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051B1 -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051B1
KR102436051B1 KR1020200148187A KR20200148187A KR102436051B1 KR 102436051 B1 KR102436051 B1 KR 102436051B1 KR 1020200148187 A KR1020200148187 A KR 1020200148187A KR 20200148187 A KR20200148187 A KR 20200148187A KR 102436051 B1 KR102436051 B1 KR 102436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easurement object
lens
disposed
ligh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3767A (ko
Inventor
김대근
류인건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0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52Optical details of the image generation
    • G02B21/0076Optical details of the image generation arrangements using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27Systems for changing the beam intensity distribution, e.g. Gaussian to top-ha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02B27/0955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다방향/다경로로 빛을 조사하여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측정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측정 대상체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다경로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분할광을 형성하는 렌즈렛 어레이와, 상기 렌즈렛 어레이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분할광을 복수개의 평행광으로 변환하되, 변환된 상기 복수개의 평행광 각각이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되는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도록 변환시키는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평행광을 제1 두께의 제1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이트 시트를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2 렌즈유닛과,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된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Light sheet fluorescence microscopy with multiple light sheets and its operating method }
본 발명은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다방향/다경로로 빛을 조사하여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살아있는 생물학적 표본을위한 대표적인 3차원 마이크로 이미징 기술은 공 초점 현미경, 다광자 여기 현미경이며, 이와 같은 현미경은 레이저 스캐닝 특성으로 인해 생물학적 표본의 형광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긴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LSFM)이 개발되었으며,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은 레이저 스캐닝없이 단일 광 시트를 측정 대상체에 조사하고, 조명 방향과 수직위치에 배치된 영상장치가 측정 대상체를 촬영함으로써 고속으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은 얇은 광 시트를 생체 시료를 조사하기 때문에 우수한 광학적 단면, 높은 광학 해상도 및 양질의 투과 깊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적용은 다양한 생물 및 생물 의학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두꺼운 생물학적 조직에서 지질을 제거하는 방법인 광학 클리어링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투과 깊이를 활용한 고속 3D 현미경 영상 획득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은 반투명 생체 시료의 영상을 획득 할 때, 시료 내부에 배치되는 파티클에 의해 산란 입자가 빛의 진행을 차단하기 때문에 그림자와 같은 줄무늬 아티팩트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영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918호 (발명의 명칭 : 선택적 평면 조사 현미경을 이용한 나노 물질 위해성 평가 방법, 공고일: 2015년 07월 13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다방향/다경로로 빛을 조사하여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정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측정 대상체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다경로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분할광을 형성하는 렌즈렛 어레이와, 상기 렌즈렛 어레이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분할광을 복수개의 평행광으로 변환하되, 변환된 상기 복수개의 평행광 각각이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되는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도록 변환시키는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평행광을 제1 두께의 제1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이트 시트를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2 렌즈유닛과,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된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유닛은 실린드리컬 렌즈(Cylindrical Lens)와, 스캔 렌즈(Scan Lens)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유닛은 튜브렌즈(Tube Lens)와 제1 대물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와 상기 렌즈렛 어레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빔 익스펜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단계와, 상기 측정 대상체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된 렌즈렛 어레이가 상기 광을 다경로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분할광을 형성하는 분할광 형성단계와, 상기 렌즈렛 어레이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는 콜리메이션 렌즈가 복수개의 상기 분할광을 복수개의 평행광으로 변환하되, 변환된 상기 복수개의 평행광 각각이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되는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도록 변환시키는 제1 변환단계와,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렌즈유닛이 상기 평행광을 제1 두께의 제1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2 변환단계와, 상기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렌즈유닛이 상기 제1 라이트 시트를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3 변환단계와, 카메라가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된 광을 촬영하는 촬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광 조사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광원부와 상기 렌즈렛 어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빔 익스펜더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광 확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다방향/다경로로 빛을 조사하여 줄무늬 아티팩트의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광의 변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을 촬영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에서 제2 라이트 시트의 갯수를 기준으로 광의 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에서 제2 라이트 시트의 갯수에 따른 해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체시료를 촬영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운용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광의 변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은 광원부(100), 빔 익스펜더(200), 렌즈렛 어레이(300), 콜리메이션 렌즈(400), 제1 렌즈유닛(500) 및 제2 렌즈유닛(600), 제2 대물렌즈(700), 이미징 렌즈(800) 및 카메라(90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100)는 상기 측정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며, 상기 빔 익스펜더(200)는 상기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의 직경을 확장시킨다. 이때, 상기 광원부(100)와 상기 빔 익스펜더(200) 사이에는 상기 광원부(100)로부터 상기 빔 익스펜더(200)로 광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러(M)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렛 어레이(300)는 동일한 피치를 가지는 복수개의 분할렌즈(310)들이 어레이되며, 각각의 상기 분할렌즈(310)에 의하여 상기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다경로로 분할되어 분할광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할렌즈(310)의 피치에 따라 상기 분할광의 직경이 조절되며, 상기 분할렌즈(310)의 개수에 따라 상기 분할광의 개수가 조절된다.
