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849B1 - 시트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849B1
KR102436849B1 KR1020210061079A KR20210061079A KR102436849B1 KR 102436849 B1 KR102436849 B1 KR 102436849B1 KR 1020210061079 A KR1020210061079 A KR 1020210061079A KR 20210061079 A KR20210061079 A KR 20210061079A KR 102436849 B1 KR102436849 B1 KR 10243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bracket
claw
protrusion
la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찬기
이명수
양승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21006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Safety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차량의 가속, 제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시트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록킹상태를 이중으로 강화시키는 시트 래치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래치 장치는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브라켓과 탄성 회동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클로우, 상기 브라켓과 탄성 회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클로우의 외측면에 맞물려 상기 클로우를 록킹시키도록 형성되는 록킹부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부를 향해 연장되며 외부충격에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타단은 변형되면 상기 록킹부의 외측에 돌출된 부분의 회동경로 안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록킹부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시트 래치 장치{SEAT LATCH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시트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에 사용되는 시트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시트 래치 장치는 차량에 사용되는 시트를 차체에 결합된 스트라이커와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제작된 장치이고, 조작편의성과 함께 차량이 접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체결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이 중요하다.
기존의 시트 래치 장치는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 외력에 의한 충돌 상황 또는 차량 내부에 적재된 화물과 시트 사이의 충돌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시트 래치 장치에서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6005호는 차량의 시트 래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6773호는 2중 절첩시트의 록킹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시트 래치 장치의 체결안정성을 개선시키는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6005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6773호
차량의 가속, 제동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시트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록킹상태를 이중으로 강화시키는 시트 래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 래치 장치는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브라켓과 탄성 회동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클로우, 상기 브라켓과 탄성 회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클로우의 외측면에 맞물려 상기 클로우를 록킹시키도록 형성되는 록킹부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부를 향해 연장되며 외부충격에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타단은 변형되면 상기 록킹부의 외측에 돌출된 부분의 회동경로 안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록킹부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일단은 후방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로우와 맞물리는 포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포울의 상부에서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래치 장치는 차량이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제동하거나, 차량에 외력이 전달되는 상황에서 시트 또는 탑승자에게 충격이 가해지면 고정부가 작동되어 시트 및 차량 사이의 체결력을 이중으로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 래치 장치는 판스프링 형태의 고정부를 기존 시트 래치 장치에 부착시키고 포울을 교체하는 작업만으로 이중으로 시트 및 차량 사이의 체결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래치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 및 3은 도 1에 개시된 시트 래치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시트 래치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모식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래치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래치 장치(100)는 브라켓(200), 제1 회동축(300), 제1 스프링(350), 클로우(400), 제2 회동축(550), 록킹부(600), 고정부(800) 및 댐퍼(860)를 포함한다.
시트 래치 장치(100)는 클로우(4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부(60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리면서 스트라이커(20)에 대한 클로우(40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 래치 장치(100)는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록킹부(600)와 일시적으로 맞물리며 결합되는 고정부(800)를 통해 시트를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탑승자의 안전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브라켓(200)은 본체(210) 및 절곡부(220)를 포함한다.
브라켓(200)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스트라이커(20)가 삽입되는 개구부(10)가 형성되며, 차량의 시트 또는 차량의 프레임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본체(210)는 넓은 표면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개구부(10)가 형성되며, 상부 테두리는 상부를 향해 삼각지붕 형태로 돌출된다.
절곡부(220)의 타측은 본체(210)의 상부 테두리에 연결되고,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록킹부(6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회동축(30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통 형태로 연장되고, 브라켓(200)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록킹부(600) 및 브라켓(200)을 관통하여 브라켓(200)과 결합된다.
제1 회동축(300)은 록킹부(600)의 일부분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면의 테두리가 외측을 향해 확장되어 록킹부(600)가 제1 회동축(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회동축(550)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통 형태로 연장되고 제1 회동축(300)의 하부에 이격된 위치에서 클로우(400) 및 브라켓(200)을 관통하여 브라켓(200)과 결합된다.
