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773B1 -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773B1
KR102438773B1 KR1020200112554A KR20200112554A KR102438773B1 KR 102438773 B1 KR102438773 B1 KR 102438773B1 KR 1020200112554 A KR1020200112554 A KR 1020200112554A KR 20200112554 A KR20200112554 A KR 20200112554A KR 102438773 B1 KR102438773 B1 KR 102438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tact portion
crimp
gear
high cor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785A (ko
Inventor
김광주
한윤식
성기훈
황경한
정구진
Original Assignee
홍덕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덕산업(주) filed Critical 홍덕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112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7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4Und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07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pes Or Cable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는, 와이어; 아연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에 형성되는 아연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크림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은, 와이어를 신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와이어를 아연 도금 하여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는 아연 도금층 형성 단계;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하는 크림프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High corrosion-resistant rebar wire for concrete reinforc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와이어에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면서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면서 와이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압축에는 강하지만 인장에 취약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묻어 사용하고 있다. 철근이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면서 콘크리트에 부착됨에 따라 철근과 콘크리트는 일체로 외력에 저항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건축물에는 철근 콘크리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은 유통과정에서 온도, 습기에 의해 결로가 발생함에 따라 표면이 산화되어 산화철이 발생하게 된다. 즉, 철근의 제조상에는 문제가 없더라도, 철근의 유통과정에서 외부환경에 의해 철근에 산화철이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철근을 사용할 때는 상기와 같은 산화철을 제거하고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철근에서 산화철을 제거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실제 철근을 사용시 철근에서 산화철을 제거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철근에서 산화철을 제거하지 않으면,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시공된 이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서 시효 현상에 의하여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력이 약해지면, 철근이 콘크리트에서 탈착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건축물의 붕괴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와이어에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면서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면서 와이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는, 와이어; 아연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에 형성되는 아연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크림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는 구리 또는 황동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연 도금층은,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이후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상기 와이어의 상기 크림프는, 외측에 복수 개의 제1치형부가 구비된 상부 기어와, 외측에 복수 개의 제2치형부가 구비된 하부 기어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상기 상부 기어와 상기 하부 기어의 직경은 동일하되, 상기 상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의 개수와 상기 하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상기 상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 사이의 간격인 제1피치와, 상기 하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 사이의 간격인 제2피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상기 제1치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에서 상기 상부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비접촉부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1비접촉부를 연결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치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에서 상기 하부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비접촉부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접촉부와 상기 제2비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형성하는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상기 제2접촉부의 폭인 제2치폭은, 상기 제1접촉부의 폭인 제1치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은, 와이어를 신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와이어를 아연 도금 하여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는 아연 도금층 형성 단계;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하는 크림프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의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와이어를 구리 또는 황동으로 도금 처리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층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의 상기 크림프 형성 단계는, 외측에 복수 개의 제1치형부가 구비된 상부 기어와, 외측에 복수 개의 제2치형부가 구비된 하부 기어 사이로 상기 와이어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크림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의 상기 상부 기어와 상기 하부 기어의 직경은 동일하되, 상기 상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의 개수와 상기 하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의 상기 상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 사이의 간격인 제1피치와, 상기 하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 사이의 간격인 제2피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의 상기 제1치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에서 상기 상부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비접촉부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1비접촉부를 연결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치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에서 상기 하부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비접촉부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접촉부와 