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478B1 -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 Google Patents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478B1
KR102439478B1 KR1020200079842A KR20200079842A KR102439478B1 KR 102439478 B1 KR102439478 B1 KR 102439478B1 KR 1020200079842 A KR1020200079842 A KR 1020200079842A KR 20200079842 A KR20200079842 A KR 20200079842A KR 102439478 B1 KR102439478 B1 KR 102439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bowel movement
coupled
movement tube
defe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626A (ko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riority to KR102020007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4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25Foldable or collapsible litt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견의 산책 중이거나 또는 물속에서 애완견의 배변을 방수상태에서 받아낼 수 있고, 배변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애완견의 좌석기능을 제공하는 배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의 원통으로 상단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걸이(11)가 돌출 형성된 배변통(10); 상기 배변통(10)의 측면에 원통형으로 돌출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21)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21)의 내측에 밀착 결합되고 중심에 방사상으로 절개부(23)가 형성된 배출덮개(22)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를 통해 배변봉지(40)를 배출하는 배출부재(20); 상기 돌출부(21)와 나사 결합되어 배변통(10)을 밀폐시키는 마개(24); 상기 배변통(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밀착되는 밀착부재(30); 상기 배변통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일회용 배변봉지(40); 상기 배변통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시트플레이트(50); 애완견의 허리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탄성을 갖는 허리밴드(60), 및 일단이 상기 허리밴드(60)에 일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결합걸이(1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64)가 구비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고정밴드(62)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애완견에게 착용된 배변장치에 의하여 애완견이 실내에서 배변을 잘 가리지 못하거나 또는 산책이나 물놀이 중에도 애완견의 배변활동에 따른 배설물의 뒤처리가 간편하고, 일회용 배변봉지의 이용과 배변통 내부에 살균 및 탈취제의 분사로 위생적이며, 애완견의 활동 중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좌석기능을 부여하고, 애완견의 관리의 편의성과 애완견의 건강 향상을 구현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Defecation Apparatus for Fet Dog with Seat Function}
본 발명은 애완견용 배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견의 산책 중이거나 또는 물속에서 애완견의 배변을 방수상태에서 받아낼 수 있고, 배변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애완견의 좌석기능을 제공하는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견은 가정에서 기르는 개로 흔히 반려견이라고도 한다. 애완견을 오랫동안 사람과 더불어 살아왔다. 최근 애완견에 대한 인식변화와 핵가족화로 인하여 애완견을 기르는 가구가 많아지고 있다. 더욱이 애완견을 위한 사료, 간식, 놀이기구, 미용, 관련 용품 등의 시장이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애완견을 기르는 동안 실내에서는 설정된 곳에서만 배변을 가릴 수 있도록 하고, 애완견의 산책 중에는 수거용 장갑이나 기구 및 일회용 비닐, 티슈 등을 휴대하여 배변을 처리한다. 이런 경우에는 애완견의 배변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비위생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애완동물이 수거봉투를 달고 다니는 동안이나 또는 앉을 때에 수거봉투가 찌그러질 수 있어 수거봉투에 배변을 제대로 수거하지 못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다소 혐오스러울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2는 주름이 형성된 채변봉투의 쉽게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고, 애완동물이 채변봉투를 달고 다니는 동안이나 또는 앉을 때에 채변봉투가 찌그러질 수 있어 채변봉투에 배변을 제대로 수거하지 못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다소 혐오스러울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3은 채변봉투의 결합과 분리가 쉽지 않고 위생적인 문제가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3589호(2008.07.0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8704호(2004.04.2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3568호(2006.11.02.