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944B1 - 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944B1
KR102438944B1 KR1020180086217A KR20180086217A KR102438944B1 KR 102438944 B1 KR102438944 B1 KR 102438944B1 KR 1020180086217 A KR1020180086217 A KR 1020180086217A KR 20180086217 A KR20180086217 A KR 20180086217A KR 102438944 B1 KR102438944 B1 KR 102438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rudder
skeg
stern
steering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1304A (en
Inventor
박경령
김희정
송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944B1/en
Publication of KR2020001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3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9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조종성능향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는 선체의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스케그부재; 및 러더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케그부재를 상기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improving steering performanc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keg member installed on the hull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and an interlocking part for protruding and retracting the skeg member to the rear of the stern part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Description

조종성능 향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종성능 향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mproving steering performanc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선박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미부에 스케그가 설치된다.Skegs are installed in the stern to improve the maneuverability of the ship.

통상적으로 스케그는 선체의 선미부에 돌출되어 고정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스케그는 선박이 직진할 때 저항으로 작용하여 선박의 속도 성능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In general, the skeg protrudes from the stern of the hull and has a fixed shape. Such a skeg acts as a resistance when the ship goes straight, and negatively affects the speed performance of the ship.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이 직진할 때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고 필요시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종성능향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steering performance when necessary without acting as a resistance when the ship moves straight,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스케그부재; 및 러더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케그부재를 상기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조종성능향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keg member installed on the hull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An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including an interlocking part for protruding and retracting the skeg member to the rear of the stern part,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may be provided.

상기 스케그부재는 프로펠러의 회전축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may be disposed below the rotation shaft of the propeller.

상기 연동부는 전단부가 상기 스케그부재에 지지되며, 후단부가 상기 러더에 지지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age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in which the front end is supported by the skeg member, and the rear end is supported by the rudder.

상기 연결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러더의 리딩에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leading edge of the rudder.

상기 연결부재는 프로펠러의 회전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may be disposed below the rotating surface of the propeller.

상기 연결부재는 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 또는 로프 또는 체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a rope, or a chain.

상기 연동부는 상기 선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스케그부재를 상기 선체 내부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nkag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eturn member for returning the skeg member protruding outside the hull to the inside of the hull.

상기 복귀부재는 상기 스케그부재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turn member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keg member.

전단부가 상기 선체에 지지되며, 후단부가 상기 러더에 지지되고,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케그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end is supported on the hull, the rear end is supported on the rudder, the ske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keg member in the process of protruding and retracting to the rear of the stern.

상기 가이드부의 후단부는 상기 러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guide part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udd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종성능향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provided a ship including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그부재가 러더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선체의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함으로써, 선체가 직진운항할 때 선체에 대한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선체가 선회동작할 때 선체에 대한 조종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eg member can effectively reduce the resistance to the hull when the hull travels straight, and the hull can tur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maneuverability of the hull wh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FF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GG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H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hip including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hip including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hip including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F line of FIG. 11 i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G line of FIG. 12 i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4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H of FIG. 11 .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meaning to themselve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hip including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1에서 +X축방향은 선체(10)의 선수방향을 나타내고, 도 1은 선체(10)의 선미부 일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스케그부재(110)가 선체(10) 내부에 수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For reference, the +X-axis direction in FIG. 1 indicates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 , and FIG. 1 shows a part of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 and the skeg member 110 is inside the hull 10 . It shows the stored state.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선체(10) 및 조종성능향상장치(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shi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ull 10 and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100 .

선체(10)에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30)가 설치된다. 프로펠러(30)는 도 1과 같이 선체(10)의 선미부 후방으로 노출된 회전축(31)에 결합될 수 있다.The hull 10 is provided with a propeller 30 that provides propulsion. The propeller 3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1 exposed to the rear of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as shown in FIG. 1 .

프로펠러(30)의 후방에는 도 1과 같이 러더(50)가 배치된다. 러더(50)는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 rudder 5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propeller 30 as shown in FIG. 1 . The rudder 5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hull 10 .

선체(10)에는 러더(5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티어링 기어부(미도시)가 구비되고, 러더(50)는 스티어링 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동작할 수 있다.The hull 10 is provided with a steering gear unit (not shown)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rudder 50 , and the rudder 50 may rotate by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gear unit.

러더(50)는 선체(10)의 운항상태에 따라 회전동작할 수 있다.The rudder 50 may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ll 10 .

