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074B1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9074B1 KR102439074B1 KR1020220075611A KR20220075611A KR102439074B1 KR 102439074 B1 KR102439074 B1 KR 102439074B1 KR 1020220075611 A KR1020220075611 A KR 1020220075611A KR 20220075611 A KR20220075611 A KR 20220075611A KR 102439074 B1 KR102439074 B1 KR 1024390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handle
- case
- shaft
- b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46—Straps; Tighteners winding up or storing of str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38—Tensioning by single movement of an actuating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53—Tools for manipulating straps or tigh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화물을 화물칸에 고정시키는 밴드가 권취되어 수납되고, 수납릴 샤프트에 관통되는 수납릴;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릴을 회전시키고, 핸들 샤프트에 연결되는 핸들;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밴드를 가압하여 상기 밴드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시키는 롤러모듈;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화물칸에 구비된 후면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화물칸에 고정시키는 고정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과 상기 수납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릴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권취모드 또는 상기 수납릴에 고 토크를 인가시키는 조임모드로 변환시키는 변환기어모듈;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화물칸에 화물을 고정시키는 밴드를 용이하게 수납하고, 화물칸에 화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럭 등 화물 운반용 차량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이 구비된다. 화물칸에는 다양한 크기, 무게, 형태를 갖는 화물이 적재된다. 특히, 1 ton 화물 트럭의 경우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이에 따른 다양한 크기, 무게, 형태의 화물이 적재된다.
도 1은 1 ton 화물 트럭의 화물칸에 화물이 적재된 도면이다. 차량의 후면에 화물칸이 구비되고, 화물칸 하부에는 후크(H)가 다수개 구비되며, 화물칸 후면에는 화물칸으로 사용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는 구조물인 후면 브라켓(R)이 구비된다.
이러한 화물(L)은, 화물칸(S)에 배치된 후 로프, 고무밴드 등(이하, '밴드(B)')으로 감아 고정시키는데, 밴드(B)를 화물칸(S) 아래에 구비된 후크(H)에 걸고 난 후 다시 여러번 감아 화물(L)을 화물칸(S)에 고정시킨다.
이후, 화물(L)을 화물칸(S)으로부터 하차한 이후에는 다시 밴드(B)를 수납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밴드(B)를 화물칸(S)에 적당히 감아서 수납하거나, 별도의 작업없이 화물칸(S)에 적치시킨다.
이때, 별도로 밴드(B)를 보관하는 수납장치가 없으므로 분실이 발생하여 신규 화물(L)의 적재 시 밴드(B)를 추가로 구매해서 사용하며, 화물칸(S)에 노출되게 적치된 밴드(B)에 눈 또는 우수가 침투하여 오염되기도 한다.
또한, 화물(L)을 화물칸(S)에 적재 시 사용자가 직접 자력으로 밴드(B)에 장력을 부여해야 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의 개인적인 악력 차이에 따라 화물(L)이 화물칸(S)에 잘 고정되지 않아, 차량의 이동 중 화물(L)이 화물칸(S)으로부터 이탈되기도 한다.
따라서, 밴드(B)의 수납을 용이하게 하고, 밴드(B)에 장력을 부여하여 화물칸(S)에 화물(L)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화물칸에 화물을 고정시키는 밴드를 용이하게 수납하고, 화물칸에 화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화물을 화물칸에 고정시키는 밴드가 권취되어 수납되고, 수납릴 샤프트에 관통되는 수납릴;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릴을 회전시키고, 핸들 샤프트에 연결되는 핸들;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밴드를 가압하여 상기 밴드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시키는 롤러모듈;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화물칸에 구비된 후면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화물칸에 고정시키는 고정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과 상기 수납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릴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권취모드 또는 상기 수납릴에 고 토크를 인가시키는 조임모드로 변환시키는 변환기어모듈;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롤러모듈은,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는 롤러 프레임; 상기 롤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밴드가 접촉되는 고정롤러; 상기 롤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롤러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상기 밴드를 가압하는 가압롤러; 및 상기 롤러 프레임과 상기 가압롤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에 상기 고정롤러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제공부는, 상기 가압롤러를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롤러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 샤프트; 상기 롤러 프레임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로드 서포트; 일단이 상기 롤러 샤프트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가 관통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 서포트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 로드; 및 상기 샤프트 로드의 외면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로드 서포트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롤러 샤프트에 배치되는 가압 스프링;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롤러모듈에 구비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고, 절곡되게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후면 브라켓이 안착되는 안착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재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재와 함께 상기 후면 브라켓을 가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안착부재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고정볼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릴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시키는 래칫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칫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납릴 샤프트에 구비되는 래칫기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래칫기어에 접촉되어, 상기 래칫기어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시키는 폴; 상기 케이스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폴에 대향되게 구비되는 폴 브라켓; 상기 폴과 상기 폴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폴을 상기 폴 브라켓 방향으로 당기는 인력을 제공하는 폴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폴을 거치시켜 상기 폴을 상기 래칫기어로부터 이탈시키는 폴 행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기어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핸들 샤프트에 고정 구비되는 제1핸들기어; 상기 핸들 샤프트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1핸들기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핸들기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핸들기어; 상기 수납릴 샤프트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1핸들기어에 연결되는 제1수납기어; 상기 수납릴 샤프트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1수납기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수납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수납기어; 상기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핸들 샤프트를 이동시켜 상기 제1핸들기어를 상기 제1수납기어에 접촉시키거나 상기 제2핸들기어를 상기 제2수납기어에 접촉시키는 변환레버; 및 상기 제1핸들기어와 상기 제2핸들기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 샤프트에 관통되어 상기 핸들 샤프트가 상대회전되고, 상기 변환레버에 연결되는 샤프트 링;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핸들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1수납기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핸들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2수납기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링의 양단부에는 상기 샤프트 링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샤프트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따르면, 밴드(B)가 화물(L)의 적재 또는 하차 이후에도 고정모듈(50)이 케이스(10)를 화물칸(S)에 고정시키므로, 밴드(B)를 별도의 수납박스에 보관하거나 화물칸(S)에 적재시킬 필요 없이, 수납릴(20)에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다.
