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775A -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 Google Patents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775A
KR20230048775A KR1020210131613A KR20210131613A KR20230048775A KR 20230048775 A KR20230048775 A KR 20230048775A KR 1020210131613 A KR1020210131613 A KR 1020210131613A KR 20210131613 A KR20210131613 A KR 20210131613A KR 20230048775 A KR20230048775 A KR 20230048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mouth disease
quercetin
disease virus
vac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미
박종현
이민자
이경민
김아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to KR102021013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775A/ko
Publication of KR2023004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25Picornaviridae, e.g. calicivirus
    • A61K39/135Foot- and mouth-disease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2Virus inactivated (ki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조성물;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개선용 사료 조성물; 및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퀘르세틴은 단시간 내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구제역 불활화 백신과 함께 혼합접종 시 중화항체의 생성을 단시간 내에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Composition for inhibiting foot-and-mouth disease virus comprising querceti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foot and mouth disease vaccin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조성물;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개선용 사료 조성물; 및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퀘르세틴은 단시간 내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구제역 불활화 백신과 함께 혼합접종 시 중화항체의 생성을 단시간 내에 유도할 수 있다.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은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에 감염되는 바이러스 수포성 질병으로 빠른 복제와 빠른 전파력이 특징이다. 병원체는 단일 가닥의 양극성 RNA 바이러스로 피코나비리데과(Piconaviridae)과, 아프소바이러스(Apthovirus) 속에 속하며 7개의 다른 혈청형(A, O, C, Asia1, SAT1, SAT2, SAT3)으로 분류되고 있다.
구제역은 질병 발생 초기의 전파억제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구제역에 대한 방어 대책으로 사용되고 있는 긴급백신(Emergency vaccine)을 돼지에 접종했을 경우, 평균 7일 이후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능이 형성된다. 또한, 돼지의 경우 배출하는 바이러스 양이 소보다 월등히 많고, 면역형성능이 소보다 떨어지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어, 구제역 백신 접종 초기에는 감염에 더욱 취약해 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구제역 백신과 항바이러스제의 병용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어 왔으나, 항바이러스제의 직접적인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과와 빠르고 지속적인 면역항체 유도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구제역 바이러스 초기 방어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 없다.
한편,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낮은 분자량의 폴리페놀이며 과일, 야채, 차, 와인 등과 같은 식물 유래 음료 등에도 포함되어 있는 물질이다. 그 중 퀘르세틴(Quercetin)은 사과, 베리류, 양파, 차 등의 식물에서 발견되는 저 분자 물질로서 항산화 효과와 면역 조절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퀘르세틴의 항바이러스 효과는 polio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human hepatitis C virus(HCV, Rojas A, Del Campo JA, Clement S, Lemasson M, Garcia-Valdecasas M, Gil-Gomez A, Ranchal I, Bartosch B, Bautista JD, Rosenberg AR, Negro F, Romero-Gomez M. 2016. Effect of Quercetin on Hepatitis C Virus Life Cycle: From Viral to Host Targets. Sci Rep 6:31777.), Enterovirus 71(EV71, Yao C, Xi C, Hu K, Gao W, Cai X, Qin J, Lv S, Du C, Wei Y. 2018. Inhibition of enterovirus 71 replication and viral 3C protease by quercetin. Virol J 15:116.)과 같은 다양한 바이러스 질병에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COVID 19 바이러스(SARS Cov-2 virus)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도 보고되고 있다(Derosa G, Maffioli P, D'Angelo A, Di Pierro F. 2021. A role for quercetin i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hytother Res 35:1230-1236.). 그러나, 퀘르세틴의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 효과 및 중화항체 생성 유도 효과는 개시된 바 없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구제역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백신에 의한 중화항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도록 하는 아쥬반트 역할을 수행하여 구제역 바이러스를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퀘르세틴이 단시간 내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구제역 불활화 백신과 함께 혼합접종 시 중화항체의 생성을 단시간 내에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20-0144470호(공개일: 2020.12.29)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21-0097077호(공개일: 2021.08.06)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퀘르세틴은 대상체에서 구제역 바이러스 증식 억제 및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유효량의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아쥬반트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제역 불활화 백신과 함께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한 양상의 일 실시형태에서,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Quercetin)"은 사과, 베리류, 양파, 차 등의 식물에서 발견되는 저 분자 물질로서 항산화 효과와 면역 조절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연구들에서 퀘르세틴이 항바이러스 활성, 항-천식 활성, 항암 활성, 항-염증 활성, 모노아민-옥시다제 억제제 등의 다양한 생물활성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고되어 있다. 