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681B1 - 콘 형상의 식용 용기 - Google Patents

콘 형상의 식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681B1
KR102439681B1 KR1020190138865A KR20190138865A KR102439681B1 KR 102439681 B1 KR102439681 B1 KR 102439681B1 KR 1020190138865 A KR1020190138865 A KR 1020190138865A KR 20190138865 A KR20190138865 A KR 20190138865A KR 102439681 B1 KR102439681 B1 KR 102439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um
cone
shell
adhesive lay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627A (ko
Inventor
명호민
박은선
정다운
박승은
신나리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4204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42251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9013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6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3Edible packag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는, 식용의 외피와, 상기 외피보다 작은 식용의 내피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를 서로 접착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마련되는 식용의 제1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콘 형상으로 말려,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외피는, 상기 기본 구조의 가장 외측을 형성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보다 강한 강성을 가져, 상기 외피만으로 구현되는 콘 형상의 구조를 가정할 때, 상기 가정의 구조를 파손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의 외력이 상기 기본 구조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기본 구조가 유지되게 한다.

Description

콘 형상의 식용 용기{CONE-SHAPED EDIBLE CONTAINER}
본 발명은 콘 형상의 식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피, 내피, 접착층을 포함하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에서의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다양한 인스턴트 식품을 섭취하고 있다.
특히, 밥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우, 볶음밥을 이용한 인스턴트 식품을 가장 선호하고 있으나, 햄버거 또는 핫도그 등과 달리 자리에 앉지 않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형태로 포장된 볶음밥을 이용한 인스턴트 제품은 제공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볶음밥의 경우 편의점 등에 구비된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경우, 뜨거운 열기로 들고 다니기 곤란하고, 쉽게 부숴지기 쉬운 성질로 인한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선호하는 볶음밥을 인스턴트 형식으로 만들기 위해 플라스틱 용기 또는 종이 용기에 냉동 가공된 볶음밥을 담아 포장하고는 있으나, 이 경우 볶음밥을 다 먹은 후에는 플라스틱 용기 또는 종이 용기를 처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볶음밥을 담기 위해서는 볶음밥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플라스틱 용기 또는 종이 용기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큰 크기의 종이 용기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할 때, 단순히 내용물을 수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용기 그 자체를 식용으로 만드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재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각을 돋울 수 있고 음식물을 섭취한 후 용기를 따로 처리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줄일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적정한 강도를 가지는 식용의 용기를 마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식용의 용기로서, 그 구조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정한 강성을 가지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는 식용의 외피, 상기 외피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외피와 함께 콘 형상으로 말려, 상기 외피와 함께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식용의 내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마련되는 식용의 제1 접착층, 및 적어도 상기 외피끼리 서로 접착시키는 식용의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보다 강한 강성을 갖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상기 내피끼리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 또는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가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보다, 상기 외피끼리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이 더 크게 되는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콘 형상으로 말려,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외피는, 상기 기본 구조의 가장 외측을 형성한다.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보다 강한 강성을 가져, 상기 외피만으로 구현되는 콘 형상의 구조를 가정할 때, 상기 가정의 구조를 파손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의 외력이 상기 기본 구조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기본 구조가 유지되게 한다.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가 상기 콘 형상으로 말린 이후, 상기 외피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상기 내피로 인해, 상기 콘 형상에서 풀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콘 형상의 상태에서, 상기 내피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기 외피의 내면 부분과, 상기 내면 부분과 중첩되는 상기 외피의 외면 부분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여, 적어도 상기 외피끼리 서로 접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상기 내피끼리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 또는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가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보다, 상기 외피끼리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이 더 크게 되는 물성을 가진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외피는, 클로렐라, 파래, 청각, 김,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 모자반 및 톳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용의 소재는 밀가루풀, 쌀풀 및 찹쌀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피는 쌀, 보리, 콩, 조, 기장, 수수, 밀 및 옥수수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용 용기의 종횡비가 1:1 내지 1:10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펼쳐진 상태에서 원형, 사각형, 부채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피의 엣지의 일 지점에서부터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가 접착된 중앙부까지 절단되고, 원주방향으로 절단선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부분이 서로 겹쳐지며 콘 형상으로 감기어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어 콘 형상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상기 기본 구조의 형성 후에 소정의 조건으로 가열되어, 가열 전보다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의 외피와, 상기 외피보다 탄성이 강한 물성을 가진 식용의 내피가 제1 접착층으로 서로 접착되어 형성된 바디시트를 포함하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는, 상기 바디시트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바디시트의 두 영역을 각각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라고 할 때, 상기 가상의 선이 상기 바디시트의 엣지와 만나는 일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가 서로 포개진 채로 제2 접착층으로 서로 접착됨으로써, 콘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시트가 상기 콘 형상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내피의 탄성에 의한, 상기 바디시트를 펼치려는 힘과,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의 접착력에 의한, 상기 바디시트가 펼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바디시트의 콘 형상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식용의 외피와 식용의 내피가 식용의 접착층으로 서로 접착되어 콘 형상의 식용 용기가 마련됨으로써, 콘 형상의 용기 전체가 식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둘째, 외피 및 외피보다 강한 강성을 가지는 내피가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어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갖고, 상기 외피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상기 내피로 인해, 상기 콘 형상에서 풀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콘 형상의 상태에서, 상기 내피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기 외피의 내면 부분과, 상기 내면 부분과 중첩되는 상기 외피의 외면 부분 사이에 접착층이 마련됨으로써, 외피만으로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할 때보다 외력에 대해 강인한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이용하는 제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바디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C-C' 단면도이다.
