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464B1 -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 Google Patents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464B1
KR102435464B1 KR1020220066178A KR20220066178A KR102435464B1 KR 102435464 B1 KR102435464 B1 KR 102435464B1 KR 1020220066178 A KR1020220066178 A KR 1020220066178A KR 20220066178 A KR20220066178 A KR 20220066178A KR 102435464 B1 KR102435464 B1 KR 102435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luid
cone
strain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미
전인
Original Assignee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20066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06Canned mot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펌프를 집수조의 바닥에서 지지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및 상기 펌프케이싱을 집수조의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로서, 상기 유로 개선형 받침대는 상기 집수조의 바닥에 고정되며, 바닥에서 상부의 상기 흡입구를 향해 갈수록 점점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를 향해 유체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콘부, 상기 펌프케이싱이 결합되어 안착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안착판부, 및 상기 안착판부와 상기 흡입콘부를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부의 저면은 상기 안착판부의 둘레에서 상기 연통공으로 유체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의 유선형 곡면을 가진다. 따라서, 유체의 흡입성을 개선하여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Submersible pump with flow path improvement pedestal}
본 발명은 수중펌프를 집수조의 바닥에서 지지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펌프는 집수조의 수중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토출관을 통해 집수조의 외부로 이송한다.
수중펌프는 집수조의 깊은 곳의 유체까지 흡입하도록 집수조의 바닥에 고정설치되고, 수중펌프는 집수조의 바닥에 밀착되는 경우, 흡입구로 유체의 유입이 원할하지 않아 받침대에 의해 바닥에서 이격되어 설치된다
받침대를 갖는 수중펌프의 일례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9519호(2012.1.31.공고)에 "지면 고정식 배수용 수중펌프"에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지면 고정식 배수용 수중펌프는 원주상에 다수개의 흡입공간을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물 유입이 용이하도록 물 유입공간이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에 수중펌프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지면 고정식 배수용 수중펌프는 받침대의 둘레에서 흡입구로 유체가 흡입될 때, 유체의 진행방향이 직교되도록 방향이 전환되면서 유체간의 충돌로 인해 난류가 발생함으로써,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체가 흡입될 때, 받침대에 다수개의 흡입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유체가 부딪혀 저항되면서, 유체의 흡입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유체가 흡입될 때,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함께 흡입되면서, 펌프의 고장이 발생하는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7422호(2016.8.10.공고)의 "받침대 기능을 갖는 수중펌프용 스트레이너"가 개시되었지만, 이물질이 스트레이너의 둘레에 쌓일 경우,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해 유체의 흡입성이 하락되어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둘레에서 흡입되는 유체를 흡입콘부를 통해 방향을 전환하여 흡입구로 자연스럽게 흡입되도록 유체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난류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착판부의 저면에 유선형태의 곡면을 형성하여 안착판부의 둘레에서 흡입되는 유체의 흐름성을 개선함으로써,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판부와 흡입콘부의 사이를 지지하는 연결대부를 유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흡입콘부에 부력에 의해 출몰하는 출몰스트레이너를 구성하여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냄과 동시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흡입콘부에 부력에 의해 흡입콘부를 개폐하는 콘개폐부를 설치하여 출몰스트레이너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을 흡입콘부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이물질이 집수조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및 상기 펌프케이싱을 집수조의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로서, 상기 유로 개선형 받침대는 상기 집수조의 바닥에 고정되며, 바닥에서 상부의 상기 흡입구를 향해 갈수록 점점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를 향해 유체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콘부, 상기 펌프케이싱에 결합되어 안착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안착판부, 및 상기 안착판부와 상기 흡입콘부를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부의 저면은 상기 안착판부의 둘레에서 상기 연통공으로 유체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의 유선형 곡면을 가진다.