퀘르세틴은 종양성 바이러스의 복제(oncoviral replication)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Virus B, HBV)에 감염된 세포에서 HBsAg 및 HBeAg의 분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퀘르세틴은 대부분의 플라보노이드 중에서도 HCV 복제에 대해서 효과적인 억제능을 가지고 있어, 항-HCV 치료제로서 인터페론 a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퀘르세틴 및 이의 유사체들은 HIV-1 역전사효소에 대해서 강한 억제능을 나타내어, 이를 HIV 치료제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들도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은 상용 퀘르세틴 또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합성되거나(synthesized), 순수 분리되거나(isolated), 식물체로부터 추출되거나(extracted) 또는 분획된(fractionalized)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양이온과 음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 물질인 염 중에서도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염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 금속염, 유기 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알루미늄염 등이 될 수 있고; 유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무기산과의 염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르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제역 바이러스"는 항원 변이성이 가장 높은 바이러스 중 하나이며, 복제 과정에서 3D 폴리머라제가 유전자 교정(3D pol gene proofreading) 및 복제 후 수리 활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한다. 상기 구제역 바이러스에는 7개의 혈청형이 존재하고, 혈청형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바이러스 종(strain)별로 방어효과가 상이하다. 상기 구제역 바이러스는 O, A, C, SAT-1, SAT-2, SAT-3 및 Asia-1 구제역 바이러스의 혈청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혈청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제역"은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에 감염되는 바이러스 수포성 질병으로 빠른 복제와 빠른 전파력이 특징이다. 이 질병은 그 경제적 중요성으로 인하여 국제수역사무국(OIE)에 의하여 리스트(List) 질병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축산물의 국가간 교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병원체는 단일 가닥의 양극성 RNA 바이러스로 피코나비리데과(Piconaviridae) 과, 아프소바이러스(Apthovirus) 속에 속한다.
본 발명의 "백신"은 생체에 면역을 주는 항원성 물질을 함유한 생물학적 제제로서, 구제역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의 예방을 위해 생물체에 주입 또는 주사하여 생체 내 면역이 생기도록 하는 면역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퀘르세틴 외에 구제역 불활화 백신 또는 아쥬반트(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쥬반트는 보조제로서, ISA 201 (Seppic, France) 또는 ISA 206 (Seppic, Franc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퀘르세틴은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더 우수한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6시간 이내의 짧은 기간 내에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었고, 종래 오일 형태의 아쥬반트와 혼용 시에도 관찰 가능한 부작용 없이 유의한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실시예 1 내지 4).
일반적으로 항바이러스 효과는 3C protease, spike protein과 같은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직접 억제하거나 숙주세포의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으로 설명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의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 효능은 퀘르세틴의 3C 프로티아제(protease) 억제제로서의 작용 및/또는 인터페론 알파 단백질 유도 효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퀘르세틴은 구제역 3C 프로티아제 단백질과 결합 모델에서 성공적으로 결합함을 확인하였으며(실시예 5), 구제역 바이러스에 매우 민감한 인터페론 알파 단백질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6).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의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퀘르세틴은 구제역 바이러스 증식 억제 및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구제역 바이러스", "구제역" 및 "백신"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아쥬반트 조성물은, 특정 제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오일 제형 또는 비오일 제형(oil-based emulsion-free)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퀘르세틴이 단시간 내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구제역 불활화 백신과 함께 혼합접종 시 중화항체의 생성을 단시간 내에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8). 이는 본 발명의 퀘르세틴이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시, 숙주 내에서 강력한 방어효과를 나타내는 면역증강용 아쥬반트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역 증가 유도 효과는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감마 및 IL-12 유도 효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감마 및 IL-12는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뿐만 아니라, Th1 세포 면역에 관여하여 B 세포 분화를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퀘르세틴은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감마 및 IL-12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7).