도 8, 도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변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바디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바디시트로 형성한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바디시트로 형성한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폭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이용하는 제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바디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에 내용물(R)을 담은 제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내부에는 콘 형상의 내부 공간이 마련되므로, 내부 공간에 내용물(R)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R)은 밥을 포함할 수 있다.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그리핑 시트(5)로 감싸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리핑 시트(5)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품을 손으로 잡을 때 콘 형상의 식용 용기에 손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도 1과 같이 그리핑 시트(5)는 콘 형상으로 마련되되 콘 형상의 밑면에 대응된 부분이 개구되어, 개구된 부분으로 콘 형상의 식용 용기가 삽입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100)는 외피(110), 내피(120), 및 접착층(130)을 포함한다.
콘 형상의 식용 용기(100)는 외피(110)와 내피(120)를 접착층(130)을 통해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콘 형상으로 말아 접착함으로써 콘 형상의 입체 구조를 갖게 된다. 식용 용기(100)는 꼭지점이 위치하는 하단부와 음식을 적재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포함하는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110)는 식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피(110)는 건해조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해조류 시트는 해조류 그 자체 또는 단편, 또는 해조류의 플레이크나 분말을 임의의 모양의 얇은 시트 형태로 건조시킨 것으로서, 상기 건조해류 시트의 원료로 이용되는 해조류는 클로렐라, 파래, 청각 등의 녹조류; 김, 우뭇가사리 등의 홍조류; 미역, 다시마, 모자반, 톳 등의 갈조류; 등이 단독 또는 혼합으로 이용될 수 있고, 대표적인 예로 김을 단독으로 건조하여 이용하거나, 김을 파래, 클로렐라, 미역 등과 함께 건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해조류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해조류에 다양한 조미료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피(110)는 김(seaweed)을 포함할 수 있다.
내피(120)는 식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피(120)는 곡물 시트일 수 있다. 곡물시트는 임의의 모양의 얇은 시트(sheet)로서 쌀가루 및/또는 전분 등과 같은 곡물과 물로 제조한 것이다. 상기 곡물 시트는 전분 가루에 부가적으로 쌀가루가 혼합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새우, 참깨, 검은 깨, 김가루, 멸치류, 오징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원물을 추가하여 원물 특유의 맛을 추가하고 씹는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곡물 시트는 예를 들어 전분의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쌀가루의 함량이 1 내지 100 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분 100중량부에 쌀가루 약 20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쌀은 백미, 현미, 홍미, 녹미 및/또는 찹쌀일 수 있다. 상기 전분은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타피오카 전분, 옥수수전분, 쌀전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타피오카 전분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타피오카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쌀 30중량부의 비율로 제조된 곡물 시트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곡물 시트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곡물 시트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곡물시트는 라이스페이퍼(rice-paper)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120)는 상대적으로 부숴지기 쉬운 외피(110)를 보강하기 위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피(120)는 외피(110)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피(120)는 외피(110)보다 높은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피(120)는 수분 함량이 높은 상태에는 강성이 낮아져 콘 형상으로의 성형이 용이하고, 그 상태에서 소정의 조건에서 구워내면 강성이 향상되어 별도의 지지대 없이도 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만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피(120)는 150 내지 200 ℃ 에서 5분 내지 10분의 조건에서 구워진 경우에 1500 gf 이상의 경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도는 50 내지 150 g의 내용물이 담겨진 경우에 사람이 손으로 쥐고 취식하더라도 용이하게 부셔지지 않는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외피(110)와 내피(120)를 서로 접착시켜 바디시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바디시트(100)는 외피(110)와 내피(120)를 각각 한 겹씩 접합시켜 제조할 수도 있지만, 외피(110)와 내피(120) 각각을 한 겹 이상씩 접합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외피(110)는 내피(120)보다 적어도 일 측면이 조금 더 크게, 예컨대 외피(110)와 내피(120)보다 가 모두 원형인 경우에는 외피(110)의 직경이 내피(120)의 직경보다 3㎝, 구체적으로는 2㎝,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정도 더 크게 재단한 것일 수 있다.
