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845B1 -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 Google Patents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845B1
KR102276845B1 KR1020210033473A KR20210033473A KR102276845B1 KR 102276845 B1 KR102276845 B1 KR 102276845B1 KR 1020210033473 A KR1020210033473 A KR 1020210033473A KR 20210033473 A KR20210033473 A KR 20210033473A KR 102276845 B1 KR102276845 B1 KR 10227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tray
heating plate
edible container
h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심 세르지비치 페트로브
Original Assignee
마크심 세르지비치 페트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심 세르지비치 페트로브 filed Critical 마크심 세르지비치 페트로브
Priority to KR102021003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65D65/406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with at least one layer provided with a relief other than 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리 및 베이커리 제조 분야, 특히 패스트 푸드 분야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식품용 식용 용기는 동일한 모양과 디자인의 두 절반부를 포함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로 이루어지고, 절반부 각각이 베이킹된 반죽으로 제조되며 제1 돌출부와 중공이 형성되는 측벽을 갖는 얇은 벽의 트레이 형태를 가지며, 각 절반부가 트레이 바닥의 표면을 따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해 트레이의 형상에서 평면 대칭이 되며, 두 절반부는 한 절반부의 제1 돌출부가 다른 절반부의 중공에 위치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얇은 벽 형태의 중공 쉘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식용 용기의 절반부들을 베이킹하기 위한 가열몰드는 매트릭스구조로 형성되고, 베이킹된 제품의 외부 형상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갖는 제1 가열판, 및 펀치(10a)이고, 베이킹된 제품의 내부 형상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가열판을 포함하며,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닫을 때 제3 돌출부가 오목부의 벽에 대해 갭을 갖는 오목부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서, 용기 자체 및 그 내용물을 먹을 때 절반부의 변위를 제거함으로써, 용기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EDIBLE CONTAINER FOR FOODSTUFFS AND THERMAL MOLD}
본 발명은 요리 및 베이커리 제조 분야, 특히 패스트 푸드 분야에 사용하여, 식품용 식용 용기 자체 및 식품용 식용 용기의 내용물을 먹을 수 있는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세계는 점점 더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사람들은 패스트 푸드를 포함하여 점점 더 "더 빠른 것"을 선택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대부분이 식품 포장재인 거대한 양의 쓰레기가 발생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배고픔 해결,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단조롭고 극도로 제한된 메뉴 및 건강에 큰 해를 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대의 요리 제품 시장에서, 요리 용기가 식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내용물을 함유하고 포장을 생략할 수 있는 요리 용기가 필요하다.
식용 용기는 패스트 푸드에 대처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아니라 내부의 질적 개선/변화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식용 용기는 메뉴의 범위를 확장하고 건강에 더 좋은 음식과 요리를 제공하며 포장을 거부하고 일회용 식기 및 기구를 사용하여 "패스트 푸드"의 명백한 장점을 유지하면서 단점을 줄이도록 설계되었다.
식용 용기의 주된 아이디어는 간단하다. 즉 식용 용기 내에 음식을 넣을 수 있도록 완전히 밀폐되는 식용 포장재를 만드는 것이다.
음식은 포장재와 함께 먹는 웨이퍼 컵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식용 용기는 모듈-절반부들의 외부 윤곽선의 전체 둘레를 따라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두개의 동일한 성형 모듈-절반부들을 서로를 향해 구부려서 제조한 2개가 동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모듈의 연결된 가장자리는 동일한 프로파일, 길이 및 높이를 갖는 교대로 볼록 및 오목 세그먼트로 구성된 웨이브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2개의 모듈이 연결될 때, 한 모듈의 모든 볼록 및 오목 세그먼트가 또 다른 모듈의 모든 오목 및 볼록 세그먼트와 완전히 접촉하는 모듈-절반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듈-절반부 고정의 편리함과 신뢰성을 위해, 상기 용기는 절반부들을 덮는 종이 조임 테이프의 형태로 만들어지며 한쪽 단부의 표면에 도포된 끈적끈적한 물질에 의해 단단히 부착되는 추가적인 클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청구 대상(식용 용기)의 원형(prototype)으로 채택되었다.
공지된 식용 용기는 여러 가지 심각한 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최대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없다.
공지된 용기는 상호 연결된 2개의 절반부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식품 자체가 채워진다.
그러나 이 절반부들은 트레이처럼 제조되며, 즉, 실제로 바닥이 평평하거나 약간 볼록하게 제조된다.
식사하는 동안 손으로 압박하면 바닥 부분이 손가락의 자연 압력에 영향을 받기쉽다.
용기가 베이킹된 반죽으로 만들어지고 벽 두께가 얇은 취성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용기는 이 트레이의 쉘에 종방향 균열이 생겨 종종 손에서 떨어졌다.
다른 단점은 용기의 두 트레이(모듈-절반부)가 측벽의 단부 면들을 따라 접속(docked)된다는 점이다.
접속점에서 물결 모양이 존재하면, 대칭적 폐쇄 접촉 윤곽이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절반부의 변위를 없앨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용기의 가장자리를 맞물리게 할 때, 절반부들의 위치에 있어서 상호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절반부들이 접속면을 따라 먼저 움직인 다음, 접속면을 따라 측면으로 이동(수평 변위)하여 모양이 변형되고 용기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는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고 대량 사용 및 패스트푸드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기로 고려할 수 없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지된 용기에는 바인딩 종이 테이프가 사용되는데, 이 테이프는 먹는 동안 절반부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감싼다.
