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534B1 -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534B1
KR102436534B1 KR1020170101195A KR20170101195A KR102436534B1 KR 102436534 B1 KR102436534 B1 KR 102436534B1 KR 1020170101195 A KR1020170101195 A KR 1020170101195A KR 20170101195 A KR20170101195 A KR 20170101195A KR 102436534 B1 KR102436534 B1 KR 10243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acuum cleaner
mode
press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795A (ko
Inventor
이선구
임승무
정부문
이기형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534B1/ko
Priority to US16/045,025 priority patent/US11000168B2/en
Priority to AU2018312734A priority patent/AU2018312734B2/en
Priority to EP18843717.2A priority patent/EP3609381A4/en
Priority to PCT/KR2018/008709 priority patent/WO2019031757A1/en
Priority to CN201880043714.7A priority patent/CN110868898B/zh
Publication of KR2019001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진공청소기는, 노멀 모드에서 기설정된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회전하는 모터, 진공청소기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진공청소기의 동작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제 2 스위치, 제 1 스위치가 눌려지면, 진공청소기의 전원이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 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배터리부 및 제 1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진공청소기의 전원이 온되면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를 제어하고,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VACUUM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본 개시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모터의 회전을 통해 만들어진 청소기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청소기 외부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청소기 내부로 빨려 들어오도록 만들어진 청소 기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및 청소기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청소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모드 조작 스위치를 통해 동작 모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동작 모드로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사용자는 청소기 사용 중에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청소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해 2가지 버튼을 모두 이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터보 모드에서 청소기를 사용하다가 노멀 모드로 변경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고, 터보 모드 또는 노멀 모드로 사용 중에 청소기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해서는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동작을 위해, 두 개의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다. 특히, 핸디형, 또는 핸디-스틱형 진공청소기(hand/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와 같이 사용자가 간편하고 손쉽게 청소하기에 적합한 진공청소기의 경우, 제품의 조작 역시 보다 더 간편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진공청소기 사용 중, 하나의 스위치로 진공청소기의 모든 동작 모드를 조작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노멀 모드에서 기설정된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회전하는 모터,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상기 진공청소기의 동작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제 2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이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 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하고,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진공청소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진공청소기와 연결하는 제 3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눌려질 때마다, 상기 제 3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진공청소기가 전원 온 상태 및 전원 오프 상태 사이를 토글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진 시간(time duration)에 따라,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기설정된 RPM보다 높은 RPM으로 회전하는 터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기설정된 시간이상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지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상기 제 2 스위치의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상기 터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터보 모드로 동작 이후 상기 제 2 스위치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의 변환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진공청소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눌려지면 온되고, 눌림이 해제되면 물리적인 스위치이며, 상기 제 3 스위치는, 상기 제 1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및 동작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이 온되면 기설정된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눌려질 때마다, 전원 온 상태 및 전원 오프 상태 사이를 토글링하며,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눌려져 상기 전원 온 상태가 되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진 시간(time duration)에 따라,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기설정된 RPM보다 높은 RPM으로 회전하는 터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기설정된 시간이상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지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상기 제 2 스위치의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상기 터보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보 모드로 동작 중에 상기 제 2 스위치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의 변환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눌려지면 온되고, 눌림이 해제되면 물리적인 스위치이며, 상기 제 3 스위치는, 상기 제 1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진공청소기 사용 중, 하나의 스위치로 진공청소기의 모든 동작 모드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진공청소기 조작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블럭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모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다른 진공청소기의 상세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구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예시도,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모드 변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는 모터(110), 제 1 스위치(120), 제 2 스위치(130), 배터리부(140) 및 제 2 프로세서(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공청소기(100)는 핸디형 또는 핸디-스틱형 진공청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탠드형 진공청소기, 실린더형 진공청소기 등 진공청소기라면 그 종류에 제한없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진공청소기(100)가 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00)는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를 하는 장치이다. 모터(110)는 회전에 따라 진공청소기(100) 내부와 외부 간에 기압 차이를 생성한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110)는 진공청소기(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른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10)는 진공청소기(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모드인 경우 제 1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회전할 수 있고, 터보 모드인 경우 제 1 RPM 보다 높은 제 2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110)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진공청소기(100)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이가 커지므로, 진공청소기(100)는 노멀 모드보다 터보 모드에서 보다 큰 흡입력을 갖게 된다.