즉, 상기 분할렌즈(310)가 2개인 경우, 상기 광은 2개의 분할광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렌즈(310)가 6개인 경우, 상기 광은 6개의 분할광으로 분할된다.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분할광 각각을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되는 각도가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도록 행광으로 변환한다.
즉,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400)에 의하여 상기 분할광 각각은 서로 다른 각도의 광 경로로 진행된다.
상기 제1 렌즈유닛(500)은 상기 평행광을 한쪽방향으로 매우 작은 단축을 가지며, 상기 측정 대상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는 제1 두께의 제1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며, 상기 제1 렌즈유닛(500)은 실린드리컬 렌즈(510, Cylindrical Lens)와, 스캔 렌즈(520, Scan Lens)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렌즈유닛(600)은 상기 제1 렌즈유닛(500)과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이트 시트를 회절한계이며, 상기 측정 대상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고,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렌즈유닛(600)은 튜브렌즈(610)와 제1 대물렌즈(620)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측정 대상체에는 상기 측정 대상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2 라이트 시트가 조사되며, 이때, 복수개의 제2 라이트 시트는 상기 측정 대상체에 동시에 조사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제2 라이트 시트 평면이 겹쳐지도록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된다.
상기 카메라(900)는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된 상기 제2 라이트 시트를 촬영하되, 상기 광이 이동하는 방향의 수직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라이트 시트의 평면영역을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대물렌즈(700)와 상기 이미징 렌즈(800)는 상기 측정 대상체와 상기 카메라(9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라이트 시트의 형광신호가 상기 제2 대물렌즈(700)를 거쳐 상기 이미징 렌즈(800)를 통해 상기 카메라(900)에 형광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 촬영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에서 제2 라이트 시트의 갯수를 기준으로 광의 강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되는 상기 제2 라이트 시트의 개수에 따른 해상도 및 광의 강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측정 대상물은 입자가 섞인 유리이며, 상기 측정 대상물에 조사된 상기 제2 라이트 시트의 개수는 각각 1개, 3개, 5개, 7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대상물에 조사된 상기 제2 라이트 시트의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입자에 의하여 제2 라이트 시트의 진행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줄무늬 아티팩트의 음영이 얕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표시된 강도 측정 위치(intensity measurenment location)의 광 강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대상물에 조사된 상기 제2 라이트 시트의 개수가 많을수록 광 강도가 높은 특징을 나타낸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라이트 시트의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측정 대상물에 입사되는 상기 제2 라이트 시트의 입사각이 다양해지므로, 측정 해상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에서 분할광의 갯수에 따른 해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측정 대상물에 입사된 상기 제2 라이트 시트가 1개일 때이며, 기존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의미하고, B는 측정 대상물에 입사된 상기 제2 라이트 시트가 3개일 때고, C는 측정 대상물에 입사된 상기 제2 라이트 시트가 5개일 때이며, D는 측정 대상물에 입사된 상기 제2 라이트 시트가 7개일 때고, E는 가우스 피팅 강도 파일이며, 해상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반치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과 비교하였으며, E는 기존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과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해상도를 비교한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는 줄무늬 아티팩트를 제거하기 위해 측정 대상물에 조사되는 라이트 시트(상기 제2 라이트 시트)가 추가됨에 따라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강도, 우수한 광학 단면 및 높은 광학 해상도가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마이크로 형광 구의 이미지를 획득 한 후 해상도를 분석 하였다.
