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601B1 - 커넥터 장치 및 기판 실장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및 기판 실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601B1
KR102435601B1 KR1020200030216A KR20200030216A KR102435601B1 KR 102435601 B1 KR102435601 B1 KR 102435601B1 KR 1020200030216 A KR1020200030216 A KR 1020200030216A KR 20200030216 A KR20200030216 A KR 20200030216A KR 102435601 B1 KR102435601 B1 KR 10243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
sub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142A (ko
Inventor
겐타로 마키
다카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soldering or welding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기판 실장을 생력화하면서 단자의 변형을 억제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장치 (2) 는, 기판 (6) 상의 제 1 커넥터 (10) 에 접속하는 제 2 커넥터 (30) 를 구비하였다. 제 1 커넥터 (10) 는, 제 1 하우징 (11) 에 지지된 제 1 단자 (21) 와, 제 1 하우징 (11) 에 형성된 제 1 서브 로크부·제 1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제 2 커넥터 (30) 는, 제 2 하우징 (31) 에 지지된 제 2 단자 (41) 와, 제 2 하우징 (31) 에 형성된 제 2 서브 로크부·제 2 메인 로크부를 포함한다. 제 2 커넥터 (30) 는, 제 1 및 제 2 서브 로크부를 걸어 맞춘 프리셋 위치 (P1) 와, 제 1 및 제 2 메인 로크부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제 2 커넥터 (30) 가 프리셋 위치 (P1) 에 있으면 단자 (21, 41) 끼리는 서로 이간되고, 제 2 커넥터 (30) 가 세트 위치에 있으면 단자 (21, 41) 끼리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 및 기판 실장 방법{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 BOARD}
본 발명은, 커넥터 장치 및 기판 실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HF 신호 전송 접속용의 기판 대 기판용 커넥터는, 제 1 회로 기판에 체결하기 위한 제 1 접속편과, 제 2 회로 기판에 체결하기 위한 제 2 접속편과, 제 1 접속편과 제 2 접속편을 접속하는 중간편을 포함하고 있었다. 제 1 접속편은 납땜에 의해 제 1 회로 기판에 체결되고, 제 2 접속편은 납땜에 의해 제 2 회로 기판에 체결되어 있었다. 2 개의 접속편이 2 개의 회로 기판에 체결된 후, 중간편이 제 2 접속편에 접속되어 있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8-534733호
상기한 기판 대 기판용 커넥터에서는, 제 2 접속편을 제 2 회로 기판에 납땜하는 스텝과, 중간편을 제 2 접속편에 접속하는 스텝을 따로 따로 실시할 필요가 있고, 제 2 접속편 및 중간편을 제 2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작업에 수고와 시간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만일, 미리 중간편을 제 2 접속편에 접속하고, 그 제 2 접속편을 제 2 회로 기판에 납땜할 수 있으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간편과 제 2 접속편이 접속되면, 서로의 금속 단자는 탄성 변형되어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아) 접촉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납땜을 위해서 가열하면, 열응력에 의해 금속 단자에 굴곡이나 휨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금속 단자의 굴곡이나 휨 등은 가열 후에도 잔존하기 때문에, 서로의 금속 단자의 접촉압이 바뀌고,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판 실장을 생력화하면서 단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 및 기판 실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커넥터 장치는, 기판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지지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단자에 접촉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의 어느 일방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춰지는 제 2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로크부를 걸어 맞춘 프리셋 위치와,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와 상기 제 2 로크부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또한 상기 프리셋 위치와 상기 세트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서로 이간되고, 또는 서로 선단끼리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커넥터 장치는, 기판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지지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단자에 접촉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로크부와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를 걸어 맞춘 프리셋 위치와, 상기 제 1 로크부와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또한 상기 프리셋 위치와 상기 세트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서로 이간되고, 또는 서로 선단끼리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 커넥터 장치는, 기판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지지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단자에 접촉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를 걸어 맞추고, 또한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와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 프리셋 위치와,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고, 또한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와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프리셋 위치와 상기 세트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서로 이간되고, 또는 서로 선단끼리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한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 2 커넥터가 프리셋 위치와 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커넥터가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됨으로써,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탄성 변형되지 않고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지 않고), 제 2 커넥터가 세트 위치에서 유지됨으로써,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탄성 변형되어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아)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미리 제 2 커넥터를 프리셋 위치에 유지시킨 제 1 커넥터를 기판에 납땜할 수 있다. 이로써, 접촉 부하를 받고 있지 않은 각 단자를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접촉 부하를 받은 각 단자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고, 부하를 부여하면서 가열한 각 단자에 발생하는 굴곡이나 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커넥터 장치를 납땜한 후에, 제 2 커넥터를 이동시켜 제 2 단자를 제 1 단자에 정상적인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 1 커넥터를 기판에 납땜하는 공정과,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공정을 따로 따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 장치의 기판 실장에 드는 수고와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요컨대, 커넥터 장치의 기판 실장을 생력화하면서 각 단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커넥터 장치는, 상기한 제 3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서브 로크 홈과, 상기 서브 로크 홈의 접속 방향의 상류측에 돌출 형성된 서브 로크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는, 접속 방향의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서브 로크 아암과, 상기 서브 로크 아암의 접속 방향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 로크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서브 로크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서브 로크 클로는, 접속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서브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서브 로크 클로는, 상기 서브 로크 볼록부로부터 접속 방향의 하류측으로 이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5 커넥터 장치는, 상기한 제 3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서브 로크 홈과, 상기 서브 로크 홈의 접속 방향의 하류측으로 돌출 형성된 서브 로크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는, 접속 방향의 하류에서 상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서브 로크 아암과, 상기 서브 로크 아암의 접속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 로크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서브 로크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서브 로크 클로는, 접속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서브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서브 로크 클로는, 상기 서브 로크 볼록부로부터 접속 방향의 상류측으로 이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 및 제 5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서브 로크 클로가 서브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제 2 커넥터가 제 1 커넥터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써, 미리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에 접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커넥터 장치는, 상기한 제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메인 로크 홈과, 상기 메인 로크 홈의 접속 방향의 중간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크 홈을 접속 방향의 상류측의 상류 로크 홈과 접속 방향의 하류측의 하류 로크 홈으로 구획하는 메인 로크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는, 접속 방향의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메인 로크 아암과, 상기 메인 로크 아암의 접속 방향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크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메인 로크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크 클로는, 상기 상류 로크 홈에 끼워 맞춰져 접속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에 맞닿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크 클로는, 상기 하류 로크 홈에 끼워 맞춰져 접속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7 커넥터 장치는, 상기한 제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메인 로크 홈과, 상기 메인 로크 홈의 접속 방향의 중간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크 홈을 접속 방향의 상류측의 상류 로크 홈과 접속 방향의 하류측의 하류 로크 홈으로 구획하는 메인 로크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는, 접속 방향의 하류에서 상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메인 로크 아암과, 상기 메인 로크 아암의 접속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크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메인 로크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크 클로는, 상기 하류 로크 홈에 끼워 맞춰져 접속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에 맞닿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크 