이를 위해, 모터(110)는 BLDC(Brushless DC) 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브러시 모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류자에 브러쉬가 접촉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브러쉬 모터와 달리, BLDC 모터는 모터에 브러쉬가 없어 수명이 길고, 마찰열이 적으며, 효율이 높아 소형화에 적합하고, 부하로 인한 회전수 변동이 적어, 진공청소기(100)의 모터(110)로 이용되는데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120)는 진공청소기(100)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제 2 스위치(130)는 진공청소기(100)의 동작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사용자는 제 1 스위치(120)를 조작하여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고, 제 2 스위치(130)를 조작하여 진공청소기의 동작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30)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이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온되고, 눌림이 해제되면 오프될 수 있다. 즉,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30)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동안에만 스위치 양 단이 연결되어 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스위치(120) 또는 제 2 스위치(130)는 택트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리미티드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동안에만 온되는 스위치라면 명칭 여하를 불문하고 종류에 제한 없이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30)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스위치(12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고, 제 2 스위치(130)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부(140)는 진공청소기(100)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부(140)는 진공청소기(10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은, 배터리부(140)가 진공청소기(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배터리부(140)를 진공청소기(100)의 한 구성으로 도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부(140)가 진공청소기(100)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배터리부(140)는 배터리부(1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프로세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프로세서(141)는 배터리부(140)의 전원 레벨을 관리할 수 있으며, 과전류를 감지하여 진공청소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제 1 프로세서(141)는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이를 감지하여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프로세서(141)는 사용자의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질 때마다 전원 온 상태 및 전원 오프 상태를 토글링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1 프로세서(141)는,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온 상태가 되고,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오프 상태가 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프로세서(141)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icro-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 2 프로세서(150)는, 제 1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온되면, 진공청소기(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프로세서(141)에 의해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온된다. 이에 따라, 제 2 프로세서(150)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에 공급되며, 제 2 프로세서(150)는 기설정된 RPM으로 모터(110)가 회전하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 2 스위치(130)의 조작에 따라, 진공청소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모터(1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모드를 말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대기 모드로 변환되면, 모터(1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110)의 구동이 정지된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도 진공청소기(100)는 전원이 온된 상태이므로, 다른 구성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유지된다.
또한, 제 2 프로세서(150)는, 터보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보 모드는 모터(110)가 노멀 모드의 RPM보다 높은 RPM으로 회전하는 모드로서, 터보 모드 동작시 진공청소기(100)는 노멀 모드보다 더 큰 흡입력으로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 모드는 30000 RPM, 터보 모드는 60000 RPM과 같이 터보 모드가 노멀 모드보다 2배의 회전 속도를 갖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시간(time duration)에 따라, 대기 모드 또는 터보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제 2 프로세서(15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icro-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사용한 노멀 모드, 대기 모드, 터보 모드와 같은 용어는 진공청소기(100)가 동작하는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명칭의 일 예에 불과할 뿐, 진공청소기(100) 모드의 명칭이 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예를 들어, 노멀 모드, 대기 모드 및 터보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및 제 3 모드와 같이 서로 구분되어 지칭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더하여, 진공청소기(100)의 전원 온 상태가 온 모드로, 전원 오프 상태가 오프 모드로 지칭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00)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 노멀 모드 및 터보 모드와 같은 세 가지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진공청소기(100)의 동작 모드가 위 세 가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추가적인 다른 동작 모드가 더 부가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00)가 대기 모드 및 노멀 모드와 같은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하나의 스위치 즉, 제 2 스위치(130)만으로 노멀 모드, 터보 보드 및 대기 모드로의 변환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진공청소기 조작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블럭도이다.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부(140)는 진공청소기(10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터리부(140)가 진공청소기(100)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진공청소기(100)는 배터리부(140)와 배터리부(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위와 같이, 배터리부(140)를 제외한 나머지 진공청소기(100)의 구성을 본체(1000)로 표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는 배터리부(140) 및 본체(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140)는 제 1 프로세서(141), 배터리팩(143) 및 제 3 스위치(145)를 포할 수 있다.
