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048B1 -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8048B1 KR102438048B1 KR1020210098625A KR20210098625A KR102438048B1 KR 102438048 B1 KR102438048 B1 KR 102438048B1 KR 1020210098625 A KR1020210098625 A KR 1020210098625A KR 20210098625 A KR20210098625 A KR 20210098625A KR 102438048 B1 KR102438048 B1 KR 1024380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s
- prrs
- adjuvant
- foot
- vacc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25—Picornaviridae, e.g. calicivirus
- A61K39/135—Foot- and mouth-disease vir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61K2039/552—Veterinary vacc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16—Proteins; Pept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2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61—CpG containing adjuvants; Oligonucleotide containing adjuv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72—Lipopolysaccharides; Lipid A; Monophosphoryl lipid 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83—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88—Adjuvants of undefined constitu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32011—Picornaviridae
- C12N2770/32111—Aphthovirus, e.g. footandmouth disease virus
- C12N2770/32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제역 발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마우스를 비롯한 소, 돼지 등의 우제류에서의 세포성·체액성 면역반응 동시유도를 통한 강력한 메모리 반응 유도와 안전하고 최적화된 아쥬반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제역 발생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긴급백신으로써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 있으며, 우제류 동물에 안정화된 상시백신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제역 백신의 면역증강을 위한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구제역 백신의 면역증강을 위한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은 주로 cloven hoofed livestock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빠른 전파력, 높은 치사율 및 생산성 저하로 인해 가축 산업에 있어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감수성이 있는 종(species)은 소, 돼지, 물소, 낙타, 양, 염소 등의 ruminants(가축 반추동물)를 비롯하여 약 70여 종 이상의 야생 생물 종으로 구성된다. 이 질환은 고열을 동반하며, 입과 혀, 주둥이, 코, 젖꼭지, 발굽 및 기타 피부의 털이 없는 부분에서 수포 생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신 접종은 구제역 발생국가에서 질환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며, 구제역 청정 국가에서 긴급 사태에 대비한 정책(contingency plan)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구제역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사독(불활화) 백신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 오일 아쥬반트 (Double Oil Emulsion, DOE 또는 Single Oil Emulsion, SOE)를 이용한 백신을 접종함으로써 효과적 측면에서 개선되었으나, 아직도 방어 수준의 항체 유도 기간이 늦음, 낮은 항체가, 항체의 짧은 지속성 및 돼지에서의 낮은 면역원성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구제역 백신은 세포성 면역반응 보다는 체액성 면역반응 유도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그 방어능이 완벽하지 않다. 구제역 백신에 의한 체액성 면역반응(주요한 중화항체인 IgG) 유도 기간은 4~7일이 소요되는 반면, 세포성 면역반응은 수시간~3일 이내에 유도되므로 세포성 면역반응의 유도는 구제역 감염 초기 단계에서 host 방어에 있어 보다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의 구제역 백신은 접종 후 항체 유지기간이 짧아 4~6개월 간격으로 정기적인 백신 접종이 요구되고, 특히, 돼지에 근육 접종 시 접종 부위에 섬유증(fibrosis), 육아종(granuloma) 등의 접종된 근육에 병변이 형성되는 등의 국소 부작용 및 안전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지금까지 구제역 백신 관련 연구는 축종 별로 돼지 보다는 소에서의 백신 효능 평가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백신 접종에 의한 면역원성은 소에 비해 돼지에서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재 상용백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이상적 백신 디자인(ideal vaccine design)은 세포성·체액성 면역반응의 동시 유도, 메모리 반응 유도에 의한 고역가 항체 유지, 국소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안전성 확보, 축종 별로 최적화된 새로운 전략의 아쥬반트 개발 등과 같은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국외에서는 일반적으로 구제역 상용화된 백신에서 아쥬반트로서 대부분 Marcoll 52, ISA 206, ISA 50을 사용하고 있다. 구제역의 효과적인 방어를 위한 아쥬반트 관련 연구로, R848, Poly(I:C), MDP, MPL, β-glucan 등의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PRRs) ligand, rapeseed oil과 ginseng root saponin 등의 면역증강제, 일반 시판 아쥬반트 (ISA 201, ISA 206, Emulsigen-D, Carbigen 등)를 이용하여 돼지 및 염소에서 구제역 백신 효능 평가 등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완벽한 면역을 유도하지 못한 상태이다.
구제역 백신 외에 인체용 백신을 중심으로 세포성·체액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면역원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1) 오일 emulsion, 계면활성제, liposome, virosome, ISCOMs 등의 백신 전달 시스템 (vaccine delivery systems), 2) Saponin, Alumium hydroxide, Potassium Phosphate 등의 면역 증강제, 3) Toll-like receptors (TLRs), RIG-I-like receptors (RLRs),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 (NOD)-like receptors (NLRs) 및 C-type lectin receptors (CLRs) ligand와 같은 리셉터-특이적인 면역활성제, 4) IL-1, IL-2, IL-6, IL-18, TNFα, IFNα, IFNγ, GM-CSF와 같은 다양한 cytokine 등이 아쥬반트로 연구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현재 암, 결핵, B형 간염, 말라리아, 인플루엔자, HIV 및 HSV와 같은 다양한 인체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백신 아쥬반트로 사용 중, 또는 임상 시험 중에 있으나, 구제역 백신 조성물로는 활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다양한 아쥬반트는 서로 다른 작용 방식(mode of action)을 가지고 있으므로, 강력한 세포성·체액성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의 FMD 백신 개발을 위해 아쥬반트의 면역학적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에서 다양한 PRRs ligand 및 사이토카인의 아쥬반트로써의 효능, 세포성·체액성 면역반응 유도를 통한 메모리 면역반응의 유도, 축종별 (소 및 돼지와 같은 우제류)로 최적화된 아쥬반트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의 개발을 통해 새로운 전략의 FMD 백신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7116호 구제역 백신,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4030호 유성 아쥬반트 등이 있으나 구제역 백신에 사용될 수 있는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또는 아쥬반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로써의 효과는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제역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마우스를 비롯하여 소, 돼지 등 우제류에서 방어 항체유도와 안전하고 최적화된 아쥬반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턴인식수용체 리간드(PRRs 리간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쥬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쥬반트 조성물은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패턴인식수용체 리간드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우제류는 소, 돼지, 양, 염소, 순록, 물소, 낙타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군을 통칭하며, 바람직하게는 소, 돼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구제역 바이러스 항원은 구제역 바이러스 O 혈청형, 구제역 바이러스 A 혈청형, 구제역 바이러스 아시아1 혈청형, 구제역 바이러스 C 혈청형, 구제역 바이러스 SAT1 혈청형, 구제역 바이러스 SAT2 혈청형 및/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SAT3 혈청형 등일 수 있다.