클로는, 상기 상류 로크 홈에 끼워 맞춰져 접속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6 및 제 7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메인 로크 클로가 메인 로크 볼록부에 맞닿음으로써, 서브 로크 클로가 서브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커넥터의 인발을 규제할 수 있고, 또한 제 2 커넥터가 프리셋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메인 로크 클로가 메인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세트 위치로 이동한 제 2 커넥터가 인발되어 프리셋 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커넥터 장치는, 상기한 제 6 또는 7 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서로 맞닿은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의 볼록측 맞닿음면과 상기 메인 로크 클로의 클로측 맞닿음면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프리셋 위치로부터 상기 세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로크 아암을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도록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8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볼록측 맞닿음면과 클로측 맞닿음면이 맞닿음으로써, 제 2 커넥터를 프리셋 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프리셋 위치로부터 세트 위치로 이동하는 제 2 커넥터에 수반하여, 클로측 맞닿음면이 볼록측 맞닿음면 상을 슬라이딩하여 메인 로크 아암을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메인 로크 클로는, 메인 로크 볼록부를 타고 넘은 후, 복원하여 메인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기판 실장 방법은,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 장치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기판 실장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된 상기 커넥터 장치를, 크림 땜납을 도포한 상기 기판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크림 땜납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상기 제 1 단자를 상기 기판에 납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된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프리셋 위치로부터 상기 세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기판 실장 방법에 의하면, 제 1 공정에서는, 미리 제 2 커넥터를 프리셋 위치에 유지시킨 제 1 커넥터 (제 1 단자) 를 기판에 납땜할 수 있다. 이로써, 접촉 부하를 받고 있지 않은 각 단자가 가열되게 되므로, 부하를 부여하면서 가열한 각 단자에 발생하는 굴곡이나 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2 공정에서는, 제 1 커넥터 (제 1 단자) 를 기판에 납땜한 후에, 제 2 커넥터를 이동시켜 제 2 단자를 제 1 단자에 소정의 접촉압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상의 기판 실장 방법에 의하면, 제 1 커넥터를 기판에 납땜하는 공정과,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공정을 따로 따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 장치의 기판 실장에 드는 수고 등을 생력화하면서 각 단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장치의 기판 실장을 생력화하면서 단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커넥터 (또는 커넥터 장치)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가 제 2 커넥터를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가 제 2 커넥터를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5 가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의 VIII-VIII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5 가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5 가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8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를 세트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9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를 세트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를 세트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를 측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를 측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를 정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를 측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나타내는 「X1」은 「좌」를 나타내고, 「X2」는 「우」를 나타내고, 「Y1」은 「전」을 나타내고, 「Y2」는 「후」를 나타내고, 「Z1」은 「상」을 나타내고, 「Z2」는 「하」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하 방향이 「접속 방향」의 일례이며,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의 중심 (도심 (圖心)) 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방향이 「직경 방향」의 일례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들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개요]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 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 는, 서로 대향 배치된 기판 (6) 과 상대측 기판 (7)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기판 (6) 및 상대측 기판 (7) 은, 예를 들어 절연체로 이루어진 판에 프린트 배선 (전기 회로) 을 형성한 것이다.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 는, 커넥터 장치 (2) 와, 상대측 커넥터 (50) 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장치 (2) 는, 기판 (6) 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 (10) 와, 제 1 커넥터 (10) 에 접속하는 제 2 커넥터 (30) 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 커넥터 (50) 는, 상대측 기판 (7) 에 실장 (접속) 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데, 상대측 커넥터 (50) 는, 커넥터 장치 (2) 의 제 2 커넥터 (30) 에 끼워 맞춰지고, 제 2 커넥터 (30) 를 개재하여 제 1 커넥터 (10)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2 개의 기판 (6, 7)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커넥터]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제 1 커넥터 (1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제 1 커넥터 (10) 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V-IV 단면도이다.
제 1 커넥터 (10) 는, 제 1 하우징 (11) 과, 4 개의 제 1 단자 (21)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하우징 (11) 은, 제 1 커넥터 (10) 의 외장을 구성하고 있다. 4 개의 제 1 단자 (21) 는, 제 1 하우징 (11) 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4 개의 제 1 단자 (21) 는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1 개의 제 1 단자 (21) 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하우징>
제 1 하우징 (11) 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11) 은, 바닥면 (평면) 으로부터 보아 대략 정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제 1 하우징 (11) 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4 개의 제 1 관통공 (12)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관통공 (12) 은 바닥면 (평면) 으로부터 보아 원형상의 구멍이며, 4 개의 제 1 관통공 (12) 은 바닥면 (평면) 으로부터 보아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관통공 (12) 의 상부에는, 상단에서 하방을 향하여 축경 (縮徑) 된 테이퍼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11) 의 바닥면에는, 4 개의 위치 결정 돌기 (11A) 가 바닥면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돌기 (11A) 는 원주상의 돌기이며, 4 개의 위치 결정 돌기 (11A) 는 바닥면으로부터 보아 제 1 하우징 (11) 의 4 개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참조).
(제 1 서브 로크부)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11) 의 좌우 방향의 양측면에는, 1 쌍의 제 1 서브 로크부 (13)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서브 로크부 (13) 는, 서브 로크 홈 (14) 과, 서브 로크 볼록부 (15) 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1 쌍의 제 1 서브 로크부 (13) 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1 개의 제 1 서브 로크부 (13) 에 대해 설명한다.
서브 로크 홈 (14) 은, 제 1 하우징 (11) 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서브 로크 홈 (14) 은, 제 1 하우징 (11) 의 측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서브 로크 홈 (14) 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홈이고, 제 1 하우징 (11) 의 하단에서 상단 근방까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서브 로크 볼록부 (15) 는, 서브 로크 홈 (14) 의 상부 (접속 방향의 상류측) 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서브 로크 홈 (14) 이 형성되지 않고 남겨진 제 1 하우징 (11) 의 측면의 상단부가 서브 로크 볼록부 (15) 이다. 따라서, 서브 로크 홈 (14) 의 상단은 서브 로크 볼록부 (15) 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서브 로크 홈 (14) 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또, 서브 로크 볼록부 (15) 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11) 의 상단 외주부에는, 직경 방향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모따기부 (15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메인 로크부)
제 1 하우징 (11) 의 전후 방향의 양단면에는, 1 쌍의 제 1 메인 로크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메인 로크부 (16) 는, 메인 로크 홈 (17) 과, 메인 로크 볼록부 (18) 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1 쌍의 제 1 메인 로크부 (16) 는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1 개의 제 1 메인 로크부 (16) 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로크 홈 (17) 은, 제 1 하우징 (11) 의 단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메인 로크 홈 (17) 은, 제 1 하우징 (11) 의 단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메인 로크 홈 (17) 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홈이고, 제 1 하우징 (11) 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 로크 홈 (14) 의 상하 양단은 개방되어 있다. 메인 로크 볼록부 (18) 는, 메인 로크 홈 (17) 의 상하 방향의 중간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메인 로크 홈 (17) 이 형성되지 않고 남겨진 제 1 하우징 (11) 의 단면의 중간부가 메인 로크 볼록부 (18) 이다. 또, 메인 로크 볼록부 (18) 는, 메인 로크 홈 (17) 을, 상측 (접속 방향의 상류측) 의 상류 로크 홈 (17U) 과 하측 (접속 방향의 하류측) 의 하류 로크 홈 (17D) 으로 구획 (2 분할) 한다. 또, 메인 로크 볼록부 (18) 의 상단면에는, 전후 방향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메인 볼록측 맞닿음면 (18A)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1) 는, 이른바 동축 단자로서, 제 1 중심 단자 (22) 와, 제 1 외측 단자 (23) 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중심 단자 (22) 및 제 1 외측 단자 (23) 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성형되어 있다.