상기 연결대부의 평단면 형상은 상기 흡입콘부와 상기 안착판부의 사이로 유체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콘부는 상기 흡입콘부의 상부에서 상승하여 돌출되면서 상기 흡입구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흡입콘부에서 하강하여 내부로 삽입되면서 걸린 이물질이 제거되는 출몰스트레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몰스트레이너는 상기 집수조에 채워지는 유체에서 부력에 의해 상기 출몰스트레이너가 승하강하도록 상기 출몰스트레이너에 부력을 제공하는 스트레이너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콘부는 상기 출몰스트레이너가 하강할 때 제거되는 이물질이 상기 흡입콘부의 내부에서 처리되도록 상기 출몰스트레이너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콘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흡입콘부의 내부를 개폐하는 콘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개폐부는 상기 흡입콘부에서 상기 콘개폐부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상기 콘개폐부에 부력을 제공하는 개폐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 개선형 받침대에 둘레에서 흡입되는 유체를 흡입구로 안내하는 흡입콘부를 구성하여 둘레에서 흡입되는 유체를 직교된 방향에 위치한 흡입구로 자연스럽게 흡입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성을 개선하여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착판부의 저면을 유선형으로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안착판부의 둘레에서 흡입구로 흡입되는 유체의 흐름성을 개선함으로써,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판부와 흡입콘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부를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연결대부를 지나는 유체의 저항성을 감소시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콘부에서 부력에 의해 출몰하는 출몰스트레이너를 구성하여 출몰스트레이너에 의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펌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몰스트레이너가 하강하면서 걸린 이물질이 제거되어 이물질이 출몰스트레이너에 쌓이면서 출몰스트레이너가 막혀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콘부를 부력에 의해 개폐하는 콘개폐부가 구성되어 출몰스트레이너에 걸린 이물질을 흡입콘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흡입콘부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출몰스트레이너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이 집수조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구성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출몰스트레이너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출몰스트레이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를 포함하는 수중펌프(100)는 구동모터(110), 임펠러(120), 및, 펌프케이싱(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10)는 전기에 의해 구동축(111)이 회전하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10)는 수중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기밀되도록 모터커버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임펠러(120)는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결합되어 구동축(1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집수조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력과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임펠러(120)는 중앙으로 유체를 흡입하여 둘레로 토출할 수 있으며, 임펠러(120)는 복수 개의 베인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형태이거나, 하나의 베인이 어느 한 지점에서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넓어지는 싱글베인의 형태일 수 있다.
펌프케이싱(130)은 내부에 임펠러(120)가 수용되어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펌프케이싱(130)은 임펠러(120)의 어느 한 지점에서부터 둘레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챔버를 가질 수 있으며, 펌프케이싱(130)에서 임펠러(120)의 유체가 흡입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31)가 형성되고, 펌프케이싱(130)의 둘레에는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33)에는 집수조의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여 이송하기 위한 토출관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케이싱(13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1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펌프케이싱(130)과 구동모터(110)의 사이에는 오일이 충전되어 구동축(111)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챔버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를 포함하는 수중펌프(100)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는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를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펌프케이싱(130)을 집수조의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함과 동시에 유체의 흡입성을 개선하여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는 흡입콘부(143), 안착판부(141), 및 연결대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콘부(143)는 집수조의 바닥에 고정설치되어 수중펌프(100)를 바닥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흡입되는 유체가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31)로의 유체의 흡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흡입콘부(143)는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를 중심으로 바닥에서 흡입구(131)를 향해 갈수록 점점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콘부(143)의 외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141b)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흡입구(131)의 하부 둘레에서 흡입콘부(143)에 가이드되면서 흡입구(131)가 위치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방향이 전환되어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흡입성을 개선하여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입콘부(143)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일 수 있으며, 흡입콘부(143)의 둘레에는 흡입콘부(143)로 유입되는 유체가 흡입콘부(143)의 내부에 장기간 체류함에 따라 유체가 부패하거나, 유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콘부(143)에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방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판부(141)는 펌프케이싱(130)이 안착될 수 있으며, 안착판부(141)는 흡입콘부(143)의 상부에 흡입콘부(143)에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안착판부(141)에는 펌프케이싱(130)이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안착판부(141)와 펌프케이싱(130)의 사이에는 구동모터(110) 및 임펠러(12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집수조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안착판부(141)에서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흡입구(131)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31)와 연통된 연통공(141a)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착판부(141)의 저면은 안착판부(141)의 둘레에서 흡입되는 유체가 연통공(141a)을 향해 자연스럽게 방향을 전환하며 흡입될 수 있도록 하부로 볼록한 마치 비행기의 날개의 외면과 같이 유선형태의 곡면(141b)을 가질 수 있다.
