가 카테터 통과부 (11) 로부터 나오는 방향을 향해 U자형을 이루며 연장된다.튜브지지굴곡부 (30) 는 커버반원 (31) 과 그립곡면 (32) 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반원 (31) 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외력 이하에는 이동되지 않도록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반원 (31) 의 내부에는 카테터 (3) 로부터 연결되는 튜브 (7) 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반원 (31) 은 튜브 (7) 가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아 유동되지 않도록 리지드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커버반원 (31) 이 이동되지 않는 외력은 커버반원 (31) 이 외부에 의해 접촉되어서 일정한 힘이 가해져도 이동되지 않을 정도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튜브지지굴곡부 (30) 는 복수의 관절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관절은 일정한 외력 이하에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를 통해, 튜브지지굴곡부 (30) 가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도 관절의 굴절된 정도가 변형될 뿐 튜브 (7) 에 가해지는 힘은 크지 않다.
그립곡면 (32) 은 커버반원 (31) 의 원주를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튜브 (7) 가 커버반원 (31) 의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튜브 (7) 가 커버반원 (31) 의 내측에 안착되도록 커버반원 (31) 측으로 튜브 (7) 를 가압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지지굴곡부 (30) 에 대해서 자세하게 도시한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커버반원 (341) 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어 그립곡면 (342)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b)를 참조하면, 튜브 (7) 를 튜브지지굴곡부 (340) 에 밀어넣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c)를 참조하면, 튜브 (7) 가 커버반원 (341) 의 내측에 안착되고, 그립곡면 (342) 은 튜브 (7) 가 커버반원 (341) 의 내측에 안착되도록 튜브 (7) 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튜브 (7) 는 카테터 통과부 (11) 를 통과한 직후 튜브지지굴곡부 (30) 에 삽입되어 U자형으로 굴곡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 (7) 는 커버반원 (31) 의 내측에 삽입되어, 커버반원 (31) 에 의해 튜브 (7) 에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튜브 (7) 가 커버반원 (31) 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튜브 (7) 가 유동됨에 따라 튜브 (7) 에 연결된 카테터 (3) 가 환자의 팔에서 흔들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테터 (3) 가 유동되며 바늘이 환자의 팔에서 흔들림으로써 환자에게 가해지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300)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 (300) 의 카테터 (3) 에 고정링 (43) 을 추가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300) 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카테터 고정밴드 (100) 와 비교하여 카테터 (3) 를 고정시키는 카테터 고정부가 추가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300) 는 본체 (10) 에 개구된 카테터 통과부 (11) 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보조 밴드들 (41, 42) 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밴드들 (41, 42) 은 카테터 (3) 를 본체 (10) 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보조 밴드들 (41, 42) 이 카테터 (3) 의 중앙 측을 감싸며, 카테터 (3) 를 본체 (10) 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을 통해 카테터 (3) 와 본체 (10) 의 고정력을 높이며, 카테터 (3) 가 외부의 힘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저감시켜준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조 밴드들 (41, 42) 의 단부와 시작 부분에는 카테터 (3) 를 감은 후에 다시 보조 밴드 (41, 42) 에 착탈 가능하게 접착되도록 벨크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보조 밴드들 (41, 42) 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보조 밴드 (41) 가 카테터 (3) 를 감싸는 위치보다 조금 더 위에서 제2 보조 밴드 (42) 가 카테터 (3) 를 감쌀 수 있도록, 제1 보조 밴드 (41) 와 제2 보조 밴드 (42) 는 카테터 통과부 (11) 의 길이방향에 서로 엇갈려서 배치된다.