제 1 중심 단자 (22)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제 1 중심 단자 (22) 의 상부는 두 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제 1 중심 단자 (22) 의 하부에는, 1 개의 제 1 중심 고정부 (22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단자 (23)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절연성을 갖는 제 1 지지체 (24) 를 개재하여 제 1 중심 단자 (22) 의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단자 (23) 의 하부에는, 4 개의 제 1 외측 고정부 (23A) 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중심 고정부 (22A) 및 각 제 1 외측 고정부 (23A) 는, 기판 (6) 에 납땜되는 부분이 된다.
제 1 지지체 (24) 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지지체 (24) 는, 제 1 외측 단자 (23) 와 일체 성형 (인서트 성형) 되어 있다. 제 1 지지체 (24) 의 축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압입공 (壓入孔) (24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제 1 중심 단자 (22) 는, 압입공 (24A) 에 압입되고, 제 1 지지체 (24) 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지지체 (24) 는 제 1 중심 단자 (22) 와 제 1 외측 단자 (23) 사이에 형성되고, 제 1 외측 단자 (23) 는 제 1 중심 단자 (22) 를 동심상으로 둘러싸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 1 지지체 (24) 의 상부는, 그 하부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외측 단자 (23) 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떨어져 있다 (도 4 참조). 또한, 제 1 지지체 (24) 는, 제 1 외측 단자 (23) 의 상단 개구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제 1 외측 단자 (23)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중심 단자 (22) 는, 제 1 지지체 (24) 의 상단 개구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제 1 지지체 (24)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제 1 커넥터의 조립]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1) (제 1 외측 단자 (23)) 는, 제 1 하우징 (11) 의 제 1 관통공 (12) 에 압입되고, 제 1 하우징 (11) 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4 개의 제 1 단자 (21) 가 제 1 하우징 (11) 에 지지됨으로써, 제 1 커넥터 (10) 가 완성된다. 또한, 제 1 외측 단자 (23) 의 상단은, 제 1 관통공 (12) 의 테이퍼부 (12A) 에 돌출되지 않는다. 또, 제 1 중심 고정부 (22A) 및 각 제 1 외측 고정부 (23A) 는, 제 1 하우징 (11) (제 1 관통공 (12)) 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노출되어 있다).
[제 2 커넥터]
도 2,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제 2 커넥터 (3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제 2 커넥터 (30)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VII-VII 단면도이다. 또한, 커넥터 장치 (2) 의 평면도는 제 2 커넥터 (30) 의 평면도와 동일하게 나타나므로, 도 5 는 제 2 커넥터 (30) 를 나타내는 평면도임과 함께, 커넥터 장치 (2)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기도 하다.
제 2 커넥터 (30) 는, 제 2 하우징 (31) 과, 4 개의 제 2 단자 (41) 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하우징 (31) 은, 제 2 커넥터 (30) 의 외장을 구성하고 있고, 제 1 하우징 (11) 에 장착된다. 4 개의 제 2 단자 (41) 는, 제 2 하우징 (31) 에 지지되고, 4 개의 제 1 단자 (21) 에 접촉한다. 또한, 4 개의 제 2 단자 (41) 는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 1 개의 제 2 단자 (41) 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하우징>
제 2 하우징 (31) 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상 (각통상) 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하우징 (31) 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31) 의 상부에는 상측 끼워 맞춤 오목부 (32) 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2 하우징 (31) 의 하부에는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측 끼워 맞춤 오목부 (32) 는 상단면을 개방한 바닥면이 형성된 각형의 구멍 (패임) 이며,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는 하단면을 개방한 윗면이 형성된 각형의 구멍 (패임) 이다. 제 2 하우징 (31) 의 상부 (상측 끼워 맞춤 오목부 (32)) 는, 단차부 (31A) 를 개재하여 제 2 하우징 (31) 의 하부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보다 전후 방향·좌우 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측 끼워 맞춤 오목부 (32) 는 상대측 커넥터 (50) 의 대략 전체가 숨는 크기로 형성되고,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는 제 1 커넥터 (10) 의 대략 전체가 숨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끼워 맞춤 오목부 (32) 와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의 사이에는, 각 오목부 (32, 33) 의 윗면 또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중간 본체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본체부 (34) 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4 개의 제 2 관통공 (35)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관통공 (35) 은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구멍이며, 4 개의 제 2 관통공 (35) 은 평면에서 보아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5 참조). 각 제 2 관통공 (35) 은, 상측 끼워 맞춤 오목부 (32) 와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를 연통시키고 있다.
(제 2 서브 로크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31) 의 좌우 방향의 양측면에는, 1 쌍의 제 1 서브 로크부 (13) 에 걸어 맞춰지는 1 쌍의 제 2 서브 로크부 (36)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서브 로크부 (36) 는, 서브 로크 아암 (36A) 과, 서브 로크 클로 (36B) (도 6 참조) 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1 쌍의 제 2 서브 로크부 (36) 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1 개의 제 2 서브 로크부 (36) 에 대해 설명한다.
서브 로크 아암 (36A) 은, 제 2 하우징 (31) 의 측면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 (접속 방향의 상류에서 하류) 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서브 로크 아암 (36A) 은, 제 2 하우징 (31) 의 측면에 있어서, 단차부 (31A) 보다 하방, 또한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1 쌍의 슬릿 (S1) 이 제 2 하우징 (31) 의 측면의 하단으로부터 단차부 (31A) 부근까지 평행하게 절입되고, 이 1 쌍의 슬릿 (S1) 의 사이에 서브 로크 아암 (36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참조). 서브 로크 아암 (36A) 은, 상부 (단차부 (31A) 부근) 를 중심으로 하여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서브 로크 클로 (36B) 는, 서브 로크 아암 (36A) 의 하부 (접속 방향의 하류측) 에 형성되어 있다 (도 6 이나 도 8 참조). 정확하게는, 서브 로크 클로 (36B) 는, 서브 로크 아암 (36A) 의 하부 내면에서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내 (전후 방향의 내측) 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서브 로크 클로 (36B) 의 하단면 (선단면) 에는, 좌우 방향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서브 클로측 맞닿음면 (36C)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이나 도 8 참조).
(제 2 메인 로크부)
도 2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31) 의 전후 방향의 양단면에는, 1 쌍의 제 1 메인 로크부 (16) 에 걸어 맞춰지는 1 쌍의 제 2 메인 로크부 (37)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메인 로크부 (37) 는, 메인 로크 아암 (37A) 과, 메인 로크 클로 (37B) 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1 쌍의 제 2 메인 로크부 (37) 는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1 개의 제 2 메인 로크부 (37) 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로크 아암 (37A) 은, 제 2 하우징 (31) 의 단면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 (접속 방향의 상류에서 하류) 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메인 로크 아암 (37A) 은, 제 2 하우징 (31) 의 단면에 있어서, 단차부 (31A) 보다 하방, 또한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메인 로크 아암 (37A) 은, 서브 로크 아암 (36A) 과 대략 동일 구조로서, 제 2 하우징 (31) 의 단면에 평행하게 절입된 1 쌍의 슬릿 (S2) 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참조). 메인 로크 아암 (37A) 은, 상부 (단차부 (31A) 부근) 를 중심으로 하여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로크 클로 (37B) 는, 메인 로크 아암 (37A) 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메인 로크 클로 (37B) 는, 메인 로크 아암 (37A) 의 하부 내면에서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내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메인 로크 클로 (37B) 의 하단면 (선단면) 에는, 전후 방향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메인 클로측 맞닿음면 (37C) 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클로측 맞닿음면 (37C) 은, 메인 로크 볼록부 (18) 의 메인 볼록측 맞닿음면 (18A) 과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다.
