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516B1 -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516B1
KR102434516B1 KR1020210159296A KR20210159296A KR102434516B1 KR 102434516 B1 KR102434516 B1 KR 102434516B1 KR 1020210159296 A KR1020210159296 A KR 1020210159296A KR 20210159296 A KR20210159296 A KR 20210159296A KR 102434516 B1 KR102434516 B1 KR 102434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rame
disposed
container
pane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키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키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키친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5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은, 상부가 개구 된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가 조립되어 조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테이너는, 상기 제2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바닥과 내측면 상에 설치되는 제1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제1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측에 제2 개구가 형성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과 내측면 상에 설치되는 제2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제2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 측에 위치된 제1 결합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제1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 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CONTAINERIZED PREFAB KITCHEN MODULE}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컨테이너가 조립되어 조리공간을 제공하고, 운송이 용이하고, 배수가 원활하며, 내부 공간에 주방 기기가 탑재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이 개시된다.
주방은 조리, 취사를 위한 재료와 기구를 놓는 준비대, 재료와 용기를 세척하는 개수대, 재료를 썰거나 혼합하는 등 가열조리 전에 재료를 가공하는 조리대, 준비된 재료를 가열조리 하는 가열대, 조리가 끝난 음식을 두는 배선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컨테이너는 공장에서 만들어진 후 원하는 곳에 설치할 수 있는 기성품화 된 일종의 가건물이다. 이는 종래 건축물에 비해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이 완료된 곳에서 다른 사용처로 이동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립식 컨테이너는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작된 후 운송 수단을 통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크기 및 부피에 대한 제한이 수반된다. 따라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고 운송이 용이하며 주방을 수용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이 필요하며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음식을 자동으로 운반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1401209호는 이동식 컨테이너 하우스를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개별의 컨테이너가 쉽게 제작되고, 탈착 가능한 복수의 컨테이너가 조립되어 조리공간을 제공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운송이 용이하고 배수가 원활하며 주방 기기가 탑재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의 결속부에 의해 복수의 빔이 견고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은, 상부가 개구 된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가 조립되어 조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테이너는, 상기 제2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바닥과 내측면 상에 설치되는 제1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제1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측에 제2 개구가 형성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과 내측면 상에 설치되는 제2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제2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 측에 위치된 제1 결합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제1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 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에 의하면, 개별의 컨테이너가 쉽게 제작되고 탈착 가능한 복수의 컨테이너가 조립되어 조리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에 의하면, 운송이 용이하고 배수가 원활하며 내부 공간에 주방 기기가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에 의하면, 복수의 결속부에 의해 복수의 빔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컨테이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컨테이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컨테이너의 제1 결속부, 제1 빔, 및 제1 연결 측벽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컨테이너의 제2 결속부, 제2 빔, 및 제2 연결 측벽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벽부와 제1 연결 측벽부가 제3 결속부에 의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고,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벽부와 제2 연결 측벽부가 제4 결속부에 의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b)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의 유입부와 그 주위를 나타내고,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의 유출부와 그 주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1)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컨테이너(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컨테이너(2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컨테이너(10)의 제1 결속부(115), 제1 빔(111), 및 제1 연결 측벽부(13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컨테이너(20)의 제2 결속부(215), 제2 빔(211), 및 제2 연결 측벽부(23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벽부(120)와 제1 연결 측벽부(130)가 제3 결속부(125)에 의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고,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벽부(220)와 제2 연결 측벽부(230)가 제4 결속부(225)에 의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1)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b)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313)의 유입부와 그 주위를 나타내고,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313)의 유출부와 그 주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1)은 제1 컨테이너(10)와 제2 컨테이너(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방 모듈(1)은 상부가 개구 된 제1 컨테이너(10)와 제2 컨테이너(20)가 조립되어 조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10)는, 제2 컨테이너(20)와 마주보는 일측에 제1 개구(11)가 형성된 제1 몸체부(100), 및 제1 몸체부(100)의 바닥과 내측면 상에 설치되는 제1 패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0)는, 제1 컨테이너(10)와 마주보는 일측에 제2 개구(22)가 형성된 제2 몸체부(200), 및 제2 몸체부(200)의 바닥과 내측면 상에 설치되는 제2 패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10)와 제2 컨테이너(20)는 상부가 개구 될 수도 있고 가림막이 설치되어 상부가 개폐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몸체부(100)는, 제1 개구(11)를 둘러싸고, 제2 컨테이너(20)와 마주보는 일 측에 위치된 제1 결합 프레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부(200)는, 제2 개구(22)를 둘러싸고, 제1 컨테이너(10)와 마주보는 일 측에 위치되며,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결합되는 제2 결합 프레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2 결합 프레임부(210)는 용접되어 결합되거나 체결부재(30)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2 결합 프레임부(210)가 결합됨으로써, 제1 컨테이너(10)와 제2 컨테이너(20)가 조립되어 주방 모듈(1)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구(11)와 제2 개구(22)가 대응되고, 설계의 목적에 따라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2 결합 프레임부(210)의 결합 도구가 변경될 수 있다.