밴드(B)를 수납릴(20)에 권취 시 변환기어모듈(60)이 권취모드로 작동되어, 수납릴(20)이 고속으로 회전되므로, 밴드(B)가 수납릴(20)에 신속하게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다.
변환기어모듈(60)이 조임모드로 작동되어, 수납릴(20)에 고 토크가 인가된 상태에서 밴드(B)를 권취시켜 밴드(B)를 강하게 조여 화물(L)을 화물칸(S)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화물칸(S)에 화물(L)이 적재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어모듈(60)의 권취모드 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어모듈(60)의 조임모드 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어모듈(60)의 권취모드 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어모듈(60)의 조임모드 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고, 화물(L)을 화물칸(S)에 고정시키는 밴드(B)가 권취되어 수납되고, 수납릴 샤프트(21)에 관통되는 수납릴(20), 상기 케이스(10)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릴(20)을 회전시키고 핸들 샤프트(31)에 연결되는 핸들(30), 상기 케이스(10)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밴드(B)를 가압하여 상기 밴드(B)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시키는 롤러모듈(40), 상기 케이스(10)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화물칸(S)에 구비된 후면 브라켓(R)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를 상기 화물칸(S)에 고정시키는 고정모듈(50),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30)과 상기 수납릴(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B)를 수납 시 상기 수납릴(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권취모드 또는 상기 수납릴(20)에 고 토크를 인가시키는 조임모드로 변환시키는 변환기어모듈(60), 및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릴(20)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시키는 래칫모듈(7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공동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밴드(B)가 수납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인출홈(11)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밴드(B)가 인출홈(11)을 통해 인출 또는 수납될 수 있다.
차량은 일반적인 트럭으로 실시될 수 있다. 차량은 상용트럭 중 1 ton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S)이 구비된 트럭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밴드(B)는 화물(L)을 화물칸(S)에 고정시킨다. 밴드(B)는 차량의 화물칸(S)에 구비된 후크(H)에 걸릴 수 있다. 밴드(B)는 화물(L)의 외면 및 후크(H)에 다수회 감겨, 화물(L)을 화물칸(S)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밴드(B)는 로프, 고무밴드(B), 직물벨트, 탄성바 등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수납릴(20)은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다. 수납릴(20)은 케이스(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수납릴(20)은 중앙이 함몰되어 수납부(22)를 형성한다. 수납릴(20)에는 밴드(B)가 권취된다. 이 경우, 수납부에 밴드(B)가 권취될 수 있다. 이때, 밴드(B)의 일단은 수납릴(20)에 결합될 수 있다. 수납릴(20)이 회전되면 수납릴(20)의 외면에 밴드(B)가 감겨 권취된다. 이 경우, 수납릴(20)에 밴드(B)가 수납된다.
수납릴(20)은 수납릴 샤프트(21)에 관통된다. 수납릴(20)은 수납릴 샤프트(21)에 고정된다. 수납릴(20)은 수납릴 샤프트(21)에 의해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수납릴 샤프트(21)는 케이스(10)를 관통할 수 있다.
핸들(30)은 케이스(10) 외부에 배치된다. 핸들(30)은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핸들(30)은 사용자 또는 구동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핸들(30)은 수납릴(20)에 연결된다. 핸들(30)은 후술하는 변환기어모듈(60)로 수납릴(20)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들(30)은 수납릴(20)을 회전시킨다. 핸들(30)의 회전 시 수납릴(20)이 회전되어 밴드(B)를 수납릴(20)에 수납시킬 수 있다.