<제 2 단자>
도 2,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41) 는, 이른바 동축 단자로서, 제 2 중심 단자 (42) 와, 제 2 외측 단자 (43) 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중심 단자 (42) 및 제 2 외측 단자 (43) 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성형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중심 단자 (42) 는, 원형 단면을 갖는 상하 방향으로 긴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중심 단자 (42) 는, 제 2 중심 본체부 (42A) 의 하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제 2 중심 상접촉부 (42B) 와, 제 2 중심 본체부 (42A) 의 하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제 2 중심 하접촉부 (42C) 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중심 상접촉부 (42B) 및 제 2 중심 하접촉부 (42C) 는, 제 2 중심 본체부 (42A) 보다 약간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외측 단자 (43)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절연성을 갖는 제 2 지지체 (44) 를 개재하여 제 2 중심 단자 (42) 의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외측 단자 (43) 는, 제 2 외측 본체부 (43A) 의 상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제 2 외측 상접촉부 (43B) 와, 제 2 외측 본체부 (43A) 의 하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제 2 외측 하접촉부 (43C) 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외측 상접촉부 (43B) 및 제 2 외측 하접촉부 (43C) 는, 제 2 외측 본체부 (43A) 보다 약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외측 상접촉부 (43B) 의 선단측과 제 2 외측 하접촉부 (43C) 의 선단측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고,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체 (44) 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체 (44) 는, 제 2 외측 단자 (43) 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제 2 지지체 (44) 의 축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압입공 (44A)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중심 단자 (42) (제 2 중심 본체부 (42A)) 는, 압입공 (44A) 에 압입되고, 제 2 지지체 (44) 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지지체 (44) 는 제 2 중심 단자 (42) 와 제 2 외측 단자 (43)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외측 단자 (43) 는 제 2 중심 단자 (42) 를 동심상으로 둘러싸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 2 외측 본체부 (43A) 는 제 2 중심 본체부 (42A) 를 둘러싸고, 제 2 외측 상접촉부 (43B) 는 제 2 중심 상접촉부 (42B) 를 둘러싸고, 제 2 외측 하접촉부 (43C) 는 제 2 중심 하접촉부 (42C) 를 둘러싸고 있다. 제 2 지지체 (44) 는, 제 2 외측 단자 (43) 의 상하 방향의 양측 (분할된 부분) 을 제외한 부분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제 2 지지체 (44) 의 상하 방향의 양측은, 그 밖의 부분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외측 단자 (43) 의 분할된 부분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떨어져 있다. 또한, 제 2 지지체 (44) 는, 제 2 외측 단자 (43) 의 상하 양측의 개구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 제 2 중심 단자 (42) 의 상하 방향의 양단은, 제 2 지지체 (44) 의 상하 양측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제 2 지지체 (44)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커넥터의 조립]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41) (제 2 외측 본체부 (43A)) 는, 제 2 하우징 (31) 의 제 2 관통공 (35) 에 압입되고, 제 2 하우징 (31) 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외측 상접촉부 (43B) 는, 중간 본체부 (34) (제 2 관통공 (35))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측 끼워 맞춤 오목부 (32) 내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외측 하접촉부 (43C) 는, 중간 본체부 (34) (제 2 관통공 (35))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내에 노출되어 있다. 4 개의 제 2 단자 (41) 가 제 2 하우징 (31) 에 지지됨으로써, 제 2 커넥터 (30) 가 완성된다.
[상대측 커넥터]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 (50) 는, 제 1 커넥터 (10) 와 동일하게, 상대측 하우징 (51) 과 상대측 단자 (61) 를 포함하고 있다. 상대측 커넥터 (50) 는, 상하 반대로 한 제 1 커넥터 (10) 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대측 커넥터 (50) 는, 제 1 커넥터 (10) 와는 상이한 구조 (형상) 여도 된다.
[커넥터 장치의 가조립]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커넥터 장치 (2) 의 가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도 9 및 도 10 은, 도 5 가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도 5 의 VIII-VIII 단면도, IX-IX 단면도 및 X-X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작업자가 커넥터 장치 (2) 의 가조립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커넥터 장치 (2) 는, 예를 들어 메이커에서 가조립된 상태에서, 고객 (커넥터 장치 (2) 를 기판 (6) 에 실장하는 다른 메이커 등) 에게 납품되어도 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도, 계속하여, 1 개의 제 1 단자 (21) 와 1 개의 제 2 단자 (41) 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제 1 커넥터 (10) (제 1 하우징 (11)) 를 제 2 하우징 (31) 의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에 끼워 넣는다. 제 1 커넥터 (10) 를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에 끼워 넣는 과정에 있어서, 1 쌍의 서브 로크 클로 (36B) 의 서브 클로측 맞닿음면 (36C) 은 제 1 하우징 (11) (서브 로크 볼록부 (15)) 의 모따기부 (15A) 에 접촉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1 쌍의 서브 로크 아암 (36A) 은 서로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각 서브 로크 클로 (36B) 가 서브 로크 볼록부 (15) 를 타고 넘으면, 각 서브 로크 아암 (36A) 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하고, 각 서브 로크 클로 (36B) 는 서브 로크 홈 (14)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또, 각 서브 로크 클로 (36B) 는, 하측 (접속 방향의 하류측) 으로부터 서브 로크 볼록부 (15) 에 걸어 맞춰진다.
한편,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메인 로크 클로 (37B) 는, 상류 로크 홈 (17U) (메인 로크 홈 (17))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상측 (접속 방향의 상류측) 으로부터 메인 로크 볼록부 (18) 에 맞닿아 있다. 요컨대, 각 메인 로크 클로 (37B) 의 메인 클로측 맞닿음면 (37C) 은, 메인 로크 볼록부 (18) 의 메인 볼록측 맞닿음면 (18A) 에 맞닿아 있다. 또한, 각 메인 로크 클로 (37B) 는, 메인 로크 볼록부 (18) 에 맞닿아 있을 뿐이며 걸어 맞춰져 있지 않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 장치 (2) 의 가조립이 완료된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 (30) 는, 각 제 1 서브 로크부 (13) 와 각 제 2 서브 로크부 (36) 를 걸어 맞추고, 또한 각 제 1 메인 로크부 (16) 와 각 제 2 메인 로크부 (37) 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 프리셋 위치 (P1) 에 있어서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커넥터 (10) 의 상부가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에 끼워 맞춰지고, 제 1 커넥터 (10) 의 하부는 노출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11) 의 상면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 2 하우징 (31) 의 중간 본체부 (34) 의 하면에 대향하고 있다.