주방 모듈(1)은,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2 결합 프레임부(210)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3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지만, 리벳(rivet)과 같은 체결 도구로도 구성 가능하고 체결 가능한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제1 결합 프레임부(110)는, 제1 개구(11)를 둘러싸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 빔(111), 및 복수의 제1 빔(111)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 인접한 제1 빔(111)을 결속시키는 복수의 제1 결속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빔(111)은,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제1 빔(1111), 하부 제1 빔(1111)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 제1 빔(1112), 및 하부 제1 빔(1111)과 상부 제1 빔(1112)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제1 빔(1111)의 양 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면 제1 빔(1113, 1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프레임부(210)는, 제2 개구(22)를 둘러싸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 빔(211), 및 복수의 제2 빔(211)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 인접한 제2 빔(211)을 결속시키는 복수의 제2 결속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빔(211)은, 하측에 배치되고 하부 제1 빔(1111)과 맞닿는 하부 제2 빔(2111), 하부 제2 빔(2111)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부 제1 빔(1112)과 맞닿는 상부 제2 빔(2112), 및 하부 제2 빔(2111)과 상부 제2 빔(2112)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 제2 빔(1111)의 양 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면 제2 빔(2113, 2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제2 빔들(2113, 2114) 각각은 측면 제1 빔들(1114, 1113)에 맞닿게 구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30)는 제1 빔(111), 제2 빔(211), 제1 결속부(115) 및 제2 결속부(215)를 관통하여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2 결합 프레임부(2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각각의 제1 결속부(115)는, 제2 결속부(215)와 마주보는 제1 본체(103), 제1 본체(103)의 일 단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제2 본체(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속부(115)는, 제1 본체(103)의 타단으로부터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부재(30)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체결 홀(105)을 갖는 제1-1 삽입 부재(1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속부(115)는, 제1 본체(103)와 제2 본체(104)의 하측으로부터 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부재(30)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체결 홀(107)을 갖는 제1-2 삽입 부재(1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속부(115)는, 제2 본체(104)의 일단으로부터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부재(30)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3 체결 홀(113)을 갖는 제1-3 삽입 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03)와 제2 본체(104)는 직교 되어있으며, 제1 본체(103)와 제2 본체(104)는 각각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로 파여져 있어서 단면이 'ㄷ'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본체(103)와 제2 본체(104)는 각각 타 측면 상에 제1 구멍(109)이 배치되고, 제1 구멍(109)에 크레인에 연결되어 제1 컨테이너(10)가 이동될 수 있다. 제1-1 삽입 부재(106)와 제1-3 삽입 부재(114)는 각각 일 측이 개방된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 'ㄷ'자의 개방된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요소는 제1 빔(111)의 내부와 제1 연결 빔(131)의 내부에 제1-1 삽입 부재(106) 또는 제1-3 삽입 부재(114)가 삽입될 때,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해줄 수 있다. 제1-2 삽입 부재(108)는 각각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빔(1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속부(215)는, 제1 결속부(115)와 마주보는 제3 본체(203), 제3 본체(203)의 일 단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제4 본체(2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속부(215)는, 제3 본체(203)의 타단으로부터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 부재(30)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1 체결 홀(205)을 갖는 제2-1 삽입 부재(2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속부(215)는, 제3 본체(203)와 제4 본체(204)의 하측으로부터 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2 체결 홀(207)을 갖는 제2-2 삽입 부재(2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속부(215)는, 제4 본체(204)의 일단으로부터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부재(30)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3 체결 홀(213)을 갖는 제2-3 삽입 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본체(203)와 제4 본체(204)는 제1 본체(103)와 제2 본체(104)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1 삽입 부재(106)는 제2-1 삽입 부재(206)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고, 제1-2 삽입 부재(108)는 제2-2 삽입 부재(208)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3 삽입 부재(114)는 제2-3 삽입 부재(214)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속부(115)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갖는 제2 결속부(215)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빔들(111) 각각은, 내부에 제1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1 내지 제1-2 삽입 부재(106, 108)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1 삽입 공간(101), 및 제1 삽입 공간(101)을 관통하고 체결 부재(30)가 통과되는 제1 관통 홀(1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빔들(211) 각각은, 내부에 제2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1 내지 제2-2 삽입 부재(206, 208)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2 삽입 공간(201), 및 제2 삽입 공간(201)을 관통하고 체결 부재(30)가 통과되는 제2 관통 홀(20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부 제1 빔(1111)의 일 단과 측면 제1 빔(1113)의 일 단이 제1 결속부(1151)에 의해 연결된다. 