안착판부(141)의 저면에 형성되는 유선형태의 곡면(141b)은 측단면상에서 안착판부(141)의 둘레에서 연통공(141a)으로 갈수록 하향되었다가 다시 상향되어 연통공(141a)으로 유입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유선형의 자연스러운 곡면(14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안착판부(141)의 저면을 유선형태의 곡면(141b)으로 형성함으로써, 안착판부(141)의 둘레의 유체가 연통공(141a)을 향해 바로 회전방향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하향되면서 흡입콘부(143)를 통해 안내되는 유체와 함께 혼입되어 자연스럽게 연통공(141a)으로 유입되어 흡입구(131)에서 유체의 충돌로 인한 난류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유체의 흡입성을 개선하여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부(145)는 흡입콘부(143)에서 안착판부(141)가 상부로 이격되도록 흡입콘부(143)와 안착판부(141)를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대부(145)는 흡입콘부(143)의 둘레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연결대부(145)에 의해 안착판부(141)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대부(145)는 연결대부(145)를 지나는 유체에 저항을 최소화하여 유체의 흡입성이 향상되도록 연결대부(145)의 평단면의 형상은 연결대부(145)의 외측에서 연결대부(145)의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졌다가 다시 얇아지는 형태의 마치 비행기의 날개와 같은 유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대부(145)는 임펠러(120)의 회전에 따라 흡입되는 유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흡입콘부(143)를 통해 흡입구(131)로 흡입되도록 연결대부(145)의 내측 단부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위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의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는 출몰스트레이너(150)와, 콘개폐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몰스트레이너(150)는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내어 이물질에 의해 임펠러(120)의 회전에 부하가 발생하여 구동모터(110)가 소손되거나, 임펠러(120)가 정지되면서 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출몰스트레이너(150)는 흡입콘부(143)의 상단부분에서 상승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흡입콘부(143)의 상단부분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하향되어 흡입콘부(143)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흡입콘부(143)에 설치될 수 잇다.
예를 들어 출몰스트레이너(150)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복수 개의 스트레이너핀(151)이 흡입콘부(143)에서 돌출되어 흡입구(131)의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복수 개의 스트레이너핀(151)에 이물질이 걸리면서 흡입구(13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출몰스트레이너(150)는 흡입구(131)의 둘레에 복수 개의 스트레이너핀(151)이 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에서 출몰스트레이너(150)가 흡입콘부(143)의 내부로 삽입되면, 복수 개의 스트레이너핀(151)에 걸린 이물질이 흡입콘부(143)의 외면에 걸리면서 출몰스트레이너(150)에 걸린 이물질이 출몰스트레이너(150)에서 제거될 수 있다.