핸들(30)은 핸들 샤프트(31)에 연결된다. 핸들(30)은 핸들 샤프트(31)에 의해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핸들 샤프트(31)는 케이스(10)를 관통할 수 있다. 핸들 샤프트(31)는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롤러모듈(40)은 케이스(10) 외부에 구비된다. 롤러모듈(40)은 밴드(B)를 가압할 수 있다. 롤러모듈(40)이 밴드(B)를 가압시켜, 밴드(B)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시킨다.
밴드(B)로 화물(L)을 화물칸(S)에 고정시킬 때, 밴드(B)에 장력이 부여되어 팽팽한 상태로 밴드(B)를 후크(H) 및 화물(L)에 감아야 화물(L)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밴드(B)를 수납릴(20)로부터 인출하여 화물(L)을 화물칸(S)에 고정시킬 때, 본 발명의 롤러모듈(40)은 밴드(B)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시켜, 밴드(B)가 팽팽한 상태로 화물(L)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고정모듈(50)은 케이스(10) 외부에 구비된다. 고정모듈(50)은 화물칸(S)에 구비된 후면 브라켓(R)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 브라켓(R)은 차량의 후면에 위치되고, 화물칸(S)의 하부에 구비되는 절곡된 형태의 프레임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의 후면에 형성된 프레임 모두를 가리킬 수 있다.
고정모듈(50)은 케이스(10)를 화물칸(S)에 고정시킨다. 밴드(B)가 화물(L)의 적재 또는 하차 이후에도 고정모듈(50)이 케이스(10)를 화물칸(S)에 고정시키므로, 밴드(B)를 별도의 수납박스에 보관하거나 화물칸(S)에 적재시킬 필요 없이, 수납릴(20)에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변환기어모듈(60)은 케이스(10)에 구비된다. 변환기어모듈(60)은 핸들(30)과 수납릴(20) 사이에 구비된다. 변환기어모듈(60)은 핸들(30)을 수납릴(20)에 연결시킨다. 변환기어모듈(60)은 핸들(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변환기어모듈(60)이 회전되면 수납릴(20)이 회전된다.
밴드(B)를 수납릴(20)에 권취 시, 변환기어모듈(60)은 수납릴(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변환기어모듈(60)이 수납릴(20)을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권취모드로 정의한다.
밴드(B)를 수납릴(20)에 권취 시, 변환기어모듈(60)은 수납릴(20)에 고(高) 토크를 인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변환기어모듈(60)이 수납릴(20)에 고 토크를 인가시키는 상태를 조임모드로 정의한다.
변환기어모듈(60)은 수납릴(20)을 권취모드 또는 조임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먼저, 화물(L)을 화물칸(S)에서 하차시키기 위해, 밴드(B)를 화물(L) 및 후크(H)로부터 분리하면 밴드(B)가 수납릴(20)에 권취되기 이전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밴드(B)를 수납릴(20)에 권취 시 변환기어모듈(60)이 권취모드로 작동되어, 수납릴(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납릴(20)이 고속으로 회전되므로, 밴드(B)가 수납릴(20)에 신속하게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물(L)을 화물칸(S)에 적재시키기 위해, 밴드(B)를 화물(L) 및 후크(H)에 감을 수 있다. 밴드(B)를 화물(L) 및 후크(H)에 감은 후 밴드(B)를 조여 화물(L)을 화물칸(S)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변환기어모듈(60)이 조임모드로 작동되어, 수납릴(20)에 고 토크를 인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납릴(20)에 고 토크가 인가된 상태에서 밴드(B)를 권취시키면, 밴드(B)를 강하게 조여 화물(L)을 화물칸(S)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래칫모듈(70)은 케이스(10)에 구비된다. 래칫모듈(70)은 수납릴(20)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시킨다. 래칫모듈(70)은 수납릴(20)의 회전 시 밴드(B)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수납릴(20)이 회전되도록 수납릴(20)의 회전방향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래칫모듈(70)은 수납릴(20)의 회전 시 밴드(B)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수납릴(20)이 회전되지 않도록 수납릴(20)의 회전방향을 제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의하면, 수납릴(20)에 밴드(B)가 권취되어 수납되므로 밴드(B)의 분실이나 오염이 방지되고, 변환기어모듈(60)에 의해 화물(L)의 하차 후 밴드(B)를 신속하게 수납 가능하며, 화물(L)의 적재 후 밴드(B)에 장력을 인가시켜 화물(L)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는 고정모듈(50)에 의해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므로, 기존 차량에서 탈거하여 신규 차량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세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모듈(40)은, 상기 케이스(10) 외부에 구비되는 롤러 프레임(41), 상기 롤러 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밴드(B)가 접촉되는 고정롤러(42), 상기 롤러 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롤러(42)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상기 밴드(B)를 가압하는 가압롤러(43), 및 상기 롤러 프레임(41)과 상기 가압롤러(4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43)에 상기 고정롤러(42)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44)를 포함한다.