제2 회동축(550)은 클로우(400)의 일부분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면의 테두리가 외측을 향해 확장되어 클로우(400)가 제2 회동축(5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스프링(350)은 이중토션스프링으로서, 상부에 위치되는 일단은 브라켓(200)의 일측에서 제1 스프링(350)을 주시하는 경우, 록킹부(6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선 연장되어 제1 회동축(300)을 둘러싼다.
제1 스프링(350)의 타단은 제1 회동축(300)의 전방에서 일단부터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선 연장되어 제2 회동축(550)을 둘러싸며, 타단 끝단은 절곡되어 클로우(400)와 결합된다.
따라서, 클로우(400)를 일측에서 주시하는 경우, 클로우(400)는 제2 회동축(550)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1 스프링(350)의 탄성력이 적용된다.
또한, 록킹부(600)를 일측에서 주시하는 경우, 록킹부(600)는 제1 회동축(300)을 축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1 스프링(350)의 탄성력이 적용된다.
클로우(400)는 클로우본체(410), 제1 투스(420), 제2 투스(430) 및 돌출부(440)를 포함한다.
클로우(400)의 일단은 브라켓(200)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 및 상부를 향해 고리 형태로 연장되어 개구부(10)를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클로우본체(410)는 일측 및 타측 표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제2 회동축(55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스프링(350)의 타단과 결합된다.
제1 투스(420)는 개구부(10)의 하부에 해당되는 클로우본체(410)의 후방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개구부(10)의 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스트라이커(20)가 개구부(10)로 진입하거나 개구부(10)에 삽입된 스트라이커(20)가 개구부(10)를 이탈하는 것을 차단시킨다.
제2 투스(430)는 클로우본체(410)의 상부에서 상부 및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절곡부(220) 및 개구부(10)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투스(420, 430)의 사이에는 스트라이커(2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돌출부(440)는 클로우본체(410)의 전방에서 전방 및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고, 제2 투스(430) 및 돌출부(440) 사이에 해당되는 클로우본체(410)의 상부면은 하부를 향해 삼각형 형태로 함몰되어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에는 록킹부(60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제2 투스(430) 및 돌출부(440)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록킹부(600)는 제1 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이 하강되어 제1 투스(420)가 하강되는 것을 제한한다.
록킹부(600)는 회동부재(610), 와셔(615), 포울(620), 핀(630) 및 제2 스프링(640)을 포함한다.
록킹부(600)는 클로우(400)의 상부에서 브라켓(200)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1 회동축(300)과 결합되고, 일부분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클로우(400)의 상부면과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회동부재(610)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210)의 일측에서 후방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 회동축(300)과 결합된다.
와셔(615)는 환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회동부재(610) 및 본체(210) 사이에 배치된다.
핀(630)의 일단은 회동부재(610)의 일측에서 회동부재(610)의 전방에 해당되는 부분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스위치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결합된다.
포울(620)의 일단은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회동부재(610)의 일측에서 제1 회동축(300)과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하부로 분기되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핀(630)의 상하부에 배치된다.
돌출부(625)는 포울(620)의 일단 상부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걸림면(626)은 돌출부(625)의 저면에 형성되어 차량의 가속, 정지 또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며 돌출부(625)와 결합되는 고정부(800)와 밀착된다.
제2 스프링(640)의 일단은 돌출부(440)의 일측에서 제1 스프링(350)의 타단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핀(630)의 타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핀(630)이 상기 스위치의 구동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되면, 포울(620)의 타단이 상기 삽입홈에서 이탈되고, 제1 투스(420)는 제2 스프링(640)의 탄성력 및 제1 스프링(350)의 탄성력으로 하강되어 개구부(10)가 후방공간으로 개방된다.
이때, 제1 투스(420)가 하강되어 개구부(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20)가 개구부(10)로 삽입되고, 제2 투스(430)를 전방 및 상부를 향해 밀어내면, 제2 스프링(640)이 핀(630) 및 포울(620)의 타단을 하강시켜 포울(620)의 타단 하부 일부분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다.
고정부(800)는 탄성부재(810) 및 고정부재(820)를 포함한다.