횡방향 해상도의 경우, 마이크로 형광 구 이미지의 가장자리에 대한 강도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시트의 수를 늘린 결과와 종래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해상도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축방향 해상도의 경우, 마이크로 형광 구 (1μm 단위)를 이동하여 스택 이미지를 얻었으며 강도 변화에 대한 가우스 피팅(Gaussian fitting)의 축 분해능을 반치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과 비교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축 분해능도 종래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비교하여 측면 분해능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광학 해상도의 저하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체시료를 촬영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염색된 쥐의 신장을 촬영한 이미지로, 도 6의 A는 종래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이 7개의 상기 제2 라이트 시트가 조사된 생체시료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또한, 도 7은 염색된 쥐의 뇌 세포를 촬영한 이미지로, 도 7의 A는 종래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이 3개의 상기 제2 라이트 시트가 조사된 생체시료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이 촬영한 이미지의 줄무늬 아티팩트가 완화될 뿐만 아니라, 높은 해상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은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측정 대상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측정 대상물에 조사되는 상기 제2 라이트 시트가 입사되는 영역을 변경시킴으로써 다른 각도에서 측정 대상물에 광을 조사하여 측정 대상물의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운용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운용방법은 광 조사단계(S100), 광 확장단계, 분할광 형성단계(S200), 제1 변환단계(S300), 제2 변환단계(S400), 제3 변환단계(S500) 및 촬영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광 조사단계(S100)에서는 측정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며, 상기 광 확장단계에서는 상기 빔 익스펜더(200)가 상기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의 직경을 확장시킨다.
상기 분할광 형성단계(S200)에서는 상기 렌즈렛 어레이(300)가 상기 광을 다경로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분할광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변환단계(S300)에서는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400)가 복수개의 상기 분할광 각각을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되는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는 복수개의 평행광으로 변환한다.
상기 제2 변환단계(S400)에서는 상기 제1 렌즈유닛(500)이 상기 평행광을 제1 두께의 제1 라이트 시트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제3 변환단계(S500)에서 상기 제2 렌즈유닛(600)이 상기 제1 라이트 시트를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하여, 상기 제2 라이트 시트는 상기 측정 대상물에 조사된다.
상기 촬영단계(S600)에서는 상기 카메라(900)가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된 광을 촬영한다.
이외,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운용방법의 상세 설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설명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광원부
200: 빔 익스펜더
300: 렌즈렛 어레이
310: 분할렌즈
400: 콜리메이션 렌즈
500: 제1 렌즈유닛
510: 실린드리컬 렌즈
520: 스캔 렌즈
600: 제2 렌즈유닛
610: 튜브렌즈
620: 제1 대물렌즈
700: 제2 대물렌즈
800: 이미징 렌즈
900: 카메라

Claims (5)

  1. 측정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측정 대상체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다경로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분할광을 형성하는 렌즈렛 어레이;
    상기 렌즈렛 어레이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분할광을 복수개의 평행광으로 변환하되, 변환된 상기 복수개의 평행광 각각이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되는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도록 변환시키는 콜리메이션 렌즈;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평행광을 제1 두께의 제1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1 렌즈유닛;
    상기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이트 시트를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2 렌즈유닛; 및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된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유닛은 실린드리컬 렌즈(Cylindrical Lens)와, 스캔 렌즈(Scan Lens)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유닛은 튜브렌즈(Tube Lens)와 제1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렌즈렛 어레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빔 익스펜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4. 측정 대상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단계;
    상기 측정 대상체와 광원부 사이에 배치된 렌즈렛 어레이가 상기 광을 다경로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분할광을 형성하는 분할광 형성단계;
    상기 렌즈렛 어레이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는 콜리메이션 렌즈가 복수개의 상기 분할광을 복수개의 평행광으로 변환하되, 변환된 상기 복수개의 평행광 각각이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되는 서로 다른 입사각을 가지도록 변환시키는 제1 변환단계;
    상기 콜리메이션 렌즈와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렌즈유닛이 상기 평행광을 제1 두께의 제1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2 변환단계;
    상기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측정 대상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렌즈유닛이 상기 제1 라이트 시트를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의 제2 라이트 시트로 변환하는 제3 변환단계; 및
    카메라가 상기 측정 대상체에 조사된 광을 촬영하는 촬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운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광원부와 상기 렌즈렛 어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빔 익스펜더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광 확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의 운용방법.
