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272B1 -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 Google Patents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272B1
KR102438272B1 KR1020210009014A KR20210009014A KR102438272B1 KR 102438272 B1 KR102438272 B1 KR 102438272B1 KR 1020210009014 A KR1020210009014 A KR 1020210009014A KR 20210009014 A KR20210009014 A KR 20210009014A KR 102438272 B1 KR102438272 B1 KR 10243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delete delete
stick body
welding
tensil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997A (ko
Inventor
노창석
노항석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주)필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옵틱스 filed Critical (주)필옵틱스
Priority to KR102021000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2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10Moulds; Masks; Masterf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H01L51/001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인 메탈 마스크(FMM)에 있어서, 패턴홀(12)이 형성된 패턴영역(10)들이 복수개로 일렬배치된 스틱 본체(100); 스틱 본체(10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증착용 프레임(미도시)에 용접되기 위한 용접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결합부(200); 및 프레임 결합부(200)의 영역상에서 스틱 본체(100)의 장축 방향(X)인 제1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인장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인장력 분산부(300)를 포함하는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Electroplating mask preventing from the distortion by tensile strength for welding}
본 발명은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인 메탈 마스크(FMM)를 증착을 위한 프레임에 대하여 용접시 파인 메탈 마스크(FMM)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컨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애노드와 캐소드에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원리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발광층을 삽입한 적층형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로는 고효율 발광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각각의 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주입층 등의 중간층을 선택적으로 추가 삽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극들과, 발광층을 포함한 중간층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중 하나의 방법이 증착법이다.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판 상에 형성될 박막 등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 FMM)를 정렬하고, 박막의 원소재를 증착하여 소망하는 패턴의 박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파인 메탈 마스크가 대면적화되면 패턴 형성을 위한 에칭 오차도 커지고, 자중에 의한 중앙부의 처짐 현상도 심해지므로 최근에는 마스크를 여러 개의 스틱(stick) 형상으로 만든 후 프레임에 붙여서 사용하는 분할마스크 타입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가 선호되는 추세에 있다. 이 분할 마스크를 사용하면 전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중 일부 분할 마스크에 문제가 생길 경우 그 해당 분할 마스크만 교체하면 된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분할 마스크를 프레임에 부착할 때에는 분할 마스크를 길이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기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만일, 분할 마스크가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은 상태로 프레임에 결합되면, 분할 마스크 몸체에 울룩불룩한 웨이브가 생기게 되며, 이것은 이후의 증착 공정에서 마스크와 기판 간의 밀착성을 저하시켜서 정밀한 증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분할 마스크를 프레임에 부착할 때에는 분할 마스크를 길이 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긴 후 프레임에 부착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길이방향으로만 장력을 가하다보니까 폭방향으로는 웨이브가 제거되지 않고 남는 문제가 생긴다.
더구나,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면적화에 따라 분할 마스크의 폭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이러한 폭방향의 웨이브 발생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할 마스크의 폭방향 웨이브 발생 문제를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 제10-1813549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용 패턴이 마련된 스틱 본체 및, 상기 스틱 본체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클램핑부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스틱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클램핑부와, 상기 스틱 본체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사이의 사선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제1클램핑부는 상기 스틱 본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클램핑부는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1클램핑부와 상기 제2클램핑부는 각각 상기 스틱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개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할 경우 복수개의 클램프들이 스틱의 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파인 메탈 마스크(FMM)를 전주도금 과정으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전주도금에 필요한 영역이 그에 비례하여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클램프 영역의 두께 편차가 발생되어 실질적인 인장과정에서 불량이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인 메탈 마스크(FMM)를 전주도금 공정으로 제조시 필요한 공간 영역을 최소화하면서 파인 메탈 마스크(FMM)를 프레임에 대하여 용접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인장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인 메탈 마스크(FMM)에 있어서, 패턴홀(12)이 형성된 패턴영역(10)들이 복수개로 일렬배치된 스틱 본체(100); 스틱 본체(10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증착용 프레임(미도시)에 용접되기 위한 용접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결합부(200); 및 프레임 결합부(200)의 영역상에서 스틱 본체(100)의 장축 방향(X)인 제1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인장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인장력 분산부(300)를 포함하는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가 제공된다.