동시에 용기를 먹을 때, 이 테이프를 아래로 내려야 하므로 설계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트레이 형태의 이러한 절반부들은 웨이퍼 컵을 베이킹하는데 사용되는 웨이퍼 몰드의 형상을 반복하는 가열(thermal) 프레스로 제조된다.
중공 웨이퍼 제품을베이킹하기 위한 이러한 웨이퍼 몰드는 전형적으로 매트릭스인 컵의 외부 형상을 반복하는 요홈을 갖는 베이스 가열판, 및 펀치이고 컵의 내부 형상을 반복하는 돌출부를 갖는 매트릭스와 관련하여 회전된 제2 가열판을 포함하고, 가열판을 닫을 때 돌출부가 요홈의 벽과 관련하여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요홈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식용용기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열 프레스 물체의 원형으로 채택되었다.
가열판을 가열하기 위한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반죽의 일부가 각각의 요홈에 놓여지고 가열판이 서로 접촉할 때까지 펀치를 내린다. 매트릭스의 요홈 내로 파여진 돌출부는 반죽을 짜내어 요홈의 벽을 따라 퍼지게 한다.
그 후, 반죽 덩어리는 얇은 벽의 컵 형태를 취하는 온도의 영향으로 베이킹되고 결정화된다.
일반적으로 가열판은 증기 방출을 보장하고 요홈 내의 고압을 완화하기 위해 일부 장소에 갭(틈)이 형성된 상태로 서로 인접되어 있다.
이들 장소는 컵의 플랜지 레벨과 정확히 같다(가스와 증기는 반죽에서 나옴). 그러나 컵의 가장자리가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각 컵의 가장자리가 불균일해지고, 부서져서 아이스크림에 사용될 때 외형(presentation)을 망치지 않게 되는데, 이는 가장자리가 아무 용도로도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1297호 2.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7627호
본 발명은 용기 자체 및 그 내용물을 먹을 때 절반부의 변위를 제거함으로써, 용기의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구성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 목적을 위해 특정된 기술 결과는 매트릭스구조로 형성되고, 베이킹된 제품의 외부 형상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갖는 제1 가열판, 및 펀치이고, 베이킹된 제품의 내부 형상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가열판을 포함하며,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닫을 때 제3 돌출부가 오목부의 벽에 대해 갭을 갖는 오목부에 위치하여 식용 용기의 절반부들을 베이킹하기 위한 가열몰드로서,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닫을 때,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은 매트릭스의 오목부의 위치 주위의 영역에서 서로 접촉하고, 상부가 개방되고 식용 용기 절반부의 단부 플랫폼을 형성하기 위해 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단부 지지 플랫폼을 가지고, 식용 용기의 외부 표면상에 요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단부 지지 플랫폼을 따라 제2 돌출부가 복수개로 형성되며, 절반부의 벽에 중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단부 지지 플랫폼의 위치 아래에서 트레이의 내벽에 위치한 중공을 갖는 트레이 형태로 제조되고, 상기 베이킹된 제품의 정보표시부위 형성 영역에서 공동 위의 제2 가열판의 몸체가 관통공을 포함하고, 이들 관통공의 각각이, 가열판의 외측에 테이퍼된 원뿔형 연장부로 끝나는 원통형 영역을 갖는 상기 가열판의 내측에 형성되며, 수분의 최종 증발 및 반죽 모듈의 베이킹 후에만 개방하는 프레스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3 돌출부는 제2 단부 지지 플랫폼의 위치보다 0.2mm~9mm 높이를 가지며 위치되고, 표면상에 정보표시돌기가 양각구조로 돌출되어, 펀치되었을 때 식용 용기의 외부 표면상에 정보표시부위가 돌출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제2 목적을 위해 특정된 기술 결과는, 관통공 주위에서 펀치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캡을 포함하고, 제3 돌출부의 공동으로부터 공기를 펌핑하기 위해 전동 압축기와 제3 돌출부의 공동이 연결된 추출장치가 구비되되;, 제3 돌출부의 공동 일측에 채워진 반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반죽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 압축기에 의한 추출장치의 추출동작을 자동스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제3 목적을 위해 특정된 기술 결과는 동일한 모양과 디자인의 두 절반부를 포함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에 의해 달성되며, 동일한 모양과 디자인의 두 절반부를 포함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로 이루어지고, 절반부 각각이 베이킹된 반죽으로 제조되며 제1 돌출부와 중공이 형성되는 측벽을 갖는 얇은 벽의 트레이 형태를 가지며, 각 절반부가 트레이 바닥의 표면을 따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해 트레이의 형상에서 평면 대칭이 되며, 두 절반부는 한 절반부의 제1 돌출부가 다른 절반부의 중공에 위치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얇은 벽 형태의 중공 쉘을 형성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로서, 각 트레이 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트레이들이 연결될 때 서로에 대한 트레이의 안정적 결착을 확고하게 하기 위해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이 형성되고, 각 트레이의 제1 돌출부 및 중공이 트레이 내벽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을 따라 위치되며, 제1 돌출부가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의 위치보다 위에 위치하고, 중공은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의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측벽의 레벨을 따라 연장된 트레이 내부의 각 제1 돌출부에 상반되게 트레이의 외부 표면에 요홈이 형성되어 외부 표면에 보강재를 형성하고, 트레이의 각 제1 돌출부는 상기 요홈에 상반되게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돌출부는 호형상 구조를 이루도록 매끄러운 라운딩곡선으로 형성되고, 중공은 제1 돌출부와 짝맞춤으로 결합되도록 호형상 구조를 이루도록 매끄러운 라운딩곡선으로 형성되어, 한 트레이의 제1 돌출부가 다른 트레이 내부의 중공으로 들어가 치아형 맞춤밀폐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특징들은 필수적이며 필요한 기술적 결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필수 특징들의 꾸준한 조합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행의 특정 예에 의해 설명되지만, 이것이 가능한 유일한 것은 아니지만 필요한 기술적 결과를 달성 할 가능성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래 모양을 잃지 않고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보관할 수 있어 형태 유지가 우수하고, 식사의 전체 과정에서 식품과 요리가 식용 용기에서 떨어지지 않는 형태의 신뢰성이 좋으며, 길을 걸으며, 포장 및 수저 없이 식용 용기 내에 있는 식품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을 갖는다.