도 7를 참조하면, 카테터 (3) 의 중앙 부분에는 양쪽으로 링 (43a) 이 형성된 고정링 (43) 이 끼워져 있다. 보조 밴드들 (41, 42) 은 고정링 (43) 의 양측으로 형성된 링 (43a) 에 끼워져 카테터 (3) 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링 (43) 을 통해, 보조 밴드들 (41, 42) 로 직접 카테터 (3) 를 고정할 때 생길 수 있는 좌우 거리의 미차를 줄일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400) 중 부목 (410) 및 본체 (420)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 (400) 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단계 중 제1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 (400) 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단계 중 제2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 (400) 가 환자의 손에 착용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400) 중 커버유닛 (430) 은 도 4에서 설명한 커버유닛 (20) 과 비교하여 본체 (10) 또는 본체 (420) 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커버유닛 (430) 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하였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400) 는 부목 (410), 본체 (420) 및 커버유닛 (430) 을 포함한다.
부목 (410) 은 직사각형태의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는 나무 목재 일 수 있다. 부목 (410) 은 환자의 손목이나 팔에 고정되어 본체 (420) 가 환자의 카테터 (3) 가 고정될 부위에 배치된다.
본체 (420) 는 길게 형성되어 신체의 일부를 둘러싼 후, 본체 (420) 에 다시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결합수단은 벨크로가 될 수 있다. 본체 (420) 는 부목 (410) 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 (420) 는 부목 (410) 이 환자의 손목이나 팔에 고정되도록 환자의 팔이나 다리를 감싼 후, 상기 부목 (410) 이나 본체 (420) 의 감싸진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부목 (410) 이 환자의 손목이나 팔에 배치되고, 본체 (420) 는 환자의 손이나 팔을 감싼 뒤 본체 (420) 의 다른 일면이나 부목 (410) 에 결합한다. 본체 (420) 가 환자의 손이나 팔을 감싼 뒤 결합함으로써, 본체 (420) 및 부목 (410) 이 환자의 손이나 팔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체 (420) 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체 (420) 를 환자의 손이나 팔에 감쌀 때 최대한 길이를 신장시키면서 결합하는 경우 본체 (420) 의 신축성에 의해 팔이나 손에 강하게 감싸질 수 있다.
본체 (420) 는 카테터 통과부 (421), 덮개부 (422) 및 카테터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 통과부 (421) 는 환자에게 삽입될 카테터 (3) 가 통과 가능하게 본체 (420) 의 일면의 특정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체 (420) 가 환자의 손이나 팔을 감싸고 난 뒤, 카테터 (3) 가 카테터 통과부 (421) 를 통과한다.
덮개부 (422) 는 카테터 통과부 (421) 를 덮는다. 덮개부 (422) 의 일단은 카테터 통과부 (421) 의 일측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타단은 카테터 통과부 (421) 를 덮으면서 본체 (420) 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덮개부 (422) 는 일단이 본체 (420) 에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 (420) 에 벨크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부 (422) 는 카테터 통과부 (421) 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카테터 통과부 (421) 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카테터 통과부 (421) 를 모두 덮을 수 있다. 또한, 덮개부 (422) 의 타단은 카테터 통과부 (421) 를 덮고 난 뒤 본체 (420) 에 결합할 수 있도록, 덮개부 (422) 의 길이는 카테터 통과부 (421) 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 (420) 의 벨크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부 (422) 의 타단에는 덮개부 벨크로 (423) 가 배치될 수 있다.
카테터 고정수단은 본체 (420) 에 위치된다. 카테터 고정수단은 카테터 (3) 나 카테터 (3) 에 연결되는 튜브 (7) 를 본체 또는 본체 (420) 에 고정시킨다. 카테터 고정수단은, 제1 고정수단 (461) 및 제2 고정수단 (462) 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고정수단의 갯수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수단은 카테터 (3) 나 카테터 (3) 로부터 연결되는 튜브 (7) 가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1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수단 (461) 은 카테터 통과부 (421) 의 일측면에 위치된다. 제1 고정수단 (461) 은 카테터 통과부 (421) 에서 빠져나오는 튜브 (7) 를 본체 (420) 에 고정시키도록 튜브 (7) 를 감싸며 본체 (420) 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 (420) 가 손등을 감싸고, 카테터 통과부 (421) 가 손등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카테터 통과부 (421) 에 의해 카테터 (3) 가 환자의 손등으로 삽입된다. 카테터 (3) 는 손등에 삽입되고, 손등으로부터 튜브 (7) 가 빠져나오게 된다. 제1 고정수단 (461) 은 카테터 (3) 의 양단 사이를 감싸고, 본체 (420) 에 배치되는 제1 고정수단 벨크로 (461a) 에 고정시킴으로써, 카테터 (3) 를 본체 (420) 에 밀착시키게 된다.