롤러 프레임(41)은 케이스(10) 외부에 구비된다. 롤러 프레임(41)은 단부가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절곡부(412)를 형성한다. 절곡부(412)는 화물칸(S)의 후면 브라켓(R)으로부터 이격되어, 밴드(B)의 인출 또는 권취 시 후면 브라켓(R)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고정롤러(42)는 롤러 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고정롤러(42)는 절곡부(412)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롤러(42)에는 밴드(B)가 접촉된다. 밴드(B)의 인출 또는 권취 시 밴드(B)가 고정롤러(42)를 회전시킨다.
가압롤러(43)는 롤러 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가압롤러(43)는 절곡부(412)에 구비될 수 있다. 가압롤러(43)는 고정롤러(42)에 수평하게 구비된다. 가압롤러(43)에는 밴드(B)가 접촉된다. 밴드(B)의 인출 또는 권취 시 밴드(B)가 가압롤러(43)를 회전시킨다.
가압롤러(43)는 고정롤러(42)와 함께 밴드(B)를 가압한다. 가압롤러(43)가 밴드(B)를 가압하면, 밴드(B)의 인출 또는 권취 시 밴드(B)에 일정한 장력이 인가된다. 이 경우, 밴드(B)가 수납릴(20)로부터 인출되어 화물(L)을 화물칸(S)에 고정시킬 때, 밴드(B)에 장력이 부여되어 팽팽한 상태로 화물(L)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탄성제공부(44)는 롤러 프레임(41)과 가압롤러(43) 사이에 구비된다. 탄성제공부(44)는 가압롤러(43)에 고정롤러(42)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가압롤러(43)는 고정롤러(42)와 함께 밴드(B)를 가압하여, 밴드(B)의 인출 또는 권취 시 밴드(B)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제공부(44)는, 상기 가압롤러(43)를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롤러 프레임(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 샤프트(441), 상기 롤러 프레임(41)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로드 서포트(444), 일단이 상기 롤러 샤프트(441)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441)가 관통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 서포트(444)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샤프트 로드(442), 및 상기 샤프트 로드(442)의 외면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로드 서포트(444)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롤러 샤프트(441)에 배치되는 가압 스프링(443)을 포함한다.
롤러 샤프트(441)는 가압롤러(43)를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한다. 이 경우, 가압롤러(43)는 롤러 샤프트(441)를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롤러 샤프트(441)는 롤러 프레임(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롤러 샤프트(441)는 절곡부(4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롤러 프레임(41)의 절곡부(412)에는 롤러 샤프트(441)의 단부가 배치되는 장공(411)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 샤프트(441)의 단부는 장공(411)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로드 서포트(444)는 롤러 프레임(41)에 도출되게 구비된다. 로드 서포트(444)는 절곡부(412)에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로드(442)는 롤러 샤프트(441)에 구비된다. 샤프트 로드(442)의 일단은 롤러 샤프트(441)의 단부에 구비된다. 샤프트 로드(442)의 일단에는 롤러 샤프트(441)가 관통된다. 이 경우, 롤러 샤프트(441)는 샤프트 로드(442)에 상대회전된다.
샤프트 로드(442)는 로드 서포트(444)를 관통한다. 샤프트 로드(442)의 타단은 로드 서포트(444)를 관통한다. 이 경우, 샤프트 로드(442)는 로드 서포트(444)에 대해 슬라이딩된다.
가압 스프링(443)은 샤프트 로드(442)의 외면에 구비된다. 샤프트 로드(442)는 가압 스프링(443)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압 스프링(443)은 일단이 로드 서포트(444)에 배치되고 타단이 롤러 샤프트(441)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가압 스프링(443)은 로드 서포트(444)에 지지되어, 롤러 샤프트(441)에 가압력을 제공한다.