하부 제1 빔(1111)의 타 단과 측면 제1 빔(1114)의 일 단이 제1 결속부(1152)에 의해 연결된다. 측면 제1 빔(1113)의 타 단과 상부 제1 빔(1112)의 일 단이 제1 결속부(1153)에 의해 연결된다. 측면 제1 빔(1114)의 타 단과 상부 제1 빔(1112)의 타 단이 제1 결속부(1154)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제1 빔(1112)의 제1 삽입 공간(101)에 제1 결속부(1153)의 제1-1 삽입 부재(106)가 슬라이딩 삽입되고, 측면 제1 빔(1113)의 제1 삽입 공간(101)에 제1 결속부(1153)의 제1-2 삽입 부재(108)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체결 부재(30)는 제1 빔(111)과 제1 결속부(115)를 관통하여 서로를 볼트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제1 결속부(1151, 1152, 1154)도 이와 마찬가지로 제1 빔에 삽입되어 제1 빔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제2 빔(2111)의 일 단과 측면 제2 빔(2113)의 일 단이 제2 결속부(2151)에 의해 연결된다. 하부 제2 빔(2111)의 타 단과 측면 제2 빔(2114)의 일 단이 제2 결속부(2152)에 의해 연결된다. 측면 제2 빔(2113)의 타 단과 상부 제2 빔(2112)의 일 단이 제2 결속부(2153)에 의해 연결된다. 측면 제2 빔(2114)의 타 단과 상부 제2 빔(2112)의 타 단이 제2 결속부(2154)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제2 빔(2112)의 제2 삽입 공간(201)에 제2 결속부(2154)의 제2-1 삽입 부재(206)가 슬라이딩 삽입되고, 측면 제2 빔(2114)의 제2 삽입 공간(201)에 제2 결속부(2154)의 제2-2 삽입 부재(208)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체결 부재(30)는 제2 빔(211)과 제2 결속부(215)를 관통하여 서로를 볼트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제2 결속부(2151, 2152, 2153)도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빔에 삽입되어 제2 빔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 제1 빔(1111)은, 하부 제2 빔(2111)에 대향되는 측면에 테이퍼 진 복수의 돌출 부재(119)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돌출 부재(119)는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제2 빔(2111)은, 하부 제1 빔(1111)에 대향되는 측면에 돌출 부재(119)와 맞물리는 복수의 홈 부재(219)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홈 부재(219)의 형상은 돌출 부재(119)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돌출 부재(119)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면, 홈 부재(219)는 사다리꼴 형상에 맞물리도록 파여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설계의 목적에 따라, 돌출 부재(119)의 형상은 돌출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홈 부재(219)는 돌출 부재(119)에 맞물리는 오목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00)는,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 측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00)는,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1 측벽부(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1 측벽부(120)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 측벽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00)는,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1 측벽부(120)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바닥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부(200)는, 제2 결합 프레임부(210)와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측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부(200)는, 제2 결합 프레임부(210)와 제2 측벽부(22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결합 프레임부(210)와 제2 측벽부(220)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 측벽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부(200)는, 제2 결합 프레임부(210)와 제2 측벽부(220)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바닥 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부(120)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하측 빔(1201), 제1 하측 빔(1201)의 양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지지 빔(1202, 1203), 한 쌍의 제1 지지 빔의 상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1 상측 빔(120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측 빔(1201)과 한 쌍의 제1 지지 빔(1202, 1203)은 서로 제3 결속부(1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측 빔(1204)과 한 쌍의 제1 지지 빔(1202, 1203)은 서로 제3 결속부(1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3 결속부(125)는 제1 결속부(115)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벽부(120)는, 제1 하측 빔(1201), 한 쌍의 제1 지지 빔(1202, 1203), 제1 상측 빔(1204)로 마련된 개구에 배치되는 제1 측벽 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측벽부(130)는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1 측벽부(120) 사이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빔(1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빔(131)의 일 단은 제1 측벽부(120)의 제3 결속부(125)와 연결되고, 타 단은 제1 결합 프레임부(110)의 제1 결속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빔(131)의 일 단의 삽입 공간에 제3 결속부(125)의 제3-3 삽입 부재가 삽입되고, 체결 부재(30)에 의해 제1 연결 빔(131)과 제3 결속부(125)가 체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빔(131)의 타 단의 삽입 공간에 제1 결속부(115)의 제1-3 삽입 부재가 삽입되고, 체결 부재(30)에 의해 제1 연결 빔(131)과 제1 결속부(115)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프레임부(110)와 제1 연결 측벽부(130)의 제1 연결 빔(131)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측벽부(130)는 제1 결합 프레임부(110)의 양측에 수직하고 제1 연결 빔(131)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측벽 