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견의 배변을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처리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견의 항문에 배변통이 밀착되도록 고정시켜 물에서도 배변을 할 수 있도록 방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견이 배변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지면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좌석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의 원통으로 상단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걸이가 돌출 형성된 배변통; 상기 배변통의 측면에 원통형으로 돌출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밀착 결합되고 중심에 방사상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배출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덮개의 절개부를 통해 배변봉지를 배출하는 배출부재; 상기 돌출부와 나사 결합되어 배변통을 밀폐시키는 마개; 상기 배변통의 상부로 돌출되고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밀착되는 밀착부재; 상기 배변통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일회용 배변봉지; 상기 배변통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시트플레이트; 애완견의 허리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탄성을 갖는 허리밴드, 및 일단이 상기 허리밴드에 일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결합걸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일회용 배변봉지는 입구를 제외한 좌우 측단과 하단은 밀폐 처리된 것으로, 입구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 아래에 가로로 관통 형성된 조임공에 삽입된 일정 길이의 조임용 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일회용 배변봉지의 조임용 끈의 단부를 배출덮개의 절개부까지 인출하여 절개부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플레이트는 하단면이 편평한 원반 형상으로, 저면에 설치되어 시트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로 외부에 시각 및 청각적인 표시를 하는 복수의 발광부재, 스피커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와, 중심 내부에 설치되어 일정 용량의 살균 및 탈취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로부터 배변통 내부로 살균 및 탈취제를 분사하는 분사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밴드에는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허리밴드는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가 결합되거나 또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재는 입구의 직경이 큰 깔때기 형상이거나,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링 형상이거나 또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관의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거나 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견에게 착용된 배변장치에 의하여 애완견이 실내에서 배변을 잘 가리지 못하거나 또는 산책이나 물놀이 중에도 애완견의 배변활동에 따른 배설물의 뒤처리가 간편하고, 일회용 배변봉지의 이용과 배변통 내부에 살균 및 탈취제의 분사로 위생적이며, 애완견의 활동 중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좌석기능을 부여하고, 애완견의 관리의 편의성과 애완견의 건강 향상을 구현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를 애완견이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애완견이 앉은 자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배변통(10)은 내부에 배변봉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의 원통이다. 즉, 배변통(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이다. 더욱이 배변통(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각기둥 형상이어도 좋다. 배변통(10)은 애완견의 항문에 밀착 결합되어 애완견의 배설물을 받아내기 위한 것으로, 배변통(10)은 대략 측단면에서 원호 형상이거나 또는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애완견의 일반적인 활동 방해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외견상 미관이나 거부감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배변통(10)의 상단 외주연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걸이(11)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걸이(11)에는 체결부재(64)가 체결되는 체결공(12)이 형성된다. 배변통(10)의 하부 외주연에는 시트플레이트(50)에 구비된 결합돌기(59)와 결합을 위한 결합공(14)이 형성된다. 결합돌기(59)와 결합공(14)은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더욱이 도 4의 실시 예에서, 시트플레이트(50)는 배변통(10)과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변통(10)의 내측 상부에는 복수의 고정용 고리(13)가 구성된다. 고정용 고리(13)는 배변봉지(40)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배변통(10)은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더욱이 배변통(10)은 애완견의 항문에 착용된 상태에서 밀폐되는 구조로 인하여 내부로 물이 침투하지 않는 방수기능과 더불어 애완견의 배설물로부터 발생된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도 3에서, 배출부재(20)는 배변통(10)의 내부에 설치된 배변봉지(40)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배변통(10)과 연통된다. 돌출부(21)는 배변통(10)의 측면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21)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배출덮개(22)는 돌출부(21)의 내측에 밀착 결합되고, 중심에 방사상으로 절개부(23)가 형성된다.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를 통해 배변통(10)의 내부에 설치된 배변봉지(40)를 끄집어낼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또한, 절개부(23)의 슬릿에는 배변통(10)의 내부에 설치된 배변봉지(40)의 조임공(42)에 결합된 조임용 끈(43)의 단부를 고정한다.