보다 상세히, 선체(10)는 직진운항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더(50)는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상태는 선체(10)의 길이방향 중심선(미도시)에 대해 러더(50)의 길이방향 중심선(미도시)이 나란한 상태일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hull 10 may travel straight. 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maintain an initial state. Here, the initial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not shown) of the rudder 50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not shown) of the hull 10 .

또는, 선체(10)는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선회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더(50)는 초기상태에서 선체(10)의 선회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회전각을 갖도록 회전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각은 선체(1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회전동작하는 러더(50)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이루는 각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ull 10 may rotate to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rotate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necessary for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hull 10 in the initial state. Here, the rotation angle may be an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rudder 50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hull 10 .

이때, 러더(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러더(50)의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체(10)의 우현방향 또는 좌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udder 50 may rotate in the starboard direction or portward direction of the hull 10 around the rotational center axis (C) of the rudder 5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는, 선체(10)는 선회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더(50)는 초기상태를 갖도록 회전동작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ull 10 may end the turn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rotate to have an initial state.

선체(10)에는 도 1과 같이 조종성능향상장치(100)가 설치된다.The hull 10 is provided with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100 as shown in FIG. 1 .

조종성능향상장치(100)는 스케그부재(110) 및 연동부(130)를 포함한다.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keg member 110 and a linkage unit 130 .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길이방향(예컨대, 도 1에서 볼 때 X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1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eg, the X-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FIG. 1 ).

예컨대, 스케그부재(110)는 도 1과 같이 측면이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skeg member 110 may have a rectangular side as shown in FIG. 1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에 설치된다. 이때, 스케그부재(110)는 도 1과 같이 선체(10)의 선미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110 is installed on the hull 10 . At this time, the skeg member 1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as shown in FIG. 1 .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한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선체(10) 외부로 돌출되거나 선체(10)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110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stern part of the hull 10 . In other words, the skeg member 110 may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or be accommodated in the hull 10 .

보다 상세히,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선미부 면적, 즉 선체(10)를 측방향에서 볼 때 선체(10)의 선미부 측면적을 감소시키고, 선체(10)에 대한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 내부에 수납되어 선체(10)의 추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keg member 1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ull 10 . At this time, the skeg member 110 reduces the stern area of the hull 10 , that is, the stern side area of the hull 10 when viewed from the lateral direction, and reduces the resistance to the hull 10 . can do it In other words, the skeg member 1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ull 10 to improve the propulsion performance of the hull 10 .

또는,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선미부 면적, 즉 선체(10)의 측방향에서 볼 때 선체(10)의 선미부 측면적을 증가시키고, 선체(10)에 대한 선회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선체(10)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keg member 11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 At this time, the skeg member 110 increases the stern area of the hull 10, that is, the stern side area of the hull 10 when viewed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hull 10, and the turning ability for the hull 10 can be improved In other words, the skeg member 11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to improve the steering performance of the hull 10 .

예컨대, 선체(10)의 선미부 내부에는 도 1과 같이 수납홈(11)이 형성되고, 스케그부재(110)는 수납홈(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receiving groove 11 is formed inside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as shown in FIG. 1 , and the skeg member 1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 .

이때, 수납홈(11)의 후방측부는 선미부 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개방된 수납홈(11)의 후방측부를 통해 수납홈(11) 외부로 돌출되거나 수납홈(11)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may be formed to be opened toward the rear of the stern portion. In this case, the skeg member 11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11 through the rear side of the opened accommodation groove 11 or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1 .

이와 같은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의 운항상태에 따라 선체(10)에 대해 출몰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Such a skeg member 110 may appear and retract with respect to the hull 10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ll 1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 내부에서 프로펠러(30)의 회전축(31)과 간섭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11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propeller 30 inside the hull 10 .

일례로, 스케그부재(110)는 도 1과 같이 프로펠러(30)의 회전축(3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는 선체(10) 외부로 돌출될 때 프로펠러(30)의 회전축(31) 아래쪽 영역의 선미부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keg member 110 may be disposed below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propeller 30 as shown in FIG. 1 . In this case, the skeg member 110 may increase the area of the stern portion of the lower region of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propeller 30 whe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

대안적으로, 스케그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로펠러의 회전축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그부재는 선체 외부로 돌출될 때 프로펠러의 회전축 위쪽 영역의 선미부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skeg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In this case, the skeg member can increase the area of the stern portion of the area above the rotation axis of the propeller when i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ull.