밴드(B)를 인출 또는 권취 시 밴드(B)의 움직임에 따라 가압롤러(43)가 이동되어 롤러 샤프트(441)가 이동되면, 샤프트 로드(442)가 가압 스프링(443)을 압축시킨다. 이 경우, 가압 스프링(443)이 샤프트 로드(442)를 가압하여 롤러 샤프트(441)에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가압롤러(43)에 고정롤러(42) "?향으?* 가압력이 제공되어, 가압롤러(43)가 고정롤러(42)와 함께 밴드(B)를 가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50)은, 상기 롤러모듈(40)에 구비되는 고정 프레임(51), 상기 고정 프레임(51)의 단부에 구비되고, 절곡되게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52), 상기 고정 브라켓(52)에 구비되고, 상기 후면 브라켓(R)이 안착되는 안착부재(53), 상기 고정 프레임(51)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재(53)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재(53)와 함께 상기 후면 브라켓(R)을 가압하는 고정부재(54), 및 상기 고정 프레임(51)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54)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54)를 상기 안착부재(53)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고정볼트(55)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51)은 케이스(10)에 구비된다. 고정 프레임(51)은 롤러모듈(40)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51)은 롤러 프레임(41)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2)은 고정 프레임(51)의 단부에 구비된다. 고정 브라켓(52)은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재(53)는 고정 브라켓(52)에 구비된다. 안착부재(53)는 내측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안착부재(53)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재(53)에는 후면 브라켓(R)이 안착된다.
고정부재(54)는 고정 프레임(51)에 구비된다. 고정부재(54)는 고정 프레임(5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고정부재(54)는 내측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고정부재(54)는 안착부재(53)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고정부재(54)는 안착부재(53)와 함께 후면 브라켓(R)을 가압한다.
고정볼트(55)는 고정 프레임(51)에 구비된다. 고정볼트(55)는 안착부재(53)에 연결된다. 고정볼트(55)는 회전 시 고정부재(54)를 안착부재(53) 방향으로 가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후면 브라켓(R)이 안착부재(53)와 고정부재(54)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고정부재(54) 및 안착부재(53)가 후면 브라켓(R)에 결합되므로, 밴드(B)를 수납하는 수납릴(20)이 구비된 케이스(10)가 후면 브라켓(R)에 고정되어, 밴드(B)를 별도의 수납박스에 보관하거나 화물칸(S)에 적재시킬 필요 없이 수납릴(20)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칫모듈(70)은, 상기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납릴 샤프트(21)에 구비되는 래칫기어(71), 상기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래칫기어(71)에 접촉되어, 상기 래칫기어(71)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시키는 폴(72), 상기 케이스(10)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폴(72)에 대향되게 구비되는 폴 브라켓(74), 상기 폴(72)과 상기 폴 브라켓(7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폴(72)을 상기 폴 브라켓(74) 방향으로 당기는 인력을 제공하는 폴 스프링(73), 및 상기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폴(72)을 거치시켜 상기 폴(72)을 상기 래칫기어(71)로부터 이탈시키는 폴 행거(75)를 포함한다.
래칫기어(71)(ratchet gear)는 케이스(10)에 구비된다. 래칫기어(71)는 케이스(10)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래칫기어(71)는 수납릴 샤프트(21)에 구비된다. 래칫기어(71)는 수납릴(20)의 회전 시 수납릴 샤프트(21)와 함께 회전된다.
폴(pawl)(72)은 케이스(10)에 구비된다. 폴(72)은 케이스(10)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폴(72)은 래칫기어(71)에 접촉될 수 있다. 폴(72)이 래칫기어(71)에 접촉되면, 래칫기어(71)는 일방향(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수납릴(20)의 회전 시, 래칫기어(71)는 밴드(B)가 권취되는 방향(정방향)으로 회전되며, 밴드(B)가 인출되는 방향(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폴 브라켓(74)은 케이스(10)에 구비된다. 폴 브라켓(74)은 케이스(10) 외부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폴 브라켓(74)은 폴(72)에 대향되게 구비된다.