사이토카인(Cytokine)은 세포에서 분비되어 세포 간 신호 전달, 세포의 행동 조절, 면역반응 조절 등에 관여하는 생물활성인자의 총칭하는 것으로 인터류킨, 림포카인, 인터페론, 세포증식과 분화인자 등의 저분자 단백질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의 사이토카인은 IL-1 베타, IL-2, IL-4, IL-5, IL-6, IL-9, IL-10, IL-12p70, IL-12/23p40, IL-15/15R, IL-17A, IL-21, IL-22, IL-23 (IL-12p40/IL-23p19), IL-33, TNF-알파, IFN 알파, IFN 베타, IFN 감마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E. Coli, Baculovirus, HEK 293 cell 등에서 발현시킨 재조합 사이토카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PRRs(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패턴인식수용체) 리간드에서 패턴인식수용체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및 기생충들을 구별하는 보존된 분자 패턴들을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리간드는 수용체의 작용제, 즉 수용체에 결합하고,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PRRs 리간드는 R848 (TLR-7/8 agonist), TDB (Mincle agonist), Curdlan (Dectin-1 agonist), Furfurman (Dectin-2 agonist), MDP (NOD-2 ligand), MPLA-SM (TLR-4), Zymosan (Dectin-2/TLR-2), Chitosan (NLRP inflammasome inducer, MR), Poly(I:C) (TLR-3), Poly(dA:dT) (RIG-1/CDS agonist, AIM-2 inflammasome inducer), STING계 리간드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STING계 리간드는 STING 신호전달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DNA, RNA, 단백질, 펩타이드 단편, 화합물 등 일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di-GMP(cyclic diguanylate), cGAMP, 3'3'-cGAMP, c-di-GAMP, c-di-AMP, 2'3'-cGAMP, 10-(카복시메틸)9(10H)아크리돈(CMA)(10-(carboxymethyl)9(10H)acridone(CMA)), 5,6-디메틸크산테논-4-아세트산(5,6-Dimethylxanthenone-4-acetic acidㅡDMXAA), 메톡시본(methoxyvone), 6,4'-디메톡시플라본(6,4'-dimethoxyflavone), 4'-메톡시플라본(4'-methoxyflavone), 3',6'-디하이드록시플라본(3',6'-dihydroxyflavone), 7,2'-디하이드록시플라본(7,2'-dihydroxyflavone), 다이드제인(daidzein),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 레투신 7-메틸에터(retusin 7-methyl ether) 및 크산톤(xanthon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Poly (I:C)는 폴리이노신산:폴리시티딜산의 자연발생 폴리머뿐만 아니라, 이들의 합성 형태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PRRs 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RRs 리간드 중 두 개의 성분이 포함될 경우, 어느 하나의 PRRs 리간드 : 나머지 PRRs 리간드는 1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2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여량은 상기 PRRs 리간드 또는 사이토카인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100μg/ml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RRs 리간드가 둘 이상 포함될 경우, 각 리간드는 단독으로 포함되는 용량 대비 1/2이하의 범위에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0μg/ml, 바람직하게는 5~15μ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7~10μg/ml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는 in vivo에서 독성이 없는 범위 내이므로,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동물에 투여할 경우 체내에서 독성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상기 성분 이외에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오일(또는 오일 에멀젼) 및 유화제, 겔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또는 오일 에멀젼)은 ISA 201, ISA 61, ISA 50, ISA 206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화제는 유화제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물질들, 예를 들면 TWEEN 또는 SPAN 생성물 라인의 다른 생성물(각각 폴리에톡시화 소르비톨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치환된 소르비탄 계면활성제) 및 PEG-40 피마자유 또는 다른 페길화(PEGylated) 수소화 오일과 같은 다른 용해도 개선제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구제역을 포함하는 피코나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소, 돼지 등의 우제류의 방어 항체유도와 안전하고 최적화된 아쥬반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제역 발생 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긴급백신으로서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 있으며, 우제류 동물에 상시백신으로서 효과적이고 안정화된 백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혈청형별 항원에 따른 생체 내 초기 세포성 면역반응 유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혈청형별 항원에 따른 DCs의 선천성 면역 및 세포성 면역 반응 유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혈청형별 항원에 따른 MΦs의 선천성 면역 및 세포성 면역 반응 유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마우스에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에 의해 유발된 사이토카인 발현 프로파일 및 생체 내 시간 동역학 연구를 위한 전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마우스에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으로 유도된 사이토카인 발현 프로파일 및 생체 내 시간 동역학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Time point; 0, 6, 12, 24, 48, 72, 96h).
도 5는 마우스 복막 삼출 세포(PEC) 및 비장세포로부터 분리한 DCs, MΦ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에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으로 매개된 사이토카인 발현의 in vitro 특성 규명을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6c는 마우스 복막 삼출 세포(PEC) 및 비장세포로부터 분리한 DCs, MΦ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에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으로 매개된 사이토카인의 시간에 따른 발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ime point; 0, 6, 12, 24, 48, 72, 96h).
도 7은 마우스 복막 분비세포(PEC) 및 비장세포로부터 분리한 DC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의 공동 배양 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으로 매개된 사이토카인 발현의 in vitro 특성 규명을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으로, (A) in vitro 연구를 위한 전략 (B) 공동 배양 세포에 대한 도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마우스에서 공동 배양된 세포, DC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에서 항원으로 매개된 사이토카인 발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FMDV 감염의 초기 단계에서 항원 O TWN 97-R 매개 생체 방어 효과 확인을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FMDV 감염의 초기 단계에서 항원 O TWN 97-R 매개 생체 방어효과(마우스 생존율,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세포 고갈, 사이토카인 중화 및 항원 매개 생체 방어 효과를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a 및 12b는 FMDV 감염에 대한 숙주 보호에 대한 DCs, MΦs 고갈 및 사이토카인 중화 시 항원에 의한 생체 방어 효과(생존율, 체중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O TWN 97-R 항원과 자극제(R848, Chitosan, Zymosan, ODN 2395, TDB, Furfuman 및 c-di-GMP)로 처리한 DCs에서 항원 매개 자극 분자(co-stimulatory molecule)인 CD40, CD80, CD86의 발현 및 세포 확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DCs와 MΦs에서 Dectin-1과 Mincle의 동시 활성화를 통한 IL-23의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PRRs 리간드, 사이토카인의 단독 또는 병용 투여 시, 백신 아쥬반트로서의 가능성 및 FMDV 감염에 대한 단기 면역 기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FMDV 감염에 대한 숙주 보호에 대한 보조제로서의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의 단독 또는 병용 투여 시, 단기 면역 기억 효과 및 생체 방어효과(생존율, 체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FMDV 감염 (장기 면역)에 대한 마우스에서의 사이토카인, HSP70 단백질 및 PRRs 리간드 매개의 장기간 기억 반응 및 그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a 내지 18d는 사이토카인, HSP70 단백질과 PRRs 리간드에 의해 매개된 장기면역 기억 반응 및 마우스에서의 FMDV 감염에 대한 보호 효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a 내지 도 19g는 마우스에서 사이토카인, HSP70 단백질과 PRRs 리간드 매개 면역 세포 확장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다양한 FMDV 혈청형(O형, A형, Asia1형) 감염에 대한 IFNα 및 IL-23 매개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IFNα 및 IL-23 매개 된 기억 반응 및 다양한 FMDV 혈청형(O형, A형, Asia1형) 감염에 대한 광범위한 보호 효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PRRs 리간드 처리된 소의 PBMCs에서 LDH 방출(세포독성, 96시간 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소의 PBMCs에서 PRRs 리간드로 매개된 세포 증식 결과(96시간 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소에서의 PRRs 리간드 매개 아쥬반트 효과 및 기억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소에서의 PRRs 리간드 매개 아쥬반트 효과 및 기억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PRRs 리간드 처리된 돼지 PBMCs에서 LDH 방출(세포독성, 96시간 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돼지의 PBMCs에서 PRRs 리간드 매개 세포 증식(96시간 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는 돼지에서 PRRs 리간드 매개의 아쥬반트 효과와 기억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9는 돼지에서 PRRs 리간드 매개의 아쥬반트 효과 및 기억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혈청형별 항원에 따른 DCs의 선천성 면역 및 세포성 면역 반응 유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혈청형별 항원에 따른 MΦs의 선천성 면역 및 세포성 면역 반응 유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마우스에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에 의해 유발된 사이토카인 발현 프로파일 및 생체 내 시간 동역학 연구를 위한 전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마우스에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으로 유도된 사이토카인 발현 프로파일 및 생체 내 시간 동역학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Time point; 0, 6, 12, 24, 48, 72, 96h).
도 5는 마우스 복막 삼출 세포(PEC) 및 비장세포로부터 분리한 DCs, MΦ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에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으로 매개된 사이토카인 발현의 in vitro 특성 규명을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6c는 마우스 복막 삼출 세포(PEC) 및 비장세포로부터 분리한 DCs, MΦ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에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으로 매개된 사이토카인의 시간에 따른 발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ime point; 0, 6, 12, 24, 48, 72, 96h).