바디시트(100)의 제조 과정에서 수행되는 외피(110)와 내피(120)의 접합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적어도 한 겹의 외피(110)와 상기 적어도 한 겹의 내피(1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층(130)을 도포하고, 상기 외피(110)와 상기 내피(120)를 서로 맞대어 압착하여 바디시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접착층(130)을 형성하는 접착제로는 점성을 갖는 식용의 액체, 예컨대 물, 소금물, 당액, 전분물, 곡물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곡물풀로는 밀가루풀, 쌀풀 또는 찹쌀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건해조류 스낵의 바삭한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성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물을 최소한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층(130)은 외피(110)와 내피(120)를 서로 접착시키는 제1 접착층(131)과 식용 용기(100)의 3차원 형상을 유지시키는 제2 접착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31) 및 제2 접착층(132)은 동일한 물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층(130)은 점성을 가지는 액상 및 반고체 상태의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외피(110)와 내피(120)를 접착시키는 접착력 뿐 아니라, 내피(120)에 수분을 제공하여 강성을 낮춰 내피(120)의 접착 및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접착층(130)은 소정의 조건에서 구워지는 경우에 수분 함량이 낮아지며 경도가 높아져 사람이 손으로 들고 취식할 때 용이하게 부셔지지 않는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30)은 곡물 성분의 풀(glu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물성분의 풀은 쌀가루와 물을 함께 가열 및 혼합하여 제조되는 풀로써, 150 내지 200 ℃ 에서 5분 내지 10분의 조건에서 구워진 경우에 1500 gf 이상의 경도를 제공하도록 성분 및 농도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30)은 찹쌀풀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물질(132)은 외피(110)와 내피(120)가 콘 형상으로 말린 이후, 외피(110)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내피(120)로 인해, 콘 형상에서 풀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말려들어간 부분의 외피(110)의 외면 및 덮는 부분의 외피(100)의 내면 및 내피(120)의 내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제2 접착층(132)은 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피(12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외피(110)의 내면 부분은 서로 접착된 내피(120)와 외피(1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피의 내면(111) 중에서 내피(120)와 접착되지 않은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내피(12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외피(110)의 내면 부분은 외피의 내면(111)의 전체 영역 중에서, 내피(120)의 엣지와 외피(110)의 엣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내면 부분과 중첩되는 외피의 외면 부분은 콘 형상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내피(12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외피(110)의 내면 부분과 중첩되는 외피의 외면(11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내면 부분과 중첩되는 외피(110)의 외면 부분은 외피의 외면(112) 중에서, 내피(111)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외피(110)의 내면 부분과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외피(110)와 내피(120)는 내피(120)끼리 접착층(130)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 또는 내피(120)와 외피(110)가 접착층(130)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보다, 외피끼리 접착층(130)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이 더 크게 되는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피(110)가 김으로 구성되고, 내피(120)가 라이스페이퍼로 구성되고, 접착층(130)이 곡물을 포함하는 풀로 구성되는 경우, 외피(110)와 내피(120)는 내피(120)끼리 접착층(130)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 또는 내피(120)와 외피(110)가 접착층(130)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보다, 외피끼리 접착층(130)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이 더 크게 되는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외피의 외면(112) 중에서 내피의 내면(121)과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 접착층(132)이 더 마련되어, 내피(120)와 외피(110)가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개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층 구조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식용 용기는(100)는 전체적으로 1500 gf 이상의 경도를 가짐으로써, 내피(120)의 탄성으로 인한 반발력 및 사람의 그립 시 전달되는 외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콘 형상의 바디시트(100)를 구워서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바디시트(100)를 굽는 공정은 상기 바디시트(100)를 구성하는 외피(110), 내피(120), 접착제 등에 존재하는 수분을 더욱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접합체에 바삭한 식감을 구현해 내는 공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바디시트(100)를 굽는 공정은 수분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 예컨대 오븐에서, 175℃ 이상, 177℃ 이상, 179℃ 이상, 또는 180℃ 이상, 그리고 195℃ 이하, 193℃ 이하, 191℃이하, 또는 190℃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 3분 이상, 4분 이상, 5분 이상, 또는 6분 이상, 그리고 15분 이하, 13분 이하, 11분 이하, 또는 9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디시트(100)를 