따라서, 본 발명의 퀘르세틴은 구제역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백신에 의한 중화항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도록 하는 아쥬반트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퀘르세틴을 구제역 불활화 백신과 병용하였을 때 구제역에 대한 빠르고 지속적인 방어가 가능할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퀘르세틴이 구제역 바이러스의 단백질(3C protease)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인터페론 등 항바이러스와 효과와 아쥬반트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사이토카인들을 유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의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구제역 바이러스" 및 "구제역" 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구제역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고, 결과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의 발현을 사전에 차단하는 모든 병리학적 및/또는 약제학적, 및/또는 수의학적 효능 및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은 구제역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병리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구제역 바이러스는 소, 돼지, 양 등의 발굽이 2개로 갈라진 우제류만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로, 수포를 유발하여 구제역 바이러스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치료"는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체(세포 포함)의 천연 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해 임상적으로 개입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데, 임상 병리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다. 목적하는 치료 효과에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며, 질병에 따른 모든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하시키며, 전이를 예방하고, 질병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며, 질병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며, 차도시키거나 예후를 개선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치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구제역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대상체, 구체적으로는 돼지를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있는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착(engraftment)을 촉진하는 화합물(예를 들어 항-T세포 수용체 항체, 면역 억제제 등), 알부민, 덱스트란 40, 젤라틴,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등의 안정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부형제는 투여를 위해 바람직한 제제의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액상 또는 에어로솔 투여 형태의 사용에 적합한 부형제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코올, 향료 성분, 보존제, 및 착색 성분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경구 투여 형태(예를 들어, 파우더, 정제, 캅셀제 및 캐플릿)에서 사용하기에 알맞은 부형제의 예는 전분, 설탕, 미결정 셀룰로오스, 부형제, 과립화제, 활택제, 결합제 및 붕해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의 편리함 때문에, 정제 및 캅셀제는 가장 유용한 경구 투여 유닛 형태이고, 이 경우 고형 부형제가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는 표준 수상 또는 비수상(nonaqueous) 기술을 이용하여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의 예는 결합제, 충진제, 붕해제, 및 활택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에서의 사용에 적당한 결합제는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또는 다른 전분, 젤라틴, 아카시아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류, 소디움 알지네이트, 알지닉 산, 다른 알지네이트, 분말 트라가칸트(powdered tragacanth), 구아검(guar gum),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소디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파이로리돈, 메틸셀룰로오스, 프리-젤라틴화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로스, 미결정 셀룰로오스,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붕해제는 정제가 수성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붕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너무 많은 붕해제를 포함한 정제는 보관 중에 붕해될 수 있는 반면, 너무 적게 포함한 정제는 바람직한 조건 하에서 바람직한 속도로 붕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활성 성분의 방출을 조절하는데 나쁘지 않도록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은 충분한 붕해제의 양이 본 발명의 고형 경구 투여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사용된 붕해제의 양은 제제의 타입에 따라 다양하고,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통상 약 0.5 내지 약 15 중량 퍼센트의 붕해제,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 중량 퍼센트의 붕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활택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미네랄 오일, 경질(light) 미네랄 오일,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른 글리콜, 스테아릭 산,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탈크, 수소화 식물유(예를 들어, 땅콩 유, 면실 유, 해바라기 유, 참깨 유, 올리브 유, 옥수수 유, 및 콩 유), 건크 스테아레이트, 에틸 올레에이트, 에틸 라우레에이트, 아가,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이 분해하는 속도를 줄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안정화제, 아스코르빅 산과 같은 항산화제, pH 완충제, 또는 염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고,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 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및/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또는 수의학 분야의 숙련가에 의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효량은 바람직한 효과를 주기 위해 요구되는 화합물의 양이다.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듯이 투여의 경로, 부형제의 사용 및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량은 구제역 바이러스의 감염 및/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병되는 이상, 증상, 및 질병을 완화(alleviate), 향상(improve), 경감(mitigate), 개선(ameliorate), 안정화, 질병의 확산 억제, 질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요구되는 용량이다.