마개(24)는 돌출부(21)에 나사 결합되어 배출부재(20)를 밀폐시킨다. 마개(24)는 배출덮개(22)의 중심에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개부(23)가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킨다. 마개(24)는 배출부재(20)를 개폐하는 구조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밀착부재(30)는 배변통의 상단에서 돌출되고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밀착되는 것이다. 밀착부재(30)는 밀착을 위하여 탄성을 갖는 것이 좋다. 더욱이 밀착부재(30)는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난 털을 압박하여 밀착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이 적용된다. 밀착부재(30)는 입구의 직경이 큰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밀착되는 부분이 넓게 형성되어 밀착성의 향상으로 밀착부재(30)의 기밀성을 도모한다. 또한, 밀착부재(30)는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어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밀착될 때에 기공에 의한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재(30)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관으로 구성되어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밀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시트플레이트(50)는 하단면이 편평한 원반 형상으로 배변통(1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다. 시트플레이트(50)는 애완견이 배변통(10)을 착용한 상태에서 애완견이 바닥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바닥면이 되는 부분이다. 시트플레이트(50)는 일정기간 동안 배변통(10)을 사용한 후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4에서, 시트플레이트(50)에는 압력센서(51)가 설치된다. 압력센서(51)는 배변통(10)을 깔고 앉을 때에 시트플레이트(5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시트플레이트(50)에는 압력센서(51)의 감지신호로 외부에 시각 및 청각적인 표시를 하는 표시장치(52)가 설치된다. 표시장치(52)는 시트플레이트(5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가시적인 표시를 위한 복수의 발광부재(53)가 구비된다. 발광부재(53)는 점등되거나 점멸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장치(52)로서 스피커(54)를 포함한다. 스피커(54)는 압력센서(51)의 감지신호로 설정된 음향이 출력된다. 그리고 압력센서(51)와 표시장치(52)의 작동을 위한 배터리(55)가 포함된다.
또한, 시트플레이트(50)의 중심 내부에 일정 용량의 살균 및 탈취제를 수용하는 용기(56)가 설치된다. 용기(56)에 수용되는 살균 및 탈취제는 애완견의 배변 후에 발생하는 냄새를 탈취하고 살균할 수 있는 피톤치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트플레이트(50)에는 용기(56)로부터 배변통(10) 내부로 살균 및 탈취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버튼(57)이 구비된다. 따라서 애완견의 배변 후에 배변통(10)으로부터 배변봉지(40)를 분리한 후에 분사버튼(57)을 눌러 용기(56)의 분사공(58)으로부터 살균 및 탈취제가 배변통(10)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냄새제거와 애완견의 위생 및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배변봉지(40)는 배변통(1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입구를 제외한 좌우 측단과 하단은 밀폐 처리된 것이다. 배변봉지(40)는 일회용이 적용되고 실제 애완견의 배설물이 담긴다. 배변봉지(40)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상부 외주에 복수의 고정공(41)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변통(10) 상부 내측에 구성된 복수의 고정용 고리(13)에 배변봉지(40)의 입구에 형성된 고정공(41)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배변봉지(40)의 고정공(41) 아래에 가로로 조임공(42)이 관통 형성된다. 조임공(42)에는 일정 길이의 조임용 끈(43)이 삽입된다.
더욱이 배변통(10)의 고정공(41)에 상부가 고정된 배변봉지(40)의 조임공(42)에 삽입된 조임용 끈(43)의 각 단부는 배출부재(20)에 고정 결합된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 사이에 고정시켜 두었다가 배변봉지(40)를 배변통(10)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조임용 끈(43)을 가압하여 당기면 배변봉지(40)의 각 고정공(41)이 고정용 고리(13)로부터 찢어지면서 분리된 배변봉지(40)는 입구가 조임용 끈(43)에 의하여 묶어지면서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를 밀고 배출된다.
