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751B1 -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751B1
KR102439751B1 KR1020220056151A KR20220056151A KR102439751B1 KR 102439751 B1 KR102439751 B1 KR 102439751B1 KR 1020220056151 A KR1020220056151 A KR 1020220056151A KR 20220056151 A KR20220056151 A KR 20220056151A KR 102439751 B1 KR102439751 B1 KR 102439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camera body
imaging system
projection system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어옵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어옵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어옵틱
Priority to KR102022005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751B1/ko
Priority to US18/122,685 priority patent/US1191421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72Optical arrangements with means for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5Constructional details for picking-up images in sites, inaccessible due to their dimensions or hazardous conditions, e.g. endoscopes or borescopes
    • H04N5/2252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Telescop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doscop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계 및 광학계가 결합된 일체형 광학엔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은 외부로 빛을 투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투사계와, 외부의 빛이 입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결상계와, 투사계 및 결상계가 각각 결합하는 카메라바디를 포함하고, 카메라바디는 그 내부에 상기 투사계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과, 상기 결상계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제1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기 투사계는 상기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기 결상계는 상기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체형 광학엔진{INTEGRATED OPTICAL ENGINE HAVING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체형 광학엔진에 관한 것이다.
광학 프로젝터는 소형의 영상을 광학 렌즈를 이용해서 대화면으로 구현하기 위한 장치이고, 광학 프로젝터에서 영상을 투사하는 기구를 광학엔진(optical engine)이라고 한다. 광학엔진은 내부에 엘이디(LED)와 같은 광원과, 광원에서 나온 빛을 굴절 및 반사시키기 위한 렌즈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광학엔진에 카메라(이미지 센서)를 장착해서 이를 삼차원 스캐너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광학엔진에 카메라를 장착해서 삼차원 스캐너에 해당하는 구강 스캐너로 활용하고 있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337757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구강스캐너는 케이스의 내부에 메인 마운팅을 구비하고, 메인 마운팅에는 광원에 해당하는 광 프로젝터와, 스캔 대상이 되는 외부 물체에서 반사한 빛이 통과하는 카메라렌즈가 각각 결합된다. 카메라렌즈를 통과한 빛은 메인 마운팅에 결합된 이미징보드에 입사된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구강스캐너는 메인 마운팅에 카메라렌즈 및 광 프로젝터가 각각 결합되는데, 상당히 높은 결합 정밀도가 요구된다. 특히, 카메라렌즈 및 광 프로젝터는 메인 마운팅에 결합된 후 정밀 위치 조정 즉 얼라인먼트(alignment)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종래의 구강스캐너는 카메라렌즈와 광 프로젝터를 메인 마운팅의 외부에 각각 별개로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카메라렌즈는 메인 마운팅의 전방에 결합되고 광 프로젝터는 카메라렌즈와는 별개로 메인 마운팅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구강스캐너는 카메라렌즈와 광 프로젝터의 얼라인먼트가 매우 까다롭고, 결합 이후에도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투사계 및 결상계의 결합 및 얼라인먼트가 용이한 일체형 광학엔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은, 외부로 빛을 투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투사계와, 외부의 빛이 입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결상계와, 투사계 및 결상계가 각각 결합하는 카메라바디를 포함하고, 카메라바디는 그 내부에 투사계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과, 결상계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제1 삽입홈의 내부에서 투사계는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제2 삽입홈의 내부에서 결상계는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삽입홈에 삽입된 투사계와, 제2 삽입홈에 삽입된 결상계는 카메라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결상계에 입사한 빛이 반사되는 미러와, 미러에서 반사된 빛이 입사되는 센서보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바디는 센서보드가 결합되는 센서결합면을 구비하고, 센서결합면에는 미러에서 반사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바디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바디는 미러가 결합되는 미러결합면을 구비하고, 미러결합면의 단부에는 충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바디는 미러가 위치하는 미러결합공간을 구비하고, 미러결합공간은 일 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삽입홈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슬롯을 구비하고, 제2 삽입홈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슬롯을 구비하며, 제1 슬롯 및 제2 슬롯에는 각각 고정부재가 결합되어서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한 결상계 및 투사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투사계 및 결상계의 측면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홈은 투사계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제2 삽입홈은 결상계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투사계 및 결상계의 결합 및 얼라인먼트가 용이한 일체형 광학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일체형 광학엔진의 단면도로서, 내부에 투사계 및 결상계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 투사계 및 결상계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일체형 광학엔진의 단면 사시도로서, 내부에 투사계 및 결상계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의 카메라바디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투사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결상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10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일체형 광학엔진(10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광학엔진(100)의 내부에 투사계(170) 및 결상계(18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4 및 도 5는 투사계(170) 및 결상계(180)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100)은 구강 스캐너(도시하지 않음) 등의 케이스 내부에 결합되어 스캐닝을 위한 빛을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수광해서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일체형 광학엔진(100)의 내부에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도시하지 않음) 및 투사계(170) 그리고 카메라에 해당하는 센서보드(140) 및 결상계(18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일체형 광학엔진(100)은 프로브팁 마운트(110), 카메라바디(120), 베이스(150) 및 히트싱크(160)를 포함한다.