상기 유효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약동학적 특성, 투여 방법, 연령, 개체의 건강상태 및 체중, 질병 상태의 특성 및 범위, 치료 횟수 및 최근의 치료 형태와 같은 수많은 인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인자에 기초하여 적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 예를 들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별다른 부작용 없이 개체에 면역보호반응을 유도하기에 필요한 양은 면역원으로서 사용된 퀘르세틴 및 부형제의 임의 존재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퀘르세틴의 용량은 1 내지 2000 m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 mg을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백신 조성물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초기 용량에 이어 임의로 반복된 항원자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상의 일 실시형태에서,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구제역 바이러스", "구제역",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및 "예방"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개선"은 본 발명의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료"는 동물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사료는 가축 등의 동물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비타민, 광물질 등의 영양소를 포함하며, 곡물류, 근과류, 식품가공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곡물부산물류 등의 식물성 사료 또는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 등의 동물성 사료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료는 분말 사료, 고형 사료, 모이스트 펠릿 사료, 드라이 펠릿 사료, EP(Extruder Pellet) 사료, 날먹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효용 증대를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향미제, 비단백질태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추출제, 올리고당 등이 있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사료 혼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의 일 실시형태에서, 유효량의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아쥬반트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백신", "아쥬반트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사료 조성물", "구제역 바이러스", "구제역",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및 "치료"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대상체"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실질적으로 유해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동물, 구체적으로 숙주 동물을 의미한다. 동물은 구제역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유해한 감염증이 발병될 위험이 있는 숙주 동물, 구체적으로 소, 양, 돼지, 염소 등의 우제류 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퀘르세틴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의 경로를 통해 투여 될 수 있다. 다만, 경구 투여 시에는 위산에 의하여 상기 조성물이 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퀘르세틴은 구제역 불활화 백신 또는 오일 아쥬반트(adjuvant)와 함께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오일 아쥬반트는 ISA 201 (Seppic, France) 또는 ISA 206 (Seppic, Franc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은 단시간 내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구제역 불활화 백신과 함께 혼합접종 시 중화항체의 생성을 단시간 내에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구제역을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퀘르세틴의 세포에서 구제역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퀘르세틴의 마우스에서 구제역 바이러스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퀘르세틴과 오일 아쥬반트(oil adjuvant)의 혼합 시 마우스에서 구제역 바이러스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지속시간을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퀘르세틴과 구제역 3C 프로티아제(protease)의 결합 모델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퀘르세틴의 세포에서 인터페론 알파 유도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퀘르세틴의 마우스에서 사이토카인 유도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의 (A)는 구제역 시험백신과 퀘르세틴의 혼합 접종 시 마우스에서 구제역 바이러스의 신속한 초기 방어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의 (B)는 구제역 시험백신과 퀘르세틴의 혼합 접종 시 마우스에서 항체 증가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세포 준비 및 바이러스 접종
LFBK 세포(porcine kidney cell)는 5% 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Thermo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을 이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LFBK 세포는 Plum Island Animal Disease Center(Orient, NY, USA)에서 제공받았다.
세포 접종 시험에서는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2017년에 분리한 구제역 바이러스 O/SKR/Boeun/2017 (Genbank accession no. MG983730)을 사용하였고, 구제역 바이러스 접종시험을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생물안전 3등급(Bio-safety level 3) 시설에서 수행하였다.