상기 제2비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의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형성하는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의 상기 제2접촉부의 폭인 제2치폭은, 상기 제1접촉부의 폭인 제1치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의 제조방법은 상기 크림프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와이어를 10 내지 30mm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와이어에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면서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면서 와이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치와 치폭이 다른 상부 기어와 하부 기어를 와이어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하여 크림프를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와 시멘트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상부 기어와 하부 기어를 통해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와이어에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면서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면서 와이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는, 와이어(110), 아연 도금층(120), 크림프(13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110)는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철근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110)는 상기 아연 도금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크림프(130)가 형성된 이후에 콘크리트에 매립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가공된 상기 와이어(110)는 0.2 내지 1mm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와이어(110)는 다양한 크기의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아연 도금층(120)은 아연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110)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아연 도금층(120)은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의 아연 도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형성하면, 상기 와이어(110)에 산화 아연층이 형성됨에 따라 부식에 대한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여 콘크리트에서 철근(와이어)이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형성하면, 상기 아연 도금층(120)에 의해 상기 와이어(1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와이어(110)는 전처리 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10)를 전처리하는 과정은, 구리 또는 황동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110)에 도금층(14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110)에는 구리 또는 황동 도금을 통해 상기 도금층(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연 도금층(120)은 상기 도금층(140)이 형성된 이후에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110)를 전처리 하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110)를 신선 처리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110)를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110)에 구리 또는 황동 도금층(14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와이어(110)를 전처리 하는 과정은 상기 과정 이외에 상기 와이어(110)를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연 도금층(120)이 형성하기 전에 상기 와이어(110)를 전처리 하여 구리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금층(140)을 형성하면, 상기 아연 도금층(120)의 밀착성이 좋아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와이어(110)에 구리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금층(140)과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함께 형성하면, 상기 아연 도금층(120)으로 인해 산화 아연층을 형성됨에 상기 구리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금층(140) 및 상기 와이어(1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처리 과정과 아연 도금 처리 과정을 거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이 형성된 와이어(110)는 0.2 내지 1mm로 최종 신선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와이어(110)에 크림프(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크림프(130)는 상기 와이어(110) 형성되는 굴곡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110)에는 상기 와이어(11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굴곡으로 이루어진 상기 크림프(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하면, 상기 크림프(130)를 통해 상기 와이어(110)와 상기 아연 도금층(120)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크림프(130)로 인해 콘크리트와 철근(와이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도와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하기 위해 기어(15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어(150)는 상기 기어(150)의 외주면을 따라 기어의 이빨이 되는 치형부(151)가 복수 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치형부(151)에 상기 와이어(110)가 접촉되면서 상기 크림프(130)가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와 철근(와이어)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록 콘크리트와 철근(와이어)의 부착력이 향상되며,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110)에 형성되는 상기 크림프(130)의 파고는 높게, 피치는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고라 함은 상기 크림프(130)의 최고점에서 상기 크림프(130)의 최저점 사이의 높이차를 나타내며, 피치라 함은 상기 크림프(130)의 첫 번째 최고점에서 다음 주기의 두 번째 최고점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와이어(110)의 상기 크림프(130)에는 피치와 파고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림프(130)에 피치와 파고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기어(150)의 피치, 파고, 치폭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어(150)의 상기 치형부(151)는 상기 와이어(110)에 접촉하는 접촉부(152)와 상기 접촉부(152)에서 상기 기어(15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비접촉부(153)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접촉부(152)와 상기 비접촉부(153)를 연결하는 연장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150)의 피치는 하나의 치형부(151)에서 다른 하나의 치형부(151)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기어(150)의 파고는 상기 기어(150)에서 상기 치형부(151)가 돌출되는 높이일 수 있다. 상기 기어(150)의 치폭은 상기 접촉부(152)의 폭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어(150)는 상기 와이어(110)에 피치와 파고가 형성된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어(150)는 직경이 동일하되, 상기 치형부(151)의 개수를 변경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150)의 피치, 파고, 치폭이 조절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치형부의 개수가 다르게 형성된 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기어는 치형부의 개수가 서로 다름에 따라 서로 다른 피치, 파고, 치폭을 가지게 된다.