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 (30) 가 프리셋 위치 (P1) 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단자 (21) 와 제 2 단자 (41) 는, 서로 이간되어 있다. 즉, 제 2 단자 (41) 는 제 1 단자 (21) 에 접촉되어 있지 않고, 제 1 단자 (21) 및 제 2 단자 (41) 는 서로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단자 (21) 및 제 2 단자 (41) 는, 서로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고 있지 않다. 정확하게는, 제 2 단자 (41) 의 제 2 외측 단자 (43) (제 2 외측 하접촉부 (43C)) 의 하단은, 제 1 하우징 (11) 의 테이퍼부 (12A) 에 탄성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가볍게 접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커넥터 장치 (2) 가 가조립된 상태」또는 「제 2 커넥터 (30) 가 프리셋 위치 (P1) 에서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된 상태」를, 「프리셋 상태」등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커넥터 장치의 기판 실장 방법]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커넥터 장치 (2) 를 기판 (6) 에 실장하는 방법 (기판 실장 방법)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은, 도 8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를 세트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9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를 세트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를 세트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제 1 공정>
종래에는, 제 1 커넥터 (10) (제 1 단자 (21)) 가 기판 (6) 에 납땜되고, 그 후에 제 2 커넥터 (30) 가 제 1 커넥터 (10) 에 장착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판 실장 방법의 제 1 공정에서는, 가조립한 커넥터 장치 (2) 를 기판 (6)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단자 (21) 를 기판 (6) 에 납땜한다.
먼저, 제 1 공정으로서, 제 2 커넥터 (30) 가 프리셋 위치 (P1) 에서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된 (프리셋 상태로 한) 커넥터 장치 (2) 를, 크림 땜납을 도포한 기판 (6) 상에 배치한다 (도 10 참조). 제 1 단자 (21) 의 제 1 중심 고정부 (22A) 와 제 1 외측 고정부 (23A) 는, 크림 땜납을 개재하여 기판 (6) 에 접촉한다. 또한, 기판 (6) 상에 제 1 커넥터 (10) 를 배치한 후, 제 2 커넥터 (30) 를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시켜도 된다. 요컨대, 기판 (6) 상에 제 1 커넥터 (10) 를 배치한 후, 커넥터 장치 (2) 를 가조립해도 된다.
계속해서, 커넥터 장치 (2) 를 실은 기판 (6) 을 리플로 노에 통과시키고, 기판 (6) 상의 크림 땜납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제 1 단자 (21) 를 기판 (6) 에 납땜한다. 이상에 의해, 제 1 커넥터 (10) 는, 제 1 단자 (21) 를 개재하여 기판 (6) 에 고정된다.
<제 2 공정>
다음으로, 제 2 공정으로서,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된 제 2 커넥터 (30) 를 프리셋 위치 (P1) 로부터 세트 위치 (P2) 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제 2 커넥터 (30) 를 하방 (제 1 커넥터 (10)) 을 향하여 밀어 넣는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 (30) 를 압하하는 과정에 있어서, 1 쌍의 메인 로크 클로 (37B) 의 메인 클로측 맞닿음면 (37C) 은 메인 로크 볼록부 (18) 의 메인 볼록측 맞닿음면 (18A) 에 접촉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1 쌍의 메인 로크 아암 (37A) 은 서로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각 메인 로크 클로 (37B) 가 메인 로크 볼록부 (18) 를 타고 넘으면, 각 메인 로크 아암 (37A) 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한다. 그리고, 각 메인 로크 클로 (37B) 는, 하류 로크 홈 (17D)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하측 (접속 방향의 하류측) 으로부터 메인 로크 볼록부 (18) 에 걸어 맞춰진다.
한편,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 로크 클로 (36B) 는, 서브 로크 홈 (14) 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서브 로크 볼록부 (15) 로부터 하방 (접속 방향의 하류측) 으로 이간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 장치 (2) 의 기판 실장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 (30) 는, 제 1 서브 로크부 (13) 와 제 2 서브 로크부 (36) 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고, 또한 제 1 메인 로크부 (16) 와 제 2 메인 로크부 (37) 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P2) 에 있어서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커넥터 (10) 의 대략 전체가,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에 끼워 맞춰져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의 내부에 숨어 있다. 제 1 하우징 (11) 의 상면은 제 2 하우징 (31) 의 중간 본체부 (34) 의 하면에 접하고 있고, 제 2 커넥터 (30) 의 압하를 규제하고 있다. 또한, 메인 로크 클로 (37B) 가 메인 로크 볼록부 (18) 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 (30) 의 인발에 대항하는 힘 (저항력) 은, 서브 로크 클로 (36B) 가 서브 로크 볼록부 (15) 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의 당해 저항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커넥터 (30) 가 세트 위치 (P2) 로 이동하면, 제 2 커넥터 (30) 는 제 1 커넥터 (10) 로부터 용이하게 발거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 (30) 가 세트 위치 (P2) 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단자 (21) 와 제 2 단자 (41) 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하고 있다. 정확하게는, 제 2 중심 단자 (42) 의 제 2 중심 하접촉부 (42C) 는, 두 갈래로 나누어진 제 1 중심 단자 (22) 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두 갈래로 나누어진 제 1 중심 단자 (22) 에 탄성력을 가지고 끼워져 있다. 제 2 외측 단자 (43) 의 제 2 외측 하접촉부 (43C) 는, 약간 축경하면서 제 1 외측 단자 (23) 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고, 제 1 외측 단자 (23) 의 내주면에 탄성력을 가지고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단자 (21) 와 제 2 단자 (41) 는, 정상적인 통전을 담보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정상적인 접촉압으로 접촉하고 있다. 요컨대, 제 1 단자 (21) 및 제 2 단자 (41) 는, 서로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 2 커넥터 (30) 가 세트 위치 (P2) 에서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된 상태」를, 「세트 상태」등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시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대측 커넥터 (50) 도, 크림 땜납을 도포한 상대측 기판 (7)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리플로 노에 의해 가열된다. 이로써, 각 상대측 단자 (61) 가 상대측 기판 (7) 에 납땜된다.