폴 스프링(73)은 폴(72)과 폴 브라켓(74) 사이에 구비된다. 폴 스프링(73)은 폴(72)을 폴 브라켓(74) 방향으로 당기는 인력을 폴(72)에 제공한다. 폴(72)에 인력이 제공되면, 폴(72)은 래칫기어(7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폴 행거(75)는 케이스(10)에 구비된다. 폴 행거(75)는 케이스(10)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폴 행거(75)에는 폴(72)이 거치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 행거(75)를 회전시키고, 폴(72)을 폴 행거(75)에 거치시킬 수 있다. 폴 행거(75)는 폴(72)을 거치시켜, 폴(72)을 래칫기어(71)로부터 이탈시킨다. 이 경우, 래칫기어(71)는 폴(72)에 의한 회전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되지 않으므로, 일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L)을 화물칸(S)에 적재 시 밴드(B)를 수납릴(20)로부터 인출해야 한다. 이때, 폴(72)을 폴 행거(75)에 거치시켜, 폴(72)을 래칫기어(71)로부터 이탈시킨다. 이 경우, 래칫기어(71)가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수납릴(20)로부터 밴드(B)를 인출하여 화물(L)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밴드(B)를 수납릴(20)에 수납 시 폴 행거(75)로부터 폴(72)을 이탈시켜 폴(72)을 래칫기어(71)에 접촉시킨다. 이 경우, 수납릴(20)의 회전 시, 래칫기어(71)는 밴드(B)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밴드(B)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밴드(B)의 풀림 없이 일정하고 신속하게 밴드(B)가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어모듈(6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어모듈(60)의 권취모드 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어모듈(60)의 조임모드 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기어모듈(60)은, 상기 케이스(10)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핸들 샤프트(31)에 고정 구비되는 제1핸들기어(61), 상기 핸들 샤프트(31)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1핸들기어(61)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핸들기어(6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핸들기어(62), 상기 수납릴 샤프트(21)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1핸들기어(61)에 연결되는 제1수납기어(63), 상기 수납릴 샤프트(21)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1수납기어(63)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수납기어(6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수납기어(64), 상기 케이스(10)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핸들 샤프트(31)를 이동시켜 상기 제1핸들기어(61)를 상기 제1수납기어(63)에 접촉시키거나 상기 제2핸들기어(62)를 상기 제2수납기어(64)에 접촉시키는 변환레버(65), 및 상기 제1핸들기어(61)와 상기 제2핸들기어(62)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 샤프트(31)에 관통되어 상기 핸들 샤프트(31)가 상대회전되고, 상기 변환레버(65)에 연결되는 샤프트 링(66)을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핸들 샤프트(31)는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핸들 샤프트(31)는 케이스(10)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핸들 샤프트(31)는 후술하는 변환레버(6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핸들 샤프트(31)와 케이스(10) 사이에는 핸들 샤프트(31)가 축"?향으?* 이동 시 핸들 샤프트(31)를 지지하는 부시(34)가 구비될 수 있다. 부시(34)는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핸들 샤프트(31)의 양단부에는 고정와셔(32)가 핸들 샤프트(31)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고정와셔(32)는 핸들 샤프트(31)가 축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핸들 샤프트(31)의 축을 고정시킨다.
핸들 샤프트(31)의 양단부에는 스토퍼와셔(33)가 핸들 샤프트(31)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와셔(33)는 핸들 샤프트(31)의 최외곽에 구비된다. 이 경우, 고정와셔(32)는 스토퍼와셔(33)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와셔(33)는 핸들 샤프트(31)가 축방향으로 이동 시 핸들 샤프트(31)의 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일측 스토퍼와셔(33)가 일측 고정와셔(32)에 접촉되면, 타측 스토퍼와셔(33)는 타측 고정와셔(32)로부터 이격된다. 이 경우, 타측 스토퍼와셔(33)와 타측 고정와셔(32)의 간격이 핸들 샤프트(31)의 축방향 이동거리에 해당된다.
제1핸들기어(61)는 핸들 샤프트(31)에 고정 구비된다. 제1핸들기어(61)는 핸들 샤프트(31)가 축방향으로 이동 시 함께 이동된다. 제1핸들기어(61)는 핸들 샤프트(31)에 관통된다. 제1핸들기어(61)는 핸들 샤프트(31)의 회전 시 핸들 샤프트(31)와 함께 회전된다.
제2핸들기어(62)는 핸들 샤프트(31)에 고정 구비된다. 제2핸들기어(62)는 핸들 샤프트(31)가 축방향으로 이동 시 함께 이동된다. 제2핸들기어(62)는 핸들 샤프트(31)에 관통된다. 제2핸들기어(62)는 핸들 샤프트(31)의 회전 시 핸들 샤프트(31)와 함께 회전된다.
제2핸들기어(62)는 제1핸들기어(61)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2핸들기어(62)는 제1핸들기어(6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1수납기어(63)는 수납릴 샤프트(21)에 고정 구비된다. 제1수납기어(63)는 수납릴(2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수납기어(63)는 수납릴 샤프트(21)에 관통된다. 제1수납기어(63)는 수납릴 샤프트(21)의 회전 시 수납릴 샤프트(21)와 함께 회전된다.
제2수납기어(64)는 수납릴 샤프트(21)에 고정 구비된다. 제2수납기어(64)는 수납릴(20)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수납기어(64)는 수납릴 샤프트(21)에 관통된다. 제2수납기어(64)는 수납릴 샤프트(21)의 회전 시 수납릴 샤프트(21)와 함께 회전된다.
제2수납기어(64)는 제1수납기어(63)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1수납기어(63)와 제2수납기어(64) 사이에는 수납릴(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수납기어(64)는 제1수납기어(6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1핸들기어(61)는 제1수납기어(63)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핸들기어(62)는 제2수납기어(64)로부터 이격된다.
제1핸들기어(61)의 직경은 제1수납기어(6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제1핸들기어(61)와 제1수납기어(63)의 기어비(gear ratio)는 제1핸들기어(61)를 입력측으로 할때 1.0을 초과한다. 이 경우, 제1핸들기어(61)가 제1수납기어(63)에 접촉되면, 제1수납기어(63)가 고속으로 회전되어 수납릴(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권취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제2핸들기어(62)는 제2수납기어(64)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핸들기어(61)는 제1수납기어(63)로부터 이격된다.