상기 기어(150)의 상기 연장부(154)는 상기 접촉부(152)와 상기 비접촉부(153)를 연결하는 것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작을수록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너무 작으면(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0.03mm 보다 작으면), 상기 연장부(154)에 의해 상기 와이어(110)가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너무 크면(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0.07mm 보다 크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110)의 상기 크림프(130)는 외측에 복수 개의 제1치형부(161)가 구비된 상부 기어(160)와 외측에 복수 개의 제2치형부(171)가 구비되면 하부 기어(170)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는 서로 다른 기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는 직경이 동일하되, 상기 상부 기어(160)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161)의 개수와 상기 하부 기어(170)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171)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는 직경이 동일하면서 상기 제1치형부(161)의 개수와 상기 제2치형부(171)의 개수를 다르게 형성하면, 상기 상부 기어(160)가 형성하는 피치, 파고, 치폭과 상기 하부 기어(170)가 형성하는 피치, 파고, 치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는 다른 직경을 가지는 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기어(160)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161) 사이의 간격인 제1피치(161a)와 상기 하부 기어(170) 사이의 간격인 제2피치(171a)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치형부(161)의 파고, 치폭도 상기 제2치형부(171)의 파고, 치폭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를 상기 와이어(110)의 상, 하부에 배치하면서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를 통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하면, 다양한 형상의 굴곡을 상기 와이어(110)에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110)에 다양한 형상의 굴곡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110)와 상기 콘크리트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110)와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치형부(161)는, 상기 와이어(110)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162)와 상기 제1접촉부(162)에서 상기 상부 기어(16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비접촉부(163)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접촉부(162)와 상기 제1비접촉부(163)를 연결하는 제1연장부(16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치형부(171)는, 상기 와이어(110)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172)와 상기 제2접촉부(172)에서 상기 하부 기어(17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비접촉부(173)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접촉부(172)와 상기 제2비접촉부(173)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17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164)는 상기 제1접촉부(162)와 상기 제1비접촉부(163)를 연결하는 것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장부(174)는 상기 제2접촉부(172)와 상기 제2비접촉부(173)를 연결하는 것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연장부(164)와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작을수록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너무 작으면(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0.03mm 보다 작으면),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에 의해 상기 와이어(110)가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너무 크면(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0.07mm 보다 크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기어(170)의 상기 제2접촉부(172)의 폭인 제2치폭(172a)은 상기 상부 기어(160)의 상기 제1접촉부(162)의 폭인 제1치폭(162a)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할 때, 상기 와이어(11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기어(170)가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11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기어(160)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 기어(170)는 상기 와이어(110)의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더 큰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를 통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접촉부(172)의 상기 제2치폭(172a)이 상기 제1접촉부(162)의 상기 제1치폭(162a)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에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와이어(110)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에서 제조방법은, 전처리 단계(S100), 아연 도금층 형성 단계(S200), 크림프 형성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 단계(S100)는 상기 와이어(110)를 신선하는 신선 단계(S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전처리 단계(S100)는 상기 와이어(110)를 신선하는 상기 신선 단계(S110) 이외에 상기 와이어(110)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처리 단계(S100)는, 상기 와이어(110)를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S120)와 구리 또는 황동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110)에 도금층(140)을 형성하는 도금층 형성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연 도금층 형성 단계(S200)는, 상기 와이어(110)를 아연 도금하여 상기 와이어(110)에 아연 도금층(12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아연 도금층 형성 단계(S200)는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형성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의 아연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형성하면, 상기 와이어(110)에 산화 아연층이 형성됨에 따라 부식에 대한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여 콘크리트에서 철근(와이어)이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형성하면, 상기 아연 도금층(120)에 의해 상기 와이어(1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110)는 구리 또는 황동 도금을 통해 상기 도금층(140)을 형성시키는 상기 도금층 형성 단계(S130) 이후에, 상기 아연 도금층 형성 단계(S200)를 거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연 도금층(120)은 상기 도금층(140)이 형성된 이후에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와이어(110)를 전처리 하여 구리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금층(140)을 형성하면, 상기 아연 도금층(120)의 밀착성이 좋아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와이어(110)에 구리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금층(140)과 상기 아연 도금층(120)을 함께 형성하면, 상기 아연 도금층(120)으로 인해 산화 아연층이 형성됨에 상기 구리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금층(140) 및 상기 와이어(1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처리 