도 1은 장타원형(oblong) 식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를 위한 트레이형 용기의 절반부이다.
도 3은 둥근 식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예를 위한 트레이형 용기의 절반부이다.
도 5는 도 1의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가열판의 폐쇄 위치로서 용기의 절반을 제조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이다.
도 7은 가열판의 개방 위치로서 용기의 2개 절반부를 제조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이다.
도 8은 절반부의 제2 돌출부 위에서 가스-증발제의 출구를 위한 관통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가스-증발제의 출구를 위한 관통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몰드 관통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몰드로부터 식용 용기의 절반부들을 제거하고 몰드 내의 관통 가스배출구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2는 스마트 가열 몰드 위의 추출 장치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몰드의 갭 부피에 의한 반죽 추출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스마트 가열 몰드 표면상에 LED표시부, 알람부, 버튼부가 형성되고, 누름식 잠금수단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이 정위치시키도록 체결잠금시키는 누름식 잠금수단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감지센서, 제어수단이 연결되어, 용기의 2개 절반부를 제조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이다.
도 17은 제어수단이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Z"자형상의 열선과 연결되어 제품별식품용 식용 용기로 맞춤형 제조되도록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을 설정하여, 제품별 기준설정치에 맞게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자동으로 구동제어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제어수단과 전동 압축기가 연결되어,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동 압축기에 의한 추출장치추출장치의 추출동작을 자동스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와, 그 스마트 가열 몰드를 통해 형성 제조된 식품용 식용 용기를 주요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식품용 식용 용기는 스마트 가열 몰드를 통해 형성된 하나의 트레이의 절반부와, 또 다른 하나의 트레이의 절반부가 결합되어 식품용 식용 용기가 형성되고, 치아형 맞춤밀폐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지만, 이 실시예는 오직 하나의 가능한 예가 아니지만, 필요한 기술적 결과의 달성 가능성을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용 용기의 형상은 야채 및 과일 샐러드, 코티지(cottage) 치즈, 으깬 감자, 다양한 반찬, 통조림 및 시리얼과 같은 "어려운" 제품의 보관, 이동, 그리고, 용기 자체 및 그 내용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2개의 동일한 식용 절반부들로 구성된다.
식용 용기는 베이킹된 반죽으로부터 웨이퍼 컵으로 제조된다.
또한 제안된 장치는 다음을 허용한다.
카페에서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식기, 식탁 칼류 및 포장재 없이 거리에서 모든 식품 및 요리(액체 제외)를 기술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길거리 상황에서 사용의 최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 위치 모두에서 부서지거나, 그 온전성을 잃지 않고, 용기 내의 식품과 요리를 손실하지않거나 또는 전체 사용 과정에서 쓸모없게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특성을 갖는다.
요리 식용 용기는 한 손으로 잡기 쉬운 작은 상자로서 식용 재료로 만들어진 용기라고 불리운다.
용기는 액체를 제외한 모든 음식을 함유할 수 있다.
조리 용기를 형성하는 모듈-절반부는 와플 제조에 사용되는 반죽과 유사한 베이킹된 반죽 또는 식용성, 밀도 및 취성과 같이 필요한 기술적 품질을 제공하는 기타 식용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식품용 식용 용기(1) (도 1 및 3)는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식용성과 같이 긍정적인 특성을 제공하는 베이킹된 반죽을 제조하도록 동일한 형상 및 디자인의 2개 절반부(2)로 구성된다.
각 절반부(2)는 트레이 바닥의 표면을 따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평면 대칭인 트레이 형상으로 제조된다.
즉, 위에서 절반부(트레이)를 볼 때, 왼쪽 부분이 오른쪽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된다.
절반부를 뒤집을 때 트레이 하단 절반부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장타원형 용기(도 1 및 2)를 실시하는 예에 대해서, 종축 및 횡축을 따라 대칭이 관찰된다.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을 갖는 용기의 예(도 3 및 4)에 대해서, 평면에서 도면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과하는 모든 축에 대하여 대칭이 관찰된다.
각 절반부(2)는 측벽(도 2 및 4)을 갖는 얇은 벽형 트레이의 형태를 가지며,그로 인해 제1 돌출부(3) 및 중공(4)이 형성되는데, 그 때문에 두 절반부들은 변위없이 상호 연결된다.
두 절반부는 한 절반부의 제1 돌출부가 다른 절반부의 중공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되어 중공의 얇은 벽형 쉘을 형성한다.
변위를 피하고 수집 용기에서 절반부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각 트레이의 측벽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단부 지지 플랫폼(5)이 형성되어 트레이가 서로 연결될 때 서로에 대해 트레이의 안정된 결합을 확고하게 한다.
각 트레이의 제1 돌출부와 중공은 트레이 내부 표면의 측면으로부터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을 따라 위치한다.