도 7은 마우스 복막 분비세포(PEC) 및 비장세포로부터 분리한 DC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의 공동 배양 시 구제역 바이러스(O TWN 97-R) 항원으로 매개된 사이토카인 발현의 in vitro 특성 규명을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으로, (A) in vitro 연구를 위한 전략 (B) 공동 배양 세포에 대한 도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마우스에서 공동 배양된 세포, DC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에서 항원으로 매개된 사이토카인 발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FMDV 감염의 초기 단계에서 항원 O TWN 97-R 매개 생체 방어 효과 확인을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FMDV 감염의 초기 단계에서 항원 O TWN 97-R 매개 생체 방어효과(마우스 생존율,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세포 고갈, 사이토카인 중화 및 항원 매개 생체 방어 효과를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a 및 12b는 FMDV 감염에 대한 숙주 보호에 대한 DCs, MΦs 고갈 및 사이토카인 중화 시 항원에 의한 생체 방어 효과(생존율, 체중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O TWN 97-R 항원과 자극제(R848, Chitosan, Zymosan, ODN 2395, TDB, Furfuman 및 c-di-GMP)로 처리한 DCs에서 항원 매개 자극 분자(co-stimulatory molecule)인 CD40, CD80, CD86의 발현 및 세포 확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DCs와 MΦs에서 Dectin-1과 Mincle의 동시 활성화를 통한 IL-23의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PRRs 리간드, 사이토카인의 단독 또는 병용 투여 시, 백신 아쥬반트로서의 가능성 및 FMDV 감염에 대한 단기 면역 기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FMDV 감염에 대한 숙주 보호에 대한 보조제로서의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의 단독 또는 병용 투여 시, 단기 면역 기억 효과 및 생체 방어효과(생존율, 체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FMDV 감염 (장기 면역)에 대한 마우스에서의 사이토카인, HSP70 단백질 및 PRRs 리간드 매개의 장기간 기억 반응 및 그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a 내지 18d는 사이토카인, HSP70 단백질과 PRRs 리간드에 의해 매개된 장기면역 기억 반응 및 마우스에서의 FMDV 감염에 대한 보호 효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a 내지 도 19g는 마우스에서 사이토카인, HSP70 단백질과 PRRs 리간드 매개 면역 세포 확장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다양한 FMDV 혈청형(O형, A형, Asia1형) 감염에 대한 IFNα 및 IL-23 매개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IFNα 및 IL-23 매개 된 기억 반응 및 다양한 FMDV 혈청형(O형, A형, Asia1형) 감염에 대한 광범위한 보호 효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PRRs 리간드 처리된 소의 PBMCs에서 LDH 방출(세포독성, 96시간 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소의 PBMCs에서 PRRs 리간드로 매개된 세포 증식 결과(96시간 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소에서의 PRRs 리간드 매개 아쥬반트 효과 및 기억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소에서의 PRRs 리간드 매개 아쥬반트 효과 및 기억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PRRs 리간드 처리된 돼지 PBMCs에서 LDH 방출(세포독성, 96시간 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돼지의 PBMCs에서 PRRs 리간드 매개 세포 증식(96시간 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는 돼지에서 PRRs 리간드 매개의 아쥬반트 효과와 기억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9는 돼지에서 PRRs 리간드 매개의 아쥬반트 효과 및 기억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실험예 등에 공통적으로 사용된 실험재료는 하기와 같다;
<항원>
항원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정제 및 불활성화 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FMDV O TWN 97-R (P1에 대한 GenBank AY593823) 및 BHK-21 세포로부터 제조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을 위해 배양 배지를 혈청이 없는 Dulbecco Modified Eagle 배지(DMEM, Cellgro, Manassas, VA, USA)로 교체하고 37℃의 5% CO2 기체상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여 바이러스를 접종하였다. 세포 외 바이러스는 제거되었다. 감염 24시간 후, 진탕배양기에서 0.003N 바이너리 에틸렌이민(binary ethylenimine)으로 24시간 동안 2회 처리하여 바이러스를 불활성화 시키고 폴리에틸렌글리콜(PEG) 6000(Sigma-Aldrich, St. Louis, MO, USA)으로 농축시켰다. 바이러스 농축액을 15-45% 슈크로스 밀도 구배에 층을 쌓고 원심 분리하였다. 초원심 분리 후, 원심 분리 관의 바닥을 뚫고, 1mL 분획물을 수집하였다. 각 분획물 샘플에서 FMDV 입자의 존재는 측면 유동 장치(BioSign FMDV Ag, Princeton BioMeditech, Princeton, NJ, USA)를 사용하여 광학 밀도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하기 전에 pre-PEG 처리 상등액을 ZZ-R 및 BHK-21 세포에 적어도 2회 통과시켜 세포 변성 효과(CPE)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하여 상층액에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패턴인식 수용체 리간드(PRRs ligands) 및 사이토카인(Cytokine)>
PRRs 리간드는 Invivogen(SanDiego, CA, USA), 사이토카인은 MitenyiBiotec (MiltenyiBiotec, BergischGladbach, Germany)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Oil emulsion인 ISA 206은 Seppic사(Seppic Inc., Paris, France), aluminium hydroxide gel (Alhydrogel ) 및 Quil-A는 Invivogen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쥐>
연령과 성별이 일치하는 야생형 C57BL/6 마우스(7 주령의 암컷)를 구입하였다(KOSA BIO Inc, 경기도, 한국). 모든 쥐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생물 안전성 수준 3(ABSL3)의 특정 무균 병원균(SPF) 동물 시설에 있는 마이크로 격리 케이지에 수용되었다.
<예비실험예> 구제역 항원의 숙주 면역학적 기전 확인시험
1. 혈청형별 항원에 따른 내재 면역 반응 유도 확인
1-1. 8종의 항원이 in vivo상에서 내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항원 2μg을 쥐의 복강내로 주입하고, 복강 내를 2 mL의 냉각된 PBS로 세척하여 수집한 복강 세척액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에서의 사이토카인 발현 양상 및 시간 동역학을 분석하였다.
각 혈청형별 항원에 의한 사이토카인 발현 양상 및 일시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항원에 의해 전-항염증 사이토카인인 IL-23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이 경쟁적으로 'cytokine storm'을 유발할 정도로 높게 나타났는데, SAT1-BOT-R, SAT2-ZIM-R, SAT3-ZIM-R을 주입한 그룹에서는 48h 이후부터 72, 96h에 이들 두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비슷하게 관찰된 반면, O PA-2-R, O TWN 97-R, A22-R, C3-Resende-R및 Asia1-MOG-R그룹에서는 IL-23의 발현이 IL-10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IL-23의 발현에 있어 특징적인 사항은 혈청형 O형인 O PA-2-R, O TWN 97-R에서 비슷한 양상의 발현 패턴, 즉, 6~12h까지 급격하게 발현이 증가되었다가 24h에는 약간 낮은 수준을 보이지만, 48~72h에 re-boosting 되어 12h 수준에 근접한 뒤, 96h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도 1).
1-2. 혈청형별 FMDV 항원에 의한 DCs 및 MΦs에서의 선천성, 세포성 면역 반응을 탐색하기 위해 naive mice로부터 DCs와 MΦs를 분리하여, 각각의 항원을 처리, 0, 12, 24, 48, 72, 96h 후에 세포 배양 상층액에서 IL-1α, IL-6, IL-10, IL-12p70, IL-12/23p40, IL-23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항염증 사이토카인 발현 양상 및 이들 사이토카인 발현의 시간 동역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DCs에서의 발현은 다음과 같다.
혈청형별 IL-23 및 IL-10의 발현은 SAT1-BOT-R, SAT2-ZIM-R, SAT3-ZIM-R, C3-Resende-R 및 Asia1-MOG-R 처리구에 있어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인 반면, A22-R, O PA-2-R 및 O TWN 97-R의 경우, IL-23의 발현량이 IL-10의 발현량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IL-6의 발현량도 최대치가 593~753pg/mL 수준으로 높았고, 나머지 사이토카인의 경우에는 50~200pg/mL정도의 발현량을 보였는데 대부분의 항원 처리구에서 12h에 IL-23, IL-10 및 IL-6의 발현량이 서로 crossover 되면서 초기에 증가하던 IL-6의 발현이 항염증 사이토카인인 IL-10에 의해 하향 조절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IL-23는 지속적으로 상향 조절되는 경향을 보였다(도 2a).
MΦs에서의 전체적인 사이토카인 발현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DCs에서와 유사하였으며, 혈청형별 사이토카인의 발현 변화는 Asia1-MOG-R을 제외한 대부분의 항원 처리구에서 IL-23의 발현량이 IL-10에 비해 48h 이후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SAT1-BOT-R, SAT2-ZIM-R, SAT3-ZIM-R, C3-Resende-R 처리구에서는 12h까지 IL-10> IL-6> IL-23의 순으로 발현량이 높았으나, 12~48h까지 crossover 된 후, 48h 이후부터는 IL-23> IL-10> IL-6의 순으로 변화되었다. 반면, A22-R, O PA-2-R 및 O TWN 97-R에서는 12h까지 IL-6> IL-23, IL-10의 순으로 사이토카인 발현량이 높았고, 12~24h에 이들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crossover 된 이후, 24h 이후부터 IL-23> IL-6, IL-10의 순으로 발현 패턴이 변화하였다(도 2b).
이상의 결과로부터, 혈청형별 항원 처리시, 초기에 DCs와 MΦs를 효과적으로 자극 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극된 이들 세포로부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23 및 IL-6, 항염증 사이토카인인 IL-10이 주요하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2. In vivo에서 항원 매개 사이토카인의 변화 측정
시험 방법은 도 3과 같으며,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측정하여 면역세포의 자극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초기에 반응하는 것은 IL-1β (IL-1 beta)와 IL-6이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 자극되었다. 12~24h 사이에 자극이 되는 것은 IL-12/23p40, IL-17A, TNFα(TNF alpha)이며, IL-1β (IL-1 beta), IL-2, IL-10, IL15/15R, IL-33의 경우 72h까지 자극이 완료되며, IL-4, IL-9, IL-12p70, IL-21, IL-22, IFNγ(IFN gamma)는 96h까지 반응이 상승하였다. 각 세포에서의 자극되는 사이토카인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세포가 작동하는지 추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도 4).
3. 마우스 복막 삼출 세포(PEC) 및 비장세포로부터 분리한 면역 세포에서 항원 매개 in vitro 사이토카인의 변화 측정
시험 방법은 도 5와 같으며, 마우스 복막 삼출 세포(PEC) 및 비장세포로부터 각각의 면역 세포(DCs, MΦ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를 분리하여 사이토카인의 발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특정 면역세포의 자극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원으로 O TWN 97-R (2μg)를 처리하였고, PEC와 비장에서 세포(DCs, MΦ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를 분류하여 시간(0, 6, 12, 24, 48, 72, 96h)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DCs와 반응하는 사이토카인인 IL-12p70, IL12/23 total p40, IL-10, IL-5, TNFα의 반응성이 초기 6~12h에 높은 경향성을 보였으며, 24-48h에는 IL-12/23 p40, IL-23의 발현이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a 내지 6c).