[커넥터 장치와 상대측 커넥터의 접속]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6) 에 실장된 커넥터 장치 (2) 는, 상대측 기판 (7) 에 실장된 상대측 커넥터 (50) 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상대측 커넥터 (50) (상대측 하우징 (51)) 를 제 2 하우징 (31) 의 상측 끼워 맞춤 오목부 (32) 에 끼워 넣는다. 상대측 커넥터 (50) 의 대략 전체가 상측 끼워 맞춤 오목부 (32) 에 끼워 맞춰지면, 상대측 하우징 (51) 의 하면이 제 2 하우징 (31) 의 중간 본체부 (34) 의 상면에 접하고, 제 2 커넥터 (30) 의 상대적인 압상을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단자 (41) (제 2 중심 상접촉부 (42B), 제 2 외측 상접촉부 (43B)) 와 상대측 단자 (61) 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한다. 또한, 제 2 단자 (41) 와 상대측 단자 (61) 의 접촉 작용은, 이미 설명한 제 1 단자 (21) 와 제 2 단자 (41) 의 접촉 작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 장치 (2) 와 상대측 커넥터 (50) 의 접속이 완료되고,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 가 구성된다. 이로써, 2 개의 기판 (6, 7) 이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 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에서는, 제 2 커넥터 (30) 가, 프리셋 위치 (P1) 와 세트 위치 (P2) 사이에서 이동하고, 또한 프리셋 위치 (P1) 와 세트 위치 (P2) 에 있어서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프리셋 상태에서는 제 1 단자 (21) 및 제 2 단자 (41) 가 탄성 변형되지 않고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지 않고), 세트 상태에서는 제 1 단자 (21) 및 제 2 단자 (41) 가 탄성 변형되어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아)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커넥터 장치 (2) (기판 실장 방법) 에 의하면, 미리 가조립이 끝난 (프리셋 상태의) 커넥터 장치 (2) 를 기판 (6) 에 납땜할 수 있다. 이로써, 접촉 부하를 받고 있지 않은 각 단자 (21, 41) 를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접촉 부하를 받은 각 단자 (21, 41) 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고, 부하를 부여하면서 가열한 각 단자 (21, 41) 에 발생하는 굴곡이나 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조립이 끝난 커넥터 장치 (2) 를 납땜한 후에, 제 2 커넥터 (30) 를 이동시켜 제 2 단자 (41) 를 제 1 단자 (21) 에 정상적인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 1 커넥터 (10) 를 기판 (6) 에 납땜하는 공정과, 제 2 커넥터 (30) 를 제 1 커넥터 (10) 에 접속하는 공정을 따로 따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 장치 (2) 의 기판 실장에 드는 수고와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요컨대, 커넥터 장치 (2) 의 기판 실장을 생력화하면서 각 단자 (21, 41)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에 의하면, 각 서브 로크 클로 (36B) 가 서브 로크 볼록부 (15) 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도 8 참조), 제 2 커넥터 (30) 가 제 1 커넥터 (10) 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터 장치 (2) 를 프리셋 상태 (미리 가조립한 상태) 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에 의하면, 각 메인 로크 클로 (37B) 가 메인 로크 볼록부 (18) 에 맞닿음으로써, 각 서브 로크 클로 (36B) 가 서브 로크 볼록부 (15) 에 걸어 맞춰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커넥터 (30) 의 인발을 규제할 수 있고, 또한 커넥터 장치 (2) 를 프리셋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각 메인 로크 클로 (37B) 가 메인 로크 볼록부 (18) 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도 12 참조), 세트 위치 (P2) 로 이동한 제 2 커넥터 (30) 가 인발되어 프리셋 위치 (P1) 로 돌아오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터 장치 (2) 를 세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에 의하면, 메인 볼록측 맞닿음면 (18A) 과 메인 클로측 맞닿음면 (37C) 이 맞닿음으로써 (도 9 참조), 제 2 커넥터 (30) 를 프리셋 위치 (P1) 에 배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프리셋 위치 (P1) 로부터 세트 위치 (P2) 로 이동하는 제 2 커넥터 (30) 에 수반하여, 각 메인 클로측 맞닿음면 (37C) 이 메인 볼록측 맞닿음면 (18A) 상을 슬라이딩하여 메인 로크 아암 (37A) 을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메인 로크 클로 (37B) 는, 메인 로크 볼록부 (18) 를 타고 넘은 후, 복원하여 메인 로크 볼록부 (18) 에 걸어 맞춰질 수 있다 (도 12 참조).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커넥터 장치 (2) 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변형예>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에서는, 제 2 하우징 (31) 의 좌우 양측면에 1 쌍의 제 2 서브 로크부 (36) 가 형성되고, 제 2 하우징 (31) 의 전후 양단면에 1 쌍의 제 2 메인 로크부 (37) 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3) 에서는, 1 쌍의 제 2 서브 로크부 (36) 가 삭제되고, 제 1 서브 로크부 (71) 와 제 1 메인 로크부 (72) 중 어느 일방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춰지는 1 쌍의 제 2 로크부 (70) 가 제 2 하우징 (31)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로크부 (70) 는, 제 2 메인 로크부 (37) 와 대략 동일 구조이다 (메인 클로측 맞닿음면 (37C) 이 생략되어 있다.). 1 쌍의 제 1 서브 로크부 (71) 와 1 쌍의 제 1 메인 로크부 (72) 는, 제 1 하우징 (11) 의 전후 양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메인 로크부 (72) 는, 제 1 서브 로크부 (71) 보다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 2 커넥터 (30) 는, 제 1 서브 로크부 (71) 와 제 2 로크부 (70) 를 걸어 맞춘 프리셋 위치 (P1) 와, 제 1 메인 로크부 (72) 와 제 2 로크부 (70) 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P2) (도시 생략) 사이에서 이동하고, 또한 프리셋 위치 (P1) 와 세트 위치 (P2) 에 있어서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된다. 또한, 1 쌍의 제 2 메인 로크부 (37) 가 삭제되고, 1 쌍의 제 2 서브 로크부 (36) 가 제 2 로크부 (70) 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서브 로크부 (71) 와 제 1 메인 로크부 (72) 는, 제 1 하우징 (11) 의 좌우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2 변형예>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에서는, 제 1 하우징 (11) 의 좌우 양측면에 1 쌍의 제 1 서브 로크부 (13) 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 (11) 의 전후 양단면에 1 쌍의 제 1 메인 로크부 (16) 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4) 에서는, 제 1 서브 로크부 (13) 및 제 1 메인 로크부 (16) 가 삭제되고, 1 쌍의 제 1 로크부 (80) 가 제 1 하우징 (11) 의 전후 양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서브 로크 아암 (36A) 등이 삭제되고, 메인 로크 아암 (37A) 에 서브 돌기부 (81) 와 메인 돌기부 (82)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메인 돌기부 (82) 는, 서브 돌기부 (81) 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변형예에서는, 메인 로크 아암 (37A) 및 서브 돌기부 (81) 가 제 2 서브 로크부의 일례이며, 메인 로크 아암 (37A) 및 메인 돌기부 (82) 가 제 2 메인 로크부의 일례이다. 이 구성에서는, 메인 돌기부 (82) 와 서브 돌기부 (81) 가 배타적으로 제 1 로크부 (80) 에 걸어 맞춰진다. 제 2 커넥터 (30) 는, 제 1 로크부 (80) 와 서브 돌기부 (81) (제 2 서브 로크부) 를 걸어 맞춘 프리셋 위치 (P1) 와, 제 1 로크부 (80) 와 메인 돌기부 (82) (제 2 로크부) 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P2) (도시 생략) 사이에서 이동하고, 또한 프리셋 위치 (P1) 와 세트 위치 (P2) 에 있어서 제 1 커넥터 (10) 에 유지된다. 또한, 1 쌍의 제 1 로크부 (80) 는, 제 1 하우징 (11) 의 좌우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메인 로크 아암 (37A) 등이 삭제되고, 서브 돌기부 (81) 와 메인 돌기부 (82) 는 서브 로크 아암 (36A) 에 돌출 형성된다.