도 1을 참조하면, 연동부(130)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스케그부재(110)를 선체(10)의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시킨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110)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는 연동부(130)를 통해 선체(10) 외부로 돌출되거나 선체(10)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nterlocking unit 130 moves the skeg member 110 to the rear of the stern of the hull 10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In other words, the skeg member 11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or be accommodated in the hull 10 through the interlocking part 130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본 실시예에서, 연동부(130)는 연결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inkage 130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131 .

연결부재(131)는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스케그부재(110)와 러더(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31)는 전단부가 스케그부재(110)에 지지되며, 후단부가 러더(50)에 지지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131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 and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keg member 110 and the rudder 50 . In this case, the connection member 131 may have a front end supported on the skeg member 110 , and a rear end supported on the rudder 50 .

연결부재(131)의 전단부는 도 1과 같이 스케그부재(110)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keg member 110 as shown in FIG. 1 .

연결부재(131)의 후단부는 도 1과 같이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131)는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스케그부재(110)를 신속하며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be connected to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rudder 50 as shown in FIG. 1 .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131 can be shortened in length, and the skeg member 110 can be moved quickly and effectively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연결부재(131)는 회전하는 프로펠러(30)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be dispos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rotating propeller 30 .

예컨대, 연결부재(131)는 도 1과 같이 스케그부재(110)가 프로펠러(30)의 회전축(31) 아래에 배치될 때, 프로펠러(30)의 회전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keg member 110 is disposed under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propeller 30 as shown in FIG. 1 , the connection member 131 may be disposed under the rotation surface of the propeller 30 .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31)는 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131)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스케그부재(110)를 선체(10)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선체(10) 내부로 수납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protrude the skeg member 110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or accommodate the inside of the hull 10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연결부재(131)는 강재와 같이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such as steel.

연결부재(131)는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스케그부재(110) 및 러더(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131)의 전단부는 스케그부재(110)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지지하고, 연결부재(131)의 후단부는 러더(50)를 원활하게 회전동작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13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with respect to the skeg member 110 and the rudder 5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support the skeg member 110 to move smoothly,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support the rudder 50 to smoothly rotate.

예컨대, 연결부재(131)의 전단부는 도 1과 같이 스케그부재(110)에 대해 제1힌지결합하고, 연결부재(131)의 후단부는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에 대해 제2힌지결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1 is first hinge-coupled to the skeg member 110 as shown in FIG. 1 ,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1 is first hinged with respect to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rudder 50 . 2 can be hinged.

이 경우, 스케그부재(110)의 후단부에는 제1힌지축(71)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에는 제2힌지축(72)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결부재(131)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제1힌지축(71) 및 제2힌지축(7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at the rear end of the skeg member 110 , the first hinge shaft 71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hinge shaft 72 is formed in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rudder 50 in the vertical direction. ,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rotate about the first hinge shaft 71 and the second hinge shaft 72, respectively.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2 내지 도 5에서 +X축방향은 선체(10)의 선수방향을 나타내고, 도 2 및 도 4는 선체(10)의 선미부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For reference, the +X-axis direction in FIGS. 2 to 5 indicates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 FIGS. 2 and 4 show a part of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and FIG. 3 is AA of FIG. It shows a state looking at the line in the arrow direction, and FIG. 5 shows a state looking at the line BB of FIG. 4 in the arrow direc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31)는 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선체(10)는 직진운항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 the hull 10 may travel straight.

이 경우, 러더(50)는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maintain an initial state.

스케그부재(110)는 수납홈(11)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1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

연결부재(131)는 러더(50)와 수납홈(11)에 수납된 스케그부재(110)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connect the rudder 50 and the skeg member 1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선체(10)는 선회동작할 수 있다.2 and 3 , the hull 10 may rotate.

참고로, 본 작동예에서는, 선체(10)가 선회동작할 때 러더(50)가 소정의 회전각을 갖도록 선체(10)의 우현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러더(50)가 소정의 회전각을 갖도록 선체(10)의 좌현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경우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or reference, in this operation example, a case in which the rudder 50 rotates in the starboard direction of the hull 1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when the hull 10 is turn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rudder 50 ) is substantially the same in the case of rotating in the port direction of the hull 1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경우, 러더(50)는 도 3과 같이 소정의 회전각을 갖도록 회전동작할 수 있다. 이때,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미부 후방을 향하는 방향, 즉 선미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rotate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s shown in FIG. 3 . At this time,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rudder 50 may rotate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of the stern portion around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C), that is, in the stern direction.