굽는 공정이, 175℃ 보다 낮은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거나 3분 보다 짧은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디시트(100) 내의 수분이 충분히 감소되지 않아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접합체에 바삭한 식감을 충분히 구현해 낼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95℃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거나 15분 보다 긴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에는 외피(110)를 구성하는 해조류가 타버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바디시트(100)를 굽기 전에,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시트(100)를 성형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예컨대, 고깔 모양의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시트(100)를 상기 고깔 모양의 몰드의 외주면을 감쌈으로써 상기 바디시트(100)를 고깔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시트(100)의 외피(1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몰드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이처럼 바디시트(100)를 성형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 상기 바디시트(1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고 성형된 형태 그대로의 콘 형상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바디시트(100)로 몰드의 외주면을 감쌀 때, 바디시트(100)의 겹치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바디시트(100)를 더욱 접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몰드에 의해 성형된 바디시트(100)를 상기 몰드에 장착된 채로, 상기 몰드와 함께 구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몰드에 장착된 채로 몰드와 함께 구워져 제조된 콘 형상은, 상기 몰드에 장착된 상태로 냉각시킨 후에, 상기 몰드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각 과정은 상기 콘 형상을 상기 몰드로부터 분리해 낼 때 상기 콘 형상이 부서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또는 실온의 온도 조건에서, 1분 이상, 3분 이상, 5분 이상, 또는 7분 이상, 그리고 20분 이하, 17분 이하, 15분 이하, 또는 13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각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몰드에서 분리된 콘 형상은 상기 몰드에 의해 성형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구워진 바디시트(100)는, 경도가 1500 g 이상, 1700 g 이상, 1900 g 이상, 또는 2100 g 이상일 수 있고, 6000 g 이하, 5800 g 이하, 5600 g 이하, 또는 5500 g 이하일 수 있다. 바디시트(100)의 경도가, 1500 g 보다 낮은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바삭함이 충분하지 못하여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6000 g 보다 높은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가 너무 딱딱하여 섭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콘 형상의 밑면에 대응되는 부분의 직경(또는 폭, W)과, 콘 형상의 밑면에서 꼭지점까지의 높이(H)의 비가 1:1 ~ 1:10 사이의 값을 갖도록 콘 형상의 기본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콘 형상의 종횡비가 1:1 내지 1:10일 수 있다. 이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잡기 편하게 만드는 것과,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기에 적합하게 만드는 것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폭(W)과 높이(H)의 비가 1:10에 가까우면, 콘 형상의 식용 용기가 잡기에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작은 반면, 폭(W)과 높이(H)의 비가 1:1에 보다 가까우면, 콘 형상의 식용 용기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넓게 마련될 수 있으나, 잡기에는 불편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갖게 된 외피(110)와 내피를 가열하여, 가열 전보다 수분이 제거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질을 가열하게 되면 수분이 빠져나가게 되면서 강성이 높아지고, 대신에 탄성이 감소되게 된다.
예를 들면, 외피(110)가 김으로 구성되고, 내피(120)가 라이스페이퍼로 구성되고, 접착층(130)이 곡물을 포함하는 풀로 구성되는 경우,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가열하게 되면 외피(110), 내피(120) 및 접착층(130)이 서로 엉겨 붙게 되면서 결합력이 향상됨과 아울러 콘 형상의 기본 구조의 전체적인 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외피(110)와 내피(120)를 말아서 형성한 콘 형상의 기본 구조에 있어서, 가열 하기전의 상태를 반제품, 가열한 이후의 상태를 완제품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다만, 이는 구분을 위한 것이며, 반제품이라고 명명한 가열 전의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이용하여 완성된 제품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피(110)와 내피(120)는 펼쳐진 상태에서 원형, 사각형, 부채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외피(110)와 내피(120) 각각은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보아 원형인 것으로 준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피(110)와 내피(120)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서로 제1 접착층(131)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즉, 외피의 중심(O1)과 내피의 중심(O2)이 서로 일치하도록, 외피(110)와 내피(12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외피(110)와 내피(120)를,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감아서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형성하고, 콘 형상이 풀리지 않도록 제2 접착층(132)으로 외피(110)와 내피(120)를 접착시킴으로써, 콘 형상의 기본 구조가 유지되는 식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소정의 조건으로 구워, 식용 용기의 강성(또는 경도)을 높일 수 있다.