제2 고정수단 (462) 은 일단이 덮개부 (422) 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덮개부 (422) 에 벨크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고정수단 (461) 에 의해 고정된 카테터 (3) 로부터 연결되는 튜브 (7) 는 U자 형태로 굴곡되어 다시 본체 (420) 를 향한다. 이 때, 굴곡되어 연장되는 튜브 (7) 가 덮개부 (422) 에 고정되도록 제2 고정수단 (462) 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수단 (462) 의 일단에는 제2 고정수단 벨크로 (462a) 가 배치되고, 제2 고정수단 (462) 은 튜브 (7) 를 감싸며 일단이 덮개부 (422) 의 외측에 배치된 덮개부 외측 벨크로 (462b) 와 결합된다. 이로써, 제2 고정수단 (462) 은 튜브 (7) 가 덮개부 (422) 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수단 (462) 에 의해, 튜브 (7) 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 (7) 를 본체 (420) 에 밀착시킴으로써, 튜브 (7) 가 외부의 물건과 접촉하여 외력을 받는 경우에 일부 외력을 제2 고정수단 (462) 이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튜브 (7) 가 유동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고정수단 (461) 및 제2 고정수단 (462) 이 본체 (420) 등에 고정되는 수단이 벨크로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고정수단 (461) 및 제2 고정수단 (462) 이 본체 (420) 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른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수단 (461) 및 제2 고정수단 (462) 이 배치되는 위치가 상술하였던 위치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카테터 (3) 및 카테터 (3) 에서 연결되는 튜브 (7) 가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그 위치가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하였던 보조 밴드 (41, 42) 와 같은 카테터 고정수단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 (400) 의 카테터 통과부 (421) 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 (420) 는 환자의 손을 여러 번 감쌀수 있도록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커버유닛 벨크로 (452) 가 본체 (420) 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 (420) 가 길게 형성되어 환자의 손을 여러 번 감음으로써, 제2 고정수단 (462) 이 튜브 (7) 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튜브 (7) 가 외부와 마찰이나 충격을 받아도 제2 고정수단 (462) 이나 본체 (420) 가 이러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환자가 받는 고통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 (420) 에는 환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일부가 통과되도록 개구되는 손가락 개구부 (425) 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등에 카테터 (3) 를 삽입하는 경우, 엄지 손가락이 통과되는 손가락 개구부 (425) 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엄지손가락이 나머지 4개의 손가락과 방향이 다르므로, 손의 자유로운 움직임 및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놓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버유닛 (430) 은 카테터 (3) 에 연결되는 튜브 (7) 를 감싸며, 튜브 (7) 가 U자형으로 굴곡되도록, 단부에서 U자형으로 연장되는 튜브지지굴곡부 (440) 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유닛 (430) 은 본체 (420) 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커버유닛 (430) 에서 연장되는 튜브지지굴곡부 (440) 는 내측으로 카테터 (3) 에 연결되는 튜브 (7) 를 삽입하고, 튜브 (7) 를 U자형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유닛 (430) 은 도 4 에서 설명하였던 커버유닛 (430) 과 같이, 본체 (420) 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 (420) 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 (420) 와 커버유닛 (430) 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 각각 벨크로가 배치되어 벨크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420) 에는 덮개부 (422) 의 외측으로 커버유닛 벨크로 (452) 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유닛 (430) 의 내측에 이와 대응되는 벨크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체 (420) 와 커버유닛 (430) 의 결합이 벨크로 결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 (420) 와 커버유닛 (430) 이 착탈 가능하기만 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튜브지지굴곡부가 구비되지 않은 커버유닛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도 11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밴드 (400) 중 커버유닛 (430) 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커버유닛 (430) 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 및 밴드 커버유닛 (430) 에 튜브 (7) 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유닛 (430) 은 도 4에 도시된 커버유닛 (430) 과 비교하여 본체에 일면이 고정되어 있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을 동일하므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도 4 에 도시된 커버유닛 (20) 및 튜브지지굴곡부 (30) 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유닛 (430) 의 일단으로 튜브지지굴곡부 (440) 가 U자형을 이루며 연장된다.