연결부재(131)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선미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131)는 회전동작하는 러더(50)를 따라 선미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move in the stern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member 131 may move in the stern direction along the rudder 50 which rotates.

수납홈(11) 내부에 수납된 스케그부재(1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이동하는 연결부재(131)를 따라 선미방향으로 이동하고, 수납홈(11)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스케그부재(110)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선미부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1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may move in the stern direction along the moving connecting member 131 as shown in FIGS. 2 and 3 , and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 That is, the skeg member 110 may protrude to the rear of the stern part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체(10)는 선회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4 and 5, the hull 10 may end the turning operation.

이 경우, 러더(50)는 도 5와 같이 초기상태를 갖도록 회전동작할 수 있다. 이때,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미부 전방을 향하는 방향, 즉 선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rotate to have an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5 . At this time,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rudder 50 may rotate in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stern portion around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C), that is, in the bow direction.

연결부재(131)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선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131)는 회전동작하는 러더(50)를 따라 선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move in the bow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move in the bow direction along the rudder 50 that rotates.

수납홈(11)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1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이동하는 연결부재(131)를 따라 선수방향으로 이동하고, 수납홈(11) 내부로 복귀되어 수납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11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may move in the bow direction along the moving connecting member 131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return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to be accommodated. have.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100)는 스케그부재(110)가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선체(10)의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함으로써, 선체(10)가 직진운항할 때 선체(10)에 대한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선체(10)가 선회동작할 때 선체(10)에 대한 조종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keg member 110 interlocks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so that the hull 10 ) can effectively reduce the resistance to the hull 10 when traveling straight, and effectively improve the steering performance for the hull 10 when the hull 10 is turning.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100)는 조종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러더(50)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러더(50)에 의한 저항을 저감할 수 있고, 러더(50)의 증가하는 크기에 대응하여 스티어링 기어부(미도시)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the resistance by the rudder 50 by preventing the size of the rudder 50 from increasing in order to improve the steering performance, and the rudder 5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steering gear unit (not shown)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size of the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hip including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6에서 +X축방향은 선체(10)의 선수방향을 나타내고, 도 6은 선체(10)의 선미부 일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스케그부재(210)가 선체(10) 내부에 수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For reference, the +X axis direction in FIG. 6 indicates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 , and FIG. 6 shows a part of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 and the skeg member 210 is inside the hull 10 . It shows the stored stat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200)는 스케그부재(210) 및 연동부(230)를 포함하고, 선박(1)의 선체(10)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n apparatus 200 for improving steer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keg member 210 and a linkage 230 , and is to be installed on the hull 10 of the ship 1 . can

본 실시예에 따른 스케그부재(21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스케그부재(도 1의 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keg member 2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keg member 110 in FIG. 1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200)는 연동부(230)의 구성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linkage unit 230 .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연동부(230)는 연결부재(233) 및 복귀부재(2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age part 230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233 and a return member 235 .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33)는 구체적 형태에 있어 앞선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도 1의 131)와 차이가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3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connecting member (131 in FIG. 1)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in a specific form.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33)는 와이어 또는 로프 또는 체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33)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따라 장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233)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스케그부재(210)를 선체(10)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23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a rope, or a chain. At this time, the ten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33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233 may protrude the skeg member 210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연결부재(233)는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스케그부재(210) 및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233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skeg member 210 and the rudder 50 by a method such as welding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respectively.

복귀부재(235)는 선체(10)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210)를 선체(10)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복귀부재(235)는 스케그부재(210)를 선체(10) 내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turn member 235 may return the skeg member 21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to the inside of the hull 10 . In other words, the return member 235 may provid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skeg member 210 into the hull 10 .

일례로, 복귀부재(235)는 도 6과 같이 스케그부재(210)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5a)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turn member 235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235a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keg member 210 as shown in FIG. 6 .

탄성부재(235a)는 전단부가 수납홈(11)을 형성하는 선체(10)의 측벽에 지지되고, 후단부가 스케그부재(210)의 전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235a)는 스케그부재(210)에 대해 선수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스케그부재(2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35a may have a front end supported on the side wall of the hull 10 forming the receiving groove 11 , and a rear end supported on the front end of the skeg member 210 .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235a may elastically support the skeg member 210 so that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skeg member 210 in the bow direction.