배터리 팩(143)은 배터리부(140)가 본체(10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프로세서(141)의 제어에 따라 진공청소기(100')의 본체(10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 팩(143)은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터리부(140)는 배터리 팩(143)과 연결된 충전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AC 전원 등 외부 전원으로부터 배터리 팩(143)을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143)은 납 축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스위치(145)는, 배터리부(140)가 본체(10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프로세서(141)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팩(143)과 본체(100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팩(143)에서 본체(1000)로의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3 스위치(145)는 각종 반도체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스위치(145)는 GTO(Gate Turn-Off thyristor), BJT(Bipolar Junctino Transistor), 각종 FET(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프로세서(141)는 배터리부(140)가 본체(10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00)의 제 1 스위치(120)가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 1 프로세서(141)는 제 1 스위치(120)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제 3 스위치(145)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프로세서(141)는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온된 것을 감지하면, 제 3 스위치(145)를 온시켜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로세서(141)는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온된 것을 감지하면, 제 3 스위치(145)를 오프시켜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체(1000)는 진공청소기(100')에서 배터리부(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으로, 모터(110), 제 1 스위치(120), 제 2 스위치(130), 제 2 프로세서(150), 디스플레이(16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10),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50)에 관한 내용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프로세서(150)에 관한 내용 역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160)는 진공청소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영상, 텍스트 또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60)는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패널과 함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는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대기 모드, 노멀 모드 및 터보 모드와 같은 3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대기 모드, 노멀 모드 및 터보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는, 디스플레이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160)가 3개의 LED(161-1, 161-2, 161-3)로 이루어진 경우, 제 2 프로세서(150)는, 대기 모드에서는 하나의 LED(161-1)만 점등되고, 노멀 모드에서는 두 개의 LED(161-1, 161-2)가 점등되며, 터보 모드에서는 세 개의 LED(161-1, 161-2, 161-3)가 모드 점등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b) 역시 디스플레이(160)가 3개의 LED(163-1, 163-2, 163-3)로 이루어진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6의 (a)의 디스플레이(160)와 달리, LED(163-1)에는 대기 모드(Stanby Mode)를 나타내는 "S"가, LED(163-2)에는 노멀 모드(Normal Mode)를 나타내는 "N"이, 그리고, LED(163-3)에는 터보 모드(Turbo Mode)를 나타내는 "T"가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LED(163-1)가,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LED(163-2)가, 터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LED(163-3)이 각각 점등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LED(163-1, 163-2, 163-3)에 인쇄되어 있는 텍스트가 도 6의 (b)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디스플레이(160)가 도 6의 (c)와 같이, LCD 디스플레이(165)로 구현된 경우, 제 2 프로세서(150)는 "XX 모드 입니다!"와 같은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하여 진공청소기(1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도 6의 (c)는 진공청소기(100')가 현재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프로세서(150)가 진공청소기(1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가령, 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LED에 인쇄되거나 LCD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 1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60) 및 제 2 프로세서(150)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100') 전체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UI 역시 디스플레이(160)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30)의 조작을 감지하여 진공청소기(100')의 동작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프로세서(150)는 제 2 스위치(130)의 온 및 오프를 감지할 수 있고, 제 2 스위치(130)가 온된 시간(time duration)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 2 프로세서(150)는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시점, 눌림이 해제된 시점을 감지할 수 있고,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져 있는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로세서(150)는,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시간에 따라, 진공청소기(100')가 대기 모드 또는 터보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150)는,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눌려지면,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고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는 시점부터, 제 2 스위치(130)에 대한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진공청소기(100')가 터보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의 눌림이 감지되면, 눌림이 유지되는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터보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프로세서(150)는 모터(110)의 회전 속도를 노멀 모드의 회전 속도에서 터보 모드의 회전 속도로 변경하고,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노멀 모드에서 터보 모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진공청소기(100')가 터보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의 눌림이 해제되면,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다시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2 프로세서(150)는 모터(110)의 회전 속도를 터보 모드의 회전 속도에서 노멀 모드의 회전 속도로 변경할 수 있고,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터보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고, 기설정된 시간 내에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의 눌림이 감지되면, 눌림이 유지되는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제 2 스위치(130)의 눌림이 해제되면,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프로세서(150)는 모터(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노멀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진공청소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면,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다시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프로세서(150)는 모터(110)가 노멀 모드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모터(110)를 제어하고,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대기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설정된 시간은 1초 내지 2초 사이의 시간일 수 있으며, 진공청소기(100')의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 중에 모드 변경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진공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프로세서(150)는 진공청소기(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면,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드 변경없이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어 신호를 제 1 프로세서(14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프로세서(141)는 제 3 스위치(145)를 오프시켜 본체(1000)로 공급되는 전체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진공청소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10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프로세서(150)는,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미도시)에 일시 저장하거나 또는 소모 전류를 감지하여 진공청소기(1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모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원숫자(circle number) ① 내지 ⑦은 각 번호끼리 동일한 종류의 동작 모드 변경을 나타낸다.