참고예 2. 통계학적 분석
Unpaired T-test는 GraphPad Prism Software(Ver 9.0, La Jolla, Ca,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1. 퀘르세틴의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유효농도(CC50) 및 세포독성(EC50) 측정
퀘르세틴의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well 당 1Х104개의 세포 밀도로 LFBK 세포를 96 well 플레이트에 깔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2배 농도로 단계 희석한 퀘르세틴을 각각의 농도별로(2.4uM, 4.9uM, 9.8uM, 19.5uM, 39.1uM, 78.1uM, 156.3uM, 312.5uM, 625uM 및 1250uM)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상층액을 제거한 뒤 50% Effective concentration(EC50)를 측정하고자 하는 플레이트에 100TCID50의 O/SKR/Boeun/2017 구제역 바이러스를 접종하였다. 바이러스 접종 1시간 뒤 배지를 교체하고 바이러스 접종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한편, 50% Cytotoxic concentration(CC50)을 측정하고자 하는 플레이트에는 바이러스 접종 없이 배지를 교체하고 24시간 동안 동일하게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층액을 제거한 뒤 CellTiter 96 AQuoeous One Solution (Promega, Madison, WI, USA)을 처리하고 엘라이자 리더기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MTS assay를 실시하였다. 세포 생존률이 50% 감소하거나 CPE로 인한 세포사멸이 50% 감소하는 농도를 측정하여 CC50와 EC50를 측정하였다. Selectivity index(SI)는 CC50/EC50의 비율로 계산하였으며, Selectivity index가 높을수록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제역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Ribavirin)의 경우 양성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Compound CC 50 EC 50 SI (Selectivity index)
Quercetin 927.05±56.56 μM 6.68±0.50 μM 138.79
Ribavirin 879.25±36.98 μM 7.47±0.15 μM 117.67
* CC50 와 EC50값은 평균±표준편차로 표시됨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퀘르세틴은 낮은 세포독성과 우수한 바이러스 억제효과를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퀘르세틴의 selectivity index(SI, CC50/EC50)는 약 138로 구제역 항바이러스제로 잘 알려진 물질인 양성대조군 리바비린(Ribavirin) 보다 높아 구제역 바이러스에 효과 있는 항바이러스제임을 세포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세포에서의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 측정
well 당 1Х104개의 세포 밀도로 LFBK 세포를 96 well 플레이트에 배양한 후, 다음날 퀘르세틴을 각각의 농도별로(19.5uM, 78.1uM, 312.5uM, 625uM 및 1250uM)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교체하고 100 TCID50의 O/SKR/Boeun/2017 구제역 바이러스를 1시간 동안 감염시키고 배지를 교체하였다. 48 시간 후 상층액을 수거하여 바이러스 RNA를 추출하였고(the MagNA Pure 96 automation system(Roche, Basel, Switzerland), MagNA Pure 96 DNA and Viral NA Small Volume Kit(Roche, Basel, Switzerland)), 이어서, 실시간 RT-PCR을 종래의 방법으로 수행하여(Kim SM, Lee KN, Lee SJ, Ko YJ, Lee HS, Kweon CH, Kim HS, Park JH. 2010. Multiple shRNAs driven by U6 and CMV promoter enhances efficiency of antiviral effects against foot-and-mouth disease virus. Antiviral Res 87:307-17.), 구제역 유전자의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차이는 un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P<0.01).
구체적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퀘르세틴은 용량 의존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리바비린에 비하여 같은 농도에서 더 우수한 바이러스 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실시예 3. 마우스에서의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 효과 측정
동물에서의 퀘르세틴의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우스 접종 시험에는 베트남에서 도입한 시료를 이용하여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분리 후 마우스에 적응시킨 구제역 바이러스 O/VIT/2013 (Genbank accession no. KY492067)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7주령의 C57BL/6 암컷 마우스에 그룹당 5 마리씩, 마리당 50mg/kg 또는 25mg/kg 용량의 퀘르세틴 또는 동일 용량의 리바비린(양성대조군) 또는 PBS 100μl를 복강접종(intraperitoneal injection)하였다. 퀘르세틴, 리바비린 또는 PBS의 접종은 공격접종 16시간 전에 실시하였다. 공격접종을 위해 250 LD50의 O/VIT/2013 바이러스를 복강접종 하였고, 7일간 마우스의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A)는 퀘르세틴 또는 리바비린을 50mg/kg 용량 사용했을 때 마우스 생존률을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퀘르세틴 또는 리바비린을 25mg/kg 용량 사용했을 때 마우스 생존률을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퀘르세틴의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효과는 접종 16시간만에 나타나 퀘르세틴으로 매우 신속한 방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퀘르세틴 및 리바비린 50mg/kg의 용량을 사용했을 때 100%의 마우스 생존률을 확인하였으며(도 2의 (A)), 용량을 절반으로 줄인 25mg/kg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7일차를 기준으로 양성대조군인 리바비린은 40%의 생존률을 나타낸 반면, 퀘르세틴은 80%의 생존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의 (B)). 따라서, 마우스 공격접종 실험에서도 퀘르세틴은 양성대조인 리바비린보다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마우스에서의 방어효과 지속시간 시험
퀘르세틴의 단독 효과 지속시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7주령의 C57BL/6 암컷 마우스에 그룹당 5 마리씩, 마리당 50mg/kg 용량의 퀘르세틴 또는 PBS 100μl를 복강접종(intraperitoneal injection) 하였다(도 3의 (A)).