프로브팁 마운트(110)는 카메라바디(120)의 전방에 결합볼트(114)에 의해서 결합되고, 그 전방에는 프로브(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프로브팁 마운트(110)는 광경로에 해당하는 팁개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팁개구(112)를 통해서 광원의 빛이 외부로 투사되고, 외부의 빛이 내부로 입사된다. 프로브팁 마운트(110)는 방열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프로브팁 마운트(110)와 카메라바디(120)의 결합 부분에는 편광필터(116)가 구비될 수 있다. 편광필터(116)는 카메라바디(120) 내부의 광 경로(화살표 표시)와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프로브팁 마운트(110)의 후방에는 안착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117)에는 편광필터(116)의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100)은 안착홈(117)과 같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편광필터(116)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투사계(170)를 통과한 출사광과 결상계(180)를 통과한 입사광은 각각 하나의 편광필터(116)를 통과할 수 있다. 편광필터(116)는 투사계(170) 및 결상계(180)의 전면(前面)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바디(120)는 프로브팁 마운트(110)와 베이스(150)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투사계(170) 및 결상계(180)가 결합된다. 그리고 카메라바디(120)의 측면에는 카메라에 해당하는 센서보드(140)가 결합되고, 카메라바디(120)의 내부에서 결상계(180)의 후방에는 미러(144)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100)은 그 내부에 투사계(170), 결상계(180), 미러(144)를 결합할 수 있는 카메라바디(120)를 구비하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카메라바디(120)는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으며 내열성이 강한 재질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카메라바디(120)의 재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으며, 카메라바디(120)는 금속 등 다른 재질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카메라바디(120)의 후방에는 베이스(150)가 결합된다. 베이스(150)의 내부에는 광원(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될 수 있다. 광원에서 나온 빛은 카메라바디(120)의 제1 관통홀(125)을 통해서 투사계(170)로 입사된 후 외부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150)와 카메라바디(120)의 제1 삽입홈(122)은 연통되어 있다.
베이스(150)의 내부에 고온의 광원이 결합되므로, 베이스(150)는 높은 방열성을 갖는 재질(금속 등)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50)는 그 전방에 결합하는 카메라바디(120)와 후방에 결합하는 히트싱크(160)와 볼트(도면부호 없음) 등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150)의 후방에는 히트싱크(160)가 결합될 수 있다. 히트싱크(160)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쉽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열 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100)의 카메라바디(12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투사계(17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결상계(18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카메라바디(12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그 내부공간에는 제1 삽입홈(122) 및 제2 삽입홈(1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홈(122) 및 제2 삽입홈(126)에 삽입된 투사계(170) 및 결상계(180)는 카메라바디(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삽입홈(122)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홈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제1 삽입홈(122)은 제2 삽입홈(126)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홈(122)의 직경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투사계(170)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투사계(170)는 제1 삽입홈(122)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홈(122)의 후방에는 제1 관통홀(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관통홀(125)을 통해서 제1 삽입홈(122)과 베이스(150)가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베이스(150)에 위치하는 광원(도시하지 않음)에서 나온 빛은 제1 관통홀(125)을 통과한 후 투사계(170)에 입사한다.