① 및 ②는 제 1 스위치(120) 조작을 통해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3a에서는 대기 모드, 노멀 모드, 터보 모드가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이 온된 상태이며,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는 오프 모드로 표현하였다.
먼저, 도 3a 내지 도 3c의 ①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스위치(120)를 누르면, 제 1 프로세서(141)는 이를 감지하여,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진 시점에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을 온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프로세서(141)가 제 3 스위치(145)를 온시켜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을 온시킴은 전술한 바와 같다.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이 온되면, 진공청소기(100, 100')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②를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0, 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사용자가 제 1 스위치(120)를 누르면, 제 1 프로세서(141)는 이를 감지하여,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진 시점에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프로세서(141)가 제 3 스위치(145)를 오프시켜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을 오프시킴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공청소기(100, 1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제 1 스위치(120)를 누르면, 제 1 프로세서(141)는 이를 감지하여,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진 시점에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스위치(120)를 이용하여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한편, ③ 및 ④를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0, 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사용자가 제 2 스위치(130)를 t1초 이상 누르면, 사용자가 제 2 스위치(130)를 t1초 이상 누른 상태로 유지한 시점부터 진공청소기(100, 100')는 터보 모드로 동작하고, 사용자가 제 2 스위치(130)를 놓으면, 제 2 스위치(130)를 놓는 시점에 진공청소기(100, 100')는 다시 노멀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⑤를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0, 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사용자가 제 2 스위치(130)를 기설정된 제 1 시간(t1) 미만으로 눌렀다 놓는 경우, 진공청소기(100, 100')는 제 2 스위치(130)를 놓는 시점에 모터(110) 구동을 정지시켜 대기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⑥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0, 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 중에, 사용자가 제 2 스위치(130)를 누르면, 제 2 스위치(130)를 누르는 시점에 진공청소기(100, 100')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를 누르면, 제 2 스위치(130)를 누르는 시점에 진공청소기(100, 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은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제 1 시간(t1) 이상이 되는 경우 일관되게 터보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진공청소기(100, 100') 조작의 일관성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기설정된 제 1 시간(t1)은, 1초 내지 2초 사이의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⑦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0, 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한 후 기설정된 제 2 시간(t2) 동안 아무런 동작이 없는 경우, 진공청소기(100, 100')는 오프 모드로 진입하여 진공청소기(100, 100')의 전체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대기 모드에서도 전력이 소모되므로, 대기 모드 진입 후 기설정된 제 2 시간(t2)동안 아무런 조작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진공청소기(100, 100') 사용 의도가 없는 것으로 보아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없애기 위함이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 2 시간(t2)은 5분 정도의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다른 진공청소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진공청소기(400)는 배터리부(140) 및 본체(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00)는 제 1 모터(110), 제 1 스위치(120), 제 2 스위치(130), 제 2 프로세서(150), LED 디스플레이(160) 및 제 2 모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설명을 생략한다.