제1 돌출부(3)의 상단 라운딩곡선 돌출부위는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의 레벨(위치)보다 위에 위치하고, 중공은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의 레벨(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돌출부는 호형상 구조를 이루도록 매끄러운 라운딩곡선으로 형성되고, 중공은 제1 돌출부와 짝맞춤으로 결합되도록 호형상 구조를 이루도록 매끄러운 라운딩곡선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한 트레이의 제1 돌출부가 다른 트레이 내부의 중공으로 들어가 치아형 맞춤밀폐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치아형 맞춤밀폐식은 치아와 같이, 제1 돌출부와 중공이 서로 맞춤식으로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것을 말한다.
더욱이, 트레이의 각 제1 돌출부는 요홈에 상반되게 위치된다.
제1 돌출부 및 중공은 그 갯수가 항상 동일한 폐쇄 루프를 교대로 형성하며,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대칭축은 제1 돌출부와 중공 사이의 경계를 엄격하게 통과하므로, 대칭축의 일측에는 제1 돌출부가 있고 타측에는 중공이 있다.
이를 통해 절반부를 다른 방향으로 돌리고 서로에 대해 방향을 조정하는 추가 조작없이 동일한 모양과 디자인의 절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할 때, 두 절반부들은 그들의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에 대향하여 서로 상부에 안착되어 놓인다(절반부들은 예를 들어 트레이 바닥을 따른 대칭 종축의 형상과 동일하게 제조되기 때문).
따라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의 위치 결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제1 돌출부는 이러한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의 높이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트레이를 연결할 때 한 트레이의 제1 돌출부가 다른 트레이 내부의 중공으로 들어가 트레이의 어느 일측에서 측면 변위를 확실하게 배제한다. 한 트레이의 제1 단부 지지 플랫폼 일측에는 제1 돌출부(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제1 돌출부(3)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다른 트레이의 제1 단부 지지 플랫폼 일측에는 제1 돌출부(3)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중공(4)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용기의 가장자리를 맞물릴 때, 고정 모드가 유지되고 절반부들은 측면으로 분기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측벽의 높이를 따라 연장된 트레이 내부의 각 제1 돌출부와 반대되는 트레이의 외부 표면에 요홈(6)이 형성되어 외부 표면에 보강재를 형성한다.
이 보강재를 형성해야할 필요성은 두 가지 순간(moment) 때문이다.
첫 번째는 트레이(절반부)가 베이킹할 때, 뜨거운 열과 접촉되는 얇은 벽 형태의 쉘이기에, 보강재가 필요하다.
베이킹할 때, 이 쉘 구조의 균일성 및 전체 표면에 걸친 쉘의 동일한 성숙도(숙성도)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반죽 조각의 모든 벽의 두께가 대략 동일한 경우에만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형상을 보면, 제1 돌출부 영역의 벽 두께는 중공 영역의 벽 두께보다 상당히 크다.
베이킹할 때, 모든 벽은 제1 돌출부에 인접한 영역보다 더 빠르게 베이킹 숙성도에 도달한다.
이때, 제1 돌출부에 인접한 영역은 덜 베이킹될 것이다.
그리고 제1 돌출부에 인접한 영역의 베이킹을 기다리는 경우, 나머지 벽에 위치한 베이킹된 반죽이 타버린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돌출부에 상반되는 트레이의 외부 표면상의 요홈의 구현은 벽 두께가 평평해지고, 트레이의 형상 전반에 걸쳐 거의 동일해지는 사실을 초래한다.
두 번째는 사용되는 기술이나 재료에 관계없이 모든 얇은 벽의 쉘이 비틀림 가능성을 향상시켜 베이킹을 실시하는 경우 트레이의 파괴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쉘의 보강재는 비틀림 저항력을 크게 증가시킨다.
트레이 바닥의 외부 표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정보표시부위(7)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정보는 웨이퍼 컵(골판 메쉬)을 베이킹할 때와 같이 베이킹 중에 엠보싱에 의해 얻어진 새긴 글자 또는 그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도 1 및 5).
이러한 식용 용기의 사용에서의 작동 신뢰성은 절반부들(트레이들)의 신뢰성있는 상호 연결에 기초한다.
이것은 트레이를 베이킹할 때 제1 단부 지지 플랫폼, 제1 돌출부 및 중공의 형상에 대한 정확도가 달성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그리고 이것은 트레이의 이들 영역이 반죽의 흐름을 위해 제한된 양으로 스마트 가열 몰드 내에 있을 때만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측벽 둘레 부분의 정확한 구성을 갖는 절반부를 얻기 위해 새로운 형상을 갖는 스마트 가열 몰드가 사용된다(도 6 및 7).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는 매트릭스이며, 베이킹된 식품의 외부 형상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9)(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있을 수 있음)를 갖는 제1 가열판(8), 및 펀치(10a)가 형성되고, 식품의 내부 형상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11)를 갖는 제2 가열판(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가열판(8), 제2 가열판(10)은 내부공간 "Z"자형상의 열선이 포함되어 표면상에 균등하여 열을 가열시킨다. 여기서, 펀치(10a)는 후단의 힌지구조를 기준으로 내려서 제1가열판(8)과 제2 가열판(10)을 서로 접촉시키게 하거나, 또는 올려서 제1가열판(8)과 제2 가열판(10)을 서로 이격시키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3 돌출부(11)는 제2 단부 지지 플랫폼의 위치보다 0.2mm~9mm 높이를 가지며 위치되고, 표면상에 정보표시돌기가 양각구조로 돌출되어, 펀치가 내려졌을 때 식용 용기의 외부 표면상에 정보표시부위가 돌출형상을 갖도록 형성시킨다. 여기서, 0.2mm~9mm 높이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0.2mm이하에서는 정보표시가 불투명하게 돌출되는 문제점이 생기고, 9mm이상에서는 식용용기의 외부 표면에 정보표시보다는 펀치의 내리는 힘에 찌그러지고 반죽이 묻게 되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생기므로, 0.2mm~9mm 높이를 가지며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정보표시부위가 음각형상으로도 형성된다.