4. 분류된 세포에서의 동시 배양을 통한 O TWN 97-R 항원 매개 사이토카인의 in vitro 변화 측정
시험 방법은 예비실험예 2와 같이 세포 분류하였으며, 각 면역 세포(DCs, MΦs, iNK T 세포, γδ T 세포 및 T 세포)를 분리하여 혼합한 후, O TWN 97-R 항원 매개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측정하여 면역세포의 자극을 확인하고자 했다(도 7). 구체적으로 항원 O TWN 97-R (2μg)를 처리하였고, 항원자극 48시간 후에 결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DCs가 들어가야 반응성을 보이는 것은 IL-2, IL-4, IL-5, IL-12/23 p40, IL-15/15R, IL-21, IL-23, IFNγ 등이며, DCs가 없어도 반응성이 보이는 것은 IL-β, IL-6, IL-9, IL-10, IL-12p70, IL-17A, IL-22, IL-33, TNFα 등으로 확인되었다(도 8).
5. 선천면역반응을 통한 항원자극의 방어기전 분석
5-1. 선천성 면역반응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O TWN 97-R 항원이 실제로 FMD 바이러스 감염 시에 방어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 전략은 도 9와 같다. 먼저 항원의 vaccination period를 결정하기 위해, 항원 2μg을 마우스 복강 내로 주입, 1, 3, 5, 7dpi에 바이러스를 감염시켰고, 7dpc까지 생존율 및 체중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이후, 항원의 용량별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항원 2, 5, 10μg을 동일 루트로 주입하여, 5dpi에 바이러스를 감염, 7dpc까지 생존율 및 체중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5dpi 그룹에서 40%의 방어율을 보였고, 용량을 5, 10μg 으로 증가시킨 그룹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체중 감소도 관찰되지 않았다(도 10).
5-2. 구제역 감염으로부터 host를 방어하는데 있어, DCs, MΦs 중 어떤 세포가 중요한지, 또는 어떤 사이토카인이 중요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도 11).
항체를 이용하여 세포를 고갈시키거나 사이토카인을 중화하고 24h 뒤 항원을 주입하였고, 5일 후(5dpi)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방어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IL-23p19, TNFα, IL-10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23p19에 대한 항체를 투여한 그룹에서 5일 째(5dpc) 모든 마우스가 폐사, TNFα 항체 투여 그룹에서 6일 째(6dpc) 모든 마우스가 폐사된 반면,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에 대한 항체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100% 생존율을 보였고 체중 감소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특이 항체에 의한 항원 유도 사이토카인 중화 실험에서 FMDV 공격으로부터 host를 방어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된 IL-23, TNFα, IL-1β, IL-6 및 IL-10에 대해 이들 사이토카인 각각에 의한 방어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각 사이토카인을 5μg/100μL PBS를 마우스 복강 내로 주입, 6h 후 O VET (ME-SA)를 감염시켜 7dpc까지 생존율 및 체중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음성 대조군 그룹은 100μl의 PBS를 동일한 루트로 투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IL-23를 주입한 후, FMDV를 감염시킨 그룹에서 마우스 생존율이 100%로 완벽하게 방어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체중 변화에 있어서도 감염 전과 비교하여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IL-1α, TNFα 처리 그룹의 경우 생존율이 낮게 나타났고, 체중 변화의 경우에 있어서도 약 30% 감소하였으나 폐사가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IL-6 및 IL-10 처리 그룹에서는 감염 초기에 마우스 폐사가 일어나, 방어효과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MDV 공격에 대한 host의 방어에 있어 사이토카인 중 IL-23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IL-1α 및 TNFα 또한 IL-23에 비해 약하지만, virus 감염 초기에 host를 방어하는데 있어 부분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항염증 사이토카인인 IL-10의 경우, IL-10 단독 주입 외에, IL-10과 항원을 5μg씩 동시 주입하여 생존율 및 체중 변화를 비교하였다.
항원에 의해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IL-23, IL-1α, IL-6 및 TNFα를 억제하기 위해 특이적 마우스 단일 클론 항체로 중화시키고, IL-10 및 항원을 동시 주입한 뒤 24h 째 바이러스를 감염시켰다. 각각의 항체에 대한 isotype 대조 항체를 주입하여 대조군 그룹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IL-10 처리 그룹과 마찬가지로 FMDV 감염 후 4일 째(4dpc), 생존율이 20%까지 감소하여 6일 째(6dpc) 모든 동물이 폐사하였고 체중 변화 또한 약 30%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IL-10은 FMDV 감염 초기 host 내 면역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바이러스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켜 host 방어능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MDV 감염 초기에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23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한편, 항염증 사이토카인인 IL-10의 생산을 억제할 수 있다면, 체내 세포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보다 더 효율적으로 host를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IL-23가 아쥬반트(백신보조제)로써 면역 자극 활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2.5μg의 IL-23를 동량의 항원과 병용 투여하였다.
그 결과, 2.5μg의 항원을 단독 투여한 그룹의 마우스는 40%의 생존율을 보인 반면, IL-23와 항원을 병용 투여한 그룹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체중 감소 또한 2~3일째(2dpc) 미미하게 감소되었다가 이후 다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IL-23의 아쥬반트 효과에 의해 FMDV 감염에 대한 방어효과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항원에 의해 자극된 DCs 및 MΦs가 실제로 FMDV 감염 초기에 host 방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항원 투여 후 6시간 째, 활성된 DCs 및 MΦs를 분리하여 naive 마우스에 이식, 1시간 후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7 dpc까지 생존율 및 체중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활성된 DCs 및 MΦs 이식 그룹에서 모든 마우스들이 100% 생존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체중 변화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도 12a 및 도 12b).
이상의 결과로부터, 항원에 의한 DCs 및 MΦs의 자극은 FMDV 감염 초기에 이들 세포로부터 염증성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동시 자극 분자 등의 분비를 촉진하고, T 세포에 항원을 제시함으로써 host를 방어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DCs에서 항원 매개 동시-자극 분자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 13). 항원 단독, 또는 항원에 PRRs 리간드를 아쥬반트로 첨가하여 세포에 처리 후, CD40, CD80, CD86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R848, Zymosan, TDB, c-di-GMP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다. 이로써 항원 단독으로도 DCs를 자극하여 동시-자극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지만, PRRs 리간드를 아쥬반트로써 함께 처리할 경우, 보다 더 강하게 DCs를 자극하여, T 세포에 항원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DCs 및 MΦs에서 O TWN 97-R Ag 유래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어떤 PRRs 리간드 신호를 통해 개시되는지 규명하기 위해, naive mice의 PECs으로부터 DCs와 MΦs를 분리, O TWN 97-R Ag 처리 후 6시간 째 세포를 샘플링하고 RNA를 준비하여 qRT-PCR을 통해 PRRs 리간드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DCs에서는 dectin1, dectin2, tlr7, tlr8 등의 발현이 높게 나타난 반면, MΦs에서는 mincle, sting의 발현이 높았으며, tlr2, tlr4, nlrp3 등의 발현도 비교적 높았다. DCs와 MΦs에서의 전체 유전자 발현 수준을 살펴보았을 때, dectin1> mincle> dectin2> tlr7> sting> tlr8 등의 순으로 PRRs 리간드 유전자 발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O TWN 97-R Ag은 cell-intrinsic PRRs 리간드인 tlr7, tlr8, sting 등과 cell-extrinsic PRRs 리간드인 dectin1, dectin2, mincle 등을 동시에 자극함으로써, DCs 및 MΦs와 같은 APCs에서 선천성 면역반응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증폭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h1, Th2 또는 Th17 세포로의 Th 세포의 분화과정(differentiation process)을 촉진하며, 결국 T 세포의 활성화에 기여함으로써 세포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FMDV 감염 초기 host의 방어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1> 아쥬반트 후보물질의 마우스 면역성 평가를 통한 스크리닝
1-1.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의 백신 아쥬반트로서의 가능성 및 기억 효과분석
PRRs 리간드 및 재조합 사이토카인의 백신 아쥬반트로서의 가능성 및 FMDV 감염에 대한 기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 표 1의 물질을 도 15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룹 | 백신 조합 | 아쥬반트(Adjuvants) | 용량 |
PRRs 리간드 또는 사이토카인 | |||
NC | - | - | - |
PC | O TWN 97-R | - | - |
PC+ Adjuvant |
11.7ng (1/1280 dose for cattle or pig use) of O TWN 97 R Ag+ ISA 206 (50%, w/w) +10%Al(OH)3 +15μgQuil-A |
R848 (TLR-7/8) | 100μg |
Curdlan (Dectin-1) | 45μg | ||
Zymosan (Dectin-2/TLR-2) | 50μg | ||
Furfurman (Dectin-2) | 50μg | ||
TDB (Mincle) | 50μg | ||
c-di-GMP (Sting) | 50μg | ||
MDP (NOD-2) | 30μg | ||
MPLA-SM (TLR-4) | 20μg | ||
Chitosan (NLRP3 inflammasome inducer, MR) | 100μg | ||
rmIL-23 | 5μg | ||
rmIFNα | 2.5x106IU | ||
Poly(I:C) (TLR-3/MDA-5)+c-di-GMP (Sting) | 50μg+50μg | ||
Poly(dA:dT) (RIG-I/CDS agonist)+c-di-GMP (Sting) | 25μg+50μg | ||
R848 (TLR-7/8)+Zymosan (Dectin-2/TLR-2) | 50μg+25μg | ||
R848 (TLR-7/8)+Furfuman (Dectin-2) | 50μg+25μg | ||
R848 (TLR-7/8)+TDB (Mincle) | 50μg+25μg | ||
Zymosan (Dectin-2/TLR-2)+TDB (Mincle) | 25μg+25μg | ||
Furfuman (Dectin-2)+TDB (Mincle) | 25μg+25μg | ||
TDB (Mincle)+c-di-GMP (Sting) | 25μg+25μg | ||
MDP (NOD-2)+MPLA (TLR-4)+Curdlan (Dectin-1) | 30μ+20μg+45μg | ||
PRRs 리간드, 사이토카인의 단독 투여시,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존율은 IFNα> IL-23> c-di-GMP 투여군의 순으로 높았고, 도 16의 (B) BW(body weight, 체중변화)에서도 IFNα의 경우 체중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도 16의 (C)는 PRRs 리간드의 병용 투여시 생존율을 나타낸다.