여기서, 파인 메탈 마스크(FMM)는 전주도금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장력 분산부(300)는 프레임 결합부(200)의 영역상에서 스틱 본체(100)의 장축 방향(X)인 제1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인장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인장력의 벡터 변환부(3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장력 분산부(300)의 벡터 변환부(310)는 장력 인가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파지되어 인장되는 인장점(P)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분산되어 발생되는 장력(T1)에 대하여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 제1 방향으로 장력(T2)의 방향과 크기를 변환하여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장력 유도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벡터 변환부(310)의 장력 유도홈은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 제1 방향으로 장력(T2)을 발생시키기 위한 원호 형상의 개구부가 프레임 결합부(200)의 단부 중앙에 형성된 만입부(210)에 대응하여 만입 또는 만곡된 형상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벡터 변환부(310)의 장력 유도홈의 개구부는 프레임 결합부(20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개구되지 않고 프레임 결합부(20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영역에서 일정 깊이로 파여진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벡터 변환부(310)는 스틱 본체(100)의 중심 장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스틱 본체(100)의 제1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310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벡터 변환부(310)는 상기 개구부(310a)들 사이의 공간에서 스틱 본체(100)의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310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벡터 변환부(310)의 개구부(310a)는 동일한 길이로 제1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벡터 변환부(310)의 개구부(310a)는 프레임 결합부(200)의 양단부에 위치한 만입부(21) 사이를 기준(스틱 본체(100)의 중심선)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310a)들은 스틱 본체(100)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310a)들의 폭과 이들 사이에 위치한 연장부(310b)들의 폭은 패턴영역(10)에 형성된 패턴홀(12)의 배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310a)들은 프레임 결합부(20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개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음각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벡터 변환부(310)는 호형상의 만곡된 형상을 가진 개구(310c)와, 스틱 본체(100)의 중심 장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스틱 본체(100)의 제1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310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벡터 변환부(310)는 상기 개구부(310a)들 사이의 공간에서 스틱 본체(100)의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310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벡터 변환부(310)의 개구부(310a)는 동일한 길이로 제1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인 메탈 마스크(FMM)를 전주도금 공정으로 제조시 필요한 공간 영역을 최소화하면서 파인 메탈 마스크(FMM)를 프레임에 대하여 용접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인장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 제10-2190192호에 따른 오픈뱅킹 환경 기반 개방형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의 개략적인 파인 메탈 마스크(FMM)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의 개략적인 파인 메탈 마스크(FMM)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의하면, 패턴홀(12)이 형성된 패턴영역(10)들이 복수개로 일렬배치된 스틱 본체(100), 스틱 본체(10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증착용 프레임(미도시)에 용접되기 위한 용접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결합부(200), 및 프레임 결합부(200)의 영역상에서 스틱 본체(100)의 장축 방향(X)인 제1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인장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인장력 분산부(300)를 포함한다.
스틱 본체(100)는 OLED 발광층의 증착을 위한 패턴홀(12)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패턴영역(10)이 스틱 본체(100)의 장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스틱 본체(100)는 파인 메탈 마스크(FMM)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주도금 방식으로 형성된다.
한편, 프레임 결합부(200)는 스틱 본체(10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증착용 프레임(미도시)에 용접되기 위한 용접영역을 포함하며, 스틱 본체(10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한편, 인장력 분산부(300)는 프레임 결합부(200)의 영역상에서 스틱 본체(100)의 장축 방향(X)인 제1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인장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인장력의 벡터 변환부(310)를 구비한다.
인장력 분산부(300)의 벡터 변환부(310)는 장력 인가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파지되어 인장되는 인장점(P)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분산되어 발생되는 장력(T1)에 대하여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 제1 방향으로 장력(T2)의 방향과 크기를 변환하여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장력 유도홈을 구비한다.
벡터 변환부(310)의 장력 유도홈은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 제1 방향으로 장력(T2)을 발생시키기 위한 원호 형상의 개구부가 프레임 결합부(200)의 단부 중앙에 형성된 만입부(210)에 대응하여 만입 또는 만곡된 형상의 개구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벡터 변환부(310)의 장력 유도홈의 개구부는 프레임 결합부(20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개구되지 않고 프레임 결합부(20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영역에서 일정 깊이로 파여진 요홈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의하면, 프레임 결합부(200)의 만입부(210)에 대하여 대칭되며, 스틱 본체(100)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향하여 형성된 벡터 변환부(310)에 의하여 인장점(P)에서 발생된 불균일한 장력(T1)을 스틱 본체(100)의 제1 방향으로 균일한 장력(T2)을 변환하여 전달함으로써 패턴영역(10)의 변형 없이 균일하게 프레임에 대하여 마스크가 안착되어 용접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형광물질의 증착시 화소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결합부(200)의 영역에서 인장력 분산부(300)는 스틱 본체(100)의 제1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벡터 변환부(3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의 벡터 변환부(310)는 스틱 본체(100)의 중심 장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스틱 본체(100)의 제1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310a)와, 상기 개구부(310a)들 사이의 공간에서 스틱 본체(100)의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310b)로 이루어진다.