배터리부(140)는 제 1 프로세서(141), 배터리팩(143), 제 3 스위치(145) 및 과전류 방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전류 방지부(142)의 경우, 허용 범위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배터리팩(143)에서 나머지 구성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진공청소기(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과전류 방지부(142)는 퓨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배터리 보호 회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 1 모터(110)는 전술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모터(110)와 동일한 구성이다. 한편,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제 1 모터(110)와 제 2 프로세서(150)가 하나의 구성 내지 패키지로 구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터(110)는 BLDC 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BLDC 모터에 제 2 프로세서(150)가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모터(110)와 BLDC 모터가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진공청소기(400)는 실시 예에 따라 제 2 모터(170)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청소기(400)가 핸디형 진공청소기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예에 따라 연장관(410) 및 흡입 노즐(420)과 같은 부재를 진공청소기(400)에 연결하여 스틱형으로 진공청소기(400)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흡입 노즐(420)의 바닥면에는 먼지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하기 위해 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 2 모터(170)는 롤러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2 모터(170)는 브러시 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모터(170) 역시 노멀 모드에서 회전 속도보다 터보 모드에서의 회전 속도가 더 빠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400)의 배터리부(140)는 진공청소기(400)에 탈부착 가능한데, 도 4는 이를 표현하고 있다. 도 4에 따르면, 배터리부(140)가 진공청소기(400)에 부착될 때, 배터리부(140)의 3 단자(147-1 내지 147-3)와 진공청소기(400)의 나머지 구성들(즉, 본체(10000))이 연결된 3 단자(180-1 내지 180-3)가 각각 서로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부(140)의 (+) 단자(147-1)는 본체(1000)의 (+) 단자(180-1)에, 배터리부(140)의 (-) 단자(147-3)는 본체(1000)의 (-) 단자(180-3)에, 그리고, 배터리부(140)의 신호 단자(147-2)는 본체(1000)의 신호 단자(180-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프로세서(110)는 제 1 스위치(120)의 온/오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3 스위치(145)를 제어하여 배터리팩(143)이 공급하는 전원을 진공청소기(400)의 본체(1000)에 공급 내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터리부(140)는 본체(1000)로부터 분리되어 AC 충전기(미도시)를 통해 별도로 충전될 수도 있고, 본체(10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a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100',400)는 손잡이 상부에 제 1 스위치(120)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았을 때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에 제 2 스위치(1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LED 디스플레이(150)가 제품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진공 청소기의 온/오프 및 동작 모드 변경을 할 수 있고, 현재 동작 모드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청소 중에는 한 손만으로도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다.
도 5b는 사용 예에 따라 연장관(410) 및 흡입 노즐(420)이 진공청소기(400)에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400) 내/외부의 기압 차이를 생성하는 제 1 모터(110)는 본체(1000)에 포함되어 있고, 흡입 노즐(420)에 포함된 롤러(미도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모터(170)는 흡입 노즐(420)에 포함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1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전원이 온되면, 기설정된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모터(110)가 회전하는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710).
구체적으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질 때마다, 전원 온 상태 및 전원 오프 상태 사이를 토글링할 수 있으며,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져 전원 온 상태가 되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의 조작에 따라, 모터(1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720).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시간(time duration)에 따라, 대기 모드 또는 모터(110)가 기설정된 RPM보다 높은 RPM으로 회전하는 터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이상 눌려지는 경우,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제 2 스위치(130)의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터보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터보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의 눌림이 해제되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눌림이 해제되면,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대기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대기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의 변환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 1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전원이 온되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하고, 노멀 모드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면 터보 모드로 동작하며, 노멀 모드에서 기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면 대기 모드로 동작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 내지 도 10은 도 3a와 유사한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모드 변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 제 1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른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동작은 도 3a의 예와 동일하다. 즉,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온 상태가 되면서 노멀 모드로 동작하고(810), 전원 온 상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820). 도면에는 노멀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전환되는 예 만을 도시하였지만, 대기 모드 또는 터보 모드에서도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8의 예에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2 스위치(130) 조작에 따른 동작을 도 3a의 예와 달리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지면,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830), 대기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지면, 다시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840).
즉, 도 8의 예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이상 눌려질 때마다, 노멀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를 토글링할 수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t1)이 도래하는 시점에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실시 예에 따라,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진 후,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에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대기 모드로 진입 후 아무런 조작 없이 기설정된 시간(t2)이 경과하면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가 될 수 있다(870).
한편,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으로 눌려지면, 터보 모드로 동작하고(850), 터보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으로 눌려지면, 다시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860).