이 부분에서 몰드 설계는 아이스크림 웨이퍼 컵을 베이킹하기 위해 공지된 몰드 설계를 따른다.
제1 가열판(8), 제2 가열판(10)이 닫힐 때, 제3 돌출부(11)는 오목부(9)의 벽에 대해 갭(13)을 갖는 오목부(9) 내에 위치된다. 여기서, 갭(13)은 정단면도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활형상으로 형성되어, 반죽이 바닥표면까지 완전충진되도록 안내하면서, 베이킹된 반죽을 손쉽게 빼낼 수가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닫을 때,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은 매트릭스의 오목부의 위치 주위의 영역에서 서로 접촉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열었을 때, 제1 가열판의 상부가 개방되고, 식용 용기 절반부의 제1 단부 지지 플랫폼(5)을 형성하기 위해 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단부 지지 플랫폼(12a)을 가지고, 식용 용기의 외부 표면상에 요홈이 형성되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용기 절반부의 벽에 중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단부 지지 플랫폼(12a)의 위치 아래에 있는 내벽에 위치한 중공(4a)을 갖는 트레이 형태로 제조되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킹된 제품의 정보표시부위 형성 영역에서 공동 위의 제2 가열판의 몸체가 관통공(15a)을 포함하고, 이들 관통공(15a)의 각각이, 가열판의 외측에 테이퍼된 원뿔형 연장부로 끝나는 원통형 영역을 갖는 상기 제2 가열판의 내측에 형성되며, 수분의 최종 증발 및 반죽 모듈의 베이킹 후에만 개방하는 프레스가 형성된다. 트레이는 식품을 담거나, 담아서 나를 수 있도록 제1 돌출부(3)와 중공(4)이 짝을 이루거나, 또는 제2 돌출부(3a)와 중공(4a)이 짝을 이루며 나열된 형태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돌출부(3a)는 펀치의 내리는 힘에 의해 한 트레이의 제1 돌출부의 상단 양쪽에 매끄러운 라운딩곡선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도 9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φ60~φ400의 라운딩지름(mm)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2 돌출부(3a)가 중심을 기준으로 φ60~φ300의 라운딩지름(mm)이 형성되는 이유는 φ60이하에서는 제1 돌출부의 상단 양쪽에 형성된 라운딩곡선이 거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에 의해 쉽게 마모되고,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φ400이상에서는 한 트레이의 제1 돌출부와 다른 트레이의 중공이 결합시, 틈이 많이 생겨, 음식물이 외부로 새거나 튀어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φ60~φ400의 라운딩지름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에서 중심은 제2 돌출부를 "+"로 표시한 상태에서 그 중심점을 말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제2 돌출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φ60~φ400의 라운딩지름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서, 한 트레이의 제1 돌출부의 상단 양쪽에 매끄러운 라운딩곡선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돌출부와 중공이 결합시, 외압에 의해 쉽게 마모되거나, 부서지지 않고, 음식물이 외부로 새거나 튀지 않은 상태로, 보관, 이동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닫을 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열판과 제2 가열판이 접촉 연결된 외부 표면 일측에 뜨거운 수증기, 압력에 의해 제1 가열판과 제2 가열판이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 상태에서 반죽이 베이킹되어 정형화된 식품용 용기가 형성되도록 체결잠금시키는 누름식 잠금수단(2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누름식 잠금수단(20)은 누름식 걸림바(21), 체결고리부(22), 체결고리거치돌기(23), 삽입홈(24)이 구성된다. 상기 누름식걸림바(21)는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그립을 기준으로 좌측 일측과 우측 일측에 위치한 제1 가열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누르면 걸림바가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삽입홈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고리부(22)는 누름식걸림바의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누름식걸림바와 삽입홈이 체결되어 결합되면, 누름식걸림바와 삽입홈 주위에 형성된 체결고리거치돌기를 함께 고리형태로 체결하여 잠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고리거치돌기(23)는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그립을 기준으로 좌측 일측과 우측 일측에 위치한 제2 가열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체결고리부가 거치되도록 하여 제2 가열판이 제1 가열판이 정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홈(24)은 체결고리거치돌기와 동일선상의 내부공간에 누름식걸림바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가열판과 제2 가열판이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 상태에서 반죽이 베이킹되어 정형화된 식품용 용기가 형성되도록 체결잠금시키는 누름식 잠금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잠금수단이 구성된다.
신규한 가열몰드의 특징은, 제1 가열판(8), 제2 가열판(10)을 닫을 때 이들이 오목부의 위치 주위의 영역(12)에서 서로 접촉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식용 용기의 외부 표면상에 요홈이 형성된다.
가열판들이 닫히면, 가열판들은 이들 영역과 접촉하여 실질적으로 갭 공동을 밀폐하고 반죽이 갭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
매트릭스의 오목부 벽과 제3 돌출부의 벽 사이의 갭 공동은 상부가 개방된 트레이의 형상을 부피 내에 반복하며, 그의 형상은 도 2 및 4에 변형 형태로 제공된다.