한편, 구제역 상용 백신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오일 아쥬반트 ISA 206(Seppic, France)을 퀘르세틴에 섞어 접종하였을 때 구제역 바이러스의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마우스 실험을 수행하였다(도 3의 (B)). 구체적으로, 마리당 50mg/kg 용량의 퀘르세틴과 ISA 206 오일 아쥬반트의 혼합물 또는 ISA 206 오일 아쥬반트를 근육접종(intramuscular injection) 하였다.
퀘르세틴, 퀘르세틴과 ISA 206 혼합물, PBS의 접종은 공격접종 1일, 또는 3일 또는 5일 전에 실시하였다. 공격접종을 위해 250 LD50의 O/VIT/2013 바이러스를 복강접종하였고, 7일간 마우스의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퀘르세틴을 단독으로 접종 시, 접종 1일에서 3일까지 100% 생존률(공격접종 7일째 기준)을 나타내다가 접종 5일째 하락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접종 5일째 음성대조(PBS)가 모두 폐사한 것과는 달리 퀘르세틴 단독 접종 시 40%의 생존률을 보여주었으므로,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효과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퀘르세틴을 구제역 불활화 백신에 사용되는 ISA 206 오일 아쥬반트와 혼합하여 근육으로 접종하였을 때 역시, 접종 1일에서 3일까지 100%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접종 5일째는 생존률이 하락하였으나, ISA 206만 접종한 그룹이 모두 폐사한 것과 달리(0%), 퀘르세틴+ISA 206 그룹은 40%의 생존률을 나타내 방어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구제역 백신에 사용하는 오일 아쥬반트와 섞어 백신과 동일한 루트로 접종(근육 접종, IM)하였을 때도 항바이러스 효과가 방해 받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분자도킹 모델(Molecular docking Model)
구제역 A10(61) 바이러스(PDB 2WVS)의 3C protease 구조모델(PDB no.2WV5)과 퀘르세틴의 3D 구조(CID no. 5280343)의 결합을 예측하기 위해 AUTODOCK Vin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rott O, Olson AJ. 2010. AutoDock Vina: improving the speed and accuracy of docking with a new scoring function, efficient optimization, and multithreading. J Comput Chem 31:455-61.). 3C protease 와 퀘르세틴 간의 수소결합은 Pymol molecular graphics system(Version 2.3.4, Schrodinger LLC, New York, NY,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A)는 Molecular docking model에서 구제역 3C protease 와 퀘르세틴(형광연두색 스틱)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4의 (B)는 퀘르세틴과 3C protease의 수소결합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빨간색 점선이 수소결합을 나타낸다.
그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퀘르세틴과 구제역 3C protease 단백질은 결합모델에서 성공적으로 결합함을 확인하였고, 더 자세하게는 3C protease 의 75번 Lys, 104번 Arg, 136번 Tyr과 수소결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퀘르세틴도 다른 Picornavirus와 마찬가지로 3C protease의 inhibitor로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세포에서의 인터페론 알파 유도 효과 측정
LFBK 세포를 24 well 플레이트에 깔아 배양한 후, 다음날 312.5μM 농도의 퀘르세틴을 처리하였다. 처리 24시간 후 배지를 교체하고, 다시 24시간(처리 48시간) 또는 48시간(처리 72시간) 후 상층액을 각각 수거하였다. 수거된 상층액의 돼지 인터페론 알파 단백질을 Pig IFN-α ELISA kit(PBL assay science, NJ, U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통계학적 차이는 un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1).