이때, 탄성부재(235a)의 탄성계수는 러더(50)가 최대 회전각을 갖도록 회전동작할 때 스티어링 기어부(미도시)가 러더(50)에 제공하는 회전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member 235a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to the rudder 50 by the steering gear unit (not shown) when the rudder 50 rotates to have the maximum rotation angle.

예컨대, 탄성부재(235a)는 스프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235a may be a spring.

다른 예로, 복귀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신축동작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return member may include a cylinder member that expands and contracts.

실린더부재는 전단부가 선체(10)의 측벽에 지지되고, 후단부가 스케그부재의 전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부재는 스케그부재가 선체 외부로 돌출될 때 후단부가 선미방향으로 이동하며 신장동작하고, 스케그부재가 선체 내부로 복귀될 때 후단부가 선수방향으로 이동하며 수축동작할 수 있다.The cylinder member may have a front end supported on the side wall of the hull 10, and a rear end supported on the front end of the skeg member. In this case, when the skeg member protrudes out of the hull,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member moves in the stern direction and expands, and when the skeg member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hull, the rear end moves in the bow direction and contracts.

예컨대, 실린더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ylinder member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이외에도, 복귀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케그부재를 선체 내부로 복귀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return member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eturn the skeg member to the inside of the hull.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7 내지 도 10에서 +X축방향은 선체(10)의 선수방향을 나타내고, 도 7 및 도 9는 선체(10)의 선미부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도 7의 DD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도 10은 도 9의 EE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For reference, the +X-axis direction in FIGS. 7 to 10 indicates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 FIGS. 7 and 9 show a part of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and FIG. 8 is the DD of FIG. It shows a state looking at the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FIG. 10 shows the state when looking at the line EE of FIG. 9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2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33)는 와이어 또는 로프 또는 체인 형태로 제공되고, 복귀부재(235)는 탄성부재(235a)일 수 있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member 23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rope, or chain, and the return member 235 may be an elastic member 235a.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선체(10)는 직진운항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6 , the hull 10 may travel straight.

이 경우, 러더(50)는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maintain an initial state.

스케그부재(210)는 수납홈(11)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2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

연결부재(233)는 러더(50)와 수납홈(11)에 수납된 스케그부재(210)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33 may connect the rudder 50 and the skeg member 2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

탄성부재(235a)는 선체(10)에 대해 스케그부재(2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35a may elastically support the skeg member 210 with respect to the hull 10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선체(10)는 선회동작할 수 있다.7 and 8 , the hull 10 may rotate.

참고로, 본 작동예에서는, 선체(10)가 선회동작할 때 러더(50)가 소정의 회전각을 갖도록 선체(10)의 우현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러더(50)가 소정의 회전각을 갖도록 선체(10)의 좌현방향으로 회전동작하는 경우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or reference, in this operation example, a case in which the rudder 50 rotates in the starboard direction of the hull 1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when the hull 10 is turn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rudder 50 ) is substantially the same in the case of rotating in the port direction of the hull 1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경우, 러더(50)는 도 8과 같이 소정의 회전각을 갖도록 회전동작할 수 있다. 이때,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미부 후방을 향하는 방향, 즉 선미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rotate to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s shown in FIG. 8 . At this time,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rudder 50 may rotate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of the stern portion around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C), that is, in the stern direction.

연결부재(233)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선미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233)는 회전동작하는 러더(50)에 의해 선미방향으로 장력이 증가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33 may move in the stern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member 233 may increase the tension in the stern direction by the rudder 50 that rotates.

수납홈(11) 내부에 수납된 스케그부재(21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연결부재(233)의 증가하는 장력에 의해 선미방향으로 이동하고, 수납홈(11)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스케그부재(210)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선미부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keg member 2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is moved in the stern direction by the increasing ten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33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can protrude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1. have. That is, the skeg member 210 may protrude to the rear of the stern part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탄성부재(235a)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수납홈(11) 외부로 돌출되는 스케그부재(210)에 지지되어 신장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35a)는 스케그부재(210)에 대해 선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235a)의 탄성력은 연결부재(233)의 장력보다 작을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35a may be extended by being supported by the skeg member 21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as shown in FIGS. 7 and 8 .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235a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bow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keg member 210 . In this cas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35a may be smaller than the ten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33 .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선체(10)는 선회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9 and 10, the hull 10 may end the turning operation.

이 경우, 러더(50)는 도 10과 같이 초기상태를 갖도록 회전동작할 수 있다. 이때,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미부 전방을 향하는 방향, 즉 선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rotate to have an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10 . At this time,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rudder 50 may rotate in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stern portion around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C), that is, in the bow direction.