제1 삽입홈(122)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슬롯(1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카메라바디(120)의 길이 방향 즉, 도 3에 도시된 광의 진행 방향(화살표시)을 의미한다. 제1 슬롯(124)은 카메라바디(120)의 일 측면을 관통 형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고정부재(136)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재(136)는 스크류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슬롯(124)에 대응해서, 투사계(170)의 측면에는 고정홈(17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72)에는 고정부재(136)가 나사 결합하거나 또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제1 삽입홈(122)의 길이 방향으로 투사계(170)를 이동시켜서 위치 설정한 후 고정부재(136)를 제1 슬롯(124)을 통과한 후 고정홈(172)에 결합함으로써, 투사계(17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고정부재(136)가 스크류에 해당하는 경우, 이에 대응해서 고정홈(172)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투사계(170)의 외주면에서 고정홈(172)은 양 측에 두 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홈(126)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홈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제2 삽입홈(126)은 제1 삽입홈(122)에 비해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삽입홈(122)과 제2 삽입홈(126)의 선단부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제2 삽입홈(126)의 직경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결상계(180)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결상계(180)는 제2 삽입홈(126)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삽입홈(126)의 후방에는 제2 관통홀(1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관통홀(129)을 통해서 제2 삽입홈(126)과 미러결합공간(131)이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결상계(180에 입사된 빛은 제2 관통홀(129)을 통과한 후 미러(144)에 반사되어 이미지보드(140)의 센서(도면부호 없음)로 입사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홈(122) 및 제2 삽입홈(126)은 연결홀(118)에 의해서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연결홀(118)은 제1 삽입홈(112)의 하부 그리고 제2 삽입홈(126)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홀에 해당한다. 연결홀(118)에 의해서 제2 삽입홈(126)에 삽입된 결상계(180)의 일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결상계(180)가 용이하게 열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바디(120)의 전방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결합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38)의 둘레는 카메라바디(120)의 외체에 해당하고 그 전방은 개방되어 있으며 후방은 각각 제1 삽입홈(122) 및 제2 삽입홈(126)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138)의 단면 형상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타원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38)에는 결상계(18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바디(120)의 내부에서 제2 삽입홈(126)의 후방에는 미러결합공간(131)이 구비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미러결합공간(131)은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는 미러(144)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미러결합공간(131)의 내부에 형성된 미러결합면(130)은 길이 방향에 대해 45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미러(144)가 접착제 등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미러결합면(13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충진홈(133)에 형성되어 있는데, 충진홈(133)은 카메라바디(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충진홈(133)에는 미러(144)를 미러결합면(130)에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 등이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러(144)를 미러결합면(130)에 결합하기 위해서 별도의 충진홈(133)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면서도 미러(144)를 용이하게 고정 및 위치 설정할 수 있다.
미러결합공간(131)의 일 측면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사용자는 이 개방된 측면을 이용해서 미러결합공간(131)에 미러(144)를 용이하게 삽입 및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을 갖는 측면커버(146)를 이용해서 미러결합공간(131)의 개방된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미러결합공간(131)은 제2 관통홀(129)에 의해서 제2 삽입홈(126)과 연통되고, 바디개구(132)에 의해서 카메라바디(120)의 외부와 연통된다. 제2 삽입홈(126)에 삽입된 결상계(180)를 통과한 빛은 미러결합공간(131)의 내부에 구비된 미러(144)에 의해 90도로 반사되어 센서보드(140)에 구비된 센서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바디(120)는 센서보드(140)가 결합될 수 있는 편평한 센서결합면(134)을 구비한다. 센서결합면(134)에는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센서보드(14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결합면(134)에는 바디개구(132)가 형성되어 있는데, 바디개구(132)를 통해서 미러결합공간(131)에 유입된 빛이 센서로 입사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투사계(17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고 다수 개의 렌즈(도면부호 없음) 및 홀더(도면부호 없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100)은 투사계(170)를 제1 삽입홈(122)에 간단히 삽입만 하면 되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투사계(170)는 카메라바디(12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 위치가 중요한데,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100)은 제1 슬롯(124) 및 고정홈(172)을 이용해서 투사계(17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고정부재(136)를 이용해서 설정된 위치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9를 참고하면, 결상계(18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고 다수 개의 렌즈 및 홀더(도면부호 없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100)은 결상계(180)를 제2 삽입홈(126)에 간단히 삽입만 하면 되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결상계(180)도 카메라바디(12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 위치가 중요한데,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엔진(100)은 제2 슬롯(128) 및 고정홈(182)을 이용해서 결상계(18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고정부재(136)를 이용해서 설정된 위치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결상계(180)의 외주면에서 고정홈(182)은 하나가 형성되거나 또는 두 개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36)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 고정홈(182)의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사계(170)의 고정홈(172)에 고정부재(136)를 결합한 후 제1 슬롯(124)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투사계(170)의 길이 방향 위치를 카메라바디(120)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결상계(180)에 고정부재(136)를 결합한 후 제2 슬롯(128)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결상계(180)의 길이 방향 위치를 카메라바디(120)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투사계(170) 및 결상계(180)의 위치 설정을 완료한 후 투사계(170)와 결상계(180)에 각각 결합된 고정부재(136)를 회전시켜서 그 헤드가 카메라바디(120)를 가압하게 함으로써 투사계(170)와 결상계(180)의 설정된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엔진(100)은 구강 스캐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언급했지만, 본 발명은 그 사용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엔진(100)은 혈관 스캐너, 안면 스캐너 또는 검사용(예를 들면 PCB 기판 검사용) 스캐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일체형 광학엔진 110: 프로브팁 마운트