구체적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퀘르세틴은 돼지세포에서 인터페론 알파 단백질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인터페론 알파에 매우 민감한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퀘르세틴이 3C protease를 억제하는 효과와 더불어 인터페론 알파를 유도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구제역 바이러스를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마우스에서의 사이토카인 유도 효과 측정
7주령 BALB/c 마우스에 50mg/Kg 용량의 퀘르세틴을 복강으로 접종(Intraperitoneal injection)하였다. 접종 0,6,16,24 시간 후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mouse IFN-α ELISA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 mouse IFN-γ ELISA kit(Mybiosource, San Diego, CA, USA), mouse IL-12 ELISA kit(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혈액 내 사이토카인을 정량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퀘르세틴을 마우스에 접종하였을 때, 세포에서 확인되었던 인터페론 알파(IFN-α) 뿐만이 아니라, 인터페론 감마(IFN-γ), IL-12 가 유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Type I 인터페론인 IFN-α와 Type II 인터페론인 IFN-γ는 구제역 항바이러스효과가 우수한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IL-12 역시 IFN-γ 생성을 촉진하고 Natural killer(NK) cell을 활성화함으로써 항바이러스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IFN-α IFN-γ, IL-12는 Th1 세포의 면역에 관여하며 B cell의 분화를 촉진하므로, 이를 통하여 퀘르세틴이 아쥬반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마우스에서의 불활화 시험백신과 혼합 접종 시 초기 방어 효과 및 중화항체 증가 효과 측정
도 7의 (A)의 경우, 구제역 시험백신과 퀘르세틴의 혼합 접종 시 마우스에서 구제역 바이러스의 신속한 초기 방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7주령 C57BL/6 마우스에 구제역 불활화 시험백신 또는 50mg/Kg 용량의 퀘르세틴과 구제역 불활화 시험백신의 혼합물을 근육 접종(Intramuscular injection)하였다. 구제역 불활화 시험백신에는 0.2μg의 O/SKR/Boeun/2017 구제역 불활화 항원(농림축산검역본부 생산), ISA 206 오일 아쥬반트(Seppic, France) 및 10% Al(OH)3가 포함되어 있다(Lee G, Hwang JH, Park JH, Lee MJ, Kim B, Kim SM. 2020. Vaccine strain of O/ME-SA/Ind-2001e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provides high immunogenicity and broad antigenic coverage. Antiviral Res 182:104920.). 음성대조로는 PBS를 100μl 복강 접종하였다. 구제역 불활화 시험백신, 퀘르세틴과 구제역 불활화 시험백신의 혼합물의 접종은 공격접종 1일 전(1DPV), 3일 전(3DPV) 또는 5일 전(5DPV)에 실시하였고, PBS의 접종은 공격접종 1일전(1DPV)에 실시하였다. 공격접종 후 7일간 마우스의 생존률을 관찰하였다.
도 7의 (B)의 경우, 구제역 시험백신과 퀘르세틴의 혼합 접종 시 마우스에서 항체 증가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에 구제역 불활화 시험백신 또는 50mg/Kg 용량의 퀘르세틴과 구제역 불활화 시험백신의 혼합물을 근육 접종(Intramuscular injection)하였다. 구제역 불활화 시험백신에는 1μg의 O/SKR/Boeun/2017 구제역 불활화 항원(농림축산검역본부 생산), ISA 206 오일 아쥬반트(Seppic, France) 및 10% Al(OH)3가 포함되어 있다. 접종 1,2,3,4주 후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중화항체가를 측정하였다. 중화항체가 측정은 종래의 중화항체가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Manual of diagnostic tests and vaccines for Terrestrial Animals: foot-and-mouth disease, Chapter 3.1.8. Foot-And-Mouth. 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 (OIE), 2018). 통계학적 차이는 un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P<0.005).