과정과 아연 도금 처리 과정을 거쳐 상기 아연 도금층(120)이 형성된 와이어(110)는 0.2 내지 1mm로 최종 신선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와이어(110)에 크림프(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림프 형성 단계(S300)는 상기 와이어(11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110)에 크림프(130)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크림프(130)는 상기 와이어(110)에 형성되는 굴곡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110)에는 상기 와이어(11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굴곡으로 이루어진 상기 크림프(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하면, 상기 크림프(130)를 통해 상기 와이어(110)와 상기 아연 도금층(120)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크림프(130)로 인해 콘크리트와 철근(와이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도와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크림프 형성 단계(S300)에서는 상기 기어(150)를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기어(150)는 상기 기어(150)의 외주면을 따라 기어의 이빨이 되는 상기 치형부(151)가 복수 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치형부(151)에 상기 와이어(110)가 접촉되면서 상기 크림프(130)가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와 철근(와이어)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록 콘크리트와 철근(와이어)의 부착력이 향상되며,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110)에 형성되는 상기 크림프(130)의 파고는 높게, 피치는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고라 함은 상기 크림프(130)의 최고점에서 상기 크림프(130)의 최저점 사이의 높이차를 나타내며, 피치라 함은 상기 크림프(130)의 첫 번째 최고점에서 다음 주기의 두 번째 최고점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와이어(110)의 상기 크림프(130)에는 피치와 파고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림프(130)에 피치와 파고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기어(150)의 피치, 파고, 치폭이 조절될 수 있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어(150)의 상기 치형부(151)는 상기 와이어(110)에 접촉하는 접촉부(152)와 상기 접촉부(152)에서 상기 기어(15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비접촉부(153)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접촉부(152)와 상기 비접촉부(153)를 연결하는 연장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150)의 피치는 하나의 치형부(151)에서 다른 하나의 치형부(151)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기어(150)의 파고는 상기 기어(150)에서 상기 치형부(151)가 돌출되는 높이일 수 있다. 상기 기어(150)의 치폭은 상기 접촉부(152)의 폭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어(150)는 상기 와이어(110)에 피치와 파고가 형성된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150)는 직경이 동일하되, 상기 치형부(151)의 개수를 변경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150)의 피치, 파고, 치폭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기어(150)의 상기 연장부(154)는 상기 접촉부(152)와 상기 비접촉부(153)를 연결하는 것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작을수록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너무 작으면(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0.03mm 보다 작으면), 상기 연장부(154)에 의해 상기 와이어(110)가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너무 크면(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이 0.07mm 보다 크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154)의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크림프 형성 단계(S300)는, 상기 와이어(110)의 상부에 상기 상부 기어(160)를 배치하고, 상기 와이어(110)의 하부에 상기 하부 기어(170)를 배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기어(160)는 외측에 복수 개의 제1치형부(161)가 구비된 것이며, 상기 하부 기어(170)는 외측에 복수 개의 제2치형부(171)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크림프 형성 단계(S300)에서는, 상기 와이어(110)가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는 서로 다른 기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는 직경이 동일하되, 상기 상부 기어(160)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161)의 개수와 상기 하부 기어(170)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171)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는 직경이 동일하면서 상기 제1치형부(161)의 개수와 상기 제2치형부(171)의 개수를 다르게 형성하면, 상기 상부 기어(160)가 형성하는 피치, 파고, 치폭과 상기 하부 기어(170)가 형성하는 피치, 파고, 치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는 다른 직경을 가지는 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기어(160)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161) 사이의 간격인 제1피치(161a)와 상기 하부 기어(170) 사이의 간격인 제2피치(171a)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치형부(161)의 파고, 치폭도 상기 제2치형부(171)의 파고, 치폭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를 상기 와이어(110)의 상, 하부에 배치하면서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를 통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하면, 다양한 형상의 굴곡을 상기 와이어(110)에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110)에 다양한 형상의 굴곡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110)와 상기 콘크리트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110)와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치형부(161)는, 상기 와이어(110)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162)와 상기 제1접촉부(162)에서 상기 상부 기어(16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비접촉부(163)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접촉부(162)와 상기 제1비접촉부(163)를 연결하는 제1연장부(16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치형부(171)는, 상기 와이어(110)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172)와 상기 제2접촉부(172)에서 상기 하부 기어(17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비접촉부(173)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접촉부(172)와 상기 제2비접촉부(173)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17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164)는 상기 제1접촉부(162)와 상기 제1비접촉부(163)를 연결하는 것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장부(174)는 상기 제2접촉부(172)와 상기 제2비접촉부(173)를 연결하는 것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연장부(164)와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작을수록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너무 작으면(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0.03mm 보다 작으면),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에 의해 상기 