116: 편광필터 120: 카메라바디
122: 제1 삽입홈 124: 제1 슬롯
126: 제2 삽입홈 128: 제2 슬롯
130: 미러결합면 131: 미러결합공간
136: 고정부재 138: 결합부
140: 센서보드 144: 미러
150: 베이스 160: 히트싱크
170: 투사계 180:결상계

Claims (9)

  1. 외부로 빛을 투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투사계;
    외부의 빛이 입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결상계;
    상기 투사계 및 결상계가 각각 결합하는 카메라바디; 및
    내부에 광원이 결합되고 방열 성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바디의 후방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바디는 그 내부에 상기 투사계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과, 상기 결상계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투사계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져 상기 제1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기 투사계는 상기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상기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상계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져 상기 제2 삽입홈의 내부에서 상기 결상계는 상기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삽입홈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투사계와,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결상계는 상기 카메라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계에 입사한 빛이 반사되는 미러와, 상기 미러에서 반사된 빛이 입사되는 센서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바디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상기 센서보드가 결합되는 센서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결합면에는 상기 미러에서 반사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바디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바디는 상기 미러가 결합되는 미러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미러결합면의 단부에는 충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바디는 상기 미러가 위치하는 미러결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미러결합공간은 일 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센서결합면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 및 제2 슬롯에는 각각 고정부재가 결합되어서 상기 카메라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결상계 및 투사계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계 및 결상계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은 직사각 형상의 연결홀에 의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KR1020220056151A 2022-05-06 2022-05-06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KR102439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151A KR102439751B1 (ko) 2022-05-06 2022-05-06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US18/122,685 US11914216B2 (en) 2022-05-06 2023-03-16 Integrated optical engine having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151A KR102439751B1 (ko) 2022-05-06 2022-05-06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751B1 true KR102439751B1 (ko) 2022-09-02

Family

ID=8328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151A KR102439751B1 (ko) 2022-05-06 2022-05-06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14216B2 (ko)
KR (1) KR1024397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920A (ja) * 2005-02-22 2006-09-07 Nippon Sheet Glass Co Ltd 光学モジュール
JP2017533000A (ja) * 2014-09-16 2017-11-09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レーザ投影を用いる歯科用表面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2853B1 (en) * 1998-12-25 2001-07-17 Olympus Optical Co., Ltd. Lens barrel having deformable member
AU2009291489B2 (en) * 2008-09-09 2013-12-05 Minerbird Group Limited Coupling and method for use with a lamp fitting
US20160330355A1 (en) * 2015-03-09 2016-11-10 D4D Technologies, Llc Intra-oral scanner with color tip assembly
KR102337757B1 (ko) 2018-11-29 2021-12-13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 스캐너
US11202560B2 (en) * 2018-11-29 2021-12-21 Medit Corp. Intraoral scan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920A (ja) * 2005-02-22 2006-09-07 Nippon Sheet Glass Co Ltd 光学モジュール
JP2017533000A (ja) * 2014-09-16 2017-11-09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レーザ投影を用いる歯科用表面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14216B2 (en) 2024-02-27
US20230358991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0063A (en) Viewing and illuminating video probe with viewing means for simultaneously viewing object and device images along viewing axis and translating them along optical axis
TWI523483B (zh) A lighting device, an image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473885B (en)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JP5816836B2 (ja) 光学素子保持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テレオ画像撮像装置
US20090016061A1 (en) Illumination system
CN112804503B (zh) 集成照明-瞄准器成像装置
KR102439751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체형 광학엔진
TW200817817A (en) Light tunnel apparatus of an optical engine and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light tunnel apparatus
JP6983212B2 (ja) ドームカメラ
JP6930909B2 (ja) 検査用光照射装置及び検査システム
US7212357B2 (en) Positioning structure
US20050105181A1 (en) Support surface of a device for optically capturing objects
JP2553941Y2 (ja) 近接撮影用アダプタ装置
US7677735B2 (en) Projecting apparatus
TWI706122B (zh) 狹縫光源以及具有該狹縫光源的視覺檢查裝置
GB2468138A (en)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and adaptor for single lens camera
TW522283B (en) A boundary indicator of a projector
JP2015049130A (ja) 反射ユニット
EP4279023A1 (en) Three-dimensional scanner
JP2017078733A (ja)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US4899188A (en) Light scattering optic guide
KR20170108525A (ko) Dslr 카메라와 오목거울을 이용한 2차원 투영 측정장치
KR20220104634A (ko) 3차원 스캐너
US20240280883A1 (en) Prism block,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sm block
JP4465749B2 (ja) 顕微鏡用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