연결부재(233)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선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233)는 회전동작하는 러더(50)에 의해 장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233)는 선체(10)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210)를 이동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33 may move in the bow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 In other words, the ten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33 may be reduced by the rudder 50 rotating. In this case, it may be difficult for the connecting member 233 to move the skeg member 21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

수납홈(11) 외부로 돌출된 스케그부재(210)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탄성부재(235a)의 탄성력에 의해 선수방향으로 이동하고, 수납홈(11) 내부로 복귀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235a)의 탄성력은 연결부재(233)의 장력보다 클 수 있다.The skeg member 21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moves in the bow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35a as shown in FIGS. 9 and 10 , and can be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and accommodated. have. In this cas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35a may be greater than the ten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33 .

탄성부재(235a)는 수납홈(11) 내부로 수납되는 스케그부재(210)에 지지되어 수축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35a may be contracted by being supported by the skeg member 2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FF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GG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의 H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hip including a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F line of FIG. 11 i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FIG. 13 is FIG.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G line of 12 i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H of Fig. 11 .

참고로, 도 11 내지 도 14에서 +X축방향은 선체(10)의 선수방향을 나타내고, 도 11은 선체(10)의 선미부 일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스케그부재(310)가 선체(10) 내부에 수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For reference, the +X-axis direction in FIGS. 11 to 14 shows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 and FIG. 11 shows a part of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and the skeg member 310 is the hull 10. ) shows how it is stored inside.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300)는 스케그부재(310), 연결부재(333) 및 복귀부재(335)를 포함하는 연동부(230) 및 가이드부(350)를 포함하고, 선박(1)의 선체(10)에 설치될 수 있다.11 to 14 , an apparatus 300 for improving steer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locking part ( 230 ) and the guide part 350 , and may be installed in the hull 10 of the ship 1 .

본 실시예에 따른 스케그부재(310) 및 연동부(33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스케그부재(도 2의 210) 및 연동부(도 2의 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동부(330)의 연결부재(333)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 또는 로프 또는 체인 형태로 제공되고, 연동부(330)의 복귀부재(335)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335a)를 포함할 수 있다.The skeg member 310 and the linkage part 3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keg member (210 in FIG. 2) and the linkage part (230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is case, the connection member 333 of the linkage part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rope, or chain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return member 335 of the linkage part 330 is provid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uch,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335a).

본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향상장치(300)는 가이드부(35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guide unit 350 .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가이드부(350)는 스케그부재(310)가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하는 과정에서 스케그부재(3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350)는 스케그부재(310)의 출몰방향을 따라 스케그부재(3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그부재(310)는 가이드부(350)에 가이드되어 선체(10)의 길이방향(예컨대, 도 11에서 볼 때 X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guide part 35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skeg member 310 while the skeg member 310 protrudes and retracts to the rear of the stern part. In this case, the guide part 35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skeg member 310 along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direction of the skeg member 310 . In other words, the skeg member 310 is guided by the guide part 350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eg, the X-axis direction as seen in FIG. 11 ).

이 경우, 스케그부재(310)는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효과적으로 출몰할 수 있고, 선체(10) 외부로 돌출될 때 선체(10) 외부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keg member 310 can effectively move in and o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50, and whe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ull 10, the hull 10 outside Falling can be prevented.

가이드부(35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350)는 전단부가 선체(10)에 지지되며 후단부가 러더(50)에 지지될 수 있다.The guide part 350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as shown in FIGS. 11 and 12 . In this case, the guide part 350 may have a front end supported on the hull 10 and a rear end supported on the rudder 50 .

예컨대, 가이드부(350)는 제1가이드부재(351) 및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part 350 may include a first guide member 351 and a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

제1가이드부재(351)는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재(351)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전단부가 선체(10)의 수납홈(11) 내부로 연장되어 선체(10)에 지지되고, 후단부가 러더(50)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러더(50)에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35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member 351 is supported by the hull 10 by extending into the receiving groove 11 of the hull 10 as shown in FIGS. 11 and 12 , and the rear end of the rudder 50 as the bottom surface It may be extended and supported on the rudder 50 .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각각 제1가이드부재(351)의 양측단부, 즉 제1가이드부재(351)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에서 선체(10)의 높이방향(예컨대, 도 11에서 볼 때 Z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are, respectively, from both ends of the first guide member 351, that is, from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first guide member 351 as shown in FIGS. 11 and 12 of the hull 10.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height direction (eg, the Z-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FIG. 11 ).

