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668B1 - 환자용 보호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668B1
KR102286668B1 KR1020190087060A KR20190087060A KR102286668B1 KR 102286668 B1 KR102286668 B1 KR 102286668B1 KR 1020190087060 A KR1020190087060 A KR 1020190087060A KR 20190087060 A KR20190087060 A KR 20190087060A KR 102286668 B1 KR102286668 B1 KR 10228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wrist
protector
suppo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905A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리파운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리파운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리파운더스
Priority to KR102019008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9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 A61F5/3776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by means of a blanket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1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obj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된 손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환자의 손목에 결속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용 보호대{PROTECTOR FOR PATIENT}
아래의 실시예는 환자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중환자나 치료 중인 환자의 경우, 환자 및 보호자의 안전을 위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링거액 공급을 위한 링거줄, 소변배출을 위한 소변줄 등이 몸에 부착되는 중환자의 경우, 환자가 몸을 뒤척이면서 이러한 호스들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식이 없는 환자 또는 치료 중인 환자에 있어서도,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신체에 연결된 호스들을 뽑거나, 자기 방어본능에 따라 손을 휘둘러 타인에게 위협을 가하는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에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하여, 병원에서는 환자의 신체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보호대를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보호대의 구속 강도가 너무 강하다면, 환자가 정서적 불안을 느낄 수 있고, 환자에게 혈액순환장애, 근육경련, 피부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보호대의 구속 강도가 너무 약하다면, 보호대의 구속이 쉽게 풀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신체를 충분히 구속하면서도,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자용 보호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중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510398호는 환자용 보호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환자 및 보호자의 안전을 위하여 중환자 또는 치료 중인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환자용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안전하게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환자용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환자의 신체를 충분히 구속하면서도,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환자용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된 손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환자의 손목에 결속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부; 및 상기 환자의 손등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환자의 손가락이 각각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손가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환자의 손목을 감싸는 손목보호부; 및 상기 환자의 손이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손목보호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상기 환자의 손목에 밀착시켜주는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목보호부는 상기 손목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서로 체결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는 띠 형태로서, 상기 환자의 손목을 최소 1회 회전해서 감을 수 있는 길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목보호부의 외면을 따라 손목을 감을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손목보호부와 체결될 수 있는 덮개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이 개봉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에 형성되는 개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띠; 상기 고정띠의 일측에 고정되는 암결합부재; 및 상기 고정띠의 타측에 상기 고정띠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암결합부재와 서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수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완충재에 지지판이 삽입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를 외부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는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삽입된 손바닥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을 감싸주는 서로 체결 가능한 한 쌍의 손목보호부와, 상기 한 쌍의 손목보호부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손목보호부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손목보호부 간의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손목보호부의 외면을 따라 상기 환자의 손목을 최소 1회 회전하며 상기 환자의 손목을 감싸주는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환자의 손가락이 각각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간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지지부에 봉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띠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측이 상기 몸체부에 봉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환자의 신체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켜,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이중 체결을 통해 환자의 신체 부위가 환자용 보호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환자의 손목을 외부구조물에 고정시켜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되, 환자가 보호대 내부에서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는 통풍이 됨으로써, 환자가 보호대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가 착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가 환자의 손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과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환자의 신체 움직임을 억제 및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구조물(B)에 고정될 수 있다.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신체, 예를 들어, 환자의 손에 착용될 수 있다.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정해진 공간, 예를 들어, 환자용 침상 내로 제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용 침상과 같은 외부구조물(B)에 고정되어, 환자의 신체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저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1)는, 몸체부(10), 결속부(11) 및 고정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환자의 손을 감쌀 수 있다. 몸체부(10)에는 환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104)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삽입공간(104)에 삽입된 환자의 손을 감싸고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환자의 손이 몸체부(10)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환자용 보호대(1)를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부(10)는 지지부(101), 손목지지부(102) 및 덮개부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1)는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부(101)는 삽입공간(104)에 삽입된 환자의 손바닥에 접촉될 수 있다. 지지부(101)는 환자의 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환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101)는 지지부재(1011) 및 지지판(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011)에는 환자의 손바닥이 편안한 자세로 올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011)는 환자의 손바닥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부재(1011)는 환자의 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환자의 손바닥을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11)는 환자의 손의 움직임에 순응하여 형태의 일부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011)는 외력에 의해 압축 가능하도록 유연하고 부드러운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환자가 손을 움켜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지지부재(1011)는 환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형태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공간(104) 내에서의 환자의 손 움직임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지지부재(1011)는 내부에 구비되는 완충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재는 지지부재(1011)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환자의 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지지판(1012)은 지지부재(10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지부재(1011)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1012)은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1012)은 지지부재(1011)의 형상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부재(1011)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지지판(1012)은 지지부재(1011)의 내측 저면에 배치되어, 지지부재(1011)의 바닥면의 형상을 평탄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지지부재(1011)가 구조물, 예를 들어, 침대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다.