베이킹하는 동안 증기와 가스가 발생하여 갭 공동에 압력이 증가하므로 증기와 가스는 배출되어야 한다.
제1 가열판(8), 제2 가열판(10)을 견고하게 고정하면, 반죽이 존재하는 갭(13)의 공동이 반죽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차단되므로 압력이 방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통공(가스 튜브)(15a)이 식품의 정보표시부위를 형성하는 영역에서 공동 위의 제2 가열판(10)의 몸체에 형성되며, 각 관통공(15a)은 원통부(14)를 갖는 상기 가열판 내측에 형성되고, 원통부(14)는 상기 가열판의 외측에 원뿔형 연장부(15)로 끝난다(도 6, 8-10).
다수의 가스 덕트는 핀 공동의 중심 바로 위에서 몰드의 상부, 펀치에만 위치한다.
가스 덕트의 수는 모듈 핀의 수를 결정한다.
모듈의 스터드 수량은 가스덕트의 수량과 유사하다.
베이킹할 때, 반죽이 갭의 공동 위로 확산되고 부피가 커져 전체 공동을 채우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으로부터 발생된 가스와 증기는 관통공(15a)을 통해 외부로 "탈출"된다.
베이킹하는 동안 반죽은 매트릭스 및 펀치의 벽에 대향하여 견고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절반부 벽의 제2 단부지지 플랫폼, 제3 돌출부 및 오목부의 매끄럽고 균일한 표면이 형성된다.
스마트 가열 몰드에서 트레이(절반부)를 제조하기 위해 프레스의 두 부분이 반죽의 베이킹 온도까지 가열된다.
그 다음, 액체 웨이퍼 반죽을 프레스의 하부(오목 매트릭스 내)에 붓고 프레스를 만곡된 부분(펀치)으로 폐쇄시킨다.
베이킹하는 동안, 끓는 웨이퍼 반죽은 와플 프레스의 내부 공동을 따라 상승하여 핀의 공동을 포함하여 밀폐된 전체 부피를 채운다.
끓는 반죽에서 점차적으로 나오는 뜨거운 수증기가 몰드의 상부 부분으로 상승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 핀 공동에 모여 가스파이프와 깔때기 모양의 노즐을 통해 얇은 제트(zet)로 펀치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여 나온다.
증기와 달리, 몰드의 핀 공동에 채워지는 반죽은 통기 파이프를 통과할 수 없고, 그들의 직경은 작고 반죽은 너무 점성적이고 혼탁하다.
프레스는 수분의 최종 증발 및 반죽 모듈의 베이킹 후에만 개방된다.
프레스(식용 용기 모듈)에서 얻어진 볼록 웨이퍼는 최종 냉각 및 경화를 위해 제거된다.
반죽의 일부는 관통공의 일부를 채우거나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관통공을 세정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손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 또는 그립(17)을 갖는 기저부(16)를 포함하는 식용 용기(도 11)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해 스마트 가열 몰드의 관통공을 세정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한다. 다른 측면에서, 기저부는 평평하고 이 측면에서 스포크(18)는 이들 스포크를 이들 관통공 내로 도입하기 위해 스마트 가열 몰드의 펀치상에 있는 관통공의 위치에 상응하는 지점에 고정된다.
작업자는 장치의 손잡이를 잡고 스포크를 관통공 반대쪽 펀치의 외부에 놓고 스포크를 관통공(15a) 내로 삽입한다.
넓은 깔때기는 펀치 스포크를 가스 덕트로 안내하고 한 번에 가스 덕트를 세정한다. 관통공(15a)이 막히면 스포크로 부스러기를 두드려서 배출시킨다.
또한, 이 모듈이 펀치의 제3 돌출부에 달라붙는 경우, 펀치에서 모듈(절반부)을 제거하는 데 상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가열 프레스의 형상은 강제 추출 장치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도 12).
끓는 반죽의 자연적인 팽창은 펀치의 작은 관통공으로 인해 다소 느리기 때문에 추출 장치는 핀의 공동에서 반죽을 "상승"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강제 배기장치(도 12)는 관통공(15a)을 중심으로 펀치(10a)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캡(19)을 포함하고(이들 관통공이 캡 내부에 있도록), 그의 공동은 이 공동으로부터 공기를 펌핑하기 위해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전동 압축기가 구비된 추출 장치는 액체 반죽을 붓고 펀치를 내린 후 처음 몇초에만 켜진다.
반죽이 제3 돌출부의 공동을 채우자마자 추출 장치가 꺼지고, 용기 모듈의 추가 베이킹이 정상 모드에서 일어난다. 이는 제3 돌출부의 공동 일측에 채워진 반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1)와, 도 18과 같이,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반죽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 압축기에 의한 추출장치의 추출동작을 자동스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어수단(32)은 도 16과 같이,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과 연결되어, 야채 및 과일 샐러드, 코티지(cottage) 치즈, 으깬 감자, 다양한 반찬, 통조림 및 시리얼과 같은 제품별식품용 식용 용기로 제조되도록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을 설정하여, 제품별 기준설정치에 맞게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자동으로 구동제어시킨다. 즉, 제1 가열판(8), 제2 가열판(10)의 내부공간에는 "Z"자형상의 열선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이 연결되어, "Z"자형상의 열선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을 제품별식품용 식용 용기로 맞춤형 제조되도록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을 설정하여, 제품별 기준설정치에 맞게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자동으로 구동제어시킨다.