KR1020200148187A 2020-11-08 2020-11-08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436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87A KR102436051B1 (ko) 2020-11-08 2020-11-08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87A KR102436051B1 (ko) 2020-11-08 2020-11-08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767A KR20220063767A (ko) 2022-05-18
KR102436051B1 true KR102436051B1 (ko) 2022-08-24

Family

ID=8180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87A KR102436051B1 (ko) 2020-11-08 2020-11-08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0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414B1 (ko) 2002-09-30 2007-05-23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공초점 현미경,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한 형광 측정 방법 및편광 측정 방법
JP2007271529A (ja) 2006-03-31 2007-10-18 Soma Kougaku:Kk 顕微蛍光観測装置
JP2016206212A (ja) 2015-04-15 2016-1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シート照明顕微鏡
US20180292321A1 (en) 2015-05-01 2018-10-11 Reto P. FIOLKA Uniform and scalable light-sheets generated by extended focusing
JP2019045783A (ja) 2017-09-06 2019-03-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ライトシート顕微鏡
US20200284729A1 (en) 2019-03-08 2020-09-10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Epi-cone shell light-sheet super-resolution system and microscop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6632B2 (ja) * 1997-05-14 2006-08-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走査型顕微鏡
KR101535918B1 (ko) 2011-05-11 2015-07-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평면 조사 현미경을 이용한 나노 물질 위해성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414B1 (ko) 2002-09-30 2007-05-23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공초점 현미경,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한 형광 측정 방법 및편광 측정 방법
JP2007271529A (ja) 2006-03-31 2007-10-18 Soma Kougaku:Kk 顕微蛍光観測装置
JP2016206212A (ja) 2015-04-15 2016-1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シート照明顕微鏡
US20180292321A1 (en) 2015-05-01 2018-10-11 Reto P. FIOLKA Uniform and scalable light-sheets generated by extended focusing
JP2019045783A (ja) 2017-09-06 2019-03-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ライトシート顕微鏡
US20200284729A1 (en) 2019-03-08 2020-09-10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Epi-cone shell light-sheet super-resolution system and micr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767A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8649A1 (en) Single plane illumination microscope
JP6086366B2 (ja) 顕微鏡、焦準器具、流体保持器具、及び光学ユニット
JP6934856B2 (ja) 複数の対象面を同時にイメージングする光シート顕微鏡
JP6166776B2 (ja) 拡張ボリュームの高分解能イメージング
US10007100B2 (en) Light sheet illumination microscope and light sheet illumination method
JP6035018B2 (ja) 連続的な光シートを用いるspim顕微鏡
CN103308496B (zh) 一种新型的超高分辨光电融合显微成像系统
US8472113B2 (en) Scanning microscope and method for light-microscopic imaging of an object
JP2021165851A (ja) ライトシート顕微鏡法のための構成及び方法
US10191263B2 (en) Scanning microscopy system
JP2017167535A (ja) ライトフィールド顕微鏡および照明方法
CN108072970A (zh) 光镊光片显微成像装置和方法
WO2013176549A1 (en) Optical apparatus for multiple points of view three-dimensional microscopy and method
JP2006275964A (ja) 走査型蛍光顕微鏡の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
JP2016091006A (ja) シート照明顕微鏡、及び、シート照明方法
JP6928757B2 (ja) 光学顕微鏡における画像処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36051B1 (ko) 다방향 광조사를 이용한 라이트 시트 형광 현미경 및 이의 운용방법
CN113075174A (zh) 一种斜置上顶式静态贝塞尔光片成像系统
US102110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xial scanning based on static phase masks
CN113296253B (zh) 多光片光场荧光显微成像装置
US20240175798A1 (en) Microscopic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301684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view episcopic selective plane illumination microscope
WO2023034780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a multi-spectral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e
JP2016114896A (ja) 照明光学系、顕微鏡、画像処理装置、顕微鏡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