커버유닛 (430) 의 형상은 밴드부 (420) 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든지 무방하다. 커버유닛 (430) 은 밴드부 (420) 를 덮으며, 카테터 (3) 및 카테터 (3) 에 연결되는 튜브 (7) 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으므로, 커버유닛 (430) 이 밴드부 (420) 를 덮을 수 있으면 그 형태에는 구애받지 않는다.
커버유닛 (430) 에는 환자의 심리적 부담감 및 불안함 등을 저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도안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끼리의 형상이 도시될 수도 있고, 그 이외에 호랑이, 사자, 곰, 코끼리, 개, 토끼, 펭귄, 공룡, 하마 등의 여러 동물 모양이 도시될 수도 있다. 이 때, 튜브지지굴곡부 (440) 의 U자형으로 굴곡진 형상에도 도안이 도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지지굴곡부 (440) 가 코끼리의 코 부분일 수도 있고, 호랑이나 사자의 꼬리 부분일 수도 있다.
또한, 커버유닛 (430) 에는 패션의 일부로써 패턴 모양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문자를 남길 수 있도록 적당한 딱딱함을 가진 재질과 잉크가 스며드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튜브지지굴곡부 (440) 는 커버반원 (441) 과 그립곡면 (442) 을 포함한다.
커버반원 (441) 은 튜브지지굴곡부 (440) 의 상부 반원을 이루고 있다. 커버반원 (441) 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외력에 커버반원 (441) 자체가 이동되지 않도록 리지드한 재질로 형성된다. 커버반원 (441) 은 내측에 튜브 (7) 가 삽입되었을 때, 외력으로부터 튜브 (7) 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립곡면 (442) 은 커버반원 (441) 이 이루는 원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그립곡면 (442) 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립곡면 (442) 은 튜브 (7) 가 커버반원 (441) 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튜브 (7) 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a)는 튜브 (7) 가 삽입되기 전의 튜브지지굴곡부 (440) 의 단면이고, (b)는 튜브 (7) 가 삽입되는 중간의 튜브지지굴곡부 (440) 의 단면이고, (c)는 튜브 (7) 가 튜브지지굴곡부 (440) 에 삽입된 후의 단면의 모습을 나타낸다.
먼저 (a)를 살펴보면, 그립곡면 (442) 은 커버반원 (441) 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립곡면 (442) 은 커버반원 (441) 의 원주와 일치하게 연장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반원 (441) 이 이루는 원주보다 약간 내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튜브 (7) 가 튜브지지굴곡부 (440) 로 삽입시 튜브 (7) 를 커버반원 (441) 쪽으로 더 강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b)를 살펴보면, 그립곡면 (442) 들 사이로 튜브 (7) 를 삽입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튜브 (7) 를 그립곡면 (442) 들 사이로 삽입 시 그립곡면 (442) 은 양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그립곡면 (442) 은 튜브 (7) 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또는 복원력)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튜브 (7) 가 어느 정도 삽입되면 그립곡면 (442) 에 의해 튜브 (7) 가 가압되어 튜브 (7) 가 커버반원 (441)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가게 된다.
그 다음 (c)를 살펴보면, 튜브 (7) 가 튜브지지굴곡부 (440) 로 삽입된 모습을 볼 수 있다. (a)와 비교하면, 그립곡면 (442) 이 커버반원 (441) 이 이루는 원주와 같은 원주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그립곡면 (442) 이 튜브 (7) 에 의해 원래의 (a) 위치보다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립곡면 (442) 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밀려난 거리만큼 복원력이 작용하여 튜브 (7) 를 밀게 된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단계들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를 참조하면, 카테터 고정밴드(500)는 본체(510), 벨크로부(520, 530) 및 커버유닛(540)을 포함한다.