R848+TDB> TDB+c-di-GMP> Furfurman+TDB의 순으로 생존률이 높았고, 체중변화(도 16의 (D))에 있어서도 약 20% 미만의 범위에서 체중감소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RRs 리간드 단독 투여에 비해 사이토카인과 병용 투여 시, FMDV 감염으로부터 마우스를 더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TLR-7/8, Mincle, Dectin-2, Sting 등의 조합이 백신 아쥬반트로서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1-2. 마우스에서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 매개 기억 면역반응
PRRs 리간드 및 재조합 사이토카인의 백신 아쥬반트로서의 가능성 및 FMDV 감염에 대한 기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도 17과 같은 전략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제역 항원은 O TWN 97-R을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PC)의 백신 조성은 다음과 같다; O TNW 97-R Ag(15μg/dose/ml, 1/160 dose), ISA 206 (50%, w/w), 10% Al(OH)3, 15 μg/mouse of Quil-A.
마우스는 0 dpv(days post vaccination)에 I.M.(intramuscular, 근육 내 접종)으로 1st 백신접종 후, 28일 후(28days post vaccination, dpv) 2nd 백신접종(boosting)을 실시하였다. 이후 56일(56days post vaccination, dpv)째, FMDV(100LD50 of O VET 2013, ME-SA topotype)를 마우스 복강으로 투여하여, 7일 후까지(days post challenge, dpc)까지 생존율과 체중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세포성·체액성 면역반응 유도능을 확인하기 위해 0, 28, 56dpv에 마우스 혈청 및 복막 삼출 세포(peritoneal exudate cells, PECs)를 샘플링하여, SP ELISA 및 virus neutralization titer (VN titers, 중화항체가) 등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도 18a에 나타낸 것과 같이 28dpv에서는 IFNα, IFNγ+IL-2+TNFα, IL-15+IL-18, TDB+c-di-GMP, R848+c-di-GMP를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항체가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56dpv에서는 모든 사이토카인 및 PRRs 리간드 아쥬반트 투여군에서 항체가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특히, IFNα의 경우, 56dpv까지 높은 수준의 항체가를 유지하였다. 앞선 실험들에서 세포성 면역반응을 탁월하게 증가시켰던 IL-23 투여군의 경우에도 항체가가 높게 관찰되어 체액성 면역반응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보였다.
한편, T 세포의 활성 및 T 세포 매개 세포성·체액성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IFNγ+IL-2+TNFα 투여군의 경우에도 28dpv 이후 꾸준히 높은 항체가를 유지하였고, 점막면역에 관여하는 IL-15+IL-18를 아쥬반트로 투여한 군에서도 높은 항체가를 보였다. 장기 면역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HSP70을 투여하였을 때, 다른 아쥬반트 투여군에 비해서는 다소 낮으나, 비교적 항체가가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PRRs 리간드 투여군의 경우, 모든 군에서 높은 항체가를 나타내었다.
백신접종 자체에 의한 체중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백신접종 후, 8주(56dpv)간 매주 1회씩 체중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도 18b), IFNγ+IL-2+TNFα의 조합을 투여한 그룹에서 7dpv에 약간의 체중 감소가 있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다른 그룹(총 5~10μg)에 비해 재조합 사이토카인의 투여 용량(총 15μg)이 다소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백신접종 후 56일 째(56dpv)에 O VET 2013으로 감염시켜 생존율(도 18c)과 체중변화(BW) (도 18d)를 관찰한 결과, 음성대조군의 마우스가 4일째 100% 폐사하였고 양성대조군의 마우스는 40% 생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 아쥬반트를 투여한 군의 마우스는 100% 생존하였으며, 체중 감소도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로써, 이들 사이토카인 및 PRRs 리간드를 아쥬반트로 활용하였을 때, 백신 유도 세포성 면역반응 및 체액성 면역반응 모두를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host의 방어에 있어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사이토카인 및 PRRs 리간드에 의한 세포성 면역반응 및 체액성 면역반응의 유도를 관찰하기 위해 이들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의 확장을 FACS 분석하였다. 도 19a에서는 CD3+CD4+ T 세포 수를 확인하였고, IFNα, HSP70, R848+TDB, TDB+c-di-GMP 등을 첨가한 군에서 세포의 확장이 관찰되었다. 도 19b는 CD3+CD8+ T 세포의 population을 나타낸다. CD4+ T cells에 비해 세포 수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이며, 28dpv에 IFNα 투여군에서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도 19c에서는 CD4+CD8+ T 세포의 확장을 확인하였다. 28dpv에 HSP70을 제외한 모든 사이토카인 및 PRRs 리간드 첨가군에서 세포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가, 56dpv에는 현저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억 T 세포의 marker로 알려진 CD44highCD62low T 세포의 확장을 관찰한 결과(도 19d), 28dpv에 비해 56dpv에서 population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28dpv에서는 사이토카인에 비해 PRRs 리간드가 더 유의적으로 이들 기억 T 세포의 확장을 유도하였으나, 56dpv에서는 모든 아쥬반트 첨가군에서 세포 수가 증가되어 이들 아쥬반트가 기억 T 세포를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세포성 면역반응 및 체액성 면역반응의 자극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9e에서는 기억 γδ T 세포인 CD44highCD27low γδ T 세포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마우스에서는 일반적으로 약 5% 범위의 γδ T 세포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쥬반트 첨가에 의해 이들 세포 수가 약 8~10%까지 그 발현이 증가되었고, 28, 56dpv 간의 큰 차이는 관찰되지 않아 초기 세포성 면역반응뿐만 아니라, 중기, 장기 세포성 면역반응의 유도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19f는 기억 B 세포(CD3-CD44+CD27+ B cells)의 확장을 보여준다. 28dpv에 IL-23, R848+TDB, TDB+c-di-GMP에서 유의적인 세포 수 증가를 확인하였고, 56dpv에서는 전체적으로 28dpv에 비해 세포 수가 증가하였으며, 모든 사이토카인 및 PRRs 리간드 첨가군에서 기억 B 세포가 유의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IL-23, IFNγ+IL-2+TNFα, IL-15+IL-18, R848+TDB, R848+c-di-GMP 첨가군에서 p<0.001 이하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도 19g는 memory like NK cells로 알려진 CD3-CD335 (NKp46)+CD27+ cells의 확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특이적으로 IFNα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 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IFNα가 선천성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NK 세포를 효과적으로 자극하는 것으로 보여지고 기억 반응의 유도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1-3. 사이토카인의 아쥬반트로서의 가능성과 마우스에서 다양한 혈청형별 FMDV 감염에 대한 방어효과
사이토카인, 특히 IFNα 및 IL-23의 백신 아쥬반트로서의 가능성, 기억 반응 및 다양한 혈청형별 FMDV 감염에 대한 방어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도 20과 같은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O VET(O Vet 2013), O JC(O Jincheon 2014), A Malay(A Malay97), Asia Shamir-R(Asia1 Shamir의 전체 게놈 재조합 클론), PC 그룹에는 ISA 206 오일 면역 보강제만 주입되었으며, NC는 음성대조군이다.