와이어(110)가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너무 크면(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이 0.07mm 보다 크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164) 및 상기 제2연장부(174)의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기어(170)의 상기 제2접촉부(172)의 폭인 제2치폭(172a)은 상기 상부 기어(160)의 상기 제1접촉부(162)의 폭인 제1치폭(162a)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형성할 때, 상기 와이어(11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기어(170)가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11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기어(160)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 기어(170)는 상기 와이어(110)의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더 큰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기어(160)와 상기 하부 기어(170)를 통해 상기 와이어(110)에 상기 크림프(130)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접촉부(172)의 상기 제2치폭(172a)이 상기 제1접촉부(162)의 상기 제1치폭(162a)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제조방법은 상기 크림프 형성 단계(S300) 이후, 상기 와이어(110)를 10 내지 30mm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것으로, 0.2 내지 1mm의 직경을 가지면서 10 내지 30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는 작은 건축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10mm 직경을 가지는 철근과 다르게 작은 직경과 작은 길이(0.2 내지 1mm의 직경, 10 내지 30mm의 길이)를 가지면서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와이어에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면서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면서 와이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은, 피치와 치폭이 다른 상부 기어와 하부 기어를 와이어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하여 크림프를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와 시멘트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은 서로 다른 상부 기어와 하부 기어를 와이어의 상, 하부에 배치하면서 크림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상부 기어와 하부 기어를 통해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함에 따라 와이어에 다양한 형상의 굴곡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와이어에 다양한 형상의 굴곡이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와 콘크리트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이를 통해 와이어와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와이어 120...아연 도금층
130...크림프 140...도금층
150...기어 151...치형부
152...접촉부 153...비접촉부
154...연장부 160...상부 기어
161...제1치형부 162...제1접촉부
163...제1비접촉부 164...제1연장부
170...하부 기어 171...제2치형부
172...제2접촉부 173...제2비접촉부
174...제2연장부
S100...전처리 단계
S110...신선 단계
S120...열처리 단계
S130...도금층 형성 단계
S200...아연 도금층 형성 단계
S300...크림프 형성 단계
S400...절단 단계

Claims (17)

  1. 콘크리트 보강용 와이어에 있어서,
    와이어;
    아연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에 형성되는 아연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크림프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기 크림프는,
    외측에 복수 개의 제1치형부가 구비된 상부 기어와, 외측에 복수 개의 제2치형부가 구비된 하부 기어 사이를 통과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 사이의 간격인 제1피치와,
    상기 하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 사이의 간격인 제2피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제1치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에서 상기 상부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비접촉부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1비접촉부를 연결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치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에서 상기 하부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비접촉부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접촉부와 상기 제2비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형성하는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구리 또는 황동 도금을 통해 상기 와이어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연 도금층은,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이후 전기 아연 도금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어와 상기 하부 기어의 직경은 동일하되,
    상기 상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의 개수와 상기 하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의 개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의 폭인 제2치폭은, 상기 제1접촉부의 폭인 제1치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9. 콘크리트 보강용 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이어를 신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와이어를 아연 도금 하여 아연 도금층을 형성하는 아연 도금층 형성 단계;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크림프를 형성하는 크림프 형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크림프 형성 단계는,
    외측에 복수 개의 제1치형부가 구비된 상부 기어와, 외측에 복수 개의 제2치형부가 구비된 하부 기어 사이로 상기 와이어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크림프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 사이의 간격인 제1피치와,
    상기 하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 사이의 간격인 제2피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제1치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에서 상기 상부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비접촉부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1비접촉부를 연결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치형부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에서 상기 하부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비접촉부와, 곡률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접촉부와 상기 제2비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형성하는 곡률 반지름은 0.03 내지 0.07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와이어를 구리 또는 황동으로 도금 처리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어와 상기 하부 기어의 직경은 동일하되,
    상기 상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1치형부의 개수와 상기 하부 기어에 구비된 상기 제2치형부의 개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의 폭인 제2치폭은, 상기 제1접촉부의 폭인 제1치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제조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와이어를 10 내지 30mm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제조방법.