손목지지부(102)는 환자의 손목을 지지할 수 있다. 손목지지부(102)는 삽입공간(104)에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손목 부위에 위치하도록, 지지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목지지부(102)는 손바닥으로부터 손목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지지부(10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손목지지부(102)는 지지부(101)가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환자의 손목을 지지할 수 있다. 손목지지부(102)에는 환자의 손목이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에 완충재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재(103)는 환자의 손등을 감쌀 수 있다. 덮개부재(103)는 지지부(101)가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환자의 손등을 감싸도록 지지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부(101) 및 덮개부재(103)를 통해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공간(104)에 환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도록, 덮개부재(103)의 외측 일부가 지지부(101)에 봉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덮개부재(103)는 삽입공간(104)의 입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폐쇄되도록, 지지부(101)에 봉제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103)는 환자의 손가락이 각각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손가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손가락이 각각 분리된 공간에 삽입되도록, 덮개부재(103) 및 지지부(101)는 손가락 봉제라인(103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손가락 봉제라인(1032)은 덮개부재(103) 및 지지부(101)가 서로 봉제되는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손가락 봉제라인(1032)은 삽입공간(104) 내부에 복수 개의 손가락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손가락 봉제라인(1032)이 형성됨으로써, 삽입공간(104) 내부에는 환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 봉제라인(103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 봉제라인(1032)은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환자의 손가락 사이 각각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손가락 봉제라인(1032)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는 환자의 왼손 및 오른손에 관계없이, 환자의 손을 삽입공간(104)에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몸체부(10)에 삽입된 환자의 손가락 각각이 분리되어 별개의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손가락끼리 서로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환자의 손의 위생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복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몸체부(10)를 잡아뜯거나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손가락 봉제라인(1032)은 엄지 손가락과 나머지 4개의 손가락만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환자가 느끼는 자유도가 상승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모두 도시되지 않았지만, 손가락 봉제라인은 다양한 위치에 단수 혹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103)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재(103)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재(103)를 통해 공기가 용이하게 통풍될 수 있기 때문에, 삽입공간(104)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환자용 보호대(1)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도, 환자의 손에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거나 발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속부(11)는 몸체부(10)에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10)를 환자의 손목에 결속시킬 수 있다. 결속부(11)는 몸체부(10)에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환자의 손목 부위에 위치하도록 몸체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결속부(11)는 손목보호부(111) 및 결속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손목보호부(111)는 환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다. 손목보호부(111)는 손목지지부(102)가 환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환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손목지지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목보호부(111)는 손목지지부(10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손목보호부(111)는 환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손목보호부(111) 각각에는 서로 탈착 가능한 암수 벨크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손목보호부(111)는 탄성 재질의 밴드로 구비되어, 환자의 손목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환자의 손목을 감쌀 수도 있다. 또한, 손목보호부(111)는 환자의 손목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내측에 완충재가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손목보호부(111)는 손목지지부(102)와 함께 환자의 손목을 감싸 지지함으로써, 환자의 손목에 몸체부(10)를 고정시키고, 환자의 손이 삽입공간(10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목보호부(111)에는 덮개부재(103)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공간(104)의 입구 방향을 향하는 덮개부재(103)의 일측에는, 손목보호부(111)와 체결될 수 있는 덮개체결부재(10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손목보호부(111) 및 덮개체결부재(1031) 각각에는 서로 탈착 가능한 암수 벨크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손목보호부(111)가 환자의 손목을 감싸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카테터 등의 연결을 위하여 환자의 손등이 노출되거나 덮여지도록 덮개부재(103)를 손목보호부(111)에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결속부재(112)는 환자의 손목에 손목보호부(111)를 결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부재(112)는 손목보호부(111)에 의해 환자의 손목이 조여지도록, 손목보호부(111)의 적어도 일 부분을 환자의 손목에 밀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결속부재(112)는 삽입공간(104)으로부터 환자의 손이 이탈되지 않도록, 환자의 손목에 손목보호부(111)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결속부재(112)는 손목보호부(111)에 연결될 수 있다. 결속부재(112)는 손목보호부(111)가 환자의 손목을 감싸는 상태에서, 손목보호부(111)의 외면을 따라 환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다. 결속부재(112)는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결속띠(1121) 및 결속띠(1121)가 통과되는 결속고리(1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띠(1121)는 한 쌍의 손목보호부(111)간의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손목보호부(111)의 외면을 따라 환자의 손목을 감싸면서 환자의 손목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속띠(1121)는 환자의 손목을 최소 1회 회전하여 감을 수 있는 길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환자의 손목을 최소 1회 감을 수 있다. 결속띠(1121)가 손목보호부(111)를 감싸는 상태는 결속띠(1121) 및 결속고리(1122)의 체결을 통해 유지될 수 있다.