제2핸들기어(62)의 직경은 제2수납기어(6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제2핸들기어(62)와 제2수납기어(64)의 기어비는 제2핸들기어(62)를 입력측으로 할때 1.0 미만이다. 이 경우, 제2핸들기어(62)가 제2수납기어(64)에 접촉되면, 제2수납기어(64)에 고 토크가 인가되어 수납릴(20)에 고 토크를 인가시키는 조임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변환레버(65)는 케이스(10)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변환레버(65)는 핸들 샤프트(31)에 연결된다. 변환레버(65)는 핸들 샤프트(3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변환레버(65)는 핸들 샤프트(31)를 이동시켜, 제1핸들기어(61)를 제1수납기어(63)에 접촉시키거나 제2핸들기어(62)를 제2수납기어(64)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변환레버(65)는 변환기어모듈(60)을 권취모드 또는 조임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샤프트 링(66)은 변환레버(65)에 연결된다. 변환레버(65)를 이동시키면 샤프트 링(66)이 핸들 샤프트(3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샤프트 링(66)은 제1핸들기어(61)와 제2핸들기어(6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링(66)은 핸들 샤프트(31)에 관통된다. 핸들 샤프트(31)는 샤프트 링(66)에 상대회전된다. 이때, 핸들 샤프트(31)와 샤프트 링(66) 사이에는 윤활유가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 링(66)은 핸들 샤프트(31)와 축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나, 핸들 샤프트(31)의 회전 시 핸들 샤프트(31)가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 링(66)의 양단부에는 샤프트 스토퍼(67)가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스토퍼(67)는 핸들 샤프트(31)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샤프트 스토퍼(67)는 핸들 샤프트(31)에 고정된다. 샤프트 스토퍼(67)는 샤프트 링(66)의 양 단부를 지지하여, 샤프트 링(66)이 핸들 샤프트(3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케이스(10)에는 레버 홈(12)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변환레버(65)는 레버 홈(12)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노출된 변환레버(65)를 작동시켜 핸들 샤프트(3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권취모드 및 조임모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변환레버(65)가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변환레버(65)에 접촉된 샤프트 링(66)이 핸들 샤프트(3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일측 스토퍼와셔(33)가 일측 고정와셔(32)에 접촉되면, 타측 스토퍼와셔(33)는 타측 고정와셔(32)로부터 이격된다. 이 경우, 제1핸들기어(61)가 제1수납기어(63)에 접촉되고, 제2핸들기어(62)가 제2수납기어(64)로부터 이격되어, 수납릴(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권취모드로 작동된다.
이후, 사용자가 핸들(30)을 회전시키면 수납릴(20)이 고속으로 회전되므로, 밴드(B)가 수납릴(20)에 신속하게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과 같이, 변환레버(65)가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변환레버(65)에 접촉된 샤프트 링(66)이 핸들 샤프트(3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타측 스토퍼와셔(33)가 타측 고정와셔(32)에 접촉되면, 일측 스토퍼와셔(33)는 일측 고정와셔(32)로부터 이격된다. 이 경우, 제2핸들기어(62)가 제2수납기어(64)에 접촉되고, 제1핸들기어(61)가 제1수납기어(63)로부터 이격되어, 수납릴(20)에 고 토크를 인가시키는 조임모드로 작동된다.