KR1020200112554A 2020-09-03 2020-09-03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8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54A KR102438773B1 (ko) 2020-09-03 2020-09-03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54A KR102438773B1 (ko) 2020-09-03 2020-09-03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85A KR20220030785A (ko) 2022-03-11
KR102438773B1 true KR102438773B1 (ko) 2022-09-01

Family

ID=8081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554A KR102438773B1 (ko) 2020-09-03 2020-09-03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7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3157A (ja) * 1997-02-28 2001-08-28 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ベーカート・ソシエテ・アノニム 高性能コンクリート補強用鋼繊維
KR200328272Y1 (ko) * 2003-07-07 2003-09-26 김용우 강섬유 제조용 성형 및 커팅 롤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8307B2 (ja) * 1995-03-13 1998-05-06 東京製綱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補強用鋼繊維の製造方法
BE1021498B1 (nl) * 2010-12-15 2015-12-03 Nv Bekaert Sa Staalvezel voor het wapenen van beton of mortel, met een verankeringseinde met tenminste drie rechte sect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3157A (ja) * 1997-02-28 2001-08-28 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ベーカート・ソシエテ・アノニム 高性能コンクリート補強用鋼繊維
KR200328272Y1 (ko) * 2003-07-07 2003-09-26 김용우 강섬유 제조용 성형 및 커팅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85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3297B2 (ja) ゴム製品強化用の鋼ワイヤの製造方法及びその鋼ワイヤ
AU594114B2 (en) Steel wire for reinforcing elastomer articles
EP2840197A1 (en) Threaded reinforcing bar coupling for deformed reinforcing bar, and thr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
JP2003525374A (ja) ねじ継手および削岩機構成要素
TW200835861A (en) Blind stud insert
CA2862115C (en) Strand, cable bolt and its installation
EP0608013B1 (en) Reinforcement fibre for reinforcing concrete
KR102438773B1 (ko) 콘크리트 보강용 고내식성 레바 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6413A (ko) 클래드 강선 및 그 제조방법
US8677725B2 (en) Reinforcement cable
JP2013513038A5 (ko)
RU2431024C2 (ru) Арматурный кана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A2553344A1 (en) Rockbolts made of high-strength steel pip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14319105B (zh) 摩擦型夹片及其施工方法
FI20185933A1 (en) Reinforcement means for insertion and attachment to the drill hole
KR20180006041A (ko) 유해화학물질 저장탱크 및 그 제작방법
JP5688276B2 (ja) アンカー
JP2009114596A (ja) 管状ストラン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94002Y1 (ko) 전주 근가용 유볼트 어셈블리
JPS6033816A (ja) フロ−ティングプラグ引抜加工法
JPH04288920A (ja) 高圧ホース補強用金属線の製造方法及び高圧ホース
JP7327158B2 (ja) 定着具
KR101188855B1 (ko) 보강 금속 파이프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3525262B2 (ja) 鋼材定着具の構造
SK278942B6 (sk) Oceľový drôt na spevnenie liatych materiálov, naj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