고정부(12)는 몸체부(10)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2)는 몸체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2)는 손목지지부(102)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12)는 외부구조물에 결속 가능하도록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12)의 중앙측은 몸체부(10)에 봉제될 수 있다. 고정부(12)는 몸체부(10)에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침대와 같은 외부구조물에 묶임으로써, 외부구조물에 대한 몸체부(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가 착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1)는 환자의 손의 삽입공간(104) 내부에서의 움직임을 보장하면서도, 환자의 손이 삽입공간(10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환자용 보호대(1)가 환자의 손에 착용되는 방식을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과 같이, 환자의 손(P1)은 몸체부(10)에 형성된 삽입공간(104)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공간(104)은 환자의 손가락이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01)는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고, 손목지지부(102)는 환자의 손목(P2)을 지지할 수 있다.
이후, 도 8과 같이, 한 쌍의 손목보호부(111)는 환자의 손목(P2)을 감쌀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손목보호부(111) 각각을 제1손목보호부(111a) 및 제2손목보호부(111b)라 지칭하도록 한다. 제1손목보호부(111a)가 환자의 손목(P2)을 덮으면, 제2손목보호부(111b)는 제1손목보호부(111a) 위에 겹쳐지도록 제1손목보호부(111a)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손목보호부(111a) 및 제2손목보호부(111b)는 서로 겹쳐지는 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암수 벨크로를 통해 서로 체결됨으로써, 환자의 손목(P2)을 감쌀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한 쌍의 손목보호부(111)를 통해 몸체부(10)가 환자의 손에 1차적으로 고정되어, 환자의 손(P1)이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목보호부(111)가 환자의 손을 감싸는 상태에서, 덮개부재(103)는 덮개체결부재(1031)에 의해 손목보호부(111)와 체결될 수 있다. 덮개체결부재(1031)가 구비된 덮개부재(103)의 하단은 지지부(101)에 봉제되지 않은 부분으로써, 환자의 손등이 드러나도록 뒤로 젖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덮개부재(103)가 손목보호부(111)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덮개부재(103)를 뒤로 젖힘으로써 환자의 손등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0)가 환자의 손목(P2)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손등에 의료용 장치, 예를 들어, 카테터(catheter)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반면, 덮개부재(103)가 손목보호부(111)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덮개부재(103)가 환자의 손등을 덮음으로써, 환자의 손목이 위로 젖혀지는 경우에도 환자의 손(P1)이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한 쌍의 손목보호부(111a, 111b) 및 덮개체결부재(1031)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결속부재(112)는 손목보호부(111) 및 덮개체결부재(1031)의 외면을 감싸면서, 손목보호부(111) 및 덮개체결부재(1031)를 환자의 손목(P2)에 밀착시킬 수 있다. 결속부재(112)는 결속띠(1121) 및 결속고리(1122)의 체결을 통해 환자의 손목을 감싸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띠(1121) 및 결속고리(1122)는 제2손목보호부(111b) 및 제1손목보호부(111a)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결속띠(1121)는 일면에 암벨크로가 구비되고, 타면에 수벨크로가 구비될 수 있다. 결속띠(1121)는 결속고리(1122)를 통과하여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뒤, 손목보호부(111)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 이후, 결속띠(1121)의 타면에 구비된 수벨크로를 결속띠(1121)의 일면에 구비된 암벨크로에 체결시킴으로써 결속띠(1121)가 손목보호부(111)를 감싸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결속띠(1121)를 통해 환자의 손목(P2)이 조여지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손목보호부(111)가 환자의 손목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결속부재(112)는 환자의 손목(P2)에 대한 손목보호부(111)의 체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고, 환자의 손목(P2)을 조여줌으로써, 환자의 손(P1)이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환자용 보호대(1)는 손목보호부(111) 및 결속부재(112)를 통해, 환자의 손(P1)을 몸체부(10)에 대하여 이중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가 환자의 손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속부재(112)는 환자의 손(P1)이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손바닥의 굵기는 손목의 굵기보다 굵기 때문에, 결속부재(112)가 환자의 손목(P2) 굵기에 상응하도록 감싸지게 되면, 환자의 손목(P2)은 결속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과할 수 있지만 환자의 손바닥은 결속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과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환자의 손이 몸체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의 손바닥은 결속부재(112)에 걸리기 때문에, 환자의 손이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결속부재(112)가 환자의 손목을 강하게 조이지 않아도, 몸체부(10)에 대한 환자의 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손목이 조여짐에 따라 환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저감하면서도, 몸체부(10)에 대한 환자의 손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용 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환자용 보호대(2)는, 몸체부(20), 결속부(21), 고정부(12) 및 개봉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되는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결속부재(212)는 환자의 손목에 손목보호부(211)를 결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부재(212)는 손목보호부(211)에 의해 환자의 손목이 조여지도록, 손목보호부(211)의 적어도 일 부분을 환자의 손목에 밀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결속부재(212)는 삽입공간(204)으로부터 환자의 손이 이탈되지 않도록, 환자의 손목에 손목보호부(211)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결속부재(212)는 손목보호부(211)에 연결될 수 있다. 