본체(510)는 하나의 면으로 된 대략의 사각형 형태로 된 천이나 헝겊일 수 있다. 본체(510)가 환자와 접촉하는 면에는 환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510)는 손가락 삽입부(512), 카테터를 본체(5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카테터 통과부(518)를 포함한다.
손가락 삽입부(512)는 본체(510)가 환자의 손등에 부착되는 경우, 환자의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삽입가능 하게 형성되는 개구부이다. 본체(5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된다. 손가락이 삽입된 후에 본체(510)는 손등 쪽에 배치되는 부분과, 손바닥 쪽으로 접히는 부분으로 나뉜다. 도 14b를 참조하면, 본체(510)의 손가락 삽입부(512)에 손가락이 삽입되고 본체(510)의 상단부가 접혀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카테터 고정밴드(500)가 손등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손가락 삽입부(512)에 손가락이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에는 벨크로부(520, 530)를 이용하여 본체(510)를 환자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는 카테터를 본체(5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손가락 삽입부(512)의 하단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는 제1 고정부(514) 및 제2 고정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514)는 카테터가 본체(510)의 중앙부 측에 고정되고, 카테터가 카테터 통과부(518)를 통과하며 환자에게 삽입될 수 있도록 카테터를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제2 고정부(516)는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가 역시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튜브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카테터 통과부(518)는 고정부의 하단에 본체(510)의 일부가 삭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카테터 통과부(518)는 카테터가 통과하여 환자에 카테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벨크로부는 본체(510)의 상부와 하부의 양단에 배치된다. 벨크로부는 길게 형성되어 환자의 신체를 감쌈으로써 본체(510)를 환자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벨크로부(520, 530)는 손가락 삽입부(512)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벨크로부(520)와, 제1 벨크로부(520)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벨크로부(530)를 포함한다. 제1 벨크로부(5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510)의 상단부가 접히는 경우 고정부를 향해 환자의 신체를 감싸면서 감길 수 있다. 제1 벨크로부(520)는 양면에 벨크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벨크로부(520)가 접히는 경우와 접히지 않는 경우에 환자의 신체를 감아 본체(5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벨크로부(530)는 제1 벨크로부(5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본체(510)의 단부에 배치된다. 제2 벨크로부(530) 또한 길게 형성되어 본체(510)가 환자의 신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510)는 도 8 에 도시된 본체(510)(420)와 같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길게 형성됨으로써 본체(510)와 환자의 신체를 동시에 감을 수 있다. 카테터가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510)를 환자의 신체에 동시에 감음으로써, 카테터가 환자의 신체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커버유닛(540)은 제2 벨크로부(530)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가 고정부에 고정된 후 커버유닛(540)을 뒤짚어 본체(510)에 부착함으로써, 카테터 내의 유체가 흘러 들어가거나 흘러나오는 흐름과 연관되어 일체적인 관념을 형성한다. 커버유닛(540)의 내측면에는 본체(510)와의 탈착을 위해 탈착벨크로(54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510)는 벨크로가 쉽게 탈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유닛(540)의 전체적인 형상은 코끼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커버유닛(540)을 본체(510)에 부착시 카테터와 연계되는 부분은 돌출되어 코끼리의 코부분(542)을 형성할 수 있다. 코부분(542)은 도 11 에 도시된 튜브지지굴곡부와 같이 굴곡을 이룰 수 도 있다. 또한, 코부분(542)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립곡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도 14a 내지 도 14e를 참고하여, 카테터 고정밴드(500)를 착용하는 순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테터 고정밴드(500)가 손등에 착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카테터 고정밴드(500)는 팔이나, 종아리 등에도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체(510)에 손가락 삽입부(512)에 환자의 손가락이 삽입되고, 제1 벨크로부(520)가 손바닥 안쪽을 향해 접힘될 수 있다. 본체(510)는 환자의 손등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다. 카테터 통과부(518)를 통해 환자의 손등이 드러나게 된다.