외피(110)는 내피(12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피(110)는 내피(120)보다 반지름이 제1 거리(D1)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외피(110)와 내피(120)는 내피(120)의 엣지와 외피(110)의 엣지가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내피(120)는 외피의 내면(111)에 접착될 수 있다. 즉, 내피의 외면(122)과 외피의 내면(111)이 서로 접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내피(120)와 외피(110)가 콘 형상으로 감겨서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갖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10)와 내피(120)를 제1 접착층(131)으로 서로 접착시켜 바디시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내피(120)와 외피(110)가 서로 제1 접착층(131)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된 바디시트(100)는 가상의 선(L1)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날개부(100a)와 제2 날개부(100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선(L1)이 바디시트(100)의 엣지와 만나는 일 지점(A1)을 꼭지점으로 하여, 제1 날개부(100a)와 제2 날개부(100b)를 서로 포갤 수 있다. 이때, 제1 날개부(100a)가 제2 날개부(100b)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포개거나, 제2 날개부(100b)가 제1 날개부(100a)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포갤 수 있다.
제1 날개부(100a)와 제2 날개부(100b)가 서로 포개진 채로 제2 접착층(132)에 의해 서로 접착됨으로써, 콘 형상의 기본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100)가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내피(120)의 탄성에 의한, 바디시트(100)를 펼치려는 힘과, 제1 날개부(100a)와 제2 날개부(100b) 사이의 접착력에 의한 바디시트(100)가 펼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룸으로써, 바디시트(100)의 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콘 형상의 밑면에 수직하고 콘 형상의 꼭지점을 지나는 면으로 절개할 때 나타나는 단면이다.
도 4의 단면에는, 외피(110)를 포함하되 내피(120)는 포함하지 않는 층과, 내피(120)와 외피(110)와 제1 접착층(131)을 포함하는 층과, 외피(110)를 포함하되 내피(120)는 포함하지 않는 층이 차례로, 콘 형상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콘 형상의 밑면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즉, 외피(110)를 포함하되 내피(120)는 포함하지 않는 층, 내피(120)와 외피(110)와 제1 접착층(131)을 포함하는 층, 외피(110)를 포함하되 내피(120)는 포함하지 않는 층은, 상기 각각의 층들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나, 상기 각각의 층들 사이에 다른 층들이 더 나타나되 상기 각각의 층들이 나타나는 순서는 차례로 나타날 수도 있다.
여기서, 콘 형상의 밑면에 대응되는 위치와 콘 형상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의 사이이면서 콘 형상의 꼭지점으로부터 제2 거리(D2) 이내인 어느 위치에서든지, 밑면에 평행한 면으로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절개할 때 나타나는 단면을 보면, 외피(110)는 포함하되 내피(120)는 포함하지 않는 층만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서, 콘 형상의 꼭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영역은 외피(110)만으로 구성되는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길이 영역은 0.01 내지 1.5 cm 일 수 있다.
만약, 내피(120)가 콘 형상의 꼭지점에 이르는 지점까지 위치하게 되면, 콘 형상의 기본구조를 형성할 때 콘 형상의 꼭지점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콘 형상의 꼭지점 부분을 접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피(120)를 콘 형상의 꼭지점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배치함으로써, 콘 형상의 기본 구조의 형성이 용이하고, 외피(110)끼리 서로 접착되게 되어 접착력도 향상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내피(120)를 콘 형상의 꼭지점 부분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콘 형상의 식용 용기에 담기는 내용물이 외피(110)외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내피(120)를 콘 형상의 꼭지점 부분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게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접착층(131)은 내피(120)와 외피(110)의 사이에 해당되는 영역에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의 단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외피의 내면(111)보다는 좁은 영역이면서 내피의 외면(122)보다는 넓은 영역에 제1 접착층(1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콘 형상의 밑면에 대응되는 위치와 콘 형상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의 사이에서, 밑면에 평행한 면으로 기본 구조를 절개할 때 나타나는 단면이다.
도 5의 단면에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또는 반경방향, Dr)으로 적어도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a3)과, 적어도 외피(110), 제2 접착층(132),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a2)이 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타난다.