그리고,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한 타이밍설정제어로 베이킹이 완료되면 외부에 LED표시부의 깜박거림 또는 알람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도 14와 같이, 가열몰드 표면상에 LED표시부(33), 알람부(34), 버튼부(3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버튼부(35)의 내부공간에 제어수단이 구성되고, 제어수단 일측에 근거리무선통신수단(36)이 구성된다. 여기서, 근거리무선통신은 전동 압축기에 의한 추출장치와 연결되어,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동 압축기에 의한 추출장치쪽으로 추출동작 스톱신호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제어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 PIC원칩마이컴, 마이크로컴퓨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단자 일측에 감지센서가 연결되어 감시센서로부터 센싱된 공동 일측에 채워진 반죽감지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버튼부가 연결되어, 버튼부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며, 출력단자 일측에 LED표시부가 연결되어, 각 기기의 동작상태, 온도, 가열시간을 표출시키도록 출력신호를 보내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알람부가 연결되어, 위험상황발생시, 알람을 구동시키는 출력신호를 보내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근거무선통신수단이 연결되어, 외부의 전동 압축기와 무선통신되도록 연결시킨 상태에서, 전동 압축기의 구동온신호 또는 구동오프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추출 깔때기는 영구적인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짧은 시간 동안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마트 가열 몰드를 통해 형성된 하나의 트레이의 절반부와, 또 다른 하나의 트레이의 절반부가 결합되어 식품용 식용 용기가 제조 형성된다.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 가능하며, 제품은 웨이퍼 컵의 제조에 사용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실제로 다양한 식품 및 요리와 함께 샘플을 여러 번 시험하여 올바른 형상과 식용 용기의 아이디어를 확인하였다. 시험하는 동안 다음 세가지 중요한 결과가 확립되었다.
첫째, 형태 유지이다.
즉, 조립될 때(음식을 폐쇄된 부피 내에 넣은 상태에서), 식용 용기는 원래 모양을 잃지 않고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보관할 수 있다.
둘째, 형태의 신뢰성이다.
즉, 식사의 전체 과정에서 식품과 요리가 식용 용기에서 떨어지지 않는다(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용기 내에 유지됨).
셋째, 사용 편의성이다.
즉, 길을 걸으며, 포장재 및 식탁 칼류없이, 식용 용기 내에 있는 심지어 "복잡한”식품(샐러드 및 시리얼과 같은 것)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
식용 용기는 제조하기 쉽고, 식품을 채우기 쉽고, 조립하기 쉬우며, 간단하고 먹기에 편리하다.
식용 용기 모듈은 동일한 몰드에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동일하다.
식용 용기는 후속적인 적용과 하부 모듈과의 긴밀한 연결로 상부 모듈을 단순히 돌리기만 하면 두 모듈로부터 조립된다.
식용 용기의 음식은 웨이퍼 컵의 아이스크림과 비슷하지만, 크게 다른 점은 컵과는 달리 식용 용기의 내부 부피가 처음부터 모든 측면으로부터 폐쇄된다는 것이다.
1 : 식용 용기 2 : 절반부
3 : 제1 돌출부 3a : 제2 돌출부
4 : 중공 5 : 제1 단부지지플랫폼
6 : 홈 7 : 정보표시부위
8 : 제1 가열판 9 : 오목부
10 : 제2 가열판 11 : 제3 돌출부
12 : 영역 12a : 제2 단부지지플랫폼
13 : 갭 14 : 원통부
16 : 기저부 17 : 그립
18 : 스포크 19 : 캡

Claims (5)

  1. 매트릭스구조로 형성되고, 베이킹된 제품의 외부 형상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갖는 제1 가열판, 및 펀치(10a)로 형성되며, 베이킹된 제품의 내부 형상을 반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가열판을 포함하며,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닫을 때 제3 돌출부가 오목부의 벽에 대해 갭을 갖는 오목부에 위치하여 식용 용기의 절반부들을 베이킹하기 위한 가열몰드로서,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닫을 때,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은 매트릭스의 오목부의 위치 주위의 영역에서 서로 접촉하고, 제1 가열판, 제2 가열판을 열었을 때, 제1 가열판의 상부가 개방되고, 식용 용기 절반부의 제1 단부 지지 플랫폼(5)을 형성하기 위해 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단부 지지 플랫폼(12a)을 가지고, 식용 용기의 외부 표면상에 요홈이 형성되며, 식품용기 절반부의 벽에 중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단부 지지 플랫폼(12a)의 위치 아래에 있는 내벽에 위치한 중공(4a)을 갖는 트레이 형태로 제조되고, 상기 베이킹된 제품의 정보표시부위 형성 영역에서 공동 위의 제2 가열판의 몸체가 관통공(15a)을 포함하고, 이들 관통공의 각각이, 가열판의 외측에 테이퍼된 원뿔형 연장부로 끝나는 원통형 영역을 갖는 상기 제2 가열판의 내측에 형성되며, 수분의 최종 증발 및 반죽 모듈의 베이킹 후에만 개방하는 프레스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제2 단부 지지 플랫폼의 위치보다 0.2mm~9mm 높이를 가지며 위치되고, 표면상에 정보표시돌기가 양각구조로 돌출되어, 펀치(10a)가 내려졌을 때 식용 용기의 외부 표면상에 정보표시부위가 돌출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5a) 주위에서 펀치(10a)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캡을 포함하고, 제3 돌출부의 공동으로부터 공기를 펌핑하기 위해 전동 압축기와 제3 돌출부의 공동이 연결된 추출장치가 구비되되;, 제3 돌출부의 공동 일측에 채워진 반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반죽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 압축기에 의한 추출장치의 추출동작을 자동스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중심을 기준으로 φ60~φ400의 라운딩지름(mm)이 형성되어, 펀치(10a)의 내리는 힘에 의해 한 트레이의 제1 돌출부의 상단 양쪽에 매끄러운 라운딩곡선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4. 동일한 모양과 디자인의 두 절반부를 포함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로 이루어지고, 절반부 각각이 베이킹된 반죽으로 제조되며 제1 돌출부와 중공이 형성되는 측벽을 갖는 얇은 벽의 트레이 형태를 가지며, 각 절반부가 트레이 바닥의 표면을 따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해 트레이의 형상에서 평면 대칭이 되며, 두 절반부는 한 절반부의 제1 돌출부가 다른 절반부의 중공에 위치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얇은 벽 형태의 중공 쉘을 형성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로서,