즉, 출몰스트레이너(150)는 흡입콘부(143)에서 상향되어 돌출되면, 이물질을 걸러내고, 흡입콘부(143)에서 하향되어 삽입되면, 걸린 이물질이 흡입콘부(143)에 걸리면서 출몰스트레이너(150)만 삽입되어 출몰스트레이너(150)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출몰스트레이너(150)는 스트레이너부력체(153)를 포함하여 집수조의 수위에 따라 흡입콘부(143)에서 출몰스트레이너(150)가 상하로 이동하며 흡입콘부(143)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흡입콘부(14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부력체(153)는 유체에서 부력을 가질 수 있는 유체보다 밀도가 낮은 재료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공기 또는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충전되는 용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출몰스트레이너(150)는 부력에 의해 스트레이너부력체(153)가 상하로 이동 시에 가이드되는 스트레이너가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가이드부(미도시)는 막대형태로 흡입콘부(143)에 세워진 상태에서 스트레이너부력체(153)가 스트레이너가이드부에 관통하여 끼워져 부력에 따라 스트레이너가이드부를 따라 스트레이너부력체(153)가 이동하는 형태로 출몰스트레이너(15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콘개폐부(160)는 출몰스트레이너(150)에 걸린 이물질을 흡입콘부(143)의 내부에서 처리하도록 흡입콘부(143)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콘개폐부(160)는 흡입콘부(143)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하부로 이동 시에 흡입콘부(143)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부로 이동시에는 흡입콘부(143)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할 수 있다.
콘개폐부(160)에는 출몰스트레이너(150)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콘개폐부(160)는 출몰스트레이너(150)의 이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하향될 때, 흡입콘부(143)에서 콘개폐부(160)도 하향되면서, 흡입콘부(143)의 내부에서 출몰스트레이너(150)의 이물질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집수조에 이물질이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콘개폐부(160)에는 출몰스트레이너(150)의 스트레이너핀(151)이 관통하여 출몰하는 출몰공(161)이 스트레이너핀(151)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콘개폐부(160)는 흡입콘부(143)의 상부를 밀폐 시에 유체의 유연한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콘부(143)의 상단 부분과 대응되는 곡면(141b)의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콘개폐부(160)는 콘개폐부(160)에는 콘개폐부(160)에 공기가 채워져 흡입콘부(143)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콘개폐부(160)의 하부에는 개폐부력체(163)가 설치되어 개폐부력체(163)의 부력에 의해 집수조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에 따라 콘개폐부(160)가 흡입콘부(143)에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한편, 흡입콘부(143)에는 콘개폐부(16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안내가이드는 흡입콘부(143)의 둘레를 억압하여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흡입콘부(143)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출몰스트레이너(150)에 부력을 제공하는 스트레이너부력체(153)보다 콘개폐부(160)에 부력을 제공하는 개폐부력체(163)가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하여 집수조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콘개폐부(160)에서 출몰스트레이너(150)가 먼저 부양되어 돌출된 후, 콘개폐부(160)가 흡입콘부(143)의 상부를 밀폐하고, 반면, 집수조의 수위가 하강할 경우, 콘개폐부(160)가 먼저 하강한 뒤 출몰스트레이너(150)가 후에 하강함으로써, 콘개폐부(160)가 하강하여 흡입콘부(143)의 내부에 위치한 후, 출몰스트레이너(150)가 콘개폐부(160)에서 하강하도록 작동하여 흡입콘부(143)의 내에서 출몰스트레이너(150)에 걸린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력체(163)에는 집수조의 수위가 하강한 뒤 스트레이너부력체(153)가 하강할 수 있도록 개폐부력체(163)에는 받침다리(165)가 형성되어 개폐부력체(163)가 완전히 하강한 뒤 받침다리(165)의 높이만큼 스트레이너부력체(153)가 더 하강하여 스트레이너핀(151)이 콘개폐부(16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스트레이너핀(151)에 걸린 이물질이 콘개폐부(160)의 상면에 걸리면서 콘개폐부(160)의 둘레 경사면을 타고 흐르는 형태로 흡입콘부(143)의 내에서 이물질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콘부(143)의 둘레에는 출몰스트레이너(150)에 의해 처리되어 흡입콘부(143)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처리공에는 처리공을 개폐하기 위한 처리도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를 포함하는 수중펌프(100)는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임펠러(120)가 결합되며, 임펠러(120)는 펌프케이싱(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동모터(110)에 의해 임펠러(120)가 회전하면서,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를 통해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토출구(133)로 토출하여 토출구(133)에 연결된 토출관을 통해 집수조의 외부로 이송한다.