결속부재(212)는 손목보호부(211)가 환자의 손목을 감싸는 상태에서, 손목보호부(211)를 조일 수 있다. 결속부재(212)는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결속띠(2121) 및 결속띠(2121)가 통과되는 결속고리(2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고리(2122)는 결속띠(212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한 쌍의 손목보호부(211a, 211b) 및 덮개체결부재(2031)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결속띠(2121)의 타측은 손목보호부(211) 및 덮개체결부재(2031)의 외면을 덮으면서 결속고리(2122)의 일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결속고리(2122)의 일 구멍을 통과한 결속띠(2121)는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결속고리(2122)의 타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결속고리(2122)의 타 구멍을 통과한 결속띠(2121)를 당김으로써, 손목보호부(211) 및 덮개체결부재(2031)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22)는 몸체부(20)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22)는 몸체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2)는 손목지지부(202)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22)는 고정띠(221), 암결합부재(222a) 및 수결합부재(222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띠(221)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결합부재(222a) 및 수결합부재(222b)는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결합부재(222a) 및 수결합부재(222b)는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암결합부재(222a) 및 수결합부재(222b)는 고정띠(22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결합부재(222a)는 고정띠(221)의 일측에 고정되고, 수결합부재(222b)는 고정띠(221)의 타측에 고정띠(22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한 쌍의 손목보호부(211a, 211b) 및 덮개체결부재(2031)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암결합부재(222a) 및 수결합부재(222b)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띠(221)의 타측을 당김으로써, 고정띠(221)가 손목보호부(211a, 211b) 및 덮개체결부재(2031)를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띠(221)의 타측을 외부구조물에 묶음으로써, 외부구조물에 대한 몸체부(2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부(22)는 환자의 손목 부위가 몸체부(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손목 부위를 조임과 동시에, 외부구조물에 고정됨으로써 몸체부(2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개봉부(23)는 삽입공간(204)을 개봉시킬 수 있다. 개봉부(23)는 덮개부재(203)가 개봉되도록, 덮개부재(203)에 형성될 수 있다. 개봉부(23)는 덮개부재(203)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봉부(23)는 지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봉부(23)는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봉부(23)를 개봉하면, 환자는 개봉된 개봉부(23)를 통해 손을 삽입공간(204)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용 보호대(2)를 통해 환자의 손목 부분을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키면서도, 개봉부(23)를 개봉하여 환자가 손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개봉부(23)를 개봉하여 환자가 손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유도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개봉부(23)가 형성되는 경우, 손가락 봉제라인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개봉부(23)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손가락 봉제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환자용 보호대
10: 몸체부
11: 결속부
12: 고정부
P1: 환자의 손
P2: 환자의 손목

Claims (15)

  1.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된 손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환자의 손목에 결속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환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연장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부; 및
    상기 환자의 손등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손목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을 1차적으로 감싸도록 서로 체결 가능한 손목보호부; 및
    상기 환자의 손이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손목보호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상기 환자의 손목에 2차적으로 밀착시켜주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손목보호부와 체결될 수 있는 덮개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보호부 및 덮개체결부재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손목보호부 및 덮개체결부재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손목보호부 및 덮개체결부재를 상기 환자의 손목에 밀착시키는 환자용 보호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환자의 손가락이 각각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손가락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환자용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띠 형태로서, 상기 환자의 손목을 최소 1회 회전해서 감을 수 있는 길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목보호부의 외면을 따라 손목을 감을 수 있는 환자용 보호대.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되는 환자용 보호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이 개봉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에 형성되는 개봉부를 더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띠;