실험 결과, IFNα 및 IL-23를 아쥬반트로 함께 투여한 그룹에서 O VET2013, O JC, A Malay 97, Asia1 Shamir 공격에 대해 거의 완벽한 방어를 보였으며 체중변화도 바이러스 공격 전과 비교하여 거의 감소되지 않았다(도 21).
이로써 IFNα와 IL-23의 in vivo에서의 기억 기능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혈청형별 FMDV 공격에 대해 백신 내 함유된 항원-바이러스 간의 특이성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host를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시예 2> 축종별 아쥬반트 후보물질의 반응성 평가
상기의 마우스에서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소, 돼지의 면역세포에서 PRRs 리간드, HSP70 및 사이토카인 매개 세포증식 및 세포독성을 관찰하기 위해 하기 표 2의 아쥬반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룹 | 아쥬반트 |
용량
(μg/ml) |
그룹 | 아쥬반트 |
용량
(μg/ml) |
1 | Con | 13 | Poly(I:C)(TLR-3)+c-di-GMP (Sting) | (5μg+2μg)/ml | |
2 | R848 (TLR-7/8) | 10μg/ml | 14 | Poly (dA:dT) (RIG-I&CDS agonist)+ c-di-GMP (Sting) | (5μg+2μg)/ml |
3 | Curdlan (Dectin-1) | 100μg/ml | 15 | R848(TLR-7/8)+Zymosan (Dectin-2/TLR-2) | (5μg+5μg)/ml |
4 | Zymosan (Dectin-2/TLR-2) | 10μg/ml | 16 | R848(TLR-7/8)+Furfuman(Dectin-2) | (5μg+5μg)/ml |
5 | Furfurman(Dectin-2) | 10μg/ml | 17 | R848 (TLR-7/8)+TDB (Mincle) | (5μg+5μg)/ml |
6 | TDB (Mincle) | 10μg/ml | 18 | Zymosan(Dectin-2/TLR-2)+TDB(Mincle) | (5μg+5μg)/ml |
7 | c-di-GMP (Sting) | 4μg/ml | 19 | Furfurman(Dectin-2)+TDB (Mincle) | (5μg+5μg)/ml |
8 | MDP (NOD-2) | 10μg/ml | 20 | TDB(Mincle)+c-di-GMP (Sting) | (5μg+2μg)/ml |
9 | MPLA-SM (TLR-4) | 1μg/ml | 21 | MDP (NOD-2)+MPLA-SM (TLR-4)+Curdlan (Dectin-1)) | 10μg+1μg+100μg/ml |
10 | Chitosan(NLRP3 inflammasome, MR) | 100μg/ml | 22 | Oil (ISA206) | 25% |
11 | Poly(I:C) | 10μg/ml | 23 | Gel (Alum) | 10% |
12 | Poly(dA:dT) | 10μg/ml | 24 | Saponin (Quil-A) | 2.5μg/ml |
25 | Oil(ISA206)+Gel(Alum)+Saponin (Quil-A) | (25%+10%+2.5μg)/ml |
PBMCs 분리
돼지와 소의 전혈은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에서 기증받았다. BD Vaccutainer 헤파린 튜브(BD,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ranklin Lakes, NJ, USA)를 이용하여 전혈 15ml를 수집하고,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s)를 Ficoll-PaqueTM PLUS(GE Healthcare Bio-Sciences Corp., Piscataway, NJ, USA) 밀도 구배 원심 분리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잔여 적혈구는 ACK(Ammonium-Chloride-Potassium) Lysing Buffer(Gibco, Carlsbad, CA, USA)로 처리하여 용해시켰다.
2% FBS(Gibco, Carlsbad, CA, USA)가 보충된 Ca2+ 및 Mg2+(Gibco, Carlsbad, CA, USA)-free Dulbecco's PBS에 현탁하고 용적 유량계(MACSQuant Analyzer, Miltenyi Biotec, Bergisch Gladbach, 독일)를 사용하여 계수하였다. 모든 세포는 사용 직전에 신선하게 분리되었고 저온 보존된 세포는 사용하지 않았다.
정제된 PBMCs를 10% 소 태아 혈청 (FBS) (HyClone, Logan, Utah, USA), 3mM L-글루타민(Sigma-Aldrich, USA), 100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보충한 RPMI-1640(Gibco, Carlsbad, CA, USA) 미국 미주리 주 세인트 루이스)에 재현탁시켜 37℃, 5% CO2 상에서 배양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웰당 1x104cells을 부착시켰다. 3시간 동안 배양 후, 다양한 PRR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으로 자극하기 전에 배양 배지를 무혈청 배지로 대체하였다.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 처리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 및 소 PBMCs를 PRR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으로 처리하였다. 96시간 후, 세포 배양 배지(상층액)를 수거하고, 락트산 탈수소 효소(LDH) 분비에 의한 세포 독성 및 5-브로모-2'-데옥시우리딘(BrdU) 혼입에 의한 세포 증식을 관찰하였다.
돼지와 소 PBMCs에서 PRRs 리간드와 사이토카인 매개 LDH 분비 측정
처리된 돼지 및 소 PBMCs의 상등액에서의 세포 독성 수준은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LDH 분비 분석은 CytoTox 96 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 (Promeg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LDH 분비 백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 : LDH 분비의 백분율 = 100 x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판독 값)/(최대 LDH 방출 대조군의 흡광도-비 흡광도 대조군의 흡광도)
키트 제공 용해 버퍼를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시켰고 용해 완충액 처리 세포로부터의 상등액은 최대 LDH 방출 제어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돼지와 소 PBMC에서의 BrdU 혼입 분석
BrdU 세포 증식 분석 키트(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USA)를 사용하여 DNA 합성 동안 BrdU의 혼입에 기초하여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이 돼지 및 소 PBMC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0μM BrdU를 세포 배양액에 첨가하고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고정시키고 항-BrdU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와 horseradish peroxidase(HRP)-컨쥬게이트된 염소 항-마우스 항체와 함께 배양시켰다. 발색 기질 테트라메틸 벤지딘은 색을 발달시키기 위해 사용하였다. 흡광도는 450/550nm의 이중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백신 접종 및 샘플링(vaccination and sampling)
돼지와 소에서 PRRs 리간드의 아쥬반트로서의 가능성 및 세포성·체액성 면역반응 유도, 장기면역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제역 항원은 O TWN 97-R을 사용하였으며, positive control group의 백신 조성은 다음과 같다; O TNW 97-R Ag(15μg/dose/ml), ISA 206(50%, w/w), 10% Al(OH)3, 150μg/dose/ml Quil-A.
28일 간격으로 2회(0dpv, 28dpv), 동물의 목 부위 깊은 근육 내 경로를 통해 1ml 백신을 투여하였다. 혈액 샘플을 돼지의 0, 14, 28, 42, 56, 70, 84dpv 및 소의 0, 14, 28, 56, 84, 112, 140, 168dpv에서 수집하였다.
동물들은 체온 및 식욕에 대해 매일 모니터링 하였다. 혈청 검체는 검사가 시행 될 때까지 -80 ℃에서 보관하였다.
혈청 검사
1) 구조 단백질 항체 검출용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혈청에서 구조 단백질(structural protein, SP) 항체의 검출을 위해 PrioCHECK FMDV type O(Prionics, Switzerland)를 사용하였다. ELISA 플레이트의 흡광도는 백분율 저해 (PI) 값으로 변환되었다. PI 값이 50% 이상인 경우, 동물을 항체 양성으로 간주하였다.
2) 바이러스 중화 시험
바이러스 중화 시험은 OIE manual에 따라 수행되었다. 혈청에서 56℃, 30 분간 중탕하여 활성화시켰다. 세포 밀도를 70% 단층을 형성하도록 조절하여, 1 : 4에서 1 : 512까지의 혈청 샘플의 2 배 단계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희석된 혈청 시료를 100 조직 배양 감염 선량 (TCID) 50/0.5ml homolog virus와 함께 37℃에서 1시간 배양 하였다. 1 시간 후, LF-BK (소 신장) 세포 현탁액을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2 내지 3일 후, CPE를 측정하여 역가 항체 희석물의 log10으로서 바이러스의 100TCID50을 중화시키는 역가를 결정하였다.
2-1. 소에서의 아쥬반트 후보물질의 반응성 평가결과
소 유래 PBMCs에서 각각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 Gel, Saponin 등에 의한 세포독성을 관찰하기 위해 LDH (Lactate Dehydrogenase) 분비를 확인한 결과, 처리구 자체의 세포독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에서 사용한 아쥬반트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보였다(도 22의 (A)). 도 22의(B)는 소 유래 PBMCs에 각각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을 백신 아쥬반트인 Oil+Gel+Saponin과 혼합하여 세포에 처리 후, 세포독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때에도 아쥬반트 혼합물에 의한 세포독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PRRs 리간드를 조합하여 병용 처리 후에도 이들 아쥬반트에 의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도 22의 (C)), PRRs 리간드를 조합하여 백신 아쥬반트인 Oil+Gel+Saponin과 혼합하여 세포에 처리 후에도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도 22의 (D)).