한편, 펌프케이싱(130)의 하부에는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를 바닥에서 이격시키도록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가 설치된다.
일례의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는 집수조의 바닥에 상부 중앙을 향해 점점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의 흡입콘부(143)가 고정설치되며, 흡입콘부(143)의 상부에는 펌프케이싱(130)이 안착되는 안착판부(141)가 펌프케이싱(130)에 고정된다.
이때, 안착판부(141)의 연통공(141a)과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는 서로 일치되도록 안착되며 안착판부(141)와 흡입콘부(143)는 연결대부(14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안착판부(141)의 저면은 연통공(141a)을 향해 유선형태의 하부로 볼록한 곡면(141b)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대부(145)의 횡단면도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례의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가 설치된 수중펌프(100)는 구동모터(110)에 의해 임펠러(120)가 회전하면,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를 통해 유체가 흡입되면서, 토출구(133)를 통해 토출구(133)와 연결된 토출관으로 유체가 토출된다.
한편, 유체가 흡입구(131)로 흡입될 때, 흡입콘부(143)의 둘레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흡입콘부(143)의 형상에 의해 흡입구(131)가 위치한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유입되어 유체의 이동방향에 급격한 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흡입구(131)로 유체가 원활하게 흡입되어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대부(145)는 유선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대부(145)를 지나는 유체도 연결대부(145)의 저항을 최소화되고, 안착판부(141)의 둘레에서 흡입되는 유체는 안착판부(141)의 하향되었다가 다시 상향되는 유선형태의 곡면(141b)으로 형성된 저면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유체의 이동방향이 흡입구(131)를 향해 자연스럽게 변화됨으로써, 흡입콘부(143)에 의해 가이드되는 유체와의 충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변형예의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출몰스트레이너(150)와 콘개폐부(160)를 포함한다.
콘개폐부(160)는 흡입콘부(143)의 상단 부분을 상승과 하강하면서 개폐하고, 콘개폐부(160)에는 개폐부력체(163)가 설치되어 집수조에 채워지는 유체의 수위에 따라 흡입콘부(143)에서 콘개폐부(160)가 상하로 이동하며 흡입콘부(143)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콘개폐부(160)에는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출몰스트레이너(150)가 상하로 이동하여 콘개폐부(160)에서 돌출되거나, 콘개폐부(160)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출몰스트레이너(150)는 흡입구(131)의 둘레에 복수 개의 스트레이너핀(151)이 돌출되어 배치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성된다.
돌출스트레이너(150)의 하부에는 스트레이너부력체(153)가 설치되어 집수조의 유체 수위에 따라 콘개폐부(160)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콘개폐부(160)의 상부로 스트레이너핀(151)이 돌출된 상태에서 연통공(141a)의 둘레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콘개폐부(16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스트레이너핀(151)에 걸린 콘개폐부(160)의 상부에 걸리면서 출몰스트레이너(150)에 걸린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변형예의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가 설치된 수중펌프(100)는 집수조에 유체가 채워지면, 흡입콘부(143)에서 콘개폐부(160)에서 출몰스트레이너(150)가 스트레이너부력체(153)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콘개폐부(160)의 출몰공(161)을 통해 돌출되고, 계속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면, 콘개폐부(160)가 개폐부력체(163)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흡입콘부(143)의 상부를 밀폐한다.
이때, 콘개폐부(160)가 상승하여 흡입콘부(143)의 상부를 밀폐하면, 콘개폐부(160)에서 돌출되는 스트레이너핀(151)이 연통공(141a)의 둘레에 밀착되면서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한편, 집수조의 유체가 모두 토출되거나, 집수조의 유체가 배수되어 없어지면, 개폐부력체(163)에 의해 부양되었던 콘개폐부(160)가 하향되면서 흡입콘부(143)의 내부로 하향되고, 콘개폐부(160)에서 출몰스트레이너(150)가 하향된다.