허리밴드(60)는 애완견의 허리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허리밴드는 탄성을 갖는 재질이 적용된다. 허리밴드(60)는 애완견의 허리에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도 4에서, 허리밴드(60)는 애완견의 산책 때에 거리의 제한을 두기 위한 리드줄이 연결되는 가슴줄(2)과 결합될 수 있다. 허리밴드(60)는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63)가 결합된다. 또한, 도 8에서, 허리밴드(60)의 양단에 벨크로테이프(65)가 구비되어 허리밴드(60)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밴드(62)는 일단이 허리밴드(60)에 일체 결합되고, 타단이 결합걸이(1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64)가 구비된다. 고정밴드(62)는 탄성을 갖는 것으로 복수로 구성된다. 즉, 고정밴드(62)는 애완견의 허리 쪽과 배 쪽에 복수로 구성되어 배변통(10)을 항문 주위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밴드(62)에는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61)가 구비되어 애완견의 신체 크기에 따라 고정밴드(62)의 적절한 탄성이 유지되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1)에 관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서, 애완견에 허리밴드(60)를 체결한다. 이때, 허리밴드(60)의 제2조절부재(63)를 이용하여 애완견의 허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허리밴드(60)는 애완견의 뒷다리 앞쪽에 결합된다. 더욱이 허리밴드(60)는 가슴줄(2)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다 견고한 고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배변통(10)의 내부에 일회용 배변봉지(40)를 고정한다. 이때, 일회용 배변봉지(40)의 상부에 관통된 고정공(41)을 배변통(10)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용 고리(13)에 각각 끼워 배변봉지(40)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후, 배변통(10)의 돌출부(21)에 결합된 마개(24)를 개방하고, 배변봉지(40)의 상부에 형성된 조임공(42)에서 일정 길이로 노출된 조임용 끈(43)의 양단부를 배출부재(20)의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로 밀어 넣어 절개부(23) 사이의 슬릿에 조임용 끈(43)의 양단부를 끼운다. 그리고 마개(24)를 돌출부(21)에 끼워 나사 결합으로 밀폐시킨다. 상기 배변봉지(40)의 조임용 끈(43)의 양단부를 먼저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에 고정시킨 후 배변봉지(40)의 고정공(41)을 배변통(10)의 고정용 고리(13)에 끼워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허리밴드(60)로부터 일정 방향으로 복수로 결합된 고정밴드(62)의 단부에 결합된 체결부재(64)를 배변통(1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결합걸이(11)에 각각 체결한다. 이때, 고정밴드(62)는 애완견의 등 쪽에서 2개가 연결되도록 체결하고, 배 쪽에서 2개가 연결되도록 체결한다. 따라서 허리밴드(60)에서 4방향으로 고정밴드(62)가 배변통(10)의 결합걸이(11)에 체결되어 배변통(10)이 애완견의 항문에 일정한 탄성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더욱이 배변통(10) 상부에 구성된 밀착부재(30)는 허리밴드(60)에 연결된 고정밴드(62)의 결합 탄성에 의하여 밀착도가 달라질 것이다. 여기에서 밀착부재(30)는 애완견의 종류나 항문 주위에 난 털의 길이 등을 감안하여 깔때기 형상이나 밀착부재(30)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형상 또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관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고정밴드(62)의 제1조절부재(61)를 조절하여 해당하는 고정밴드(62)의 탄성을 조절하여 밀착부재(30)가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밀착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배변통(10)이 애완견의 항문에 결합된 후에는 애완견을 데리고 산책을 하거나 또는 수중에서 물놀이를 하는 도중에 애완견이 배변을 하게 되면, 애완견의 배설물은 배변통(10)의 내부에 구비된 일회용 배변봉지(40)로 투입된다. 애완견의 배설물을 배변통(10)의 내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배변통(10)의 측면에 배출부재(20)의 마개(24)를 개방한다. 그리고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에 끼어 있는 조임용 끈(43)의 단부를 잡아당긴다. 조임용 끈(43)을 잡아당기면 배변통(10) 내측의 고정용 고리(13)에 고정된 배변봉지(4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공(41)이 찢어져 배변봉지(40)는 배변통(10)에서 분리된다. 또한, 계속하여 조임용 끈(43)을 잡아당기면 조임공(42)에 삽입된 조임용 끈(43)에 의하여 배변봉지(40)의 입구는 오므려진다. 이는 배변봉지(40)가 배출덮개(22)의 절개된 절개부(23) 사이의 절개편에 의한 반작용으로 배변봉지(40)의 입구는 폐쇄될 것이다. 그리고 조임용 끈(43)을 더욱 잡아당기면 배변봉지(40)는 절개부(23)가 펼쳐지면서 완전히 인출된다. 인출된 일회용 배변봉지(40)는 조임용 끈(43)으로 상부를 묶어 밀폐시킨 후 뒤처리를 하면 된다. 배변봉지(40)가 인출되면 배출부재(20)의 돌출부(21)레 마개(24)를 결합하여 밀폐시킨다.