<제 3 변형예>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에서는, 제 1 서브 로크부 (13) 및 제 1 메인 로크부 (16) 가 각 홈 (14, 17) 과 각 볼록부 (15, 18) 를 포함하고, 제 2 서브 로크부 (36) 및 제 2 메인 로크부 (37) 가 각 아암 (36A, 37A) 과 각 클로 (36B, 37B) 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5) 에서는, 제 2 서브 로크부 (36) 가 서브 로크 홈 (14) 과 서브 로크 볼록부 (15) 를 포함하고, 제 1 서브 로크부 (13) 가 서브 로크 아암 (36A) 과 서브 로크 클로 (36B) 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서브 로크 아암 (36A) 은, 하방에서 상방 (접속 방향의 하류에서 상류) 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서브 로크 클로 (36B) 는 서브 로크 아암 (36A) 의 상부 (접속 방향의 상류측) 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메인 로크부 (37) 가 메인 로크 홈 (17) (상류 로크 홈 (17U), 하류 로크 홈 (17D)) 과 메인 로크 볼록부 (18) 를 포함하고, 제 1 메인 로크부 (16) 가 메인 로크 아암 (37A) 과 메인 로크 클로 (37B) 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메인 로크 아암 (37A) 은, 하방에서 상방 (접속 방향의 하류에서 상류) 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메인 로크 클로 (37B) 는 메인 로크 아암 (37A) 의 상부 (접속 방향의 상류측) 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 2 커넥터 (30) 가 프리셋 위치 (P1) 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서브 로크 클로 (36B) 는, 상측으로부터 서브 로크 볼록부 (15) 에 걸어 맞춰지고 (도 16 참조), 메인 로크 클로 (37B) 는, 하류 로크 홈 (17D) 에 끼워 맞춰져 하측으로부터 메인 로크 볼록부 (18) 에 맞닿는다 (도 17 참조). 또, 제 2 커넥터 (30) 가 세트 위치 (P2) 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서브 로크 클로 (36B) 는, 서브 로크 볼록부 (15) 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되고, 메인 로크 클로 (37B) 는, 상류 로크 홈 (17U) 에 끼워 맞춰져 상측으로부터 메인 로크 볼록부 (18) 에 걸어 맞춰진다 (도시 생략).
또한, 본 실시형태 (제 1 ∼ 제 3 변형예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 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 5) (이하, 「커넥터 장치 (2) 등」이라고 부른다.) 에서는, 제 1 서브 로크부 (13) 및 제 1 메인 로크부 (16) 가 제 1 하우징 (11) 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로크부 (13) 와 제 1 메인 로크부 (16) 의 양방 또는 어느 일방이 제 1 단자 (21) 에 형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제 1 서브 로크부 (13) 와 복수의 제 1 메인 로크부 (16) 가 제 1 하우징 (11) 과 제 1 단자 (21) 의 양방에 형성되어도 된다 (모두 도시 생략). 요컨대, 제 1 서브 로크부 (13) 및 제 1 메인 로크부 (16) 는, 제 1 하우징 (11) 과 제 1 단자 (21) 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와 동일한 취지로, 예를 들어 제 2 서브 로크부 (36) 와 제 2 메인 로크부 (37) 의 양방 또는 어느 일방이 제 2 단자 (41) 에 형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제 2 서브 로크부 (36) 와 복수의 제 2 메인 로크부 (37) 가 제 2 하우징 (31) 과 제 2 단자 (41) 의 양방에 형성되어도 된다 (모두 도시 생략). 요컨대, 제 2 서브 로크부 (36) 및 제 2 메인 로크부 (37) 는, 제 2 하우징 (31) 과 제 2 단자 (41) 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기와 동일한 취지로, 제 1 로크부 (80) 는, 제 1 하우징 (11) 과 제 1 단자 (21) 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제 2 로크부 (70) 는, 제 2 하우징 (31) 과 제 2 단자 (41) 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등에서는, 프리셋 상태에 있어서, 제 1 단자 (21) 와 제 2 단자 (41) 가 서로 이간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단자 (21) 와 제 2 단자 (41) 가 서로 선단끼리를 (가볍게) 접촉시키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단자 (21) 와 제 2 단자 (41) 는, 서로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고 있지 않고, 탄성 변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촉에 의한 부하를 받지 않는다」란, 단자 (21, 41) 끼리가 접촉하지 않고 부하가 「제로」인 경우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단자 (21, 41) 끼리가 정상적인 접촉압보다 충분히 낮은 접촉압으로 가볍게 접촉한 상태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탄성 변형되지 않는다」란, 전혀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단자 (21, 41) 끼리가 약간 탄성 변형되어 정상적인 접촉압보다 충분히 낮은 접촉압으로 가볍게 접촉하여 미소하게 탄성 변형된 상태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2) 등에서는, 제 1 커넥터 (10) 가, 제 2 커넥터 (30) 의 내측 (하측 끼워 맞춤 오목부 (33)) 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2 커넥터 (30) 가, 제 1 커넥터 (10) 에 오목하게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의 내측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시 생략). 이 경우, 제 1 및 제 2 서브 로크부 (13, 36) 등이나 제 1 및 제 2 메인 로크부 (16, 37) 등은, 2 개의 커넥터 (10, 30) 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기와 동일하게, 제 2 커넥터 (30) 가, 상대측 커넥터 (50) 에 오목하게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의 내측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시 생략).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 (커넥터 장치 (2) 등) 는, 각각 4 개의 단자 (21, 41, 61) 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단자 (21, 41, 61) 는 1 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각각의 단자 (21, 41, 61) 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성형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재료를, 단조 가공, 주조 가공 또는 절삭 가공함으로써 성형되어도 된다. 또한, 각각의 단자 (21, 41, 61) 는, 이른바 동축 단자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단일의 접촉자를 갖는 단자 등, 어떠한 단자여도 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기판 (6) 과 상대측 기판 (7) 을 접속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 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대측 커넥터 (50) 는, 상대측 기판 (7) 대신에, 케이블 (도시 생략)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요컨대, 상대측 커넥터 (50) 는, 케이블 커넥터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장치 및 기판 실장 방법에 있어서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는, 적절히, 기존의 구성 요소 등과의 치환이나 조합이 가능하고,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를 가지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2, 3, 4, 5 : 커넥터 장치
6 : 기판
10 : 제 1 커넥터
11 : 제 1 하우징
13, 71 : 제 1 서브 로크부
14 : 서브 로크 홈
15 : 서브 로크 볼록부
16, 72 : 제 1 메인 로크부
17 : 메인 로크 홈
17U : 상류 로크 홈
17D : 하류 로크 홈
18 : 메인 로크 볼록부
18A : 메인 볼록측 맞닿음면 (볼록측 맞닿음면)
21 : 제 1 단자
30 : 제 2 커넥터
31 : 제 2 하우징
36 : 제 2 서브 로크부
36A : 서브 로크 아암
36B : 서브 로크 클로
37 : 제 2 메인 로크부
37A : 메인 로크 아암
37B : 메인 로크 클로
37C : 메인 클로측 맞닿음면 (클로측 맞닿음면)
41 : 제 2 단자
70 : 제 2 로크부
80 : 제 1 로크부
81 : 서브 돌기부 (제 2 서브 로크부)
82 : 메인 돌기부 (제 2 메인 로크부)
P1 : 프리셋 위치
P2 : 세트 위치

Claims (9)

  1. 기판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지지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서브 로크 홈과,
    상기 서브 로크 홈의 접속 방향의 상류측에 돌출 형성된 서브 로크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단자에 접촉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는,
    접속 방향의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서브 로크 아암과,
    상기 서브 로크 아암의 접속 방향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 로크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서브 로크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를 걸어 맞추고, 또한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와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 프리셋 위치와,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고, 또한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와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프리셋 위치와 상기 세트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서로 이간되고, 또는 서로 선단끼리를 접촉시키고, 상기 서브 로크 클로는, 접속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서브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하고, 상기 서브 로크 클로는, 상기 서브 로크 볼록부로부터 접속 방향의 하류측으로 이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기판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지지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단자에 접촉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서브 로크 홈과,
    상기 서브 로크 홈의 접속 방향의 하류측에 돌출 형성된 서브 로크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는,
    접속 방향의 하류에서 상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서브 로크 아암과,
    상기 서브 로크 아암의 접속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 로크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서브 로크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를 걸어 맞추고, 또한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와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 프리셋 위치와,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고, 또한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와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프리셋 위치와 상기 세트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서로 이간되고, 또는 서로 선단끼리를 접촉시키고, 상기 서브 로크 클로는, 접속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서브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하고, 상기 서브 로크 클로는, 상기 서브 로크 볼록부로부터 접속 방향의 상류측으로 이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메인 로크 홈과,
    상기 메인 로크 홈의 접속 방향의 중간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크 홈을 접속 방향의 상류측의 상류 로크 홈과 접속 방향의 하류측의 하류 로크 홈으로 구획하는 메인 로크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는,
    접속 방향의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메인 로크 아암과,
    상기 메인 로크 아암의 접속 방향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크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메인 로크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크 클로는, 상기 상류 로크 홈에 끼워 맞춰져 접속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에 맞닿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크 클로는, 상기 하류 로크 홈에 끼워 맞춰져 접속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메인 로크 홈과,
    상기 메인 로크 홈의 접속 방향의 중간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크 홈을 접속 방향의 상류측의 상류 로크 홈과 접속 방향의 하류측의 하류 로크 홈으로 구획하는 메인 로크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는,
    접속 방향의 하류에서 상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접속 방향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메인 로크 아암과,
    상기 메인 로크 아암의 접속 방향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크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메인 로크 클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크 클로는, 상기 하류 로크 홈에 끼워 맞춰져 접속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에 맞닿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크 클로는, 상기 상류 로크 홈에 끼워 맞춰져 접속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에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서로 맞닿은 상기 메인 로크 볼록부의 볼록측 맞닿음면과 상기 메인 로크 클로의 클로측 맞닿음면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프리셋 위치로부터 상기 세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로크 아암을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도록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기판 실장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된 상기 커넥터 장치를, 크림 땜납을 도포한 상기 기판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크림 땜납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상기 제 1 단자를 상기 기판에 납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된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프리셋 위치로부터 상기 세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 방법.