적어도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다함은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을 기본으로 하되 다른 층들이 더 적층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은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 제2 접착층(132),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과, 외피(110),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과, 외피(110), 제2 접착층(132),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외피(110), 제2 접착층(132),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은 외피(110), 제2접착층(132),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을 기본으로 하되 거기에 다른 층들이 더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하게는, 반경방향(Dr)으로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 제2 접착층(132)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a1)과,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 제2 접착층(132),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a2)과,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a3)과, 외피(110), 제2 접착층(132),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a4)이, La1층, La2층, La3층, La4층의 순서대로 도 5의 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서, La1 층은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층(130)이 반경방향(Dr)으로 서로 중첩되는, 내피의 내면(121)과 외피의 외면(112) 사이에는 도포되지 않는 경우, La1 층은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La4 층은 외피(110),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층(130)이 반경방향(Dr)으로 서로 중첩되는, 내피의 내면(121)과 외피의 외면(112) 사이에는 도포되지 않는 경우, La1 층은 외피(110),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반경방향(Dr)으로 적어도 외피(110), 제2 접착층(132),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a5)과, 적어도 외피(110)를 포함하는 층(La6)이 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서, 외피(110)가 더 많은 횟수로 감기게 되면, 제2 접착층(132), 외피(110)가 교대로 반복되는 층이 나타난다.
도 7을 참조하면, 반경방향(Dr)으로 적어도 외피(110), 제2 접착층(132),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a7)과, 적어도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a8)이 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타난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변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내피(120)는 외피의 내면(111) 상에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게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피(110)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L1)을 기준으로, 외피의 중심(O1)과 내피의 중심(O2)가 서로 이격되도록, 내피(120)와 외피(1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피(120)가 치우진 일측에서, 외피(110)의 엣지와 내피(120)의 엣지 사이의 거리가 제3 거리(D3), 내피(120)가 치우친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서, 외피(110)의 엣지와 내피(120)의 엣지 사이의 거리가 제4 거리(D4)라고 할 때, 제3 거리(D3)는 내피(120)의 엣지와 외피(110)의 엣지 사이의 거리들 중에서 가장 짧은 거리이고, 제4 거리(D4)는 내피(120)의 엣지와 외피(110)의 엣지 사이의 거리들 중에서 가장 긴 거리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내피(120)의 엣지와 외피(110)의 엣지가 일 지점(P1)에서 서로 접하도록, 내피(120)와 외피(11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외피(110)와 내피(120)가 접착되어 형성된 바디시트(100)를 콘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된 콘 형상의 기본 구조의 단면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콘 형상의 밑면에 대응되는 위치와 콘 형상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의 사이이면서 콘 형상의 꼭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인 어느 위치에서든지, 밑면에 평행한 면으로 기본 구조를 절개할 때 나타나는 단면을 보면,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이 나타난다.
즉, 도 9와 같이 마련되는 바디시트(100)로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마련되는 바디시트(100)로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와 달리, 콘 형상의 꼭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서 밑면에 평행한 면으로 기본 구조를 절개할 때 나타나는 단면에서, 내피(120)를 포함하는 층이 반드시 나타난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피(110)와 내피(120)는,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외피(110)의 엣지의 일 지점에서부터 외피(110)와 내피(120)가 접착된 중앙부까지 절단되고, 원주방향으로 절단선(C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부분이 서로 겹쳐지며 콘 형상으로 감기어 제2 접착층(132)에 의해 접착되어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갖게 될 수 있다.
외피(110)와 내피는, 외피의 중심(O1)과 내피의 중심(O2)가 서로 겹쳐지도록 서로 접착될 수 있고, 외피(110)와 내피(120)가 접착된 상태에서 외피(110)의 엣지의 일 지점에서부터 외피(110)와 내피(120)의 중심(O1, O2)에 해당되는 지점까지 절단될 수 있다.