구체적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7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구제역 불활화 백신만 단독으로 접종한 경우, 접종 1일 후와 3일 후 공격접종을 실시한 그룹이 모두 폐사한 반면, 백신과 퀘르세틴을 혼합하여 접종한 경우, 접종 1일 후와 3일 후 공격접종을 실시한 그룹이 각각 100%와 80%(공격접종 7일후 기준)의 생존률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접종 5일 후 공격접종한 경우, 구제역 불활화 백신 단독 접종그룹은 20%, 백신과 퀘르세틴 혼합 접종그룹은 60%의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퀘르세틴을 포함한 백신의 우수한 초기방어효과를 동물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도 7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구제역 불활화 백신에 퀘르세틴을 혼합하여 접종한 경우, 백신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중화항체가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중화항체가는 접종 1주부터 4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항체가의 하락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구제역 백신에서의 퀘르세틴의 항체 증강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초기 구제역 방어 및 지속적인 구제역 방어에 매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퀘르세틴은 구제역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백신에 의한 중화항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도록 하는 아쥬반트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퀘르세틴을 구제역 불활화 백신과 병용하였을 때 구제역에 대한 빠르고 지속적인 방어가 가능할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퀘르세틴이 구제역 바이러스의 단백질(3C protease)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인터페론 등 항바이러스와 효과와 아쥬반트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사이토카인들을 유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제역 바이러스는 혈청형 O, A, C, SAT-1, SAT-2, SAT-3 및 Asia-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혈청형을 갖는 바이러스인, 백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퀘르세틴은 구제역 바이러스 증식 억제 및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백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퀘르세틴은 순수 분리되거나 식물에서 추출된 것인, 백신 조성물.
  5.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
  6.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개선용 사료 조성물.
  8. 유효량의 퀘르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아쥬반트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제역 불활화 백신과 함께 투여되는 것인,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구제역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방법.
KR1020210131613A 2021-10-05 2021-10-05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KR20230048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613A KR20230048775A (ko) 2021-10-05 2021-10-05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613A KR20230048775A (ko) 2021-10-05 2021-10-05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775A true KR20230048775A (ko) 2023-04-12

Family

ID=8598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613A KR20230048775A (ko) 2021-10-05 2021-10-05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87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470A (ko) 2019-06-18 2020-12-29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세포성, 체액성 면역 반응의 동시 유도 및 광범위한 방어능을 갖는 신규 면역 증강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KR20210097077A (ko) 2019-03-15 2021-08-06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077A (ko) 2019-03-15 2021-08-06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오일 에멀젼과 병용 투여 가능한 면역증강용 보조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KR20200144470A (ko) 2019-06-18 2020-12-29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세포성, 체액성 면역 반응의 동시 유도 및 광범위한 방어능을 갖는 신규 면역 증강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i et al. Human Ebola virus infection in West Africa: a review of available therapeutic agents that target different steps of the life cycle of Ebola virus
KR101780975B1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0655251B1 (ko)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1951003B1 (ko) 누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N113633649A (zh) 瑞德西韦及其核苷的组合制剂在抗猪流行性腹泻病毒中的应用
KR20190070629A (ko) HBD2(human beta-defensin 2) 또는 상기 유전자와 융합된 메르스 코르나 바이러스의 에피토프 단백질을 포함하는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6954B1 (ko) HBD2(human beta-defensin 2) 또는 상기 유전자와 융합된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의 에피토프 단백질을 포함하는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8775A (ko)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제역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KR101770573B1 (ko)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N113491699A (zh) 霉酚酸或含霉酚酸的组合制剂在抗冠状病毒中的应用
KR101782847B1 (ko)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570596B1 (ko) 지구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501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762608B1 (ko)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837445B1 (ko)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951008B1 (ko) 보골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652201B1 (ko) B 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시아노박테리아 바이오매스의 용도
KR20220087653A (ko) 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160112842A (ko)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791036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625620B1 (ko) B형 간염 바이러스 유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항 코로나 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87638B1 (ko) 귀전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640071B1 (ko) 리코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604839B1 (ko) Prrsv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R102641463B1 (ko)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