이 때, 벡터 변환부(310)의 개구부(310a)는 동일한 길이로 제1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양단부에 위치한 만입부(21) 사이를 기준(스틱 본체(100)의 중심선)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310a)들은 스틱 본체(100)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310a)들의 폭과 이들 사이에 위치한 연장부(310b)들의 폭은 패턴영역(10)에 형성된 패턴홀(12)의 배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10a)들은 프레임 결합부(20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개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음각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의하면, 인장점(P)에서 인장시 방사형으로 발생되는 장력(T1)은 인장력 분산부(300)의 개구부(310a)와 연장부(310b)에 의하여 스틱 본체(100)의 제1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연장부(310b)를 따라 장력(T2)이 스틱 본체(100)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대칭적으로 전달됨으로써 마스크를 프레임에 대하여 용접 결합을 위한 인장시 안정적으로 변형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벡터 변환부(310)의 호형상의 만곡된 형상을 가진 개구(310c)과 제2 실시예에 따른 벡터 변환부(310)의 개구부(310a)와 연장부(310b)를 프레임 결합부(200)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전술에 있어서, 인장력 분산부(300)의 벡터 변환부(310)는 인장점(P)에서 방사형으로 발생되는 장력(T1)에 대하여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 균일하고 평행하게 장력(T2)이 변환되어 패턴영역(1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예시를 들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에 의하면, 방사형의 장력(T1)를 평행하게 유도하기 위한 이를 위한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 다양한 변형예 중의 하나는 인장점(P)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출발되어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310b)와 개구부(310a)의 형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벡터 변환부(310)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벡터 변환부(310)는 직사각형 형태의 버퍼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10: 패턴영역
12: 패턴홀
100: 스틱 본체
200: 프레임 결합부
210: 만입부
300: 인장력 분산부
310: 벡터 변환부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파인 메탈 마스크(FMM)에 있어서,
    패턴홀(12)이 형성된 패턴영역(10)들이 복수개로 일렬배치된 스틱 본체(100);
    스틱 본체(10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증착용 프레임(미도시)에 용접되기 위한 용접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결합부(200); 및
    프레임 결합부(200)의 영역상에서 스틱 본체(100)의 장축 방향(X)인 제1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인장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인장력 분산부(300)를 포함하며,
    메탈 마스크(FMM)는 전주도금 방식으로 형성되며,
    인장력 분산부(300)는 프레임 결합부(200)의 영역상에서 스틱 본체(100)의 장축 방향(X)인 제1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인장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인장력의 벡터 변환부(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인장력 분산부(300)의 벡터 변환부(310)는 장력 인가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파지되어 인장되는 인장점(P)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분산되어 발생되는 장력(T1)에 대하여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 제1 방향으로 장력(T2)의 방향과 크기를 변환하여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장력 유도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벡터 변환부(310)의 장력 유도홈은 스틱 본체(100)의 패턴영역(10)으로 제1 방향으로 장력(T2)을 발생시키기 위한 원호 형상의 개구부가 프레임 결합부(200)의 단부 중앙에 형성된 만입부(210)에 대응하여 만입 또는 만곡된 형상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벡터 변환부(310)의 장력 유도홈의 개구부는 프레임 결합부(20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개구되지 않고 프레임 결합부(20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영역에서 일정 깊이로 파여진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210009014A 2021-01-21 2021-01-21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KR10243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14A KR102438272B1 (ko) 2021-01-21 2021-01-21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14A KR102438272B1 (ko) 2021-01-21 2021-01-21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97A KR20220105997A (ko) 2022-07-28
KR102438272B1 true KR102438272B1 (ko) 2022-08-30

Family

ID=8260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014A KR102438272B1 (ko) 2021-01-21 2021-01-21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83842A (zh) * 2023-01-03 2023-05-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膜板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853B1 (ko) * 2012-09-03 2019-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위 마스크 및 마스크 조립체
KR20200137591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오럼머티리얼 마스크 제조용 마스크 금속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97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5213B2 (en) Division mask and method of assembling mask frame assembly by using the same
US8925480B2 (en) Mask stick and method of assembling a mask frame assembly by using the mask stick
US20190100834A1 (en) Vapor deposition mask, vapor deposition mask production method, and organic semiconductor element production method
US8151729B2 (en) Mask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17645B1 (ko) 마스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용 증착 장치
US10344376B2 (en) Mask frame assembly for thin film de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67662B2 (en) Split mask and assembling apparatus for assembling a mask frame assembly including the split mask
US1028371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deposition mask assembly
US20110265714A1 (en) Mask frame assembly
TW201126788A (en) Deposition mask and mask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438272B1 (ko) 용접을 위한 인장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주도금 마스크
US20220181595A1 (en) Hybrid stick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mask assembly including hybrid stick mask,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same
KR102309621B1 (ko)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4055231A (ja) 有機el素子製造に用いる真空蒸着用多面付けメタルマスク
CN111455313A (zh) 掩模框架组件
CN110331377A (zh) 掩膜片及其制作方法、开口掩膜板及其使用方法、薄膜沉积设备
US8778115B2 (en) Mask, method of manufacturing mask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sk
US20220010421A1 (en) Mask assembly, mask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KR102640219B1 (ko) 분할 마스크
KR20200064228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제조 방법
US20220307121A1 (en) Mask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64996A (ko)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 제조용 마스크 셀 시트부
US202100664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Patterning of High-Resolution OLED Microdisplays
US20240158906A1 (en) Mask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04744B1 (ko) 스틱 마스크,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