또한, 배설물이 담긴 일회용 배변봉지(40)가 분리된 배변통(10)에 새 일회용 배변봉지(40)를 삽입하기 위하여 각 고정밴드(62)의 단부에 결합된 체결부재(64)를 배변통(10)의 결합걸이(11)로부터 해제시켜 배변통(10)을 고정밴드(62)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배변통(10)의 내부에 사용전의 일회용 배변봉지(40)를 고정용 고리(13)에 끼워 고정하고, 조임용 끈(43)의 양단부를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에 끼워 고정시킨 다음 배변통(10)의 결합걸이(11)에 각 고정밴드(62)의 체결부재(64)를 체결한다.
한편, 배변통(10)으로부터 배변봉지(40)를 꺼낸 후에 배변통(10) 내부의 위생을 위하여 시트플레이트(50)에 구비된 분사버튼(57)을 눌러 용기(56)에 담긴 살균 및 탈취제가 배변통(1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살균 및 탈취제의 분사로 배변통(10)과 더불어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살균과 청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애완견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서, 애완견이 배변장치(1)를 착용한 상태로 산책 중이거나 활동 중일 때에 휴식을 위하여 뒷다리를 바닥에 펴고 앉을 때에 배변통(10)의 시트플레이트(50)가 지면이나 바닥면에 접촉된다. 더욱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변통(10)의 구조로 인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배변통(10)으로 인하여 애완견의 활동에 큰 방해를 주지 않는다. 또한, 시트플레이트(50)가 지면이나 바닥면에 접촉하고 일정의 압력이 전달되면, 압력센서(51)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감지신호로 표시장치(52)가 작동한다. 즉, 표시장치(52)로서 시트플레이트(50)의 측면에 설치된 발광부재(53)가 점등 또는 점멸되고, 이와 더불어 스피커(54)를 통해 음향이 출력된다. 따라서 애견주는 시트플레이트(50)로부터 표시장치(52)가 작동되면 애완견이 앉은 자세임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애완견도 표시장치(52)의 시청각적인 표시의 숙련으로 애견주의 주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애완견의 산책이나 물놀이 때에 배변장치(1)를 애완견에 착용하면 애완견의 배변활동에 따른 배설물의 뒤처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이어서 사용의 편의성과 애완견의 건강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배변장치 2: 가슴줄
10: 배변통 11: 결합걸이 12: 체결공 13: 고리 14: 결합공
20: 배출부재 21: 돌출부 22: 배출덮개 23: 절개부 24: 마개
30: 밀착부재
40: 배변봉지 41: 고정공 42: 조임공 43: 끈
50: 시트플레이트 51: 압력센서 52: 표시장치 53: 발광부재 54: 스피커 55: 배터리 56: 용기 57: 분사버튼 58: 분사공 59: 결합돌기
60: 허리밴드 61: 제1조절부재 62: 고정밴드 63: 제2조절부재 64: 체결부재 65: 벨크로테이프

Claims (6)

  1.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의 원통으로 상단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걸이(11)가 돌출 형성된 배변통(10);
    상기 배변통(10)의 측면에 원통형으로 돌출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21)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21)의 내측에 밀착 결합되고 중심에 방사상으로 절개부(23)가 형성된 배출덮개(22)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를 통해 배변봉지(40)를 배출하는 배출부재(20);
    상기 돌출부(21)와 나사 결합되어 배변통(10)을 밀폐시키는 마개(24);
    상기 배변통(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애완견의 항문 주위에 밀착되는 밀착부재(30);
    상기 배변통(1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일회용 배변봉지(40);
    상기 배변통(1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시트플레이트(50);
    애완견의 허리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탄성을 갖는 허리밴드(60), 및
    일단이 상기 허리밴드(60)에 일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결합걸이(1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64)가 구비되며, 탄성을 갖는 복수의 고정밴드(62)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통(10)과 상기 시트플레이트(50)의 고정 결합은 상기 배변통(10)의 하부 외주연에 결합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플레이트(50)의 외주면에 결합돌기(59)가 구비되어, 상기 배변통(10)의 결합공(14)에 상기 시트플레이트(50)의 결합돌기(59)가 억지끼움으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배변통(10)의 내측 상부에는 복수의 고정용 고리(13)가 구비되고,
    상기 일회용 배변봉지(40)는 입구를 제외한 좌우 측단과 하단은 밀폐 처리된 것으로, 입구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41)과, 상기 고정공(41) 아래에 가로로 관통 형성된 조임공(42)에 삽입된 일정 길이의 조임용 끈(43)을 포함하여, 상기 배변통(10)의 복수의 고정용 고리(13)에 상기 배변봉지(4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41)을 끼워 고정하며,