절단선(C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날개부(100a)와 제2 날개부(100b)가 서로 겹쳐지며, 외피(110)와 내피(120)의 중심(O1, O2)과 동일한 위치를 꼭지점(A2)으로 하는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마련되는 바디시트(100)를 이용하여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을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바디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외피(110')와 내피(120')의 각각은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보아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피(110')는 양 변(113', 114')과 호(115')를 포함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피(120')는 양 변(123', 124')과 호(125')를 포함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피(120')는 외피(110')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내피(120')는 내피(120')의 엣지가 외피(110')의 엣지보다 외피(1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피(110')와 내피(120')는, 외피의 중심(O3)을 지나며 외피(110')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L2) 상에 내피의 중심(O4)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외피(110')와 내피(120')가 가상의 선(L2)을 기준으로 선대칭 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의 바디시트를 이용하여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형성하는 경우,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와 마찬가지로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단면이 나타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외피의 양 변(113', 114')과 내피의 양 변(123', 124')이 서로 중첩되도록, 외피(110')와 내피(12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외피의 호(115')와 내피의 호(125')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외피(110')와 내피(12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즉, 내피(120')의 반경은 외피(110')의 반경보다 작고, 내피(120')의 중심각과 외피(110')의 중심각은 동일하고, 외피의 중심(O3)과 내피의 중심(O4)가 서로 중첩되도록 내피(120')와 외피(11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바디시트로 형성한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바디시트로 형성한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폭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콘 형상의 밑면에 수직하고 콘 형상의 꼭지점을 지나는 면으로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절개할 때 나타나는 단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내피(120')와 외피(110')와 제1 접착층(131')을 포함하는 층과, 외피(110')와 제1 접착층(131')을 포함하되 내피(120')는 포함하지 않는 층이, 콘 형상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콘 형상의 밑면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차례로 나타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뿔형상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내피(120')가 연장된 층 구조가 나타난다.
도 14을 참조하면,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b1)과, 적어도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 제2 접착층(132'), 내피(120'), 제1 접착층(131'), 외피(110')가 차례로 적층된 층(Lb2)이 단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타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피(120')와 외피(110')가 제2 접착층(1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되는 층이 나타난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서와 같이 콘 형상의 식용 용기를 마련하게 되면, 외피(110')보다 강한 강성을 가지는 내피(120')가 바디시트의 원주방향 전 영역에 마련되므로,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피(120')끼리 제2 접착층(132')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 또는 외피(110')끼리 제2 접착층(132')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보다, 내피(120')와 외피(110')가 제2 접착층(132')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이 더 큰 경우에는, 본 실시예와 같이 내피(120')와 외피(110')가 제2 접착층(132')에 의해 접착되도록 마련하는 것이 콘 형상의 식용 용기의 구조로서 유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5 : 그리핑 시트
100, 100' : 바디시트
100a, 100b : 제1, 2 날개부
110, 110' : 외피
111, 111' : 외피의 내면
112 : 외피의 외면
113' : 외피의 일측변
114' : 외피의 타측변
115' : 외피의 호
120, 120' : 내피
121, 121' : 내피의 내면
122 : 내피의 외면
123' : 내피의 일측변
124' : 내피의 타측변
125' : 내피의 호
130, 130' : 접착층
131, 131' : 제1 접착층
132, 132' : 제2 접착층
R : 내용물
W : 기본 구조의 폭
H : 기본 구조의 높이
A1, A2 : 꼭지점
C1 : 절단선
D1, D2, D3 : 제1, 2, 3 길이
Dr : 반경방향
Du : 상하방향
Dw : 폭방향
L1, L2 : 기준선
O1, O3 : 외피의 중심
O2, O4 : 내피의 중심
Oc : 콘 형상의 중심
La1, La2, La3, La4, La5, La6, La7, La8 : 제1실시예의 제1, 2, 3, 4, 5, 6, 7, 8층
Lb1, Lb2 : 제2실시예의 제1, 2층
P1 : 접점

Claims (11)

  1. 식용의 외피;
    상기 외피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외피와 함께 콘 형상으로 말려, 상기 외피와 함께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식용의 내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마련되는 식용의 제1 접착층; 및
    적어도 상기 외피끼리 서로 접착시키는 식용의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보다 강한 강성을 갖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상기 내피끼리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 또는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가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보다, 상기 외피끼리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이 더 크게 되는 물성을 가진, 콘 형상의 식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가 상기 콘 형상으로 말린 이후, 상기 외피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상기 내피로 인해, 상기 콘 형상에서 풀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콘 형상의 상태에서, 상기 내피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기 외피의 내면 부분과, 상기 내면 부분과 중첩되는 상기 외피의 외면 부분 사이에 마련되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
  3. 삭제
  4. 식용의 외피;
    상기 외피와 함께 콘 형상으로 말려, 상기 외피와 함께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식용의 내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마련되는 식용의 제1 접착층; 및
    적어도 상기 외피끼리 서로 접착시키는 식용의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보다 강한 강성을 갖고,
    상기 외피는, 클로렐라, 파래, 청각, 김,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 모자반 및 톳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상기 내피끼리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 또는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가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보다, 상기 외피끼리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었을 때의 접착력이 더 크게 되는 물성을 가진, 콘 형상의 식용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밀가루풀, 쌀풀 및 찹쌀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쌀, 보리, 콩, 조, 기장, 수수, 밀 및 옥수수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용기의 종횡비가 1:1 내지 1:10 인, 콘 형상의 식용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펼쳐진 상태에서 원형, 사각형, 부채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
  9. 식용의 외피; 및
    상기 외피와 함께 콘 형상으로 말려, 상기 외피와 함께 콘 형상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식용의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펼쳐진 상태에서 원형, 사각형, 부채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피의 엣지의 일 지점에서부터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가 접착된 중앙부까지 절단되고, 원주방향으로 절단선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부분이 서로 겹쳐지며 콘 형상으로 감기어 제2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어 콘 형상을 형성하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는, 상기 기본 구조의 형성 후에 소정의 조건으로 가열되어, 가열 전보다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 놓이는, 콘 형상의 식용 용기.