    각 트레이 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트레이들이 연결될 때 서로에 대한 트레이의 안정적 결착을 확고하게 하기 위해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이 형성되고, 각 트레이의 제1 돌출부 및 중공이 트레이 내벽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을 따라 위치되며, 제1 돌출부(3)의 상단 라운딩곡선 돌출부위는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의 레벨(위치)보다 위에 위치하고, 중공은 제1 단부 지지 플랫폼의 레벨(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측벽의 레벨을 따라 연장된 트레이 내부의 각 제1 돌출부에 상반되게 트레이의 외부 표면에 요홈이 형성되어 외부 표면에 보강재를 형성하고, 트레이의 각 제1 돌출부는 상기 요홈에 상반되게 위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호형상 구조를 이루도록 매끄러운 라운딩곡선으로 형성되고, 중공은 제1 돌출부와 짝맞춤으로 결합되도록 호형상 구조를 이루도록 매끄러운 라운딩곡선으로 형성되어, 한 트레이의 제1 돌출부가 다른 트레이 내부의 중공으로 들어가 치아형 맞춤밀폐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 식용 용기는
    트레이 바닥의 외부 표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정보표시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식용 용기.
KR1020210033473A 2021-03-15 2021-03-15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KR10227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73A KR102276845B1 (ko) 2021-03-15 2021-03-15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73A KR102276845B1 (ko) 2021-03-15 2021-03-15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845B1 true KR102276845B1 (ko) 2021-07-13

Family

ID=7685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473A KR102276845B1 (ko) 2021-03-15 2021-03-15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8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19A (ja) * 1988-06-28 1990-01-11 Tada Seisakusho:Kk 両面焼き機
KR970020903A (ko) * 1995-10-13 1997-05-28 원본미기재 식품 포장용기
KR20040017771A (ko) * 2002-08-20 2004-02-27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형상을 갖는 음식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몰드
KR20080001835U (ko) * 2006-12-11 2008-06-16 이호상 아이스크림 용기
KR20150141297A (ko) 2014-06-10 2015-12-18 이경구 누룽지컵 식용용기를 이용한 즉석 볶음밥 제조방법
KR20200057627A (ko) 2018-11-16 2020-05-26 씨제이제일제당 (주) 콘 형상의 식용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19A (ja) * 1988-06-28 1990-01-11 Tada Seisakusho:Kk 両面焼き機
KR970020903A (ko) * 1995-10-13 1997-05-28 원본미기재 식품 포장용기
KR20040017771A (ko) * 2002-08-20 2004-02-27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형상을 갖는 음식물을 형성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몰드
KR20080001835U (ko) * 2006-12-11 2008-06-16 이호상 아이스크림 용기
KR20150141297A (ko) 2014-06-10 2015-12-18 이경구 누룽지컵 식용용기를 이용한 즉석 볶음밥 제조방법
KR20200057627A (ko) 2018-11-16 2020-05-26 씨제이제일제당 (주) 콘 형상의 식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15336B (zh) 食品用可食容器和用于烘烤可食容器半部的热模
CA2645648C (en) Poach pod
EP1391173A2 (en) Adjustable mold for forming shaped foods
US20080274243A1 (en) Baking pan
US2656946A (en) Dish
US20080220132A1 (en) Cone-shaped tortilla molds and method of cooking conical tortilla shells
WO2007043154A9 (ja) パスタの電子レンジ調理用システム容器
WO2006062527A1 (en) Loaf cake pan assembly
US20120003363A1 (en) Edible bread cup and method of production
US7754261B2 (en) Food containment cooking device
US2014017855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ingredient preparation
US20050120891A1 (en) Rectangular cake pan assembly
US11844354B2 (en) Thermal mold for making edible container for food products
JP2014528731A (ja) 食品製品の成形調理装置、食品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食品製品
JP3783216B2 (ja) スープ付きカップ容器入りパン
KR102276845B1 (ko) 식품용 식용 용기의 절반부를 베이킹하기 위한 스마트 가열 몰드
AU2013202178B2 (en) Multi-walled container
CN101272717B (zh) 面食的微波炉烹调用系统容器
CA2829726C (en) Cookie baking set
RU2763564C1 (ru) Съедоб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термическая пресс-форма для выпечки половинок этого съедоб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CN209450383U (zh) 免烘烤透明食品模具
RU2784065C1 (ru) Съедоб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съедоб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и термическая форма для выпечки половинок этого съедоб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и самого контейнера
US20210386241A1 (en) Stuffed waffle utensil
JP3037243U (ja) 冷凍大判焼
NO20012945L (no) F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