즉, 도 8의 예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으로 눌려질 때마다, 노멀 모드와 터보 모드 사이를 토글링할 수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t1)이 도래하기 전에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에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모드 변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온 상태가 되면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910), 전원 온 상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920). 즉, 도 9의 예에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1 스위치(120)가 조작될 때마다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를 토글링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 1 스위치(120) 조작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전환되는 예만을 도시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 노멀 모드 또는 터보 모드에서도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대기 모드에서는 모터(11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도 9의 예에서는, 도 3a나 도 8의 예와 달리, 제 1 스위치(120) 조작에 따라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전원이 온되더라도, 모터(110)가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공청소기(100, 100', 400)가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지 또는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에 있는지 사용자가 알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1 스위치(120) 조작에 따라 전원이 온되고,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현재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 실시 예는 도 9의 예에서 보다 큰 의미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대기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지면, 터보 모드로 동작하고(930), 터보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지면, 다시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940). 즉, 도 9의 예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이상 눌려질 때마다, 터보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를 토글링할 수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t1)이 도래하는 시점에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실시 예에 따라,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진 후,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에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대기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으로 눌려지면, 노멀 모드로 전환되고(950),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으로 눌려지면, 다시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960). 즉, 도 9의 예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으로 눌려질 때마다, 노멀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를 토글링할 수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t1)이 도래하기 전에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에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9의 진공청소기(100, 100', 400) 역시 다른 실시 예들과 같이, 대기 모드 상태에서 아무런 조작 없이 기설정된 시간(t2)이 경과하면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970).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도 9의 예에서, 노멀 모드와 터보 모드 사이에서 직접 모드 전환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면, 터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로 동작 중,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t1)이 도래하는 시점 또는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진 후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에 터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터보 모드로 동작 중에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으로 제 2 스위치가 눌려지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터보 모드로 동작 중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t1)이 도래하기 전에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에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모드 변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온 상태가 되면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1010), 전원 온 상태에서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1020). 즉, 도 10의 예에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1 스위치(120)가 조작될 때마다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를 토글링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 1 스위치(120) 조작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전환되는 예(1020)만을 도시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 노멀 모드 또는 터보 모드에서도 제 1 스위치(120)가 눌려지면,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대기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으로 눌려지면, 노멀 모드로 전환되고(1030),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으로 눌려지면, 다시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1040). 이때,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t1)이 도래하기 전에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에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지면, 터보 모드로 동작하고(1050), 터보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지면, 다시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1060). 이때,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후 기설정된 시간(t1)이 도래하는 시점에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시간(t1) 이상 눌려진 후,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에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의 진공청소기(100, 100', 400) 역시 다른 실시 예들과 같이, 대기 모드 상태에서 아무런 조작 없이 기설정된 시간(t2)이 경과하면 전원 오프 상태(오프 모드)가 될 수 있고(1070),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도8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단히 진공청소기(100, 100', 400)를 동작의 주체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제 1 프로세서(141)가 제 1 스위치(12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제 3 스위치(145)를 제어함으로써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고, 제 2 프로세서(150)가 전원 온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3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여 모드 변환을 