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부(220)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측 빔(2201), 제2 하측 빔(2201)의 양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 빔(2202, 2203), 한 쌍의 제2 지지 빔의 상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2 상측 빔(2204)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하측 빔(2201)과 한 쌍의 제2 지지 빔(2202, 2203)은 서로 제4 결속부(2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측 빔(2204)과 한 쌍의 제2 지지 빔(2202, 2203)은 서로 제4 결속부(2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벽부(220)는, 제2 하측 빔(2201), 한 쌍의 제2 지지 빔(2202, 2203), 제2 상측 빔(2204)로 마련된 개구에 배치되는 제2 측벽 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측벽부(230)는 제2 결합 프레임부(210)와 제2 측벽부(220) 사이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 빔(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빔(231)의 일 단은 제2 측벽부(220)의 제4 결속부(225)와 연결되고, 타 단은 제2 결합 프레임부(210)의 제2 결속부(215)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 빔(231)의 일 단의 삽입 공간에 제4 결속부(225)의 제4-3 삽입 부재가 삽입되고, 체결 부재(30)에 의해 제2 연결 빔(231)과 제4 결속부(225)가 체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빔(231)의 타 단의 삽입 공간에 제2 결속부(215)의 제2-3 삽입 부재가 삽입되고, 체결 부재(30)에 의해 제2 연결 빔(231)과 제2 결속부(215)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프레임부(210)와 제2 연결 측벽부(230)의 제2 연결 빔(231)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 측벽부(230)는 제2 결합 프레임부(210)의 양측에 수직하고 제2 연결 빔(23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측벽 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 지지부(140)와 제2 바닥 지지부(240) 각각은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닥 지지부(140)의 복수의 지지바는 하부 제1 빔(1111)과 제1 하측 빔(1201)의 하부 사이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닥 지지부(240)의 복수의 지지바는 하부 제2 빔(2111)과 제2 하측 빔(2201) 사이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부(300)는, 제1 바닥 지지부(140) 상에 배치되는 제1 바닥 패널부(310), 및 제1 측벽부(120)와 제1 연결 측벽부(13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바닥 패널부(310)와 수직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측면 패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패널부(400)는, 제2 바닥 지지부(240) 상에 배치되는 제2 바닥 패널부(410), 및 제2 개구(22)의 양측에 수직하고 제2 연결 측벽부(23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측면 패널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 패널부(310)는, 제1 바닥 지지부(14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패널(311), 및 한 쌍의 가이드 패널(311) 사이에 배치되고 가이드 패널(311)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수 패널(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닥 패널부(310)는, 배수 패널(312)의 경계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격벽부(301), 배수 패널(312)과 인접한 가이드 패널(311)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1 격벽부(301)와 마주보는 제1 가이드 격벽부(303), 및 가이드 패널(311)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가이드 격벽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패널(312)은 사각형상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격벽부(301)는 배수 패널(312)의 네 모서리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격벽부(301)는 제1 가이드 격벽부(303)와 마주보는 측면 상에 오목하게 파이도록 배치된 오목 부재(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격벽부(303)는 가이드 패널(31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1 격벽부(301)가 덮이도록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컨테이너(10) 내부에서 보았을 때, 제1 격벽부(301)는 보이지 않고 제1 가이드 격벽부(303)만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격벽부(303)는 상기 오목 부재에 맞물리는 볼록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볼록 부재는 육면체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목 부재는 상기 볼록 부재를 감싸도록 파여진 육면체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 부재가 육면체 형상이면 오목 부재는 파여진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볼록 부재와 상기 오목 부재가 맞물리게 됨으로써, 제1 가이드 격벽부(303)와 제1 격벽부(301)가 결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닥 패널부(310)는, 제1 측벽부(120)에 인접하고 제1 격벽부(30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하수를 주방 모듈(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패널(311) 상에 있는 하수는 배수 패널(312)로 흐르고, 상기 하수는 제1 가이드 격벽부(303)와 제2 가이드 격벽부(304)에 의해 배수구(313)로 흐르며, 배수구(313)는 상기 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방수판(40)은 제1 바닥 지지부(140)와 가이드 패널(3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패널(311)과 배수 패널(312) 간의 단차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제2 바닥 지지부(240)와 제2 바닥 패널부(410) 사이에도 방수판(40)이 배치될 수 있다. 