    상기 일회용 배변봉지(40)의 조임용 끈(43)의 단부를 배출덮개(22)의 절개부(23)까지 인출하여 절개부(23) 사이에 고정하는,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플레이트(50)는 하단면이 편평한 원반 형상으로,
    저면에 설치되어 시트플레이트(5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1)와,
    상기 압력센서(51)의 감지신호로 외부에 시각 및 청각적인 표시를 하는 복수의 발광부재(53), 스피커(54) 및 배터리(55)를 포함하는 표시장치(52)와,
    중심 내부에 설치되어 일정 용량의 살균 및 탈취제를 수용하는 용기(56)와,
    상기 용기(56)로부터 배변통(10) 내부로 살균 및 탈취제를 분사하는 분사버튼(57)을 포함하는,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62)에는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61)가 결합되고, 상기 허리밴드(60)는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63)가 결합되거나 또는 벨크로테이프(65)가 구비된,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30)는 입구의 직경이 큰 깔때기 형상이거나,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링 형상이거나 또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관의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거나 둘 이상이 적용된,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KR1020200079842A 2020-06-30 2020-06-30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KR10243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842A KR102439478B1 (ko) 2020-06-30 2020-06-30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842A KR102439478B1 (ko) 2020-06-30 2020-06-30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626A KR20220001626A (ko) 2022-01-06
KR102439478B1 true KR102439478B1 (ko) 2022-09-02

Family

ID=7934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842A KR102439478B1 (ko) 2020-06-30 2020-06-30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4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293Y1 (ko) * 2005-01-18 2005-03-30 이태영 애완견용 대변수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04Y1 (ko) 2004-02-05 2004-04-29 이태영 애완견용 대변 수거장치
KR20060113568A (ko) 2006-07-07 2006-11-02 김재석 애완동물용 용변장치
KR100843589B1 (ko) 2007-03-22 2008-07-03 이기철 애완동물의 배변 수거장치
KR20090061707A (ko) * 2007-12-12 2009-06-17 우애숙 애완견용 대변 수거장치
KR20120008221U (ko) * 2011-05-23 2012-12-03 이경환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거장치
KR102146669B1 (ko) * 2018-11-26 2020-08-21 김유진 애완견용 배변장치에서의 배변 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293Y1 (ko) * 2005-01-18 2005-03-30 이태영 애완견용 대변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626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5178A1 (en) Disposable sanitary waste receptacle
US4685913A (en) External single-use catheter
KR20140142249A (ko) 기저귀 유닛 및 기저귀 외장체
KR102439478B1 (ko) 좌석기능을 갖는 애완견용 배변장치
KR102324122B1 (ko) 일회용 반려동물 배변기저귀
KR102224322B1 (ko) 남성 환자용 소변기
US8453274B1 (en) Gel enclosed bedpan
JP2003517286A (ja) 動物に着用される糞または尿収集装置
US20090044326A1 (en) Disposable commode chair liner
KR102146669B1 (ko) 애완견용 배변장치에서의 배변 알림장치
CN104382711A (zh) 护理装置及护理垫
JP2006262880A (ja) ペット用おむつカバー
JP2000126215A (ja) 排泄物収納袋
KR102038702B1 (ko) 소변 배출장치
KR102093033B1 (ko) 애완견용 방수 배변장치
KR102199980B1 (ko) 애완견용 배변장치에서의 배변봉지 결합장치
JPH09313518A (ja) 排出物採取具
KR102204370B1 (ko) 애완견용 배변장치에서의 배변봉지 결합장치
AU770618B2 (en) 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 worn by the animal
KR102195426B1 (ko) 애완견용 배변장치에서의 조명장치
KR100501101B1 (ko) 휠체어에 장착되는 배변배뇨 자동처리변기
JPH05147A (ja) 人工肛門装具
JP3029670U (ja) ポータブルトイレ用排泄汚物収納袋
JPS6034259Y2 (ja) 女性用尿捕集器
KR102177943B1 (ko) 애완견용 배변장치에서의 배변 뒤처리 물품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