고정부(800)의 일단은 록킹부(600)의 상부에서 브라켓(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록킹부(600)의 일단 후방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고정부(800)의 타단은 차량 또는 시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반응되고, 일단 및 타단 사이의 경계에 해당되는 부분이 변형되어 타단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탄성 이동된다.
고정부(800)의 타단이 변형되어 전방 및 하부를 향해 이동되면 록킹부(600)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625)와 일시적으로 결합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고정부(800)의 타단이 원위치로 탄성 이동되어 돌출부(625)와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810)의 일단은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포울(620)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절곡부(220)의 저면에 고정부재(820)를 통해 면결합된다.
탄성부재(810)의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 및 하부를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된 후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돌출부(625)의 후방 상부에 해당되는 인접한 위치에 이격 배치된다.
고정부재(820)의 일단은 탄성부재(810)의 일단 저면에 면결합되고, 타단은 탄성부재(810)를 관통하여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절곡부(22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홈(815)은 탄성부재(810)의 타단 상부에 위치되는 사각형 형태의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탄성부재(810)의 타단 상하부 공간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810)의 타단은 차량이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제동하거나, 차량에 외력이 전달되는 상황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탄성 이동되고, 탄성부재(810)의 탄성 이동으로 돌출부(625)가 결합홈(815)으로 삽입되면 탄성부재(810)의 내측면이 걸림면(626)과 밀착된다.
탄성부재(810)의 내측면이 걸림면(626)에 밀착된 상태에서 포울(620)의 일측에서 포울(620)을 주시하는 경우, 포울(620)의 시계 방향쪽 회동이 제한되고, 제1 투스(420)의 하강 역시 제한되므로, 차량이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제동하거나, 차량에 외력이 전달되는 상황에서 스트라이커(20)가 안전하게 개구부(10)에 고정된다.
차량이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제동하거나, 차량에 외력이 전달되는 상황에서 포울(620)의 타단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포울(620)보다 중량이 낮은 탄성부재(810)의 타단이 우선적으로 변형되어 돌출부(625)가 결합홈(815)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차량이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제동하거나, 차량에 외력이 전달되는 상황에서 포울(620)이 회동되기 전에 탄성부재(810)의 타단이 돌출부(625)와 결합되므로,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탄성부재(810)가 효과적으로 포울(620)을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부재(810)는 차량의 급가속에 의한 탑승자의 신체에 의해 시트에 압력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후방을 향해 이동된 후 탄성 변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돌출부(625)와 결합되므로, 다양한 방향에서 차량이나 시트에 가해지는 외력에도 변형되어 시트 및 차량 사이의 체결력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탄성부재의 일단은 포울(620)의 직상방이 아닌 절곡부(22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해당되는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탄성부재의 타단은 일단에서 돌출부(625)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도 4(a)에 개시되는 탄성부재(810)의 타단과 동일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A: 도면미도시)의 일단은 절곡부(220)의 후방 저면에 면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돌출부(625)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타단에는 돌출부(625)가 삽입 가능한 결합홈(81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는 차량이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제동하거나, 차량에 외력이 전달되는 상황에서 타단이 변형되면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815)에 돌출부(625)가 삽입되도록 다양한 구조로 변경시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B: 도면미도시)의 타단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가 아닌 결합홈(815)과 동일한 공간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차량이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제동하거나, 차량에 외력이 전달되는 상황에서 돌출부(625)를 향해 이동되어 돌출부(625)와 일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C: 도면미도시)는 와이어를 통해 제작될 수 있고, 와이어로 제작되는 경우 일단은 고정부재(820)를 통해 절곡부(220)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 끝단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고리 형태로 연장되어 결합홈(815)에 해당되는 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D: 도면미도시)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부(220)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부터 전방 및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경사지게 연장되어 돌출부(625)보다 낮은 수평선상에서 돌출부(625)의 회동경로에 인접한 위치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D)의 타단은 차량이 급출발, 급가속 또는 급제동하거나, 차량에 외력이 전달되는 상황에서 하강되고, 돌출부(625)의 회동경로 안쪽으로 배치되어 돌출부(625)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시트 래치 장치(100)는 차량이나 시트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가속 또는 정지 상태로 인해 시트에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 