도 14c를 참조하면, 제2 벨크로부(530)가 환자의 손목을 감싼다. 이를 통해, 본체(510)는 환자의 손등에 밀착된다. 고정부는 카테터가 카테터 통과부(518)를 통해 환자의 손등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카테터를 고정시킨다. 제1 고정부(514)는 카테터가 본체(510)에 고정되도록 카테터를 고정시키며, 제2 고정부(516)는 카테터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튜브가 본체(510)에 기결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고정시킨다.
도 14d를 참조하면, 제1 벨크로부(520)가 제1 고정부(514)를 감싸며 제1 고정부(514)의 외측에 부착된다. 제1 고정부(514)의 외측은 벨크로로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e를 참조하면, 커버유닛(540)이 카테터를 덮으며 본체(510)에 부착된다. 이 때 코부분(542)이 카테터에 연결된 튜브(7)를 살짝 덮게 된다. 따라서, 코부분(542)과 튜브 부분이 일체로 연결된 것과 같이 보이게 된다. 그리고, 마치 코끼리의 코에서 튜브(7)가 빠져나오는 것과 같이 일체적인 관념을 형성하게 된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고정밴드(600)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단계들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를 참조하면, 카테터 고정밴드(600)는 본체(610) 및 커버유닛(630)을 포함한다.
본체(610)는 일면이 접착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610)의 접착면은 환자의 손등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본체(610)는 환자의 살갗에 직접 접착되는 접착면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환자의 손등에 본체(610)가 부착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팔이나 다리, 몸통부위 등 여러 가지 부위에 부착가능하다. 본체(610)에는 카테터 통과부(618)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610)는 고정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20)는 본체(6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정부(620)는 벨크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체(610)의 접착층이 아닌 이면에 부착가능한 재질이면 충분하다. 고정부(620)는 카테터(3)를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부(621) 및 카테터(3)로부터 연장되는 튜브(7)를 고정할 수 있는 제2 고정부(622)를 포함한다.
도 15c를 참조하면, 카테터(3)는 제1 고정부(621)에 의해 본체(610)에 고정되며, 카테터(3)는 카테터 통과부(618)를 통과하여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다. 카테터(3)로부터 연장되는 튜브(7)는 제2 고정부(622)에 의해 본체(610)에 고정된다.
커버유닛(630)은 본체(6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커버유닛(630)은 본체(610)의 고정부(620)가 구비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커버유닛(630)은 본체(610)에 카테터(3)가 고정되고 난 뒤, 본체(610)를 덮을 수 있다. 커버유닛(630)에는 중간에서 출되는 돌출부분(632)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분(632)은 본체(610)를 덮고 난 뒤, 카테터(3) 및 튜브(7)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커버유닛(63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a 내지 15d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유닛(630)의 돌출부분(632)의 내측에는 튜브고정굴곡부가 구비될 수 있다. 튜브고정굴곡부에 의해 튜브(7)의 일부가 돌출부분(632)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유닛(630)이 카테터(3)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유닛(630)은 본체(610)와 결합할 수 있는 벨크로 등의 착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착탈수단은 상술한 여러가지 착탈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유닛(630)의 내측 중앙부측에는 카테터(3)가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부분을 덮을 수 있는 덮음부(634)를 구비할 수 있다. 덮음부(634)는 카테터(3)에 구비되는 바늘을 덮어 카테터(3)가 신체에 삽입되는 부위를 더욱 위생적인 카테터 고정밴드(600)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커버유닛(630)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카테터(3)가 삽입되는 부위에 접착력이 닿지 않게 하여, 커버유닛(630)이 카테터(3)에 부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고통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5a 내지 도 15d를 참조하여, 카테터 고정밴드(600)를 착용하는 순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5a를 참조하면 본체(610)를 환자의 손등에 부착한다. 이 때, 사용자 등은 접착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면지 등을 제거한 후, 본체(610)의 카테터 통과부(618)가 목적하는 부위에 오도록 본체(610)를 환자의 손등에 부착한다. 이 때, 제1 고정부(621) 및 제2 고정부(622)는 본체(610)에 부착되지 않도록 일 방향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카테터(3)는 본체(61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카테터(3)의 단부는 카테터 통과부(618)를 통해, 환자의 손등에 삽입된다. 카테터(3)의 단부에는 삽입된 후에 고정할 수 있는 밴드가 붙을 수 있다. 한편, 카테터(3)에 연결되는 튜브(7)는 카테터(3)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본체(6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부(620)를 이용하여 카테터(3)뿐만 아니라, 튜브(7) 또한 본체(610)의 하부에 배치하여 고정하기 위함이다.