제어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모드 전환을 트리거하는 이벤트로서,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진 시간(duration)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30)를 누른 횟수 등과 같이 다른 이벤트를 이용하여 모드 전환을 트리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제 2 스위치(130)가 기설정된 제 3 시간(t3) 내에 2회 눌려지는 이벤트를 진공청소기(100, 100', 400)가 노멀 모드와 터보 모드 사이를 토글링하는 이벤트로 이용하고, 제 2 스위치(130)가 1회 눌려지는 이벤트를 진공청소기(100, 100', 400)가 노멀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를 토글링하는 이벤트로 이용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3a의 예에서 진공청소기(100, 100', 400)가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가 1회 눌려지고 기설정된 제 3 시간(t3) 내에 다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면,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터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터보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가 1회 눌려지고 기설정된 제 3시간(t3) 내에 다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가 1회 눌려진 후 다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지 않고, 제 2 스위치(130)가 1회 눌려진 시점부터 기설정된 제 3 시간(t3)이 경과하면, 기설정된 제 3 시간(t3)이 경과하는 시점에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로 동작 중에, 제 2 스위치(130)가 1회 눌려진 후 다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지지 않고, 제 2 스위치(130)가 1회 눌려진 시점부터 기설정된 제 3 시간(t3)이 경과하면, 기설정된 제 3 시간(t3)이 경과하는 시점에 진공청소기(100, 100', 400)는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진공청소기(100, 100', 400)가 온된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질 때마다 모드가 변환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제 1 스위치(120) 조작에 따라 진공청소기(100, 100', 400)가 온되고,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 2 스위치(130)가 눌려질 때마다 노멀 모드(1030), 터보 모드(1050), 노멀 모드(1060), 대기 모드(1040) 순으로 순환하며 모드가 전환되는 실시 예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진공청소기 사용 중에 하나의 스위치로 진공청소기의 모든 동작 모드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진공청소기 조작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프로세들(141, 150)의 동작이나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제어 방법들은 소프트웨어로 생성되어 진공청소기(100, 100', 40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위치(120)의 조작에 따라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전원이 온되면, 기설정된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모터(110)가 회전하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노멀 모드에서 제 2 스위치(130)의 조작에 따라, 모터(1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100, 100', 400)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미들웨어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진공청소기                      110: 모터
120: 제 1 스위치                     130: 제 2 스위치
140: 배터리부                    141: 제 1 프로세서
150: 제 2 프로세서              160: 디스플레이
170: 제 2 모터

Claims (20)

  1.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노멀 모드에서 기설정된 알피엠(Revolution Per Minute, RPM)으로 회전하는 모터;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상기 진공청소기의 동작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제 2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이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 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하고,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눌려지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알피엠(RPM)보다 높은 알피엠(RPM)으로 회전하는 터보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진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에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진공청소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진공청소기와 연결하는 제 3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눌려질 때마다, 상기 제 3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진공청소기가 전원 온 상태 및 전원 오프 상태 사이를 토글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상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지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상기 제 2 스위치의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상기 터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터보 모드로 동작 이후 상기 제 2 스위치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의 변환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진공청소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눌려지면 온되고, 눌림이 해제되면 오프되는 물리적인 스위치이며,
    상기 제 3 스위치는, 상기 제 1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반도체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모터, 전원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및 동작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이 온되면 기설정된 알피엠(Revolution Per Minute, RPM)으로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기설정된 시간이상 눌려지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알피엠(RPM)보다 높은 알피엠(RPM)으로 회전하는 터보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진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내에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눌려질 때마다, 전원 온 상태 및 전원 오프 상태 사이를 토글링하며,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눌려져 상기 전원 온 상태가 되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스위치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상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가 눌려지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상기 제 2 스위치의 눌림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상기 터보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모드로 동작 중에 상기 제 2 스위치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의 변환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눌려지면 온되고, 눌림이 해제되면 오프되는 물리적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70101195A 2017-08-09 2017-08-09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 KR102436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95A KR102436534B1 (ko) 2017-08-09 2017-08-09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