  11. 삭제
KR1020190138865A 2018-11-16 2019-11-01 콘 형상의 식용 용기 KR10243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65A KR102439681B1 (ko) 2018-11-16 2019-11-01 콘 형상의 식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043A KR102042251B1 (ko) 2018-11-16 2018-11-16 콘 형상의 식용 용기
KR1020190138865A KR102439681B1 (ko) 2018-11-16 2019-11-01 콘 형상의 식용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043A Division KR102042251B1 (ko) 2018-11-16 2018-11-16 콘 형상의 식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627A KR20200057627A (ko) 2020-05-26
KR102439681B1 true KR102439681B1 (ko) 2022-09-02

Family

ID=8328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865A KR102439681B1 (ko) 2018-11-16 2019-11-01 콘 형상의 식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845B1 (ko) 2021-03-15 2021-07-13 마크심 세르지비치 페트로브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159B1 (ko) * 2013-02-26 2013-08-30 주식회사 상지에프앤아이 라이스콘 포장용기
KR102042251B1 (ko) * 2018-11-16 2019-11-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콘 형상의 식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858B2 (ja) * 1990-12-20 1995-05-10 長谷川製菓株式会社 ワッフル型シュガーコーンおよび同コーンの製造方法
JPH05130828A (ja) * 1991-11-08 1993-05-28 Hasegawa Seika Kk コロネ風パ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4484U (ja) * 1992-10-15 1994-05-10 赤目・香落・室生観光開発株式会社 二層式可食容器
KR20140079272A (ko) * 2012-12-18 2014-06-26 씨제이제일제당 (주) 김과 곡물 시트를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159B1 (ko) * 2013-02-26 2013-08-30 주식회사 상지에프앤아이 라이스콘 포장용기
KR102042251B1 (ko) * 2018-11-16 2019-11-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콘 형상의 식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627A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919B2 (en) Cooking pouch containing a raw protein portion, a raw or blanched vegetable portion and a sauce and method of making
CN102695922B (zh) 多温度且多质地冷冻食物的微波加热托盘
KR102042250B1 (ko) 콘 형상의 식용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39681B1 (ko) 콘 형상의 식용 용기
KR102404560B1 (ko) 콘 형상의 식용 용기
KR102042251B1 (ko) 콘 형상의 식용 용기
EP2320743B1 (en) Microwaveable laminated dough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080160150A1 (en) D-shaped tortilla
KR101420975B1 (ko) 봉투형 종이 호일의 제조방법
TWM619167U (zh) 局部可撕除之雙層開孔提袋結構
EP4032832A1 (en) Frozen food product, frozen food packaging container, and frozen food packaging material
CN206043323U (zh) 多层雪糕
US4247564A (en) Package for laver-wrapped rice-ball
US20080020106A1 (en) Comestible wrap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40035859A1 (en) Method and products for microwave roasting
JP3097533U (ja) 海苔及び包装おにぎり用海苔入りフィルム
CN207885603U (zh) 咖喱角
CN108116772B (zh) 一种方便食品用容器及其封盖方式
US20170020164A1 (en) Rice sheet
TWM517996U (zh) 炸粉圓結構
KR200386379Y1 (ko) 포장 군고구마
JPS62269656A (ja) サンドイツチ状飯おにぎり及びその製法
TWI316914B (ko)
KR200205322Y1 (ko) 김 구이용 포장봉투
KR20130010589A (ko) 모형을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