방수판(40)은 주방 모듈(1)에서 누출될 수 있는 유체(예를 들어, 기름)를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바닥 지지부(140)와 제1 바닥 패널부(310) 사이에 모두 걸쳐 방수판(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 플레이트(150)는 제1 측면 패널부(320)를 고정시키는 제1 홀더 부재(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151)는 제1 측벽 플레이트(15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측면 패널부(3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제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측벽 플레이트(250)는 제2 측면 패널부(420)를 고정시키는 제2 홀더 부재(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더 부재(251)는 제2 측벽 플레이트(25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 측면 패널부(4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제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측벽부(220)는, 도어가 설치되는 제1 홀(221), 및 제1 홀(221)의 측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창문이 설치되는 제2 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221)을 통해 음식 자재가 운반될 수 있고, 제2 홀(222)을 통해 완성된 음식이 외부로 서브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테이너(20)는, 제2 홀(222)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홀(222)이 배치된 제2 측벽부(220)와 수직으로 배치되며 음식을 보관하는 음식 선반대(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테이너(10)는, 냉장 유닛(미도시), 및 상기 냉장 유닛의 옆에 배치되고 음식이 조리되는 음식 조리대(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주방 모듈(1)은 요리에 필요한 어떠한 도구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이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1)에 의하면, 개별의 컨테이너가 쉽게 제작되고 탈착 가능한 복수의 컨테이너(10, 20)가 조립되어 조리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1)에 의하면, 운송이 용이하고 배수가 원활하며 내부 공간에 주방 기기가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1)에 의하면, 복수의 결속부(115, 215)에 의해 복수의 빔(111, 211)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주방 모듈 10: 제1 컨테이너
11: 제1 개구 100: 제1 몸체부
110: 제1 결합 프레임부 111: 제1 빔
115: 제1 결속부 120: 제1 측벽부
130: 제1 연결 측벽부 140: 제1 바닥 지지부
300: 제1 패널부 310: 제1 바닥 패널부
320: 제1 측면 패널부 20: 제2 컨테이너
22: 제2 개구 200: 제2 몸체부
210: 제2 결합 프레임부 211: 제2 빔
215: 제2 결속부 220: 제2 측벽부
230: 제2 연결 측벽부 240: 제2 바닥 지지부
400: 제2 패널부 410: 제2 바닥 패널부
420: 제2 측면 패널부 30: 체결 부재

Claims (7)

  1. 상부가 개구 된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가 조립되어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주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는,
    상기 제2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바닥과 내측면 상에 설치되는 제1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제1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측에 제2 개구가 형성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과 내측면 상에 설치되는 제2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제2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 측에 위치된 제1 결합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제1 컨테이너와 마주보는 일 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방 모듈은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2 결합 프레임부를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는,
    상기 제1 개구를 둘러싸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 빔; 및
    상기 복수의 제1 빔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빔을 결속시키는 복수의 제1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프레임부는,
    상기 제2 개구를 둘러싸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 빔; 및
    상기 복수의 제2 빔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빔을 결속시키는 복수의 제2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빔, 상기 제2 빔,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2 결합 프레임부를 체결시키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프레임부와 상기 제1 측벽부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 측벽부;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측벽부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바닥 지지부; 및
    상기 제1 바닥 지지부 상에 위치되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제1 바닥 패널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연결 측벽부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닥 패널부와 수직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측면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 패널부는,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패널;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수 패널;
    상기 배수 패널의 경계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격벽부;
    상기 배수 패널과 인접한 상기 가이드 패널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격벽부와 마주보는 제1 가이드 격벽부;
    상기 가이드 패널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가이드 격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1 격벽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하수를 상기 주방 모듈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판은 상기 제1 바닥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 패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배수 패널과 단차진 상기 가이드 패널을 지지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빔은,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제1 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빔은, 상기 제2 결합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하부 제1 빔과 맞닿는 하부 제2 빔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제1 빔은, 상기 하부 제2 빔에 대향되는 측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복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제2 빔은, 상기 하부 제1 빔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돌출 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 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는,
    상기 제2 결속부와 마주보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일 단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제2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1 체결 홀을 갖는 제1-1 삽입 부재; 및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2 체결 홀을 갖는 제1-2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속부는,