출몰스트레이너(150)가 하향되면, 스트레이너핀(151)이 출몰공(161)으로 삽입되면서, 스트레이너핀(151)에 걸린 이물질이 콘개폐부(160)의 상부에 걸쳐지고, 스트레이너핀(151)이 콘개폐부(160)의 내부로 삽입되면 콘개폐부(160)의 외면에 남은 이물질이 콘개폐부(160)의 외면을 타고 하부로 흘러 흡입콘부(143)의 내부로 유입되는 형태로 이물질이 흡입콘부(143)의 내부에 처리됨으로써, 처리된 이물질이 집수조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집수조에 유체가 채워지면, 부력에 의해 콘개폐부(160)가 흡입콘부(143)의 상부를 밀폐하고, 출몰스트레이너(150)가 흡입구(131)의 둘레에 밀착되면서 다시 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체가 배수되면, 다시 콘개폐부(160)와 출몰스트레이너(150)가 하향되어 흡입콘부(143)의 내부로 이물질을 처리하는 형태로 수위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향 및 하향되면서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흡입콘부(143)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인 경우, 흡입콘부(143)의 처리도어를 통해 처리공을 개방한 후, 흡입콘부(143)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처리도어를 닫는 형태로 흡입콘부(143)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개선형 받침대(140)를 포함하는 수중펌프(100) 흡입콘부(143)에 의해 흡입콘부(143)의 둘레에서 흡입구(131)으로 흡입되는 유체를 가이드하여 흡입구(131)으로 유체의 유입성을 개선함으로써,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착판부(141)의 저면에 유선형태의 곡면(141b)으로 형성하여 안착판부(141)의 둘레에서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의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연결대부(145)를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의 저항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콘부(143)에 집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출몰스트레이너(150)를 구성하여 상향 시에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향 시에는 출몰스트레이너(150)의 걸린 이물질이 돌출스트레이너(150)에서 제거됨으로써,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하여 출몰스트레이너(150)에 이물질이 쌓여 막힘에 따른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몰스트레이너(150)가 흡입콘부(143)를 개폐하는 콘개폐부(160)에 설치되어 콘개폐부(160)가 흡입콘부(143)를 개방한 상태에서 출몰스트레이너(150)에 걸린 이물질을 흡입콘부(143)의 내부로 처리함으로써, 출몰스트레이너(150)에 걸린 이물질이 집수조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수중펌프 110: 구동모터
111: 구동축 120: 임펠러
130: 펌프케이싱 131: 흡입구
133: 토출구 140: 유로 개선형 받침대
141: 안착판부 141a: 연통공
141b: 곡면 143: 흡입콘부
145: 연결대부 150: 출몰스트레이너
151: 스트레이너핀 153: 스트레이너부력체
160: 콘개폐부 161: 출몰공
163: 개폐부력체 165: 받침다리

Claims (6)

  1.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및 상기 펌프케이싱을 집수조의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로서,
    상기 유로 개선형 받침대는
    상기 집수조의 바닥에 고정되며, 바닥에서 상부의 상기 흡입구를 향해 갈수록 점점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를 향해 유체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콘부,
    상기 펌프케이싱이 결합되어 안착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안착판부, 및
    상기 안착판부와 상기 흡입콘부를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부의 저면은 상기 안착판부의 둘레에서 상기 연통공으로 유체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의 유선형 곡면을 갖으며,
    상기 흡입콘부는 상기 흡입콘부의 상부에서 상승하여 돌출되면서 상기 흡입구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흡입콘부에서 하강하여 내부로 삽입되면서 걸린 이물질이 제거되는 출몰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부의 평단면 형상은
    상기 흡입콘부와 상기 안착판부의 사이로 유체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스트레이너는
    상기 집수조에 채워지는 유체에서 부력에 의해 상기 출몰스트레이너가 승하강하도록 상기 출몰스트레이너에 부력을 제공하는 스트레이너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콘부는
    상기 출몰스트레이너가 하강할 때 제거되는 이물질이 상기 흡입콘부의 내부에서 처리되도록 상기 출몰스트레이너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콘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흡입콘부의 내부를 개폐하는 콘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개폐부는