도 15c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621)는 카테터(3)를 감싸며 본체(610)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카테터(3)는 본체(610)에 제1 고정부(621)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제2 고정부(622)는 튜브(7)를 감싸며 본체(610)에 부착된다. 튜브(7)는 제2 고정부(622)에 의해 본체(610)에 고정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테터(3)에 연결된 튜브(7)를 절곡시킨 후에 본체(610)에 고정함으로써, 카테터(3)와 가깝게 배치된 튜브(7)는 U자형으로 절곡되어 본체(610)에 고정될 수 있다. U자형으로 절곡되어 본체(610)에 고정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아도 튜브(7)에 가해지는 외력이 카테터(3)를 통해 환자에게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게 된다.
도 15d를 참조하면, 커버유닛(630)이 본체(610)를 덮도록 배치된다. 커버유닛(630)은 본체(6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본체(610)에 부착된다. 카테터(3)가 환자의 손등에 삽입되며, 카테터(3) 및 튜브(7)가 본체(610)에 고정된 후, 커버유닛(630)이 본체(610)를 덮도록 회전되어 본체(61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유닛(630)의 내측면에는 본체(610)와 착탈가능한 벨크로 등의 착탈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유닛(630)이 본체(610)를 덮음으로써, 커버유닛(630)의 돌출부분(632)의 단부에 튜브(7)가 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유닛(630)의 돌출부분(632)과 튜브(7)가 일체화된 관념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유닛(630)이 코끼리 형상이며, 돌출부분(632)은 코끼리의 코 부분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분(632)의 단부에서 튜브(7)가 연장되는 형상을 이룸으로써, 코끼리의 코에서 유체가 들어가거나 나가는 일체적인 관념을 이룰 수 있다. 커버유닛(630)에 도안화된 동물 등의 모양과 튜브(7)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가 일체적인 관념을 형성함으로써, 환자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카테터 고정밴드(600)는 본체(610)의 일면에 접착면이 형성되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상관없이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환자의 신체의 접착 부위에 상관없이 비교적 쉽게 붙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8)

  1. 신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고, 신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된 카테터 통과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카테터 통과부가 덮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카테터가 상기 커버유닛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카테터 통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카테터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경우에, 상기 카테터 내의 유체의 흐름과 연관되어 일체적인 관념을 형성하게 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유닛은 동물을 연상시키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동물 형상의 입이나 갈퀴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카테터나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감싸 상기 커버유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카테터 고정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신체의 일부가 통과 가능하도록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테터 고정밴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길게 형성되어 신체의 일부를 둘러싼 후, 상기 본체에 다시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카테터 고정밴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적어도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카테터 통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카테터 고정밴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코끼리를 연상시키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코끼리 형상의 코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카테터나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감싸 상기 커버유닛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카테터 고정밴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코끼리 형상의 코 부분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카테터나 상기 튜브를 감싸는 벨크로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밴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감싸며 상기 튜브가 U자형으로 굴곡되도록, 단부에서 U자형으로 연장되는 튜브지지굴곡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밴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지지굴곡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외력 이하에는 이동되지 않도록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반원을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밴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지지굴곡부는,
    상기 커버반원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튜브가 상기 커버반원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를 지지하는 그립곡면을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밴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환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접촉된 부분을 지지하는 부목이 배치되는, 카테터 고정밴드.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카테터 통과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상기 카테터 통과부를 덮으며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에 위치되고, 상기 카테터나 상기 카테터에 연결되는 튜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카테터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밴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고정수단은,
    상기 카테터 통과부의 일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카테터 통과부에서 빠져나오는 상기 튜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튜브를 감싸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밴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고정수단은,
    카테터로부터 연결된 튜브가 굴곡된 후 상기 덮개부에 고정되도록, 일단이 상기 덮개부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밴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 단에는 상기 본체가 환자의 신체를 감싸도록 벨크로부가 배치되고,
    상기 벨크로부는 길게 형성되어 환자의 신체를 감쌈으로써 상기 본체를 환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카테터 고정밴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환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손가락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상단의 본체는 환자의 손가락에 삽입 후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카테터 고정밴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부는,
    상기 손가락 삽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벨크로부, 및
    상기 제1 벨크로부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벨크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크로부는,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일부가 접힌 후, 카테터를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를 감싸도록 접힘되는, 카테터 고정밴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환자의 살갗에 직접 접착되는 접착면을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밴드.