    상기 제1 결속부와 마주보는 제3 본체;
    상기 제3 본체의 일 단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제4 본체;
    상기 제3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1 체결 홀을 갖는 제2-1 삽입 부재; 및
    상기 제3 본체 및 상기 제4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2 체결 홀을 갖는 제2-2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은,
    내부에 상기 제1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1 내지 제1-2 삽입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1 삽입 공간; 및
    상기 제1 삽입 공간을 관통하고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되는 제1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빔은,
    내부에 상기 제2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1 내지 제2-2 삽입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2 삽입 공간; 및
    상기 제2 삽입 공간을 관통하고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되는 제2 관통 홀을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측벽부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 측벽부; 및
    상기 제1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측벽부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결합 프레임부와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2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측벽부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 측벽부; 및
    상기 제2 결합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측벽부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제2 바닥 패널부; 및
    상기 제2 연결 측벽부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측면 패널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부는,
    도어가 설치되는 제1 홀; 및
    상기 제1 홀의 측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창문이 설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KR1020210159296A 2021-11-18 2021-11-18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KR102434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296A KR102434516B1 (ko) 2021-11-18 2021-11-18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296A KR102434516B1 (ko) 2021-11-18 2021-11-18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516B1 true KR102434516B1 (ko) 2022-08-25

Family

ID=8311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296A KR102434516B1 (ko) 2021-11-18 2021-11-18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5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778A (ja) * 1993-11-25 1995-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ユニットバスルーム
KR101297867B1 (ko) * 2011-09-08 2013-08-19 이정엽 조립식 건축물용 ㄷ자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주택의 건축 방법
KR101471039B1 (ko) * 2013-10-16 2014-12-09 엽성식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JP2016108892A (ja) * 2014-12-09 2016-06-20 株式会社ヒーローライフカンパニー 移設型建築物の、厨房床の排水設備
KR102307325B1 (ko) * 2021-04-06 2021-09-29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778A (ja) * 1993-11-25 1995-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ユニットバスルーム
KR101297867B1 (ko) * 2011-09-08 2013-08-19 이정엽 조립식 건축물용 ㄷ자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주택의 건축 방법
KR101471039B1 (ko) * 2013-10-16 2014-12-09 엽성식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JP2016108892A (ja) * 2014-12-09 2016-06-20 株式会社ヒーローライフカンパニー 移設型建築物の、厨房床の排水設備
KR102307325B1 (ko) * 2021-04-06 2021-09-29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6058B (zh) 用于开关柜或配电箱的机架的框架异形件
RU2514595C2 (ru) Стенка мебели и предмет мебели
AU735978B2 (en) Frame for a switch cabinet
EA029968B1 (ru) Сборн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изделия
US20180206636A1 (en) Drawer comprising a base panel, two lateral walls, a rear wall and a screen
US7893365B2 (en) Weather resistant variable enclosure frame
US6164460A (en) Rack for a switchgear cabinet
KR102434516B1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
US6890045B2 (en) Switchgear cabinet with rack, paneling and base
CN113015357A (zh) 箱体以及具有所述箱体的户外设备
ES2901149T3 (es) Estructura de marco para el montaje de una disposición de mueble
KR840002059A (ko) 운송 조립용 규격 건물세트
KR20230082846A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주방 모듈의 조립방법
KR19990037620A (ko) 파이프덕트 캐비넷
US20220330698A1 (en) Frame element for installation in work furniture
RU2008112034A (ru) Шкаф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аппаратуры, содержащий основание с люком для ввода кабелей
CN112672665A (zh) 阻燃工地柜
JP6915026B2 (ja) 仕切り壁及びその施工方法
WO1995017803A1 (en) Equipment cabine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030024196A1 (en) Unit-combination type frame structure
JPH11192130A (ja) 厨房家具のキャビネット構造
KR102676380B1 (ko) 패널 설치용 콘센트박스
CN218550323U (zh) 一种户外组合式箱
AU2019101295A4 (en) Method of building cost-effective multi-compartment electrical enclosure
KR102201419B1 (ko)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