  7. 기판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가,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지지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 2 커넥터가,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단자에 접촉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의 어느 일방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춰지는 제 2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로크부를 걸어 맞춘 프리셋 위치와, 상기 제 1 메인 로크부와 상기 제 2 로크부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또한 상기 프리셋 위치와 상기 세트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서로 이간되고, 또는 서로 선단끼리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기판 실장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된 상기 커넥터 장치를, 크림 땜납을 도포한 상기 기판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크림 땜납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상기 제 1 단자를 상기 기판에 납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된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프리셋 위치로부터 상기 세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 방법.
  8. 기판에 접속하는 제 1 커넥터가,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지지된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제 1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단자에 접촉하는 제 2 단자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서브 로크부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단자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로크부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메인 로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로크부와 상기 제 2 서브 로크부를 걸어 맞춘 프리셋 위치와, 상기 제 1 로크부와 상기 제 2 메인 로크부를 걸어 맞춘 세트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또한 상기 프리셋 위치와 상기 세트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되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서로 이간되고, 또는 서로 선단끼리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세트 위치에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기판 실장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프리셋 위치에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된 상기 커넥터 장치를, 크림 땜납을 도포한 상기 기판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크림 땜납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상기 제 1 단자를 상기 기판에 납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커넥터에 유지된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프리셋 위치로부터 상기 세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 방법.
  9. 삭제
KR1020200030216A 2019-03-28 2020-03-11 커넥터 장치 및 기판 실장 방법 KR102435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3029A JP6993377B2 (ja) 2019-03-28 2019-03-28 コネクタ装置および基板実装方法
JPJP-P-2019-063029 2019-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142A KR20200115142A (ko) 2020-10-07
KR102435601B1 true KR102435601B1 (ko) 2022-08-23

Family

ID=7263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216A KR102435601B1 (ko) 2019-03-28 2020-03-11 커넥터 장치 및 기판 실장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93377B2 (ko)
KR (1) KR102435601B1 (ko)
CN (1) CN111755922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5956A (ja) 1999-01-20 2000-08-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同軸コネクタ
JP2001332352A (ja) * 2000-05-25 2001-11-30 Yazaki Corp 慣性ロック式コネクタ
JP2018534733A (ja) 2015-10-07 2018-11-22 ローゼンベルガー ホーフフレクベンツテクニ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084U (ko) * 1988-08-22 1990-02-27
JPH07282207A (ja) * 1994-04-13 1995-10-27 Canon Inc カード状記憶媒体及びそのガイド部を有する装置
JP2002252052A (ja) * 2001-02-22 2002-09-06 Yazaki Corp コネクタ
JP4509054B2 (ja) * 2006-03-20 2010-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複合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ホルダ、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方法
JP4278673B2 (ja) * 2006-10-17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20100304579A1 (en) * 2009-05-26 2010-12-02 Brian Lyle Kisling Low Resistanc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JP5191568B2 (ja) * 2009-07-31 2013-05-08 株式会社フジクラ 同軸コネクタ
JP5598346B2 (ja) * 2011-01-17 2014-10-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230820A (ja) * 2011-04-26 2012-11-22 Daiichi Seiko Co Ltd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5462231B2 (ja) * 2011-10-24 2014-04-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EP2996207A4 (en) * 2013-05-08 2016-04-27 Sumitomo Wiring Systems INTERCONNECTS
JP2018018695A (ja) * 2016-07-28 2018-02-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82941B2 (ja) * 2017-06-16 2021-06-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5956A (ja) 1999-01-20 2000-08-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同軸コネクタ
JP2001332352A (ja) * 2000-05-25 2001-11-30 Yazaki Corp 慣性ロック式コネクタ
JP2018534733A (ja) 2015-10-07 2018-11-22 ローゼンベルガー ホーフフレクベンツテクニ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142A (ko) 2020-10-07
CN111755922B (zh) 2021-10-26
JP2020161454A (ja) 2020-10-01
JP6993377B2 (ja) 2022-01-13
CN111755922A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755A (en) Electrical connector
US739624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US7727022B2 (en) On harness PCB electrical center
US10910759B2 (en) Connector
EP0259897A1 (en) Electrical junction system
WO2016080010A1 (ja) コネクタ
US2019022943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US663210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entering member
WO2013085037A1 (ja) コネクタ
KR102435601B1 (ko) 커넥터 장치 및 기판 실장 방법
WO2013107865A1 (en) Adapter contact, adapter, plug contact arrangement and connector/adapter combination for connecting two printed circuit boards
US11749973B2 (en) Retention mechanism for attachment of technical equipment unit to a mounting rail and technical equipment unit with such a retention mechanism
JP3269773B2 (ja) 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
US10790608B2 (en) Apparatuses for improved cable-to-board connections
CN110212343B (zh) 一种高速连接器及插孔接触件
JP2002151825A (ja) コネクタの実装方法
JP2004348969A (ja) 電気コネクタ
US1171092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
US9728877B1 (en) Connector and cable harness
WO2021182087A1 (ja) コネクタ装置
US8282423B2 (en) Connector including alignment member that prevents relative movement of one row of combination ground contacts toward another row of combination ground contacts
JP7294871B2 (ja) 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H07312269A (ja) ライトアングル型コネクタ
JP2010003645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