이때,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는 선체(10)의 폭방향(예컨대, 도 12에서 볼 때 Y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 사이 이격된 거리는 스케그부재(310)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ll 10 (eg, the Y-axis direction when viewed in FIG. 12 ).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keg member 310 .

이 경우, 제1가이드부재(351)와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의 결합체의 단면은 도 13과 같이 위쪽으로 개방된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스케그부재(310)는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일부가 제1가이드부재(351)와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가 형성하는 내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가이드부재(351)는 이동하는 스케그부재(310)의 저면을 지지하고,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는 각각 이동하는 스케그부재(31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of the assembly of the first guide member 351 and the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may have a 'U' shape open upward as shown in FIG. 13 . In this c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skeg member 31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formed by the first guide member 351 and the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in the process of protruding and retracting to the rear of the stern portion. In this case, the first guide member 351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skeg member 310, and a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support both sides of the moving skeg member 310, respectively. can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는 각각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는 각각 제1가이드부재(351) 중 선체(10)의 선미부와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plat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 respectively. In this case, each of the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may be disposed in an area between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and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rudder 50 among the first guide members 351 .

예컨대,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각각 전단부가 선체(10)의 선미부에 대해 이격되고, 후단부가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에 대해 이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has a front end spaced apart from the stern portion of the hull 1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11 and 12,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rudder 50 with respect to the leading edge portion 51 It can be extended to be spaced apart.

이 경우, 각 제2가이드부재(353)의 후단부와 러더(50)의 리딩에지부(51) 사이 이격된 틈은 도 11과 같이 제1가이드부재(351)와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가 형성하는 내부영역에 위치하는 연결부재(333)가 러더(5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ap spaced apart between the rear end of each second guide member 353 and the leading edge portion 51 of the rudder 50 is the first guide member 351 and a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as shown in FIG. 11 . The connecting member 333 located in the inner region formed by 353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udder 50 can mov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가이드부(350)는 회전하는 프로펠러(30)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part 350 may be dispos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rotating propeller 30 .

예컨대, 제1가이드부재(351)와 한 쌍의 제2가이드부재(353)는 도 11과 같이 스케그부재(310)가 프로펠러(30)의 회전축(31) 아래에 배치될 때 프로펠러(30)의 회전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333)는 프로펠러(30)의 회전면과 제1가이드부재(351)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guide member 351 and the pair of second guide members 353 are the propeller 30 when the skeg member 310 is disposed under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propeller 30 as shown in FIG. 11 . may be disposed under the rotational surface of In this case, the connection member 333 may be located in a region between the rotation surface of the propeller 30 and the first guide member 351 .

가이드부(350)의 후단부는 러더(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350)는 전단부가 선체(10)에 고정 지지되고, 후단부가 러더(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350)는 러더(50)가 회전동작하는 동안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guide part 3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udder 50 . In other words, the guide part 350 may have a front end fixedly supported on the hull 10 , and a rear end portion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rudder 50 . In this case, the guide part 350 may maintain an extended st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while the rudder 50 rotates.

예컨대, 제1가이드부재(351)의 후단부는 도 14와 같이 러더(50)의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러더(5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r end of the first guide member 35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udder 50 about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C) of the rudder 50 as shown in FIG. 14 .

이때, 러더(50)의 저면에는 러더(50)의 회전중심축(C)을 따라 아래로 돌출되는 삽입돌기(53)가 형성되고, 제1가이드부재(351)의 후단부에는 삽입돌기(53)가 삽입되는 삽입홀(3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가이드부재(351)의 후단부와 러더(50)는 삽입돌기(53)가 삽입홀(351a)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sertion protrusion 53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C of the rudder 5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udder 50 , and an insertion protrusion 5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guide member 351 . ) into which the insertion hole 351a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rear end of the first guide member 351 and the rudder 50 may be coupled by inserting the insertion protrusion 53 into the insertion hole 351a.

이때, 삽입홀(351a)을 형성하는 제1가이드부재(351)의 측벽과 삽입돌기(53)의 외측벽 사이에는 베어링부재(73)가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러더(50)는 베어링부재(73)를 매개로 제1가이드부재(351)에 대해 회전동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earing member 7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first guide member 351 forming the insertion hole 351a and the outer wall of the insertion protrusion 53 . In this case, the rudder 50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member 351 via the bearing member 73 .