US16/045,025 US11000168B2 (en) 2017-08-09 2018-07-25 Vacuum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U2018312734A AU2018312734B2 (en) 2017-08-09 2018-07-31 Vacuum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EP18843717.2A EP3609381A4 (en) 2017-08-09 2018-07-31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PCT/KR2018/008709 WO2019031757A1 (en) 2017-08-09 2018-07-31 ASPI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ACUUM
CN201880043714.7A CN110868898B (zh) 2017-08-09 2018-07-31 真空吸尘器和真空吸尘器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95A KR102436534B1 (ko) 2017-08-09 2017-08-09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795A KR20190016795A (ko) 2019-02-19
KR102436534B1 true KR102436534B1 (ko) 2022-08-26

Family

ID=6527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195A KR102436534B1 (ko) 2017-08-09 2017-08-09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00168B2 (ko)
EP (1) EP3609381A4 (ko)
KR (1) KR102436534B1 (ko)
CN (1) CN110868898B (ko)
AU (1) AU2018312734B2 (ko)
WO (1) WO2019031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03271A (ja) * 2019-06-26 2021-01-1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
FR3107175B1 (fr) * 2020-02-13 2023-05-12 Seb Sa Aspirateur comprenant une carte électronique équipée de premier et deuxième contac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4130A (zh) * 2012-05-01 2013-11-06 株式会社牧田 流体装置
WO2017040880A1 (en) * 2015-09-02 2017-03-09 Ac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Power tool, battery pack, and combin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510552A (zh) * 2016-11-08 2017-03-2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调速显示装置、调速显示方法和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3746A1 (en) * 1994-04-06 1996-04-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acuum cleaner with independently operating on/off switches on the handle and the motor housing
KR970001919Y1 (ko) 1995-02-08 1997-03-17 대우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전원 및 권선장치 작동버튼 겸용 기구
JP3684864B2 (ja) 1998-10-13 2005-08-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ティック型掃除機
CN206138050U (zh) 2016-06-30 2017-05-03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手持吸尘器
CN105942925B (zh) 2016-06-30 2019-03-2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手持吸尘器
JP4069179B2 (ja) 2003-01-09 2008-04-02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KR101233157B1 (ko) 2005-10-21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바타 표시부를 가지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GB2474176A (en) 2006-07-18 2011-04-06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handle and suction pipe relatively angled
GB2469133B (en) 2009-04-04 2014-04-23 Dyson Technology Ltd Control system for an electric machine
JP5533262B2 (ja) 2010-05-26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5531839B2 (ja) 2010-07-21 2014-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2462451B (zh) 2010-11-10 2015-04-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吸尘器及其操作方法
WO2013117901A1 (en) 2012-02-10 2013-08-15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and a battery pack therefor
KR20150032578A (ko) 2012-07-11 2015-03-26 테난트캄패니 배터리 작동식 청소 장치
CN104414586B (zh) 2013-09-05 2019-08-23 三星电子株式会社 真空吸尘器
DE102014110223A1 (de) 2014-07-21 2016-01-21 Miele & Cie. Kg Staubsauger mit einer Anzeigeeinrichtung und Anzeigeeinrichtung für einen Staubsauger
KR101982142B1 (ko) 2015-05-26 2019-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N105022301A (zh) 2015-08-10 2015-1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器及其待机的电源控制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4130A (zh) * 2012-05-01 2013-11-06 株式会社牧田 流体装置
WO2017040880A1 (en) * 2015-09-02 2017-03-09 Ac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Power tool, battery pack, and combin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510552A (zh) * 2016-11-08 2017-03-2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调速显示装置、调速显示方法和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795A (ko) 2019-02-19
WO2019031757A1 (en) 2019-02-14
CN110868898B (zh) 2023-02-17
AU2018312734B2 (en) 2023-11-09
US11000168B2 (en) 2021-05-11
EP3609381A1 (en) 2020-02-19
AU2018312734A1 (en) 2019-12-12
EP3609381A4 (en) 2020-05-20
US20190045994A1 (en) 2019-02-14
CN110868898A (zh)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636B2 (ja) 掃除機およびその操作方法
KR102436534B1 (ko) 진공청소기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 방법
US20120331312A1 (en) Usb charging circuit for a computer
JP5959993B2 (ja) 充電式ファン装置
JP6544008B2 (ja) 電気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233056A (ja) 流体装置
TWI358879B (en) Bulti-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e
WO2021004120A1 (zh) 一种基于个人电子用品的多点触摸开关控制装置及方法
TW201321955A (zh) 電源控制裝置及電子裝置
CN112072746B (zh) 工具主机内置电池组的复位电路系统
JP3231822U (ja) 屋外携帯扇風機
TW201324066A (zh) 電機控制電路及具有該電機控制電路的鍵盤
TW201428472A (zh) 電子裝置以及電源管理方法
CN102588314A (zh) 一种电风扇
US20220190612A1 (en) Multi-Port Charger and Battery Pack Multi-Port Charger Set
US20050231162A1 (en) Mobile work robot
CN210466706U (zh) 一种遥控器电源的控制装置、遥控器
CN211796212U (zh) 一种吸尘器
CN210431382U (zh) 一种基于个人电子用品的多点触摸开关控制装置
CN203941524U (zh) 一键同时开关触控电视与计算机的装置
TW201301013A (zh) 電子裝置
CN207781454U (zh) 扫地机器人
CN213069775U (zh) 一种用于铝机的4.3寸触摸屏控制器
CN202058990U (zh) 插座电源控制装置
CN206282104U (zh) 一种多功能节能电源开关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