    상기 흡입콘부에서 상기 콘개폐부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상기 콘개폐부에 부력을 제공하는 개폐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KR1020220066178A 2022-05-30 2022-05-30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KR102435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178A KR102435464B1 (ko) 2022-05-30 2022-05-30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178A KR102435464B1 (ko) 2022-05-30 2022-05-30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464B1 true KR102435464B1 (ko) 2022-08-23

Family

ID=8309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178A KR102435464B1 (ko) 2022-05-30 2022-05-30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419B1 (ko) * 2022-11-17 2023-02-10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회전식 흡입가이드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KR102527881B1 (ko) * 2022-11-18 2023-05-02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회전식 흡입가이드 받침대를 장착한 수중펌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7199A (ja) * 1998-09-18 2000-04-04 Torishima Pump Mfg Co Ltd 排水ポンプ
CN201531459U (zh) * 2009-10-23 2010-07-21 长沙天鹅工业泵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立式泵椭圆形导流墩
KR101107509B1 (ko) * 2011-11-02 2012-01-31 주식회사 남일산업개발 지지대를 구비한 수중펌프
JP2019203799A (ja) * 2018-05-23 2019-11-28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水中ポンプ及びその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7199A (ja) * 1998-09-18 2000-04-04 Torishima Pump Mfg Co Ltd 排水ポンプ
CN201531459U (zh) * 2009-10-23 2010-07-21 长沙天鹅工业泵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立式泵椭圆形导流墩
KR101107509B1 (ko) * 2011-11-02 2012-01-31 주식회사 남일산업개발 지지대를 구비한 수중펌프
JP2019203799A (ja) * 2018-05-23 2019-11-28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水中ポンプ及びその監視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419B1 (ko) * 2022-11-17 2023-02-10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회전식 흡입가이드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KR102527881B1 (ko) * 2022-11-18 2023-05-02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회전식 흡입가이드 받침대를 장착한 수중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464B1 (ko) 유로 개선형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US4934914A (en) Portable motor pump
JPH07275618A (ja) 水槽用濾過装置
CA2609878C (en) Oval filter cage and vacuum cleaner
KR102435462B1 (ko)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보조베인을 구비한 수중펌프
US20120207590A1 (en) Anti-airlock pump
KR102413611B1 (ko) 세척가이드가 부착된 자동탈착식 수중펌프
CN215993881U (zh) 一种清水污水分离的拖把桶
JP5595851B2 (ja)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JP4577940B2 (ja) 脱着式水中ポンプの脱着構造
KR102444811B1 (ko)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
KR200314603Y1 (ko) 하향식 흡입장치를 가지는 로스터
JP4451081B2 (ja) 水中ポンプの着脱機構
JP3662633B2 (ja) 水中ポンプ
CN220414181U (zh) 一种快速清漂活水设备
JP3589741B2 (ja) 水中ポンプ
CN220101565U (zh) 一种屏蔽泵
KR102659648B1 (ko) 송수관과 직결되고 물에서 기포를 원심 분리시켜 배기되게 하는 에어 자동배출장치
CN220622247U (zh) 具有排水及排污功能的泵
CN219605585U (zh) 一种自动启闭的排气潜水泵
KR200493145Y1 (ko) 자동배수형 푸트밸브
CN212175833U (zh) 一种排水装置
CN218606473U (zh) 污水箱及表面清洁设备
JP4623493B2 (ja) 着脱式水中ポンプ装置
CN216428453U (zh) 一种具有空气隔断功能的进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