이외에도, 가이드부의 후단부와 러더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rear end of the guide and the rudder may be combined in various rotatable structures.

한편, 가이드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부재가 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스케그부재가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하는 과정에서 스케그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guide part is not shown, even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the skeg member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skeg member in the process of protruding and retracting to the rear of the stern part.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such as, and it will be said that it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선박
10: 선체
11: 수납홈
30: 프로펠러
50: 러더
100, 200, 300: 조종성능향상장치
110, 210, 310: 스케그부재
130, 230, 330: 연동부
131, 233, 333: 연결부재
235, 335: 복귀부재
350: 가이드부
1: ship
10: hull
11: storage groove
30: propeller
50: rudder
100, 200, 300: Control performance improvement device
110, 210, 310: Skeg member
130, 230, 330: linkage
131, 233, 333: connecting member
235, 335: return member
350: guide unit

Claims (12)

선체의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스케그부재; 및
러더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케그부재를 상기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전단부가 상기 스케그부재에 지지되며, 후단부가 상기 러더에 지지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조종성능향상장치.
a skeg member installed on the hull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stern part of the hull; and
It includes an interlocking part for protruding and retracting the skeg member to the rear of the stern part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udder,
The linkage portion, the front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keg member and the rear end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supported by the rudder,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그부재는 프로펠러의 회전축 아래에 배치되는, 조종성능향상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keg member is disposed under the rotation shaft of the propeller,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러더의 리딩에지부에 연결되는, 조종성능향상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leading edge portion of the rudder,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단부가 상기 선체에 지지되며, 후단부가 상기 러더에 지지되고, 상기 스케그부재가 상기 선미부 후방으로 출몰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케그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조종성능향상장치.
5.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he front end is supported on the hull, the rear end is supported on the rudder, and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keg member in the process of the skeg member protruding and retracting to the rear of the stern portion,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86217A 2018-07-24 2018-07-24 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KR1024389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17A KR102438944B1 (en) 2018-07-24 2018-07-24 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17A KR102438944B1 (en) 2018-07-24 2018-07-24 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304A KR20200011304A (en) 2020-02-03
KR102438944B1 true KR102438944B1 (en) 2022-08-31

Family

ID=6962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217A KR102438944B1 (en) 2018-07-24 2018-07-24 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94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781A (en) * 2002-10-17 2004-05-13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Ship with propelling performance improver
JP2008308140A (en) * 2007-06-18 2008-12-25 Sumitomo Heavy Industries Marine & Engineering Co Ltd Shi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535B1 (en) * 2006-12-18 2008-08-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od propulsion system including rudder and hydroplanes for submarine
KR20130090024A (en) * 2012-02-03 2013-08-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oving-type stern-bulb skeg for improving course-stab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781A (en) * 2002-10-17 2004-05-13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Ship with propelling performance improver
JP2008308140A (en) * 2007-06-18 2008-12-25 Sumitomo Heavy Industries Marine & Engineering Co Ltd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304A (en)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2012B2 (en) Arrangement for dynamic control of running trim and list of a boat
JP4874296B2 (en) Ship rudder
US20230101895A1 (en) Active aerodynamics liftgate spoiler design with multi 4 bar kinematic linkages
KR102438944B1 (en) 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and ship including the same
KR101291138B1 (en) Rudder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EP2776313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rim and/or steering of a boat
KR20100082455A (en) Controllerable rudder of a vessel
JP4668162B2 (en) Retractable thrusters and ships with thrusters
KR20210013784A (en) Apparatus for propulsion
KR20130127044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iceberg at shipside and ship having thereof
US5151058A (en) Supporting device for outboard motor
KR101702320B1 (en) Ship loading cargo and method of loading cargo
US6461206B2 (en) Impact rudder
KR102448986B1 (en) Bow thruster apparatus
JP4334532B2 (en) Rudder
KR20150067710A (en) Ship loading cargo and method of loading cargo
KR101177881B1 (en) Rudder for ship
KR102448984B1 (en) Maneuverability enhancing apparatus
JP7148329B2 (en) Rudder blades and ships
JP7195973B2 (en) Forward/backward steering device
KR101403648B1 (en) Retractable Thruster For Offshore Structure
JP7422839B2 (en) rudder
KR20200034323A (en) Bow thruster apparatus
JP2010159009A (en) Structure around vehicle wheel housing
JP2635532B2 (en) Reverse device for water jet propul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