제2 스프링(640)에 의해 하부로 당겨지는 핀(630)이 포울(620)의 타단 사이의 여유공간에서 상부를 향해 이동되면서 포울(620)을 즉각적으로 회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여유공간에 의해 외력에 의해 포울(620)의 타단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 1차로 방지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강한 외력에 의해 핀(630)이 상승하여 포울(620)의 타단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탄성부재(810)의 타단이 포울(620)의 회동전에 돌출부(625)와 결합되므로 2차로 포울(620)의 회동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댐퍼(860)의 일단은 핀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부(10) 안쪽의 본체(210)와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확장되며 연장되어 본체(210)의 상하부 내측면과 밀착되며, 스트라이커(20) 및 본체(210)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시트 래치 장치 200: 브라켓
300: 제1 회동축 350: 제1 스프링
400: 클로우 550: 제2 회동축
600: 록킹부 800: 고정부
860: 댐퍼

Claims (3)

  1.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고, 상기 브라켓과 탄성 회동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클로우;
    상기 브라켓과 탄성 회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클로우의 외측면에 맞물려 상기 클로우를 록킹시키도록 형성되는 록킹부;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부를 향해 연장되며 외부충격에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타단은 변형되면 상기 록킹부의 외측에 돌출된 부분의 회동경로 안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록킹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래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일단은 후방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로우와 맞물리는 포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래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은 상기 포울의 상부에서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래치 장치.
KR1020210061079A 2021-05-12 2021-05-12 시트 래치 장치 KR10243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079A KR102436849B1 (ko) 2021-05-12 2021-05-12 시트 래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079A KR102436849B1 (ko) 2021-05-12 2021-05-12 시트 래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849B1 true KR102436849B1 (ko) 2022-08-29

Family

ID=8311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079A KR102436849B1 (ko) 2021-05-12 2021-05-12 시트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8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773Y1 (ko) 1996-08-05 1999-06-15 정몽규 2중 절첩시트의 록킹장치
KR20080003897U (ko) * 2007-03-10 2008-09-16 이용선 도어 래치
JP2008221999A (ja) * 2007-03-12 2008-09-2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シートロック装置
KR101755828B1 (ko) * 2015-08-19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KR101826005B1 (ko) 2016-08-31 2018-02-06 주식회사 다스 차량의 시트 래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773Y1 (ko) 1996-08-05 1999-06-15 정몽규 2중 절첩시트의 록킹장치
KR20080003897U (ko) * 2007-03-10 2008-09-16 이용선 도어 래치
JP2008221999A (ja) * 2007-03-12 2008-09-2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シートロック装置
KR101755828B1 (ko) * 2015-08-19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KR101826005B1 (ko) 2016-08-31 2018-02-06 주식회사 다스 차량의 시트 래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9751B2 (en) Apparatus for hood latch of vehicle
JP4131438B2 (ja) 自動車の傾倒可能な背もたれの非鎖錠を通報する表示装置
US8833812B2 (en) Door lock release mechanism for automobile door
US10267067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door having outside handle from opening
WO2007037004A1 (ja) 車両シートのラッチ装置
KR102155213B1 (ko) 자동차용 래치
CN106437355B (zh) 车辆用门把手装置
KR20090062177A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US20110233944A1 (en) Door Lock Assembly With Inertia Lock
CN114109160B (zh) 车门把手组件
JP2016505739A (ja) 自動車ドアラッチ
KR102674394B1 (ko)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0811714B1 (ko)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아웃사이드핸들 구조
US20150167357A1 (en)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in Broadside Collision of Vehicle
KR102436849B1 (ko) 시트 래치 장치
JP594878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5471921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のストッパ構造
KR101542689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US3476430A (en) Vehicle door latch actuator
JP6634236B2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496570Y1 (ko) 시트 래치 장치
KR101595332B1 (ko)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KR20060062052A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래치 해제 방지 구조
KR102018502B1 (ko) 암레스트 개폐용 후크
JP2000110425A (ja) オープナ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