이후, 사용자가 핸들(30)을 회전시키면 수납릴(20)에 고 토크가 인가되어 밴드(B)를 권취시켜, 밴드(B)를 강하게 조여 화물(L)을 화물칸(S)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20 : 수납릴
30 : 핸들 40 : 롤러모듈
30 : 핸들 40 : 롤러모듈
Claims (2)
-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화물을 화물칸에 고정시키는 밴드가 권취되어 수납되고, 수납릴 샤프트에 관통되는 수납릴;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릴을 회전시키고, 핸들 샤프트에 연결되는 핸들;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밴드를 가압하여 상기 밴드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시키는 롤러모듈;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화물칸에 구비된 후면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화물칸에 고정시키는 고정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과 상기 수납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릴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권취모드 또는 상기 수납릴에 고 토크를 인가시키는 조임모드로 변환시키는 변환기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밴드가 인출 또는 수납되는 인출홈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어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핸들 샤프트에 고정 구비되는 제1핸들기어;
상기 핸들 샤프트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1핸들기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핸들기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핸들기어;
상기 수납릴 샤프트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1핸들기어에 연결되는 제1수납기어;
상기 수납릴 샤프트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1수납기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수납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수납기어;
상기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핸들 샤프트를 이동시켜 상기 제1핸들기어를 상기 제1수납기어에 접촉시키거나 상기 제2핸들기어를 상기 제2수납기어에 접촉시키는 변환레버; 및
상기 제1핸들기어와 상기 제2핸들기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 샤프트에 관통되어 상기 핸들 샤프트가 상대회전되고, 상기 변환레버에 연결되는 샤프트 링;
을 포함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5611A KR102439074B1 (ko) | 2022-03-22 | 2022-06-21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5164A KR102413092B1 (ko) | 2022-03-22 | 2022-03-22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KR1020220075611A KR102439074B1 (ko) | 2022-03-22 | 2022-06-21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5164A Division KR102413092B1 (ko) | 2022-03-22 | 2022-03-22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9074B1 true KR102439074B1 (ko) | 2022-09-01 |
Family
ID=8222197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5164A KR102413092B1 (ko) | 2022-03-22 | 2022-03-22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KR1020220075613A KR102439079B1 (ko) | 2022-03-22 | 2022-06-21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KR1020220075611A KR102439074B1 (ko) | 2022-03-22 | 2022-06-21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KR1020220075612A KR102439081B1 (ko) | 2022-03-22 | 2022-06-21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5164A KR102413092B1 (ko) | 2022-03-22 | 2022-03-22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KR1020220075613A KR102439079B1 (ko) | 2022-03-22 | 2022-06-21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5612A KR102439081B1 (ko) | 2022-03-22 | 2022-06-21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241309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5182B1 (ko) | 1996-12-10 | 1999-07-01 | 정몽규 | 화물자동차의 화물 고정벨트 |
KR20030086943A (ko) * | 2003-09-22 | 2003-11-12 | 학교법인 인제학원 | 화물고정용 벨트 장력의 자동조절장치 |
KR102193280B1 (ko) * | 2020-06-29 | 2020-12-22 | 이현종 | 인출된 로프가 자동 권취되는 화물차량용 적재물 고정클램프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6020U (ja) * | 2008-08-20 | 2008-10-30 | 久水 小谷野 | 紐収納装置、自転車およびトラック |
KR102064071B1 (ko) * | 2018-04-26 | 2020-02-11 | 손철수 |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
-
2022
- 2022-03-22 KR KR1020220035164A patent/KR1024130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6-21 KR KR1020220075613A patent/KR1024390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6-21 KR KR1020220075611A patent/KR1024390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6-21 KR KR1020220075612A patent/KR1024390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5182B1 (ko) | 1996-12-10 | 1999-07-01 | 정몽규 | 화물자동차의 화물 고정벨트 |
KR20030086943A (ko) * | 2003-09-22 | 2003-11-12 | 학교법인 인제학원 | 화물고정용 벨트 장력의 자동조절장치 |
KR102193280B1 (ko) * | 2020-06-29 | 2020-12-22 | 이현종 | 인출된 로프가 자동 권취되는 화물차량용 적재물 고정클램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9081B1 (ko) | 2022-09-01 |
KR102413092B1 (ko) | 2022-06-23 |
KR102439079B1 (ko) | 2022-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02637A (en) | Flatbed winch winding bar | |
CN101595024A (zh) | 货物收紧器及条带收集器 | |
US3240473A (en) | Load binding device comprising winch means and equalizer means | |
JPS583958B2 (ja) | ウインチ装置 | |
CN110225876B (zh) | 高速绞盘重绕适配器 | |
EP0580392A1 (en) | A belt tightening device | |
KR102439074B1 (ko)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 |
US3519154A (en) | Motor vehicle boat loading and unloading hoist means | |
JPS597696A (ja) |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 |
US6957938B1 (en) | Cargo tie-down system | |
US4471946A (en) | Idling device for lever hoist | |
US6916143B2 (en) | Speed handle for winch | |
US4479635A (en) | Idling device for lever hoist | |
KR102514209B1 (ko) | 로프 수납형 파렛트 | |
US3985341A (en) | Winch-type tensioning device | |
JPH10338474A (ja) | ウインチ用ワイヤロープの張力付与装置 | |
DK2915696T3 (en) | Detachable universal belt reel for vehicles | |
KR200326995Y1 (ko) | 화물 고정용 벨트 텐셔너 | |
CA2848871A1 (en) | Trailer tie-down strap retrieval spool | |
JP2586881Y2 (ja) | 巻取り装置付きベルト締付具 | |
CN103863171A (zh) | 张力倍增汽车安全拉紧装置 | |
KR200147197Y1 (ko) | 트럭의 화물칸용 로프 보관장치 | |
KR200276635Y1 (ko) |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 |
CN115416783B (zh) | 电动自行车锁车装置 | |
CN112850342B (zh) | 一种通信施工用电缆运输装置及其运输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