KR1020150151667A 2015-09-30 2015-10-30 카테터 고정밴드 KR101730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35,776 US10441751B2 (en) 2015-09-30 2015-11-09 Catheter fixing band
US16/555,338 US11191926B2 (en) 2015-09-30 2019-08-29 Catheter fixing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7372 2015-09-30
KR1020150137372 201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612A KR20170038612A (ko) 2017-04-07
KR101730973B1 true KR101730973B1 (ko) 2017-04-27

Family

ID=5858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667A KR101730973B1 (ko) 2015-09-30 2015-10-30 카테터 고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658A (ko) 2020-04-08 2021-10-1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Iv 고정용 보완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427B1 (ko) * 2018-02-21 2021-01-06 (의)삼성의료재단 의료용 배관 고정장치
KR102367189B1 (ko) * 2020-02-14 2022-02-23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사 바늘 보호 장치
KR200494393Y1 (ko) * 2021-04-12 2021-10-06 정유태 주사바늘 고정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2848A1 (en) * 2006-01-12 2008-06-05 Wright Clifford A Universal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20130102968A1 (en) * 2011-10-20 2013-04-25 Loris Barbara Cusworth Intravenous catheter secur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2848A1 (en) * 2006-01-12 2008-06-05 Wright Clifford A Universal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20130102968A1 (en) * 2011-10-20 2013-04-25 Loris Barbara Cusworth Intravenous catheter secure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658A (ko) 2020-04-08 2021-10-1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Iv 고정용 보완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612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1926B2 (en) Catheter fixing band
KR101730973B1 (ko) 카테터 고정밴드
JP6989642B2 (ja) チューブ固定システム
US11207201B2 (en) Thumb orthosis
US4632105A (en) Hand and wrist wrap including a thumb loop
US11376147B2 (en) Hand suppor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00502584A (ja) 単一体の整形外科用矯正器
JPS61217161A (ja) 固着包帯
JP4705686B2 (ja) 医療チューブ固定ベルト
US9387109B2 (en) Carpal tunnel brace
US20130204190A1 (en) Intravenous splint cover and associated methods
KR102286668B1 (ko) 환자용 보호대
US6120471A (en) Dorsal resting hand orthosis
EP3679819B1 (en) Wrist protecting band
US7914476B2 (en) Pediatric digital wrap
JP5210750B2 (ja) 手関節固定具
JP2010110628A (ja) 上顆炎締め具
US20020002348A1 (en) Low profile metacarpal fracture brace
KR102100216B1 (ko) 동맥천자용 손목 고정장치
US20020148474A1 (en) Medical arm restraining device
KR20170003777U (ko) 카테터 고정밴드
JP6993553B2 (ja) 関節用装具
KR200199983Y1 (ko) 튜브형 붕대 체착 안내구
CN221045051U (zh) 一种桡动脉置管期间的护理装置
JP3233530U (ja) 関節固定ギプス付き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