도 23의 (A)는 소 유래 PBMCs에 각각의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 Oil, Gel, Saponin 및 Oil+Gel+Saponin을 처리하고, 96시간 후에 BrdU incorporation에 의한 세포증식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대조구에 비해 모든 PRRs 리간드 처리구에서 세포증식이 증가되었고, 특히 Curdlan, TDB, c-di-GMP, R848 및 Furfurman에 의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Gel 및 Saponin에 의한 효과는 96h에서는 미미하였다. 또한 각각의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을 Oil+Gel+Saponin과 혼합하여 처리한 뒤, 세포증식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구에 비해 모든 PRRs 리간드를 Oil+Gel+Saponin과 혼합 처리구에서 세포증식이 증가되었으나, Oil+Gel+Saponin 무첨가 (W/O) 시에 비해 그 값이 낮았다(도 23의 (B)).
도 23의 (C)는 PRRs 리간드를 조합하여 세포증식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세포증식이 증가되었고, 특히, R848+TDB, Furfurman+TDB, TDB+c-di-GMP 처리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이들 PRRs 리간드의 조합은 소 PBMCs를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세포증식을 증대시키고 면역반응을 자극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이들 아쥬반트에 의한 소 유래 PBMCs에서의 면역반응은 돼지 유래 PBMCs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아 소 면역세포가 돼지 면역세포에 비해 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소 유래 PBMCs에 PRRs 리간드 조합을 Oil+Gel+Saponin과 혼합하여 처리, 96h에 세포증식을 관찰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모든 PRRs 리간드를 Oil+Gel+Saponin과 혼합 처리구에서 그 값이 증가되었으나, Oil+Gel+Saponin 무첨가 (W/O) 시에 비해 그 값이 낮았다(도 23의 (D)). 이상의 결과로부터 돼지 면역세포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소 면역세포에 PRRs 리간드를 직접 처리 시, Oil+Saponin+Gel과 함께 처리시보다 더 빨리 세포를 자극하여 증식을 촉진하고, 면역반응을 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의 PBMCs를 이용한 PRRs 리간드 스크리닝 실험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후보물질들에 대해, 실제 야외 필드 소에서 PRRs 리간드 매개 아쥬반트 효과 및 기억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도 24에 나타낸 전략으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 실험을 위해, 5 개월령 소(FMD 항체 혈청 음성)를 사용하였고, 소는 3그룹으로 분류되었다(n=5/group).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동물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소들은 실험동안 밀폐된 공간에 격리하였다.
SP O ELISA에 의한 Ab titers(항체가)를 확인한 결과, 백신접종 후 28일 째(28dpv), PRRs 리간드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항체가를 보였고, boosting 이후 140일 째(140dpv)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도 25의 (A)). 또한 VN titer(중화항체가)를 확인하였을 때, PRRs 리간드 첨가군에서 14dpv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고(p<0.01), 이후부터 140dpv까지도 매우 높은 수준(p<0.001)을 유지하였다(도 25의 (B)).
이상의 결과로부터, R848+TDB, Curdlan+c-di-GMP는 백신에 아쥬반트로 첨가 시, 선천성 면역반응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지속적으로 체액성 면역반응을 자극함으로써, FMDV 감염으로부터 host의 방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2. 돼지에서의 아쥬반트 후보물질의 반응성과 안전성 평가
돼지 유래 PBMCs에서 각각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 Oil, Gel, Saponin 및 Oil+Gel+Saponin에 의한 세포독성을 관찰하기 위해 LDH(Lactate Dehydrogenase) 분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처리구 자체의 세포독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에서 사용한 아쥬반트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보였다(도 26의 (A)).
도 26의 (B)는 돼지 유래 PBMCs에 각각 PRRs ligand 및 사이토카인을 백신 아쥬반트인 Oil+Gel+Saponin과 혼합하여 세포에 처리 후, 세포독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때에도 아쥬반트 혼합물에 의한 세포독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돼지 유래 PBMCs에 PRRs 리간드를 조합하여 처리 후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을 때에도 이들 아쥬반트에 의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고(도 26의 (C)), PRRs 리간드를 조합하여 백신 아쥬반트인 Oil+Gel+Saponin과 혼합하여 세포에 처리 후에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도 26의 (D)).
도 27의 (A)는 돼지 유래 PBMCs에 각각의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 Oil, Gel, Saponoin 및 Oil+Gel+Saponin을 처리, 96h에 BrdU incorporation에 의한 세포증식을 관찰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모든 PRRs 리간드 처리구에서 세포증식이 증가되었고, 특히 TDB와 c-di-GMP에 의한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Gel 및 Saponin에 의한 효과는 96h에서는 미미하였다.
돼지 유래 PBMCs에 각각의 PRRs 리간드 및 사이토카인을 Oil+Gel+Saponin과 혼합하여 처리, 96h에 세포증식을 관찰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모든 PRRs 리간드를 Oil+Gel+Saponin과 혼합 처리구에서 세포증식이 증가되었으나, Oil+Gel+Saponin 무첨가 (W/O) 시에 비해 그 값이 낮았다(도 27의 (B)). 도 27의 (C)는 PRRs 리간드를 조합하여 세포증식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세포증식이 증가되었고, 특히 R848+TDB, Furfurman+TDB, TDB+c-di-GMP 처리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이들 PRRs 리간드의 조합은 돼지 PBMCs를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세포증식을 증대시키고 면역반응을 자극할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돼지 유래 PBMCs에 PRRs 리간드 조합을 Oil+Gel+Saponin과 혼합하여 처리, 96h에 세포증식을 관찰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모든 PRRs 리간드를 Oil+Gel+Saponin과 혼합 처리구에서 그 값이 증가되었으나, Oil+Gel+Saponin 무첨가 (W/O) 시에 비해 그 값이 낮았다 (도 27의 (D)). 이상의 결과로부터 돼지 면역세포에 PRRs 리간드를 오일 아쥬반트(오일 에멀젼) 없이 단독 처리 시, Oil+Saponin+Gel과 함께 처리시보다 더 빨리 세포를 자극하여 확산을 촉진하고, 면역반응을 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돼지의 PBMCs를 이용한 PRRs 리간드 스크리닝 실험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후보물질들에 대해, 실제 야외 필드 돼지에서의 PRRs 리간드 매개 아쥬반트 효과 및 기억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도 28). 현장 실험을 위해, 10 주령 돼지(FMD 항체 혈청 음성)를 사용하였으며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n=5 /group).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동물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돼지들은 연구 동안 밀폐된 공간에 격리하였다.
백신접종에 의한 항체가를 확인하기 위해, 돼지 혈청을 이용하여 SP O ELISA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29의 (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14dpv에서 대조군에 비해 TDB+c-di-GMP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항체가가 증가되었고(p<0.001), 28dpv에서는 모든 PRRs 리간드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항체가가 현저히 증가되었다(p<0.001). 특히, TDB+c-di-GMP 첨가군의 경우, 84dpv까지 지속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항체가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에서 1차 백신접종에 의해 항체가가 이러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PRRs 리간드들이 효과적으로 선천성 면역반응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고 체액성 면역반응 또한 강력하게 유도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28dpv에 2차 백신접종(boosting)을 할 경우, 1차 백신 접종에 의해 자극된 면역세포들의 'recall stimulation'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한편, 장기면역을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VN titer를 확인하였을 때, 14dpv에 TDB+c-di-GMP (p<0.001), R848+TDB (p<0.01)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중화 항체가를 나타내었고, 28dpv에는 모든 PRRs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중화 항체가를 보였다(p<0.001). 특히, TDB+c-di-GMP 첨가군은 84dpv까지 지속적으로 높은 중화 항체가를 유지하였고, R848+TDB 첨가군의 경우에는 초기(14dpv)부터 중기(42dpv)까지 면역증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Furfurman+TDB 첨가군의 경우에는 초기 14dpv까지는 다소 천천히 중화항체가가 증가하나, 28dpv부터 84dpv까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중화 항체가를 유지하였다.