    상기 고정띠의 일측에 고정되는 암결합부재; 및
    상기 고정띠의 타측에 상기 고정띠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암결합부재와 서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수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12. 완충재에 지지판이 삽입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를 외부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는 환자의 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환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삽입된 손바닥에 접촉되고,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의 손목을 1차적으로 감싸주는 서로 체결 가능한 한 쌍의 손목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손목보호부와 체결될 수 있는 덮개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손목보호부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손목보호부가 서로 체결되고 상기 손목보호부 및 덮개체결부재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손목보호부 간의 체결 및 상기 손목보호부와 덮개체결부재 간의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손목보호부 및 덮개체결부재의 외면을 따라 상기 환자의 손목을 최소 1회 회전하며 상기 환자의 손목을 2차적으로 감싸주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환자용 보호대.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환자의 손가락이 각각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간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지지부에 봉제되는 환자용 보호대.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띠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측이 상기 몸체부에 봉제되는 환자용 보호대.
KR1020190087060A 2019-07-18 2019-07-18 환자용 보호대 KR102286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060A KR102286668B1 (ko) 2019-07-18 2019-07-18 환자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060A KR102286668B1 (ko) 2019-07-18 2019-07-18 환자용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905A KR20210009905A (ko) 2021-01-27
KR102286668B1 true KR102286668B1 (ko) 2021-08-09

Family

ID=7423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060A KR102286668B1 (ko) 2019-07-18 2019-07-18 환자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972A (ko) 2022-10-20 2024-04-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상환자용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77A (ko) 2021-08-24 2023-03-03 나윤채 환자용 팔관절 움직임 제한장치
CN113952104B (zh) * 2021-11-17 2024-05-10 吉林大学中日联谊医院 一种医疗重症医学临床用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829A (ja) 1999-10-01 2001-04-10 Kyoko Murakami 保護手袋
CN201505202U (zh) 2009-09-22 2010-06-16 陈仁英 一种手部保护性约束护理用具
CN201510398U (zh) * 2009-10-22 2010-06-23 谭丽萍 防意外拔管约束手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05Y1 (ko) * 2013-06-20 2015-03-05 김성래 손목 움직임 억제대
KR20190068671A (ko) * 2017-12-08 2019-06-19 이승협 의료보조용 손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829A (ja) 1999-10-01 2001-04-10 Kyoko Murakami 保護手袋
CN201505202U (zh) 2009-09-22 2010-06-16 陈仁英 一种手部保护性约束护理用具
CN201510398U (zh) * 2009-10-22 2010-06-23 谭丽萍 防意外拔管约束手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972A (ko) 2022-10-20 2024-04-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상환자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905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668B1 (ko) 환자용 보호대
US6013044A (en) Hand and wrist stabilization device
CA2667760C (en) Compression wrap
US9775737B2 (en) Finger trigger splint for joint immobilization and flexion inhibition
US6093165A (en) Hand and wrist stabilization device
US4111194A (en) Posterior knee immobilizing brace
US8100847B2 (en) Protective skin cover
US10398585B2 (en) Shoulder and arm restraint
CA1241574A (en) Hand-arm restraint mitt
US8214951B1 (en) Soft Surgical arm support
US6283126B1 (en) Hand shield
US8215313B1 (en) Medical garment systems
KR102355286B1 (ko) 환자용 보호대
US20020062095A1 (en) Universal sized carpal tunnel device
US7179241B2 (en) Protective sling
US6802318B1 (en) Toe guard
KR101631706B1 (ko) 환자안전장갑
US20090234296A1 (en) Protective device for an intravenous catheter or other peripheral body penetrating object
JP6829966B2 (ja) 介護用ミトン
CN209827171U (zh) 一种踝腕关节防护约束带
JPH08131468A (ja) 抑制手袋
JP2021007518A (ja) 手指関節装具用固定材及び手指関節装具
CN215020039U (zh) 一种可拼接的手部固定装置
JP7229528B2 (ja) 拘束用手袋
US20110125099A1 (en) Protective Device for An Intravenous Catheter or Other Peripheral Body Penetrating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