PRRs 리간드+ 첨가군에서 14dpv부터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치를 보였고, 84dpv까지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도 29의 (B)). 이상의 결과로부터, R848+TDB, Furfurman+TDB, TDB+c-di-GMP는 백신에 아쥬반트로 첨가 시, 선천성 면역반응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지속적으로 체액성 면역반응을 자극함으로써, FMDV 감염으로부터 host의 방어에 크게 기여하는 한편, 새로운 전략의 FMDV 백신의 개발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8)
-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은 IL-23, IFN 감마+IL-2+TNF 알파, IL-15+IL-18 또는 IL-23+IFN 베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은 1~100μg/ml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 또는 제3항의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을 포함하며, 불활성화된 구제역 항원을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8625A KR102438048B1 (ko) | 2019-03-15 | 2021-07-27 |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0149A KR102285977B1 (ko) | 2019-03-15 | 2019-03-15 |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KR1020210098625A KR102438048B1 (ko) | 2019-03-15 | 2021-07-27 |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0149A Division KR102285977B1 (ko) | 2019-03-15 | 2019-03-15 |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7077A KR20210097077A (ko) | 2021-08-06 |
KR102438048B1 true KR102438048B1 (ko) | 2022-08-31 |
Family
ID=725210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0149A KR102285977B1 (ko) | 2019-03-15 | 2019-03-15 |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KR1020210098625A KR102438048B1 (ko) | 2019-03-15 | 2021-07-27 |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0149A KR102285977B1 (ko) | 2019-03-15 | 2019-03-15 |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3939608A4 (ko) |
KR (2) | KR102285977B1 (ko) |
CN (1) | CN113573731B (ko) |
WO (1) | WO202018984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8775A (ko) | 2021-10-05 | 2023-04-12 |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
CN115671127A (zh) * | 2022-11-01 | 2023-02-03 | 中国农业科学院兰州兽医研究所 | 环鸟苷单磷酸腺苷单磷酸类似物在制备免疫增强剂或疫苗增效剂中的应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763105A (zh) * | 2005-10-12 | 2006-04-26 | 中国农业大学 | 激发机体产生fmdv抗体的融合蛋白及其编码基因与应用 |
US20090269372A1 (en) * | 2008-04-24 | 2009-10-29 | Grubman Marvin J | Enhanced Antiviral Activity Against Foot and Mouth Disease |
WO2011054011A2 (en) * | 2009-11-02 | 2011-05-05 |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consensus proteins, coding sequences therefor and vaccines made therefrom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88087B2 (en) * | 2000-11-09 | 2008-06-17 |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to vaccine by interferon alpha |
AT504160A1 (de) * | 2006-09-11 | 2008-03-15 | Ralf Dr Kircheis | Verwendung einer mehrkomponenten-tumorvakzine |
US20090181078A1 (en) * | 2006-09-26 | 2009-07-16 | Infectious Disease Research Institute | Vaccine composition containing synthetic adjuvant |
ES2554981T3 (es) * | 2008-03-27 | 2015-12-28 | Immatics Biotechnologies Gmbh | Nueva inmunoterapia contra tumores neuronales y cerebrales |
GB0910751D0 (en) * | 2009-06-23 | 2009-08-05 | Procure Therapeutics Ltd | Prostate cancer vaccine |
CN102218139A (zh) * | 2010-04-16 | 2011-10-19 | 北京艾棣维欣生物技术有限公司 | 一种治疗和/或预防病毒感染的药物 |
WO2012116715A1 (en) * | 2011-03-02 | 2012-09-07 | Curevac Gmbh | Vaccination in newborns and infants |
JP6231474B2 (ja) * | 2011-04-18 | 2017-11-15 | ユニバーシティ・オブ・ジョージア・リサーチ・ファウンデイ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ワクチン送達方法 |
CN102764435B (zh) * | 2012-08-03 | 2014-04-16 | 中国农业科学院兰州兽医研究所 | 一种猪用亚洲i型口蹄疫病毒灭活疫苗佐剂及制备方法 |
AU2014235120B2 (en) * | 2013-03-15 | 2017-01-05 |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Vaccines having an antigen and interleukin-23 as an adjuvant |
EP3046580A2 (en) | 2013-09-19 | 2016-07-27 | Zoetis Services LLC | Oil-based adjuvants |
US20170182154A1 (en) * | 2014-01-22 | 2017-06-29 | Beijing Advaccine Biotechnology Co. Ltd | Vaccines with interleukin-17 as an adjuvant |
PT3244920T (pt) | 2015-01-16 | 2023-07-28 | Zoetis Services Llc | Vacina contra a febre aftosa |
KR101996538B1 (ko) * | 2017-02-13 | 2019-07-04 | 단디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 이미다조퀴놀린계열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의 용도 |
KR101982710B1 (ko) * | 2017-03-17 | 2019-05-28 | 주식회사 큐라티스 | 스팅 작용자를 포함하는 면역항원보강제 및 백신 조성물 |
US20180311334A1 (en) * | 2017-04-29 | 2018-11-01 | Yale University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ucing an Immune Response |
-
2019
- 2019-03-15 KR KR1020190030149A patent/KR1022859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5-02 CN CN201980094022.XA patent/CN113573731B/zh active Active
- 2019-05-02 WO PCT/KR2019/005243 patent/WO202018984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5-02 EP EP19920108.8A patent/EP3939608A4/en active Pending
-
2021
- 2021-07-27 KR KR1020210098625A patent/KR1024380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763105A (zh) * | 2005-10-12 | 2006-04-26 | 中国农业大学 | 激发机体产生fmdv抗体的融合蛋白及其编码基因与应用 |
US20090269372A1 (en) * | 2008-04-24 | 2009-10-29 | Grubman Marvin J | Enhanced Antiviral Activity Against Foot and Mouth Disease |
WO2011054011A2 (en) * | 2009-11-02 | 2011-05-05 |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Foot and mouth disease virus (fmdv) consensus proteins, coding sequences therefor and vaccines made therefro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39608A4 (en) | 2023-04-05 |
WO2020189840A1 (ko) | 2020-09-24 |
KR102285977B1 (ko) | 2021-08-05 |
CN113573731A (zh) | 2021-10-29 |
CN113573731B (zh) | 2024-07-12 |
KR20210097077A (ko) | 2021-08-06 |
KR20200110066A (ko) | 2020-09-23 |
EP3939608A1 (en) | 2022-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hhabra et al. | Immune responses to virulent and vaccine strains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es in chickens | |
KR102438048B1 (ko) |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
Lee et al. | Effect of dietary curcuma, capsicum, and lentinus, on enhancing local immunity against Eimeria acervulina infection | |
Vandepapelière et al. | Vaccine adjuvant systems containing monophosphoryl lipid A and QS21 induce strong and persistent humoral and T cell responses against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n healthy adult volunteers | |
AU2018359556B2 (en) | Zika vaccines and immunogen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Brahmakshatriya et al. | IL-6 production by TLR-activated APC broadly enhances aged cognate CD4 helper and B cell antibody responses in vivo | |
Lee et al. | Mincle and STING-stimulating adjuvants elicit robust cellular immunity and drive long-lasting memory responses in a foot-and-mouth disease vaccine | |
JP2009523721A (ja) | ポリイノシン酸−ポリシチジル酸に基づくアジュバントを含む、免疫原性物質 | |
CN103998055B (zh) | 预防和治疗自身免疫性疾病的联合促进剂、抗原和dna疫苗 | |
Wang et al. | Adjuvanticity of aqueous extracts of Artemisia rupestris L. for inactivated foot-and-mouth disease vaccine in mice | |
Lee et al. | A DNA Vaccine Encoding a Fatty Acid‐Binding Protein of Clonorchis sinensis Induces Protective Immune Response in Sprague–Dawley Rats | |
Salgado et al. | Pam3CSK4 adjuvant given intranasally boosts anti-Leishmania immunogenicity but not protective immune responses conferred by LaAg vaccine against visceral leishmaniasis | |
Langellotti et al. | Foot-and-mouth disease virus causes a decrease in spleen dendritic cells and the early release of IFN-α in the plasma of mice. Differences between infectious and inactivated virus | |
KR102584622B1 (ko) | 신규 면역증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 |
Shang et al. | Protection in mice immunized with a heterologous prime-boost regime using DNA and recombinant pseudorabies expressing TgSAG1 against Toxoplasma gondii challenge | |
CN104812403A (zh) | 弓形体属的减毒株用于预防或治疗隐孢子虫病的用途 | |
Chang et al. | A single dose of Astragalus saponins adjuvanted inactivated vaccine for pseudorabies virus protected mice against lethal challenge | |
WO2014151265A1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timulating immune response | |
Sharma et al. | Evaluation of a Lipopolysaccharide and Resiquimod Combination as an Adjuvant with Inactivated Newcastle Disease Virus Vaccine in Chickens. Vaccines (Basel). 2022; 10 (6) | |
US20230226176A1 (en) | Novel immune adjuvant and vaccine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 |
WO2017223090A1 (en) | Whole-cell based vaccine against zika virus | |
US20240115681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oll-like receptor agonist and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agonist and use thereof | |
US20210171581A1 (en) | Immune activation triggered by filovirus proteins and polypeptides | |
Lindgren | Immune mechanism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antibody responses to vaccines | |
Habiela | The Role of Follicular Dendritic Cells and Persisting Foot-And-Mouth Disease Virus Antigens as Determinants of Immune Responses to the Vir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